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601B1 -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 - Google Patents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601B1
KR101138601B1 KR1020050087713A KR20050087713A KR101138601B1 KR 101138601 B1 KR101138601 B1 KR 101138601B1 KR 1020050087713 A KR1020050087713 A KR 1020050087713A KR 20050087713 A KR20050087713 A KR 20050087713A KR 101138601 B1 KR101138601 B1 KR 101138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ar
needle
locking
holder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482A (ko
Inventor
히로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05B69/34Hand-wheel clutch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05B55/16Needle-bar drives with provision for disengaging individual needle ba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늘대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재봉바늘을 유지하는 한 쌍의 바늘대(20)와, 각 바늘대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바늘대 지지체(40)와, 각 바늘대를 유지하는 바늘대 잡이(51)를 이용하여 각 바늘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바늘대 상하이동기구(50)와, 바늘대 잡이에 의한 각각의 바늘대의 유지를 선택적으로 유지상태와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클러치 기구(60)와, 클러치 기구에 의해 그 유지가 해제상태로 된 바늘대를 바늘대 지지체에 유지시키는 스토퍼 기구(70)를 구비하며, 각 바늘대에, 바늘대 잡이에 걸림고정되어 낙하를 정지시키는 낙하 방지용 걸림고정부(26)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NEEDLE BAR MECHANISM OF TWO-NEEDLE SEWING MACHINE}
도 1은 발명의 실시형태인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의 정면도로서, 2개의 바늘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사점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바늘대의 측면도, 도 2(B)는 바늘대의 정면도.
도 3은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의 정면도로서, 2개의 바늘이 유지된 상태에서 하사점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동작상태에 있어서의 한쪽 바늘대의 중심선을 통과하는 동시에 X-Z 평면을 따른 단면에 의한 바늘대 기구의 단면도.
도 5는 클러치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스토퍼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의 정면도로서, 한쪽 바늘대의 유지상태를 해제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동작상태에 있어서의 한쪽 바늘대의 중심선을 통과하는 동시에 X-Z 평면을 따른 단면에 의한 바늘대 기구의 단면도.
도 9는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의 정면도로서, 한쪽 바늘대의 유지상태를 해제하여 하사점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A)은 걸림고정부의 다른 예로서의 나사가 장비된 바늘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B)은 걸림고정부의 다른 예로서의 코터 핀이 장비된 바늘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C)은 걸림고정부의 다른 예로서의 스러스트 칼라가 장비된 바늘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D)은 걸림고정부의 다른 예로서의 단차부가 설치된 바늘대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 20 : 바늘대
21 : 제 1 걸림결합구멍 22 : 제 2 걸림결합구멍
26 : E 링(걸림고정부) 26A : 나사(걸림고정부)
26B : 코터 핀(cotter pin)(걸림고정부)
26C : 스러스트 칼라(thrust collar)(걸림고정부)
26D : 단차부(걸림고정부) 40 : 바늘대 지지프레임(바늘대 지지체)
50 : 바늘대 상하이동기구 51 : 바늘대 잡이
60 : 클러치 기구 61 : 클러치 부재
61a : 돌기 66 : 해제 핀
70 : 스토퍼 기구 71 : 스토퍼 부재
71a : 선단부 80 : 전환기구
81 : 전환부재 81a : 맞닿음 돌기
본 발명은 2개의 바늘대에 의해 병행하는 2개의 바늘 땀을 형성하는 동시에 한쪽 바늘대의 상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편침(片針) 정지기능을 구비한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에 있어서는, 제 1, 제 2의 걸림결합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바늘대와, 한 쌍의 바늘대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바늘대 지지체와, 한 쌍의 바늘대를 개별적으로 유지하는 바늘대 잡이를 이용하여 각 바늘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바늘대 상하이동기구와, 제 1 걸림결합구멍에 대해 선단을 삽입/이탈시키는 클러치 부재를 구비하여 바늘대 잡이에 의한 각 바늘대의 유지를 선택적으로 유지상태와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클러치 기구와, 선단을 제 2 걸림결합구멍에 대해 삽입/이탈시키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여 클러치 기구에 의해 바늘대 잡이에 대해 그 유지가 해제상태로 된 쪽의 바늘대를 바늘대 지지체에 유지시키는 스토퍼 기구를 구비한다(가령 특허문헌 1 참조).
2개의 바늘대는 각각 제 1 걸림결합구멍에 클러치 기구의 클러치 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바늘대 잡이와 함께 상하로 움직인다. 또한, 한쪽 바늘대의 상하 이동을 정지시키려면, 그 바늘대에 대하여, 클러치 부재를 후퇴시켜 해제상태로 하는 동시에 제 2 걸림결합구멍에 스토퍼 부재를 삽입한다. 이로써, 한쪽 바늘대는 바늘대 잡이로부터 해방되어 바늘대 지지체에 대하여 유지상태가 된다.
이러한 바늘대 기구를 구비한 쌍침 재봉틀은, 가령 바지의 주머니와 같이 봉제하여 부착하는 천의 엣지를 따라 이중으로 평행한 바늘 땀을 형성하는 경우에, 직선구간에서는 2개의 바늘을 동시에 상하로 움직여 봉제하고, 모서리부에서는 내측이 되는 바늘 땀의 바늘 수가 적어지도록, 내측의 재봉바늘의 상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봉제가 이루어졌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H1-300990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에 있어서는, 어떠한 바늘대에 대하여 상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경우나 정지상태로부터 상하이동을 재개하는 경우에, 스토퍼 기구 혹은 클러치 기구의 구조상의 이유로 인해 유지가 해제되어 바늘대를 낙하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바늘대가 낙하한 상태 혹은 낙하하여 피봉제물에 깊이 박힌 상태에서 봉제동작이 계속되면, 봉제물이나 재봉바늘 등 재봉틀의 구성물에 파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바늘대에 낙하가 발생하면, 상기 바늘대의 제 2 걸림결합구멍에 클러치 부재가 삽입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바늘대가 평상시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재봉바늘의 하방에 위치하는 봉제물이나 재봉틀의 구성물이 재봉바늘이나 바늘대에 부딪혀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늘대의 낙하가 없는 바늘대 기구로 함으로써, 봉제물이나 재봉틀 구조의 파손을 방지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한 쌍의 바늘대의 상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편침(片針) 정지기능을 구비한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로서, 재 봉바늘을 유지하는 한 쌍의 바늘대와, 한 쌍의 바늘대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바늘대 지지체와, 한 쌍의 바늘대를 개별적으로 유지하는 바늘대 잡이를 이용하여 각 바늘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바늘대 상하이동기구와, 바늘대 잡이에 의한 각 바늘대의 유지를 선택적으로 유지상태와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클러치 기구와, 클러치 기구에 의해 그 유지가 해제상태로 된 바늘대를 바늘대 지지체에 유지시키는 스토퍼 기구를 구비하고, 각 바늘대에, 바늘대 잡이에 걸림고정되어 낙하를 정지시키는 낙하 방지용 걸림고정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2개의 바늘대가 클러치 기구에 유지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바늘대 잡이와 함께 상하로 움직인다.
