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942A -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942A
KR20150138942A KR1020140065955A KR20140065955A KR20150138942A KR 20150138942 A KR20150138942 A KR 20150138942A KR 1020140065955 A KR1020140065955 A KR 1020140065955A KR 20140065955 A KR20140065955 A KR 20140065955A KR 20150138942 A KR20150138942 A KR 20150138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owder
cactus
clea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이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이산업
Priority to KR102014006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8942A/ko
Publication of KR2015013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9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클렌징 효과뿐만 아니라 피지 제거 효과, 각질 제거 효과 및 모공 축소 효과도 아울러 가진다.

Description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Using Scoria Powder and a Cactus Extract}
본 발명은 송이 분말과 선인장(Opuntia ficus - indica var . saboten) 추출물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클렌징은 외부 유해 환경으로 인해 피부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고 메이크업의 잔여물을 말끔하게 씻어내는 피부관리의 기초 단계로 클렌징을 소홀히 할 경우에는 오래된 각질, 노폐물, 메이크업 잔여물들이 피부 표면에 남아 있게 되면서 모세혈관이 수축되고 혈액 순환이 악화 되어 모공이 막히게 된다. 이에 따라 산소와 영양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가 전반적으로 건강하지 않게 되며 각화 현상이 심해지고 여드름 및 잡티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클렌징 제품은 세정 효과를 위한 계면활성제와, 유분, 향료, 정제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정 후 피부의 유연성이 있어 비누보다 클렌징 전용 화장품을 즐겨 쓰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클렌징 제품의 가장 주된 구성 성분인 계면활성제는 한 분자 내에 물과 친화성을 갖는 친수기와 유성 성분과 친화성을 갖는 친유기를 동시에 지님으로써 계면에 흡착하여 유성과 수성 성분이 잘 섞이도록 하고 먼지와 피지 등이 쌓인 피부에서 오염 물질을 씻어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계면활성제는 클렌징 시 피부에 유용한 성분이나 천연 보습인자까지도 과다하게 제거하여, 피부를 건조하게 하고 피부 트러블 및 자극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세정제에 식물 추출물이나 오일성분, 항균 성분이나 보습 성분 등 각종 보조 성분을 첨가하여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식물 추출물, 오일, 항균, 보습 성분 등은 그 유효성분을 통해 특유의 피부미용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식물 추출물의 안정성을 위해 별도의 첨가제가 필요하기도 하다. 더욱이, 유효 성분의 추출 과정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세정력 및 기포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하여 클렌징 효과를 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송이 분말 및/또는 선인장 추출물을 통상의 화장료 성분들에 첨가하여 젤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들 화장료 조성물의 클렌징 효과, 피지 제거 효과, 각질 제거 효과 및 모공 축소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클렌징 효과는 Spectrophotometer®CM-700d(Minolta, Japan)를 이용 L*value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는데, 송이 분말이나 선인장 추출물 하나만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유의차 없이 L*value가 약간 증가하는 정도에 그쳤으나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 모두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유의성 있게 L*value가 뚜렷하게 증가하였고, 또 Sebumeter®(MPA580, C+K, Germany)을 이용하여 측정·평가한 피지 제거 효과의 경우는 송이 분말이나 선인장 추출물 하나만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도 유의차를 보였으나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 모두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가 뚜렷하게 높은 피지 제거 효과를 보였다. 또한 Black D-squame®(Cuderm, USA)를 사용하여 측정한 각질 제거 효과와 Facial stage®DM3를사용하여 측정한 모공 축소 효과에 있어서도 상기 피지 제거 효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 모두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가 뚜렷하게 높은 효과를 보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클렌징 조성물은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송이(Scoria)"는 기공의 부피와 고체의 부피가 비슷한 다공질의 현무암질 암괴를 말하는데, 화산회(火山灰, Volcanic Ash, 2mm이하), 화산자갈(火山礫, lapilli, 2~64mm), 화산암괴(火山岩塊, Volconic Block, 64mm이상), 화산탄(火山彈, Volcanic Bomb)이 여기에 포함된다. 