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929B1 -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 Google Patents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929B1
KR101139929B1 KR1020110085878A KR20110085878A KR101139929B1 KR 101139929 B1 KR101139929 B1 KR 101139929B1 KR 1020110085878 A KR1020110085878 A KR 1020110085878A KR 20110085878 A KR20110085878 A KR 20110085878A KR 101139929 B1 KR101139929 B1 KR 101139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fixing plate
seating groove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금배
Original Assignee
오금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금배 filed Critical 오금배
Priority to KR102011008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와 도어틀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판(110);
상기 고정판(110) 사이에서 양측 가장자리가 각각 고정판(110)에 축 고정되어 두 고정판(11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경첩을 도어에 설치할 경우 문이 닫혔을 때나 열렸을 때 경첩에서 도어 바깥쪽으로 두드러지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외관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람이 부딪혀 다치거나 물건이 부딪혀 파손되는 등의 위험성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줄 수 있게 되는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A hinge}
본 발명은 도어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에 설치되어도 도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도어를 회전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통상 두 개의 고정판이 회동가능하도록 축 결합 되어서 한쪽의 고정판은 도어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고정판은 도어틀에 고정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2010. 5. 3.자 공고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8614호 "경첩'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용 경첩은 두 개의 고정판을 고정하는 회전축이 도어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었는바, 특히 도어를 닫았을 때 두드러지게 돌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돌출된 부분에 다른 물건이나 사람이 부딪혀 손상을 입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경첩으로 도어를 도어틀에 설치하는 경우 경첩에서 도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깔끔하고 안전한 상태로 설치되는 경첩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 고정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마련하여 고정판에 연결하되, 경첩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경우 모두 연결부재가 고정판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돌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경첩을 설치하게 되면 도어가 닫혔을 때나 열렸을 때 경첩이 도어의 바깥쪽으로 두드러지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첩을 도어에 설치하게 되면 문이 닫혔을 때나 열렸을 때 경첩에서 도어 바깥쪽으로 두드러지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외관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람이 부딪혀 다치거나 물건이 부딪혀 파손되는 등의 위험성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첩의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경첩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경첩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경첩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 6은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의한 경첩의 작동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첩의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경첩의 결합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첩(100)은 도어와 도어틀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 사이에서 양측 가장자리가 각각 고정판(110)에 축 고정되어 두 고정판(11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판(110)은 다수의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와 도어틀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고정하여 줄 수 있다. 도어와 도어틀 모서리에 각각 고정판(110)이 수용되는 홈을 형성한 다음 나사를 이용해 고정판(110)을 고정하여 줌으로써 경첩(100)을 설치하는 것이다.
연결부재(120)는 상기 고정판(110)을 서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일정한 두께와 너비를 가진 판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 가장자리가 각각 고정판(110)과 축봉(130)에 의해 축 고정됨으로써 두 고정판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판(110)과 연결부재(120)에는 상/하방향으로 축공(112)(1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축공(112)(122)에 축봉(130)이 끼워짐으로써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두 개의 고정판(110)을 연결부재(120)를 마련하여 고정하는바, 두 개의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경첩(100)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고정판(110)에는 연결부재(120)와 연결되는 지점 모서리에 안착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14)은 고정판(110)의 모서리를 파서 형성하여 주는 것으로서 연결부재(120)의 가장자리가 수용되어 도어가 열리거나 닫혀 서로 연결된 고정판(110)이 접히거나 펼쳐지더라도 연결부재(120)가 안착홈(114)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고정판(110)에 형성되는 축공(112)은 축봉(130)이 안착홈(114)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축봉(130)이 안착홈(114)에 끼워진 연결부재(1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축공(122)을 관통함으로써 연결부재(120)를 축 고정하여 줄 수 있게 한다.
