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026B1 - 효모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스쿠알렌의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효모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스쿠알렌의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026B1
KR101137026B1 KR1020090104505A KR20090104505A KR101137026B1 KR 101137026 B1 KR101137026 B1 KR 101137026B1 KR 1020090104505 A KR1020090104505 A KR 1020090104505A KR 20090104505 A KR20090104505 A KR 20090104505A KR 101137026 B1 KR101137026 B1 KR 101137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lene
gene
yeast
hmg1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757A (ko
Inventor
최의성
황제익
류희경
김선원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4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026B1/ko
Priority to PCT/KR2010/007621 priority patent/WO2011053079A2/ko
Publication of KR20110047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026B1/ko
Priority to US13/460,244 priority patent/US867980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or halogenated hydrocarbons
    • C12P5/007Preparation of hydrocarbons or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ne or more isoprene units, i.e. terp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8Baker's yeast; Brewer's yeas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52Genes encoding for enzymes or pro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12N9/0006Oxidoreductases (1.) acting on CH-OH groups as donors (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085Transferases (2.) transferring alkyl or aryl groups other than methyl groups (2.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otan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MG-CoA 리덕타제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 및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 (farnesyl pyrophosphate synthase)를 발현하는 벡터를 도입시켜 제조된 효모 변이주 및 상기 변이주를 이용한 스쿠알렌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HMG1 유전자, 및 ispA 또는 Erg20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 전환시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 효모 변이주 및 상기 변이주를 배양하여 스쿠알렌을 고효율로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쿠알렌,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 HMG1, ispA, Erg20

Description

효모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스쿠알렌의 생산 방법{Yeast Variant and Method of Producing Squale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HMG-CoA 리덕타제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 및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 (farnesyl pyrophosphate synthase)를 발현하는 벡터를 도입시켜 제조된 효모 변이주 및 상기 변이주를 이용한 스쿠알렌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HMG1 유전자, 및 ispA 또는 Erg20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 전환시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 효모 변이주 및 상기 변이주를 배양하여 스쿠알렌을 고효율로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쿠알렌 (2,6,10,15,19,23-hexamethyltetracosa-2,6,10,14,18,22-hexaene, squalene)은 도 1의 화학구조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개의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C30H50의 디하이드로트리터펜 하이드로카본 (dehydrotriterpenic hydrocarbon)으로서 다양한 화합물군을 이루고 있는 터페노이드 화합물의 일종이며, 동식물의 모 든 스테로이드의 전구물질이다.
스쿠알렌은 쥐에서 화학적으로 유발된 피부암, 폐암, 및 대장암에 대하여 유효한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Aioi A 등, Int . J. Pharm. 113, 159-164 (1995)), 식이 섭취한 스쿠알렌은 비특이적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콜레스테롤 흡수율에 영향을 주며, LDL (low-density lipoprotein)과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스쿠알렌은 피부 표면의 다중 불포화 지방의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항산화 보습 등의 효과를 가져 화장품 원료로도 사용된다. 또한 약물의 전달이나 특히 백신 애쥬번트 (adjuvant)로서 최근 사용이 허가되었다 (Tritto E. 등, Vaccine 27, 3331-3334 (2009)).
현재까지 스쿠알렌의 주된 상업적 공급원은 심해상어의 간유와 식물의 씨앗으로부터 얻는 오일이다. 그러나 심해상어 간유의 공급은 중금속 오염과 국제적인 해상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에 따라 원활한 공급이 불투명하고, 식물의 씨앗으로부터 얻는 오일 (예, 올리브 오일 7mg/g, 아마란트 (amaranthus) 오일 0-5.64 mg/g)도 계절적 변화와 지역별 편차 등으로 인하여 원활한 공급이 또한 불투명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연계로부터 스쿠알렌을 생산하는 효모인 슈도지마 (Pseudozyma) (Chang MH 등, Appl . Microbiol. Biotechnol. 78, 963-972 (2008)), 캔디다 파마타 (Candida famata) (JP 07,289,272), 토룰라스포라 델브루엑키 (Torulaspora delbruekii) (Bhattacharjee P. 등, World J. Microbiol . Biotechnol. 17, 811-816 (2001))등을 사용하는 방법, 유글레나 (Euglena)를 사용하는 방법 (JP 07,115,981), 보트리코커스 브라니 (Botrryococcus branii) (Okada S. 등, Arch . Biochem. Biophys. 373, 307-317 (2000)) 및 트라우스 토키트리드 (thraustochytrids) (Li Q 등, J. Agric . Food Chem. 57, 4267-4272 (2009))와 같은 미세조류 (microalgae) 등으로부터 스쿠알렌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의 경우 균체 배양에 기간이 오래 걸리고 세포 생산성이 낮으며 균체 당 생산량이 저조한 등의 문제로 인하여 대부분 상업적 생산에 필요한 높은 생산성을 보여 주지 못하므로 대사공학적 기술을 사용하여 스쿠알렌 함량을 증가시키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대사공학 기술의 숙주세포로서 효모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 효모는 원래 에르고스테롤 (ergosterol)을 균체 건물 당 통상 1% 정도 축적하며 균주나 배양조건에 따라 약 4.6%에 이르는 과량을 축적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Arnezeder C. 등, Biotechnol. Lett. 12, 277-282 (1990)), 에르고스테롤 생합성 경로의 중간물질인 스쿠알렌의 생산에도 적합한 균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쿠알렌은 에르고스테롤 생합성의 중간물질이어서 통상의 생육 조건에서는 미미한 양이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즉,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및 토룰라스포라 델브루엑키 효모의 경우 스쿠알렌 생산성이 각각 균체 (wet cell) g 당 41.16 및 237.25 ㎍에 그쳤으며 (Bhattacharjee P. 등, World J. Microbiol . Biotechnol . 17, 811-816 (2001)), 또 다른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균주의 경우 (BY4741 및 EGY48 균주) 준혐기적 (semianaerobic) 조건에서 각각 약 3 mg/ℓ 및 3.1 mg/ℓ의 낮은 생산성을 보였다 (Mantzouridou F. 등, J. Agric . Food Chem. 57, 6189-6198 (2009).
