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831A - 식물성 버터를 함유한 마스카라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성 버터를 함유한 마스카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831A
KR20080090831A KR1020070034171A KR20070034171A KR20080090831A KR 20080090831 A KR20080090831 A KR 20080090831A KR 1020070034171 A KR1020070034171 A KR 1020070034171A KR 20070034171 A KR20070034171 A KR 20070034171A KR 20080090831 A KR20080090831 A KR 20080090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er
mascara
mascara composition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488B1 (ko
Inventor
최선경
장순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03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48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버터를 함유하는 유화형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작은 힘에도 쉽게 펴발려져 부드러운 발림성과 깨끗한 도포 표면을 제공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된 버터의 성질에 따라 롱래시 및 볼륨제공이 용이한 마스카라 조성물, 및 두께감없이 매끄러운 속눈썹 표면으로 자연스러운 눈매 연출이 가능한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성 버터를 함유한 마스카라 조성물은 코팅막 또는 파이버를 사용한 기존의 마스카라에 비해 부드러운 발림성, 지속성 및 균일한 도포 표면을 가진다. 특히 표면 점착력과 떠내기가 우수한 버터를 사용한 롱래시형 마스카라 조성물은 지속력이 뛰어난 롱래시 및 볼륨 효과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는 기존의 코팅막 또는 파이버를 사용한 마스카라에 비해 지속력이 뛰어나 매우 낮은 안자극 수치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마스카라, 식물성버터, 롱래시, 볼륨, 도포 표면, 발림성, 지속력

Description

식물성 버터를 함유한 마스카라 조성물 {Mascara composition containing vegetable butter}
본 발명은 식물성 버터를 함유하는 유화형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작은 힘에도 쉽게 펴발려져 부드러운 발림성과 깨끗한 도포 표면을 제공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된 버터의 성질에 따라 롱래시 및 볼륨제공이 용이한 마스카라 조성물, 및 두께감없이 매끄러운 속눈썹 표면으로 자연스러운 눈매 연출이 가능한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는 속눈썹 위에 도포하여 속눈썹을 풍성하게 끌어올려 눈매를 또렷하게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렷한 눈매를 위해서는 마스카라가 가닥가닥 발려 속눈썹의 숱이 많아 보이게 하거나, 속눈썹을 컬링시켜 눈을 크게 보이게 하거나, 속눈썹의 길이를 길게 하여 시원한 눈매를 만들어야 하고 따라서 마스카라의 주된 기능은 볼륨, 컬링, 롱래시의 기능군으로 나뉜다.
그러나 마스카라는 공통적으로 속눈썹에 깨끗하게 도포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른 가루 날림, 눈 밑 묻어남이 없어야 하고, 바를 때에 부드럽게 도포가 가능하여야 한다는 기본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또한 마스카라는 시간이 지남에 따른 눈 밑 묻어남을 최대한 줄여 깨끗한 눈매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물에 대한 지속력이 우수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오일상을 연속상으로 사용하는 유분산의 형태나 유중수(W/O)의 유화 형태, 또는 실리콘을 연속상으로 갖는 실리콘중수(W/S)의 유화형태 마스카라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유중수의 유화형태나 유분산의 경우에는 연속상이 오일이므로 이 오일에 의한 표면 광택을 가질 뿐만 아니라 오일 성분이 물에 섞이지 않는 성질로 인해 물에 대한 강한 필름을 형성하지 않고도 물에 대한 지속력이 뛰어나고 가루 떨어짐이 없다. 그러나 이렇게 오일 혹은 실리콘을 연속상으로 가질 경우에는 클렌징이 어렵고 볼륨을 줄 수 있는 왁스의 사용이 제한되어 볼륨을 주기 어렵다는 제형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시중 마스카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수중유(O/W)의 유화형태이다. 수중유의 경우는 지속력을 높이기 위해서 수용성 피막 형성제를 사용하고 컬링과 볼륨을 위해 딱딱한 왁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건조되면 딱딱한 내용물이 부서져서 쉽게 가루떨어짐이 일어나고, 필름막과 왁스의 두꺼운 막으로 인하여 덧발림이 부드럽게 되지 않아 뭉침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쉽게 가루떨어짐이 일어나는 성질로 인하여 눈에 부담을 주기도 쉽다. 