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584A - 자기발열 쑥뜸패취 - Google Patents

자기발열 쑥뜸패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584A
KR20040018584A KR1020020049954A KR20020049954A KR20040018584A KR 20040018584 A KR20040018584 A KR 20040018584A KR 1020020049954 A KR1020020049954 A KR 1020020049954A KR 20020049954 A KR20020049954 A KR 20020049954A KR 20040018584 A KR20040018584 A KR 20040018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moxibustion
layer
mugwort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권
이웅희
임선묵
손인철
Original Assignee
아이큐어 주식회사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손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큐어 주식회사,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손인철 filed Critical 아이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8584A/ko
Publication of KR20040018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5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6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laminated sheets or wrapper bla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쑥을 주성분으로 함유한 점착층과 발열층을 적층하여 피부에 부착하는 밀착포 형태의 쑥뜸 패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금속이 산화반응을 통해 산화금속으로 변할 때 발생되는 반응열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열조성물, 발열조성물의 발열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산소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공기투과 조절막, 발생된 열을 경혈부위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며 점자극을 주는 역할을 하는 금속박막 및 단열층으로 이루어진 발열층과 쑥 추출물을 함유한 약물함유 점착층으로 구성되며, 기존 쑥뜸 제제의 사용상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패취형태로 설계하여 간편하게 피부에 부착하여 활동성을 부여하면서도 쑥뜸 시간이 충분히 지속되고, 피부 자극이 최소화되도록 설계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쑥뜸 패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기발열 쑥뜸패취 {Moxa patch for self-exothermicity}
본 발명은 피부에 부착하여 활동의 용이성을 부여하며 지속적인 쑥뜸 시간을 유지하도록 설계한 쑥뜸 기능 패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기투과 조절막, 발열조성물, 금속박막 및 단열층으로 이루어진 발열체층과 뜸치료에 이용되는 약쑥의 주성분을 함유한 감압성 점착제로 이루어진 약물함유 점착층이 적층된 형태로서, 쑥에서 추출된 약효성분의 피부를 통한 흡수와 온열자극에 의한 뜸치료 효과로 인해 한방 약리학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제조한 쑥뜸 패취에 관한 것이다.
약쑥(Artemisiae Argyi Folium)은 국화과(Compositae)의 황해쑥(Artemisia argyiLEVI. et VANT.) 및 동속 근연식물의 잎을 말린 것으로서, 성분으로는 정유를 함유하는데, 그중 가장 많은 성분은 시네올(cineol)로 25 내지 30%를 차지하며, 이밖에 아데닌, 콜린, 타닌, 클로로필, β-카료펠렌(caryophellen), 리날올(linalool), 알테미시아 알콜(artemisia alcohol), 캠퍼(camphor), 보네올(borneol) 등이 포함되며, 또한 비타민 A, C, 비타민 B1, B2, B6, 칼슘과 카로틴 등도 함유되어 있고, 항균작용, 만성 위장병 치료 작용, 신경통, 냉증, 설사, 고혈압, 항암 작용을 한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1014-1015, 1998). 약으로 사용시 내복 및 외용이 가능하고, 성질이 따뜻하여 경락과 기혈을 잘 통하게 하여 건위, 보비, 윤폐, 생혈, 강장, 보양, 진통 제독 작용을 한다고 하여, 예로부터 약쑥을 분말화하여 성형한 뜸 기둥을 만들어 치료나 증세를 호전시키기 위해 많이 이용해 왔다.
쑥뜸은 약쑥을 잘 빚어서 피부의 혈(穴) 위에 올려놓고 태워서 나오는 쑥기운이 피부속으로 들어가 경혈을 온열자극하게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또한 쑥이 갖는 약리작용을 통해 피하조직의 활성과 밸런스를 회복시켜서 질병치료와 또는 그 치료효과를 증대시키는 치료요법으로서, 효능은 여러 의학관련 보고서를 통해 종종 보고되고 있으며, 1979년 WHO(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쑥뜸은, 생체의 항체면역기능을 증진시키고, 신경성 질환에 대하여는 항마비 효과가 있고, 경련성 질환에는 진정효과, 자율신경 계통에도 조정작용이 있으며, 심장 맥관계의 혈관운동을 조정하는 효과도 있고, 신장 기능의 향상시키며, 내분비 이상 질환 또는 체액 대사에도 상당한 개선효과가 있음이 인정된 바 있다.
