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940B1 -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9940B1 KR101139940B1 KR1020120015149A KR20120015149A KR101139940B1 KR 101139940 B1 KR101139940 B1 KR 101139940B1 KR 1020120015149 A KR1020120015149 A KR 1020120015149A KR 20120015149 A KR20120015149 A KR 20120015149A KR 101139940 B1 KR101139940 B1 KR 1011399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cap
- rear end
- insertion tube
- cylindrical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4—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체내의 특정부위를 RF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국소적 또는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방향제어가 가능하면서도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체내의 특정부위를 RF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국소적 또는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방향제어가 가능한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흔히 병명처럼 잘못 쓰고 있는 '디스크' 라는 말은 척추체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물을 일컫는 것으로 이에 해당하는 정확한 병명은 '척추 추간판 탈출증' 또는 '수핵 탈출증' 이다.
요추 디스크의 가장 흔한 원인은 요추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나이에 시작되는데, 추간판 탈출증의 빈도는 20대에 갑자기 증가하기 시작하여 활동성이 강한 40대까지 발생한다.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는 추간판의 구성 요소인 수핵과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단단한 섬유막인 섬유윤 모두에 변화가 일어난다. 먼저 수핵 내의 수분 함량이 줄어 들고 콜라겐이라는 섬유질 성분이 증가하면서 젤리같이 말캉말캉하던 수핵이 푸석푸석하게 변해 추간판에 미치는 힘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게 되며 섬유윤도 수분이 감소하고 균열을 보여 약한 부위가 생기게 된다. 이때 과도한 힘, 특히 굴곡력과 회전력이 동시에 미치게 되면 섬유윤이 파열하면서 내부의 수핵이 섬유윤을 밀어 외부로 돌출하게 한다. 그러나 때로는 어떤 과도한 힘이 미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핵의 탈출은 일어날 수 있다. 즉, 오랜 기간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가 있어오다가 약간의 과도한 힘이 미치면 섬유윤이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밀리거나 터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돌출된 추간판 부분은 원상보귀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고, 이 때문에 척추 부근의 신경을 압박하여 요통을 초래한다.
이러한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 방법은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는데, 치료 방법을 선택할 때는 증상의 기간, 강도, 직업, 나이, 재발 횟수, 보존적 치료에 대한 반응도 등을 따져 결정한다. 대부분 침상 안정, 약물 요법, 물리 치료 등만으로 회복되기도 한다.
부득이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외과적 수술에 의해도 많게는 수술환자의 30%는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외과적 수술이 척추 신경 부위의 절제를 수반하기 때문에 수술환자의 5 ~ 10%는 수술 실패 증후군(Failed Back Surgery Syndrome, F.B.S.S)으로 일생 동안 고통 받게 된다.
상기 추간판 탈출증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접근 방법으로는 추간판 내부의 수핵 구성물질을 제거하여 추간판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추간판의 돌출된 부위가 자발적으로 추간판 내부로 복원되는 원상회복법이 있다. 비외과적 수술로서 방사주파수 전극을 추간판 내부 조직에 삽입한 후, 방사주파수를 인가하여 전극 주위의 조직을 방사주파수를 이용하여 형성된 높은 에너지의 전기장으로 수핵의 구성물질을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상태로 제거시키는 방법이 있다. 방사주파수 전극을 이용하여 체내의 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은 외과적 수술법에 비해 병원의 입원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술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수술 후에도 부작용 위험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시술을 위해서는 전극이 원하는 인체 부분까지 접근하여야 하는데, 직선형태의 전극을 이용할 경우에는 인체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부분이 극히 제한적이어서 실효성이 없게 된다.
