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388A -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388A
KR20070109388A KR1020060042269A KR20060042269A KR20070109388A KR 20070109388 A KR20070109388 A KR 20070109388A KR 1020060042269 A KR1020060042269 A KR 1020060042269A KR 20060042269 A KR20060042269 A KR 20060042269A KR 20070109388 A KR20070109388 A KR 20070109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denosine
lip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4035B1 (ko
Inventor
이화영
황정환
김은정
천지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42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035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데노신을 유분산 제형 내에 안정화 시키기 위해 제조된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a) 아데노신을 안정하게 함유하여 입술에 전달력을 높인 아데노신 베이스 성분 1 ~ 40중량%, (b)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1 ~ 30중량%, (c)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 5 ~ 80중량%, 및 (d) 왁스류 1 ~ 20중량%를 함유하는 입술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아데노신 베이스에 의해 유분산 제형 내 아데노신을 안정화 시키며, 입술 피부에의 전달력 및 입술 내의 함수성이 우수하여 입술 주름 개선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화장료 도포시 가볍고, 밀착성이 크며,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낸다.
아데노신 베이스 * 유분산 * 덱스트린 지방산 유도체 * 입술 주름 개선 * 입술 화장료

Description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Oil-Dispersion 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Lip Wrinkles Containing Adenosin Base}
본 발명은 아데노신을 유분산 제형 내에 안정화 시키기 위해 제조된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a) 아데노신을 안정하게 함유하여 입술에 전달력을 높인 아데노신 베이스 성분 1 ~ 40중량%, (b)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1 ~ 30중량%, (c)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 5 ~ 80중량%, 및 (d) 왁스류 1 ~ 20중량%를 함유하는 입술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아데노신 베이스에 의해 유분산 제형 내 아데노신을 안정화 시키며, 입술 피부에의 전달력 및 입술 내의 함수성이 우수하여 입술 주름 개선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화장료 도포시 가볍고, 밀착성이 크며,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낸다.
최근 들어 입술 메이크업의 기본은 건강한 입술부터라는 생각이 중요시됨에 따라 색상, 질감과 더불어 입술 개선의 기능이 강조된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기능 성 화장품의 영역 중에서도 일반 피부 뿐만 아니라 입술 피부에 대한 주름 완화라는 욕구도 크게 증대되어 왔다. 이런 요구에 따라 입술 화장료에 주름 개선 효과까지 우수한 제품들을 계획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입술 화장료는 유성기제에 왁스상 물질들과 혼합하여 만들어지게 되는데, 구성 성분은 하기와 같이 몇 가지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우선, 칸데릴라납, 세레신, 카르나우바납, 파라핀, 목납, 경납, 밀납, 마이크로 크리스탈린납 및 폴리에틸렌 등과 같이 경도를 상승시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 형태를 유지시키는 고형성분이 포함되며, 둘째로 호호바유, 스쿠알란, 라놀린오일, 라놀린 유도체, 동식물에서 추출된 오일, 합성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 등의 액상 유성성분이 포함되고, 셋째로 입술 상태 개선을 위한 효능 성분, 비타민류, 고 보습 성분 및 항산화 성분들이 배합되며, 넷째로 유기 및 무기 색소로 이루어지는 색소 성분이 포함되고, 다섯째로 산화방지제, 방부제, 향 및 영양성분 등의 기타 성분이 첨가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입술 주름 개선 기능성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술 화장료의 주요 제형 원료들은 유용성 성분들이다.