송이는 화산에 의하여 형성된 지형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화산섬인 제주도에서 쉽게 발견된다. 제주 송이는 그 주요 구성성분에 따라 색깔이 다양한데, 산화규소 함량이 높은 송이는 암회색을 띠고, 산화알류미늄 함량이 높은 송이는 황갈색 또는 흑색을 띠며, 산화티타늄과 산화철 함량이 높은 송이는 적갈색을 띤다. 그리고 제주 송이는 통상 그 융점이 1,120~1210℃이고, 흡수율은 17.7~32.5%, 그리고 마모율은 47.25~67.22% 라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송이는 특별히 제주 송이에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지만, 원적외선 방사성, 중금속 흡착 효과 등 기능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제주 송이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서, "송이 분말"는 송이를 분쇄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그 분말의 입도는 화장료의 성분으로서 바람직한 크기를 갖는다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여기서 화장료의 성분으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입도는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화장료의 성분으로서의 바람직한 입도는 5㎛ 이하이다. 여기서 입도는 입자의 길이 방향의 직경을 말한다. 송이 분체는 건식 분쇄법, 습식 분쇄법 등의 임의의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건식 분쇄법에 의한 경우이다. 그것은 건식 분쇄법이 상기 바람직한 입도인 5㎛ 이하의 입자를 얻는 데 습식 분쇄법보다 효과적이며, 또한 생성되는 분체는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포함하더라도 1% 이하로 포함하기 때문에 분체의 입자들이 응집하지 않고 수성·유성 매질에 분산되었을 때 입자들의 재응집 현상도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선인장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인 선인장(특히 선인장 줄기 및/또는 열매)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 등을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을 상기 용매들을 극성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순으로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하며, 나아가 크기, 전하, 소수성, 친화성 등의 성질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아래의 실시예를 참조할 때,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특히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정의되지 않은 용어는 국어사전적 의미나 당업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의미에 따른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서, 그 유효성분인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은 각각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임의의 양으로, 구체적으로는 0.1 중량% 내지 4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선인장 추출물은 조추출액 형태, 추출용매가 일부 제거된 농축 액상 형태, 추출용매가 제거된 고형상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고형 비누, 파우더, 팩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고화 후 박리 타입, 부직포 코팅 젤 타입, 부직포 함침형 도포 타입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젤, 고형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알지네이트(alginate), 펙틴(pectin), 젤란 검(gellan gum), 카라기난(carrageenan), 전분(starch), 잔탄 검(xanthan gum), 한천(agar), 구아 검(guar gum),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타마린드 검(tamarind gum),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팩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팩 제형은 페이스트 상 또는 젤 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보호 필름층과 기재층에 사이에 도입하여 이루어진 제품을 말하는데, 본 발명의 클렌징 조성물이 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본 발명의 클렌징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성분들(예컨대 미백제, 보습제 등)과 함께 물 및/또는 점증제와 혼합됨으로써 페이스트 상 또는 젤 상으로 제조되어 팩 제형의 보호 필름층과 기재층 사이에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팩 제형에서 보호 필름층은 화장료 조성물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부타디엔, 셀로판, 폴리클로로프렌, 폴리아미노산,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또는 실리콘고무 등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기재층(Backing Layer)은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 또는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종이, 천, 부직포, 직포, 타올, 모포, 편물, 퀼트, 탈지면 등 함침성을 지닌 소재가 통상 사용될 수 있다. 기재층으로서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팩 제형의 필름층은 2겹으로 구성되게 되게 되는데, 하나는 보호 필름층이 되고 하나는 기재층으로 작용한다.
