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957B1 -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 Google Patents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957B1
KR101137957B1 KR1020090089011A KR20090089011A KR101137957B1 KR 101137957 B1 KR101137957 B1 KR 101137957B1 KR 1020090089011 A KR1020090089011 A KR 1020090089011A KR 20090089011 A KR20090089011 A KR 20090089011A KR 101137957 B1 KR101137957 B1 KR 101137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weight
parts
heat
conduc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668A (ko
Inventor
김광원
김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to KR102009008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9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Landscapes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형층, 전술한 이형층 상에 적층되는 열전도성점착제층 및 전술한 열전도성점착제층 상에 적층되며, 상부면에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방열시트는 발열체로부터 발생한 열에너지를 열전도성점착제층과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필름층을 통해 배출하기 때문에 우수한 방열효과를 나타내며, 에폭시(Epoxy) 및 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Nitrile Butadiene Rubber) 등의 성분이 혼합되어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낸다.
미세요철, 방열시트, 방열필름, 이형제, 열전도성점착제, 방열필름, 발열체

Description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RADIATION SHEET HAVING MICRO UNEVENNESS}
본 발명은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열전도성점착제층과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필름층으로 이루어져 방열효과가 우수하며, 에폭시 및 니트릴부타디엔고무 등의 성분이 혼합되어 유연성이 우수한 방열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열전도성점착제층과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필름층으로 이루어져 방열효과가 우수하며, 에폭시 및 니트릴부타디엔고무 등의 성분이 혼합되어 유연성이 우수한 방열시트에 관한 것이다.
방열이란 열을 전달하거나 내뿜는 일 또는 기계 따위에서 발생한 열을 방산(放散)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말로 방열시트는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을 발열체 외에 다른 공간으로 전달하거나 방산하는 시트를 말한다.
방열시트의 재료로는 실리콘이 압도적으로 많아 시장의 약 80%를 점하고 있 으며, 그 외에 아크릴과 그라파이트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실리콘은 내열성, 밀착성 및 난연성이 우수하고 여타 재료에 비하여 장기 신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시트형상뿐만 아니라, 그리스(grease) 등도 포함하여 각종기기의 발열체와 히트싱크의 방열에 사용되고 있다.
아크릴은 점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중합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크릴을 이용한 방열시트는 다량으로 함유되는 열전도성 충전제 때문에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열전도성 충전제가 함유되도 유연성을 가지며, 더욱이 접착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가소제 등이 배어 나오지 않는 즉 내블리드성이 우수한(메타)아크릴계 성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라파이트는 주로 천연흑연계와 수지필름을 소성하여 시트형태로 성형하여 사용하는데, 열을 횡방향으로 방산시키는 특성이 있어, 박형 모바일기기에서 주로 발생하는 heat-spot을 해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라파이트는 천연계와 인공계로 나누어지는데, 천연계와 인공계는 가격과 성능면에서 차이가 있으며 용도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된다.
방열시트의 세계시장은 약 350억~400억엔(5,000억~6,0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이 중에 일본시장의 비중이 가장 높아 전체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의 지역으로는 전자기기의 생산상황을 반영하여 중국, 대만, 한국 등 아시아 지역이 약 40%를 점하고 있으며, 유럽과 미국 등의 점유율은 약 10% 정도로 추정된다.
