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385B1 -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 - Google Patents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385B1
KR101138385B1 KR1020110091599A KR20110091599A KR101138385B1 KR 101138385 B1 KR101138385 B1 KR 101138385B1 KR 1020110091599 A KR1020110091599 A KR 1020110091599A KR 20110091599 A KR20110091599 A KR 20110091599A KR 101138385 B1 KR101138385 B1 KR 101138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ackaging bag
steam
notch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선
김우진
Original Assignee
씨앤케이프로팩 (주)
주식회사 진우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케이프로팩 (주), 주식회사 진우아이에스 filed Critical 씨앤케이프로팩 (주)
Priority to KR102011009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B65D33/22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using heat-activat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필름을 가열 열융착켜 음식물을 진공 포장하기 위한 일정한 폭의 밀봉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밀봉 테두리부의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음식물을 가열 조리할 때, 내부압력에 의해 증기가 자동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 배출부를 형성하는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부는 밀봉 테두리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띠 형상의 밀봉 약화부를 형성하고, 상기 밀봉 약화부의 외측으로 융착되지 않은 좌우 대칭구조를 갖는 꽈리형상의 제1, 제2팽창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제2팽창부 사이에 노치부를 형성하되, 상기 노치부의 꼭지점이 상기 제1, 제2팽창부의 경계지점에 맞닿고, 상기 노치부의 꼭지점으로부터 포장봉투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증기 배출부에 노치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증기 배출 후, 약해진 부위를 이용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포장봉투를 손쉽게 절개할 수 있고,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역할을 하는 노치가 사용자가 포장봉투의 개봉을 위해 손으로 잡는 중간에 위치함으로써,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노치가 밀폐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이 증기 배출부 내에 끼이지 않아 위생적이다.

Description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vacuum packing envelope for cooking}
본 발명은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기 배출부에 노치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증기 배출 후, 약해진 부위를 이용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포장봉투를 손쉽게 절개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토르트식품, 냉동식품 등을 충전 밀봉한 포장봉투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가열에 따라 내용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 등에 의해 봉투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포장봉투가 파열되어 내용물이 비산되는 동시에, 전자레인지 안을 더럽히거나, 인체에 화상 등의 위해를 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포장봉투를 전자레인지로 가열 조리하기 전에, 포장봉투를 미리 부분적으로 개봉하여 두거나, 포장봉투 본체에 구멍을 뚫거나 함으로써 포장봉투 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여, 포장봉투의 파괴를 방지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방법은 일반소비자에게는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면, 전자레인지 가열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가 즉시 포장봉투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수증기에 의한 내용물의 가열 찜 효과가 저감되어, 맛이 떨어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전자레인지 가열시에서의 포장봉투의 내압 상승을 자동적으로 낮추기 위해서, (1) 포장봉투의 가장자리 가열 밀봉(seal)부의 일부에 박막을 개재하여 약(弱)밀봉부를 형성하고, 이 약밀봉부의 일부에 가열 밀봉 폭이 좁은 협폭 밀봉부를 형성한 포장봉투(특허문헌 1 참조), (2) 포장봉투의 가장자리 가열 밀봉부의 일부에 약접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약접착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내부를 향해서 약접착부의 폭을 좁게 하는 비밀봉부를 형성한 포장봉투(특허문헌 2 참조), (3) 포장봉투의 가장자리 밀봉부의 일부에 밀봉 폭을 국소적으로 좁게 한 비밀봉부와 이것에 대응하는 내측 팽출 밀봉부(swell seal portion)를 형성한 포장봉투(특허문헌 3 참조), (4) 포장봉투의 개봉부의 일부에 가열시에 개구를 형성하는 열수축성 필름을 협착한 포장봉투(특허문헌 4 참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59433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95471호
특허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101154호
특허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95470호
그렇지만, 이들 종래의 포장봉투에서는 개봉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여,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포장봉투의 개봉부의 밀봉 강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레토르트 식품용 포장봉투에 필요로 하는 밀봉 강도(2.3kg/15mm 폭 이상)를 얻을 수 없어, 레토르트시에 개구 예정부나 가장자리 밀봉부가 파괴되거나, 충전하는 내용물이 제한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용물을 충전 밀봉한 후의 포장봉투의 수송, 보관시에 파괴가 생겨 밀봉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 등은 먼저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 밀봉에 의해 밀봉하는 포장봉투에, 관통 구멍, 반관통 구멍이나 슬릿 등의 약화부를 갖는 증기 배출 밀봉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것을 발견하고 제안하였다(특허문헌 5 참조).