이에 전극을 인체내에서 휘게 하여 원하는 인체 부분에 도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도 1은 등록특허공보 제10-1104851호에 기재된 종래의 전극체 도면으로서, 전극체(12)는 미리 일정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로 제작되어서 외부튜브(1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직선이나 외부튜브(11)에서 돌출되면서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전극체(12)가 미리 정해진 정도로만 휘어질 수 밖에 없으므로, 인체내에서 도달할 수 있는 부분이 여전히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도 2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7835호에 게시된 종래 전극체의 사시도 및 부분분해도이다. 도 2에서의 종래 전극체는 방향제어링(10)을 삽입하고, 방향제어링(10)의 후단에 2개의 와이어(11,12)를 180도 위상차를 가지도록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11,12)를 잡아당겨서 전극체의 방향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2개의 와이어 중의 어느 하나의 와이어(11)를 당겨서 방향제어링의 한쪽(13)을 A방향으로 휘게 할 경우에, 당겨지지 않는 와이어가 있는 쪽(14)에도 금속성 재질의 링이 있음으로 인하여 잘 휘어지지 않아서 조작자가 과도한 힘을 가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면서도 원하는 인체 부분까지 정확하게 전극을 도달시켜서 체내의 특정부위를 RF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국소적 또는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는
캡, 상기 캡의 후단에 연결된 경사면을 구비한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후단에 연결된 원통체, 및 상기 원통체에 연결된 제1전극선을 포함하는 제1전극부;
상기 연결체와 상기 원통체를 감싸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원통체를 감싸는 링, 및 상기 링에 연결된 제2전극선을 포함하는 제2전극부;
상기 절연부의 후단으로 연장되는 삽입튜브; 및
상기 삽입튜브 내부에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며 상기 캡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2개의 방향전환판, 및 상기 방향전환판 중에서 캡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설치된 방향전환판에 연결된 방향제어선을 포함하는 방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외과시술기기는 전극체, 상기 전극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유도관, 및 상기 전극체와 유도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체와 유도관을 조정하는 조정기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로서,
전극체는 상기된 전극체를 그대로 포함하며,
조정기에는 유도관과 연결되어 유도관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는 유도관조절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체의 내부에는 수액을 포함하는 각종물질로 채워져 있으므로, 전극체를 인체 내부에서 방향을 바꾸는 것은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고, 이로 인하여 시술시 시술자가 실수를 할 가능성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외과 시술 기기는 방향제어선이 연결된 제1방향전환판과 방향제어선이 연결되지 않은 제2방향전환판이 서로 마주보고 있지 않으므로, 제1방향전환판을 당겨서 방향을 전환할 경우에 제1방향전환판의 방향 전환이 제2방향전환판에 의해 방해받지 않아서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방향전환을 할 수 있다.
또한 방향전환판이 미리 휘어진 상태로 전극체에 삽입되어 있어서, 방향전환은 더욱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등록특허공보 제10-1104851호에 기재된 종래의 전극체 도면,
도 2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7835호에 게시된 종래 전극체의 사시도 및 부분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체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XX'부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돌기가 없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3에서 YY'부분의 단면도,
도 8은 연질부와 경질부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과 시술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7835호에 게시된 종래 전극체의 사시도 및 부분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체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XX'부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돌기가 없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3에서 YY'부분의 단면도,
도 8은 연질부와 경질부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과 시술기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체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XX'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극체는 제1전극부(110), 제2전극부(130), 절연부(120), 삽입튜브(140) 및 방향조절부(150)를 포함한다.
제1전극부(110)는 캡(111), 연결체(112), 원통체(113), 제1전극선(114)을 포함한다.
캡(111)은 전극체(100)의 가장 앞부분에 해당하며 이는 실질적으로 제1전극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캡(111)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신체 삽입시의 저항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둥근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체(112)는 캡(111)의 후단에 연결되며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경사면으로 인하여 연결체(112)를 감싸는 절연부가 제1전극부(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하여 제1전극부(110)와 제2전극부(130)의 절연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원통체(113)는 연결체(112)의 후단에 연결된 원통형상이며, 원통체(113)의 직경은 연결체(112)의 최대 직경보다 작고, 원통체(113)의 외부는 절연부(120)가 감싸게 된다.
제1전극선(114)은 원통체(113)에 연결되며, 이는 최종적으로 조정기(300)까지 연결된다.
제1전극부(110)는 실질적으로 방사주파수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금속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스틸, 일반 합금강, 티타늄강 및 형상기억합금 중의 어느 하나로 만든다.