이러한 방열시트 시장은 해마다 5% 정도의 안정적인 성장속도를 나타내고 있 으며, 향후 이 성장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방열시트의 적용분야로는 최근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디지털 TV, 컴퓨터 칩, 휴대용 개인단말기 및 통신기 등의 전자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전자제품 내부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열에너지는 외부로 빠르게 방출되어야 하며, 방출속도가 느려 열에너지가 전자제품 내부에 쌓이게 되면, 화면 잔상발생 및 시스템 불안정 등의 심각한 오작동을 유발하고,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심한 경우에는 폭발 및 화재 등의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디지털 TV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TV, LCD TV 및 모니터 등은 화면의 선명도와 색상 등이 저하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전술한 제품 내부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는 빠르게 외부로 방출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전자제품의 방열방법으로 히트싱크(heat sink) 또는 방열팬을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히트싱크를 이용한 방열방법의 경우는 전자제품의 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히트싱크의 방열처리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히트싱크의 상부면에 방열팬을 함께 설치하여 히트싱크로 전달된 열에너지를 방열팬을 통해 빠르게 배출시키는데, 방열팬은 소음과 진동을 동반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무엇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개인단말기 등에 요구되고 있는 초경량화와 슬림(slim)화 등에 부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초경량화와 슬림화가 요구되는 최신 디지탈 전자제품에 적용되고 있는 종래 에 방열방법으로는, 아크릴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에 열전도성 필러를 혼합시켜 이를 전자제품의 발열체에 코팅하는 방법과, 그라파이트 계열의 판상을 고정용 테이프로 발열체에 부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열전도성 필러만을 이용한 방법은 열전도율 및 열분산성이 매우 낮아 실용화에 한계가 있으며, 그라파이트 계열의 판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라파이트 재료의 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최종제품의 가격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과 그라파이트 판상을 고정하는 테이프를 별도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발열체와 그라파이트 판 사이에 접촉 면적이 좁아지게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방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또 다른 냉각방법이 기재되어 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8953호를 보면 전자제품의 발열체면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금속재 박판을 이용한 방열시트가 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세라믹층, 금속재 박판, 접착제층, 폴리에스터 필름 및 단열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5층 구조의 방열시트가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세라믹층, 금속재 박판 및 단열재에 의한 열전달 및 열분산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열전도에 효과적인 금속재 박판이 이용되어 발열체와 높은 접촉면적만 갖는다면 방열에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다수의 적층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조방법이 까다롭고 각 층간에 마련된 계면이 많이 존재하여 전체적인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며, 성능에 비해 가격이 높다는 점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제시된 방열시트는 접착수단이 없이 발열체와 방열시트를 단순 적층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구성은 발열체와 방열시트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고, 무엇보다 접촉 면적이 좁아 효과적인 열에너지의 전달 및 분산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형층, 열전도성점착제층 및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필름층으로 이루어져 열에너지의 전달 및 방출 효율이 우수한 방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폭시 및 니트릴부타디엔고무 등의 성분을 혼합하여 유연성이 우수한 방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형층, 상기 이형층 상에 적층되는 열전도성점착제층 및 상기 열전도성점착제층 상에 적층되며, 상부면에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형층은 25 내지 100㎛의 두께로 형성되며, 24.8 내지 99㎛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에 실리콘 70 내지 90 중량부 및 백금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리콘 혼합물을 0.2 내지 1㎛의 두께로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열전도성점착제층은 50 내지 300㎛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크릴 30 내지 60 중량부, 충전제 30 내지 60 중량부, 분산제 0.1 내지 2.5 중량부 및 경화제 0.1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 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열필름층은 1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되며, 에폭시 30 내지 60 중량부, 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Nitrile Butadiene rubber) 10 내지 30 중량부, 충전제 10 내지 30 중량부, 경화제 0.1 내지 2.5 중량부 및 분산제 0.1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보론나이트라이드, 암모늄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열필름층에 형성되는 미세요철의 피치간격은 0.5 내지 20㎛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는 이형층, 열전도성점착제층 및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필름층으로 이루어져 열에너지의 전달 및 방출 효율이 우수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에폭시 및 니트릴부타디엔고무 등의 성분이 혼합되어 유연성이 우수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세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에 관한 것으로, 이형층(10), 전술한 이형층(10) 상에 적층되는 열전도성점착제층(20) 및 전술한 열전도성점착제층(20) 상에 적층되며, 상부면에 미세요철(31)이 형성된 방열필름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이형층(10)은 이형층은 25 내지 100㎛의 두께로 형성되며, 24.8 내지 99㎛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에 실리콘 70 내지 90 중량부 및 백금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리콘 혼합물을 0.2 내지 1㎛의 두께로 코팅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성분 및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형층(10)은 열전도성점착제층(20)이 먼지나 불순물 등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방열시트를 발열체에 점착하기 직전에 제거된다.