쑥뜸 치료에 이용되는 경혈(뜸자리)이란, 한의학에서 말하는, 인체 내의 기맥이 순환하는 14 경락의 생리적 요소에서 기혈의 동정과 명맥을 조절하여 인체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365개의 부위를 말한다. 그 중 중요한 30여 혈 중에서, 고결이나 압통이 생긴 환부의 경혈에 뜸을 뜨면 기혈을 온보 생신하고 양기를 보함으로써, 질병의 치료는 물론 건강의 유지에도 도움이 되며, 또한 뜸을 뜨는 자리는 혈액 순환이 원활해지고 유해물질이 감소되고 세포의 움직임이 활성화되어 관절염 등의 통증이 느껴지는 부위에는 쑥뜸의 온열치료로 진통과 소염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대표적인 쑥뜸 요법으로는 쑥뜸이 직접 피부에 닿도록 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 능력을 길러주거나, 혈허(血虛), 허한(虛寒)에 쓰이는 직접구와 쑥뜸과 체표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 간접구가 있는데, 직접구는 일명 유반흔구(有瘢痕灸)라고도 하며, 열자극에 의한 신경반사로 얻는 효과와 화상의 혈청면역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지나치게 강한 열과 자극으로 인해 화상과 뜸 자국을 남기게 되므로 조심해야 하고, 간접구는 일명 무반흔구(無瘢痕灸)라고 하며, 온열기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쑥뜸은 내과적 질환 및 관절 질환에 다용되고, 원통형 애권을 사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복통, 피부병 등에 쓰이는 애권구와 뜸기구를 이용하여 비교적 넓은 부위에 온열 자극을 주는 다봉구가 있다.
그러나 쑥뜸의 상기와 같은 임상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쑥뜸 방법은, 쑥뜸구를 경혈 부위에 맞추어 배열한 후 쑥을 연소시켜 열과 쑥의 약효성분을 환부에 전달시키고자 하는 것인데, 뜸을 하는 동안, 뜨거운 열기로 인해 피부가 가벼운 화상을 입게 되어 고통스럽고 피부에 뜸자리가 남게 되므로 환자가 긴장하여 모세혈관이 수축됨으로써 오히려 혈압이 오르고 질병이 악화될 수 있으며, 쑥뜸 시 쑥의 약효 성분중 일부가 휘발 또는 연소되므로 충분한 약쑥의 효과를 보기도 어려우며 연기로 인한 불편도 따르게 된다. 또한 쑥뜸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장시간 쑥뜸의 적용이 요구되어 종래의 쑥뜸 방법으로는 1회 연소만으로 충분한 뜸 지속시간을 얻을 수 없으므로 수차례 쑥을 교환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뜸을 하는 동안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는 등 불편함이 있어, 피부 자극이 최소화되고 사용하기 편리하면서도 효과적인 쑥뜸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종래의 쑥뜸 장치나 쑥뜸기에 관한 기술로는, 국내특허공개 제1997-0025585호에 여러 겹으로 된 합지의 중앙에 통공이 천공되고, 합지의 밑면에는 접착 스티커가 착탈되도록 하고 윗면에는 금속박지를 점착한 중앙에 마늘이나 생강, 또는 부자로 된 심지를 축으로 감싸도록 종이로 말아 기둥형으로 하여 이를 세워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장치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는 약쑥의 연소시 연기가 많이 발생하여 불편한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특허공개 제1998-030025호에서는 내부에는 상향 확개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에서 상기 구멍의 외곽으로 약재 안착용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윗면 중앙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의 구멍에 약쑥을 넣고 상기 안착홈에 약재편을 안착시켜서 연소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가 공시되어 있으나, 이는 별도의 송풍팬과 같은 산소공급기가 필요하므로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국내특허공개 제2001-0020953호에서는 외부에서 전선을 통해 전압이 인가되면 일정한 온도범위에서 발열하는 발열수단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고정판을 구비하여, 상기 발열수단을 하부에서 고정 및 지지하면서 상기 발열수단의 열을 피부에 간접 전달하기 위한 제 1 열전달 매개체를 구비한 발열체 고정수단과 상기 발열수단 및 발열체 고정수단의 상부와 측면 전체를 둘러 감싸는 몸체를 형성하여 상기 발열수단의 열이 상부와 측면으로 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수단 및 피부와의 접촉면을 갖는 고무 패드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열전달 매개체에 의해 간접 가열되게 하고, 상기 제 1 열전달 매개체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제 2 열전달 매개체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발열체 고정수단에 착탈되는 착탈식 쑥뜸용 패드수단을 포함하였으나, 상기 발열수단이 일정한 온도 영역에서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양의 온도계수(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를 갖는 세라믹 저항 발열체 또는 고분자성 물질에 전기 양도체를 혼합한 도전성 고분자 발열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쑥뜸기를 공시되어 있으나, 이는 별도의 전원 장치가 필요하므로 휴대하기가 어려우며, 몸을 움직일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마찬가지로, 쑥뜸을 이용한 첩부제에 관련된 기술로는 국내특허공개 