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726B1 - 니코티노일 도파민 또는 니코티노일 티라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니코티노일 도파민 또는 니코티노일 티라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726B1
KR101137726B1 KR1020090092342A KR20090092342A KR101137726B1 KR 101137726 B1 KR101137726 B1 KR 101137726B1 KR 1020090092342 A KR1020090092342 A KR 1020090092342A KR 20090092342 A KR20090092342 A KR 20090092342A KR 101137726 B1 KR101137726 B1 KR 101137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otinoyl
dopamine
tyramine
s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4872A (ko
Inventor
김보라
김진은
이수민
이계종
김혁
이주동
김명규
Original Assignee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프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7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코티노일 도파민 또는 니코티노일 티라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효 성분으로서 니코티노일 도파민, 니코티노일 티라민 또는 이들 둘 다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 유도체, 니코티노일 도파민, 니코티노일 티라민, 항산화, 미백, 멜라노좀 이동 저해

Description

니코티노일 도파민 또는 니코티노일 티라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NICOTINOYL DOPAMINE OR N-NICOTINOYL TYRAMINE}
본 발명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를 제공하는, 니코티노일 도파민(N-nicotinoyl dopamine) 또는 니코티노일 티라민(N-nicotinoyl tyramine)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니코틴아마이드, 즉 피리딘3카복실산 이라고도 알려진 비타민 B3의 생리활성 아마이드로서, 이는 항염증성 원료 또는 항산화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아가,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멜라노좀(melanosome)의 이동을 저해하여 합성된 멜라닌(melanin)이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로 이동하는 것을 저해한다. 이에 따라, 피부 색소 침착을 감소시켜 미백 작용을 상승시킨다. 또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콜라겐 합성 및 세포간 지질의 합성을 증가시켜 피부 보습 등에 유리한 작용을 한다.
피부 노화의 특성으로는 탄력성의 감소, 주름살, 기미 또는 주근깨 등을 들 수 있고, 그 원인 중의 하나는 지질과산화에 의한 탄력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 절단과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및 히아루론산의 사슬 절단이다. 지질과산화는 산화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의해서 초래되며, 그 과정 중에서 ROS(Reactive Oxygen Species)인 자유라디칼(free radical: superoxide, hydroxyl radical, nitric oxide)이 생성된다. 이러한 자유라디칼의 생성은 피부에 유해한 대사적 활성화의 전 단계일 뿐만 아니라 피부 세포 및 조직 손상을 일으킨다고 보고 되었다. 활성산소는 생물학적 반응에서 세포내 효소 또는 대부분의 전자 운반과정에서 만들어지며 안정화되지 못하여 강한 활성을 갖는다. 활성산소는 분자나 이온과는 다르게 1개 이상의 짝 없는 전자를 갖는 화학물질로서 여러 가지 물질대사를 영위하는데 이용되지만, 자외선, 생화학적 반응 등으로 1O2, O2, OH,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등 자유라디칼의 생산이 과잉되면 생체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어 여러 가지 질환의 발생기전에 관여한다.
한편, 여성들은 미의 기준으로 젊고 하얀 피부색을 갖고 싶어한다. 특히 아시아의 경우 일본 여성의 약 60 %, 중국 여성의 약 75 % 정도가 하얀 피부를 원하며 이는 한국 여성도 비슷하다. 이러한 요구에 발 맞춰 현재 화장품 산업에도 미백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멜라닌 색소 침착의 기전이 다수 밝혀짐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미백제가 개발되고 있다. 피부의 색은 멜라닌과 같은 피부 색소의 양과 분포에 따라 결정되며, 멜라닌은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멜라노좀에서 티로신(tyrosine)이 티로시나아 제(tyrosinase)라고 하는 효소에 의해 산화되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사이트의 덴드라이트(dendrite)를 통해 각질 형성 세포로 전달되게 된다. 멜라닌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특정 요인에 의해 생성량이 증가되면 이로 말미암아 생성된 다량의 멜라닌이 케라티노사이트로 전달됨으로써 피부 표피층에 멜라닌이 축적되어 기미 등의 색소 침착을 일으킨다.