따라서 효모에서 스쿠알렌을 과량 축적 시키기 위해서는 대사공학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에르고스테롤 및 스쿠알렌 등은 이소프레노이드 혹은 터페노이드 계통의 화합물에 속하며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경로는 크게 메발로네이트 (mevalonate) 경로와 비-메발로네이트 경로의 2가지 경로로 나뉘는데 진핵세포는 주로 메발로네이트 경로를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균주도 진핵세포이므로 메발로네이트 경로를 따르며 에르고스테롤 생합성 경로를 살펴보면 도 2와 같다.
메발로네이트 생합성 경로는 메발로네이트를 생산하는 HMG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 단계가 가장 중요한 율속 단계로 알려져 있고, 상기 단계는 여러 가지 조절 메카니즘 하에 놓여 있으므로, 상기 HMG 효소 유전자를 과발현시키면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의 대사흐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균주에서 다양한 이소프레노이드 (파네솔 (farnesol), 게라닐가라니올 (geranylgeraniol), 아모파디엔 (amorphadiene) 등)의 과생산을 위하여 HMG 효소 유전자의 과발현을 위한 많은 시도가 있어 왔다 (WO2008039499; 미국특허출원 제20040235088호; 미국특허출원 제20030092144호; Tokuhiro K. 등, Appl . Environ . Microbiol. 75, 5536-5543 (2009); Ohto C. 등, Appl. Micorbiol . Biotechnol. 82, 837-845 (2009)). 상기 방법은 스쿠알렌 생산에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HMG1 유전자를 과발현시켰을 때 효모 균체 건물 당 0.9% (Polakowski T. 등, Appl . Microbiol . Biotechnol . 49, 66-71 (1998)), 혹은 2% (Donald KA등, Appl . Environ . Microbiol. 63, 3341-3344 (1997)) 까지 스쿠알렌을 축적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 (Tokuhiro K. 등, Appl . Environ . Microbiol . 75, 5536-5543 (2009)) HMG1 유전자를 GAPDH 프로모터를 사용하여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PH499 균주에서 과발현 시켰을 때 106 - 192 mg/ℓ (2.3 - 4.1 mg/g DCW)의 스쿠알렌 생산성을 얻을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스쿠알렌을 축적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스쿠알렌을 에르고스테롤로 전환하는 효소 경로를 상동재조합 방법으로 결손 시킴으로써 약 5 mg/g의 스쿠알렌을 축적시키는 방법도 알려진 바 있다 (Kamimura N. 등, Appl . Microbiol . Biotechnol. 42, 353-357 (1994)). Ohto 등은 최근 (Ohto C. 등, Appl . Micorbiol. Biotechnol. 82, 837-845 (2009))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균주를 사용하여 파네솔, 네롤리돌 (nerolidol), 게라닐게라니올 등의 프레닐 알코올 (prenyl alcohol)과 스쿠알렌을 생산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메발로네이트 경로 효소 유전자들 (ERG10, HMG 신타제, HMG1, ERG12, ERG8, ERG19, IDI1, idi, ERG20, ispA)을 과발현시켜서 이들 물질의 생산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바 있는데, 그 중 HMG1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장균에서 프레닐 알코올의 생산성을 약 5-6배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Ohto C. 등, Biosci . Biotechnol . Biochem. 73, 186-188 (2009)) ispA (대장균 유래의 파넬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 (farnesyl pyrophosphate synthase) 유전자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균주에서 과발현시킨 경우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모 유래의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 유전자인 Erg20 유전자를 과발현시켰을 경우에도 그 효과는 미미하였다. 이는 아마도 진핵세포인 효모가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경로로 비-메발로네이트 경로를 사용하는 원핵세포인 대장균과는 달리 메발로네이트 경로를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메발로네이트 경로 상에서 ispA나 Erg20 효소의 산물인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가 축적되면 전체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경로의 조절단계인 HMG1 유전자의 발현이나 HMG1 효소의 활성이 저해됨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추정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스쿠알렌 합성을 고효율로 하기 위한 효모 변이주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HMG1 유전자의 발현을 위한 프로모터를 자체 프로모터가 아닌 GAL10 프로모터나 ADH1 프로모터 등을 사용함으로써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경로의 산물에 의한 HMG1 유전자 발현의 저해를 극복함과 동시에 HMG1 유전자와 함께 ispA나 Erg20과 같은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 유전자를 동시에 과발현하는 방법을 고안하게 되었고, 기존의 스쿠알렌 고생산성 균주로 알려진 YPH499등과 비교하여 수배 내지 수십배의 현저하게 높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 변이주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HMG-CoA 리덕타제 및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를 발현하는 벡터를 도입시켜 제조된 효모 변이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효모 변이주를 배양하여 스쿠알렌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HMG-CoA 리덕타제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 및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 (farnesyl pyrophosphate synthase)를 발현하는 벡터를 도입시켜 제조된 효모 변이주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효모 변이주는 HMG-CoA 리덕타제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 및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 (farnesyl pyrophosphate synthase)를 발현하는 벡터로 형질전환시켜서 상기 유전자들을 과발현시킴으로 인하여 스쿠알렌을 과량으로 효모 내에 축적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HMG-CoA 리덕타제"는 콜레스테롤 및 다른 이소프레노이드 (isoprenoid)를 생산하는 대사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특히 메발로네이트 경로에 있어서 중요한 율속단계를 결정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상기 효소는 ER (endoplasmic reticulum) 막에 박혀있는 앵커 단백질 (anchored protein)이고, 7개의 막통과 도메인 (transmembrane domain)를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스쿠알렌 과량 생산을 위하여, 상기 HMG1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자 하는 시도가 일부 이루어진 바 있으나, 관련 경로의 복잡한 기전에 의해 유의적인 스쿠알렌 증가를 달성하지 못하거나, 발현 정도가 일정하지 않아 산업적 생산이 불가한 균주를 생산하는데 그쳤고, 안정적이고 고효율로 스쿠알렌을 생산하는 변이주에 대해서는 개발되지 못하였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으로 HMG-CoA 리덕타제의 활성을 효모에서 나타낼 수 있는 유전자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HMG-CoA 리덕타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HMG1 유전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HMG-CoA 리덕타제로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유래의 HMG1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효모 변이주로부터 고효율의 스쿠알렌을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HMG1 유전자의 경우 유전자가 코딩하는 영역의 기능에 따라 막통과 도메인 및 촉매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도입가능한 유전자는 촉매 영역의 발현을 포함하는 유전자 전장, 일부 또는 단편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HMG1 유전자는 막통과 도메인 없이 촉매 영역만이 발현되도록 변형된 유전자이며, 상기 변형은 에르고스테롤 생합성 중간체에 의한 피드백 조절을 억제함으로써 스쿠알렌의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 (farnesyl pyrophosphate synthase)"는 이소펜테닐 파이로포스페이트 및 디메틸알릴 파이로포스페이트로부터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가 합성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는 특히 에르고스테롤 생합성 과정에서 구조상 다양한 중요 대사 산물들에 대한 C15 전구체를 제공하는 중요한 효소이며, 스쿠알렌 생합성의 전단계인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를 생산하는 효소이다.