한편 원통체(113)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막대형상의 돌기(115)가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돌기(115)는 후술하는 전극체의 제조방법에서 자세하 설명할 것인데, 이는 제1전극부(110)와 삽입튜브(140)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돌기의 단면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회전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사각형상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4는 돌기가 부착된 상태이고, 도 6은 돌기가 없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2전극부(130)는 링(131)과 제2전극선(132)을 포함한다. 링(131)은 원통체(113)를 감싸는 절연부(120)의 외부를 둘러싸며 실질적으로 제2전극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2전극선(132)은 링(131)의 내부로 연결되며, 이는 최종적으로 조정기(300)까지 연결된다.
제2전극부(130)도 제1전극부(110)와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방사주파수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금속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스틸, 일반 합금강, 티타늄강 및 형상기억합금 중의 어느 하나로 만든다.
또한 제1전극부(110)와 제2전극부(130)는 양극 또는 음극이 되는데, 제1전극부(110)와 제2전극부(130)는 반드시 서로 다른 극성을 가져야 한다.
절연부(120)는 제1전극부(110)의 연결체(112)와 원통체(113)를 감싸며, 이는 제1전극부(110)와 제2전극부(13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원통형상의 절연부를 연결체(112)와 원통체(113)에 삽입한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은 형상의 절연부(120)를 형성시킨다. 이를 위하여 절연부는 전기적으로 부도성이면서도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절연부(120)의 재질은 세라믹, 실리콘, 불소수지 및 열수축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의 예로는 Al2O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의 예로는 SiO2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수축 폴리머의 예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PFA),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폴리에스테르(PET), 폴리에스테르아미드(PEA)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을 들 수 있다
삽입튜브(140)는 절연부(120)의 후단으로 연장되는 튜브부분으로서, 그 내부에는 제1전극선(114), 제2전극선(132) 및 방향조절부(150)를 포함하며 이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극체(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휘게 하는 경우에 실질적으로 휘어지는 부분에 해당한다.
한편 삽입튜브(140)는 하나의 재질로 전체가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강도가 높은 재질로 만든 경질부(141)와 비교적 강도가 낮은 재질로 만든 연질부(142)로 나누어질 수 있다.
경질부(141)는 절연부(120)의 후단에 연결된 부분으로서, 이 부분은 링(131)의 후단부에서 발생하는 원치않는 RF 에너지에 의해 삽입튜브(1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연질부(142)는 경질부(141)의 후단에 연결되어 조정기(300)까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제1전극선(114), 제2전극선(132) 및 방향제어선을 수용되고 실질적으로 방향조정에 의해 휘어지는 부분이다.
경질부(141)는 폴리이미드 또는 세라믹재질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질부(142)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111)으로부터 경질부(141)까지는 금속 또는 경도가 높은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이 부분은 실질적으로 방향조절부에 의해 휘어지지 않고, 그 후단의 연질부가 실질적으로 휘어지는 부분에 해당한다.
방향조절부(150)는 방향전환판(151)과 방향제어선(154)을 포함한다.
방향전환판(151)은 방향제어선(154)이 연결된 제1방향전환판(152)과 방향제어선(154)이 연결되지 않은 제2방향전환판(153)을 포함한다. 2개의 방향전환판(151)은 삽입튜브의 내부에서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아울러 2개의 방향전환판(151)은 캡(111)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설치된다. 이중 제1방향전환판(152)이 캡(111)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경질부(141)의 내부에 설치한다.
제1방향전환판(152)과 제2방향전환판(153)이 캡(111)으로부터 서로 상이한 거리에 설치되므로, 제1방향전환판(152)이 위치한 부분의 삽입튜브(140)의 단면을 보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향제어선(154)이 연결된 제1방향전환판(152)이 설치된 부분에는 실질적으로 제2방향전환판(153)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다. 참고로 도 7은 도 3에서 YY'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로서 방향제어선(154)을 이용하여 제1방향전환판(152)을 당기게 되면, 제1방향전환판(152)의 반대편(B)은 딱딱한 금속재질의 제2방향전환판(153)이 아닌, 삽입튜브를 구성하는 금속보다는 경도가 낮은 성분으로 채워져 있으므로, 전극체(100)는 비교적 적은 힘만으로도 인체 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휘어질 수 있다.