색소 침착을 저해하기 위해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시키거나 분해시키는 방법, 티로시나아제의 전사(transcription)나 당화(glycosylation)를 억제시키는 방법, 멜라닌 색소 자체를 환원시키거나 항산화 작용을 하는 물질을 적용하여 산화형 멜라닌을 환원형으로 되돌려 산화를 방지함으로써 색소 자체의 색을 엷게 만드는 방법뿐 만 아니라 멜라닌의 케라티노사이트로의 전이를 억제하거나 표피의 턴오버를 빠르게 진행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현재 상용되는 미백원료의 대부분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직, 간접적으로 조절하여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기전들은 오직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성세포에만 초점을 맞춘 것이기 때문에 여러 세포들이 상호 작용을 하여 생체 반응을 일으키는 피부에서는 1차원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피부 세포간의 공동배양이나 3차원 배양을 이용하여 서로의 상호 기전을 연구하는 활동이 활발하다. 일례로서, 프로테아제 활성화 수용체-2(PAR2; protease activated receptor2)의 저해제가 이러한 시스템에서 멜라노좀의 이동을 억제하고, 비타민 B3의 일종인 나이아신아마이드, 렉틴(lectins), 네오글리코프로테인(neoglycoproteins) 및 야로(Achillea millefolium) 라는 식물에서 분리된 센타우레이딘(centaureidin) 역시 멜라노좀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피부 세포를 보호하고 피부노화를 완화할 수 있는 항산화제 및 미백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소재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알려진 나이아신아마이드에 비해 훨씬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성 화장료 소재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니코티노일 도파민(N-nicotinoyl dopamine), 니코티노일 티라민(N-nicotinoyl tyramine) 또는 이들 둘 다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니코티노일 도파민은 항산화력이 매우 뛰어나고 멜라노좀의 이동을 나이아신아마이드에 비해 강력하게 저해하여 피부노화 억제 및 미백 효과를 가져오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치가 뛰어나며, 니코티노일 티라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역시 미백 효과를 가져오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치가 뛰어나다. 따라서, 이들 둘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에 알려진 나이아신아마이드에 비해 훨씬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니코티노일 도파민, 니코 티노일 티라민 또는 이들 둘 다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이아신아마이드 유도체인 니코티노일 도파민은 뛰어난 항산화력을 가져, 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피부 탄력 저하, 피부의 수분 함유 저하 또는 피부 노화를 개선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니코티노일 도파민은 멜라노좀의 이동을 강력하게 저해하고 또다른 나이아신아마이드 유도체인 니코티노일 티라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고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어 크림, 로션, 화장수, 젤 및 에센스와 같은 각종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니코티노일 도파민 및 니코티노일 티라민의 제조
미국특허 US4,479,932에 나이아신 유도체에 대한 합성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 반응용매인 피리딘의 증류제거가 쉽지 않고(mp 115℃), 부반응물의 발생을 없 애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공정에서는 미리 반응중간체인 니코티노일 NHS 에스터를 제조하여 비교적 쉬운 정제공정을 이룰 수 있고, 다양한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주반응 공정을 되도록 단순화하여 부반응 생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니코티노일 NHS(N-히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터의 제조(반응식 1 참조)
Figure 112009059844339-pat00001
니코틴산 (시그마, 12.3그램, 0.1mol)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Fluka, 11.5그램, 0.1mol)를 THF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0ml에 용해하고,여기에 N,N'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Fluka, 20.6그램, 0.1mol)를 천천히 교반하면서 투입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생성된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THF를 진공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여기에 MC (디클로로메탄) 200ml를 가하여 반응물을 용해하고 미용해분은 여과하여 제거하고, 10% 소금물을 사용하여 3회 세척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 후 디클로로메탄을 진공 증류하여 제거하 였다. 이를 다시 헥산 50ml로 3회 세척하여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여 미백색 분말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8.2그램).
