KR101140299B1 - 와이어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299B1
KR101140299B1 KR1020100044984A KR20100044984A KR101140299B1 KR 101140299 B1 KR101140299 B1 KR 101140299B1 KR 1020100044984 A KR1020100044984 A KR 1020100044984A KR 20100044984 A KR20100044984 A KR 20100044984A KR 101140299 B1 KR101140299 B1 KR 101140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am
disposed
electrode terminal
pu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450A (ko
Inventor
김순동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00044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29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29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와이어의 피복을 제거하고 절단하는 와이어 재단부와; 상하 왕복동하는 램부와, 상기 램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극단자가 안착되는 엠빌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재단부로부터 공급된 와이어의 선단이 상기 엠빌의 전극단자상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램부가 상기 전극단자를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어태치먼트와; 상기 와이어 재단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와이어를 상기 어태치먼트의 엠빌로 공급하는 도킹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킹수단은 상기 램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램부와 같이 상하 왕복동 운동을 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하단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하단선이 상기 램부의 하단선 보다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하강시 상기 램부보다 먼저 상기 와이어 안내부를 가압하는 펀치; 상기 방향 전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어태치먼트의 엠빌 상부로 안내하며, 상기 펀치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전극단자의 상부로 유도하는 와이어 안내부; 그리고 상기 와이어 안내부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펀치가 상기 와이어 안내부를 타격하는 경우 상하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가공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재단부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를 도킹수단에 의하여 가압하여 어태치먼트의 엠빌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와이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가공장치는 와이어의 선단 혹은 후단의 피복을 제거하고, 피복이 제거된 와이어의 선단 혹은 후단에 전극단자를 장착하고, 전극단자가 장착된 와이어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와이어 가공장치는 와이어의 피복을 제거하고, 절단하는 와이어 재단부와, 상기 와이어 재단부로부터 공급된 와이어의 단부에 전극단자를 장착하는 어태치먼트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재단부는 도선의 이송, 도선의 절단, 도선 피복재의 제거, 및 도선의 배출을 실시한다.
즉, 상기 와이어 재단부는 도선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와이어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여 어태치먼트로 안내하는 방향전환부와, 상기 방향전환부에 의하여 이송된 와이어의 단부로부터 피복을 제거하거나 절단하는 탈피기구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와이어 재단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이송부에 의하여 방향전환부로 이송되면, 방향전환부는 이 와이어를 탈피기구로 공급한다. 그리고, 와이어가 탈피기구에 도달되면, 상하부로 배치된 한 쌍의 커터날에 의하여 와이어의 피복 두께만큼 절단된다.
와이어의 피복에 한 쌍의 커터날이 침입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전환부가 역회전함으로써 와이어가 후진하여 피복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의 피복이 제거되면, 상기 방향전환부가 어태치먼트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와이어가 어태치먼트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한 램부와, 상기 램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 재단부로부터 공급된 와이어와 띠형전극단자가 안착되는 엠빌과, 상기 램부의 승하강시 띠형전극단자를 상기 엠빌로 일정 피치씩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램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캠운동에 의하여 상기 이송부와 상기 램부를 연동시킴으로써 램부의 승하강 운동에 맞추어 이송부를 엠빌 방향으로 전진 혹은 후진시키는 캠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어태치먼트는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전극단자 일정 피치 전진하여 엠빌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재단부로부터 와이어 공급되어 상기 엠빌의 전극단자상에 안착되면, 상기 램부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전극단자가 가압되어 와이어의 단부에 압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태치먼트에 의하여 전극단자가 와이어에 결합되면, 상기 방향전환부가 다시 원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와이어의 선단이 탈피기구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탈피기구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일정 길이로 절단된 후 배출된다.