상기 안착홈(114)의 상/하 길이는 연결부재(120)의 상/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조립과 작동이 원활하도록 하면서도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깔끔한 외관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경첩(100)은 도어가 닫혀 고정판(110)이 접혀졌을 때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안착홈(114) 바깥면 지점에 이격돌기(116)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돌기(116)는 말단이 라운드 형태를 이룸으로써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서로 간섭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어가 닫혔을 때 고정판(110)의 간격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축봉(130)에 의해 고정된 연결부재(120)가 축봉(130)과 축공(122)의 유격이 있어 유동이 있을 수 있는바, 간격이 좁아질 경우 상기 이격돌기(116)가 맞닿으면서 간격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경첩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와 도어틀에 고정판(110)과 동일한 폭과 길이 및 고정판(110)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고정판(110)을 각각 대어 준 다음 나사를 박아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경첩(100)으로 도어를 도어틀에 설치하여 주게 된다. 이를 통해 고정판(110)이 도어와 도어틀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두 고정판(110)은 펼쳐진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닫힌 상태에서는 고정판(110)이 접힌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경첩(100)의 고정방식은 종래와 다름없는 고정방식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부재(120)는 고정판(110)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안착홈(114)에 양측 가장자리가 수용되며, 전방으로 드러나는 전면이 고정판(110)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는 안착홈(114)의 깊이가 연결부재(120)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됨에 따른 것이나 그에 한정되지 않고 안착홈(114)의 깊이가 연결부재(12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어가 열렸을 때 전방으로 드러나지 않는 연결부재(120)의 배면은 안착홈(114) 내부벽면과 접함으로써 도어의 열리는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어가 도어틀과 평행을 이루는 정도까지 열리도록 안착홈(114)의 내부 벽면각조를 조절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도 4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경첩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고정판(110)이 접힌 상태가 된다. 이때 연결부재(120)는 고정판(110)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안착홈(114)에 양측 가장자리가 수용되고, 전방으로 드러나는 배면이 고정판(110) 말단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연결부재(120)가 돌출되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안착홈(114)의 깊이가 연결부재(120)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른 것이나 그에 한정되지 않고 안착홈(114)의 깊이가 연결부재(120)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어가 닫혔을 때 전방으로 드러나지 않는 연결부재(120)의 전면은 안착홈(114) 내부벽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도록 하는바, 도어가 닫히는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120)가 안착홈(114) 내부 벽면에 접하여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것만으로 도어가 닫히는 각도를 제한하게 되면 축봉(13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스토퍼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여 도어의 회전각도를 우선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가 닫히는 경우 이격돌기(116)가 서로 마주보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혔을 때 유격에 의해 축봉(130)이 움직여 고정판(11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 경우 서로 맞닿으면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도 5, 6은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의한 경첩의 작동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연결부재(120)는 도어가 열려 서로 연결된 고정판(110)이 펼쳐질 때 전방으로 드러나는 전면 양측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어 도어가 회전할 때 상기 모서리가 안착홈(114)의 벽면에 접하지 않게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20)가 회동할 때 연결부재(120)의 배면 양측 모서리도 안착홈(114)의 벽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모서리가 지나는 지점의 안착홈(114) 내측 벽면이 모서리의 궤적을 따라 라운드 형태를 이루며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어가 회전을 시작하게 되면 도어 측에 설치된 축봉(130)을 축으로 하여 도어만 회전하다가 연결부재(120)의 배면이 안착홈(114) 내부 벽면에 접하게 되면 도어틀 측에 설치된 축봉(130)을 축으로 하여 연결부재(120)가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120)와 안착홈(114)의 내측 벽면이 형성됨에 따라 연결부재(120)의 모서리부분들이 안착홈(114)의 내부 벽면에 접하지 않게 되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경첩(100)은 도어와 도어틀에 고정판(110)을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고정판(110)을 대어준 다음 나사로 고정하게 되면 연결부재(12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바, 도어가 열렸을 때나 닫혔을 때 외부로 두드러지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게 설치되는 것이다.
100 : 경첩, 110 : 고정판,
112 : 축공, 114 : 안착홈,
120 : 연결부재, 122 : 축공,
130 : 축봉.