상기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 효소는 상기 효소 활성을 효모에서 나타낼 수 있는 유전자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그 예로 ispA 유전자 또는 Erg20 유전자가 있으나, 상기 예에 의해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 유전자의 예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ispA 유전자 또는 Erg20 유전자는 효모 내에서 본래의 활성을 가질 수 있는 한 해당 유전자의 유래가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ispA 유전자의 경우 대장균 유래일 수 있고, Erg20 유전자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유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에르고스테롤 생합성 경로" 또는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경로"는 혼용될 수 있으며, 상기 생합성 경로는 중간 산물로서 스쿠알렌을 생산하며, 본 발명의 효모 변이주는 상기 생합성 경로 상의 HMG-CoA 리덕타제 및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를 동시에 과발현시킴으로 인하여 스쿠알렌을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스쿠알렌"은 일종의 이소프레노이드 혹은 터페노이드 계통의 화합물에 속하며, 6개의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는 다중 불포화 지방으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C30H50이다.
Figure 112009066996986-pat00001
본 발명에서 용어, "벡터"란 적당한 숙주세포에서 목적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로서,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필수적인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작제물을 말한다.
재조합 벡터와의 작동적 연결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부위-특이적 DNA 절단 및 연결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효소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벡터는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개시코돈, 종결코돈, 폴리아데닐화 시그널, 인핸서 같은 발현 조절 요소 외에도 막 표적화 또는 분비를 위한 신호 서열 또는 리더 서열을 포함하며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벡터의 프로모터는 구성적 또는 유도성일 수 있다. 또한, 발현벡터는 벡터를 함유하는 숙주 세포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성 마커를 포함하고, 복제 가능한 발현벡터인 경우 복제 기원을 포함한다. 벡터는 자가 복제하거나 숙주 DNA에 통합될 수 있다. 벡터는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바이러스 벡터 등을 포함하며, 효모 숙주세포 내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할 수 있는 당업계에 공지된 벡터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operably linked)"은, 하나의 핵산 단편이 다른 핵산 단편과 결합되면 그의 기능 또는 발현이 다른 핵산 단편의 영향을 받지만, 이들 핵산 단편의 여러 가능한 결합 조합 중에서 각 단편이 그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검출할 만한 영향이 없는 상태의 결합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핵산 발현 조절 서열과 목적하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이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발현 카세트는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임의의 전사 시작 조절 서열 및 전사 종결 조절 서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작동가능한 연결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부위-특이적 DNA 절단 및 연결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효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도입"이란 형질전환 또는 형질도입에 의해 외래 DNA를 세포로 유입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형질전환은 CaCl2 침전법, CaCl2 방법에 DMSO (dimethyl sulfoxide)라는 환원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효율을 높인 Hanahan 방법, 전기천공법 (electroporation), 인산칼슘 침전법, 원형질 융합법, 실리콘 카바이드 섬유를 이용한 교반법, 아그로 박테리아 매개된 형질전환법, PEG를 이용한 형질전환법, 덱스트란 설페이트, 리포펙타민 및 건조/억제 매개된 형질전환 방법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여러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형질도입은 감염 (infection)을 수단으로 하여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 벡터 입자를 사용하여 세포 내로 유전자를 전달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효소를 발현하는 벡터를 도입함으로 인하여 효소의 세포 내 활성의 증가를 이룰 수 있으며, 이는 유전자의 과발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목적 유전자의 과발현은 상기 유전자의 프로모터 부위 및 5' UTR지역의 염기서열을 변형시킴으로써 단백질 발현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목적 유전자를 염색체상에 추가 도입함으로써 발현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목적 유전자를 벡터 상에 자가 프로모터 또는 강화된 별개의 프로모터와 함께 도입하여 균주에 형질전환시킴으로써 단백질의 발현량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목적 유전자의 ORF (open reading frame) 지역에 돌연변이를 도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과발현의 측정에 따르면, 상응하는 단백질의 활성 또는 농도가 야생형 단백질이나 초기의 미생물 균주에서의 활성 또는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최소 10%, 25%, 50%, 75%, 100%, 150%, 200%, 300%, 400% 또는 500%, 최대 1000% 또는 2000%까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효소를 발현하는 벡터를 도입하여 효소의 세포 내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HMG-CoA 리덕타제 효소 및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프로모터는 HMG-CoA 리덕타제 효소의 활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외래 프로모터가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전자는 그 업스트림 (upstream)에 GAL10 프로모터 또는 ADH1 프로모터를 작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으로, HMG-CoA 리덕타제 및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를 발현하는 벡터는 GAL10 프로모터 및 HMG1 유전자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GAL10 프로모터 및 ispA 유전자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발현 카세트를 포함하 는 도 3(e)의 개열지도를 갖는 벡터인 pGal-ispA/HMG1, 또는 GAL10 프로모터 및 HMG1 유전자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GAL10 프로모터 및 Erg20 유전자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발현 카세트를 포함하는 도 3(i)의 개열지도를 갖는 벡터인 pGal-Erg20/HMG1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변이주는 HMG-CoA 리덕타제 및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를 