또한, 이러한 약화부를 갖는 증기 배출 밀봉부를 형성한 포장봉투에 있어서, 증기 배출 밀봉부 내에 관통 구멍, 반관통 구멍이나 슬릿 등의 약화부를 형성할 때에, 가공시의 충격에 의해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증기 배출 밀봉부의 밀봉에 관여하지 않는 계면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증기배출 밀봉부(6)를 외측 밀봉부(3), 상기 외측 밀봉부(3)에 인접하는 완충부(4) 및 상기 완충부(4) 내에 형성한 약화부(5)에 의해 구성하는 것을 제안하였다(특허문헌 6 참조).
특허문헌 5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2-249176호
특허문헌 6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3-192042호
특허문헌 5, 6에 기재된 약화부를 갖는 증기 배출 밀봉부를 형성한 포장봉투는 특허문헌 1 내지 4 등에 기재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들의 포장봉투에 쌀밥, 죽, 카레 루(curry roux) 등의 사이즈가 작은 고형물을 함유하는 내용물을 충전?밀봉하여, 전자레인지로 가열 조리한 경우에는 가열에 따라 내용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 등에 의해 봉투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증기 배출 밀봉부의 박리 개구가 생겼을 때에, 쌀알 등의 사이즈가 작은 고형물에 의해 증기 배출 밀봉부의 막힘이 발생하여, 증기 배출 밀봉부의 자동 개구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10-2008-0007647호의 전자레인지용 포장봉투가 제안되었다.
도 1a, 1b는 종래기술의 전자레인지용 포장봉투를 도시하는 개략도면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포장봉투(1)에는 코너부에 외측 밀봉부(3), 상기 외측 밀봉부(3)에 인접하는 미밀봉부(4) 및 상기 미밀봉부(4) 내에 형성한 대략 하트형의 관통 구멍에 의한 약화부(5)에 의해 구성된 증기 배출 밀봉부(6)가, 가장자리 밀봉부(2)에 접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장자리 밀봉부(2)의 상단부 근방에는 포장봉투(1)를 전자레인지 가열 종료 후에 개봉하기 위한 노치(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약화부(5)는 그 폭을 개구 예정 선단부부터 후단부에 걸쳐서 서서히 확대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후단부부터 약화부(5)의 내측을 향하여 돌기부(51)를 형성함으로써, 약화부(5)의 후단부를 부호 52, 53의 2실로 구획한 것이다.
또한, 이 포장봉투(1)의 증기 배출 밀봉부(6)는 도 1a, 1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장봉투의 2개의 단변의 가장자리 밀봉부 내측 끝 중앙에 내접하는 원의 중심점(P; 이하, 단순히 「중심점(P)」이라고 함)을 기점으로 하여, 포장봉투의 중심점(P)부터 단변의 가장자리 밀봉부 내측 끝 중앙까지의 거리(PA)를 반경으로 하는 원(R)상에, 증기 배출 밀봉부(6)의 초기 파단점(B)이 위치하고 있다.
이때, 증기 배출 밀봉부(6)의 초기 파단점(B)은 포장봉투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때에, 증기배출 밀봉부(6)에서 외측 밀봉부(3)의 개구가 개시되는 점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포장봉투를 개봉하기 위한 노치(7)가 증기 배출 밀봉부(6)와 떨어진 위치에 분리 형성되는 구조로서, 사용에 많은 불편함을 갖는다.