특히 본 발명의 클렌징 조성물이 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그 유효성분은 쌀 가루 등 결착력을 기지는 곡물 가루 등과 혼합하여 그 혼합물을 상기 기재층 또는 보호 필름층 상에 롤러 등으로 가압하여 라미네이션시키고 열 처리하여 팩 제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곡물 가루 등으로서는 상기 예시한 쌀 가루 이외에도 전분 가루, 찹쌀 가루, 멥쌀 가루, 밀가루, 보리 가루, 호밀 가루, 귀리 가루, 조 가루, 기장 가루, 피 가루, 메밀 가루, 율무 가루, 옥수수 가루, 감자 가루, 고구마 가루 등 결착력을 지니는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교반장치, 유화장치 등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젤상의 클렌징 화장품을 제조하는 경우, 일본특허공개 2003-176211호에 게시된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의 성분, 예컨대 점증제, 보습제, 미백제, 자외선 흡수제, 소염제, 색소, 방부제, 산화방지제, pH 조절제, 용매(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성분의 함량은 이들이 첨가되는 목적에 따라 0.001 내지 5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점증제로서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카라긴, 한천, 퍼셀란(furcellaran), 구아검, 퀸스씨드, 곤약(Amorphophalus konjak) 만난, 타마린드
검, 타라검, 덱스트린, 전분, 로커스트빈검, 아라비아검, 가티검, 카라야검, 트라가칸스검, 아라비노갈락탄, 펙틴, 퀸스, 키토산, 전분, 커들란, 크산탄검, 겔란검,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란, 풀룰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
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 전분,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전분 인산 에스테르, 양이온화 구아검, 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 프로필화 구아검, 히드록시프로필화 구아검, 알부민, 카제인 등을 들 수 있다.
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보습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나트륨, 나트륨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나트륨 락테이트, 나트륨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 베타
인, 유산균 배양액, 효모 추출물, 세라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사용될 수 있는 미백제로서는 파라-메톡시페놀(p-metoxyphenol),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lbutin), 비타민 C(ascorbic acid), 글루타티온(glutathione), 시스테인(cystein), 멀캅토숙신산, 멀캅토덱스트란, 테프레논, 디하이드록시-이소퀴놀린, 인도메타신, 3-하이드록시마뉼, 비타민 K, 티아졸리돈, 키누레닌, 레몬 추출물, 오이 추출물, 오디 추출물, 감초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아세로라 체리 추출물, 은행 추출물, 카롭(carob) 추출물, 제라늄(geranium) 추출물, 허브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작약 추출물, 계피 추출물, 갈근 추출물, 당귀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반하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사용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에틸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의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벤질 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의 신남산 유도체; 우로칸산 등의 우로칸산 유도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나트륨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에틸렌글리콜 살리실레이트, 살리실레이트-2-에틸헥실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색소로는 니트로계 색소, 아조계 색소, 니트로소계 색소, 트리페닐메탄계 색소, 크산텐계 색소, 퀴놀린계 색소, 안트라퀴논계 색소, 인디고계 색소, 피렌계 색소, 파프리카 색소, 홍화 적색소, 홍화 황색소, 락카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방부제로서는 벤조산, 나트륨 벤조에이트, 운데실렌산, 살리실산,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데히드로아세트산, 나트륨 데히드로아세테이트, 이소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파라옥시벤조에이트, 에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벤질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산화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부틸히드록시톨루엔, 프로필 갈레이트, 에리쏘르브산, 나트륨 에리쏘르베이트, p-히드록시아니솔, 옥틸 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pH 조절제로서는 수산화나트름, 수산화칼륨,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성분 이외에 특정 향을 낼 수 있는 식물 정유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식물 추출물로서 예컨대 