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348B1 -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348B1
KR100582348B1 KR1020050001959A KR20050001959A KR100582348B1 KR 100582348 B1 KR100582348 B1 KR 100582348B1 KR 1020050001959 A KR1020050001959 A KR 1020050001959A KR 20050001959 A KR20050001959 A KR 20050001959A KR 100582348 B1 KR100582348 B1 KR 100582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nkle improvement
lipstick
core part
li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0996A (ko
Inventor
신현종
이천구
최기환
성경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0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34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33Distinct layers, e.g. core/shell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안정하게 함유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구조 립스틱은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이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 다가알코올 및 액상오일로 이루어진 베이스에 혼합된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코아부; 및 상기 코아부와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색상을 갖으며, 상기 코아부를 둘러싼 쉘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을 함유한 이중구조의 립스틱은 주름개선의 유효성분인 수용성 주름개선 유효 성분을 안정하게 함유하므로서 입술에 도포시 입술 주름의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 차별화와 입술 화장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입술주름*수용성주름개선성분*세라마이드*다가알코올*액상오일*립스틱*2중구조

Description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및 그 제조방법{A lipstick having core and shell structure containing water soluble anti-wrinkle compou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립스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을 립스틱에 안정하게 배합시킬 수 있는 베이스의 조성물을 함유하여 입술의 주름 개선 효과를 부여하고, 이중 성형에 의한 코아부와 쉘부의 이중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시각적 차별화와 입술 화장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이중구조의 립스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술피부는 일반 피부에 비하여 각질층이 극히 얇게 형성되어 있고, 천연보 습인자와 수분함유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피부에 비하여 입술표면에서의 수분 손실이 수배 이상 빠르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립스틱에 대한 개발방향은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기능 외에, 입술의 보습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증진시키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입술피부는 수분 손실이 빠르므로, 건조한 날씨 등 외부환경조건에 따라 입술조직이나 입술 주위에 주름이 형성되기 쉽다. 이에 따라, 입술피부의 생리적인 활성을 촉진시켜 입술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립스틱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주름개선 성분으로서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립스틱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의 특성상 오일과 왁스의 유상성분을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립스틱에 안정하게 혼합시키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2-0003480호에는 입술의 주름개선 및 보습효과 부여를 위해 수용성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한 립스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명에 따른 립스틱은 주름개선의 유효성분으로서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인 수용성 펩타이드 성분을 립스틱 내에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스테아린산 등의 지방산과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였다. 그러나, 첨가된 계면활성제 성분들은 매우 민감한 입술피부조직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수용성 주름개선의 유효성분을 안정하게 함유함으로서 입술주름 의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민감한 입술피부조직에 대해 자극이 거의 없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시각적 차별화 효과와 입술 화장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이중구조 립스틱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이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 다가알코올 및 액상오일로 이루어진 베이스에 혼합된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코아부; 및 상기 코아부와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색상을 갖으며, 상기 코아부를 둘러싼 쉘부로 이루어진 이중구조 립스틱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중구조 립스틱은 (S1)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 다가알코올 및 액상오일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을 왁스 및 오일로 구성된 유상성분과 색소로 이루어진 립스틱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므로서 코아부 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S3) 상기 코아부 베이스와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색상을 갖는 쉘부 베이스를 코아주형을 갖는 립스틱 성형기에 충진하여 쉘부를 성형하는 단계; 및 (S4) 상기 코아주형을 제거하고 빈 코아부분에 상기 코아부 베이스를 충진하여 코아부를 성형하는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은 오일과 왁스의 유상성분을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립스틱에는 안정하게 혼합시키기 어려우므로 립스틱에 적용이 쉽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 많은 연구를 행한 결과,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 다가알코올 및 액상오일로 이루어진 베이스에 혼합시킴으로써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이 안정화된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은 립스틱에 배합하여도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이 안정화 상태를 유지하여 입술에서 주름개선효능을 잘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으로는 알파 하이드록실 에시드(AHA)계 주름개선 성분, 베타 하이드록실 에시드(BHA) 주름개선 성분, 비타민 C 또는 그 유도체, 아데노신, 레티노이드, 아시아티코사이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 서로 병용하여 첨가할 수 있다.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의 함량은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배합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유효성분의 함량이 적어 주름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중량%를 초과하면 립스틱에 베이스 조성물에 배합시 안정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는 피부의 수분증발조절기능을 지닌 각질성분과 유사구조의 성분으로서, 친수성인 주름 개선 성분과 후술하는 다가알코올 성분을 안정화시키는데 큰 효과를 나타낸다,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는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에1 내지 6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배합량이 1 중량% 미만이면 베이스 조성물을 립스틱에 배합시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과 다가알코올 성분을 효과적으로 립스틱에 안정화기가 어렵고, 60중량%를 초과하면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 및 베이스 조성물이 배합된 립스틱의 점도가 지나치게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다가알코올은 공지된 바와 같이 보습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을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내에 균일하게 용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다가알코올로는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가알코올의 함량은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과 다가알코올 성분의 안정화 측면에서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의 0.1 내지 6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에는 상온에서 액상인 오일이 함유되는데,액상오일로는 일반적으로 립스틱에 사용되는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오일, 상온에서 액상인 고급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액상오일의 함량은 0.1 내지 50중량%가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 내에서 베이스의 적절한 점도와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 및 다가알코올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다.