파이버를 사용하는 마스카라의 경우 섬유의 형상과 길이에 의한 영향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속눈썹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지속성의 면에서 부족한 점이 있으며, 또한 내용물의 표면에 그대로 파이버가 노출되어 깨끗한 표면을 주지 못하므로 깨끗한 눈매를 만들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질 뿐 아니라, 발림성도 좋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지속력이 약하고 도포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마스카라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은 힘에도 쉽게 내용물이 펴 발라질 수 있도록 O/W제형에 버터와 왁스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부드러운 발림성, 지속력 및 매끄러운 도포 표면을 갖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식물성 버터의 표면 점착력과 떠내기(Pick up)양에 따라 부드러운 발림성, 지속력 및 매끄러운 도포 표면에 더하여 볼륨 및 롱래쉬 기능을 가지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 유래 버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버터는 알로에 버터(Aloe Butter), 코코아버터(Cocoa Butter), 쉐어 버터(Shea Butter), 피스타치오 버터(Pistachio Butter), 아보카도 버터(Avocado Butter), 망고 버터(Mango Butter), 콩 버터(Soy Butter), 아몬드 버터(Almond Butter), 올리브 버터(Olive Butter), 밀 버터(Wheat Germ Butter), 쿠푸아수 버터(Cupuacu Butter), 호호바 버터(Jojoba Butter), 마카다미아 씨 버터(Macadamia Seed Butter), 살구 버터(Apricot Butter), 포도 씨 버터(Grape Seed Butter), 마 버터(Hemp Butter), 일리피 버터(Illipi Butter), 코쿰 버터(Kokum Butter), 살 버터(Sal Butter) 및 카리테 버터(Carite But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버터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2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버터는 표면 점착력이 -50g~-500g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떠내기(Pick up)가 4.0 m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쉐어 버터(Shea Butter), 피스타치오 버터(Pistachio Butter) 및 망고 버터(Mango But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버터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4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속눈썹에 볼륨을 주고 속눈썹을 길게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버터는 표면 점착력이 -5g~-49g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떠내기(Pick up)가 4.0 mg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두께감 없이 매끈한 속눈썹 표면을 만들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O/W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왁스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6~18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식물성 버터는 식물성 지방으로서 온도에 따라서 고체 혹은 고체 유사체(Semi-solid)의 형태를 가진다. 식물성 버터는 온도에 따른 경도의 변화에 따라 작은 힘에도 쉽게 밀리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식물성 버터를 사용한 마스카라는 부드러운 발림성을 가지며 도포 건조 후에는 균일한 표면을 제공한다.
식물성 버터로는 알로에 버터(Aloe Butter), 코코아버터(Cocoa Butter), 쉐어 버터(Shea Butter), 피스타치오 버터(Pistachio Butter), 아보카도 버 터(Avocado Butter), 망고 버터(Mango Butter), 콩 버터(Soy Butter), 아몬드 버터(Almond Butter), 올리브 버터(Olive Butter), 밀 버터(Wheat Germ Butter), 쿠푸아쿠 버터(Cupuacu Butter), 호호바 버터(Jojoba Butter), 마카다미아 씨 버터(Macadamia Seed Butter), 아프리콧 버터(Apricot Butter), 포도 씨 버터(Grape Seed Butter), 헴프 버터(Hemp Butter), 일리피 버터(Illipi Butter), 코쿰 버터(Kokum Butter) 살 버터(Sal Butter), 카리테 버터(Carite Butter)등을 들 수 있으나, 식물성 버터라면 그 종류에 제한 없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식물성 버터 중 떠내기(Pick up)가 용이하며 표면 점착력이 -50g~-500g인 버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볼륨 및 롱래시 효과가 뛰어나다. 이는 상기 버터가 O/W의 제형에서 조성물의 전체 점도를 높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조성물이 속눈썹으로 전달되는 양이 많고, 이를 브러시에 의한 힘으로 길게 펴바름으로써 속눈썹 끝의 마스카라 맺힘 현상이 없이 속눈썹 끝의 뾰족한 도포가 가능하여 긴 속눈썹 연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표면 점착력이 -50g미만인 경우에는 볼륨 및 롱래시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볼륨 및 롱래시 효과를 위하여 요구되는 버터의 표면 점착력 및 떠내기 효과(Pick up)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어 쉐어 버터(Shea Butter)와 코코아 버터(Cocoa Butter)는 각각 녹는 점이 31~38℃, 30~36℃ 로 비슷하지만, 실온에서 쉐어 버터는 무르고 점성을 가지는 반면, 코코아 버터는 최대 응력이 커서 딱딱한 표면을 가지며 표면을 떠내고자 할 경우 떠내지는 양이 거의 없으며 스푼과 같은 도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부서져 버린다. 피스타치오 버터(Pistachio Butter) 또한 쉐어 버터, 코코아 버터와 비슷한 녹는점을 가지는데, 그 표면의 최대 응력은 코코아 버터 및 쉐어 버터의 중간 값을 가지고, 떠내지는 양도 코코아 버터 및 쉐어 버터의 중간 정도이다. 이처럼 버터들은 비슷한 녹는점을 가지더라도 각 원료에 따라 떠내지는 형태와 표면 점착력이 다르게 나타나고, 본 발명은 버터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볼륨 및 롱래시 효과를 나타내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한다.