발현하는 벡터를 도입시켜서 스쿠알렌을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는 효모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예로 사카로마이세스 속,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변이주는 pGal-ispA/HMG1 벡터(도 3(e))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에 도입하여,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pGal-ispA/HMG1라고 명명하고 2009년 10월 19일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대전시 유성구 과학로 111)에 기탁한 기탁번호 KCTC 11577BP인 변이주, 또는 pGal-Erg20/HMG1 벡터 (도 3(i))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에 도입하여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pGal-Erg20/HMG1로 명명하고, 2009년 10월 19일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대전시 유성구 과학로 111)에 기탁한 기탁번호 KCTC 11578BP 변이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스쿠알렌을 합성하는 데 관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경로의 유전자를 효모 발현 벡터에 클로닝하여 pGal-ispA, pGal-HMG1, pADH-HMG1, pGal-MVAE, pGAL-GPPS, pGAl-ispA/HMG1, pGAl-ispA/MVAE, pGal-GPPS/HMG1, pGal-GPPS/MVAE 및 pGal-Erg20/HMG1인 총 10 종류 (도 3)의 벡터를 제작하고, 상기 각각의 벡터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에 도입하는 한편, 상기 변이주를 배양하여 스쿠알렌의 효모 변이주 내의 축적량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pGAl-ispA/HMG1를 도입한 변이주는 스쿠알렌을 1.246 g/ℓ을 생산하고, pGal-Erg20/HMG1를 도입한 변이주는 스쿠알렌을 0.886 g/ℓ을 생산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생산량은 상기 벡터외에 다른 유전자가 도입된 균주들의 스쿠알렌 생산량인 0.001~0.114 g/ℓ보다 높은 수치 (표 4)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HMG-CoA 리덕타제 및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를 동시에 과발현시킨 효모 변이주가 현저히 높은 수준으로 스쿠알렌을 생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효모 균주에 따른 HMG1 유전자와 ispA 유전자의 동시 과발현이 스쿠알렌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최근 이소프레노이드 생산성이 우수한 균주로 알려진 ATCC 201741, ATCC 201238, ATCC 200589와 비교하여 Y2805에서 1.004 g/ℓ로 수십배로 매우 높은 스쿠알렌을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5).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변이주를 배양하여 스쿠알렌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HMG-CoA 리덕타제 및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를 과발현시킨 효모 변이주를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효모의 배양 방법에 의해 배양을 수행할 수 있으 며, 배양의 예로서, YNB 배지를 사용하여 초기 배양한 후, YPGlu1%Gal1% 배지를 사용하여 본 배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상기 방법으로 효모 변이주의 배양 방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축적된 스쿠알렌은 통상적인 분리 및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균체를 파쇄시킨 후, 펜탄 (pentene)을 첨가하여 스쿠알렌이 펜탄 층에 녹아나오도록 하여 스쿠알렌을 분리하였다.
본 발명의 효모 변이주를 사용하는 경우, 현재의 스쿠알렌 공급원이 가지는 여러가지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화장품이나 의약품의 원료로서 다양한 용도를 가지고 있는 스쿠알렌을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공급원의 부족과 높은 생산 공정비용으로 인한 스쿠알렌의 높은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 스쿠알렌 생산 균주의 구축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균주에서 스쿠알렌을 고효율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HMG CoA 리덕타제를 비롯한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경로 유전자의 과발현이 필요하다. 따라서 스쿠알렌을 합성하는데 관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경로의 유전자를 효모 발현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도 3).
먼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유래의 아세틸-CoA 아세틸트란스퍼라제/하이드록시메티글루타릴 (HMG)-CoA 리덕타제 활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bifunctional enzyme) MVAE 유전자를 효모 코돈에 맞도록 젠스크립트 (GenScript) 사에서 인공합성한 유전자 (서열번호 2)를 사용하였으며, 5'- 및 3'-부위에 각각 제한효소 EcoRI 및 SalI 인지부위를 가지도록 제작하였다. 상기 유전자를 EcoRI 및 SalI으로 잘라내고 동일한 제한효소로 절단한 발현벡터 YEGα-HIR525에 삽입하였다. 상기 발현벡터는 GAL10 프로모터를 가지는 벡터로서 프로모터 다운스트림 (downstream)의 EcoRI 부위와 GAL7 종결인자 (terminator) 업스트림의 SalI 부위 사이에 목표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HMG CoA로부터 메발로네이트를 생합성하는 효소인 하이드록시메틸글루타릴 CoA 리덕타제 중 조절 메커니즘에 의한 효소 단백질의 분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아미노 말단의 막통과 도메인 (trans-membrane domain (597aa))을 제거하여 촉매 도메인 (catalytic domain)만을 가지고 있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유래의 HMG1 유전자 (서열번호 1)를 사용하였다. GPPS (Geranyl pyrophosphate synthase) 유전자는 식물체 에이비즈 그랜디스 (Abies grandis)에서 확보한 GPPS (서열번호 4)를 사용하였고, FPP (farnesyl pyrophosphate) 신타제 유전자는 대장균에서 확보한 ispA 유전자 (서열번호 3)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유래의 Erg20 유전자 (서열번호 5)를 사용하였다. 이들 유전자는 하기 표 1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얻은 각 유전자의 PCR 반응산물을 각각 EcoRI 및 SalI으로 잘라내고 동일한 제한효소로 절단한 발현벡터 YEGα-HIR525에 삽입하였다.
<유전자 클로닝에 이용한 프라이머 서열 및 제한효소>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서열번호 제한효소
HMG1
F 5'-AAAAGAATTCATGGACCAATTGGTGAAA-3' 6 EcoRI
SalI
R 5'-AAAAGTCGACTTAGGATTTAATGCAGGT-3' 7
ispA
F 5'-ATGGAATTCAAAAATGGACTTTCCGCAGCAACTCGAA-3’ 8 EcoRI
SalI
R 5'-CGGACTACATCATCCAGCGTAATAAATAAGTCGACCTC-3’ 9
GPPS
F 5'-ATGGAATTCAAAAATGTACATGGATTCCAAGGCAATG-3' 10 EcoRI
SalI
R 5'-GAGGTCGACTTAATTTTGTCTGAATGCCACGTAATC-3' 11
Erg20
F 5'-ATGGAATTCAAAAATGGCTTCAGAAAAAGAAATTAGGAGAGAG-3’ 12 EcoRI
XhoI
R 5'-CTTGAACAAAGTTTACAAGAGAAGCAAATAACTCGAGCTC-3' 13
스쿠알렌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동시발현 벡터를 구축하기 위해서, ispA 유전자, Erg20 및 GPPS 유전자를 HMG1 및 MVAE 유전자와 각각 동시발현 (co-expression)시켰다.