이러한 와이어 가공장치는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의 방향전환부가 회전하여 와이어의 선단이 동일선상에 배치된 어태치먼트의 엠빌상에 측방향으로 부터 접근하는 경우, 와이어의 선단이 엠빌상에 안착된 전극단자에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와 전극단자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엠빌과 동일선상에 배치된 방향전환부를 엠빌의 위치 보다 높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방향전환부가 엠빌방향으로 회전하여도 방향전환부에 고정된 와이어의 선단이 엠빌 보다 높은 위치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와이어의 선단이 엠빌상의 전극단자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 가공장치는 상기 와이어 단부가 엠빌상의 전극단자 위치보다 높게 배치되므로,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전극단자의 상부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램부가 상부로부터 낙하하여 상기 와이어를 전극단자의 내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와이어의 단부는 자유단 상태이므로 이 단부가 하방으로 처져서 전극단자의 내측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좌우로 유동이 발생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의 단부가 램부에 의하여 가압될 때, 정확한 위치로 가압되어 전극단자와 결합될 수 있는 와이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이어의 피복을 제거하고 절단하는 와이어 재단부와; 상하 왕복동하는 램부와, 상기 램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극단자가 안착되는 엠빌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재단부로부터 공급된 와이어의 선단이 상기 엠빌의 전극단자상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램부가 상기 전극단자를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어태치먼트와; 상기 와이어 재단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와이어를 상기 어태치먼트의 엠빌로 공급하는 도킹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킹수단은 상기 램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램부와 같이 상하 왕복동 운동을 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하단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하단선이 상기 램부의 하단선 보다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하강시 상기 램부보다 먼저 상기 와이어 안내부를 가압하는 펀치; 상기 방향 전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어태치먼트의 엠빌 상부로 안내하며, 상기 펀치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전극단자의 상부로 유도하는 와이어 안내부; 그리고 상기 와이어 안내부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펀치가 상기 와이어 안내부를 타격하는 경우 상하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는 와이어 재단부로부터 공급된 와이어의 단부를 엠빌에 안착시킬 때, 와이어 안내부가 와이어의 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램부에 연결된 펀치가 클림퍼 보다 먼저 와이어 안내부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와이어의 단부가 자유단 상태에서도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정확한 전극단자의 결합위치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에 탄성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펀치가 와이어 안내관을 하부로 가압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와이어와 전극단자의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재단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어가 램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전극단자상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재단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어가 램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전극단자상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와이어 가공장치(1)는 와이어(W)의 피복을 제거하고 절단하는 와이어 재단부(2)와; 상하 왕복동하는 램부(15)와, 상기 램부(15)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극단자(T)가 안착되는 엠빌(11)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재단부(2)로부터 공급된 와이어(W)의 선단이 상기 엠빌(11)의 전극단자(T)상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램부(15)가 상기 전극단자(T)를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어태치먼트(5)와; 상기 와이어 재단부(2)로부터 배출된 상기 와이어(W)를 상기 어태치먼트(5)의 엠빌(11)로 공급하는 도킹수단(7)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와이어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재단부(2)는 통상적인 구조의 와이어 재단부를 의미한다. 즉, 상기 와이어 재단부(2)는 와이어(W)를 이송시키고, 와이어(W) 단부의 피복을 제거하고, 피복이 제거된 와이어(W)를 일정 길이씩 절단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 재단부(2)는 몸체(48)와; 상기 몸체(48)의 일측에 배치되어 도선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0)와; 상기 몸체(48)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10)로부터 이송된 와이어(W)를 지지하고, 와이어(W)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도킹수단(7)을 통하여 상기 어태치먼트(5)로 안내하는 방향전환부(32)와; 상기 방향전환부(32)에 의하여 이송된 와이어(W)의 단부로부터 피복을 제거하거나 절단하는 탈피기구(3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48)는 회전모터(M)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부(32)에 의하여 지지된 와이어(W)를 상기 어태치먼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0)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R)로 구성되며, 와이어(W)가 다수개의 가이드롤러(R)에 공급되면, 다수개의 가이드롤러(R)가 자전함으로써 상기 와이어(W)가 방향전환부(32)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부(32)는 몸체(48)에 구비된 모터 조립체(도시안됨)에 연결됨으로써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방향전환부(32)는 모터 조립체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디스크(34)와, 상기 디스크(34)의 상부에 배치되어 와이어(W)를 안내하는 한 쌍의 롤러(R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30)에 의하여 이송된 와이어(W)는 상기 한 쌍의 롤러(R1) 사이에 인입되며, 디스크(34)가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W)의 선단이 후술하는 와이어 안내부(26) 방향 혹은 탈피기구(33)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안내부(26)의 높이는 상기 어태치먼트(5)의 엠빌(11)의 높이 보다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48)가 회전하여 와이어 안내부(26)에 공급된 와이어(W)의 선단이 제 1화살표 방향(a1)을 따라 엠빌(11)의 측방향으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W)의 선단과 엠빌(11)이 서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탈피기구(33)는 상기 방향 전환부(32)의 일측에 배치되며, 한 쌍의 커터날(36,37)로 구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커터날(36,37)은 상부날(36)과 하부날(37)로 구성되며, 상부날(36)과 하부날(37)의 사이에 와이어(W)가 진입된다.