최대 응력, 표면 점착력 및 떠내기 양의 측정은 균일한 식물성 버터 표면에 대하여 지름1cm 의 구형 로터가 장착된 레오미터(Rheometer, CR-300, Sun Scientific사)를 사용함으로써 20℃에서 측정되었다. 즉, 상기 레오미터로 로터를 식물성 버터 표면에 대하여 2mm 의 깊이로 20mm/min 의 속도로 진입시키고, 이를 다시 같은 속도로 회수하였다. 진입할 때 들어가는 최대 힘을 최대 응력으로 정의하고, 단위를 g으로 표시하며, 회복시에 들어가는 최대 힘을 표면 점착력으로 정의하여 g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이 때 구형 로터에 묻어나는 버터의 양을 떠내기 (Pick up)양으로 정의하였다. 하기 표 1은 몇 가지 버터에 대한 측정 값이다.
식물성 버터 최대응력(g) 표면 점착력(g) 떠내기 양(mg)
쉐어 버터 406 -184 8.3
망고버터 505 -204 5.1
코코아 버터 1621 -135 0.8
피스타치오 버터 98 -70 7.7
아몬드 버터 12 -4 3.7
상기 표 1에서 측정된 최대 응력, 표면 점착력 및 떠내기 양에 따르면 표면 점착력이 높고 떠내기 양이 많은 쉐어 버터 또는 망고 버터가 코코아 버터에 비해 롱래시 효과가 더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카라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버터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20중량% 만큼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식물성 버터에 의한 효과를 얻기 어렵고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온안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볼륨 및 롱래시 효과를 위해서는 실온에서 표면 점착력이 -50g~-500g인 버터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4 중량%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하기 구체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구체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
하기 표 2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마스카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에서 식물성 버터는 바이오케미컬 인터네셔널(Biochemical International)에서 제공하는 쉐어 버터와 코코아 버터를 사용하였으며, 식물성 버터를 함유한 조성의 특성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비교예 1-2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버터를 함유하고 있지 않는 기존 일반 마스카라의 조성이고, 비교예 2는 롱래시 효과를 주기 위해 나일론 파이버를 사용한 조성이다.
성분명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1. 칸데릴라납 3.0 3.0 3.0 3.0
2. 파라핀 3.0 3.0 3.0 3.0
3. 밀납 8.0 8.0 8.0 8.0
4. 폴리소르베이트 20 1.0 1.0 1.0 1.0
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6.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1.0 1.0
7. 스테아릭애씨드 5.0 5.0 5.0 5.0
8. 디메치콘 0.5 0.5 0.5 0.5
9. 쉐어 버터 3.0 - - -
10. 코코아 버터 - 3.0 - -
11.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3. 글리세린 5.0 5.0 5.0 5.0
14. 세룰로즈 파우더 0.2 0.2 0.2 0.2
15. 트리에탄올아민 1.5 1.5 1.5 1.5
16. 에탄올 2.0 2.0 2.0 2.0
17. 흑색산화철 10.0 10.0 10.0 10.0
18. 나일론 파이버 - - - 2.0
19. 아크릴레이트공중합물 8.0 8.0 8.0 8.0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표 2에 기재된 성분 1~11을 혼합 가열하여 용해시켰고(혼합물 a), 성분 12~16을 혼합 가열하면서 교반시켰다(혼합물 b). 상기 혼합물 a에 성분 17 (비교예 2의 경우는 17과 18)을 넣고 교반 혼합하면서 성분 12~16을 서서히 투입하였다(혼합물 c). 상기 혼합물 b를 서서히 가하면서 유화시킨 후 상기 성분 19을 넣고 냉각시켰다.