(2) 니코티노일 도파민(NDD)의 제조(반응식 2 참조)
Figure 112009059844339-pat00002
3히드록시티라민 염산염, 즉 도파민 염산염 (시그마, 5.69그램, 30mmol) 및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니코티노일 NHS 에스터 (6.60그램, 30mmol)를 메탄올 200ml에 용해하고, 여기에 탄산칼륨 (4.55그램, 33mmole)을 천천히 교반하면서 투입한 후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고 메탄올을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이후 디클로로메탄 100ml에 분산하여 1시간 동안 교반 후 여과하여 진공 건조하였다 (7.1그램). 얻어진 반응물을 실리카 겔의 컬럼크로마토그래피(분리용매 - 클로로포름:메탄올=12:1)를 통하여 미백색 분말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분자량 계산치: 258, 실측치: 258.28
분자식: C14H14N2O3
분자 조성: C 65.11%, H 5.46%, N 10.85%, O 18.58%.
(3) 니코티노일 티라민(NDT)의 제조(반응식 3 참조)
Figure 112009059844339-pat00003
티라민(알드리치, 4.11그램, 30mmole) 및 니코티노일 NHS 에스터 ( 6.60그램, 30mmol)을 메탄올 200ml에 용해하고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증류하여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이후 디클로로메탄 100ml에 분산하여 1시간 교반후 여과하여 진공건조하였다.(6.5그램).
얻어진 반응물을 실리카 겔의 컬럼크로마토그래피(분리용매 클로로포름12 : 메탄올1)를 통하여 미백색의 분말을 얻었다
분자량 계산치: 242, 실측치: 242.28
분자식: C14H14N2O2
분자 조성: C 69.41%, H 5.82%, N 11.56%, O 13.21%.
실시예 1: 자유라디칼 소거력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
메탄올에 용해시킨 0.1 mM DPPH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라디칼) 용액과 실험물질을 메탄올에 용해시켜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뒤 51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메탄올만 넣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자유라디칼 소거력(항산화력(%))을 산출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자유라디칼 소거력(%) = {1(각 실험물질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100
농도 아스코르빈산 레스베라트롤 니코티노일 도파민
1000ppm 95.2 82.8 91.1
100ppm 94.3 80.1 83.2
10ppm 93.9 49.5 80.6
5ppm 30.7 10.8 21.8
1ppm 23.5 7.7 20.7
DPPH는 화합물 내 질소 중심의 라디칼로 라디칼 전자의 비편재화에 의해 안정한 구조의 라디칼로 존재한다. DPPH는 517 nm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내며, 환원되면 517 nm에서 흡수가 없어진다. 따라서 DPPH의 환원정도는 환원제의 환원력에 달려 있다.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니코티노일 도파민이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화장품 원료로 알려진 레스베라트롤 보다 우수하고, 가장 우수한 항산화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아스코르빈산 (비타민C)과 비슷한 항산화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DCFDA을 이용한 세포 내 항산화력 측정
2',7'디클로로플루오레신 디아세테이트(DCFDA)는 수산화칼륨에 의해 DCFH로 탈에스테르화되며 DCFH는 ROS에 의해 형광물질인 디클로로플루오레신(DCF)으로 산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H2O2를 이용하여 ROS를 생성하였고, DCFH의 DCF 산화를 이용한 반응은 ROS, 특히 H2O2 라디칼 측정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사람 각질형성세포주 HaCaT을 하루 배양한 후 실험물질을 30분 동안 처리하였다. DCF로 산화되면 형광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형광도의 감소는 추출물 내 항산화물질에 의한 ROS의 생성 억제를 나타낸다. 외부 산화스트레스 조건으로는 1 mM H2O2를 30분간 처리하고 DCF를 10분간 처리한 후 여기(excitation) 485nm 및 발광(emission) 535nm에서 형광 측정을 하였다.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항산화력(%)을 산출하여 도 1에 그 결과를 그래프로서 나타내었다.
