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742B1 -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742B1
KR101137742B1 KR1020100019976A KR20100019976A KR101137742B1 KR 101137742 B1 KR101137742 B1 KR 101137742B1 KR 1020100019976 A KR1020100019976 A KR 1020100019976A KR 20100019976 A KR20100019976 A KR 20100019976A KR 101137742 B1 KR101137742 B1 KR 10113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go butter
powder
composite powder
skin
coating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896A (ko
Inventor
이범주
김원겸
정순규
김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미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미랜드
Priority to KR102010001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74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고버터로 판상분체를 코팅하여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 화장료에 비해 뛰어난 보습 및 피부 탄력도 개선 효과를 동시에 나타낸다.

Description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ETHOD FOR PREPARING MANGO BUTTER COATING COMPOSITE POWDER AND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 화장료들에 비해 보습 및 피부 탄력도 효과를 동시에 개선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파우더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는 얼굴에 도포하여 피부의 결점을 커버하고 피부결을 정리하며 피부에 아름다운 색상을 부여하고, 피부를 미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분말상 또는 분말상을 압축성형한 고형 케이크상으로 나누어진다. 분말상으로는 루즈 타입의 파우더류가 있으며 고형 케이크상으로는 투웨이케익, 파우더 팩트, 아이섀도우 등이 있다.
한편, 메이크업 화장료는 제형 형태에 따라 약간의 차이점이 있으나, 대체적으로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는 스쿠알란과 같은 유성성분, 색상부여와 피부결점 커버를 위해 사용되는 분체류, 점도 경도를 조절하는 왁스류, 및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수성 성분으로 구성되어진다.
이중에서도 분체류는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질화붕소, 나이론, 실시카,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체질안료, 피부결점의 은폐력이 우수한 이산화티탄, 산화아연(Zinc oxide) 등의 백색안료, 흑색산화철 등의 산화철류, 및 감청, 황색5호 알루미늄레이크, 산화크롬, 울트라마린, 법정 타르 색소류 등의 색을 내는 착색안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형상의 차이에 따라 그 종류나 양이 달라질 수 있으나 메이크업 화장료에는 이와 같은 안료(분체)류가 필수불가결하게 사용되는데, 이러한 분체류의 사용에 따른 피부 건조감 및 탄력의 저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9-0056295에서는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치콘을 포함한 폴리옥시알킬렌 부가 올가노폴리실록산 또는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부가 올가노폴리실록산과 소수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함유함으로써 내수상의 휘발에 의해 발생하는 내용물의 수축, 표면 갈라짐 및 사용감 변화를 막아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성과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보습효과가 좋은 고형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5-0045322에서는 피부지질 유사성분 및 천연보습인자 (NMF)가 결합된 알킬변성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합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를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메이크업 화장료는 피부의 건조감을 감소시키는 정도에 그칠 뿐이어서 여전히 피부를 건조하게 하고 탄력을 저하시켜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피부의 보습과 탄력 향상을 위해서는 보습크림이나 피부 리프팅 화장품 등의 기초 화장품을 추가로 사용해야 한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웰빙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먹거리 뿐만 아니라 피부를 위한 화장료에도 천연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천연물을 첨가한 로션, 크림과 같은 기초 화장료 등이 많이 개발, 제조되고 있으나, 천연물을 사용한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품은 아직 미진한 상황이다.
