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299B1 -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 - Google Patents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299B1
KR101138299B1 KR1020090031954A KR20090031954A KR101138299B1 KR 101138299 B1 KR101138299 B1 KR 101138299B1 KR 1020090031954 A KR1020090031954 A KR 1020090031954A KR 20090031954 A KR20090031954 A KR 20090031954A KR 101138299 B1 KR101138299 B1 KR 101138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re
cover
motor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397A (ko
Inventor
홍대길
Original Assignee
홍대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대길 filed Critical 홍대길
Priority to KR1020090031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299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덮개의 도어를 스프링에 의해 열림과 닫힘이 가능하도록 탄성지지함과 아울러 도어와 덮개의 측면부 사이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와이어가 풀리에 감김과 풀림에 의해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지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픽업트럭의 후방 적재함 상부에 설치되어 적재함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는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적재함의 상부 양측에 지지되는 한 쌍의 측면부(210)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21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면부(220)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210)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면부(220)에 힌지(201)로 결합되어 적재함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200)와, 상기 상면부(220)와 도어(200)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200)를 탄성지지하는 토션 스프링(203)과, 상기 측면부(210)에 설치된 모터(240)와, 상기 모터(240)의 축에 설치된 풀리(230)와, 상기 풀리(230)와 도어(200)를 연결하는 와이어(2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와이어가 풀리에 감기거나 풀림에 의해 도어가 적재함으로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쇼바 실린더의 내부 압력이 떨어져서 지지력이 상실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와이어의 감김 정도에 따라 도어의 개폐 정도가 결정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도어 개폐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픽업트럭, 적재함, 도어, 스프링, 와이어, 모터

