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402B1 - 음식물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402B1
KR101138402B1 KR1020090067473A KR20090067473A KR101138402B1 KR 101138402 B1 KR101138402 B1 KR 101138402B1 KR 1020090067473 A KR1020090067473 A KR 1020090067473A KR 20090067473 A KR20090067473 A KR 20090067473A KR 101138402 B1 KR101138402 B1 KR 101138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unit
value
storage devic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989A (ko
Inventor
공준상
강윤호
Original Assignee
강윤호
공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호, 공준상 filed Critical 강윤호
Priority to KR1020090067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4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규격화된 음식물의 단위 중량를 확인하여 그 값을 기초로 음식물을 자동주문하는 음식물 보관 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된 음식물을 수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의 총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음식물 한 개의 중량 또는 음식물의 보관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측정수단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면부; 상기 측정수단로부터 측정된 총중량에 따라 음식물의 개수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음식물 보관 장치는 비규격화된 음식물에 대해서 그것의 개별 용량을 측정 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셋팅하여 단위 중량 값을 산출하여 그 값을 기준으로 식당의 보관함상의 비규격화된 음식물이 항상 부족하지 않은 상태로써 유지될 수 있어 자동주문장치를 폭넓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그 보관 온도를 사용자가 직접 조정할 수 있어 음식물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관장치, 경보, 부족, 인터넷, 자동 주문, 온도 조절, 로드 셀