한편 망고 나무(Mangifera indica)의 과육 껍질 부위에서 주로 추출되는 망고버터는 C18:0, C18:1의 지방산이 풍부하며 상온에서는 고체상을 유지하지만 피부 표면과 유사한 녹는점을 가지므로 피부에 접촉시 바로 용해, 분산되어 피부에 쉽게 흡수될 수 있다고 보인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1-0027942에서는 망고버터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정량의 망고버터를 입술용 조성물 내에 단순히 첨가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여 이를 메이크업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에 직접 적용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안출한 것으로, 특히 상기한 천연물질인 망고버터로 판상분체를 코팅한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주재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이용하여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키기에 가장 바람직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망고버터 및 판상분체를 주재로 하여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제조하고, 상기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유기물 정량하여 판상분체에 대한 망고버터의 코팅량을 확인하고, 경피수분증발량 측정 및 피부 탄력도 측정을 통해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의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탄력도 개선 효과를 확인, 평가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판상분체를 망고버터로 코팅하여 제조된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는 기존의 메이크업 화장료의 단점인 건조감을 해결하고 탁월한 보습효과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킨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의 유기물 정량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망고버터 코팅량과 유기물 정량값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피부 탄력도 측정을 위한 각 상수값을 정의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 실시예 1-4>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하기에는 도 1에 따라 공정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교반장치가 장착된 반응조에 THF(Tetrahydro furan)와 판상분체를 첨가한 후 2,000 rpm에서 10분간 분산시켰다(제1공정). 여기에 디메치코놀을 첨가한 후 2,000 rmp에서 다시 분산시켰다(제2공정). 고체상의 망고버터를 45℃로 가온하여 액상으로 완전히 용해시킨 후(제3공정) 이 액상의 망고버터를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고 2,000 rpm에서 40분간 분산시켰다(제4공정). 이 혼합물을 정치시키고 숙성시켜(제5공정) 층분리를 확인한 후 여과시켰다(제6공정). 이 여과물을 65℃에서 10시간 이상 건조시켜 수분함량이 1.0% 미만이 되도록 한다(제7공정).
THF는 망고버터와 판상분체가 서로 잘 섞이도록 하는 용제이며, 디메치코놀은 판상분체와 망고버터를 결합시켜주는 결합제의 역할을 한다. 판상분체는 탈크, 마이카 또는 세리사이트 중에서 선택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판상분체 90.6 내지 96.9 중량%, 디메치코놀 0.1 내지 0.4 중량% 및 망고버터 3 내지 9 중량%의 비율로 첨가된다. 망고버터는 3 중량% 이하로 첨가될 경우에는 코팅량이 적어 보습이나 피부탄력 개선 등의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며 9 중량% 이상 첨가될 경우에는 망고버터 성분이 많아져 피부에 대한 사용감이 안좋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는 화장료 용도이며, 특히 메이커업 화장료 용도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5 내지 25 중량% ,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팩트, 트윈케이크, 루즈 파우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는 립스틱, 립글로스, 립라이너, 립밤 등 립케어 목적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로션, 크림 등 기초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가능하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의 실시예 1 내지 4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중량%) 실시예 2(중량%) 실시예 3(중량%) 실시예 4(중량%)
망고버터 3 5 7 9
판상분체 96.9 94.8 92.7 90.6
디메치코놀 0.1 0.2 0.3 0.4
실험예 1. 망고버터-판상분체 코팅량 확인
판상 분체에 망고버터를 각각 3 중량%, 5 중량%, 7 중량%, 9 중량%(실시예 1-4) 의 서로 다른 농도로 코팅 처리한 후 상기 농도가 적절하게 판상분체에 코팅처리 되었는지의 여부를 TG-DSC 분석을 통해 판상분체에 대한 망고버터의 코팅량을 확인하였다(도 2a 내지 2d 참조). 실험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코팅 함량 (중량%) 유기물 분석 결과 (%)
실시예 1(MB 3) 3.0 2.92
실시예 2 (MB 5) 5.0 4.95
실시예 3 (MB 7) 7.0 7.06
실시예 4 (MB 9) 9.0 9.26
유기물 정량값에 대한 상관 관계를 도 3에서 확인하였다. 망고버터의 코팅 함량과 실제 유기물 함량간의 R2값을 비교한 결과 0.9997로 높은 상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를 통해 판상분체-망고버터간 코팅이 적절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망고버터는 일반적으로 31-39℃ 온도 범위에서 녹는점을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탈크, 마이카 또는 세리사이트와 같은 판상분체에 코팅이 되면서 망고버터 고유의 녹는점 이상의 온도에서도 녹지 않고 안정한 상을 유지한다. 이는 망고버터와 판상분체가 서로 물리,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복합분체로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상기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의 유기물 정량 실험 데이터를 통해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b의 TG-DSC 분석 그래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MB3~MB9(망고버터 코팅량 3-9 중량%, 실시예 1-4)의 경우 상온에서 500℃까지 일정한 속도로 열을 가했을 경우 200℃까지 복합분체 상태를 유지하다가 그 이상의 온도에서부터 유기물이 분리되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파우더 코팅 공정에서의 건조 공정 및 여름철의 고온의 실온에서 보관될 경우에도 망고버터 코팅이 녹지 않고 안정하게 유지된다.