멜릴롯(Melilotus officinalis) 추출물, 복숭아(Prunus persica)잎 추출물, 콩나물 추출물, 콘플라워(Centaurea cyanus flower) 추출물, 콘플라워 증류액,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 추출물, 백합(Lilium) 추출물, 의이인(Coix seed) 추출물, 애엽(Artemisia princeps pampanini) 추출물,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추출물, 영지(Ganoderma) 추출물, 상추(Lactuca sativa) 추출물, 레몬 추출물, 자운영(Astragalus sinicus) 추출물, 로즈마리(Rosemarinus officinalis) 추출물, 로만 카모마일(Anthemis nobilis) 추출물,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추출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식물 정유 추출물로서는 버가못(Citrus bergamia) 오일, 벤조인 오일, 마조람(Origanum majorana) 오일, 만다린 오일, 미르(Conumiphora myrrha) 오일, 밤민트(Melissa officinalis) 오일,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 오일, 유자(Citrus junos) 오일, 라임(Citrus aurantifolia) 오일, 라벤자라(Ravensare aromaticum) 오일, 라반딘(Lavandula latifolia) 오일,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오일, 린덴(Tilia vulgaris) 오일, 레몬 오일, 장미 오일, 로즈마리(Rosemarinus officinalis) 오일, 로베지(Levisticum officinale)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이 포함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그 각각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각질 제거 효과, 피지 제거 효과 및 모공 축소 효과가 뚜렷하게 높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의 함량,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되는 성분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클렌징 효과뿐만 아니라 피지 제거 효과, 각질 제거 효과 및 모공 축소 효과도 아울러 지닌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클렌징 젤 조성물의 제조
아래 [표 1]의 성분 및 함량(중량%)으로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클렌징 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래 [표 1]의 베이스 성분과 첨가제 성분을 [표 1]의 중량%로 혼합한 후에 이 혼합물에 기능성 성분인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혼합하여 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선인장 추출물은 선인장 줄기 및 열매의 혼합 분말을 5배 중량의 70% 에탄올로 24시간 침출한 후 그 침출액을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얻은 고형상의 추출물이다.
클렌징 젤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중량%)
성분 종류 성분명 대조군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기능성 성분
송이 분말 - 8 - 4
선인장 추출물 - - 8 4


베이스성분
호호바오일 5 5 5 5
달맞이꽃오일 5 5 5 5
글라리세이지오일 20 20 20 20
라벤더오일 20 20 20 20
아카시아 콜라겐 15 15 15 15
레몬그라스 오일 5 5 5 5
잔탄검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첨가제 성분 히아루론산 3 3 3 3
토코페롤 1 1 1 1
< 실험예 > 클렌징 효과, 피지 제거 효과, 각질 제거 효과 및 모공 수축 효과에 대한 임상평가
<1> 임상평가의 개요 및 피험자 선정
임상평가는 실시예의 각 제품을 사용 전과 사용 20분 후 시점에 기기평가(피지, 피부색, 각질, 모공), 및 안정성에 대한 설문 평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임상평가를 위한 피험자는 피지, 유분이 많으며 건조한 피부를 가진 25 ~49세의 여성 중에서 급·만성 신체 질환이 없으면서 자발적으로 시험에 참여하기로 동의서를 제출한 자 중에서 80명을 선발하였으며, 그룹당 20명의 피험자를 배정하였다.
<2> 측정 및 평가
피험자들은 임상평가 기관(경기도 수원 소재)를 방문하여 수도수를 사용하여 간단히 세안한 후 공기의 이동과 직사광선이 없으며 항온항습조건(22±2℃, 50±5%)이 유지되는 공간에서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한 다음 측정 및 평가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측정 및 평가는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한 후 기기 측정을 실시하고, 시료를 사용하여 세안 시 충분히 거품을 내어 마사지하듯 부드럽게 문지르고 물로 깨끗이 씻어내고 항온항습조건(22±2℃, 50±5%)이 유지되는 공간에서 2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한 후 다시 기기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부위는 피험자의 얼굴 좌 또는 우측을 Block randomization으로 정하였다. 피지량은 코 주변부위에서 측정하였고, 피부색과 각질은 눈꼬리와 코 끝이 만나는 뺨 부위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모공, 피지의 개수와 면적은 얼굴 정면 사진 촬영 후 코 주변부위를 분석하였다.
안정성에 대해서는 가려움, 찌르는 듯한 느낌, 근질거림, 화끈거림, 따끔거림, 뻣뻣함, 당김, 홍반, 부종, 각질, 뽀드락지 좁쌀을 평가 항목으로 하여 설문 평가를 실시하였다.