또, 한쪽의 바늘대만 상하로 이동시키려면, 다른 쪽 바늘대를, 클러치 기구로부터 해제상태로 하면서 스토퍼 기구에 의해 바늘대 지지체에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다른 쪽 바늘대는 상하이동이 규제되고, 한쪽 바늘대만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스토퍼 기구 또는 클러치 기구에서 바늘대의 유지가 잘못되는 경우에도, 걸림고정부에 의해 바늘대는 바늘대 잡이에 걸림고정되어 낙하가 방지된다. 또, 바늘대는 걸림고정부에 의해 바늘대 잡이 위에 걸림고정되므로 상기 바늘대 잡이와 함께 상하로 움직인다. 단, 바늘대 잡이는 바늘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바늘대 잡이에 대한 바늘대의 상방으로의 이동은 규제되지 않고, 바늘대 잡이의 하강동작에 따라 바늘대가 하강했을 경우에도, 재봉 바늘이 그 하방에 위치하는 피봉제물이나 재봉틀의 구성에 타격을 주는 일은 없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각 바늘대에, 클러치 기구가 걸림결합되는 제 1 걸림결합구멍과 스토퍼 기구가 걸림결합되는 제 2 걸림결합구멍을 형성하고, 걸림고정부를, 바늘대 잡이가 상사점(上死點)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2 걸림결합구멍에 스토퍼 기구를 걸림결합시킬 수 있는 배치 또는 제 1 걸림결합구멍에 클러치 기구를 걸림결합시킬 수 있는 배치로 각 바늘대에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늘대 잡이로부터 바늘대가 낙하하지 않도록 걸림고정부가 바늘대 잡이에 걸림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바늘대의 상방이동을 규제하지 않기 때문에, 바늘대 잡이가 상사점까지 상승하면, 관성력에 의해 바늘대만 더욱 상방까지 도약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바늘대가 도약함에 따라 제 2 걸림결합구멍이 스토퍼 기구에 도달하는 범위 또는 제 1 걸림결합구멍이 클러치 기구에 도달하는 범위에서 바늘대에 걸림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바늘대에 낙하가 발생한 경우에도, 바늘대 잡이가 상사점까지 이동하면, 바늘대를 상방으로 도약시켜 스토퍼 기구 또는 클러치 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회복시킨다.
한편, 「제 2 걸림결합구멍에 스토퍼 기구를 걸림결합시킬 수 있는 배치 또는 상기 제 1 걸림결합구멍에 클러치 기구를 걸림결합시킬 수 있는 배치」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늘대가 도약하는 것을 고려하는 배치와 고려하지 않는 배치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도약하는 것을 고려하는 경우, 걸림고정부가 바늘대 잡이에 대해 바늘대 를 걸어 고정하는 위치는, 클러치 기구보다도 바늘대의 도약거리 이하의 범위에서 제 1 걸림결합구멍이 하방이 되는 위치, 혹은 바늘대 잡이가 상사점에 위치할 때 스토퍼 기구보다 바늘대의 도약거리 이하의 범위에서 제 2 걸림결합구멍이 하방이 되는 위치가 된다.
또, 도약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걸림고정부가 바늘대 잡이에 대해 바늘대를 걸어 고정하는 위치는, 클러치 기구와 제 1 걸림결합구멍이 일치하는 위치, 혹은 바늘대 잡이가 상사점에 위치할 때 스토퍼 기구와 제 2 걸림결합구멍이 일치하는 위치가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스토퍼 기구를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바늘대 잡이보다도 상방에 배치하는 동시에, 걸림고정부를 제 1 걸림결합구멍과 제 2 걸림결합구멍의 사이의 위치에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스토퍼 기구가 상사점 위치의 바늘대 잡이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는 것은, 스토퍼 기구가 클러치 기구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바늘대의 제 2 걸림결합구멍은 제 1 걸림결합구멍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바늘대가 클러치 기구나 스토퍼 기구로부터 유지가 해제되어 낙하가 발생하면, 제 1 걸림결합구멍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제 2 걸림결합구멍이 클러치 기구에 걸림결합되어, 바늘대가 평상시보다 낮은 위치에서 바늘대 잡이에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걸림고정부를 제 1 걸림결합구멍과 제 2 걸림결합구멍의 사이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바늘대에 낙하가 발생하여도 바늘대 잡이에 대해 걸림고정부의 위치에서 제지되어, 바늘대의 제 2 걸림결합구멍이 바늘대 잡이까지 도달할 수 없다. 따라서, 클러치 기구가 제 2 걸림결합구멍에 걸림결합되는 일은 없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걸림고정부를 바늘대에 장비된 E 링으로 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바늘대가 클러치 기구 또는 스토퍼 기구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도, 바늘대에 설치된 E 링이 바늘대 잡이에 걸림고정되어 낙하가 방지된다.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체구성)
이하, 도 1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10)의 정면도, 도 2(A)는 바늘대(20)의 일부 생략 측면도, 도 2(B)는 정면도, 도 3은 바늘대가 하강할 때의 바늘대 기구(10)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바늘대 기구(10)는 쌍침 재봉틀의 도시되지 않은 아암부의 선단 내부에 설치되며, 2개의 재봉바늘(도시생략)을 각각 개별적으로 유지하는 한 쌍의 바늘대(20)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직 상하방향을 Z축 방향, 수평면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쌍침 재봉틀의 아암부의 길이방향을 Y축 방향, 도시되지 않은 바늘판의 판면에 평행하고 Y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한다. 또, X축 방향과 Y축 방향과 Z축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것으로 한다.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10)는, 각각 제 1 걸림결합구멍(21) 및 제 2 걸 림결합구멍(22)이 형성된 한 쌍의 바늘대(20)와, 각 바늘대(20)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바늘대 지지체로서의 바늘대 지지 프레임(40)과, 한 쌍의 바늘대(20)를 개별적으로 유지하는 바늘대 잡이(51)를 이용하여 각 바늘대(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바늘대 상하이동기구(50)와, 각 바늘대(20)의 제 1 걸림결합구멍(21)에 대해 선단을 삽입/이탈시키는 한 쌍의 클러치 부재(61)를 이용하여 바늘대 잡이(51)에 의한 각 바늘대(20)의 유지를 선택적으로 유지상태와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클러치 기구(60)와, 클러치 기구(60)에 의해 그 유지가 해제상태로 된 바늘대(20)의 제 2 걸림결합구멍(22)에 대해 선단을 삽입/이탈시키는 스토퍼 부재(71)를 이용하여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에 유지시키는 스토퍼 기구(70)와, 인위적인 입력조작에 의해 어떠한 바늘대(20)를 선택하여 클러치 기구(60)에서의 유지상태와 해제상태를 전환하는 전환기구(80)를 구비한다.