제1998-078027호에서는 쑥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고 노닐산바닐아미드, 벤질니코틴네이트, 고추엑스, 고추틴크, 캅사이신 또는 캅사이신 함유 제제 등의 피부자극제를 첨가하는 쑥찜 파프제를 공시하였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경혈부위에 열자극을 주는 것이 아니고 단지 피부자극만을 나타내어 종래의 쑥뜸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으며, 국내특허공개 제2001-0090637호에서는 산화칼슘과 물의 수화반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약쑥에 점화를 시키지 않고 쑥증기를 발생시켜 쑥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쑥뜸 제제를 공시하였는데, 이는 순간적인 온도가 95 내지 105℃에 이르기 때문에 화상에 대한 위험이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있었다.
그 외 국내에 여러 종류의 쑥찜팩이 시판되고 있기는 하나, 이는 온도가 65 내지 75℃로 피부에 가벼운 화상의 우려가 있어 타올 등에 싸서 피부에 적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쑥뜸 본래의 치료효과를 충분히 나타내면서, 화상의 염려없이 적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며, 종래 쑥뜸법에 따르는 연기의 불편함이나 쑥을 태우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전기장치로 인한 기구적 불편을 해소하고 치료 중에도 활동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피부 자극이 최소화되고, 약쑥의 유효 성분이 체내에 용이하게 흡수되어 쑥뜸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패취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고, 피부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감압성 점착제층에 쑥의 유효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간편하게 피부에 부착하여 활동성을 부여하면서 쑥 성분이 피부를 통해 체내로 흡수될 수 있으며, 뜸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40 내지 45℃의 온도를 일정하게 지속할 수 있는 발열조성물, 공기투과 조절막, 금속박막 및 단열층으로 이루어진 발열층을 상기의 약물함유 점착층과 적층시켜, 본 발명의 쑥뜸 패취를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동이 용이하고, 지속적인 온도유지 및 약쑥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쑥뜸 패취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쑥뜸 패취 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쑥뜸 패치 조립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쑥뜸 패취와 기존의 쑥찜팩을 부착한 후, 시간에 따른 부착 부위의 온도 변화를 비교한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공기투과 조절막2: 발열층
3: 금속박막 4: 단열층
5: 쑥의 약리성분을 포함한 약물함유 점착층
6: 박리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열층의 발열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투과 조절막(1), 금속의 산화반응열을 이용한 발열조성물(2), 발생된 열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필요한 경혈부위에 모아주는 금속박막(3) 및 단열층(4)으로 이루어진 발열층, 뜸치료에 이용되는 약쑥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한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점착제로 이루어진 약물함유 점착층(5) 및 사용시 제거되는 박리층(6)이 적층된 형태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기투과 조절막의 투과도가 300 내지 10000g/m2·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금속박막층은 알루미늄, 금, 은 또는 동박의 재질이 가능하며, 두께가 10 내지 200μ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μm의 평판형 또는 요철형이 가능하며, 요철 부위 직경이 10 내지 20mm,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약쑥 추출물은 약쑥 함유 점착층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며, 약쑥 함유 점착층의 두께가 30 내지 100μ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 입방체 또는 타원체로 이루어진 기하형태에서 선택된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쑥뜸 패취의 제조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 건조 상태의 약쑥을 재료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한 다음 건조기에서 말린 후, 이 약쑥의 10 내지 15배 부피/중량의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가하여, 90 내지 95℃ 이상의 추출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시간 동안 추출 총량의 20 내지 50배의 물로 2 내지 5회 동안 추출,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극성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얻는 제 1단계,