예컨대, 노치(7)가 형성된 가장자리 밀봉부(2)의 폭이 상당히 넓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잡아당겼을 잘 개봉되지 않는 문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개봉에 많은 힘을 요하게 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사용자가 무리한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포장봉투(1)를 놓쳐 내용물을 쏟을 위험이 있고, 안전하게 포장봉투(1)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가위나 칼 등의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도구들은 자주 휴대하는 물품이 아니기 때문에 정작 필요할 때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노치(7)의 위치와 증기배출 밀봉부(6)의 위치가 가까이 있어,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될 위험성을 갖는다.
예컨대, 사용자가 노치(7)의 양측부위를 손으로 잡고 개봉시킬 때, 증기배출 밀봉부(6)를 통해 뜨거운 증기가 배출되어 사용자의 손에 쏘이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포장봉투(1)는 내용물이 충분하게 식혀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 배출부에 노치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증기 배출 후, 약해진 부위를 이용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포장봉투를 손쉽게 절개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역할을 하는 노치가 사용자가 포장봉투의 개봉을 위해 잡은 양손의 중간에 위치함으로써,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이 식을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는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필름을 가열 열융착켜 음식물을 진공 포장하기 위한 일정한 폭의 밀봉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밀봉 테두리부의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음식물을 가열 조리할 때, 내부압력에 의해 증기가 자동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 배출부를 형성하는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부는 밀봉 테두리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띠 형상의 밀봉 약화부를 형성하고, 상기 밀봉 약화부의 외측으로 융착되지 않은 좌우 대칭구조를 갖는 꽈리형상의 제1, 제2팽창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제2팽창부 사이에 노치부를 형성하되,
상기 노치부의 꼭지점이 상기 제1, 제2팽창부의 경계지점에 맞닿고, 상기 노치부의 꼭지점으로부터 포장봉투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기 배출부는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밀봉 약화부가 벌어져 증기가 제1, 제2팽창부를 팽창시키게 되고, 제1, 제2팽창부가 각각 적정압력으로 팽창되었을 때, 팽창력에 의해 노치부의 꼭지점으로부터 절개선을 따라 일정 길이 절개가 이루어지면서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노치부의 꼭지점이 제1, 제2 팽창부 영역 안쪽에 연장되고, 연장된 부위를 커팅 압력 또는 열에 의한 선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치부의 꼭지점으로부터 밀봉 약화부 전까지 이어지는 절개선을 따라 칼집 등의 스크래치가 미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기 배출부에 노치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증기 배출 후, 약해진 부위를 이용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포장봉투를 손쉽게 절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역할을 하는 노치가 사용자가 포장봉투의 개봉을 위해 잡은 양손의 중간에 위치함으로써,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이 식을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역할을 하는 노치가 밀폐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이 증기 배출부 내에 끼이지 않아 위생적인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자레인지용 포장봉투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를 도시한 개략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의 증기배출구의 개봉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의 증기배출구의 개봉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필름을 가열 열융착켜 음식물을 진공 포장하기 위한 일정한 폭의 밀봉 테두리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밀봉 테두리부(110)의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음식물을 가열 조리할 때, 내부압력에 의해 증기가 자동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 배출부(120)를 형성하는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100)가 개시된다.
이때, 상기 필름은 플라스틱 적층 필름이 이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플라스틱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가열 밀봉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공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계불포화카복실산 내지 그 무수물(anhydride)로 그래프트 변성된 올레핀 수지 등의 올레핀계 수지, 비교적 저융점 내지 저연화점의 폴리아미드 내지 코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내지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이 사용된다.
또한, 가열 밀봉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적층하는 다른 플라스틱재료로서는 가열 밀봉성을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결정성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결정성 폴리부텐-1, 결정성 폴리4-메틸펜텐-1, 저밀도, 중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EVA검화물,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EEA), 이온가교올레핀 공중합체(아이오노머) 등의 폴리올레핀류;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의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수지 등의 할로겐화 비닐 중합체; 폴리아크릴계 수지; 아크릴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같은 니트릴 중합체;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각종 폴리카보네이트; 불소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 등의 폴리아세탈류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블랜드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의 열가소성 수지에 각종의 첨가제를 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적층 필름은 상기한 가열 밀봉성을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연신의, 혹은 1축 또는 2축 연신한 필름을,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적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플라스틱 적층 필름을,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가열 밀봉함으로써 전자레인지용 포장봉투를 구성한다. 필름이 가열 밀봉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가열 밀봉성을 갖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의 적층 필름인 경우에는 가열 밀봉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층끼리가 내면(內面)이 되도록 가열 밀봉한다.