<3> 기기 측정 방법
<3-1> 피부색 측정
측정 매 시점마다 Spectrophotometer®CM-700d(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좌 또는 우측 뺨 부위의 피부색을 3회 측정 후 L*value(피부색 밝기)의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3-2> 피부 피지량 측정
측정 매 시점마다 Sebumeter®(MPA580, C+K, Germany)을 이용하여 피험자의 좌측 또는 우측 코 주변을 측정하였다. Sebumeter는 cassette의 특수한 반투명 지질흡수 테이프를 30초간 측정 부위에 접촉 시킨 후 피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피지는 광학적 반사원리(photometric reflection)를 이용하여 피지분비량(㎍/cm2)을 분석하였다.
<3-3> 피부 각질량 측정
측정 매 시점마다 Black D-squame®(Cuderm, USA)을 사용하여 피험자의 좌측 또는 우측 뺨의 각질을 채취하였다. Black D-squame을 붙이고 Applicator를 사용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5 초간 누른 후 떼어낸 다음 Charmview®(Moritex, Japan)를 사용하여 Black D-squame의 3 지점을 700 배로 확대 촬영한 후 Image Pro®Plus7.0을 사용하여 각질면적(pixel)의 평균값(Mean)을 분석하였다.
<3-4> 피부 모공 및 피지 측정
측정 매 시점마다 Facial stage®DM3를 사용하여 피험자의 얼굴 정면을 촬영하였다(FL 모드, UV 모드). 촬영된 FL모드 사진의 영상(size 90 X 90,pixel)에서 모공의 개수와 면적을 분석하고, UV 모드 사진의 영상(size 200 X 100, pixel)에서 피지의 개수와 면적을 분석하였다.
<4> 데이터 분석
시험제품 사용 전과 사용 20분 후 시점에 기기 측정값의 평균을 각각 구하고, 측정값의 시점별 차이 유무를 통계분석 하였다. 데이터의 정규성은 Shapiro-Wilk로 검증하였다. 시점별 비교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 제품사용 시점별 비교
- 정규성을 만족할 경우(p>0.05): Paired t-test (p<0.05)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p<0.05): Wilcoxon signed rank test(p<0.05) 통계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0.0을 사용했으며,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분석 하였다.
<5> 연구 결과
<5-1> 제품 사용 전후의 피부색 밝기 변화 분석 결과
제품 사용 전과 제품 사용 20분 후 시점에서의 L*value(피부색 밝기)를 평균값±표준편차로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L*value 변화 분석값
구분 사용 전 L*value 사용 후 L*value p- value
대조군 62.23±1.21 62.34±1.17 0.122
제조예 1 63.32±1.15 63.52±1.08 0.083
제조예 2 63.28±1.24 63.41±1.23 0.105
제조예 3 63.11±1.36 63.83±1.01 0.000***
* p-value: Paired t-test(*p<0.05, **p<0.01, ***p<0.001)
상기 [표 2]의 결과는 대조군 시료의 경우나 송이 분말이 포함된 제조예 1의 경우 그리고 선인장 추출물을 사용한 제조예 2의 경우 L*value가 약간 상승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이 모두 포함된 제조예 3의 경우 유의성 있게 L*value가 상승하였다.