Description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Deck cover structure for pick-up truck}
본 발명은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덮개의 도어를 스프링에 의해 열림과 닫힘이 가능하도록 탄성지지함과 아울러 도어와 덮개의 측면부 사이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와이어가 풀리에 감김과 풀림에 의해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한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에는 레저활동의 증가로 인해 승용과 화물의 적재를 위한 픽업트럭을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픽업트럭은 전방에 사람이 승차하도록 하는 승차석이 구비되고, 승차석의 후방에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이 구비된다.
이러한 적재함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적재된 화물이 쉽게 도난당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쉽게 유입되므로 도1 및 도2에서와 같이 적재함(16)을 덮어 외부노출을 방지하도록 한 덮개(10)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적재함(16)의 상측에 결합되는 덮개(10)는 상면부(11)에 힌지부(17)로 결합되어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되도록 하는 도어(12)와, 상기 도어(12)의 측면 위 치에 설치되어 적재함(16)과 도어(12) 사이를 지지하는 측면부(14)와, 도어(12)와 측면부(14)의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12)의 열림이나 닫힘 상태를 지지하는 쇼바 실린더(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덮개(10)는 도어(12)를 지지하기 위하여 쇼바 실린더(13)를 사용하게 되지만, 이는 잦은 도어(12)의 여닫음에 의하여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어 도어(1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쇼바 실린더(13)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도어(12)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없어서 덮개(1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화물을 적재하였을 때 도어(12)가 완전히 닫혀지지 않으면 주행중 도어(12)가 상하로 유동하면서 화물에 충격을 가하게 되므로 도어(12)는 물론 화물까지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덮개의 도어를 스프링에 의해 열림과 닫힘이 가능하도록 탄성지지함과 아울러 도어와 덮개의 측면부 사이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와이어가 풀리에 감김과 풀림에 의해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지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픽업트럭의 후방 적재함 상부에 설치되어 적재함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는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적재함의 상부 양측에 지지되는 한 쌍의 측면부(210)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21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면부(220)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210)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면부(220)에 힌지(201)로 결합되어 적재함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200)와,
상기 상면부(220)와 도어(200)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200)를 탄성지지하는 토션 스프링(203)과,
상기 측면부(210)에 설치된 모터(240)와,
상기 모터(240)의 축에 설치된 풀리(230)와,
상기 풀리(230)와 도어(200)를 연결하는 와이어(2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와이어가 풀리에 감기거나 풀림에 의해 도어가 적재함으로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쇼바 실린더의 내부 압력이 떨어져서 지지력이 상실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와이어의 감김 정도에 따라 도어의 개폐 정도가 결정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도어 개폐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4는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측면부(210)는 적재함의 상단 양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한 쌍의 구성되며, 그 측면부(210)의 전방에는 상면부(220)가 설치되어 한 쌍의 측면부(210)를 고정하게 된다.
한 쌍의 측면부(210) 사이에는 도어(200)가 설치되어 적재함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되는데, 도어(200)의 전방은 상면부(220)와 힌지(201)에 의해 결합되어 상측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면부(220)와 도어(200)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203)이 설치되어 도 어(200)가 상측 방향으로 열리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도어(200) 또는 상면부(220)에 가로 바 형태의 스프링 지지구(202)가 고정 설치되고, 그 스프링 지지구(20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션 스프링(203)이 끼워져 설치된다.
한편, 측면부(210)의 내측으로는 모터(240)가 고정 설치되고, 그 모터(240)의 축에 풀리(230)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풀리(230)에는 와이어(250)의 일측이 감겨지며, 타측 단부는 도어(200)의 내측에 연결된다.
이때, 와이어(250)의 타측 단부에는 후크(251)가 구비되며, 도어(200)의 내측으로는 후크(251)를 걸 수 있는 와이어 걸이구(204)가 구비되어 있어서, 와이어(250)를 도어(200)에 착탈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모터(240)와 풀리(230), 와이어(250)는 어느 한쪽의 측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양쪽 측면부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240)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하여 풀리(230)에 와이어(250)가 감겨지거나 풀리면서 도어(200)가 닫혀지거나 열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터(240)의 동작은 스위치나 리모콘(270)을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하는데, 사용자가 도어(200)를 열고자 하여 리모콘(270)의 열림 버튼을 누르게 되면, 컨트롤러(280)가 이의 열림 버튼 입력에 의하여 모터 구동부(290)를 제어하여 모터(240)를 정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250)가 풀리(230)에서 풀리면서 도어(200)가 닫힘상태에서 구속력이 해제되며, 토션 스프링(203)의 탄성에 의해 상측으로 열리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도어(200)의 열림 상태를 보면서 원하는 위치에서 도어(200)의 열림 정도를 제어하고자 리모콘(270)의 열림 버튼에서 손을 떼면, 그 위치에서 모터(240)이 구동이 멈춰져서 도어(200)의 개방이 중지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만 도어(200)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어(200)를 닫고자 하는 경우 모터(240)는 역회전시키게 되면, 와이어(250)가 풀리(230)에 감기게 되고, 이떼 따라 도어(200)가 닫히게 되며, 이또한 도어(200)의 닫힘 정도를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도어(200)가 완전히 닫혔을때 록킹부(260)가 적재함의 록킹부와 결합되어 잠겨지지만, 모터(240)를 풀리(230) 사이에 워엄기어를 설치한 경우 인위적인 외부의 힘에 의해서 도어(200)가 열리지 않게 되므로 굳이 록킹부(260)가 필요치 않아서 제조 비용이 그만큼 저렴해진다.
도5는 풀리의 다른 실시에로서, 도3에서는 모터(240)에 의한 자동 도어 개념이라면, 도5의 풀리(300)가 도3의 풀리(230)를 대체함으로써 수동 도어 구조를 가지게 된다.
풀리(300)는 내부에 태엽 스프링(310)을 구비하고 있어서, 와이어(250)의 일단과 연결부(311)에 의해 연결되고, 도3의 모터(240)와 풀리(230) 대신에 도5의 풀리(300)를 설치하게 되면, 수동조작이 가능하다.
즉, 도어(200)를 여는 경우 록킹부(26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토션 스프링(203)의 탄성에 의해 도어(200)가 개방되며, 이때, 도어(200)의 열림은 와이어(250)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도어(200)가 열릴 때 태엽 스프링(310)은 감겨져서 탄성력을 가지게 되며, 사용자가 도어(200)를 손으로 닫게 되면, 와이어(250)는 태엽 스프링(310)에 의해 풀리(300)의 외측에 감겨지게 된다.
이후 록킹부(260)에 의해 도어(200)의 닫힘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덮개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블록도.
도5는 풀리의 다른 예를 보인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도어 201 : 힌지
202 : 스프링 지지구 203 : 토션 스프링
204 : 와이어 걸이구 210 : 측면부
220 : 상면부 230 : 풀리
240 : 모터 250 : 와이어
251 : 후크 260 : 록킹부
300 : 풀리 310 : 태엽 스프링