여기에 주름 개선 성분들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용성 성분이 적합하나 주름 효능 성분들 중에 효능이 뛰어나면서 입술 피부에 안전하고 피부 침투력이 우수한 유용성 성분은 찾아보기가 힘들다. 수용성 성분으로 되어있는 주름 개선 원료들은 유분산 (무수)제형 내에서 원료들간의 분리 혹은 발한 현상 등으로 안정하게 적용하기가 어렵고, 적은 양으로 효능을 내기 위해서는 피부의 전달이 매우 중요한데 이것 또한 원료의 안정화와 밀접하게 관계 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5-0016723에서는 주름개선 성분을 립스틱에 함유시키기 위해서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이중구조의 립스틱의 코어부분에 혼합하는 방법을 서술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코어부와 셀부의 이중구조로 인하여 제조 및 성형이 쉽지 않으며, 코어부의 경도 안정성이 떨어지고, 코어부에 원료의 분리, 발한현상이 없는 안정한 상태로 혼합할 수 있는 주름개선 성분의 양이 제한이 있어서 실질적인 주름개선 효과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앞서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인 아데노신을 유분산 제형 내에서 안정화시킨 아데노신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아데노신의 유분산 제형 내 안정화와 더불어 입술 피부 내 최적 전달 및 입술에 부담없는 사용감을 나타내어 입술 주름을 개선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데노신을 유분산 제형 내에 안정화 시키기 위해 아데노신 베이스를 제조하여 적용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아데노신을 안정하게 함유하여 입술 피부 내 전달력을 높인 아데노신 베이스 성분 1 ~ 40 중량%, (b)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1 ~ 30 중량%, (c)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 5 ~ 80 중량%, 및 (d) 왁스류 1 ~ 20 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 아데노신을 베이스 내에 안정하게 함유하여 입술에 전달력을 높인 아데노신 베이스 성분은 다음과 같다. 아데노신 성분자체는 극히 적은 농도(식약청 고시 지정 함량은 0.04%임)로도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진 탁월한 주름 기능성 원료로 피부 침투시 자극이 없는 안전한 원료이다. 다만, 수용성 원료로 오일분산 내 제형화의 어려움, 석출 가능성 및 원료 자체가 구조적으로 피부 침투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아데노신 자체로 유분산 제형 내에 투입하기보다 적절한 설계를 통해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아데노신 베이스를 구성하였다.
Figure 112006032904143-PAT00001
인지질 성분을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유상부를 제조한 후 아데노신을 용해시킨 수용액을 제조하여 투입한 후 혼합하여 유중수(역상베시클) 제형을 만든다. 감압 증발 건조기를 사용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젤 페이스트를 만들고, 보습력이 우수한 버터류에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삼단롤러혼합기로 3회 분산시킨 후 냉각하고 숙성하여 아데노신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용성인 아데노신이 유중수(역상베시클) 형태로 농축되고 안정화된 상태로 버터류에 분산되어 유분산 제형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유용성 중합체로 둘러 쌓인 캡슐로 구성된 상기 아데노신 베이스는 아데노신 베이스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아데노신 젤 페이스트가 약 10 ~ 2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한다(바이오 스펙트럼사 adenoliphere 2.0).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데노신 베이스는 수용성 아데노신을 피부속까지 침투시키는데 유리하며, 고온에서 제조되는 유분산 립제형에 적합하게 고온, 고압에서도 우수한 안정도를 나타낸다.
상기 아데노신 베이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2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이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주름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4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사용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b)성분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는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에 분지된 알킬 그룹(Branched alkyl group)을 가진 유용성 점증제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이다.