전술한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 세라미드 또는 그 유도체, 다가알코올 및 액상오일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준비한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은 왁스 및 오일로 구성된 유상성분과 색소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립스틱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그 결과물을 이중구조의 립스틱 중 코아부로 성형하므로서 입술주름 개선의 기능을 이중구조 립스틱에 부여할 수 있다. 첨가된 펄 등 의 색소에 의해 코아부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분체들은 흡유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오일 성분의 유연효과를 저해하고 입술 건조를 촉진하게 되어 함유된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에 의한 입술주름 개선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부에 첨가하는 색소는 가능한한 적게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립스틱 자체의 외형 색상 및 화장효과는 코어부를 둘러싼 쉘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코아부에 함유된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의 함량은 코아부 총 중량을 기준으로0.1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0.1중량% 미만이면 유효성분인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의 함량이 적어 입술주름 개선효과가 충분치 못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코아부 자체의 점도가 너무 높아지게 되어, 립스틱 본래의 사용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전술한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 외에도, 코아부에는 통상적으로 립스틱에 첨가되는 왁스류, 오일류, 색소류, 자외선 차단제, 분산제 등을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첨가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진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을 코아부로 성형한 본 발명의 이중구조 립스틱은 주름개선의 유효성분인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을 안정하게 함유함으로써, 일반 피부에 비하여 각질층이 매우 얇고 천연보습인자가 적어 건조한 날씨 등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아 주름생성이 용이한 입술피부에 적용 시 충분한 입술주름의 개선효과가 나타나며, 피부에 대한 안전성 또한 뛰어나다. 더불어, 입술 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에 함유된 보습성분 역시 유 성기제인 립스틱에 안정하게 배합되므로 입술에 적용시 보습효과 또한 충분히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중구조 립스틱의 쉘부는 코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데, 쉘부를 이루는 조성물은 특별한 제약이 없이 코아부와 시각적으로 구별이 가능하도록 다른 색상을 갖고 있으면 족하다. 따라서, 주름개선 효과를 갖도록 전술한 코어부와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반대로 주름개선 성분을 배제한 통상적인 립스틱 조성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장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충분한 색소를 첨가한 립스틱 조성물로 제조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이중구조의 립스틱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 다가알코올 및 액상오일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한다(S1). 이 때, 상기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 다가알코올 및 액상오일의 함량이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20중량%, 1 내지 60중량%, 0.1 내지 60중량% 및 0.1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조한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을 왁스 및 오일로 구성된 유상성분과 색소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립스틱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므로서 코아부 베이스를 준비한다(S2). 이 때,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의 참가량은 코아부 베이스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상기 코아부 베이스와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색상을 갖는 쉘부 베이스를 코아주형을 갖는 립스틱 성형기에 충진하여 쉘부를 성형한다(S3).
이어서, 코아주형을 제거하고 빈 코아부분에 준비한 코아부 베이스를 충진하여 코아부를 성형하면(S4), 본 발명의 이중구조 립스틱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이와 같이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립스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립스틱 용기(7)에 장착된 본 발명의 이중구조 립스틱(10)은 전술한 코아부 베이스로 성형한 코아부(3)와, 코아부(3)를 둘러싼 쉘부(5)로 구성된다. 쉘부(5)는 코아부(3)와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색상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A ~ D)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중량%)에 따라 80℃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01105714-pat00001
얻어진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A ~ D)와 하기 표2에 기재된 성분 1 ~ 12를 그 함량(중량%)에 따라 80℃에서 균일하게 용해시킨 다음, 성분 13를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탈포시키고 성분14를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시켜 실시예 1 ~ 7및 비교예1 ~ 3의 코아부 베이스를 준비하였다.
한편, 쉘부 베이스는 전술한 코아부 베이스와 동일한 조성성분과 함량으로 제조하되, 색소의 색상을 달리하므로서 코아부와 구별되도록 하였다.