ADH1 프로모터는 사카로마이세스 유래의 ADH1 프로모터를 사용하였으며, ScADH1-F (5'- GAGCT CTGTAGCCCTAGACTTGAT-3', 서열번호 14)와 ScADH1-R (5'- GAATTC TGTATATGAGATAGTTGA-3', 서열번호 15) 프라이머의 조합 (이택릭체 및 볼드체는 첨가된 제한효소인식서열을 의미함)으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 균주의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통하여 증폭하였다. PCR 반응산물을 pGEM-T 이지 벡터 (easy vector)에 서브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확인하였고, 그 후 SacI과 EcoRI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프로모터를 함유한 유전자 부분을, YEGα-HIR525 벡터의 GAL10 프로모터를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pGal-ispA, pGal-HMG1, pADH-HMG1, pGal-MVAE, pGAL-GPPS, pGAl-ispA/HMG1, pGAl-ispA/MVAE, pGal-GPPS/HMG1, pGal-GPPS/MVAE 및 pGal-Erg20/HMG1인 총 10 종류 (도 3)의 벡터를 각각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균주 Y2805 균주에 도입하였다.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 균주는 미국 국립보건원으로부터 입수한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 2805 (Y2805) 균주(Sohn JH 등, J Microbiol. Biotechnol. 1, 266-273 (1991); Choi ES 등, Appl. Microbiol. Biotechnol 42, 587-594 (1994))를 사용하였다. pGAl-ispA/HMG1 벡터(도 3(e))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에 도입한 균주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pGal-ispA/HMG1라고 명명하고, 2009년 10월 19일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대전시 유성구 과학로 111)에 기탁번호 KCTC 11577BP로 기탁하였다. 또한, pGal-Erg20/HMG1 벡터 (도 3(i))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에 도입한 균주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pGal-Erg20/HMG1로 명명하고, 2009년 10월 19일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대전시 유성구 과학로 111)에 기탁번호 KCTC 11578B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2 : 균주 배양 및 스쿠알렌 분석 방법
배양은 초기배양과 본 배양으로 구분하며, 초기배양에는 YNB 배지를 사용하였다. YNB 배지는 0.67% 무아미노산 효모질소원 (Yeast Nitrogen Base W/O Amino Acids), 0.2% 카사미노산 (Casamino Acid), 2% 글루코스 (Glucose)가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YNB 배지 2 ㎖에 단일 집락을 접종하였고, 30 ℃, 180rpm에서 초기배양한 후, 본 배양을 수행하였다. 본 배양은 YPGlu1%Gal1% 배지 (2% 펜톤 (peptone), 1% 효모추출물 (yeast extract), 1% 글루코스, 1% 갈락토스 (galactose))를 이용하였다. 배양은 YPGlu1%Gal1% 배지를 250 ㎖ 배플 플라스크 (baffled flask)에 25 ㎖씩 분주한 뒤, 초기 배양한 균주를 OD600가 0.1이 되도록 접종하였고, 30℃, 180rpm에서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GC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균체 내에 생산된 스쿠알렌 함량을 측정하였다.
스쿠알렌은 다음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배양액 1 ㎖을 취하여 13,000rpm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하였다. 50 mM Tric-Cl (pH 7.5) 600 ㎕를 첨가하였고, 여기에 글라스 비드 (glass bead)를 첨가하여 상기 균체를 10분 동안 재현탁 시켰다. 다음으로, 펜탄 (pentane) 400 ㎕를 첨가하였고, 스쿠알렌이 펜탄층에 녹아 나오도록 충분히 재현탁 시켰다. 그 후 13,0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고, 펜탄 층만을 취하여, GC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스쿠알렌의 GC 분석 조건은 하기 표 2와 같으며 스쿠알렌은 GC분석 결과 30.7분대에 피크로 나타났다.
품목 조건
GC모델 Varian star 3400 cx
칼럼 19091J-413 HP-5 (30 m × 0.32 mm × 0.25 ㎛)
주입 부피 2 ㎕
온도 40℃ 3 분, 10℃/분 240℃ 5 분, 10℃/분 300℃ 1분
시간 35분
실시예 3 : HMG1 유전자 과발현이 스쿠알렌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먼저 스쿠알렌 등 이소프레노이드의 생합성에 가장 중요한 율속 단계로서 과발현 효과가 알려진 HMG1 유전자의 과발현이 스쿠알렌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스쿠알렌 생산성에 대한 영향과 관련하여, 균주 간의 차이 및 발현 벡터의 프로모터 활성이 균주 간에 차이에 의한 가능성도 조사하기 위하여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 균주와 아울러 유전자 발현의 숙주세포로서 많이 사용되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W303 균주 및 YPH499 균주 (Tokuhiro K. 등, Appl. Environ. Microbiol. 75, 5536-5543 (2009))를 사용하였고, GAL10 프로모터 뿐만 아니라 ADH1 프로모터도 병행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표 3).
<HMG1 유전자의 과발현이 스쿠알렌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균주 벡터 스쿠알렌 (g/ℓ) OD600 DCW
(Dry cell weight, g/ℓ)
스쿠알렌 (mg/g DCW)
Y2805 - 0.0032 29.1 8.47 0.4
Y2805 pGal-HMG1 0.450 21.6 6.26 71.9
Y2805 pADH1-HMG1 0.484 19.4 5.63 86.0
W303 - 0.0001 21.1 6.12 0.0
W303 pGal-HMG1 0.006 14.3 4.15 1.4
W303 pADH1-HMG1 0.0012 19.0 5.51 0.2
YPH499 - 0.0012 19.3 5.60 0.2
YPH499 pGal-HMG1 0.023 8.9 2.58 8.9
YPH499 pADH1-HMG1 0.092 11.7 3.39 27.1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HMG1 유전자 과발현 벡터를 가지지 않는 대조군 균주의 경우 전체적으로 미미한 수준이었지만 Y2805가 다른 균주보다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재조합 균주의 경우 HMG1 유전자 과발현이 스쿠알렌 생산성을 크게 증가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HMG1 유전자 과발현의 효과가 균주 간에 달리 나타나, Y2805 균주의 경우 W303이나 YPH 균주에 비하여 스쿠알렌 생산성이 현저히 높은 것이 나타났다. Y2805 균주의 경우 GAL10 프로모터와 ADH1 프로모터 모두 스쿠알렌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YPH 균주의 경우 ADH1 프로모터에 비하여 GAL10 프로모터는 상당히 저조한 스쿠알렌 생산성을 보여 주었다. 한편 W303 균주는 상기 2가지 프로모터 모두 생산성이 매우 낮았다.