상기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포장봉투(100)는 밀봉 테두리부(110)의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음식물을 가열 조리할 때, 내부압력에 의해 증기가 자동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 배출부(1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증기 배출부(120)는 음식물이 채워지지 않은 포장봉투(100)의 상부쪽 측면 테두리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 배출부(120)는 밀봉 테두리부(110)의 내측(음식물이 수납되는 영역)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띠 형상의 밀봉 약화부(121)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봉 약화부(121)는 원형띠 형상에 가깝게 형성되는데, 띠 폭에 따라 터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죽과 같은 음식물의 경우, 조리시간이 짧고 낮은 압력에서도 증기가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띠 폭을 좁게 형성하는 반면, 밥과 같은 경우에는 조리시간이 길고 비교적 높은 압력에서 증기가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띠 폭을 넓게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봉 약화부(121)의 외측으로 융착되지 않은 좌우 대칭구조를 갖는 꽈리형상의 제1, 제2팽창부(123)(12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밀봉 약화부(121)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이 일정구간 중첩된 합집합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밀봉 테두리부(110)의 외측(봉투 외면)을 향해 점차 벌어지는 3자 형태의 경계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팽창부(123)(124) 사이에 노치부(125)가 형성된다.
상기 노치부(125)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포장봉투(100)를 절개할 수 있는 구조로서, 밀봉 테두리부(110)의 일부를 삼각형상으로 잘라낸 형상이다.
이때, 상기 노치부(125)의 꼭지점이 상기 제1, 제2팽창부(123)(124)의 경계지점에 맞닿고, 상기 노치부(125)의 꼭지점으로부터 포장봉투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개선(127)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증기 배출부(12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100)에는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해 간단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음식물이 포장된다.
이와 같이 포장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포장봉투(100)를 전자레인지 등에 넣어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의 조리시 포장봉투(100) 내에는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이 증기화 되면서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밀봉 약화부(121)가 벌어지게 되고, 이 틈을 통해 증기가 제1, 제2팽창부(123)(124)로 보내져, 제1, 제2팽창부(123)(124)를 팽창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팽창부(123)(124)가 각각 적정압력으로 팽창되었을 때, 팽창력에 의해 노치부(125)의 꼭지점으로부터 절개선(127)을 따라 일정 길이 절개가 이루어지면서 증기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노치부(125)의 꼭지점이 제1, 제2 팽창부(123)(124) 영역 안쪽에 연장되고, 연장된 부위를 커팅 압력 또는 열에 의한 선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치부(125)의 꼭지점으로부터 밀봉 약화부(121) 전까지 이어지는 절개선(127)을 따라 칼집 등의 스크래치가 미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제2 팽창부(123)(124)의 팽창시 쉽게 절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증기 배출부에 노치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증기 배출 후, 약해진 부위를 이용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포장봉투를 손쉽게 절개할 수 있고,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역할을 하는 노치가 사용자가 포장봉투의 개봉을 위해 손으로 잡는 중간에 위치함으로써,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이 식을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고,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역할을 하는 노치가 밀폐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이 증기 배출부 내에 끼이지 않아 위생적이다.