2) 상기 추출 단계로부터 수득한 추출액을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녹이고, 이를 아크릴계 점착성 고분자 1:2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리콘으로 표면처리된 박리지에 도포하여 원형으로 절단하는 제 2단계,
3) 미세철분, 활성탄, 염화나트륨, 물 및 규조토로 구성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발열조성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4) 발포 폴리에틸렌 폼의 중심을 천공하여 요철을 형성시키고, 동박과 적층하는 제 4단계,
5) 공기투과 조절막이 합지된 부직포에 제 3단계에서 제조된 발열조성물, 제 4단계에서 제조된 금속박막 및 단열층의 적층물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제 1단계에서 제조된 약쑥 추출물 함유 점착층을 전연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제조공정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쑥뜸 패취는 재단 형상이나 크기를 본 발명에 한정하지 않고, 부착부위에 따라 적절히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쑥뜸 패취의 활동의 용이성, 지속적인 온도유지 및 약쑥의 흡수촉진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한 결과, 공기투과 조절막은 하부에 적층된 발열조성물이 반응하는데 필요한 산소를 적절한 속도로 공급할 수 있도록 기공이 형성된 0.01 내지 2mm 두께의 필름상 재질로서, 조절막을 통한 산소의 투과도가 증가할수록 발열조성물은 짧은 시간에 고온까지 발열되어 발열 유지시간은 짧아지게 되며 반대로 산소 투과도가 적을수록 서서히 승온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장시간 발열을 유지하게 됨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화상의 염려 없이 뜸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40 내지 45℃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위해서는 공기투과 조절막의 투과도(MVTR)는 300 내지 10,000g/m2일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기투과 조절막의 두께가 0.01mm 이하이면 산소의 투과속도가 너무 빨라지고 내부 발열물질을 기계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으며, 2mm 이상이면 산소의 투과속도가 너무 느리며 피부방향으로의 열전달이 방해를 받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투과 조절막의 재질로는 발포 또는 비발포의 필름, 시트, 종이류,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성 필름 또는 이들의 적층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용도에 따라 적당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열조성물(2)은 종래의 일본특허공개공보 제89319477호(A2), 일본특허공개공보 제61126019호(A2) 등과 미국특허공보 제4366804호, 미국특허공보 제4649895호 등에 공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성 분말, 활성탄 및 무기 전해질을 주성분으로 한다.
산소와의 산화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금속성 분말은 철 분말, 아연 분말, 알루미늄 분말 또는 마그네슘 분말 혹은 이들의 2종 이상의 금속분으로 이루어지는합금의 분말, 또한 이들 중 2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금속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분을 유지시키기 위한 보수제는 규소계, 석탄계, 탄소계 및 흡수성을 나타내는 무기물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무기물 중에서는 코코넛껍질, 나무, 목탄, 석탄, 골탄 등으로부터 제조된 활성탄이 유용하다. 산화 반응의 촉매인 무기 전해질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중금속의 염화물 및 알칼리 금속의 황산염 등이 사용 가능하며, 이중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제이철, 황산나트륨 등이 유용하다. 각각의 염류는 단독 또는 2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며, 사용된 염은 일정한 농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수용액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패취 부착된 경혈부위의 온도를 40 내지 45℃ 정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발열 조성물의 전체 중량은, 발열 조성물의 산화에 의해 발생된 열이 본 발명에 적용된 공기투과 조절막, 금속박막 및 단열층 등에 의해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되므로, 종래의 발열팩에 사용되는 발열조성물의 양에 비해 적은 양인 1 내지 5g 정도의 소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열조성물의 중량이 1g 이하일 경우 총 발열량의 저하로 씀뜸패취 부착부위의 온도를 40도 이상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5g 이상을 사용할 경우, 발열량 과다로 인한 화상의 우려가 있으며 내용물의 증가에 따라 패취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 본 발명의 목적인 사용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발열 