Claims (6)

  1. 도어와 도어틀의 가장자리 모서리에서 나사가 체결되는 면과 도어가 열릴 때 서로 대향 되는 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매설되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110);
    상기 고정판(110) 사이에서 양측 가장자리가 각각 고정판(110)에 축 고정되어 두 고정판(11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12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110)이 연결부재(120)와 연결되는 모서리 지점에는 안착홈(114)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114)에 연결부재(120)의 가장자리가 수용되어 돌출되지 않고,
    상기 도어가 닫혀 고정판(110)이 접혀졌을 때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안착홈(114) 바깥면 지점에는 말단이 라운드 형태를 이루는 이격돌기(116)가 형성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 고정판(110)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0)는 도어가 열려 서로 연결된 고정판(110)이 펼쳐지면 전방으로 드러나는 전면 양측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어 도어가 회전할 때 상기 모서리가 안착홈(114)의 벽면에 접하지 않아 원활하게 회전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0)는 도어가 닫혀 서로 연결된 고정판(110)이 접히면 전방으로 드러나는 배면이 고정판(110) 말단과 수평을 이루게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14)에서 연결부재(120)가 회동할 때 배면 양측 모서리가 지나는 벽면은 라운드 형태를 이루며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모서리가 상기 벽면에 접하지 않아 원활하게 회전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6. 삭제
KR1020110085878A 2011-08-26 2011-08-26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KR101139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878A KR101139929B1 (ko) 2011-08-26 2011-08-26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878A KR101139929B1 (ko) 2011-08-26 2011-08-26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384A Division KR101321121B1 (ko) 2012-02-29 2012-02-29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929B1 true KR101139929B1 (ko) 2012-04-30

Family

ID=4614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878A KR101139929B1 (ko) 2011-08-26 2011-08-26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9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903B1 (ko) * 2012-11-09 2014-05-15 오금배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어 개폐가 탄성적으로 제어되는 경첩
CN111800969A (zh) * 2020-07-08 2020-10-20 国网(天津)综合能源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和物联网的智慧能源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592A (ja) * 1995-12-01 1997-06-17 Shinkansai Bearing Kk ドアヒンジ
KR20000021221A (ko) * 1998-09-28 2000-04-25 박창수 도어용 경첩
JP2001519492A (ja) 1997-10-03 2001-10-23 サウス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二重回動式ヒンジ組立体
JP2006028989A (ja) * 2004-07-21 2006-02-02 Hitoshi Nishitani 隠し丁番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592A (ja) * 1995-12-01 1997-06-17 Shinkansai Bearing Kk ドアヒンジ
JP2001519492A (ja) 1997-10-03 2001-10-23 サウス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二重回動式ヒンジ組立体
KR20000021221A (ko) * 1998-09-28 2000-04-25 박창수 도어용 경첩
JP2006028989A (ja) * 2004-07-21 2006-02-02 Hitoshi Nishitani 隠し丁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903B1 (ko) * 2012-11-09 2014-05-15 오금배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어 개폐가 탄성적으로 제어되는 경첩
CN111800969A (zh) * 2020-07-08 2020-10-20 国网(天津)综合能源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和物联网的智慧能源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621B1 (ko) 노출 차단형 경첩
JP2008008015A (ja) 隠し蝶番
JP4956676B2 (ja) 二軸ヒンジ装置
KR101139929B1 (ko)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KR101321121B1 (ko)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JP5529864B2 (ja) ドア組立体
US20120205922A1 (en) Locking device of hinged door
KR101107767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ES2963275T3 (es) Puerta con función de prevención de pellizcos en los dedos
JP2010031464A (ja) ドアのエッジ構造
KR200411572Y1 (ko) 문과 그 문이 설치되는 문틀
KR101137823B1 (ko) 여닫이문
JP2011111741A (ja) 折戸
KR20140003923A (ko) 안전도어
KR101395903B1 (ko)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어 개폐가 탄성적으로 제어되는 경첩
KR101337409B1 (ko) 여닫이문 도어 커버의 틸팅 힌지장치
JP6955727B2 (ja) 折戸の振止め金具
KR20140013651A (ko)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 그리고 이의 설치방법
JP4429869B2 (ja) 扉付収納棚
KR101486191B1 (ko) 슬라이드 힌지
KR101344362B1 (ko) 창호용 힌지
CN218150382U (zh) 用于连接门框和门扇的铰链
KR200454836Y1 (ko) 출입문용 힌지 및 이를 구비한 출입문 조립체
JP4819192B2 (ja) サブロック装置及び引違いサッシ
KR101098237B1 (ko) 기능성 방음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