실험예 2.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적용 파우더 화장품의 경피 수분 손실량 확인.
경피 수분 증발량(Transepdermal Water Loss, TEWL)이란 피부로부터 증발하는 수분량을 가리키며, 각질층에서 피부장벽기능의 대표적인 지표로 사용된다. TEWL은 각질층 중의 수분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파라미터는 아니지만, 장벽기능과 보습기능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피부 상태를 조사하는데 이용된다.
본 실험은 Tewameter (TM300 probe)를 이용하여 TEWL 값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대상은 20대 중반 여성 1명(A), 30대 초반 남성 1명(B), 30대 중반 남성 1명(C) 을 대상으로 TEWL 값을 확인하였다. 측정 당시 온도는 24℃, 상대습도는 31%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TEWL의 측정을 위한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의 실시예 1 내지 4를 15 중량% 함량으로 포함하는 파우더팩트로 제조해서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측정값의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피부, STD(Standard Powder Pact), 실시예 1 내지 4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파우더팩트 제형을 대상으로 하였고, 얼굴에 제형 샘플을 바른 직후의 TEWL값과 도포 후 2시간 이후의 TEWL값을 비교하였다.
표 3은 STD 제형 및 실시예 1 내지 4를 포함하는 파우더팩트 제형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성분 (INCI Name) STD
(중량%)
실시예 1 내지 3을 적용한 제형 (중량%)
탈크/디메치콘 15 15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 15
탈크/메치콘 43.5 28.5
세리사이트/디메치콘/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7 7
세리사이트/레시틴 15 15
실리카 6 6
TiO2/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4 4
   
황색산화철/마이카/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1.9 1.9
적색 산화철/마이카/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0.4 0.4
산화철/마이카/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0.2 0.2
   
폴리디메틸실록산 7 7
합계 100 100
표 4는 20~25℃, 40~60% 조건에서 측정하였을 시 TEWL 수치에 대한 피부 상태를 분류한 것이다. 0~9 까지는 매우 건강한 상태를 의미하며, 30 이상은 심각한 상태를 의미한다.
TEWL (g/h/m2) 0~9 10~14 15~24 25~29 30 이상
상태 매우 건강한
상태
건강한 상태 보통 상태 당기는 상태 심각한 상태
이는 앞서 언급한 대로 20~25℃, 40~60% 조건에서의 측정치이므로 본 연구에서의 결과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우선 상대 습도가 40~60%인 경우이며, 이에 반해 본 실험은 30% 조건에서의 결과이므로 TEWL 수치는 표 4의 수치에 비해 다소 높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실험의 결과는 표 5에 나타나 있다.
A 실험자 1) B 실험자 2) C 실험자 3)
초기 (a) 2시간 후(b) 수분증발
억제효과 (%)4)
초기 (a) 2시간 후(b) 수분증발
억제효과
(%)
초기 (a) 2시간 후(b) 수분증발
억제효과
(%)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피부 14.93 15.44 -3.4 38.32 39.56 -3.2 65.72 77.30 -17.6
STD 15.58 15.34 1.5 41.85 36.25 13.4 67.27 66.33 1.4
실시예 1 적용 18.54 15.40 16.9 40.64 22.24 45.3 60.92 24.68 59.5
실시예 2 적용 21.26 19.10 10.2 39.12 23.26 40.5 60.92 29.85 51.0
실시예 3 적용 17.17 14.40 16.1 41.52 21.36 48.6 62.08 23.86 61.6
실시예 4 적용 24.50 17.52 28.5 40.15 19.98 50.2 66.78 27.54 58.8
(단위: g/h/m2)
1) 20대 중반 여성, 2) 30대 초반 남성, 3) 30대 중반 남성,
4) 경피 수분 증발의 억제효과(%) = (a) -(b)/(a) X 100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 실험자 모두 메이크업을 전혀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오히려 수분 증발이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STD를 적용했던 경우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가 적용된 파우더팩트 제형군에서 경피 수분 증발이 억제되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적용한 실험군들 중 A, B 실험자의 경우 실시예 4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적용한 샘플의 경우 경피 수분 증발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A 실험자는 28.5%, B 실험자는 50.2% 의 경피 수분 증발이 억제되는 개선효과를 보였다. 또한 망고버터 복합분체 중 수분 증발 억제 효과가 가장 낮았던 샘플은 실시예 2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적용한 샘플의 경우였다.