항산화력(%)= (H2O2 농도 실험물질처리후 H2O2 농도)/(H2O2 농도)× 100
하이드록실 라디칼 활성과 DPPH 활성이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본 연구에서도 활성을 가지는 경우가 유사하나, 도 1의 그래프로부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항산화력이 거의 없는 반면, 니코티노일 도파민은 세포 내에서도 매우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세포독성 실험
케라티노사이트(각질형성세포)는 HKGF (Cascade Biologics)가 들어있는 EPiLife (Cascade Biologics)로 배양하고, 멜라노사이트(멜라닌 형성세포)는 HMGF (Cascade Biologics)가 들어있는 Medium 254 (Cascade Biologics)에 넣어 37 ℃, 5 %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독성은 케라티노사이트 및 멜라노사이트 세포 각각과 이들을 공동배양한 3가지 세포 상태에서 확인하였다. 공동배양의 경우, 케라티노사이트를 넣고 24 시간 후에 멜라노사이트를 미리 깔려 있는 케라티노사이트 위에 넣고 배양하였다. 공동배양 하는 즉시 니코티노일 도파민을 넣어 배양하였다. 3일 후 PBS에 2 mg/ml MTT 용액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을 웰(well) 당 50 μl씩 넣고 4시간 동안 37 ℃에서 인큐베이션(incubation)하였다. 배지와 MTT 용액을 완전히 제거한 후 DMSO를 넣고 20분간 37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세포생존력을 측정하여 도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의 그래프로부터, 케라티노사이트에 대해서 실험시 니코티노일 도파민은 100 uM에서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10 uM에서는 3가지 세포 상태에서 모두 90% 이상의 생존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케라티노사이트와 멜라노사이트 공동배양을 통한 멜라노좀 이동 저해효과
케라티노사이트와 멜라노사이트 공동배양조건에서 배지를 제거한 후 2 μM CFDA (6-카복실 플루오레세인 디아세테이트)가 들어있는 10 ml의 Medium 254로 잘 섞어 30 분 동안 37 ℃에서 반응시켰다. 나이아신아마이드 1.0 mM와 니코티노일 도파민 (NDD) 1, 10 및 100 μM을 각각의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3일 후 메탄올을 이용하여 20 ℃에서 10분간 고정시켰다. PBS로 3회 세척한 후 안티케라틴 항체(antikeratin antibody) (Abcam Inc)를 2시간 동안 37 ℃에서 반응시켰다. PBS로 세척한 후 TRITC (테트라메틸로다민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에 접합된 고우트 안티마우스(Goat antimouse) IgG (2차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를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PBS로 세척한 후 어두운 곳에서 공기 중에 건조시켰다. DAPI가 포함되어 있는 마운팅 용액 (Vector Laboratories)을 이용해 마운팅한 후 공초점 현미경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을 통해 관찰하고 케라티노사이트로 이동한 멜라노좀의 숫자를 세었다.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도 3a에 나타내고, 케라티노사이트로 이동한 멜라노좀의 수를 세어 그래프로서 도 3b에 나타내었다 (NDD:니코티노일 도파민, NDT:니코티노일 티라민).
녹색을 가지고 있는 CFDA로 염색된 세포는 분화하거나 세포내의 물질의 이동이 있을 때 효과적으로 이동하여 형광현미경상에서 물질 이동의 관찰이 가능하다. 그래서 이 실험과 같이 멜라닌의 전이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형광물질이라 할 수 있다. 각질세포에만 존재하는 케라틴을 TRITC로 염색하여 각질세포를 확인하였다.
도 3a 및 3b로부터, 니코티노일 도파민이 나이아신아마이드에 비해 멜라노좀 의 이동을 우수하게 저해함을 알 수 있다. 즉, 나이아신아마이드는 1 mM에서 저해력을 나타낸 반면, 니코티노일 도파민은 10 uM부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저해력을 나타냈다.