Description

음식물 보관 장치.{APPARATUS FOR KEEPING FOOD}
본 발명은 각종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규격화된 음식물에 대해서 그것의 개별 용량을 측정 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셋팅하여 단위 중량 값을 산출하여 그 값을 기준으로 식당의 보관함상의 비규격화된 음식물이 항상 부족하지 않은 상태로써 유지될 수 있는 음식물 자동 주문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종래에는 음식물의 관리를 위해 보관함 내에 보관되는 각종 음식물에 대한 종류, 수량 등을 직접 확인한 후 수작업으로 기록함으로써 이의 관리를 수행하였다.
이에 상기 음식물에 대한 현황 파악을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 문제점이 있었음과 더불어 이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터넷 냉장고와 같이 식품의 현재 보관량을 감지하고, 식품의 보관량이 최소 요구량 미만일 때 해당 식품의 주문 요청 신호 또는 주문 실행 신호를 출력하는 식품 용기에 따라 동작 되는 인터넷 냉장고의 식품 자동 주문 시스템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상기 인터넷 냉장고는 중량, 보관용기의 중량 및 취급 온도등이 규격화된 음식물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을 뿐 음식물의 중량 및 보관용기의 중량이 상이하여 규격화되지 않은 음식물을 다수 취급해야 하는 환경하에서는 식품 자동 주문 시스템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규격화된 음식물을 다수 취급하는 경우 각각의 음식물마다 보관해야 하는 온도가 달라 이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비규격화된 음식물에 대해서 그것의 개별 용량을 측정 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셋팅하여 단위 중량 값을 산출하여 그 값을 기준으로 식당의 보관함상의 비규격화된 음식물이 항상 부족하지 않은 상태로써 유지될 수 있는 음식물 자동 주문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그 보관 온도를 사용자가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음식물 자동 주문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보관장치는,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된 음식물을 정렬시켜 주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하판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의 총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면에 구비되며, 기 설정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측정수단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면부;와 상기 측정수단로부터 측정된 총중량에 따라 음식물의 개수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수단로부 터 공급되는 중량 측정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중량 값을 미리 설정된 음식물의 중량으로 나누어 음식물의 개수를 계산하는 계산부;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부에서 경보음이 발생 시마다 경보 발생 내역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요청시 상기 경보 발생 내역을 표시부로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계산부는 음식물의 개수를 자연수로 나타내기 위하여 음식물의 개수 계산시 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반올림, 올림 또는 버림의 방법으로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계산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식물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식물의 중량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개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계산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중량 값에 따라 음식물의 개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음식물 보관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된 음식물의 개수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최소 적재량 값 이하이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음식물 보관 장치는 상 기 제어부에서 계산된 음식물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최소 적재량 값 이하이면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음식물 제조에 필요한 식자재에 대해서 자동 주문이 실행되도록 하는 주문 실행 신호를 출력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이 정렬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이격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음식물 보관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 값에 따라 일정하게 온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에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열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된 음식물의 잔량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영점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음식물 보관 장치는 비규격화된 음식물에 대해서 그것의 개별 용량을 측정 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셋팅하여 단위 중량 값을 산출하여 그 값을 기준으로 식당의 보관함상의 비규격화된 음식물이 항상 부족하지 않은 상태로써 유지될 수 있어 자동주문장치를 폭넓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그 보관 온도를 사용자가 직접 조정할 수 있어 음식물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 내부에 음식물이 보관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 내부에 이격판이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전면판 및 경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제어부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경보부가 작동하는 원리는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경보부 및 접속부가 작동하는 원리를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표시부의 초기화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표시부에서 1번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나타나는 화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표시부에서 3번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10)의 개략적인 외형이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내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은 내부에 음식물이 보관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들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음식물 보관장치는 외형을 이루고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는 하우징(100)과, 그 내부에 음식물의 전체 중량를 잴 수 있는 로드셀(2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 면에 구비되며, 기 설정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측정수단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면부(300)와, 상기 측정수단(200)로부터 측정된 총중량에 따라 음식물의 개수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400)를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음식물 보관장치(10)의 전체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으로서 음식물 보관장치의 외측을 이루는 외측판(110)과, 음식물의 출납을 위해 여닫이 구조를 이루도록 개폐도어(121)와 개폐용 손잡이(121)로 구 성된 도어부(120)와, 음식물 보관함의 내측을 이루는 내측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보관되는 음식물을 지지시키고, 정렬시키기 위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판(1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내측판(130) 내부에는 음식물의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선(140)이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셀(200)은 상기 하우징(100) 하판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측정된 음식물의 총 중량을 측정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를 생성시켜 후술할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측정수단(200)은 제어부(400)에서 계산된 음식물의 잔량이 없는 경우 중량 측정상의 오프셋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영점보정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부(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판(110)상에 위치하되, 사용자가 음식물의 개당중량, 최소적재량 및 자동 주문 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키패드등의 입력수단(310)과,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된 데이터 및 시스템의 상태 및 경보 발생 내역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400)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보관 장치(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정수단로부터 공급되는 중량 측정신호를 디지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10)와, 상기 보정된 중량 값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음식물의 중량으로 나누어 음식물의 개수를 계산하는 계산부(420)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 값에 따라 일정하게 온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400)에 온도조절부(440)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경보부에서 경보음이 발생 시마다 경보 발생 내역을 상기 메모리부(430)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요청시 상기 경보 발생 내역을 표시부(320)로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계산부(420)는 음식물의 개수를 자연수로 나타내기 위하여 음식물의 개수 계산시 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반올림, 올림 또는 버림의 방법으로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산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식물에 대응하여 설정된 음식물의 중량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개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산부(4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중량 값에 따라 음식물의 개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경보부(5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에서 계산된 음식물의 개수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최소 적재량 값 이하이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속부(600)는 상기 제어부(400)에서 계산된 음식물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최소 적재량 값 이하이면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음식물 제조에 필요한 식자재에 대해서 자동 주문이 실행되도록 하는 주문 실행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경보부(500)가 작동하는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S11단계에서 사용자는 음식물 보관 장치에 미리 음식물의 1개당 중량(Wn), 허용되는 최소 적재량(Nm), 자동 주문 여부(A)의 초기값을 입력한다. 1개당 중량(Wn)은 제어부에 별도의 음식물 단위 측정 모드를 구비하여 음식물 1개 전체의 중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만약 초기값이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이전에 셋팅 하였던 초기값이 기본값으로 설정된다. S12단계에서는 음식물의 총 중량(Wn)을 측정하여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획득한 후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고, S13단계에서는 제어부에서 음식물의 재고(N)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112009045136473-pat00001
S14단계에서는 제어부에서 계산된 음식물의 재고(N)가 허용되는 최소 적재량(Nm)값과 비교하여 더 작으면 S15단계에서 경보를 발생시켜 음식물의 재고량이 부족함을 알리게 된다.
도 9은 경보부(500)가 작동하는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S21단계에서 사용자는 음식물 보관 장치에 미리 음식물의 1개당 중량(Wn), 허용되는 최소 적재량(Nm), 자동 주문 여부(A)의 초기값을 입력한다. 만약 초기값이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이전에 셋팅 하였던 초기값이 기본값으로 설정된다. S22단계에서는 음식물의 총 중량(Wn)을 측정하여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획득한 후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고, S23단계에서는 제어부에서 음식물의 재고(N)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112009045136473-pat00002
S24단계에서는 제어부에서 계산된 음식물의 재고(N)가 허용되는 최소 적재량(Nm)값과 비교하여 더 작으면 S25단계에서 자동 주문 여부(A)를 확인한 후 자동 주문 상태이면 S26단계에서 자동주문을 하고 그렇지 않으면 S27단계에서 경보를 발생시켜 음식물의 재고량이 부족함을 알리게 된다.
도 10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메뉴를 도시하고 있다. "1.초기값 입력" 메뉴를 선택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당 중량 입력", "2.최소 재고량 입력" 및 "3. 자동 주문 여부"를 선택하여 초기 값을 입력할 수 있으며, "2.온도조절"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음식물 보관용기(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3. 경보발생 내역"메뉴를 선택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 발생 내역을 누적적으로 표시하여 이를 근거로 식당 경영에 필요한 재고 소진 주기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 내부에 음식물이 보관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 내부에 이격판이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전면판 및 경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구성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제어부의 구성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경보부가 작동하는 원리는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경보부 및 접속부가 작동하는 원리를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표시부의 초기화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표시부에서 1번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관용기의 표시부에서 3번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음식물 보관장치 100: 하우징
200: 측정수단 300: 전면부
400: 제어부 500: 경보부
600: 접속부