<시험예 1: 버터의 종류에 따른 마스카라 기능, 지속력 및 도포 표면에 대한 비교>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 의해 제조된 마스카라를 20~40 세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험 항목은 발림성, 롱래시, 두께감, 가루떨어짐 없음, 도포 표면으로 하였다. 각 항목에 대하여 품평을 한 후, 0~15 까지의 점수를 주게 하고, 30명에 대하여 그 평균 점수를 내었다. 각 실험은 5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표 3에서 평균 점수가 4.0 미만인 것은 "×", 4.0~8.0인 것은 "△", 8.1~12.0은 "○", 12.0을 초과하는 것은 "◎"로 각각 표시하였다. 도포 표면은 마스카라 조성물을 16회 인조 속눈썹에 도포할 경우 덩어리가 4개 미만인 경우에는 "◎" 로 5~9개일 때에는 "○", 10개~14개 일 경우에는 "△"로 그 이상의 경우에는 "×"로 표시하였다. 인조 속눈썹은 길이 6mm의 100가닥의 나일론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 실시예 2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 비교예 1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 비교예 2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
발림성 ×
롱래시
두께감
가루떨어짐없음 ×
도포 표면 ×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마스카라는 무난한 두께감을 가지며, 우수하지 않은 롱래시력을 갖는다. 롱래시 효과를 주기 위해 나일론 파이버를 함유한 조성인 비교예 2는 파이버로 인하여 롱래시 효과는 뛰어나나 발림성이 좋지 않으며, 특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이버가 속눈썹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가루떨어짐과 눈밑 번짐을 유발한다. 또한 각 마스카라 조성물을 속눈썹에 도포 후 표면의 매끈함을 비교했을 때, 버터를 함유함 실시예 1-2는 균일한 도포표면을 나타낸 반면, 비교예 1 및나일론 파이버를 함유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매끄럽지 않은 도포표면을 나타내어 눈매를 깨끗하게 표현하기 어려웠다.
이와 같이 마스카라의 조성에 버터를 사용할 경우, 발림성이 우수하며 가루 날림이 없고 도포 표면이 깨끗하다. 또한 실시예 1과 2를 비교하면, 표면 점착력이 크고 떠내기(Pick up)양이 많은 쉐어 버터가 코코아 버터에 비해 두께감을 더 갖고 볼륨과 롱래시를 나타나기에 더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부드러운 발림성, 매끈한 도포 표면과 함께 볼륨과 롱래시를 모두 주고자 할 경우에는 표면 점착력이 크고 떠내기 양이 많은 쉐어 버터(Shea Butter), 망고 버터(Mango Butter) 또는 피스타치오 버터(Pistachio Butter)등의 버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표면 점착력이 크지만 떠내기(Pick up) 양이 적은 코코아 버터(Cocoa Butter) 또는 표면 점착력이 작은 아몬드 버터(Almond butter) 등은 두께감 없이 자연스러운 눈매를 연출하기에 용이하다.