Figure 112006032904143-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분지된 알킬 그룹(Branched Alkyl group) 또는 지방산 그룹(fatty acid group)이고, n은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 이며, n이 10 ~ 200 사이의 정수이다.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입술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1 ~ 30 중량%로 함유함으로써, 오일-덱스트린 지방산 유도체 네트워크는 부드러운 젤을 형성하여 미끈거림이나 끈적임이 없는 입술에 편안한 사용감을 준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젤은 딕소트로픽(thixotropic) 성질을 가지고 있어 입술에 도포시 매우 가볍지만 일단 입술에 접촉하고 나면 유동성이 감소하여 밀착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성질로 경시변화에 따른 장기 안정도 또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c)성분의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5 ~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7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성분이 5% 미만에서는 분산성 및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80% 초과일 경우는 안정도가 향상됨을 기대하기 어렵다. 구체적인 예로는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유동 파라핀, 미네랄 오일, 스쿠알란, 폴리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옥타노인, 옥탄도데칸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d)성분의 왁스는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1종 이상의 왁스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1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15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왁스의 함량이 1% 미만인 경우에는 경도가 낮아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2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왁스로 인하여 사용감 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오조케라이트, 밀납, 마이크로 크리스탈린납, 칸델릴라납, 세레신, 카르나우바납 및 파라핀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목적에 따라 실리콘오일, 보습제, 보존제, 폴리머, 자외선 흡수제, 체질 안료, 향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 3]
하기 표 1 내지 표 3의 조성으로 피부 전달력을 높이고 유분산 제형 내 아데노신의 안정화를 위해 설계된 아데노신 베이스를 이용한 입술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1(립밤)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 덱스트린 지방산 유도체 4 8 4 4 - -
2. 밀납, 8 4 4 8 8 8
3. 마이크로 크리스탈린납 3 3 5 3 5 5
4. 카프릴릭-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 15 15 15 15 18
5. 폴리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20 20
6.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32 32 34 36 36 33
7. 폴리 부텐 10 10 10 10 10 10
8. 색소 q.s q.s q.s q.s q.s q.s
9. 토코페릴아세테이트 2 2 2 2 2 2
10. 아데노신 베이스 2 2 2 - 2 -
11. 방부제 q.s q.s q.s q.s q.s q.s
12. 향료 q.s q.s q.s q.s q.s q.s
제조방법
(1) 위의 원료 1 ~ 8을 평량하여 90℃ 이상으로 가열 용해한 후 호모지나이저로 교반시켜 혼합물을 만든다.
(2) 위의 원료 9 ~ 11을 평량한다.
(3) (1)의 혼합물의 온도를 75 ~ 85℃ 정도로 조절한 후 (2)를 서서히 가하면서 호모지나이저로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탈기와 부향 그리고 냉각의 과정을 거쳐 완성시킨다.
제형예 2(립글로스)
성 분 실시예4 비교예4
1. 밀납 4.0 4.0
2.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25.0 25.0
3. 폴리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25.0 25.0
4. 디펜타에리스라이트패티애씨드에스터 10.0 10.0
5.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29.0 31.0
6. 실리카/메치콘 3.0 3.0
7. TiO₂ 0.5 0.5
8. Yellow #5 lake 0.3 0.3
9. RED#6 lake 0.2 0.2
10. 아데노신 베이스 2.0 -
11. 방부제 q.s q.s
12. 단품향료 q.s q.s
제조방법
(1) 위의 원료 1 ~ 6을 평량하여 90℃ 이상으로 가열 용해한 후 호모지나이저로 교반시켜 혼합물을 만든다.
(2) 상기 (1)에 원료 7 ~ 9를 평량하여 넣고 분산시킨다.
(3) 위의 원료 10 ~ 11을 평량한다.
(4) (2)의 혼합물의 온도를 75 ~ 85℃ 정도로 조절한 후 (3)를 서서히 가하면서 호모지나이저로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탈기와 부향 그리고 냉각의 과정을 거쳐 완성시킨다.
제형예 3(립스틱)
성 분 실시예5 비교예5
1. 칸델릴라 왁스 10.0 10.0
2. 세레신 8.0 8.0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오일 5.0 7.0
4.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이소스테아레이트 5.0 5.0
5. 디펜타에리스라이트패티애씨드에스터 10.0 10.0
6.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38.0 40.0
7. TiO₂ 5.0 5.0
8. YELLOW#5 5.0 5.0
9. I.O.Red 3.0 3.0
10. RED#6 4.0 4.0
1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3.0
12. 아데노신 베이스 2.0 -
13. 단품향료 q.s q.s
제조방법
(1) 위의 원료 1 ~ 6을 평량하여 90℃ 이상으로 가열 용해한 후 호모지나이져로 교반시켜 혼합물을 만든다.