한편 제2방향전환판(153)은 방향제어선(154)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단순히 삽입튜브(1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전극체가 제1방향전환판(152) 방향으로 너무 쉽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전극체가 원하는 만큼만 휘어질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1방향전환판(152)과 제2방향전환판(153)은 금속, 스테인레스 또는 크로웰경도(HRc) 60이상의 경도를 가진 폴리머 재질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단면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시로서 사각 또는 봉 형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방향전환판(152)과 제2방향전환판(153)은 캡(110)으로부터 서로 상이한 거리에 위치하여야 한다. 캡(110)으로부터의 거리를 기준으로 제2방향전환판(153)은 제1방향전환판(152)과 제1방향전환판(152)의 길이의 1/2이상 겹쳐지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1방향전환판(152)과 제2방향전환판(153)이 이격된 경우에도 이들간의 거리는 10mm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2이상 겹치게 되면 실질적으로 방향전환시에 많은 힘이 소요되고, 10mm 초과하게 되면 중간 부분이 구부러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1방향전환판(152)과 제2방향전환판(153)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인체내에서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미리 약간 휘어진 상태로 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유도관(200)에서 돌출되는 순간에 전극체(100)가 미리 휘어진 방향으로 약간 휘어질 수 있으므로, 시술자가 조작하기가 더욱 편리하게 된다.
또한 방향전환판(151)이외에도 캡(111)으로부터 경질부(141)까지의 부분은 미리 약간 휘어진 상태로 가공될 수 있다. 이는 전극체를 만드는 과정에서 락타이트와 같은 접합제를 넣고 약간 휘어진 상태로 경화시키면, 원하는 만큼 휘어진 상태로 가공될 수 있다.
방향제어선(154)은 제1방향전환판(152)의 후단에 연결되어서 이는 최종적으로 조정기(300)까지 연결되어야 한다. 방향제어선(154)은 스테인레스, 합금선, 또는 탄성이 있는 폴리머 재질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인체 내에서 전극선이 일 방향으로만 휘어져도 원하는 부분으로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제1방향전환판(152)이 설치된 쪽으로만 전극체가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인체 내부의 원하는 부위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방향전환판(152)을 당기는 방향제어선을 놓으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극체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전극부(110)의 외부에 원형의 절연부(120)를 씌운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절연부(120)가 제1전극부(110)의 외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절연부(120)의 외부에 제2전극부(130)를 끼워서 캡(111) 방향으로 최대한 밀착시킨다.
절연부(120)의 후단에 경질부(141)를 연결시킨 후에 경질부(141)의 상부에 제1방향전환판(151)을 삽입하고, 락타이트와 같은 접착제를 전극체의 내부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제1전극선(114), 제2전극선(132) 및 방향제어선(154)의 3개의 선이 지날 수 있는 통로가 3개 형성된 연질부를 경질부의 후단에 결합시킨다. 이 때 제2방향전환판(153)이 경질부(14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연질부에는 제2방향전환판(153)을 삽입할 수 있는 별도의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연질부와 경질부의 결합시 그 결합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연질부와 경질부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전극부의 원통부(113)에서 돌출된 돌기(115)가 경질부(141)의 말단까지 연장되어 돌출되고, 이 돌기(115)가 연질부에 형성된 홈에 결합시키면서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고,
나아가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질부(141)의 말단에 돌출부분을 만들고 연질부(142)의 말단에는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부분을 만들어서 이들사이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물론 도 8(c)와 같이 돌출부분과 함몰부분이 경질부(141)와 연질부(142)에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된 전극체(100)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과 시술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외과 시술 기기는 전극체(100), 유도관(200) 및 조정기(300)를 포함한다.
전극체(100)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유도관(200)은 내부에 전극체(100)를 수용하는 관으로서, 이는 내부에 전극체(100)를 수용한 상태로 니들(미도시)을 통하여 인체에 침습하게 된다.