(바늘대)
각 바늘대(20)는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에 의해 통상적으로는 Z축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지지되며, 바늘을 요동시킬 경우에는,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을 통해 각 바늘대(20)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서 Y축 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요동동작이 부여된다. 이러한 요동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각 바늘대(20)는 그 상하단부가 각각 X축 방향을 따라 요동한다.
각 바늘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환봉의 둘레면의 일부에 평탄면(23)이 형성된 봉형상체이며, 그 하단부에서 도시되지 않은 재봉바늘을 유지한다.
바늘대(20)가 Z축 방향을 따라 지지된 상태에서 평탄면(23)은 Y-Z 평면을 따른 상태가 되도록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평탄면(23)의 면 위이면서 Z축 방향의 중간위치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홈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평탄면(23)의 평면 위이면서 홈부(24)의 하단부와 상단부의 근방에는, 상기 홈부(24)에 겹치도록, 제 1 걸림결합구멍(21)과 제 2 걸림결합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걸림결합구멍(21)은, 클러치 부재(61)의 선단부가 삽입가능하도록 그 선단형상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직사각형상은, 클러치 부재(61)의 선단부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에 대응되며, 직사각형상의 긴 변과 짧은 변의 길이가 각각 클러치 부재(61)의 대략 직사각형상 선단부의 가로 폭과 세로 폭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 2 걸림결합구멍(22)은, 제 1 걸림결합구멍(21)보다 상방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스토퍼 부재(71)의 선단부 형상에 대응하여,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이면서 측면에서 볼 때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부(24)의 내부에는, 상기 홈부(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동판(25)이 요동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요동판(25)은 제 1 걸림결합구멍(21)과 제 2 걸림결합구멍(22)의 중간위치에서 Y축 방향을 따른 지지축에 지지되어 있으며, 요동에 의해 그 양단부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즉, 요동판(25)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제 1 걸림결합구멍(21)과 제 2 걸림결합구멍(22)의 내부를 각 걸림 결합구멍(21,22)의 깊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요동판(25)은 그 일단부가 제 1 걸림결합구멍(21)의 깊은 부분(深部) 근방까지 밀려 들어가면, 타단부가 제 2 걸림결합구멍(22) 내에서 평탄면(23)까지 밀려나오고, 그 타단부가 제 2 걸림결합구멍(22)의 깊은부분 근방까지 밀려 들어가면, 일단부가 제 1 걸림결합구멍(21) 내에서 평탄면(23)까지 밀려나오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동일한 바늘대(20)에 대하여, 제 1 걸림결합구멍(21)에 클러치 부재(61)가 삽입되면, 이미 제 2 걸림결합구멍(22)에 삽입되어 있던 스토퍼 부재(71)가 요동판(25)에 의해 밀려나오고, 제 2 걸림결합구멍(22)에 스토퍼 부재(71)가 삽입되면, 이미 제 1 걸림결합구멍(21)에 삽입되어 있던 클러치 부재(61)가 요동판(25)에 의해 밀려나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늘대(20)는, 상하로 움직일 때는 그 제 1 걸림결합구멍(21)에 의해 클러치 기구(60)와 걸림결합하여 바늘대 잡이(51)에 유지된다. 한편, 한쪽 바늘로 봉제하기 위하여 상하이동이 제지될 때에는 클러치 기구(60)가 해제되는 동시에 제 2 걸림결합구멍(22)에 의해 스토퍼 기구(70)와 걸림결합하여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각 바늘대(20)는 통상적으로는 클러치 기구(60) 또는 스토퍼 기구(70) 중 어느 것에 의해 유지되게 되는데, 각 걸림결합구멍에 대한 결합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클러치 기구(60) 또는 스토퍼 기구(70)로부터 탈락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바늘대(20)에는, 바늘대 잡이(51)에 걸림고정되어 낙하를 정지시키는 낙하방지용 걸림고정부로서 E 링(26)이 제 1 걸림결합구멍(21)과 제 2 걸림결합구멍(22)의 사이에 장비되어 있다. 즉, 상기 E 링(26)은, 그 외부지름이 바늘대(20) 전체의 외부지름보다 큰 것이 사용되며, 이에 따라 바늘대(20)의 외주로 돌출하여 바늘대 잡이(51)의 삽입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바늘대 잡이(51)의 상단부에 맞닿아 바늘대(20)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E 링(26)은 바늘대(20)의 길이방향에서의 배치가, 제 1 걸림결합구멍(21)에 클러치 기구(60)가 걸림결합된 경우의 바늘대 잡이(51)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약간 간격을 둔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E 링(26)의 배치는, 제 2 걸림결합구멍(22)에 스토퍼 기구(70)가 걸림결합된 경우로서 상사점 위치에 있는 바늘대 잡이(51)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약간 간격을 둔 위치이기도 하다(도 4 참조).
E 링(26)을 상기와 같이 배치하였을 경우, 탈락이 일어난 바늘대(20)는 간격만큼 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그 E 링(26)이 바늘대 잡이(51)의 상단부에 접한 상태에서 바늘대 잡이(51)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바늘대 잡이(51)가 상사점까지 이동하면, 관성력에 의해 바늘대(20)가 상승하여 제 1 걸림결합구멍(21)이 클러치 기구(60)에 걸림결합하거나 혹은, 제 2 걸림결합구멍이 스토퍼 기구(70)에 걸림결합한다. 따라서, 바늘대는 탈락상태로부터의 복귀가 도모된다.