와이어(W)가 상부날(36)과 하부날(37)의 사이로 진입하면, 상하부로 배치된 한 쌍의 커터날(36,37)에 의하여 피복 두께만큼 절단된다. 그리고, 와이어(W)의 피복에 한 쌍의 커터날(36,37)이 침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30)의 가이드 롤러들이 역회전함으로써 와이어(W)가 후진하여 피복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W)의 피복이 제거되면, 상기 몸체(48)가 제 1화살표 방향(a1;도3)을 따라 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어태치먼트(5)의 측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와이어(W)가 후술하는 와이어 안내부(26)를 통하여 어태치먼트(5)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태치먼트(5)에 공급된 와이어(W)는 그 선단에 전극단자(T)가 상기 램부(15)에 의하여 압착될 수 있다.
이러한 어태치먼트(5)는 통상적인 구조의 어태치먼트(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어태치먼트(5)는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한 램부(15)와; 상기 램부(15)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 재단부(2)로부터 공급된 와이어(W)와 띠형전극단자(T)가 안착되는 엠빌(11)과; 상기 램부(15)의 승하강시 띠형전극단자(T)를 상기 엠빌(11)로 일정 피치씩 이동시키는 이송부(10)와; 상기 램부(15)의 일측에 구비되어 캠운동에 의하여 상기 이송부(10)와 상기 램부(15)를 연동시킴으로써 램부(15)의 승하강 운동에 맞추어 이송부(10)를 엠빌(11) 방향으로 전진 혹은 후진시키는 캠부(1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띠형 전극단자(T)는 통상적인 어태치먼트의 구동방식에 의하여 엠빌(11)방향으로 일정 피치씩 이송된다.
즉, 상기 램부(15)가 승하강 하는 경우, 캠면(17)도 같이 승하강되고, 이 캠면(17)에 구름접촉하는 캠롤러(19)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캠롤러(19)의 회전에 의하여 푸셔(21)가 이송대(10)의 상부에 배치된 띠형 전극단자(C)를 엠빌(11)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전극단자(T)가 이송부(10)에 의하여 엠빌(11)방향으로 일정 피치 전진함으로써 엠빌(11)의 상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재단부(2)로부터 공급된 와이어(W)의 선단이 상기 엠빌(11)의 상부에 도달되면, 상기 램부(15)가 제 2화살표 방향(a2;도3)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전극단자(T)가 가압되어 와이어(W)의 선단에 압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W)의 선단이 전극단자(T)의 내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도킹수단(7)이 구비된다.