<5-2> 피부 피지량 측정 결과
제품 사용 전과 제품 사용 20분 후 시점에서의 피부 피지량을 평균값±표준편차로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피지량 변화 분석값(㎍/cm2)
구분 사용 전 피지량 사용 후의 피지량 p- value
대조군 51.42±16.84 45.28±14.84 0.084
제조예 1 47.64±15.92 27.63±16.52 0.004**
제조예 2 49.72±17.36 36.82±15.67 0.037*
제조예 3 48.40±15.95 18.75±8.08 0.000***
* p-value: Wilcoxon signed rank test(*p<0.05, **p<0.01, ***p<0.001)
상기 [표 3]의 결과는 대조군의 경우 피지량 감소하였으나 유의차는 없었고, 송이 분말이 포함된 제조예 1의 경우와 선인장 추출물이 포함된 제조예 2의 경우 그리고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이 모두 포함된 제조예 3의 경우 유의성 있게 피지량이 감소하였다. 특히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이 모두 포함된 제조예 3의 경우 뚜렷한 피지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5-3> 피부 각질량 측정 결과
제품 사용 전과 제품 사용 20분 후 시점에서의 피부 각질량을 평균값±표준편차로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각질량 변화 분석값(Pixel)
구분 사용 전 각질량 사용 후의 각질량 p- value
대조군 235424.34±17552.80 231196.63±15880.28 0.176
제조예 1 232907.96±16948.58 196852.54±18476.27 0.007**
제조예 2 236648.84±15699.60 228754.26±14684.58 0.075
제조예 3 231006.20±16692.94 171304.73±22857.13 0.000***
* p-value: Wilcoxon signed rank test(*p<0.05, **p<0.01, ***p<0.001)
상기 [표 4]의 결과는 대조군의 경우 각질량 감소 효과가 거의 없었으나, 송이 분말이 포함된 제조예 1과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이 모두 포함된 제조예 3의 경우는 유의성 있게 각질량 감소 효과를 보였다. 선인장 추출물이 포함된 제조예 2의 경우 각질량 감소 효과가 있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표 4]의 결과에 있어서도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이 포함된 제조예 3의 경우가 각질량 감소 효과가 뚜렷하게 높았다.
<5-4> 피부 모공 개수와 면적 변화 분석
제품 사용 전과 제품 사용 20분 후 시점에서의 피부 모공 개수와 면적을 평균값±표준편차로 아래의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모공 개수 변화 분석값(N)
구분 사용 전 모공 개수 사용 후 모공 개수 p- value
대조군 578.25±146.28 572.39±148.43 0.164
제조예 1 583.82±135.94 546.64±153.28 0.015*
제조예 2 585.25±142.94 568.72±143.95 0.068
제조예 3 580.65±139.45 537.35±150.11 0.008**
* p-value: Wilcoxon signed rank test(*p<0.05, **p<0.01, ***p<0.001)
모공 면적 변화 분석값(mm3)
구분 사용 전 모공 면적 사용 후 모공 면적 p- value
대조군 79.28±31.26 78.94±29.96 0.172
제조예 1 80.31±28.75 76.94±30.58 0.042*
제조예 2 81.62±30.47 78.84±31.83 0.068
제조예 3 81.00±29.68 74.63±29.69 0.023*
* p-value: Paired t-test(*p<0.05, **p<0.01, ***p<0.001)
상기 [표 5] 및 [표 6]의 결과에 있어서 송이 분말이 포함된 제조예 1의 경우와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이 모두 포함된 제조예 3의 경우가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이 모두 포함된 제조예 3의 경우가 높은 모공 축소 효과를 보였다.