<시험예 2: 마스카라의 안(眼)자극성 시험>
상기 실시예 1-2, 비교예 1-2 에 의한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의 안자극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달걀을 이용한 안자극 시험(HETCAM-HEN'S EGG TEST ON THE CHORIOALLANTOIC MEMBRANE)을 행하였다. 시험방법은 씨티에프에이 안전성 시험지침(CTFA SAFETY TESTING GUIDELINES)에서 정한 시험방법으로서 다음과 같다. 흰 종란을 10일간 37ㅁ0.5℃, 55ㅁ7% 습도 조건의 부화 기계에서 부화시켜 기실이 관찰되면 혈관이 보이도록CAM(Chorioallantoic membrane)이 잘 발달된 종란만을 선택한 후 난각과 난각막을 제거한다. 시험물질을 파라필름(PARAFILM)에 얇게 펴 바르고 시험물질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CAM에 일정시간 (30초) 동안 적용한 후 생리식염수로 CAM을 세척하고 반응을 평가한다. 반응의 결과는 하기 표4에 기재된 사전실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기준물질 판정 반응양상 Score
0.5% Texapon ASV Weak Hemorrhage and Lysis 1 (반응없으면 0)
1.0% Texapon ASV Moderate 2
5.0% Texapon ASV Strong 3
HET-CAM에 의한 평가는 H, L, C (Hemorrhage, Lysis, Coagulation)의 합 "S" 값으로 나타내며 그 값을 자극점수로 한다. 각 실험은 6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였다. 표 5에서 평균 자극점수가 6 미만인 것은 경자극(SLIGHTLY IRRITATING)으로 "◎", 6~12인 것은 중자극(MOERATELY IRRITATING)으로 "○", 12~16은 자극(IRRITATING)으로 "△", 16 이상을 초과하는 것은 심각한 자극(SEVERELY IRRITATING)으로 "×"로 각각 표시하였다.
시험물질 HET-CAM 시험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나일론 파이버) ×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일론 파이버를 함유하는 기존의 마스카라 제품인 비교예 2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2의 안자극 정도가 매우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마스카라의 부착 지속성>
상기 실시예 1-2, 비교예 1-2 에 의한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의 부착 지속성을 시험하였다. 부착 지속성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각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동일 두께로 유리판에 도포 후 완전 건조 시킨다. 그 다음에 크로스 커터(CROSS CUTTER)를 사용하여 유리판에 격자무늬를 만들고, 테이프를 사용하여 동일한 힘으로 유리판에서 내용물을 박리시킨다. 각 조성물에 대해 3번 반복 시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정리하였다. 표 6에서 전체 면적의 50% 이상 테이프에 박리된 것은 "×", 전체 면적의 30~50%가 박리된 것은 "△", 전체 면적의 10~30% 박리된 것은 "○", 전체 면적10% 이하가 박리된 것은 "◎"로 각각 표시하였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 실시예 2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 비교예 1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 비교예 2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
부착지속성 ×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부착 지속성은 기존의 마스카라 제품인 비교예 1에 비해 유사하게 우수하고, 나일론 파이버를 함유하는 비교예 2에 비해서는 뚜렷하게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 1-2의 버터가 제형 안에서 조성물의 점도를 상승시켜 부착력을 크게 했을 뿐 아니라, 비교예 2의 파이버는 제형 위에 살짝 얹혀 있음으로써 조성물의 점도를 상승시킨 반면, 버터는 유화제형의 유상 안에 들어가 있으므로 쉽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실시예 3-6 및 비교예3 >
상기 실시예 1-2는 버터를 함유하는 마스카라의 특성, 특히 버터의 종류에 따른 마스카라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조성이었다. 이하 실시예 3-6및 비교예 3을 통해서는 버터의 함량에 따른 마스카라 특성을 비교한다. 버터는 표면점착력이 커서 두께감을 표현하기 좋은 쉐어 버터(Shea Butter)를 사용하였으며, 하기 표 7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마스카라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3
1. 칸데릴라납 3.0 3.0 3.0 3.0 3.0
2. 파라핀 3.0 3.0 3.0 3.0 3.0
3. 밀납 11.0 11.0 11.0 11.0 11.0
4. 폴리소르베이트 20 1.0 1.0 1.0 1.0 1.0
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6.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1.0 1.0 1.0
7. 스테아릭애씨드 5.0 5.0 5.0 5.0 5.0
8. 디메치콘 0.5 0.5 0.5 0.5 0.5
9. 쉐어 버터 0.5 3.0 6.0 11.0 -
1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2. 글리세린 5.0 5.0 5.0 5.0 5.0
13. 세룰로즈 파우더 0.2 0.2 0.2 0.2 0.2
14. 트리에탄올아민 1.5 1.5 1.5 1.5 1.5
15. 에탄올 2.0 2.0 2.0 2.0 2.0
16. 흑색산화철 10.0 10.0 10.0 10.0 10.0
17. 아크릴레이트공중합물 8.0 8.0 8.0 8.0 8.0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표 7에 기재된 성분 1~10을 혼합 가열하여 용해시켰고(혼합물 a), 성분 11~15를 혼합 가열하면서 교반시켰다(혼합물 b). 상기 혼합물 a에 성분 16을 넣고 교반 혼합하면서 성분 11~15를 서서히 투입하였다(혼합물 c). 상기 혼합물 b를 서서히 가하면서 유화시킨 후 상기 성분 17을 넣고 냉각시켰다.