전술한 열전도성점착제층(20)은 전술한 이형층(10) 상에 적층되며, 50 내지 300㎛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아크릴 30 내지 60 중량부, 충전제 30 내지 60 중량 부, 분산제 0.1 내지 2.5 중량부 및 경화제 0.1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충전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보론나이트라이드, 암모늄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충전제 성분은 열전도성점착제층(20)의 노화를 방지하고 물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방열효과가 우수한 성분들로 이루어져 열전도성점착제층(20)의 방열효과 및 열전도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분산제로는 디메틸실록산계 성분으로, 아크릴 내에 충전제를 고르게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경화제는 전술한 아크릴 성분을 경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가 사용된다.
전술한 방열필름층(30)은 전술한 열전도성점착제층(20) 상에 적층되며, 상부면에 미세요철(31)이 형성되고, 10 내지 50㎛의 두께로 이루어지는데, 에폭시 30 내지 60 중량부, 니트릴부타디엔고무 10 내지 30 중량부, 충전제 10 내지 30 중량부, 경화제 0.1 내지 2.5 중량부 및 분산제 0.1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방열필름층(3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미세요철(31)은 피치간격이 0.5 내지 20㎛인데, 이러한 피치간격으로 형성되는 미세요철(31)은 열에너지를 최종적으로 방출하는 방열필름층(30) 상부면에 단면적을 증가시켜, 열에너지의 방열효율을 높 이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미세요철(31)을 방열필름층(30)에 형성하는 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지며, 요철무늬가 형성된 기저층에 실리콘이형제를 도포하고, 실리콘이형제가 도포된 기저층 표면에 방열필름 재료를 도포한 후에, 도포된 방열필름 재료가 경화되어 방열필름이 형성되면 기저층으로부터 탈착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전술한 충전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보론나이트라이드, 암모늄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충전제 성분은 방열필름층(30)의 노화를 방지하고 물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방열효과가 우수한 성분들로 이루어져 방열필름층(30)의 방열효과 및 열전도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열필름층(30)에 사용되는 분산제는 디메틸실록산계 성분이 사용되며, 아크릴 내에 충전제가 고르게 분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방열필름층(30)에 사용되는 경화제는 아민계와 이미다졸 계열의 경화제가 사용되며, 전술한 에폭시를 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의 열전도율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아크릴 30 중량부, 디메틸실록산 0.2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45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0.25 중량부로 이루어진 열전도성점착제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폭시 45 중량부, 니트릴부타디엔고무 22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10 중량부, 보론나이트라이드 10 중량부, 아민계 경화제 2.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에 피치간격이 1.0㎛인 미세요철을 형성하여 방열필름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열전도성점착제층의의 상부면에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방열필름층을 점착하여 방열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열전도성점착제층의 열전도율을 3회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25℃로 가열한 상태에서 레이저 플레시(LASER FLASH)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며, 측정장치는 NETZSCH사의 LFA447, DSC 204F1을 사용하였다. 레이져 플레시법은 시료 전면에서 순간적 섬광으로 균일하게 가열하면 시간에 따른 시료 배면에서의 온도가 상승하여 적외선 센서(IR DETECTOR)에 의해 감지하며, 측정된 데이터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계산되며 열확산율(Thermal Diffusivity : α)이 측정된다.
레이져 플레시법은 열확산율,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에 의 해 측정된 비열 및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한 겉보기 밀도를 적용하여 계산된다.)
열전도율 = 열확산율 × 비열 × 밀도
<표 1>
Figure 112009057823817-pat00001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방열필름층의 열전도율을 3회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25℃로 가열한 상태에서 레이저 플레시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며, 측정장치는 NETZSCH사의 LFA447, DSC 204F1을 사용하였다.)
<표 2>
Figure 112009057823817-pat00002
실시예 3를 통해 제조된 방열시트의 열전도율을 3회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단, 25℃로 가열한 상태에서 레이저 플레시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며, 측정장치는 NETZSCH사의 LFA447, DSC 204F1을 사용하였다.)