또한 본 실험을 통해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가 적용된 시료를 적용했을 시 피부 상태가 건성인 실험자(C)의 경우, 피부의 보습 정도가 높은 실험자(A)에 비해 탁월한 보습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① A 실험자
: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적용하지 않은 STD 샘플의 경우 1.5%의 수분 증발 억제 효과를 보인 반면,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적용한 샘플군의 경우 모두 두 자리수 이상의 수분 증발 억제 효과를 보였다. 수분 증발 억제 효과는 실시예 4 > 실시예 1 > 실시예 3 > 실시예 2 의 코팅분체를 적용한 샘플의 순으로 나타났다.
② B 실험자
: STD 샘플의 경우 13.4%의 개선 효과를 보인 반면,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적용한 샘플군의 경우 실시예 4 > 실시예 3 > 실시예 1 > 실시예 2 의 순으로 나타나 A 실험자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③ C 실험자
: STD 샘플의 경우 경피 수분 증발 억제 효과가 1.4%인 반면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적용한 샘플군은 모두 50% 이상의 경피 수분 증발 억제 효과를 보여 세 실험자 중 가장 뛰어난 보습 효과를 확인하였다. 수분 증발 억제 효과는 실시예 3 > 실시예 1 > 실시예 4 > 실시예 2 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타 실험자와는 달리 실시예 3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적용한 시료의 경우 가장 높은 수분 증발 억제 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3.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적용 파우더 화장료의 주름개선 효과.
본 실험에서는 Cutometer MPA 580(Courage + Khazaka (C+K) Electronic GmbH, Cologne, Germany)의 장비를 사용하여 피부의 탄력도를 알아보았으며, 실험자의 선정 및 실험방법은 앞서 실시한 경피 수분 증발량을 측정했던 방법과 동일하다. 피부의 탄력도는 12초간 Cutometer를 피부에 접촉시킨 후 얻어진 결과값을 토대로 피부 탄력과 관계된 여러 항수를 확인하였다.
피부 탄력도 측정을 위한 각 상수값 정의를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하였다.
도 4a의 그래프에서 R1은 Uf-Ua의 수치로 첫 번째 곡선의 가장 낮은 위치이며,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능력을 나타낸다. R2는 Ua/Uf의 수치로 최대 진폭들의 비율이며 피부의 재 변형력, 총체적인 탄성(Gross elasticity)을 나타내는데, 이 값이 1 (100%)에 가까운 값일수록 더욱 탄성적인 곡선이다. R5는 Ur/Ue의 수치로 순수 탄력 (Net elasticity)을 나타내며, 1에 가까울수록 탄성적인 곡선을 의미한다.
도 4b의 그래프에서 R9는 R3-R0의 수치로 피부에서 반복된 흡입 후의 지친 효과(Tiring effect)를 나타내며, R9의 값이 작을수록 지친 효과가 낮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즉 R9 값이 작을수록 피부의 피로도가 낮아 탄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R1은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첫 번째 커브에서 측정이 시작된 지점으로부터 정점까지의 이르는 거리(Uf)에서 가장 낮은 지점까지 내려간 거리(Ua)를 뺀 값을 의미한다. 즉 R1은 Uf와 Ua와의 차이로, 0에 가까울수록 탄력이 좋아짐을 의미한다. 각 실험자별 R1 측정값 변화 및 탄력도 개선 효과를 표 6에 나타냈다.