상기 도킹수단(7)은 상기 램부(15)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램부(15)와 같이 상하 왕복동 운동을 하는 가압부(24)와; 상기 가압부(24)의 하단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하단선이 상기 램부(15)의 하단선 보다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하강시 상기 램부(15)보다 먼저 상기 와이어 안내부(26)를 가압하는 펀치(29)와; 상기 방향 전환부(3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W)를 상기 어태치먼트(5)의 엠빌(11) 상부로 안내하며, 상기 펀치(29)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상기 와이어(W)를 상기 전극단자(T)의 상부로 유도하는 와이어 안내부(26)와; 그리고 상기 와이어 안내부(26)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펀치(29)가 상기 와이어 안내부(26)를 타격하는 경우 상하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4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도킹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4)는 램부(15)의 일측에 연결되는 하우징(25)과, 상기 하우징(25)의 하부에 돌출되는 가압축(27)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25)은 램부(15)의 일측면에 볼트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5)은 보수 혹은 교체시 필요에 따라 상기 볼트를 해제함으로써 램부(15)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25)의 연결방식은 볼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접 등의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가압축(27)은 상기 하우징(25)의 하부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는 상기 펀치(29)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램부(15)가 상하 왕복운동하는 경우, 상기 가압축(27) 및 펀치(29)가 승하강한다.
상기 펀치(29)는 상기 가압축(27)과 힌지핀(h)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가압축(27)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펀치(29)의 저면이 와이어 안내부(26)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와이어 안내부(26)를 하부로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펀치(29)의 하단선은 상기 램부(15)의 클림퍼(23) 보다 더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램부(15)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펀치(29)도 같이 하강하게 되고, 먼저 와이어 안내부(26)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와이어(W)를 전극단자(T)의 내부에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의 단부가 전극단자(T)의 내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램부(15)의 클림퍼(23)가 전극단자(T)를 압착함으로써 전극단자(T)는 와이어(W)의 선단에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안내부(26)는 몸체(48)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46,44)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46,44)의 사이에 배치되며 와이어(W)가 관통하는 와이어 안내관(45)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46,44)의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상기 와이어 안내관(45)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44)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부재(42)가 배치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42)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44)의 하부에 탄성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와이어 안내부(26)의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42)는 바람직하게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44)의 저면을 지지하고, 하부는 상기 몸체(48)의 받침대(40) 상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26)가 펀치(29)에 의하여 하부로 가압될 때, 상기 탄성부재(42)가 와이어 안내부(26)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완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안내관(45)은 일단이 몸체(48)의 벽체(50)에 형성된 통공(52)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방향전환부(32)로부터 공급된 와이어(W)는 상기 벽체(50)의 통공(52)을 통하여 와이어 안내관(45)으로 삽입된다.
상기 와이어 안내관(45)으로 삽입된 와이어(W)는 와이어 안내관(45)의 타단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재단부(2)의 몸체(48)가 모터(M)에 의하여 어태치먼트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안내관(45)을 통하여 외부로 선단이 배출된 와이어(W)는 제 1화살표 방향(a1;도3)을 따라 어태치먼트의 엠빌(11)의 측방향으로 접근한다.
그리고, 와이어(W)의 선단은 어태치먼트의 엠빌(11)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펀치(29)가 상부 플레이트(46)의 상부를 가압하면,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46,44)가 하강하게 되고, 와이어 안내관(45)도 와이어(W)를 지지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된다.
결국, 와이어(W)는 와이어 안내관(45)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펀치(29)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므로 램부(15)의 클림퍼(23)가 직접 와이어(W)의 선단을 가압하여 하강시키는 경우보다 와이어(W) 선단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펀치(29)는 가압축(27)에 힌지핀(h)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펀치(29)가 와이어 안내부(26)의 상부 플레이트(46)에 접촉할 때, 상기 펀치(29)가 일정 각도로 꺽이게 된다.