또한, 상기 E 링(26)과 바늘대 잡이(51)의 상단부와의 간격은, 일반적인 봉 제속도에서 바늘대 잡이(51)에 대해 자유로운 상태의 바늘대(20)가 상사점 위치에서 도약하는 거리의 범위라면 보다 크게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또, E 링(26)의 배치는, 제 1 걸림결합구멍(21)에 클러치 기구(60)가 걸림결합한 경우의 바늘대 잡이(51)의 상단부에 정확히 접하는 위치로 하거나, 혹은 제 2 걸림결합구멍(22)에 스토퍼 기구(70)가 걸림결합한 경우로서 상사점 위치에 있는 바늘대 잡이(51)의 상단부에 정확히 접하는 위치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사점 위치에서의 바늘대(20)의 도약을 기다릴 것도 없이 유지상태의 복귀가 도모된다.
(바늘대 지지 프레임)
도 4는 바늘대 기구(10)의, 한쪽 바늘대(20)의 중심선을 통과하는 동시에 X-Z 평면을 따른 단면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은, 그 상부와 하부에 바늘대(20)를 Y축 방향으로 2개가 나란하도록 삽입통과시키는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에 의해 각 바늘대(20)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한다.
바늘대 지지 프레임(40) 하부에서의 바늘대(20)의 지지부 근방에는, 윤활유 혹은 그리스 등이 공급되는 부직포 혹은 우레탄과 같은 공급부재(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부재(41)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각 바늘대(20)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윤활유 혹은 그리스가 각 바늘대(20)와 바늘대 지지 프레임(40)과의 슬라이딩 이동부에 공급되어 상하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또한, 바늘대 지지 프레임(40) 상부에서의 바늘대(20)의 지지부 근방에는 스 토퍼 기구(70)가 설치되어 있고,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의 스토퍼 기구(70)의 바로 아래쪽에는 전환기구(80)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기구(70) 및 전환기구(8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더욱이,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에 지지된 바늘대(20)의 근방에는, 각 바늘대(20)에 대하여 상하이동의 구동력을 부여하는 링크체(54)의 일단부에 설치된 각진 칩(55)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의 Y축 방향 일단부에서의 상하방향 중간위치에, 바늘 요동의 요동구동력을 부여하는 요동축(43)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요동축(43)은, Y축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재봉틀 프레임에 지지되며, 바늘대(20)의 상하이동과 동기하여 요동하는 요동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또, 요동기구는, 주지의 구성에 의해 그 요동각도범위를 0에서 소정의 각도범위까지 조절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 바늘대(20)에 유지된 재봉바늘을 X축 방향을 따라 임의의 요동폭으로 요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바늘을 요동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각 바늘대(20)가 Z축 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도록, 바늘을 요동시키는 요동기구가 조정되어 있다.
(바늘대 상하이동기구)
바늘대 상하이동기구(5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60)를 통해 각 바늘대(20)를 지지하는 바늘대 잡이(51)와, 각 바늘대(20)의 상하이동 구동원인 재봉틀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재봉틀 주축(52)과, 재봉틀 주축(52)의 일단부에 고정 장비된 회전추(53)와, 회전추(53)와 바늘대 잡이(51)의 사이 를 연결하는 링크체(54)와, 링크체(54)의 바늘대 잡이쪽의 단부를 Z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각진 칩(55)를 구비한다.
바늘대 잡이(51)는, 2개의 바늘대(20)를 평행하게 각각 삽입통과시키는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각 삽입통과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바늘대(20)에 대하여 클러치 기구(60)에 의해 유지가 이루어진다.
재봉틀 주축(52)은 Y축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재봉틀 프레임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재봉틀 주축(52)의 일단부는 재봉틀 모터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원판형상의 회전추(53)의 회전중심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링크체(54)는 그 일단부가 회전추(53)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Y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바늘대 잡이(51)에 대하여 Y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링크체(54)의 타단부에 설치된 각진 칩(55)는,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의 가이드 홈(42)에 의해 Z축 방향(지지되어 있는 바늘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링크체(54)의 일단부는 회전추(53)와 함께 주회(周回)운동을 하지만, 링크체(54)의 타단부에서는 상하이동만 하며, 그 결과, 바늘대 잡이(51)를 통해 각 바늘대(20)에 상하 구동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
클러치 기구(60)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대 잡이(51)의 정면으로부터 각 삽입통과구멍까지 관통한 원형의 지지구멍(57)에 삽입되는 2개의 클 러치 부재(61)와, 각 클러치 부재(61)를 각각 개별적으로 진퇴 이동시키는 2개의 종동링크(62)와, 각 종동링크(62)를 통해 각 클러치 부재(61)에 대하여 전진방향의 이동력을 개별적으로 부여하는 2개의 가압 스프링(63)과, 각 클러치 부재(61)를 후퇴한 상태(퇴피위치)에서 각각 걸어 고정하는 2개의 걸림고정 크로우(64)와, 각 걸림고정 크로우(64)가 걸림고정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2개의 가압 스프링(65)과, 각 걸림고정 크로우(64)에 의한 걸림고정을 해제하는 조작을 외부로부터 입력할 수 있는 해제 핀(66)을 구비한다.
바늘대 잡이(51)의 2개의 지지구멍(57)은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대략 원기둥형상의 클러치 부재(61)를 X축 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도 5는 클러치 부재(61)의 사시도이다. 각 클러치 부재(61)는 그 선단부(바늘대(20)쪽의 단부)에, 선단면의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상인 돌기(6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61a)의 선단형상 및 그 크기가 바늘대(20)의 제 1 걸림결합구멍(21)의 형상과 거의 일치하며, 클러치 부재(61)의 전진이동(바늘대(20)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 1 걸림결합구멍(21)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각 클러치 부재(61)의 돌기의 선단면(61b)은 약간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제 1 걸림결합구멍(21)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부재(61)의 돌기(61a)를 제 1 걸림결합구멍(21)에 삽입하면, 바늘대 잡이(51)에 대하여 바늘대(20)를 유지한 상태가 되어, 바늘대 잡이(51)와 함께 바늘대(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러치 부재(61)의 돌기 (61a)가 제 1 걸림결합구멍(21)에 삽입되면, 바늘대(20)의 홈부(24)내에 설치된 요동판(25)의 하단부가 가압되어, 상기 하단부가 후퇴이동하는 동시에 상단부가 전진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각 클러치 부재(61)의 돌기(61a)의 하부에는 걸림고정 크로우(64)의 선단부가 걸림고정되는 노치부(61c; notch)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노치부(61c)는 클러치 부재(61)가 소정의 후퇴위치(그 선단부의 돌기(61a)가 바늘대(20)의 제 1 걸림결합구멍(21)에 도달하지 않는 위치)까지 후퇴한 상태에서 비로소 걸림고정 크로우(64)가 걸림고정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각 종동링크(62)는 그 중간에서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굴곡 중간부에서 바늘대 잡이(51)에 요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종동링크(62)의 일단부는 클러치 부재(6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가압 스프링(63)에 항상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 스프링(63)은 종동링크(62)가 클러치 부재(61)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가압한다.