실시예 4 : 다양한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경로 유전자의 과발현이 스쿠알렌 생산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 3에서 우수한 스쿠알렌 생산성을 보인 Y2805 균주를 사용하여 다양한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경로 유전자들을 과발현시켜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표 4).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는 대조군 Y2805 균주의 경우 스쿠알렌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HMG1 유전자를 과발현시킨 경우 알려진 바와 같이 스쿠알렌 생산성이 현저히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HMG1 유전자와 그 기능이 일부 중복되며 스쿠알렌 생산 대사 경로 상의 초기 단계인 아세토아세틸 CoA를 생산하는 효소인 MVAE 유전자의 경우는 과발현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VAE는 다른 유전자와 동시발현의 경우에도 생산성에 오히려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쿠알렌 생산의 전 전단계인 GPP (geranyl pyrophosphate)를 생산하는 GPPS 유전자의 경우 단독적으로 과발현하는 경우 효과가 없었고, HMG1과 동시에 과발현하는 경우도 HMG1만을 단독적으로 과발현하는 경우보다 오히려 생산성이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스쿠알렌 생합성의 전단계인 FPP (farnesyl pyrophosphate)를 생산하는 FPP 신타제 유전자인 ispA 및 Erg20 유전자를 단독으로 과발현시킨 경우, 스쿠알렌 생산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장균에서 ispA 유전자를 과발현시키는 경우 프레닐 알코올 (prenyl alcohol)의 생산성을 약 5-6배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이전 연구결과 (Ohto C. 등, Biosci. Biotechnol. Biochem. 73, 186-188 (2009))를 고려할 때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로서, 대장균과 효모는 각각 비-메발로네이트 및 메발로네이트 경로를 사용하고, 그에 따라 각 유전자의 조절 메카니즘이 다른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즉된다.
한편, ispA 및 Erg20 유전자를 HMG1과 동시에 과발현시킨 경우 스쿠알렌 생산성이 현저히 증가되었고, HMG1 유전자만을 단독적으로 과발현시킨 경우보다 약 2배 이상의 생산성 향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분석결과 대장균 유래의 ispA 유전자가 효모 유래의 Erg20 유전자보다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상기와 같은 하기 표 4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스쿠알렌 생합성 경로의 유전자 2개 이상을 조합하는 경우, 스쿠알렌 생산이 증가하는 경우와 오히려 감소하는 경우로 그 결과를 예단할 수 없고 다양한 조합을 시도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2805 균주에서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경로 유전자들의 과발현이 스쿠알렌 생산에 미치는 영향>
번호 벡터 스쿠알렌
(g/ℓ)
OD600 DCW
(Dry cell weight, g/ℓ)
스쿠알렌 (mg/g DCW)
1 - 0.003 29.1 8.47 0.4
2 pGal-HMG1 0.492 31.0 8.98 54.8
3 pGal-MVAE 0.003 19.5 5.64 0.5
4 pGal-ispA 0.001 34.4 9.96 0.1
5 pGal-ispA/HMG1 1.246 30.0 8.69 143.4
6 pGal-ispA/MVAE 0.005 33.5 9.70 0.5
7 pGal-GPPS 0.002 28.1 8.15 0.2
8 pGal-GPPS/HMG1 0.114 33.3 9.66 11.8
9 pGal-GPPS/MVAE 0.004 34.8 10.08 0.4
10 pGal-Erg20 0.004 36.5 10.60 0.4
11 pGal-Erg20/HMG1 0.886 35.6 10.31 85.9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가장 우수한 스쿠알렌 생산성을 보인 ispA/HMG1 조합을 사용하여 Y2805 균주와 최근에 이소프레노이드 생산성이 우수한 균주로 보고된 바 있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균주 몇 가지 종류에 대하여 스쿠알렌 생산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표 5).
<효모 균주에 따른 HMG1과 ispA 유전자의 동시 과발현이 스쿠알렌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균주 벡터 스쿠알렌
(g/ℓ)
OD600 DCW
(Dry cell weight, g/ℓ)
스쿠알렌
(mg/g DCW)
Y2805 - 0.0032 29.1 8.47 0.4
Y2805 isp/HMG1 1.004 36.9 10.69 93.9
ATCC 201741 - 0.0008 17.0 4.93 0.2
ATCC 201741 isp/HMG1 0.032 16.7 4.84 6.6
ATCC 201238 - 0.0003 18.6 5.39 0.1
ATCC 201238 isp/HMG1 0.001 9.75 2.83 0.4
ATCC 200589 - 0.0023 27.0 7.83 0.3
ATCC 200589 isp/HMG1 0.013 18.9 5.47 2.4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ispA/HMG1 유전자 과발현 벡터를 가지지 않는 대조군 균주에서는 전반적으로 스쿠알렌 생산이 미미한 수준을 보인 반면 ispA/HMG1 유전자 과발현 벡터를 가지는 재조합 균주의 경우 스쿠알렌 생산이 현저히 증가함을 보여 주었으나 균주 간의 편차가 매우 심한 경향을 보여 주었고, 그 중 Y2805 균주가 비교한 다른 균주에 비하여 매우 높은 스쿠알렌 생산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들 비교 균주는 최근 보고에서 약 40여종의 ATCC 균주로부터 이소프레노이드 생산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로 선별된 균주들이므로, 이로부터 본 발명의 Y2805 균주가 우수한 생산성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스쿠알렌의 화학구조를 간략히 도시화한 것이다.