이때, 상기 펀치(29)가 꺽이는 각도는 다양한 각도로 꺽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가압축(27)에 대하여 5도 범위 이내에서 꺽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펀치(29)가 와이어 안내부(26)에 접촉되는 경우, 펀치(29)가 가압축(27)에 대하여 꺽임으로써 펀치(29)의 충격을 일정 부분 흡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W) 단부가 전극단자(T)의 상부 정위치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램부(15)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펀치(29)가 먼저 와이어 안내부(26)의 상부 플레이트(46)에 접촉하여 와이어 안내부(26)를 하부로 가압함으로써, 와이어(W)는 와이어 안내부(26)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전극단자(T)의 내측에 도달된다.
이 상태에서, 하강된 램부(15)의 클림퍼(23)에 의하여 전극단자(T)가 압착됨으로써 전극단자(T)는 와이어(W)의 단부에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공장치에 의하여 와이어의 단부에 전극단자가 결합되는 과정이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와이어 가공장치(1)에 의하여 와이어(W) 단부에 전극단자(T)를 결합하는 경우, 먼저 와이어(W)를 와이어 재단부(2)의 가이드부(30)에 인입시킨다.
가이드부(30)에 인입된 와이어(W)는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R)에 의하여 안내됨으로써 방향전환부(32)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방향전환부(32)는 탈피기구(33)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방향전환부(32)에 공급된 와이어(W)는 한 쌍의 롤러(R1)에 의하여 이송되어 상기 탈피기구(33)의 상부날(36)과 하부날(37) 사이로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날(36)과 하부날(37)이 승하강하여 와이어(W)의 피복에 침입됨으로써 피복에 흠집을 형성한다.
상부날(36)과 하부날(37)이 피복에 침입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롤러(R1)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W)를 방향전환부(32) 방향으로 후진시켜서 피복을 와이어(W)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W)의 피복을 제거한 후, 상기 와이어 재단부(2)의 몸체(48)가 모터(M)에 의하여 어태치먼트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부(32)의 한 쌍의 롤러(R1)가 구동함으로써 상기 와이어(W)가 와이어 안내관(45)을 통하여 어태치먼트(5)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안내관(45)을 통하여 외부로 선단이 배출된 와이어(W)는 제 1화살표 방향(a1;도3)을 따라 어태치먼트의 엠빌(11)의 측방향으로 접근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부(32)는 엠빌(11)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와이어(W)는 방향을 전환하여 엠빌(11)의 측방향으로 접근하여도 와이어(W)가 엠빌(11)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W)의 단부가 엠빌(11)의 상부에 도달하면, 상기 램부(15)가 하강한다. 상기 램부(15)가 하강하면, 램부(15)의 일측에 구비된 하우징(25)과 가압축(27)도 같이 하강하게 되고, 가압축(27)에 연결된 펀치(29)도 하강한다.
이때, 상기 펀치(29)의 하단선(L1)이 램부(15)의 클림퍼(23) 보다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클림퍼(23)가 전극단자(T)를 압착하기 전에, 상기 펀치(29)의 저면이 와이어 안내부(26)의 상면에 먼저 접촉한다.
펀치(29)가 와이어 안내부(26)에 접촉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램부(15)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펀치(29)가 와이어 안내부(26)의 상부 플레이트(46)를 하부로 가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펀치(29)는 가압축(27)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이므로 펀치(29)가 적절한 각도로 꺽이게 된다.
따라서, 펀치(29)가 과도한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와이어 안내부(26)의 상부 플레이트(46)를 가압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펀치(29)가 와이어 안내부(26)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와이어(W)의 단부가 엠빌(11)에 배치된 전극단자(T)의 내측에 안착될 때 까지 가압한다.