Claims (7)

  1. 비규격화된 음식물의 단위 중량 값을 확인하여 그 값을 기초로 음식물을 자동주문하는 음식물 보관 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된 음식물을 수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음식물의 단위 중량 또는 음식물의 보관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으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면부;
    상기 측정수단로부터 측정된 음식물의 총 중량에 따라 음식물의 개수 계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수단으로 로드 셀을 채택하여 그로부터 측정되는 아날로그 중량 측정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음식물의 총 중량 값을 음식물의 단위 중량 값으로 나누어 음식물의 개수를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입력수단에서 입력되거나 상기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음식물의 단위 중량 값 및 상기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음식물의 온도 값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계산부는,
    음식물의 단위 중량 값으로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 수단으로 입력한 음식물이 담긴 단위 용기당 중량 값을 이용하거나,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음식물이 담긴 단위 용기당 중량 값을 이용하고,
    상기 표시부에 음식물의 개수를 자연수로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음식물의 총 중량을 상기 음식물의 단위 중량 값으로 나눈 후 그 결과 값을 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반올림, 올림 또는 버림의 방법으로 양자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되는 방법에 있어서 음식물의 총 개수 또는 음식물의 총 중량 중 하나가 선택되어 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보관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된 음식물의 개수가 최소 적재량 값 이하이면 미리 설정된 주문치에 따라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자동 주문이 실행되도록 하는 주문 실행 신호를 출력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보관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 값에 따라 일정하게 온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에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열선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보관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된 음식물의 개수가 최소 적재량 값 이하이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7. 삭제
KR1020090067473A 2009-07-23 2009-07-23 음식물 보관 장치. KR101138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473A KR101138402B1 (ko) 2009-07-23 2009-07-23 음식물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473A KR101138402B1 (ko) 2009-07-23 2009-07-23 음식물 보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89A KR20110009989A (ko) 2011-01-31
KR101138402B1 true KR101138402B1 (ko) 2012-04-26

Family

ID=4361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473A KR101138402B1 (ko) 2009-07-23 2009-07-23 음식물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4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435B1 (ko) * 2002-10-10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냉장고의 식품 자동 주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435B1 (ko) * 2002-10-10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냉장고의 식품 자동 주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89A (ko) 201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3299B1 (ja) ガス容器の交換システム、その交換プログラム、その交換装置およびその交換方法
JP6205310B2 (ja) 配送計画装置、配送計画システム、配送計画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231454A (ja) 残量管理システム
US20070193379A1 (en) Electronic Scale for Measuring Gas in Pressurized Cylinders Over a Wide Range of Capacities
KR101138402B1 (ko) 음식물 보관 장치.
KR101940274B1 (ko) 소형저장탱크의 잔량을 표시하는 통합형 디지털 게이지
US20170082477A1 (en) Remote Gas Cylinder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s
KR101568806B1 (ko) 원격검침 탑재 온압보정 일체형 가스 계량기
JP2010122083A (ja) 計量器
US11010711B1 (en) Test-enabled measurements for a sensor-based device
JP5163312B2 (ja) 秤装置
CN110680197B (zh) 储液容器、控制装置、蒸汽发生系统、烹饪设备和检测方法
JP2016148532A (ja) 計量装置
JP2016126393A (ja) 給油所管理システム
WO2007136298A1 (fr) Procédé permettant d&#39;enregistrer la quantité de carburant dans une station service et dispositif permettant sa mise en oeuvre
CN115698612A (zh) 程序、终端装置和终端装置的控制方法
JP2003148692A (ja) バルク管理システム
JP5734218B2 (ja) 情報出力装置、情報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34718B2 (ja) 高圧ガス発注システム、発注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54303A (ko) 음식점의 음료판매 관리 시스템
CA3134014C (en) System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container volume variations
JP2002019900A (ja) 貯蔵液位の管理システム
WO2017099170A1 (ja) 電子天秤
US10845233B2 (en) Weighing apparatus with flowmeter function
JP6392105B2 (ja) 組合せ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