도 2는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에의 메발로네이트 생합성 경로를 간략히 도시화한 것이다.
도 3은 스쿠알렌 생합성 벡터를 간략히 도시화한 것이다.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Yeast Variant and Method of Producing Squalene Using the Same <130> PA090432/KR <160> 15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578 <212> DNA <213> HMG1 gen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400> 1 atggaccaat tggtgaaaac tgaagtcacc aagaagtctt ttactgctcc tgtacaaaag 60 gcttctacac cagttttaac caataaaaca gtcatttctg gatcgaaagt caaaagttta 120 tcatctgcgc aatcgagctc atcaggacct tcatcatcta gtgaggaaga tgattcccgc 180 gatattgaaa gcttggataa gaaaatacgt cctttagaag aattagaagc attattaagt 240 agtggaaata caaaacaatt gaagaacaaa gaggtcgctg ccttggttat tcacggtaag 300 ttacctttgt acgctttgga gaaaaaatta ggtgatacta cgagagcggt tgcggtacgt 360 aggaaggctc tttcaatttt ggcagaagct cctgtattag catctgatcg tttaccatat 420 aaaaattatg actacgaccg cgtatttggc gcttgttgtg aaaatgttat aggttacatg 480 cctttgcccg ttggtgttat aggccccttg gttatcgatg gtacatctta tcatatacca 540 atggcaacta cagagggttg tttggtagct tctgccatgc gtggctgtaa ggcaatcaat 600 gctggcggtg gtgcaacaac tgttttaact aaggatggta tgacaagagg cccagtagtc 660 cgtttcccaa ctttgaaaag atctggtgcc tgtaagatat ggttagactc agaagaggga 720 caaaacgcaa ttaaaaaagc ttttaactct acatcaagat ttgcacgtct gcaacatatt 780 caaacttgtc tagcaggaga tttactcttc atgagattta gaacaactac tggtgacgca 840 atgggtatga atatgatttc taaaggtgtc gaatactcat taaagcaaat ggtagaagag 900 tatggctggg aagatatgga ggttgtctcc gtttctggta actactgtac cgacaaaaaa 960 ccagctgcca tcaactggat cgaaggtcgt ggtaagagtg tcgtcgcaga agctactatt 1020 cctggtgatg ttgtcagaaa agtgttaaaa agtgatgttt ccgcattggt tgagttgaac 1080 attgctaaga atttggttgg atctgcaatg gctgggtctg ttggtggatt taacgcacat 1140 gcagctaatt tagtgacagc tgttttcttg gcattaggac aagatcctgc acaaaatgtt 1200 gaaagttcca actgtataac attgatgaaa gaagtggacg gtgatttgag aatttccgta 1260 tccatgccat ccatcgaagt aggtaccatc ggtggtggta ctgttctaga accacaaggt 1320 gccatgttgg acttattagg tgtaagaggc ccgcatgcta ccgctcctgg taccaacgca 1380 cgtcaattag caagaatagt tgcctgtgcc gtcttggcag gtgaattatc cttatgtgct 1440 gccctagcag ccggccattt ggttcaaagt catatgaccc acaacaggaa acctgctgaa 1500 ccaacaaaac ctaacaattt ggacgccact gatataaatc gtttgaaaga tgggtccgtc 1560 acctgcatta aatcctaa 1578 <210> 2 <211> 204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VAE gene <400> 2 atgaagactg tcgttattat tgatgccttg agaactccta tcggtaaata taagggttct 60 ttatcacaag ttagtgccgt tgatcttggt acacacgtga caacgcaact attgaaaagg 120 cattcaacta tttctgaaga aattgatcaa gttatatttg gtaatgtttt acaagctgga 180 aatggacaaa accctgctag acaaattgct atcaacagtg gtctatcaca tgaaatacca 240 gcaatgaccg ttaatgaagt gtgtggtagt ggaatgaagg cagttatcct agctaagcaa 300 ctaattcaac taggagaagc agaggtactg attgctggcg gtattgaaaa tatgtcacaa 360 gcaccaaagt tacaaaggtt caattatgaa actgaatctt atgatgctcc cttctcctct 420 atgatgtacg atggtttaac tgatgctttc tcaggacaag caatgggttt gacagctgaa 480 aatgttgccg agaagtacca tgttactagg gaagaacaag atcagttttc cgtacatagt 540 caacttaaag cagctcaagc acaagctgaa ggtatctttg ccgatgaaat cgcacctctg 600 gaagtgtctg gtacacttgt ggaaaaggac gaaggcatta gaccaaattc atctgttgag 660 aaattaggta ccttgaagac tgtttttaaa gaagatggta ctgtgactgc tggaaacgct 720 tccactatta atgatggtgc tagtgcttta attattgctt ctcaagaata tgctgaagcc 780 catggtttgc cttacttggc aatcatcaga gattcggttg aagtcggtat agatcctgct 840 tatatgggca tttcacctat taaagcaatt cagaagctgc tagccaggaa ccaactaacc 900 actgaagaaa ttgatcttta tgagatcaac gaggcatttg ccgccacatc tattgttgtt 960 caaagagaac ttgcattacc tgaagagaaa gtaaatatct atggtggcgg tatttcttta 1020 ggtcatgcta tcggagctac tggtgctaga ttattgacga gcttgtctta ccaactgaat 1080 caaaaagaga agaagtacgg tgtagcttca ttgtgtattg gtggtggcct tggactggcc 1140 atgctactag aaaggcctca acaaaagaaa aactccagat tctaccaaat gagtcctgaa 1200 gagaggttgg cttctctact gaacgaaggt caaatttctg ctgatactaa gaaagaattt 1260 gaaaacaccg ctttgtcttc acaaatagca aaccacatga tagaaaatca aatctcagaa 1320 acagaagtcc caatgggtgt tggtctacat ctaactgtgg atgaaaccga ttacttagtc 1380 cctatggcca cggaagaacc atcagtcatt gctgccttgt ctaatggtgc taagatcgca 1440 caaggtttta aaaccgtaaa tcaacaaaga ttgatgagag