조성물의 배합 비율은 발열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금속성 분말 20 내지 80 중량%, 활성탄 5 내지 20 중량% 및 무기전해질 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된 투과조절막의 성상, 목적으로 하는 발열 성능 등에 따라 상기 조성범위 이외의 조성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 이외에 목적하는 바에 따라 폴리아크릴류, 전분류, 및 이소부틸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등과 같은 응집보조제, 진주암 분말, 버미큐라이트, 고급 수성 수지 등의 보수제 또는 수소발생 억제제, 고결 방지제 등을 선택적으로 혼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금속박막층(3)은 발열조성물의 산화반응을 통해 발생한 열이 금속박막층 전체에 전도되어 열이 약물을 함유한 점착층으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금속박막층의 하부에 적층된 단열층(4)은 금속박막과 약물함유 점착층의 접촉면 일부분을 차단하여, 금속박막에 전도된 열이 단열층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점착층과 직접 접촉되는 점착층 부분으로만 전도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패취에 의한 열자극이 경혈 부위에 집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패취에 있어서, 상기의 금속박막 및 단열층이 발열조성물 하부에 적층된 형태의 발열층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구성 요소로서, 발생된 열을 필요한 부위에 효율적으로 전도시킴으로써 최소량의 발열조성물을 이용하여 뜸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40 내지 45℃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열자극의 형태를 경혈 부위에 집중된 점자극의 형태로 집중시켜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박막층으로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동박, 알루미늄박, 금박 또는 은박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박막층의 두께는 10 내지 200μ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범위의 두께보다 얇은 박막층을 사용할 경우, 기계적강도가 저하되어 제조과정이나 보관중에 변형이 일어나기 쉬우며, 반대로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패취를 피부의 굴곡면에 부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금속박막층의 형태는 평판의 형태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단열층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단열층으로 차폐되지 아니한, 약물함유 점착층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을 요철처리한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금속박막층의 일부를 요철로 처리하는 경우, 쑥뜸시 자극이 필요한 경혈부위의 면적과 열효율을 고려하여, 단열층으로 차폐되지 아니한, 약물함유 점착층과 직접 접촉되는 면적은 20 내지 30 mm2인 것이 바람직하며 직경은 10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열전도가 충분하지 못하거나 열전도 면적이 커져 부착부위의 치료부위의 온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단열층(4)으로는 열전도도가 낮으며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 염화비닐을 사용한 합성수지 필름 또는 시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단열층의 두께는 1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두께의 단열층을 사용할 경우 단열효과가 저하되거나, 금속박막층과 약물함유 점착층의 접촉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약물함유 점착층(5)은 약쑥의 약리성분을 포함한 쑥 추출물 및 기제로서 감압성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약쑥 추출물은 한방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 정제, 농축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입자상의 고형물로서 약쑥의정유성분 및 항산화성분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약쑥 추출물의 첨가량은 약물함유 점착층의 총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범위 내에서 첨가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약쑥 추출물의 첨가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쑥에 의한 약리작용을 기대하기 어렵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약쑥 추출물과 점착제의 혼화성 저하, 기제로서의 점착층의 기계적 물성이나 점착성의 저하가 나타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제인 감압성 점착제로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이소프렌, 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의 고무계 고분자 또는 폴리디메틸실록산계의 실리콘 고분자 등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한다.