또한, 각 종동링크(62)는 그 타단부에 대하여 가압 스프링(63)이 하방으로부터 가압하고 있지만, 클러치 부재(61)를 후퇴시키는 경우에는, 바늘대 잡이(51)의 상방 이동에 의해 종동링크(62)의 타단부에 대하여 후술하는 전환기구(80)의 전환부재(81)의 맞닿음 돌기(81a)가 상방으로부터 맞닿아, 가압 스프링(63)에 대항하여 밀어내려 요동시킴으로써 클러치 부재(61)를 후퇴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걸림고정 크로우(64)는, 바늘대 잡이(51)에 의해 클러치 부재(61)의 하방에서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각 걸림고정 크로우(64)는, 그 요 동단부가 상하로 요동할 수 있는 동시에, 상방으로 요동함에 따라 크로우 선단부가 후퇴위치에 있는 클러치 부재(61)의 노치부(61c)에 진입하여, 전진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각 가압 스프링(65)은 하방으로부터 각 걸림고정 크로우(64)를 항상 상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걸림고정 크로우(64)는 그 크로우 선단부가 클러치 부재(61)쪽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 부재(61)가 후퇴하여 노치부(61c)가 크로우 위치까지 오면 크로우 선단부가 빨리 삽입된다.
해제 핀(66)은, 바늘대 잡이(51)의 상단부로부터 각 클러치 부재(61)의 사이를 통과하여 각 걸림고정 크로우(64)에 도달하기까지 상하로 바늘대 잡이(51)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해제 핀(66)의 하단부는 각 걸림고정 크로우(64)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맞닿음부에 대하여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해제 핀(66) 하단면의 반 정도되는 영역이 한쪽 걸림고정 크로우(64)의 맞닿음부에 맞닿고, 나머지 반 정도의 영역이 다른 쪽 걸림고정 크로우(64)의 맞닿음부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해제 핀(66)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항상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가 바늘대 잡이(51)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해제 핀(66)의 상단부는 바늘대 잡이(51)의 상방이동에 의해 후술하는 전환기구(80)의 전환부재(81)의 맞닿음 돌기(81a)가 상방으로부터 맞닿음에 따라 하방으로 가압되어, 걸림고정상태의 걸림고정 크로우(64)의 선단부를 하방으로 밀어내려 걸림고정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전환기구)
전환기구(80)는 바늘대 잡이(51)의 상사점보다 약간 상방이 되는 위치에서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82)와, 가이드 홈부(82)를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전환부재(81)와, 전환부재(81)가 가이드 홈부(8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름커버(83)를 구비한다.
가이드 홈부(82)는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의 상부에서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방향을 따라 전환부재(81)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전환부재(81)는 그 전체가 대략 각진 기둥형상이며, 그 일단부에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맞닿음 돌기(81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타단부는 재봉틀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조작입력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전환부재(81)는 맞닿음 돌기(81a)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가이드 홈부(82)에 지지된다. 그리고, 전환부재(81)의 Y축 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바늘대 잡이(51)가 상사점에 도달할 때 클러치 기구(60)의 한쪽 종동링크(62), 다른 쪽 종동링크(62) 또는 해제 핀(66) 중 어느 것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로 맞닿음 돌기(81a)를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맞닿음 돌기(81a)의 전환은, 재봉틀 프레임의 외부로부터 상술한 조작입력수단에 대한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수행된다. 또, 상기 맞닿음 돌기(81a)는, 상사점 위치까지 상승한 바늘대 잡이(51)의 각 종동링크(62,62) 및 해제 핀(66)에 대하여, 각각의 해제동작에 필요한 스트로크만큼 하방으로 밀어 내릴 수 있는 돌출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스토퍼 기구)
스토퍼 기구(70)는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의 상단부에 있어서 상기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의 정면으로부터 바늘대(20)의 삽입통과구멍까지 관통한 2개의 원형 관통구멍을 갖는 지지부(72)와, 각 지지부(72)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2개의 스토퍼 부재(71)와, 각 스토퍼 부재(71)에 각각 개별적으로 전진방향(바늘대(20)쪽)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2개의 가압 스프링(73)과, 각 가압 스프링(73)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부(72)의 관통구멍을 덮어 막는 커버체(74)를 구비한다.
지지부(72)의 각 관통구멍은 모두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대략 원기둥형상의 스토퍼 부재(71)를 X축 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도 6은 스토퍼 부재(71)의 사시도이다. 각 스토퍼 부재(71)는 그 선단부(71a ; 바늘대(20)쪽의 단부)가 X축 방향에서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이고, Y축 방향에서 측면에서 볼 때 선단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단부(71a)의 형상은 상술한 제 2 걸림결합구멍(22)의 형상과 대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71)는 그 후방으로부터 가압 스프링(73)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압에 의해 스토퍼 부재(71)의 선단부(71a)가 제 2 걸림결합구멍(22)에 삽입되면,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에 대하여 바늘대(20)의 상하이동이 제지된 상태가 된다.