이중구조의 립스틱은 준비한 코아부 베이스와 쉘부 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성형하였으며, 코아부의 직경은 6mm, 전체 이중구조 립스틱의 직경은 9mm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01105714-pat00002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이중구조 립스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입술주름개선효과
20대에서 40대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립스틱으로 4주간 반복적으로 화장을 실시하게 한 다음,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입술주름 개선효과를 전문가가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변화 없음 또는 효과 미미함 (0/100 97/3) : Ⅹ
입술주름상태가 다소 개선됨 (96/4 -90/10) : △
입술주름개선효과가 현저히 있음 (89/11-80/20) : ○
(입술 상태가 변화 없는 인원/입술 주름이 개선되었다고 판명된 인원)
주름개선성분안정성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성분13을 제외한 전성분을 균일분산시키고, 수용성성분이 침강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시약으로서,수성염료인 Blue No 1을 가하여, 강제 분산시킨 후, 탈포 시킨다. 탈포가 완료된 조성물을 Test Tube에 설치한 후, 80℃에서 10분 정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수용성 주름개선성분의 립스틱내에서의 분산안정성을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3점: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의 침강이 전혀 없이 안정함
2점: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의 침강이 다소 발견되나 안정함
1점: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의 침강이 발견됨
0점: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이 침강하여 불안정함
안전성 평가
Guinea Pig을 이용한 48시간 동물첩포시험을 통하여 자극성정도를 평가하였다.
비자극성: ○ (홍반 및 부종이 거의없음)
약자극성: △ (아주 가벼운 홍반 및 부종발생)
중등도자극성: Ⅹ (보통의 부종 및 분명한 홍반)
보습효과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성분12를 제외한 전성분을 균일용해시켜 제조된 조성물로 제조한 립스틱을 7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팔의 안쪽부위에 도포하고, 2시간이 경과한후 CORNEOMETER를 이용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수분보유능변화를 측정하여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양호: ○(최초도포시대비 2시간경과후, 10%이상 수분보유능증가)
보통: △(최초도포시대비 2시간경과후 5-10% 수분보유능증가)
불량: Ⅹ(최초도포시대비 2시간경과후 5%이하 수분보유능증가)
전술한 평가결과들을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01105714-pat00003
상기의 표3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의 립스틱은 종래의 립스틱 성분인 유성 기제로만 이루어진 비교예1및 솔비탄 올레이트 등을 이용해 글리세린을 안정화시킨 비교예 2의 립스틱보다 입술주름개선효과, 보습효과, 안전성 등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통상적인 성분들로 구성된 비교예1의 립스틱은 주름개선 및 보습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며, 글리세린을 계면활성제인 솔비탄올레이트를 이용해 안정화시킨 비교예2는 보습효과는 우수하지만 주름개선효과가 없고, 자극성 계면활성제로 인하여 안전성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름개선성분으로서 수용성인 레티놀을 립스틱에 단순히 첨가한 비교예3은 립스틱에 안정하게 분산되지 않아 주름개선효과를 효과적으로 나타내지 못했다. 반면에, 실시예1-7에서 제조된 입술주름개선 립스 틱은 입술주름개선효과를 나타내었고, 안전성 및 보습효과에 있어서도 뛰어난 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을 함유한 립스틱은 수용성 주름 개선 성분을 안정하게 함유함으로써, 일반 피부에 비하여 각질층이 매우 얇고 천연보습인자가 적어 건조한 날씨 등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아 주름생성이 용이한 입술피부에 적용시 충분한 입술주름의 개선효과가 나타내었으며, 또한 코아부와 셀부가 시각적으로 구별되어 미적 감각을 부여한다. 특히, 코아부와 쉘부를 이중 구조 립스틱으로 성형시, 코아부에는 색소와 펄의 함량을 적게 하여 오일 흡유에 의한 입술 건조를 최소화하므로서 입술 주름 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립스틱 쉘부에는 입술 화장 효과를 충분히 부여할 수 있도록 색소와 펄을 충분히 함유시키므로서 입술 주름 개선 효과와 화장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 차별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이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 다가알코올 및 액상오일로 이루어진 베이스에 혼합된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코아부; 및
    상기 코아부와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색상을 갖으며, 상기 코아부를 둘러싼 쉘부로 이루어진 이중구조 립스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은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 다가알코올 및 액상오일을 베이스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20중량%, 1 내지 60중량%, 0.1 내지 60중량% 및 0.1 내지 5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부에 함유된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의 함량은 코아부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부에 함유된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은 알파 하이드록실 에시드(AHA)계 주름개선 성분, 베타 하이드록실 에시드(BHA) 주름개선 성분, 비타민 C 또는 그 유도체, 레티노이드, 아데노신 및 아시아티코사이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5. (S1)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 다가알코올 및 액상오일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을 왁스 및 오일로 구성된 유상성분과 색소로 이루어진 립스틱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므로서 코아부 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S3) 상기 코아부 베이스와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색상을 갖는 쉘부 베이스를 코아주형을 갖는 립스틱 성형기에 충진하여 쉘부를 성형하는 단계; 및
    (S4) 상기 코아주형을 제거하고 빈 코아부분에 상기 코아부 베이스를 충진하여 코아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립스틱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 다가알코올 및 액상오일의 함량이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20중량%, 1 내지 60중량%, 0.1 내지 60중량% 및 0.1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립스틱의 제조방법.