<시험예 4: 버터의 함량에 따른 마스카라 기능, 지속력 및 도포 표면에 대한 비교>
상기한 실시예 3-6, 비교예 3에 의해 제조된 마스카라를 20~40 세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험 항목은 발림성, 롱래시, 두께감, 가루떨어짐없음, 지속성, 도포 표면 매끄러움으로 하였다. 각 항목에 대하여 품평을 한 후, 0~15 까지의 점수를 주게 하고, 30명에 대하여 그 평균 점수를 내었다. 각 실험은 5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정리하였다. 표 8에서 평균 점수가 4.0 미만인 것은 "×", 4.0~8.0인 것은 "△", 8.1~12.0은 "○", 12.0을 초과하는 것은 "◎"로 각각 표시하였다. 도포 표면은 마스카라 조성물을 인조 속눈썹에 16회 도포할 경우 덩어리가 4개 미만인 경우에는 "◎", 5~9개일 때에는 "O", 10개~14개 일 경우에는 "△", 그이상의 경우에는 "×"로 표시하였다. 인조 속눈썹은 길이 6mm의 100가닥의 나일론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항목 실시예 3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 실시예 4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 실시예 5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 실시예 6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 비교예 3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
발림성
롱래시
두께감 ×
가루떨어짐없음
지속성
도포 표면
표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버터를 함유하는 마스카라의 조성은 버터의 함량 변화에 따라 발림성, 지속성 및 도포표면이 개선됨을 확인하였고, 특히 버터 함량에 따른 두께감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버터를 0.5중량% 함유하는 실시예 3에서도 롱래시, 두께감 및 지속성이 양호했다. 다만 발림성과 도포 표면의 개선이 크지 않았는데, 이는 함유한 버터의 양이 작아 버터에 의한 효과를 보지 못하기 때문으로 발림성과 도포 표면의 큰 향상을 위해서는 버터를 1중량% 이상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두께감 변화에 관해서는, 버터의 함량이 6중량% 이상인 실시예 5, 6이 발림성와 도포 표면은 좋으나 두께감이 많이 떨어져 볼륨을 주기에는 적당하지 않았다. 이는 소량의 버터가 왁스와 함께 있을 때는 버터가 왁스 사이사이에 들어가 왁스가 딱딱하게 재결정되는 것을 막으며 쿠션처럼 작용하여 점증의 효과가 있으나, 버터의 함량이 너무 많아질 경우에는 버터의 무른 성질로 인하여 쫀득한 조성물 보다는 묽은 조성물이 제조되어 두께감을 줄 수 없어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부드러운 발림성, 매끄러운 도포 표면과 함께 롱래시 및 볼륨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점착성이 있으면서 떠내기(Pick up)가 용이한 버터를 선택하여야 하고, 그 함량은 왁스가 0.1~20중량% 함유된 마스카라 조성 내에서 1~4중량% 이 함유되었을 때 그 효과가 우수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왁스가 6~18중량% 함유된 마스카라 조성 내에서 1~4중량%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성 버터를 함유한 마스카라 조성물은 코팅막 또는 파이버를 사용한 기존의 마스카라에 비해 부드러운 발림성, 지속성 및 균일한 도포 표면을 가진다. 특히 표면 점착력과 떠내기가 우수한 버터를 사용할 경우, 지속력이 뛰어난 롱래시 및 볼륨 효과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마스카라에 비해 지속력이 뛰어나 매우 낮은 안자극 수치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식물 유래 버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유래 버터는 알로에 버터(Aloe Butter), 코코아버터(Cocoa Butter), 쉐어 버터(Shea Butter), 피스타치오 버터(Pistachio Butter), 아보카도 버터(Avocado Butter), 망고 버터(Mango Butter), 콩 버터(Soy Butter), 아몬드 버터(Almond Butter), 올리브 버터(Olive Butter), 밀 버터(Wheat Germ Butter), 쿠푸아수 버터(Cupuacu Butter), 호호바 버터(Jojoba Butter), 마카다미아 씨 버터(Macadamia Seed Butter), 살구 버터(Apricot Butter), 포도 씨 버터(Grape Seed Butter), 마 버터(Hemp Butter), 일리피 버터(Illipi Butter), 코쿰 버터(Kokum Butter), 살 버터(Sal Butter) 및 카리테 버터(Carite But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2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는 표면 점착력이 -50g~-500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는 떠내기(Pick up)가 4.0m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는 쉐어 버터(Shea Butter), 피스타치오 버터(Pistachio Butter) 및 망고 버터(Mango But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4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는 표면 점착력이 -5g~-49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는 떠내기(Pick up)가 4.0mg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조성물은 O/W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조성물은 왁스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18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14.