단, 각 스토퍼 부재(71)에 대한 가압 스프링(73)의 가압력에 의해 요동판(25)을 요동시키는 힘은, 가압 스프링(65)이 종동링크(62)를 통해 클러치 부재(61)에 부여하는 가압력에 의해 요동판(25)을 요동시키는 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 부재(61)의 돌기(61a)와 스토퍼 부재(71)의 선단부(71a)를
각각 제 1 걸림결합구멍(21)과 제 2 걸림결합구멍(22)에 삽입하려고 하면, 클러치 부재(61)의 돌기(61a)가 제 1 걸림결합구멍(21)에 진입하고, 스토퍼 부재(71)의 선단부(71a)는 밀려 제 2 걸림결합구멍(22)에는 진입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 부재(71)의 선단부(71a)가 제 2 걸림결합구멍(22)에 삽입되면, 바늘대(20)의 홈부(24) 내에 설치된 요동판(25)의 상단부가 가압되어, 상기 상단부를 전진이동시키는 동시에 하단부를 후퇴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바늘대 잡이(51)가 상사점에 있을 때 클러치 기구(60)의 클러치 부재(61)로부터 스토퍼 기구(70)의 스토퍼 부재(71)까지의 Z축 방향에서의 거리는, 바늘대(20)의 제 1 걸림결합구멍(21)으로부터 제 2 걸림결합구멍(22)까지의 거리와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바늘대 잡이(51)가 상사점 위치에 있을 때, 바늘대(20)를 스토퍼 기구(70)에 의한 유지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유지상태의 바늘대(20)를 클러치 기구(60)에 걸림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의 동작에 대한 설명)
도 1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도 9는 각각 바늘대 기구(10)의 동작 설명도이고, 도 8은 도 7의 동작상태에서 한쪽 바늘대(20)의 중심선을 통과하는 단면에 의한 바늘대 기구(10)의 단면도이다.
도 1은 각 바늘대(20)가 모두 상사점 위치에 있는 바늘대 잡이(51)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며 여기서부터 동작에 대한 설명을 시작한다.
재봉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바늘대 상하이동기구(50)의 재봉틀 주축(52), 회전추(53) 및 링크체(54)를 통해 바늘대 잡이(51)에 하강 이동력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바늘대 잡이(51)는 2개의 바늘대(20)와 함께 하사점(下死點)까지 이동한다(도 3의 상태).
그리고, 한쪽 바늘대(20, 여기서는 좌측 바늘대(20)를 예로 설명한다)에 대하여 상하이동을 정지시킬 경우에는, 바늘대 잡이(51)가 하강을 통해 다시 상사점으로 복귀하는 동안에, 재봉틀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조작입력수단을 조작하여 전환부재(81)의 맞닿음 돌기(81a)를 좌측의 종동링크(62)의 상방위치에 맞춘다.
재봉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다시 바늘대 잡이(51)가 상사점까지 이동하면, 전환부재(81)의 맞닿음 돌기(81a)가 좌측의 종동링크(62)를 하방으로 가압한다(도 7 및 도 8의 상태).
이로써, 좌측의 종동링크(62)는 가압 스프링(63)에 대항하여 클러치 부재(61)를 후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클러치 부재(61)의 하방에 있는 걸림고정 크로우(64)의 선단부가 가압 스프링(65)에 의해 가압되어 노치부 내에 진입하여 클러치 부재(61)를 전진하지 않도록 걸어 고정한다.
더욱이, 클러치 부재(61)가 후퇴이동함에 따라, 제 1 걸림결합구멍(21)으로부터 빠져나와 좌측 바늘대(20)의 홈부(24) 내부의 요동판(25)의 하단부가 가압상태로부터 해방되고, 상단부에 가압접촉되어 있던 스토퍼 부재(71)의 선단부가 제 2 걸림결합구멍 내에 진입한다. 이에 따라, 좌측의 바늘대(20)는 그 상사점 위치에 서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에 유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바늘대 잡이(51)가 하강이동하면, 우측의 바늘대(20)만 바늘대 잡이(51)와 함께 하강하고, 좌측의 바늘대(20)는 상사점 위치에 남는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바늘대(20)를 상하이동시키려면, 바늘대 잡이(51)의 하강개시로부터 상사점으로 복귀할 때까지의 동안에, 재봉틀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조작입력수단을 조작하여 전환부재(81)의 맞닿음 돌기(81a)를 해제 핀(66)의 상방 위치에 맞춘다.
재봉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다시 바늘대 잡이(51)가 상사점까지 이동하면, 전환부재(81)의 맞닿음 돌기(81a)가 해제 핀(66)을 하방으로 가압한다(도 1 및 도 4의 상태).
이에 따라, 해제 핀(66)은 그 하단부가 좌측의 걸림고정 크로우(64)의 맞닿음부를 가압하고, 가압 스프링(65)에 대항하여 걸림고정 크로우(64)의 선단부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걸림고정 크로우(64)는 클러치 부재(61)의 노치부(61c)에 대한 걸림고정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클러치 부재(61)는 가압 스프링(63)에 의해 가압되어 전진이동한다. 그리고, 클러치 부재(61)는 바늘대 지지 프레임(40)에 유지된 바늘대(20)의 제 1 걸림결합구멍(21)으로 진입하여 요동판(25)의 하단부를 가압하고, 상단부를 가압하던 스토퍼 부재(71)를 밀어 제 2 걸림결합구멍(22)의 외부로 내보낸다.