  7. 제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S2)단계의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의 함량이 코아부 베이스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립스틱의 제조방법.
KR1020050001959A 2005-01-08 2005-01-08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및 그제조방법 KR100582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959A KR100582348B1 (ko) 2005-01-08 2005-01-08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959A KR100582348B1 (ko) 2005-01-08 2005-01-08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996A KR20050010996A (ko) 2005-01-28
KR100582348B1 true KR100582348B1 (ko) 2006-06-19

Family

ID=3722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959A KR100582348B1 (ko) 2005-01-08 2005-01-08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9267B2 (en) 2015-09-02 2020-05-05 Amorepacific Corporation High internal phase water-in-oil type cosmetic com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35B1 (ko) * 2006-05-11 2008-03-14 (주)아모레퍼시픽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EP3600228B1 (de) * 2017-03-27 2020-09-30 Evonik Operations GmbH Verfahren und erzeugnis zur herstellung ceramidhaltiger formulierung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8859A (ja) * 1995-04-03 1996-10-15 Kao Corp シワ予防・改善化粧料
KR100262176B1 (ko) 1997-12-17 2000-07-15 서경배 레티노이드를함유한스틱형입술화장료조성물
KR100308769B1 (ko) 1999-02-19 2001-09-24 장호균 동결건조 레티놀 미세소구체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화장료 조성물
US6663853B2 (en) 2000-11-30 2003-12-16 Blistex Inc. Lip care moisturiz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8859A (ja) * 1995-04-03 1996-10-15 Kao Corp シワ予防・改善化粧料
KR100262176B1 (ko) 1997-12-17 2000-07-15 서경배 레티노이드를함유한스틱형입술화장료조성물
KR100308769B1 (ko) 1999-02-19 2001-09-24 장호균 동결건조 레티놀 미세소구체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화장료 조성물
US6663853B2 (en) 2000-11-30 2003-12-16 Blistex Inc. Lip care moisturiz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9267B2 (en) 2015-09-02 2020-05-05 Amorepacific Corporation High internal phase water-in-oil type cosmetic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996A (ko) 200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0760B2 (en) Coloured cosmetic sticks
EP1176941B1 (de) Mehrphasen-antitranspirant-stift
US20220110841A1 (en) Cosmetic preparation in gel form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82348B1 (ko)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및 그제조방법
US6274153B1 (en) Structured cosmetic material comprising κ-carragheen which forms a three-dimensional network
US7150784B2 (en) Pigment-containing gel mass vased on lipids
KR100787784B1 (ko) 과립을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16723A (ko)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이중구조 립스틱
JP7239648B2 (ja) ワックス調製物の製造方法
KR100194527B1 (ko) 고보습 립스틱 조성물
DE102016124455A1 (de) Kosmetische Zubereitung in Gelform
KR100294792B1 (ko) 화장료용비타민캡슐,비타민캡슐의제조방법및이를포함하는봉상화장료조성물
KR20060042796A (ko) 입술주름 개선 베이스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립스틱 및그 제조방법
DE10201601561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achszubereitung
KR20000039468A (ko) 고보습 지속형 립스틱 조성물
WO2006052037A1 (en) Base composition for anti-wrinkle of lips, lipstick contain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40057744A (ko) 히알루론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유중수 에멀젼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20030047258A (ko) 젤 타입 립 메이크업 조성물
KR20030047260A (ko) 고보습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립스틱 조성물
KR20040040031A (ko) 입술 화장용 조성물
KR20190048495A (ko) 입자를 포함하는 파우더 제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46856A (ko) 수용성 보습성분을 함유한 입술 화장료용 실리카 베이스,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000037947A (ko) 아이새도우 화장료 조성물
KR20040066325A (ko) 입술의 혈행을 촉진하는 고보습 립스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