조정기(300)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조작을 하는 부분이므로, 손으로 파지하기 쉽고 조작하기 편한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조정기(300)에는 RF를 발생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미도시), 방향전환줄을 당기고 놓기 위한 조작손잡이(310) 및 유도관(200)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조절하는 유도관조절버튼(320)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작동스위치는 종래의 기술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도관조절버튼(320)은 유도관(200)을 전진 또는 후진 슬라이딩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유도관(20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유도관조절버튼(320)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유도관(200)도 함께 슬라이딩된다. 유도관(20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서 전극체(100)는 외부로 돌출된다.
조작손잡이(310)는 시술자가 방향전환줄을 당기거나 놓아서 전극체(100)의 방향을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것이고, 이는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다만, 방향제어선(154)을 당겨진 상태로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방향제어선(154)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외과 시술 기기를 이용한 시술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전극체(100)가 유도관에 수용된 상태로 인체에 침습하고, 유도관조절버튼(320)을 이용하여 유도관을 후진시켜서 전극체(100)의 일부를 인체내로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방향제어선(154)을 당겨서 원하는 인체 부위로 전극체(100)의 말단을 이동시킨 후에 목적하는 시술을 실시한다.
시술후에는 방향제어선(154)을 풀어서 전극체(100)를 원래의 형상으로 만들면서 유도관을 전진시킨 후에, 인체로부터 이들을 제거하게 된다.
100:전극체
110:제1전극부
120:절연체
130:제2전극부
140:삽입튜브
150:방향전환부
200:유도관
300:조정기
110:제1전극부
120:절연체
130:제2전극부
140:삽입튜브
150:방향전환부
200:유도관
300:조정기
Claims (8)
- 캡, 상기 캡의 후단에 연결된 경사면을 구비한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후단에 연결된 원통체, 및 상기 원통체에 연결된 제1전극선을 포함하는 제1전극부;
상기 연결체와 상기 원통체를 감싸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원통체를 감싸는 링, 및 상기 링에 연결된 제2전극선을 포함하는 제2전극부;
상기 절연부의 후단으로 연장되는 삽입튜브; 및
상기 삽입튜브 내부에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며 상기 캡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2개의 방향전환판, 및 상기 방향전환판 중에서 캡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설치된 방향전환판에 연결된 방향제어선을 포함하는 방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판은 사각 또는 봉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판은 금속, 스테인레스 또는 크로웰 경도 기준으로 60이상의 경도를 가진 폴리머 재질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방향전환판 중에서 캡에서 먼 거리에 위치하는 방향전환판의 캡에서 가까운 지점은 캡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방향전환판과 1/2이상 겹치지 않는 지점에서 10mm이상 이격되지 않은 지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의 후단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가 삽입튜브의 내부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튜브는 상기 절연부와 접하는 폴리이미드 또는 세라믹재질의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후단에 연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재질의 연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방향전환판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전환판이 일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 전극체, 상기 전극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유도관, 및 상기 전극체와 유도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체와 유도관을 조정하는 조정기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로서,
상기 전극체는
일단이 둥근형태의 캡, 상기 캡의 후단에 연결된 경사면을 구비한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후단에 연결된 원통체, 및 상기 원통체에 연결된 제1전극선을 포함하는 제1전극부;
상기 연결체와 상기 원통체를 감싸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원통체를 감싸는 링, 및 상기 링에 연결된 제2전극선을 포함하는 제2전극부;
상기 절연부의 후단으로 연장되는 삽입튜브;
상기 삽입튜브의 후단으로 연장되는 삽입튜브; 및
상기 삽입튜브와 삽입튜브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 내부에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며 상기 캡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2개의 방향전환판, 및 상기 방향전환판에 연결된 방향제어선을 포함하는 방향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기에는 유도관과 연결되어 유도관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는 유도관조절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5149A KR101139940B1 (ko) | 2012-02-15 | 2012-02-15 |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 |
PCT/KR2013/001186 WO2013122412A1 (ko) | 2012-02-15 | 2013-02-15 |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 |
CN201380009754.7A CN104114119B (zh) | 2012-02-15 | 2013-02-15 | 电外科手术用电极体及包括其在内的外科手术器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5149A KR101139940B1 (ko) | 2012-02-15 | 2012-02-15 |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9940B1 true KR101139940B1 (ko) | 2012-05-07 |