실시예 5: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실험
물에 녹인 3mM L티로신, 0.1M 인산칼륨 완충액, 2000U/mL의 버섯유래의 티로시나아제(0.05M 인산칼륨 완충액 중에 용해된)와 니코티노일 도파민, 니코티노일 티라민 혹은 증류수 적량을 섞어서 37 ℃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물질을 넣지 않고 증류수를 넣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을 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 {1(실험물질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100
실험농도 니코틴아마이드 니코티노일 티라민 니코티노일 도파민
100ppm -2.8 68.0 -70.2
10ppm -26.9 -1.7 -63.1
상기 표 2로부터, 니코티노일 티라민이 멜라닌을 합성시키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효율적으로 저해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안정도 실험
안정도 테스트를 하기 위해 합성된 니코티노일 도파민을 물과 에탄올에 대해서 각각 용해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니코티노일 도파민이 에탄올 가용성분임을 확인하였다.
니코티노일 도파민 약 50mg을 정밀하게 달아 적당량의 에탄올에 녹이고 100ml로 하여 시험용액으로 하고, 이 시험용액을 4가지 보관조건(냉장, 실온, 고온(43℃), UV(254nm))에 보관하면서 1주일 간격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HPLC)으로 시험하여 5주간 그 함량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때,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은 대한약전 일반시험법을 준용하였으며, 컬럼은 안지름 4.6 mm, 길이 150 mm인 스테인레스관에 5 ㎛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 겔로 충전한 것을 사용하고, 검출기로는 자외부흡수검출기(검출파장 260nm)를 사용하고, 이동상은 농도구배조건을 사용하였으며, 초기 A:0.1% 초산 수용액(100%)에서 시작하여 10분 A:0.1% 초산 수용액(20%), B:0.1% 초산메탄올 용액(80%)으로 변화시키고, 이후 3분간 유지하며, 유속은 1.0ml/분을 유지하였다. 얻은 크로마토그램을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이 크로마토그램에 대하여 피크면적측정법을 사용하여 절대검량선법으로 정량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냉장보관 상온보관 고온(43℃)보관 UV(254nm)보관
시작 - - - -
1주차 99.75% 100.95% 100.26% 99.68%
2주차 98.07% 98.24% 100.25% 97.92%
3주차 98.39% 99.00% 100.06% 99.21%
4주차 98.06% 98.41% 99.90% 98.87%
5주차 101.7% 98.07% 98.02% 94.54%
상기 표 3으로부터, 니코티노일 도파민의 에탄올 용액에 대하여 위와 같은 조건으로 5주간 안정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UV 254nm 보관조건에서만 약간의 감소(약 5% 수준)가 나타났을 뿐 전체적으로 매우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인체피부 일차자극 첩포를 통한 피부 안전성 실험
실험물질 1%의 농도에서 피부 자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피부자극성 평가는 피부 첩포시험(Closed Patchtest)을 통하여 실시하였고, 그 대상은 20 ~ 40대의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시료를 20 ㎕씩 취하여 IQ 챔버에 담아 등에 부착시키고 24 시간 경과 후 제거한 다음, 30분 경과 후, 그리고 48시간 후에 피부의 부작용, 가려움과 홍반, 부종 등을 수치화하여 평균 피부 자극 판정 범위를 하기 수학식 4에 의거 계산하였다. 판정자는 해당 실험 10년 이상인 전문 연구원이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균 피부 자극 판정 범위 (%)
= {Σ(평가기준수치× 해당 평가수치의 인원수)/(총피험자수× 최고평가기준수치)}× 100
평가기준수치 : +++ : 2
++ : 1.5
+ : 1.0
+ - : 0.5
- : 0
-피부 자극 판정 등급
1 : 최소자극 (10 이하)
2 : 온화한 자극 (10 초과, 20 이하)
3 : 보통 자극 (20 초과, 30 이하)
4 : 심한자극 (30 초과)
번호
실험물질
평가결과(대상자수) 평균 피부 자극 판정 범위(%) 피부 자극 판정 등급
농도
+++ ++ + + - -
1 나이아신아마이드 2 7 11 13.8 2 1%/50%EtOH
2 NDD 1 10 9 15.0 2 1%/50%EtOH
3 NDT 2 5 13 11.3 2 1%/50%EtOH
4 에탄올50% 2 8 10 15.0 2 50% EtOH
5 식염수 1 2 17 5.0 1 0.9% NaCl
* NDD: 니코티노일 도파민, NDT: 니코티노일 티라민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니코티노일 도파민 및 니코티노일 티라민은 둘 다 1% 함량에서 피부 일차자극 반응이 대조군 용매와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자극으로 나타나는 등 피부 외용제로서 안전한 물질임을 알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에서 DCFDA을 이용한 세포 내 항산화력을 측정하여 실험물질 농도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니코티노일 도파민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고자 실시예 3에서 세포생존력을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a 및 3b는 각각, 케라티노사이트와 멜라노사이트 공동배양을 통한 멜라노좀 이동 저해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예 4에서 실험물질 농도별 처리 후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및 케라티노사이트로 이동한 멜라노좀의 수 그래프이고,
도 4는 니코티노일 도파민의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실시예 6에서 측정한 시간에 따른 니코티노일 도파민의 크로마토그램이다.