(2) 상기 (1)에 원료 7 ~ 10을 평량하여 넣고 분산시킨다
(3) 위의 원료 11 ~ 12를 평량한다.
(4) (2)의 혼합물의 온도를 75 ~ 85℃ 정도로 조절한 후 (3)를 서서히 가하면서 호모지나이저로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탈기와 부향 그리고 냉각의 과정을 거쳐 완성시킨다.
[시험예 1-1] 입술 주름 개선 효과Ⅰ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입술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입술 트러블을 가지고 있는 20명의 여성에게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내용물을 각각 3일 및 8주 동안 도포하게 한 후, 입술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해 관능적으로 평가하였다.
립밤 3일 관찰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만 족 14 2
보 통 4 10
불만족 2 8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입술 주름 개선 효과에 있어 단 시간에도 만족스러운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립밤 8주 관찰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만 족 16 2
보 통 2 8
불만족 2 10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입술 주름 개선 효과에 있어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1-2] 입술 주름 개선 효과Ⅱ
상기 실시예 4, 5 및 비교예 4, 5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입술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입술 트러블을 가지고 있는 20명의 여성에게 상기 실시예 4, 5 및 비교예 4, 5의 내용물을 각각 3일 및 8주 동안 도포하게 한 후, 입술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해 관능적으로 평가하였다.
립글로스/립스틱 3일 관찰
구 분 실시예4 비교예4 실시예5 비교예5
만 족 10 2 8 2
보 통 8 10 10 15
불만족 2 8 2 3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입술 주름 개선 효과에 있어 단 시간에도 만족스러운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립글로스/립스틱 8주 관찰
구 분 실시예4 비교예4 실시예5 비교예5
만 족 14 3 14 3
보 통 6 10 5 9
불만족 - 7 1 8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입술 주름 개선 효과에 있어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립밤 조성물의 사용감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10명의 여성에게 각각 3회 이상 도포하게 한 후, 사용감(부드러운 텍스쳐, 밀착감, 끈적임, 촉촉함)에 대한 선호도를 관능적으로 평가하였다.
사용감
구 분 실시예 2 비교예 2
부드러운 텍스쳐 ×
밀착감
도포후 끈적임 없음
촉촉함
< 사용감 평가 기준 >
아주 만족스러움
만족스러움
보통
불만족 ×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사용감에 대해 조사한 4가지 평가 부분에서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립밤 조성물의 경도
각 시료를 30℃의 항온조에 12 ~ 24시간 보관한 후 레오미터 (Rheometer CR-200D)를 이용하여 직경 1cm의 투명봉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경도 측정시 속도는 20mm/min, 투명봉의 침투 깊이는 20mm로 설정하였다. 또한 30일, 45일 후의 장기 경시 변화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립밤 조성물의 경도
구 분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2 비교예 3
1일 경도 182 190 230 250
30일 경도 175 170 150 162
45일 경도 170 155 123 115
상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2 및 3의 경도는 초기에는 약간 낮아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는데 반해, 비교예의 경우는 초기에는 높은 수준의 경도를 보이다가 경도가 크게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는 왁스에 의한 경시 변화로 보여진다.