Family
ID=4627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5149A KR101139940B1 (ko) | 2012-02-15 | 2012-02-15 |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9940B1 (ko) |
CN (1) | CN104114119B (ko) |
WO (1) | WO2013122412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2148B1 (ko) | 2006-12-21 | 2008-02-11 | 유앤아이 주식회사 |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사주파수 전극체 |
KR20090127835A (ko) * | 2008-06-09 | 2009-12-14 | 유앤아이 주식회사 |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전극체 및 유도관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61353B1 (en) * | 1995-02-17 | 2002-10-08 | Oratec Interventions, Inc. | Orthopedic apparatus for controlled contraction of collagen tissue |
EP1459691A1 (en) * | 1996-10-23 | 2004-09-22 | Oratec Intervention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intervertebral discs |
EP1133264B1 (en) * | 1998-11-23 | 2009-07-22 | C.R. Bard, Inc. | Intracardiac grasp catheter |
US6758846B2 (en) * | 2000-02-08 | 2004-07-06 | Gyrus Medical Limited | Electrosurgical instrument and an electrosurgery system including such an instrument |
WO2003026525A1 (en) * | 2001-09-28 | 2003-04-03 | Rita Medical Systems, Inc. | Impedance controlled tissue ablation apparatus and method |
US7326203B2 (en) * | 2002-09-30 | 2008-02-05 | Depuy Acromed, Inc. | Device for advancing a functional element through tissue |
US7101370B2 (en) * | 2004-06-14 | 2006-09-05 | Garito Jon C | Disposable electro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
US8206381B2 (en) * | 2006-01-17 | 2012-06-26 | Endymed Medical Ltd. | Electrosurgical methods and devices employing phase-controlled radiofrequency energy |
-
2012
- 2012-02-15 KR KR1020120015149A patent/KR10113994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2-15 CN CN201380009754.7A patent/CN10411411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2-15 WO PCT/KR2013/001186 patent/WO201312241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2148B1 (ko) | 2006-12-21 | 2008-02-11 | 유앤아이 주식회사 |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사주파수 전극체 |
KR20090127835A (ko) * | 2008-06-09 | 2009-12-14 | 유앤아이 주식회사 |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전극체 및 유도관 |
KR101096811B1 (ko) | 2008-06-09 | 2011-12-2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전극체 및 유도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122412A1 (ko) | 2013-08-22 |
CN104114119A (zh) | 2014-10-22 |
CN104114119B (zh) | 2016-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4219395B2 (en) | Intravertebral tissue ablation device and method | |
EP2554131B1 (en) |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 |
JP7260572B2 (ja) | ルーメンを有する電気外科手術デバイス | |
US6258086B1 (en) | Catheter for delivery of energy to a surgical site | |
JP4753632B2 (ja) | 体組織取扱い用の使い捨て可能な電気外科手術具 | |
EP2147650B1 (en) | High-frequency treatment instrument | |
KR101227635B1 (ko) | 전극을 구비한 의료용 니들 | |
EP3072469B1 (en) | Vessel ablation system with adjustable ablation terminal | |
JP2021531837A (ja) | 電気手術器具 | |
KR101139940B1 (ko) |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 | |
JP6153632B2 (ja) | 1つまたは複数の能動チップによって選択的に操作可能な組織焼灼カニューレ/電極アセンブリ | |
KR20180101320A (ko) |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 |
KR101232933B1 (ko) | 내부 루멘을 구비한 전기적 외과 시술장치 | |
JP2007282847A (ja) | 軟性バイポーラ鉗子 | |
US20200268441A1 (en) | Energy delivery device for endovascular occlusion | |
KR101610291B1 (ko) |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 |
KR101463037B1 (ko) | 고주파 치료 장치 | |
KR101755250B1 (ko) | 풍선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 | |
KR20120038174A (ko) |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 |
CN109414568A (zh) | 具有细长致动器的可偏转设备 | |
US20230039545A1 (en) | Energized corers with energized internals | |
US20230000544A1 (en) | Tissue Ablation Cannula Assembly | |
WO2022191075A1 (ja) | 医療デバイス | |
US20200268442A1 (en) | Energy delivery device for endovascular occlusion | |
KR101437039B1 (ko) | 전기적 외과 시술용 의료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