Claims (4)

  1. 유효 성분으로서 니코티노일 도파민(N-nicotinoyl dopamine), 니코티노일 티라민(N-nicotinoyl tyramine) 또는 이들 둘 다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미백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크림, 로션, 화장수, 젤 또는 에센스의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92342A 2009-09-29 2009-09-29 니코티노일 도파민 또는 니코티노일 티라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37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342A KR101137726B1 (ko) 2009-09-29 2009-09-29 니코티노일 도파민 또는 니코티노일 티라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342A KR101137726B1 (ko) 2009-09-29 2009-09-29 니코티노일 도파민 또는 니코티노일 티라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872A KR20110034872A (ko) 2011-04-06
KR101137726B1 true KR101137726B1 (ko) 2012-04-24

Family

ID=4404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342A KR101137726B1 (ko) 2009-09-29 2009-09-29 니코티노일 도파민 또는 니코티노일 티라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184B1 (ko) * 2019-10-24 2021-07-14 주식회사 모드코스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7251A (ja) 2002-03-19 2003-10-02 Cosmo Products Kk 新規美白化粧品。
US20040219115A1 (en) 2003-01-31 2004-11-04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
KR20080005219A (ko) * 2005-05-09 2008-01-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및 피부 외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7251A (ja) 2002-03-19 2003-10-02 Cosmo Products Kk 新規美白化粧品。
US20040219115A1 (en) 2003-01-31 2004-11-04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
KR20080005219A (ko) * 2005-05-09 2008-01-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및 피부 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872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8590B2 (en) Skin-protection composition containing Dendrobium-based ingredients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60875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101404398B1 (ko)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928797B1 (ko)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60749A (ko) 황금누에고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20076450A1 (en) Cosmetic containing plant extracts, particularly with a depigmenting, anti-radical and anit-ageing action
KR101558182B1 (ko) 흰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37726B1 (ko) 니코티노일 도파민 또는 니코티노일 티라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03631B1 (ko) 레티놀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02684B1 (ko)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140097865A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3654B1 (ko) 미생물에 의한 골담초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4806A (ko) 티오유레아를 함유하는 탈색소침착제 또는 항돌연변이 및항암제용 의약품
JPH10265325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美白化粧料
KR101971243B1 (ko) 4'-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WO2018090805A1 (en) Skin-protection composition containing dendrobium-based ingredients
KR20030086933A (ko) 잘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2616B1 (ko) 아토피 등 극건성 피부의 보습과 진정, 피부장벽강화 효과를 지니는 흰민들레 태좌 배양 추출물 함유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698328B (zh) 二氢白藜芦醇或其芪类衍生物和/或化学变体作为抗微生物剂的使用方法
US10351500B2 (en) Method of using of dihydro-resveratrol or its stilbenoid derivatives and/or chemical variants as antimicrobial agents
KR20110085544A (ko) 루시놀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2415B1 (ko)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7188B1 (ko) 양성자 빔 처리에 의한 천연물 유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