이들 기재로 사용되는 감압성 점착제의 첨가량은 약물함유 점착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90 중량% 범위 내에서 첨가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의 첨가량이 6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기제로서의 물성이나 점착성을 나타내기 곤란하며,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약효성분과 기타 첨가제의 함량이 감소하여, 쑥에 의한 약효가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쑥뜸 패취에 있어서 상기 약물함유 점착층(5)에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록시 프로필셀룰로우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등과 같이 점착층의 물성을 개선하기 위한 고분자 첨가제 ; 로진계 수지, 폴리테르펜계 수지, 석유계 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등과 같은 점착성 부여제 ; 액상 폴리부텐, 액상 폴리아크릴레이트, 광유, 라놀린 등의 가소제 : 벤토나이트, 활석, 산화아연, 산화칼슘, 실리카겔, 카오린, 티타늄옥사이드의 무기물 등의 충전제 등을 선택적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취제에 있어서 약물함유 점착층(5)에는, 추가적으로 유효 약물인 쑥 추출물의 피부투과도를 높이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피롤리돈 유도체 등의 피부투과 증진제를 선택적으로 첨가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약제학적 허용 범위 내에서 방향제, 보존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색소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취제에 있어서 박리층(6)은 실리콘 또는 불소화합물을 코팅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이루어진 얇은 막으로서 상기 점착층(5)에 부착되어 사용 전까지의 보관기간동안 점착층 내에 함유되어 있는 약물의 방출을 막고 점착층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사용시 제거되어지는 층이며, 경피투여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물질이나 형태의 것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쑥뜸 패취의 전체 면적은 효율적으로 설계된 공기투과 조절막, 발열조성물의 중량, 금속박막 및 단열층 등을 고려할 때, 100 내지 500mm2인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 면적이 100mm2이하일 경우 필요한 발열조성물의 양을 함유하기 어려우며, 500mm2이상일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인 사용의 편의성, 부착시 활동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의한 쑥뜸 패취는 인체에 부착시 외부 온도와 개개인에 따라 또는 신체 부위 온도 차이에 의해 발열온도에도 차이가 있으며, 각 사람의 체질과 질병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뜸을 붙이는 시간이 각각 차이가 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쑥뜸 패취는 부착 후, 2시간까지 40 내지 45℃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여 뜸에 의한 경혈자극효과와 점착층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경피투여에 의한 치료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실험예 및 비교예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쑥뜸 패취의 제조
약쑥 추출물의 제조
약쑥의 생쑥 또는 건조쑥(시판품) 300g에 에탄올 3000㎖를 가하여 90 내지 95℃를 유지하는 추출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열수추출한 후 여과지(Whatman사)로 상층액을 여과하고, 남은 여액을 침전조에서 1일간 방치시켰으며, 이 액을 여과하여 55 ~ 65℃로 감압농축한 다음 약쑥 추출물 17g을 제조하였다.
약물함유 점착층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약쑥 추출물 2.25g를 에탄올 12.27g에 녹이고 아크릴계 점착성 고분자 12.55g에 혼합하여 실리콘으로 표면 처리된 박리지에 도포하였으며,5 cm2면적의 원형으로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발열조성물의 제조
미세철분 52.0 %, 활성탄 13.0 %, 염화나트륨 4.0%, 물 24.0% 및 규조토 7.0% 구성된 혼합물 50g을 혼합기(MS1, IKA사, 말레이시아)에서 충분히 혼합하여 발열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금속박막 및 단열층의 제조
면적이 5.0 cm2인 발포 폴리에틸렌 폼의 중심부분을 동심원 모양으로 1.0cm2정도를 천공하여 중심부분을 1.0cm2정도의 원형으로 요철을 형성시키고, 동박(두께 : 35μm)과 적층한다.