100: 포장봉투
110: 밀봉 테두리부
120: 증기배출부
121: 밀봉 약화부
123: 제1팽창부
124: 제2팽창부
125: 노치부
127: 절개선

Claims (4)

  1. 필름을 가열 열융착켜 음식물을 진공 포장하기 위한 일정한 폭의 밀봉 테두리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밀봉 테두리부(110)의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음식물을 가열 조리할 때, 내부압력에 의해 증기가 자동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 배출부(120)를 형성하는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100)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부(120)는 밀봉 테두리부(11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띠 형상의 밀봉 약화부(121)를 형성하고, 상기 밀봉 약화부(121)의 외측으로 융착되지 않은 좌우 대칭구조를 갖는 꽈리형상의 제1, 제2팽창부(123)(124)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제2팽창부(123)(124) 사이에 노치부(125)를 형성하되, 상기 노치부(125)의 꼭지점이 상기 제1, 제2팽창부(123)(124)의 경계지점에 맞닿고, 상기 노치부(125)의 꼭지점으로부터 포장봉투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개선(127)이 형성되며, 상기 증기 배출부(120)는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밀봉 약화부(121)가 벌어져 증기가 제1, 제2팽창부(123)(124)를 팽창시키게 되고, 제1, 제2팽창부(123)(124)가 각각 적정압력으로 팽창되었을 때, 팽창력에 의해 노치부(125)의 꼭지점으로부터 절개선(127)을 따라 일정 길이 절개가 이루어지면서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노치부(125)의 꼭지점이 제1, 제2 팽창부(123)(124) 영역 안쪽에 연장되고, 연장된 부위를 커팅 압력 또는 열에 의한 선융착이 이루어지며, 상기 노치부(125)의 꼭지점으로부터 밀봉 약화부(121) 전까지 이어지는 절개선(127)을 따라 칼집 등의 스크래치가 미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91599A 2011-09-09 2011-09-09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 KR101138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599A KR101138385B1 (ko) 2011-09-09 2011-09-09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599A KR101138385B1 (ko) 2011-09-09 2011-09-09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385B1 true KR101138385B1 (ko) 2012-05-10

Family

ID=4627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599A KR101138385B1 (ko) 2011-09-09 2011-09-09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3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7079A (ja) * 2005-03-04 2005-07-14 Toyo Seikan Kaisha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及び該電子レンジ用包装袋に内容物を充填した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6143237A (ja) * 2004-11-17 2006-06-08 Kyodo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6306486A (ja) 2005-05-02 2006-11-09 Toyo Seikan Kaisha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9254293A (ja) 2008-04-17 2009-11-05 Q P Corp 電子レンジ調理用パウチ詰食品及びトマト煮込み料理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3237A (ja) * 2004-11-17 2006-06-08 Kyodo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5187079A (ja) * 2005-03-04 2005-07-14 Toyo Seikan Kaisha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及び該電子レンジ用包装袋に内容物を充填した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6306486A (ja) 2005-05-02 2006-11-09 Toyo Seikan Kaisha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9254293A (ja) 2008-04-17 2009-11-05 Q P Corp 電子レンジ調理用パウチ詰食品及びトマト煮込み料理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664B1 (ko) 전자레인지용 포장봉투
KR101194780B1 (ko) 전자레인지용 자동 개봉 파우치
JP3675399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及び該電子レンジ用包装袋に内容物を充填した包装体の製造方法
JP4029590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4265348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5187079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及び該電子レンジ用包装袋に内容物を充填した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5320023A (ja) 平置き型の電子レンジ用包装袋
US20070257030A1 (en) Microwaveable package
JP6809854B2 (ja) 加熱処理用包装体
JP3807793B2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体
KR101138385B1 (ko) 조리용 진공 포장봉투
JP6326911B2 (ja) 電子レンジ用容器及び電子レンジ用包装体
JP4231988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及び該包装袋内に内容物を充填した包装体の製造方法
JP5468225B2 (ja)
JP6753159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袋
KR20170054940A (ko) 가열조리식품용 포장 팩
JP3012970B2 (ja) 電子レンジ調理食品用包装袋
JP2003081359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及び該包装袋内に内容物を充填した包装体の製造方法
JP6788713B2 (ja) 包装袋
JP3964499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体および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5035640A (ja) 蒸気抜き機能を有する包装袋と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7082707B2 (ja) 包装袋
JP2019202794A (ja) 包装袋
WO2016088839A1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6392540B2 (ja) 電子レンジ対応型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