<5-5> 안정성에 대한 설문 평가 결과
시험 제품 사용 20분 후 시점에 피험자의 피부 상태를 관찰한 후 주관적·객관적 자극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7] 내지 [표 10]에 나타내었는데, 모든 피험자에게서 아무런 피부 이상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군 시험 제품의 안정성에 대한 설문 평가 결과
구분 주관적 느낌 객관적 느낌
증상 가려움 찌르는듯한느낌 근질거림 화끈거림 따끔거림 뻣뻣함 당김 홍반 부종 각질 뽀드락지좁쌀
약함 0 0 0 0 0 0 0 0 0 0 0
중간 0 0 0 0 0 0 0 0 0 0 0
심함 0 0 0 0 0 0 0 0 0 0 0
이상반응자(계) 0 0 0 0 0 0 0 0 0 0 0
제조예 1 시험 제품의 안정성에 대한 설문 평가 결과
구분 주관적 느낌 객관적 느낌
증상 가려움 찌르는듯한느낌 근질거림 화끈거림 따끔거림 뻣뻣함 당김 홍반 부종 각질 뽀드락지좁쌀
약함 0 0 0 0 0 0 0 0 0 0 0
중간 0 0 0 0 0 0 0 0 0 0 0
심함 0 0 0 0 0 0 0 0 0 0 0
이상반응자(계) 0 0 0 0 0 0 0 0 0 0 0
제조예 2 시험 제품의 안정성에 대한 설문 평가 결과
구분 주관적 느낌 객관적 느낌
증상 가려움 찌르는듯한느낌 근질거림 화끈거림 따끔거림 뻣뻣함 당김 홍반 부종 각질 뽀드락지좁쌀
약함 0 0 0 0 0 0 0 0 0 0 0
중간 0 0 0 0 0 0 0 0 0 0 0
심함 0 0 0 0 0 0 0 0 0 0 0
이상반응자(계) 0 0 0 0 0 0 0 0 0 0 0
제조예 3 시험 제품의 안정성에 대한 설문 평가 결과
구분 주관적 느낌 객관적 느낌
증상 가려움 찌르는듯한느낌 근질거림 화끈거림 따끔거림 뻣뻣함 당김 홍반 부종 각질 뽀드락지좁쌀
약함 0 0 0 0 0 0 0 0 0 0 0
중간 0 0 0 0 0 0 0 0 0 0 0
심함 0 0 0 0 0 0 0 0 0 0 0
이상반응자(계) 0 0 0 0 0 0 0 0 0 0 0

Claims (6)

  1.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2.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3.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4.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인장 추출물은 선인장 열,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침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고형 비누, 파우더 또는 팩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65955A 2014-05-30 2014-05-30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8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55A KR20150138942A (ko) 2014-05-30 2014-05-30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55A KR20150138942A (ko) 2014-05-30 2014-05-30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942A true KR20150138942A (ko) 2015-12-11

Family

ID=5502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955A KR20150138942A (ko) 2014-05-30 2014-05-30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89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33B1 (ko) * 2015-12-22 2016-12-08 주식회사 송이산업 산호와 송이를 이용한 타블렛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054560A (ko) * 2017-11-14 2019-05-22 김승환 천연성분을 이용한 클렌징 파우더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7435A (ko) * 2019-05-02 2020-11-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산송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20200127438A (ko) * 2019-05-02 2020-11-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산송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33B1 (ko) * 2015-12-22 2016-12-08 주식회사 송이산업 산호와 송이를 이용한 타블렛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054560A (ko) * 2017-11-14 2019-05-22 김승환 천연성분을 이용한 클렌징 파우더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7435A (ko) * 2019-05-02 2020-11-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산송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20200127438A (ko) * 2019-05-02 2020-11-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산송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85708B (zh) 外用组合物
EP1071395A1 (de) Mild abrasive hautreinigungsmittel
CN103405377A (zh) 一种天然美白护肤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EP3052077B1 (en) Topical preparations comprising grape seed extract
CN105534796A (zh) 一种含有艾叶提取物的抗过敏爽肤水及其制备方法
KR20150138942A (ko) 송이 분말과 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4836A (ko) 미강,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필-오프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23398A (ko)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3301029A (zh) 一种平衡油脂、滋润肌肤的洗面奶及其制备方法
JP2010241762A (ja) 化粧料
KR20120119745A (ko)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8451806A (zh) 一种天然抗敏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500584B1 (ko) 홍삼박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3000A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9098A (ko) 허브추출물을 포함한 클렌징 화장료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068736B1 (ko)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JP5291365B2 (ja) ケラチン状態改善剤
CN115400052A (zh) 一种胭脂树红护肤沙霜及其制备方法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7365A (ko) 엘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5164198B2 (ja) プロ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及び毛穴目立ち抑制剤
KR20110026237A (ko) 해바라기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JP2002275027A (ja) 化粧料及び不織布含浸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47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15

Effective date: 2017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