패취의 제조
제조된 발열조성물 1.5 내지 2.0g을 취하여, 공기투과 조절막으로 사용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투습도 : 640 g/m2·일)이 합지된 부직포에 올려놓고, 제조된 금속박막/단열층의 적층물과 다시 적층한 후, 단열층 면에 상기의 약물함유 점착층을 전연시켜 본 발명의 패취를 제조한다
실시예 2. 쑥뜸 패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약쑥 추출물 1.50g을 에탄올 10.64g에 용해하고, 고무계 점착성 고분자 13.3g에 혼합한 약물 함유 점착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쑥뜸 패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발열조성물의 조성이 철분 50.0 %, 활성탄 7.0 %, 염화나트륨 2.0%, 물 29.0 %, 규조토 8.0% 및 고흡수성 수지 4.0%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쑥뜸 패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공기투과 조절막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 (투습도 : 4,000 g/m2·일)에 합지된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쑥뜸 패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금속 동박의 두께를 18μm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쑥뜸 패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단열층 및 금속동박의 면적이 7.0 cm2이며, 동박의 두께가 70μm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쑥뜸 패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단열층 및 금속 동박의 면적이 9.0 cm2, 천공된 동심원의 면적이 3.0cm2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쑥뜸 패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금속 동박대신 금속 알루미늄박 (두께 : 18μm)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쑥뜸 패취의 물리적 성질 비교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8에 따라 제조된 쑥뜸 패취를 피부에 부착한 다음 약물층 아래에서 온도센서로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한 실험한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쑥뜸 패취의 물리적 성질 비교
실시예 발열 평균온도(℃) 발열 지속시간(h) 40℃도달시간(분)
실시예 1 46 170 11
실시예 2 48 130 11
실시예 3 42 160 15
실시예 4 41 120 18
실시예 5 43 110 11
실시예 6 42 160 15
실시예 7 40 140 17
실시예 8 43 140 20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쑥뜸 패취들은 40℃까지 11 분 내지 20분내의 짧은 시간에 도달하여 발열되며, 뜸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40 내지 48℃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10분 내지 170분까지의 발열을 지속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하부에 적층된 발열조성물이 반응하는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조절막의 투과도, 발열조성물의 중량, 금속박막 및 단열층이 발열조성물 하부에 적층된 형태의 발열층 등이 적절하여 발생된 열을 필요한 부위에 효율적으로 전도시킴으로써 최소량의 발열조성물을 이용하여 뜸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40 내지 45℃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2시간 이상의 발열을 지속하므로 뜸에 의한 경혈자극효과와 점착층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경피투여에 의한 치료효과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쑥찜팩과의 비교
본 발명의 쑥뜸 패취와 시판되는 쑥찜팩과의 경혈부위에 대한 열자극 성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쑥뜸패취와 시판되는 쑥찜팩(상품명:쑥찜팩, 판매원:부광약품공업)을 피부에 부착하여 실험예 1과 같은 방법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쑥뜸 패취와 시판품 쑥뜸팩 모두 뜸의 효과를 나타내는 40℃까지의 도달시간은 15 내지 20분으로 짧았으나, 쑥뜸 패취가 40 내지 45℃를 계속적으로 180분 동안 유지한 것에 반하여 쑥찜팩은 50 내지 60℃까지 발열하였으며, 180분 동안 온도 유지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참조).
이로서, 본 발명의 쑥뜸 패취는 발열시간, 온도 지속시간 및 쑥뜸으로 인한 생리적 기능 향상 등으로 기존의 단점을 탁월하게 개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안전하고 활동성이 용이하고 피부자극이 최소화되는 효과적인 쑥뜸 제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쑥뜸은 점화, 환기, 화상, 발열을 위한 외부로부터의 에너지공급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활동이 용이하며, 약물층의 약효성분이 열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환부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안전한 쑥뜸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1) 공기투과 조절막, 발열조성물, 금속박막층 및 단열층으로 이루어진 발열층,
    (2) 약쑥 추출물, 용해보조제, 감압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약물함유 점착층,
    (3) 박리층이 적층된 형태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
  2.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박막층은 알루미늄, 금, 은 또는 동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질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
  3. 제 1항에 있어서, 금속박막층의 두께는 10 내지 2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
  4. 제 1항에 있어서, 금속박막층은 평판형 또는 요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
  5.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박막층의 요철부위 직경은 10 내지 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
  6.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투과 조절막의 투과도(MVTR)가 300 내지 10,000g/m2·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
  7. 제 1 항에 있어서, 약쑥 추출물이 약쑥함유 점착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
  8. 제 1 항에 있어서, 약쑥함유 점착층의 두께가 30 내지 1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형, 입방체, 또는 타원체로 이루어진 기하형태에서 선택된 형태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열조성물의 전체 중량이 1 내지 5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취의 면적이 100 내지 500m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
  12. 제 1 항에 있어서, 단열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 염화비닐을 사용한 합성수지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패취.