이로써, 상기 바늘대(20)는 스토퍼 부재(71)에 의해 유지되던 상태가 해제되 고, 바늘대 잡이(51)에 유지된 상태가 되어 다시 상하이동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동작의 과정에서, 바늘대(20)를 클러치 기구(60) 또는 스토퍼 기구(70)에 의해 유지시킬 부분이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유지되지 못하여, 바늘대(20)의 낙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바늘대(20)의 낙하에 의해 E 링(26)이 바늘대 잡이(51)의 상단부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즉, 바늘대(20)는 미리 설정된 E 링(26)과 바늘대 잡이(51)의 상단부와의 간격거리만큼 낙하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바늘대 잡이(51)가 상단부로 상방이동하면, 바늘대(20)는 관성력에 의해 바늘대 잡이(51)에 대하여 상방으로 도약하여, 제 1 걸림결합구멍(21)에 대해 클러치 부재(61)가 삽입가능한 배치 또는 제 2 걸림결합구멍(22)에 대해 스토퍼 부재(71)가 삽입가능한 배치가 된다. 따라서, 바늘대(20)는 탈락상태로부터 클러치 기구(60) 또는 스토퍼 기구(70)에 의한 유지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실시형태의 효과)
상술한 바늘대 기구(10)는 각 바늘대(20)가 걸림고정부로서의 E 링(26)을 구비하기 때문에, 바늘대(20)가 스토퍼 기구(70) 또는 클러치 기구(60)로부터 유지가 해제되어도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E 링(26)은, 클러치 기구(60)가 제 1 걸림결합구멍(21)에 걸림결합되는 경우의 바늘대 잡이(51)의 상단부보다 간격을 두고 약간 상방에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스토퍼 기구(70)가 제 2 걸림결합구멍(22)에 걸림결합되는 경우에 상사점 위치에 있는 바늘대 잡이(51)의 상단부보다 간격을 두고 약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탈락 후의 바늘대(20)는 바늘대 잡이(51)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 고, 또 그 상사점 위치에서 바늘대(20)는 관성력에 의해 도약하기 때문에, 제 1 걸림결합구멍(21) 또는 제 2 걸림결합구멍(22)을 클러치 기구(60) 또는 스토퍼 기구(70)의 유지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해 유지됨에 따라 바늘대(20)의 유지상태를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바늘대(20)의 유지가 해제된 경우에도, 봉제작업을 중단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복귀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더욱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E 링(26)은 바늘대(20)의 제 1 걸림결합구멍(21)과 제 2 걸림결합구멍(2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늘대(20)에 낙하가 발생하여도, E 링(26)에 의해 제 2 걸림결합구멍(22)이 클러치 기구(60)까지 하강하기 직전에 제지된다. 이 때문에, 클러치 기구(60)가 제 2 걸림결합구멍(22)에 걸림결합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바늘대(20)가 평상시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상하이동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재봉바늘, 바늘대(20) 또는 그 하방에 위치하는 봉제물이나 재봉틀의 구성물이 파손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바늘대(20)의 걸림고정부로서 범용성, 유통성이 높은 E 링(26)을 이용하기 때문에, 장치의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E 링(26)이라면 부착이나 조달이 용이하다는 점에서도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되며, 더욱이 기존의 바늘대 기구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자원의 절약 및 재생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단, 걸림고정부는, 적어도 바늘대(20)가 바늘대 잡이(51)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다면 다른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도 10은 걸림고정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A)은 E 링(26)과 동일한 위치에서 바늘대(20)에 설치된 나사(26A)이다. 도 10(B)은 E 링(26)과 동일한 위치에서 바늘대(20)에 설치된 코터 핀(cotter pin ; 26B)이다. 도 10(C)은 E 링(26)과 동일한 위치에서 바늘대(20)에 설치된 링인 스러스트 칼라(thrust collar ; 26C)이다. 도 10(D)은 E 링(26)과 동일한 위치에서 바늘대(20)에 설치된 단차부(26D)이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E 링(26)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거둔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바늘대(20)를 바늘대 요동기구의 바늘대 요동대(바늘대 지지 프레임(40))에 지지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바늘을 요동시킬 필요는 없고, 바늘대 지지체는 바늘대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한다면, 예컨대 재봉틀 프레임에 고정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각 바늘대가 걸림고정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바늘대가 스토퍼 기구 또는 클러치 기구로부터 유지가 해제되어도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걸림고정부는 바늘대 잡이에 대한 바늘대의 하강을 방지하는 동시에 바늘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규제되지 않기 때문에, 바늘대 잡이의 상승시에 바늘대를 보다 상방으로 송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클러치 기구 또는 스토퍼 기구에 의한 재유지의 가능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걸림고정부를, 바늘대 잡이가 상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2 걸림결합구멍에 스토퍼 기구를 걸림결합시킬 수 있는 배치 또는 제 1 걸림결합구멍에 클러치 기구를 걸림결합시킬 수 있는 배치로 각 바늘대에 설치하기 때문에, 바늘대가 클러치 기구 또는 스토퍼 기구로부터 유지가 해제된 경우에도, 그 후에 바늘대 잡이가 상사점까지 상승했을 때 바늘대가 클러치 기구 또는 스토퍼 기구에 의해 유지가능한 위치까지 움직여, 클러치 기구 또는 스토퍼 기구에 의한 재유지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바늘대의 유지가 해제된 경우에도, 봉제작업을 중단할 필요가 없어져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복귀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더욱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걸림고정부가 바늘대의 제 1 걸림결합구멍과 제 2 걸림결합구멍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늘대에 낙하가 발생하여도, 걸림고정부에 의해 제 2 걸림결합구멍이 바늘대 잡이에 도달하기 직전에 바늘대의 낙하를 제지한다. 이 때문에, 클러치 기구가 제 2 걸림결합구멍에 걸림결합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바늘대가 평상시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상하이동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재봉바늘, 바늘대 또는 그 하방에 위치하는 봉제물이나 재봉틀의 구성물이 파손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걸림고정부로서 범용성, 유통성이 높은 E 링을 이용하기 때문에, 장치의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E 링이라면 부착이 용이하다는 점에서도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되며, 더욱이 기존의 바늘대 기구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자원의 절약 및 재생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한 쌍의 바늘대의 상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편침(片針) 정지기능을 구비한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로서,
    재봉바늘을 유지하는 한 쌍의 바늘대와,
    상기 한 쌍의 바늘대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바늘대 지지체와,
    상기 한 쌍의 바늘대를 개별적으로 유지하는 바늘대 잡이를 이용하여 상기 각 바늘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바늘대 상하이동기구와,
    상기 바늘대 잡이에 의한 각 바늘대의 유지를 선택적으로 유지상태와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클러치 기구와,