A B C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피부 초기 (a) 0.017 0.013 0.049
2시간경과(b) 0.018 0.012 0.043
개선효과(%) -5.9 7.7 12.2
STD 초기 (a) 0.025 0.03 0.061
2시간경과(b) 0.045 0.029 0.078
개선효과(%) -80.0 3.3 -27.9
실시예 1 적용 초기 (a) 0.022 0.022 0.059
2시간경과(b) 0.016 0.02 0.05
개선효과(%) 27.3 9.1 15.3
실시예 2 적용 초기 (a) 0.034 0.031 0.119
2시간경과(b) 0.028 0.014 0.077
개선효과(%) 17.6 54.8 35.3
실시예 3 적용 초기 (a) 0.02 0.027 0.059
2시간경과(b) 0.007 0.021 0.041
개선효과(%) 65.0 22.2 30.5
실시예 4 적용 초기 (a) 0.024 0.009 0.66
2시간경과(b) 0.017 0.007 0.17
개선효과(%) 29.2 22.2 74.2
* 복원능의 개선효과 (%) = (a)-(b)/(a) X 100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 실험자 모두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경우 및 STD를 도포한 경우에 비해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가 적용된 샘플군에서 탄력도가 개선되어 복원능력이 확연히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중 A 실험자는 실시예 3의 망고버터 복합분체 적용 샘플, B 실험자는 실시예 2의 망고버터 복합분체 적용 샘플, 그리고 C 실험자는 실시예 4의 망고버터 복합분체 적용 샘플에서 가장 좋은 복원능력을 보였다.
R2는 Ua/Uf (도 4a 참조)의 비율로, 피부의 총체적인 탄성(Gross elasticity)를 의미한다. 이 값이 1에 가까울수록 탄성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R2 값의 개선된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2시간 경과후 측정치에서 초기 측정치를 뺀 값에 100을 곱하여 R2 값의 개선된 정도를 각 실험자별로 비교하였다. 각 실험자별 R2 측정값 변화 및 탄력도 개선 효과를 표 7에 나타냈다.
A B C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피부 초기 (a) 0.7278 0.9316 0.786
2시간경과(b) 0.756 0.8804 0.6293
개선효과(%) 2.8 -5.1 -15.7
STD 초기 (a) 0.6875 0.8396 0.7867
2시간경과(b) 0.6298 0.8145 0.6609
개선효과(%) -5.8 -2.5 -12.6
실시예 1 적용 초기 (a) 0.7843 0.7349 0.723
2시간경과(b) 0.8188 0.7353 0.7573
개선효과(%) 3.5 0.04 3.4
실시예 2 적용 초기 (a) 0.6699 0.622 0.5673
2시간경과(b) 0.7031 0.6957 0.6681
개선효과(%) 3.3 7.4 10.1
실시예 3 적용 초기 (a) 0.8658 0.7069 0.7389
2시간경과(b) 0.9557 0.747 0.7722
개선효과(%) 9.0 4.0 3.3
실시예 4 적용 초기 (a) 0.8065 0.8085 0.7432
2시간경과(b) 0.8859 0.84 0.8786
개선효과(%) 7.9 3.2 13.5
* 총체적 탄성(Gross elasticity)의 개선효과 (%) = (b)-(a) X 100
표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경우 및 STD 샘플을 적용한 경우보다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가 적용된 샘플군을 도포했을 경우가 총체적인 탄성 수치가 현저히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자 별로 확인한 결과 R1 값의 수치변화와 동일하게 A 실험자는 실시예 3 , B 실험자는 실시예 2, C 실험자는 실시예 4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적용 샘플에서 총체적 탄성값의 높은 개선효과를 보였다.
R5는 Ur/Ue (도 4a 참조)의 값으로 순수 탄력도(Net elasticity)를 나타내며, 표 6은 순수 탄력도의 개선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순수 탄력도의 개선 효과 또한 2시간 경과했을 시의 측정값에서 초기 측정값과의 차를 구한 후 여기에 100을 곱하여 확인하였다. 각 실험자별 R5 측정값 변화 및 탄력도 개선 효과를 표 8에 나타냈다.