Claims (2)

  1. 픽업트럭의 후방 적재함 상부에 설치되어 적재함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는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적재함의 상부 양측에 지지되는 한 쌍의 측면부(210)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21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면부(220)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210)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면부(220)에 힌지(201)로 결합되어 적재함을 개방 또는 폐쇄하며, 내측으로는 와이어 걸이구(204)가 구비된 도어(200)와,
    상기 상면부(220)와 도어(200)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200)를 탄성지지하는 토션 스프링(203)과,
    상기 측면부(210)에 설치된 모터(240)와,
    상기 모터(240)의 축에 설치된 풀리(230)와,
    단부에 후크(251)가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 걸이구(204)에 걸림으로써 상기 풀리(230)와 도어(200)를 연결하는 와이어(250);
    상기 모터와 풀리 사이에 설치된 워엄기어;
    상기 모터(240)를 동작시키는 리모컨(270);으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240)의 회전에 의해 도어(240)의 개폐정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
  2. 삭제
KR1020090031954A 2009-04-13 2009-04-13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 KR101138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954A KR101138299B1 (ko) 2009-04-13 2009-04-13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954A KR101138299B1 (ko) 2009-04-13 2009-04-13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397A KR20100113397A (ko) 2010-10-21
KR101138299B1 true KR101138299B1 (ko) 2012-04-24

Family

ID=4313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954A KR101138299B1 (ko) 2009-04-13 2009-04-13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573B1 (ko) * 2019-06-25 2020-09-16 (주)세고스 텐션 유지 기능을 갖는 힌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558A (ko) 2019-08-28 2021-03-11 오세철 차량용 적재함 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485B1 (ko) * 1995-03-27 1997-12-18 이조원 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개폐장치
US5857729A (en) * 1997-03-21 1999-01-12 Bogard; Donald E. Pick-up truck cover
KR100370834B1 (ko) * 2000-11-24 2003-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사이드 게이트 힌지 보호용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485B1 (ko) * 1995-03-27 1997-12-18 이조원 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개폐장치
US5857729A (en) * 1997-03-21 1999-01-12 Bogard; Donald E. Pick-up truck cover
KR100370834B1 (ko) * 2000-11-24 2003-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사이드 게이트 힌지 보호용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573B1 (ko) * 2019-06-25 2020-09-16 (주)세고스 텐션 유지 기능을 갖는 힌지 장치
WO2020262993A1 (ko) * 2019-06-25 2020-12-30 (주)세고스 텐션 유지 기능을 갖는 힌지 장치
US11781358B2 (en) 2019-06-25 2023-10-10 Segos Co., Ltd. Hinge device having tension maintain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397A (ko)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4246B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vehicle
JP2015532623A5 (ko)
US9522704B1 (en) Powered closing tailgate assembly
KR101850741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스크린장치
US8376437B2 (en) Truck bed cap
US10919368B2 (en) Apparatus for covering a container load
KR101138299B1 (ko)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 구조
KR100849471B1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 개폐장치
KR200431629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KR102221999B1 (ko) 픽업차량용 전동식 덮개장치
KR200424537Y1 (ko) 픽업형 자동차의 적재함 커버
US7147262B2 (en) Vehicle trunk hood
KR20080001665U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커버조립체
US2419636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r
KR200481317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KR200424538Y1 (ko) 픽업형 자동차의 적재함 덮개
KR102103211B1 (ko) 차량적재함용 자동 덮개
KR200307475Y1 (ko) 윙바디 트럭의 개폐구조
JP3211742U (ja) 宅配ボックス
KR100974556B1 (ko) 차량의 트렁크리드 힌지
KR200145905Y1 (ko) 화물차 적재함의 완충형 리어도어
KR200166541Y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덮개골조
JP3125908U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荷箱後部扉の開扉位置保持装置
KR970003168Y1 (ko)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과적재 시 트렁크 리드 고정장치
KR100836284B1 (ko) 트럭의 테일 게이트 수평 유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