또한, 덱스트린 지방산 유도체가 왁스와 함께 적용되었을 때에는 초기경도는 떨어뜨리지만 그 이후에 초기의 경도를 비슷하게 유지하고 있어 장기 안정도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립밤 조성물의 안정도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젤리 타입의 입술 개선용 립밤 조성물을 실온, 고온(55℃)항온조 및 cycling chamber(1일, 30℃ -> -10℃ -> 30℃ -> 45℃)에서 3일, 7일 정도 보관 후에 오일 분리 정도를 평가하였다. 5명의 평가자가 아래와 같이 상대적인 점수를 주어 그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 안정도 평가 기준 >
오일 분리/ 석출 현상 없음 0점
오일 분리 현상 약간 1점
오일 분리 현상 보통 2점
오일 분리 현상 심함 3점
립밤 조성물의 안정도
구 분 실시예 2 비교예 2
실온(3일) 0점 0점
55℃(3일) 0점 1점
Cycling(3일) 1일 6 cycle(-10℃ -> 45℃) 0점 2점
실온(7일) 0점 0점
55℃(7일) 0점 3점
Cycling(7일) 1일 6 cycle(-10℃ -> 45℃) 0점 3점
상기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2의 안정도가 비교예 2와 비교하여 볼 때, 고온에서도 상당히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본 발명에 사용된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의 특성이 그대로 조성물의 특징으로 나타남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술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아데노신 베이스에 의해 유분산 제형 내 아데노신을 안정화 시키며, 입술 피부에의 전달력 및 입술 내의 함수성이 우수하여 입술 주름 개선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거칠고 미끈거리는 느낌과 온도 변화에 따라 오일이 분리되는 현상을 해결하여 도포시 가볍고, 밀착성이 크며,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낸다.

Claims (5)

  1. 유효 성분으로서 (a)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아데노신 베이스 1 ~ 40중량% (b)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1 ~ 30중량%, (c)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 5 ~ 80중량%, 및 (d) 왁스류 1 ~ 20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아데노신 베이스는 버터류 및 아데노신을 배합시킨 원료로서 유용성 중합체로 둘러 쌓인 친수성 캡슐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데노신 베이스는 아데노신 베이스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아데노신 젤 페이스트가 약 10 ~ 20%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c)의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유동 파라핀, 미네랄 오일, 스쿠알란, 폴리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옥타노인, 옥탄도데칸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d)의 왁스류는 오조케라이트, 밀납, 마이크로 크리스탈린납, 칸델릴라납, 세레신, 카르나우바납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42269A 2006-05-11 2006-05-11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0814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269A KR100814035B1 (ko) 2006-05-11 2006-05-11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269A KR100814035B1 (ko) 2006-05-11 2006-05-11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388A true KR20070109388A (ko) 2007-11-15
KR100814035B1 KR100814035B1 (ko) 2008-03-14

Family

ID=3906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269A KR100814035B1 (ko) 2006-05-11 2006-05-11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0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196A (ko) * 2011-02-01 2014-01-10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피부 외용제
KR101480688B1 (ko) * 2007-11-30 2015-01-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048328A1 (ko) * 2021-09-27 2023-03-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카페인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유분산 고형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522B1 (ko) * 2020-10-28 2023-09-12 코스맥스 주식회사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311B1 (ko) * 1988-10-15 1990-11-12 주식회사 쥬리아 립스틱 조성물
KR100582348B1 (ko) * 2005-01-08 2006-06-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88B1 (ko) * 2007-11-30 2015-01-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04196A (ko) * 2011-02-01 2014-01-10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피부 외용제
WO2023048328A1 (ko) * 2021-09-27 2023-03-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카페인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유분산 고형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035B1 (ko) 200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4146A (en) Anhydrous delivery vehicle for cosmetic ingredients
US20180071205A1 (en) Stable Vitamin C System
KR101811849B1 (ko)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E60126649T2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heteropolymere und eine feste substanz und anwendungsverfahren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KR101898244B1 (ko)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5874092A (en)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smooth paste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CN109674687B (zh) 一种乳化口红及其制备方法
KR102405998B1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1773523B1 (ko) 수용성 결정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0879134B1 (ko) 수용성 성분 함유 오일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71153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753535A (zh) 用于化妆和护理嘴唇的水包油乳剂
KR100787784B1 (ko) 과립을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US6274153B1 (en) Structured cosmetic material comprising κ-carragheen which forms a three-dimensional network
KR20200144490A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65617B1 (ko) 지속성 및 제형 안정성이 개선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9990042883A (ko) 입술화장료 조성물
KR100227122B1 (ko) 입술화장료의 보습성 향상을 위한 w/o형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한 입술화장료 조성물
KR10106134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5246A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9980053454A (ko) 스틱형 팩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53227B1 (ko) 젤리 타입의 입술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