    상기 클러치 기구에 의해 그 유지가 해제상태로 된 바늘대를 상기 바늘대 지지체에 유지시키는 스토퍼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각 바늘대 외주로 돌출하며, 상기 바늘대 잡이에 걸림고정되어 낙하를 정지시키는 낙하 방지용 걸림고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바늘대에, 상기 클러치 기구가 걸림결합되는 제 1 걸림결합구멍과 상기 스토퍼 기구가 걸림결합되는 제 2 걸림결합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고정부를, 상기 바늘대 잡이가 상사점(上死點)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걸림결합구멍에 스토퍼 기구를 걸림결합시킬 수 있는 배치 또는 상기 제 1 걸림결합구멍에 클러치 기구를 걸림결합시킬 수 있는 배치로 상기 각 바늘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기구를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상기 바늘대 잡이보다도 상방에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고정부를 상기 제 1 걸림결합구멍과 제 2 걸림결합구멍 사이의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부는 상기 바늘대에 장비된 E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
KR1020050087713A 2004-09-22 2005-09-21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 KR101138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75335A JP4722440B2 (ja) 2004-09-22 2004-09-22 二本針ミシンの針棒機構
JPJP-P-2004-00275335 2004-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482A KR20060051482A (ko) 2006-05-19
KR101138601B1 true KR101138601B1 (ko) 2012-05-11

Family

ID=3620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713A KR101138601B1 (ko) 2004-09-22 2005-09-21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722440B2 (ko)
KR (1) KR101138601B1 (ko)
CN (1) CN1752322B (ko)
DE (1) DE102005045277B4 (ko)
TW (1) TWI3444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44756B (zh) * 2006-07-28 2012-07-04 陈展新 绣花机轮架驱动离合器
CN101165257B (zh) * 2006-10-16 2012-06-27 陈桢铭 一种绣花机及工业缝纫机转轴机械离合器
CN101195950B (zh) * 2006-12-07 2011-09-14 杨弟心 一种滑动针杆
JP2009050634A (ja) * 2007-08-29 2009-03-12 Juki Corp ミシン
JP2009213626A (ja) * 2008-03-10 2009-09-24 Juki Corp ミシンの片針切換え装置
KR101040666B1 (ko) * 2008-09-05 2011-06-13 주식회사 썬스타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JP5859248B2 (ja) * 2011-08-31 2016-02-10 Juki株式会社 二本針ミシン
CN102409489B (zh) * 2011-09-14 2013-06-05 新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双针缝纫机的针杆及其切换机构
CN102704209A (zh) * 2012-06-19 2012-10-03 浙江中森缝纫机有限公司 单旋梭双针杆电脑花样机的杆架部件
CN103526463B (zh) * 2013-09-26 2015-07-08 宁波市鄞州高桥华盛机械电器厂 固定针位双针高速针杆离合器及其运动方法
JP7039889B2 (ja) * 2017-08-31 2022-03-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0990A (ja) * 1988-05-30 1989-12-05 Brother Ind Ltd 糸切り制御装置を備えた2本針角縫いミシン
KR19980061497U (ko) * 1997-03-26 1998-11-05 이상재 재봉기의 바늘 승,하강 제어장치
KR20030042943A (ko) * 2001-11-26 2003-06-02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재봉기의 바늘대 낙하 방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35907C (de) 1930-05-22 1931-10-16 Union Special Maschinenfab Zweinadelnaehmaschine mit ausrueckbarer Nadelstange
US2854936A (en) 1953-09-14 1958-10-07 Duerkoppwerke Lock-stitch sewing machines
CH326921A (de) * 1954-03-29 1958-01-15 Pfaff Ag G M Zweinadelnähmaschine mit abschaltbaren Nadelstangen
DE955023C (de) 1955-08-25 1956-12-27 Duerkoppwerke Ag Mehrnadelnaehmaschine, insbesondere Zweindelnaehmaschine, mit einer Einrichtung zum wahlweisen Ein- und Ausschalten der Nadelstangen
CH380506A (it) 1959-06-25 1964-07-31 Necchi Spa Meccanismo d'azionamento delle due barre porta aghi in una macchina per cucire a due aghi
DE1485139A1 (de) 1963-06-01 1969-05-22 Elitex Sdruzeni Podniku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Ein- und Abschaltmechanismus des Nadelstangenantriebes bei Doppelnaehmaschinen
US3913508A (en) 1974-12-12 1975-10-21 Special Sewing Systems Inc Two-needle pneumatic disengaging mechanism
JPS5185862A (ja) * 1975-01-24 1976-07-27 Nichiden Varian Kk Soshokuhin
DE2541359C2 (de) 1975-09-17 1984-02-02 Maschinenfabrik Carl Zangs Ag, 4150 Krefeld Stickmaschine
DE2927142C2 (de) 1979-07-05 1984-06-28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Mehrkopfstickmaschine
DE2938894C2 (de) 1979-09-26 1981-10-01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lautern Stickmaschine
JPS60155480U (ja) 1984-03-22 1985-10-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ミシンの針棒変換装置
JP3421206B2 (ja) 1996-11-20 2003-06-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針棒停止装置
JP3744892B2 (ja) * 2002-12-02 2006-02-15 ハッピ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用ジャンプ縫い機構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0990A (ja) * 1988-05-30 1989-12-05 Brother Ind Ltd 糸切り制御装置を備えた2本針角縫いミシン
KR19980061497U (ko) * 1997-03-26 1998-11-05 이상재 재봉기의 바늘 승,하강 제어장치
KR20030042943A (ko) * 2001-11-26 2003-06-02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재봉기의 바늘대 낙하 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45277A1 (de) 2006-05-04
JP4722440B2 (ja) 2011-07-13
TW200615416A (en) 2006-05-16
TWI344493B (en) 2011-07-01
KR20060051482A (ko) 2006-05-19
JP2006087585A (ja) 2006-04-06
CN1752322A (zh) 2006-03-29
CN1752322B (zh) 2011-11-02
DE102005045277B4 (de)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601B1 (ko) 쌍침 재봉틀의 바늘대 기구
US8020502B2 (en) Thread cutting device of sewing machine
KR20080045071A (ko) 재봉기
JP5160760B2 (ja) 端糸挿入装置
JP2009219780A (ja) 二本針ミシン
JP2009119048A (ja) 片針切り替え装置
JPS6037210B2 (ja) 刺しゆう機械用の糸交換装置
JP2009095503A (ja) ミシン用の布押え具及びミシン
KR101364557B1 (ko) 환봉 재봉기의 재봉땀 건너뜀 장치
EP2241662B1 (en) Thread cutt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KR100989741B1 (ko) 단추 구멍 사뜨기 재봉틀
JP4022707B2 (ja) ミシンのルーパ引出し装置
JP2022175479A (ja) 上飾り機構及びミシン
US7568441B2 (en) Embroidery unit attachable to sewing machine bed
JP2006087578A (ja) 二本針ミシンの針棒機構
CN108251974B (zh) 高头柱型的多针缝纫机
JP2009268724A (ja) ミシンの立振りルーパー引出し装置
JP2009050634A (ja) ミシン
JP3542162B2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
JPH10225584A (ja) ミシン
JP2008220821A (ja) ボタン付けミシン
KR20030018236A (ko) 미싱의 실 절단 장치
JPS5892391A (ja) ミシンの針受け装置
JP2006110115A (ja) 二本針ミシンの針棒機構
JP3667420B2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