상기 와이어(W)의 단부가 전극단자(T)에 안착되면, 같이 하강한 램부(15)의 클림퍼(23)가 전극단자(T)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클림퍼(23)가 전극단자(T)를 가압함으로써 전극단자(T)의 내측에 안착된 와이어(W)를 감싸게 되고 전극단자(T)가 와이어(W)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안내부(26)에 전달된 충격은 탄성부재(42)에 의하여 흡수됨으로써 2차적으로 완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W)의 단부는 도킹수단(7)에 의하여 가압되어 전극단자(T)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1: 와이어 가공장치 2: 재단부
5: 어태치먼트 7: 도킹수단
32:와이어 재단부 33:탈피기구

Claims (5)

  1. 도선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전환하여 안내하는 방향전환부와, 와이어의 피복을 제거하고 절단하며 회전이 가능한 탈피기구를 포함하는 와이어 재단부와; 상하 왕복동하는 램부와, 상기 램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극단자가 안착되는 엠빌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재단부로부터 공급된 와이어의 선단이 상기 엠빌의 전극단자상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램부가 상기 전극단자를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어태치먼트와; 상기 와이어 재단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와이어를 상기 어태치먼트의 엠빌로 공급하는 도킹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킹수단은 상기 램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램부와 같이 상하 왕복동 운동을 하는 가압부;
    상기 방향 전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어태치먼트의 엠빌 상부로 안내하며,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전극단자의 상부로 유도하는 와이어 안내부;
    상기 가압부의 하단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하단선이 상기 램부의 하단선 보다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하강시 상기 램부보다 먼저 상기 와이어 안내부를 가압하는 펀치; 그리고
    상기 와이어 안내부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펀치가 상기 와이어 안내부를 타격하는 경우 상하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압부는 상기 램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돌출되며, 하부에 상기 펀치가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축을 포함하고,
    상기 펀치는 힌지핀에 의하여 상기 가압축의 하부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내부는 상기 와이어 재단부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 재단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와이어 안내관을 포함하는 와이어 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와이어 재단부의 받침대 상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가공장치.


KR1020100044984A 2010-05-13 2010-05-13 와이어 가공장치 KR101140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984A KR101140299B1 (ko) 2010-05-13 2010-05-13 와이어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984A KR101140299B1 (ko) 2010-05-13 2010-05-13 와이어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450A KR20110125450A (ko) 2011-11-21
KR101140299B1 true KR101140299B1 (ko) 2012-05-02

Family

ID=4539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984A KR101140299B1 (ko) 2010-05-13 2010-05-13 와이어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2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0534B2 (ja) * 2007-01-16 2009-02-25 日本オートマチックマシン株式会社 端子圧着方法、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電線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0534B2 (ja) * 2007-01-16 2009-02-25 日本オートマチックマシン株式会社 端子圧着方法、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電線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450A (ko)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943420U (zh) 一种弹片自动装配机
CN109672069B (zh) 一种自动剥线并自动组装设备
CN113644522B (zh) 旗形硬胶壳入壳装置
CN209125161U (zh) 一种触点元件的自动焊接机
CN107706152A (zh) 一种太阳能电池片掰片装置
CN209061934U (zh) 一种冲孔效率高的接地扁管冲孔设备
KR101140299B1 (ko) 와이어 가공장치
KR200487877Y1 (ko) 피 절곡물에 접촉을 최소화 하면서 절곡을 수행할 수 있는 프레스 금형
CN107866864B (zh) 一种用于手机卡座组装设备的自动上料装置
CN210120316U (zh) 一种端子压接电线的加工设备
CN107932070A (zh) 蜗轮蜗杆传动式铜带机
CN209150456U (zh) 连接器插针折弯去边装置
CN114247807B (zh) 一种空调导风板冲孔用的冲压模具
CN214444003U (zh) 一种自动点焊机
CN209125092U (zh) 一种触点元件焊接机的焊接装置
CN210182752U (zh) 端子机及线束加工设备
CN216150950U (zh) 一种电感线圈切割设备
CN218396352U (zh) 编织线自动剪切焊接设备
CN216370427U (zh) 一种用于异形光伏焊带的切断设备
CN109610151A (zh) 服装制作裁剪用的工作台
CN218415592U (zh) 包皮切削装置及线圈剥皮机
CN115319476B (zh) 自动生产设备
CN211210368U (zh) 新型插件机构
CN215184103U (zh) 一种电芯定位辊折装置
CN214827063U (zh) 一种金属条传送带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