A B C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피부 초기 (a) 0.8462 0.7667 0.6581
2시간경과(b) 0.8167 0.7429 0.623
개선효과(%) -3.0 -2.4 -3.5
STD 초기 (a) 0.8824 0.6803 0.4976
2시간경과(b) 0.8275 0.7333 0.48
개선효과(%) -5.5 5.3 -1.8
실시예 1 적용 초기 (a) 0.8958 0.8886 0.5833
2시간경과(b) 0.8852 0.9542 0.6625
개선효과(%) -1.1 6.6 7.9
실시예 2 적용 초기 (a) 0.76 0.7442 0.3582
2시간경과(b) 0.9032 1 0.5441
개선효과(%) 14.3 25.6 18.6
실시예 3 적용 초기 (a) 0.8229 0.7931 0.46
2시간경과(b) 1.0632 1 0.6667
개선효과(%) 24.0 20.7 20.7
실시예 4 적용 초기 (a) 0.6974 0.8462 0.5205
2시간경과(b) 0.9398 1.6471 1.0405
개선효과(%) 24.2 80.1 52.0
* 순수 탄력(Net elsaticity)의 개선효과 = (b)-(a) X 100
표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경우와 STD 샘플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개선된 효과가 음수(-)로 확인되어 마이너스 성장을 한 것에 비해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가 적용된 샘플의 경우에는 모두 양(+)의 값으로 성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앞서 실시한 측정값과는 달리 본 실험에서는 A, B, C 실험자 모두 실시예 4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가 적용된 샘플을 사용한 경우 순수 탄력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이로써 순수 탄력도(Net elasticity)는 실시예 4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적용한 샘플이 가장 우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R9은 R3-R0의 수치로, 피부에서 반복된 흡입 후의 지친 효과(Tiring effect)를 말한다 (도 4b 참조). R9는 센서를 통해 피부를 일정한 힘과 간격으로 잡아당김과 풀어놓음으로써 피부의 지친 상태를 확인하는 측정값으로 이 수치가 작을수록 피부의 지친 정도가 낮아 탄력이 좋음을 의미한다.
피부의 지친 효과에 대한 개선정도는 2시간 경과후 측정값에서 초기값과의 차이를 구한 후 이를 초기값으로 나누고, 여기에 100을 곱하여 % 값으로 확인하였다. 각 실험자별 R9 측정값 변화 및 탄력도 개선 효과를 표 9에 나타냈다.
A B C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피부 초기 (a) 0.015 0.018 0.037
2시간경과(b) 0.048 0.019 0.039
개선효과(%) -220.0 -5.6 -5.4
STD 초기 (a) 0.016 0.025 0.031
2시간경과(b) 0.075 0.026 0.033
개선효과(%) -368.8 -4.0 -6.5
실시예 1 적용 초기 (a) 0.029 0.018 0.039
2시간경과(b) 0.028 0.012 0.031
개선효과(%) 3.4 33.3 20.5
실시예 2 적용 초기 (a) 0.022 0.016 0.029
2시간경과(b) 0.021 0.013 0.026
개선효과(%) 4.5 18.8 10.3
실시예 3 적용 초기 (a) 0.019 0.011 0.024
2시간경과(b) 0.019 0.009 0.019
개선효과(%) 0.0 18.2 20.8
실시예 4 적용 초기 (a) 0.018 0.015 0.028
2시간경과(b) 0.013 0.012 0.018
개선효과(%) 27.8 20.0 35.7
* 지친효과(Tiring effect)의 개선정도 (%) = (a)-(b)/(a) X 100
표 9에서 확인한 결과 세 실험자의 R9 값을 확인한 결과, 아무 화장을 하지 않은 경우 및 STD 샘플을 적용한 경우 R9 값이 증가하여 피부의 피로도가 증가하였으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가 적용된 샘플을 세 실험자에게 적용한 결과 동일하게 R9값은 초기값에 비해 2시간 경과 후 감소하여 피부의 지친 상태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즉 A, C 실험자는 실시예 4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적용시료에서, B 실험자는 실시예 1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적용 시료에서 피부의 지친 효과(Tiring effect)가 가장 큰 폭으로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들이 적용된 샘플과, 이들이 적용되지 않은 샘플을 3 실험자에게 적용시킨 후 일정시간이 경과 후에 R1, R2, R5, R9의 네 항목에 대한 피부 탄력도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고, 이중 가장 개선효과가 큰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탄력도 개선 효과가 가장 높은 망고버터 코팅 농도를 표 10에 나타냈다.