KR1020020049954A 2002-08-23 2002-08-23 자기발열 쑥뜸패취 KR20040018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954A KR20040018584A (ko) 2002-08-23 2002-08-23 자기발열 쑥뜸패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954A KR20040018584A (ko) 2002-08-23 2002-08-23 자기발열 쑥뜸패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584A true KR20040018584A (ko) 2004-03-04

Family

ID=3732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954A KR20040018584A (ko) 2002-08-23 2002-08-23 자기발열 쑥뜸패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858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187B1 (ko) * 2008-11-28 2012-02-22 (주)아모레퍼시픽 한지를 이용한 한방 발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37957B1 (ko) * 2009-09-21 2012-05-10 주식회사 영우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KR20200073035A (ko) * 2018-12-13 2020-06-23 (주)지엘 쑥 하이드로 겔이 도포된 핫팩
CN116712324A (zh) * 2023-04-27 2023-09-08 云南郑保制药有限公司 一种三七艾灸贴
CN118059073A (zh) * 2024-02-22 2024-05-24 海南省妇女儿童医学中心 一种小儿腹部热敷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9863A (ja) * 1988-10-28 1990-05-07 Yoshinobu Sugimoto 加温灸配合物
KR100339022B1 (ko) * 2000-04-10 2002-05-31 김기범 수화반응에 의한 열을 발생시키는 쑥뜸제제 및 그 구조
KR20030072823A (ko) * 2002-03-06 2003-09-19 윤상권 자기발열성물질을 이용한 약물의 경피흡수제제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20040017051A (ko) * 2002-08-20 2004-02-26 김진섭 뜸 효과를 가지는 쑥뜸 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제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9863A (ja) * 1988-10-28 1990-05-07 Yoshinobu Sugimoto 加温灸配合物
KR100339022B1 (ko) * 2000-04-10 2002-05-31 김기범 수화반응에 의한 열을 발생시키는 쑥뜸제제 및 그 구조
KR20030072823A (ko) * 2002-03-06 2003-09-19 윤상권 자기발열성물질을 이용한 약물의 경피흡수제제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20040017051A (ko) * 2002-08-20 2004-02-26 김진섭 뜸 효과를 가지는 쑥뜸 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제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187B1 (ko) * 2008-11-28 2012-02-22 (주)아모레퍼시픽 한지를 이용한 한방 발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37957B1 (ko) * 2009-09-21 2012-05-10 주식회사 영우 미세요철이 형성된 방열시트
KR20200073035A (ko) * 2018-12-13 2020-06-23 (주)지엘 쑥 하이드로 겔이 도포된 핫팩
CN116712324A (zh) * 2023-04-27 2023-09-08 云南郑保制药有限公司 一种三七艾灸贴
CN116712324B (zh) * 2023-04-27 2024-04-23 云南郑保制药有限公司 一种三七艾灸贴
CN118059073A (zh) * 2024-02-22 2024-05-24 海南省妇女儿童医学中心 一种小儿腹部热敷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25297A (ja) フェンタニールおよびスフェンタニールの改良された投与の方法および装置
CN102579195A (zh) 新型泥疗、蜡泥疗敷贴
CN109528486A (zh) 一种自热无烟型艾灸贴
CN105168189A (zh) 一种中药热渗透止痛贴
CN105662845A (zh) 一种艾灸热磁理疗贴
CN201320240Y (zh) 外用恒温中药经皮给药贴
CN104873323A (zh) 一种软组织疼痛医用磁疗热敷贴及其制备方法
CN101947163A (zh) 发暖卫生巾
CN104224529A (zh) 艾叶妇科保健贴
KR20040018584A (ko) 자기발열 쑥뜸패취
CN209048420U (zh) 一种可拉伸式穴位灸理疗贴
JP2007136053A (ja) 膏薬温熱用具
JP3004769B2 (ja) 温熱治療用構造物
CN106913603B (zh) 一种灵芝灸贴及其制备方法
CN201216810Y (zh) 自发热药贴
JPH02119863A (ja) 加温灸配合物
CN202122720U (zh) 一种药贴
CN104083278A (zh) 深度灸疗热磁灸贴
CN113827643A (zh) 一种自热型通络止痛贴剂及其制备方法
JP2003116902A (ja) 機能性シート
CN112587564A (zh) 一种自发热药贴
CN210131098U (zh) 穴位磁疗药物热灸贴
CN102824245A (zh) 一种自发热贴剂
CN205215766U (zh) 一种风湿膏药贴
CN215960616U (zh) 一种具有理疗功能的自发热中药敷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