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조성물은 속눈썹에 볼륨을 주고 속눈썹을 길게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조성물은 두께감 없이 매끈한 속눈썹 표면을 만들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KR1020070034171A 2007-04-06 2007-04-06 식물성 버터를 함유한 마스카라 조성물 KR101384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171A KR101384488B1 (ko) 2007-04-06 2007-04-06 식물성 버터를 함유한 마스카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171A KR101384488B1 (ko) 2007-04-06 2007-04-06 식물성 버터를 함유한 마스카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831A true KR20080090831A (ko) 2008-10-09
KR101384488B1 KR101384488B1 (ko) 2014-04-10

Family

ID=4015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171A KR101384488B1 (ko) 2007-04-06 2007-04-06 식물성 버터를 함유한 마스카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4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42B1 (ko) * 2010-03-05 2012-04-24 주식회사 케미랜드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223805B1 (ko) * 2010-12-13 2013-01-17 이미경 쉐어 버터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7057901A1 (ko) * 2015-09-30 2017-04-06 (주)아모레퍼시픽 저점도 마스카라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556A (ko) 2015-07-20 2017-02-01 강선영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눈화장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3702B1 (fr) 2004-07-29 2006-12-22 Oreal Copolymere hyperbranche comprenant des monomeres selectionnes, composition le comprenant, et procede cosmetique
KR100581747B1 (ko) 2004-11-22 2006-05-23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피부 자극 완화용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42B1 (ko) * 2010-03-05 2012-04-24 주식회사 케미랜드 망고버터 코팅 복합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223805B1 (ko) * 2010-12-13 2013-01-17 이미경 쉐어 버터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7057901A1 (ko) * 2015-09-30 2017-04-06 (주)아모레퍼시픽 저점도 마스카라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488B1 (ko)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6989B1 (en) Preparation, in particular cosmetic prepa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CN110958874B (zh) 高光泽长效持妆化妆品组合物,也可用作化妆品胶粘剂
EP1505946A1 (de) Kosmetische zubereitung
KR101384488B1 (ko) 식물성 버터를 함유한 마스카라 조성물
KR1012278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8179A (ko) 유중수형 눈 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0048A (ko) 마스카라 조성물
JP5825780B2 (ja) 油性固形化粧料
JP6293345B1 (ja) 睫毛化粧料
JP2017141165A (ja) 睫用化粧料
KR20070109388A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090114746A (ko) 지속력이 우수하고 클렌징이 용이한 수중유형 화장료조성물
KR20080035247A (ko) 볼륨 마스카라 조성물
KR102644813B1 (ko)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JP2017538736A (ja) 安定化したポリマー粒子を含むゲル−ゲルタイプの組成物
JP2002241234A (ja) 曳糸性毛髪化粧料
KR101822002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9870A (ko) 신규 왁스폴리머를 함유하는 스타일링제 조성물
KR20070083336A (ko) 립스틱 조성물
KR20200087385A (ko) 밀착력과 보습감이 향상된 립틴트 화장료 조성물
US9320700B2 (en)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acid
KR101754213B1 (ko) 글리세릴기가 부가된 왁스와 유연한 필름 폴리머를 함유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101126031B1 (ko) 지속성이 우수한 롱래시 마스카라 조성물
WO2022163571A1 (ja) 油中水型睫毛用化粧料
KR20030095849A (ko) 액상의 모발 보습영양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