<표 3>
Figure 112009057823817-pat00003
위에 표 1 내지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방열시트는 방열효과를 나타내는 성분들로 이루어지고, 발열체로부터 전달된 열에너지를 빠르게 방열할 수 있도록 미세요철이 형성되어 우수한 방열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에폭시 및 니트릴부타디엔고무 등의 성분이 혼합되어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설명***
10 ; 이형층
20 ; 열전도성점착제층
30 ; 방열필름층
31 ; 미세요철

Claims (6)

  1. 이형층;
    상기 이형층 상에 적층되는 열전도성점착제층; 및
    상기 열전도성점착제층 상에 적층되며, 상부면에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방열필름층에 형성되는 미세요철의 피치간격은 0.5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은 25 내지 100㎛의 두께로 형성되며, 24.8 내지 99㎛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에 실리콘 70 내지 90 중량부 및 백금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리콘 혼합물을 0.2 내지 1㎛의 두께로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점착제층은 50 내지 300㎛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크릴 30 내지 60 중량부, 충전제 30 내지 60 중량부, 분산제 1 내지 2.5 중량부 및 경화제 0.1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필름층은 1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되며, 에폭시 30 내지 60 중량부, 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Nitrile Butadiene rubber) 10 내지 30 중량부, 충전제 10 내지 30 중량부, 경화제 1 내지 2.5 중량부 및 분산제 0.1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보론나이트라이드, 암모늄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6. 삭제
KR1020090089011A 2009-09-21 2009-09-21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KR101137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011A KR101137957B1 (ko) 2009-09-21 2009-09-21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011A KR101137957B1 (ko) 2009-09-21 2009-09-21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668A KR20110031668A (ko) 2011-03-29
KR101137957B1 true KR101137957B1 (ko) 2012-05-10

Family

ID=4393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011A KR101137957B1 (ko) 2009-09-21 2009-09-21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084B1 (ko) * 2011-06-08 2013-02-04 손충연 방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584A (ko) * 2002-08-23 2004-03-04 아이큐어 주식회사 자기발열 쑥뜸패취
KR100803619B1 (ko) * 2006-10-30 2008-02-19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윈도우 엠보싱 가공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584A (ko) * 2002-08-23 2004-03-04 아이큐어 주식회사 자기발열 쑥뜸패취
KR100803619B1 (ko) * 2006-10-30 2008-02-19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윈도우 엠보싱 가공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668A (ko)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9543B2 (ja) 冷却構造体および冷却構造体の製造方法
TWI676304B (zh) 熱傳導性接著片、其製造方法及使用此的電子裝置
KR101465580B1 (ko) 방열시트
TWI476572B (zh) 散熱帶及其製造方法
CN105829450B (zh) 固化型导热油脂、散热结构及散热结构的制造方法
JP3208275U (ja) 硬化型熱伝導性界面材料及びその放熱装置
KR102155811B1 (ko) 방열 점착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방열 테이프
KR20160070243A (ko) 방열시트
KR101810315B1 (ko) 방열 시트용 점착제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방열 시트
KR20030041802A (ko) 방열 구조체
KR101796206B1 (ko) 그라파이트 점착제층 방열패드
WO2018139364A1 (ja) 放熱シート
KR20130105021A (ko) 방열시트
KR101534232B1 (ko) 고방열 방사 유,무기 복합 코팅박막이 형성된 히트싱크, 이의 제조방법 및 히트싱크 일체형 메탈-피씨비
KR101703558B1 (ko) 알루미나와 흑연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및 이를 사용한 방열구조물
KR101137957B1 (ko)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JPWO2008075574A1 (ja) 放熱材
US10117355B2 (en) Heat dissipation foil and methods of heat dissipation
KR101992749B1 (ko) 멀티 히트 스프레더
KR102075360B1 (ko) 열확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68493B1 (ko) 열확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06504B1 (ko) 열확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4832830B2 (ja) 放熱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TWM540741U (zh) 多層複合熱傳導結構體
JP5132122B2 (ja) 粘着性放熱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