R1 R2 R5 R9
A 실험자 실시예 3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4
B 실험자 실시예 2 실시예 2 실시예 4 실시예 1
C 실험자 실시예 4 실시예 4 실시예 4 실시예 4
전체 12개의 항목중 7개 항목에서 실시예 4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적용 샘플이 가장 우수한 피부 탄력도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1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적용 샘플은 각각 2개, 2개, 1개 항목에서 가장 우수한 피부 탄력도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는 인체 피부 보습 개선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뛰어난 특징이 있으므로, 화장료 제조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THF(Tetrahydro furan)에 판상분체를 첨가한 후 2,000 rpm에서 10분간 분산시키는 단계; 디메치코놀을 첨가한 후 2,000 rmp에서 분산시키는 단계; 액상으로 완전히 용해된 망고버터를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고 2,000 rpm에서 40분간 분산시키는 단계; 이 혼합물을 정치시키고 숙성시키는 단계; 층분리를 확인한 후 여과시키는 단계; 이 여과물을 60-70℃에서 10시간 이상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판상분체는 탈크, 마이카 또는 세리사이트 중에서 선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판상분체 90.6 내지 96.9 중량%, 디메치코놀 0.1 내지 0.4 중량% 및 망고버터 3 내지 9 중량%의 비율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판상분체 90.6 내지 96.9 중량%, 디메치코놀 0.1 내지 0.4 중량% 및 망고버터 3 내지 9 중량%로 이루어진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5. 제4항의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를 5 내지 25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19976A 2010-03-05 2010-03-05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13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976A KR101137742B1 (ko) 2010-03-05 2010-03-05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976A KR101137742B1 (ko) 2010-03-05 2010-03-05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896A KR20110100896A (ko) 2011-09-15
KR101137742B1 true KR101137742B1 (ko) 2012-04-24

Family

ID=4495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976A KR101137742B1 (ko) 2010-03-05 2010-03-05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2440A (ja) * 2019-07-24 2022-07-14 株式会社 資生堂 プレストパウダー組成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6443A (ja) 1998-09-14 2000-03-28 Kao Corp 複合粉体
KR20010027942A (ko) * 1999-09-16 2001-04-06 유상옥 입술용 화장품 조성물
KR20070057380A (ko) * 2005-12-02 2007-06-07 주식회사 케미랜드 분체 상의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0831A (ko) * 2007-04-06 2008-10-09 (주)아모레퍼시픽 식물성 버터를 함유한 마스카라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6443A (ja) 1998-09-14 2000-03-28 Kao Corp 複合粉体
KR20010027942A (ko) * 1999-09-16 2001-04-06 유상옥 입술용 화장품 조성물
KR20070057380A (ko) * 2005-12-02 2007-06-07 주식회사 케미랜드 분체 상의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0831A (ko) * 2007-04-06 2008-10-09 (주)아모레퍼시픽 식물성 버터를 함유한 마스카라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896A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18039A1 (zh) 一种仿生的、含山茶提取物的修复皮肤屏障组合物和应用
CN106176423B (zh) 一种轻薄贴肤的气垫腮红及其制备方法
CN102228421B (zh) 基于鳄鱼的日化产品油性新原料的制备方法及应用
WO2006068717A2 (en) Long wear topical composition having improved glossy appearance
CN107468582A (zh) 一种紧致祛皱眼影及其制备方法
US9433565B2 (en) Hydrophilic and highly oil absorbent boron nitride powd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smetic
JP2018515485A (ja) 皮膚の外観を改善する方法及びニコチンアミドリボシドを使用したそのための組成物
CN103622886A (zh) 具有祛痘功效的护肤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20090017336A (ko)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WO2017072129A1 (en) Cosmetic composition imparting a natural complexion and a healthy-looking appearance effect
WO2018074642A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BR112014027027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método cosmético para clarear e uso de uma combinação
KR101137742B1 (ko)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8942A (ko)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097270B1 (ko) 착색 피부 케어 조성물
KR102097269B1 (ko) 착색 피부 케어 조성물
WO2014164057A2 (en)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KR102097937B1 (ko) 착색 피부 케어 조성물
JP2016193843A (ja) 外用組成物
WO2013170478A1 (en) Rosy-look cosmetic composition
CN109528611A (zh) 一种含有胆碱咖啡酸盐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16919867B (zh) 一种美白遮瑕抗紫外线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224757B (zh) 具有高光璀璨效果的粉体组合物、精华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60018056A (ko) 꿀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17045522A (zh) 含无患子果提取物的深层清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