gtcaaattgt tttctacgac 1500 gtagctgatg ctgaatctct tatcgatgag ctgcaagtga gagagacgga aatttttcaa 1560 caagctgaat tatcctatcc atcgattgtc aaaaggggcg gcggacttag agatttgcag 1620 tatagagctt ttgatgaaag tttcgtctca gttgattttc tagtagacgt taaggatgcc 1680 atgggtgcaa acatcgttaa tgccatgctt gaaggtgtgg ccgaattatt cagagaatgg 1740 tttgctgaac aaaagatctt gtttagcatc ctatctaatt acgcaacaga aagcgtagtt 1800 acgatgaaaa cggcaattcc tgtatcaaga ttatccaaag gatctaatgg tagggaaatc 1860 gctgaaaaga ttgtcttagc atcaagatat gcttctctag atccatacag agccgtcaca 1920 cataacaaag gtattatgaa tggaatcgaa gccgttgttt tggcaacagg taatgatacc 1980 agggctgttt cagcctcttg tcatgccttt gcagtcaaag aaggcagata tcaaggacta 2040 tag 2043 <210> 3 <211> 900 <212> DNA <213> ispA gene from E. coli <400> 3 atggactttc cgcagcaact cgaagcctgc gttaagcagg ccaaccaggc gctgagccgt 60 tttatcgccc cactgccctt tcagaacact cccgtggtcg aaaccatgca gtatggcgca 120 ttattaggtg gtaagcgcct gcgacctttc ctggtttatg ccaccggtca tatgttcggc 180 gttagcacaa acacgctgga cgcacccgct gccgccgttg agtgtatcca cgcttactca 240 ttaattcatg atgatttacc ggcaatggat gatgacgatc tgcgtcgcgg tttgccaacc 300 tgccatgtga agtttggcga agcaaacgcg attctcgctg gcgacgcttt acaaacgctg 360 gcgttctcga ttttaagcga tgccgatatg ccggaagtgt cggaccgcga cagaatttcg 420 atgatttctg aactggcgag cgccagtggt attgccggaa tgtgcggtgg tcaggcatta 480 gatttagacg cggaaggcaa acacgtacct ctggacgcgc ttgagcgtat tcatcgtcat 540 aaaaccggcg cattgattcg cgccgccgtt cgccttggtg cattaagcgc cggagataaa 600 ggacgtcgtg ctctgccggt actcgacaag tatgcagaga gcatcggcct tgccttccag 660 gttcaggatg acatcctgga tgtggtggga gatactgcaa cgttgggaaa acgccagggt 720 gccgaccagc aacttggtaa aagtacctac cctgcacttc tgggtcttga gcaagcccgg 780 aagaaagccc gggatctgat cgacgatgcc cgtcagtcgc tgaaacaact ggctgaacag 840 tcactcgata cctcggcact ggaagcgcta gcggactaca tcatccagcg taataaataa 900 900 <210> 4 <211> 876 <212> DNA <213> GPPS gene from Abies grandis <400> 4 atgtacatgg attccaaggc aatgacagtg aatgaggcgt tgaataaggc tatcccactt 60 cgttatcccc agaaaatata tgaatccatg aggtattctc ttctggcagg agggaaacga 120 gttcgtcctg ttctgtgcat tgcagcatgt gagcttgttg gaggaaccga ggagcttgcg 180 attccaactg cctgtgcaat cgaaatgatc cacacaatgt ctttgatgca tgatgacttg 240 ccttgcatag acaatgatga tttacggcga gggaaaccta caaaccataa gatcttcggg 300 gaagatactg ctgttactgc agggaatgcg cttcattctt acgcctttga gcatattgca 360 gtttccacaa gcaaaactgt gggggctgat aggattttga ggatggtatc tgaactgggt 420 agagcaacag gctctgaagg ggttatgggt ggccagatgg tcgatattgc cagcgaaggg 480 gatccttcta ttgaccttca gactctggaa tggattcata ttcacaagac tgcaatgctc 540 ttggagtgct cggttgtgtg tggggcgatc atcggtggtg cttcggagat tgtgatcgag 600 agagctcgaa ggtatgcccg ttgcgtgggg cttctttttc aggttgtgga tgacatactc 660 gatgtcacga aatcatcaga cgaactgggc aagactgcag gaaaggattt gattagtgat 720 aaggcaactt atccaaagct catgggtttg gagaaagcaa aggagttttc tgatgaattg 780 ttgaacagag ctaagggaga gttatcttgc ttcgatccag tgaaggcagc acctctgttg 840 ggtcttgcag attacgtggc attcagacaa aattaa 876 <210> 5 <211> 1059 <212> DNA <213> Erg20 gen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400> 5 atggcttcag aaaaagaaat taggagagag agattcttga acgttttccc taaattagta 60 gaggaattga acgcatcgct tttggcttac ggtatgccta aggaagcatg tgactggtat 120 gcccactcat tgaactacaa cactccaggc ggtaagctaa atagaggttt gtccgttgtg 180 gacacgtatg ctattctctc caacaagacc gttgaacaat tggggcaaga agaatacgaa 240 aaggttgcca ttctaggttg gtgcattgag ttgttgcagg cttacttctt ggtcgccgat 300 gatatgatgg acaagtccat taccagaaga ggccaaccat gttggtacaa ggttcctgaa 360 gttggggaaa ttgccatcaa tgacgcattc atgttagagg ctgctatcta caagcttttg 420 aaatctcact tcagaaacga aaaatactac atagatatca ccgaattgtt ccatgaggtc 480 accttccaaa ccgaattggg ccaattgatg gacttaatca ctgcacctga agacaaagtc 540 gacttgagta agttctccct aaagaagcac tccttcatag ttactttcaa gactgcttac 600 tattctttct acttgcctgt cgcattggcc atgtacgttg ccggtatcac ggatgaaaag 660 gatttgaaac aagccagaga tgtcttgatt ccattgggtg aatacttcca aattcaagat 720 gactacttag actgcttcgg taccccagaa cagatcggta agatcggtac agatatccaa 780 gataacaaat gttcttgggt aatcaacaag gcattggaac ttgcttccgc agaacaaaga 840 aagactttag acgaaaatta cggtaagaag gactcagtcg cagaagccaa atgcaaaaag 900 attttcaatg acttgaaaat tgaacagcta taccacgaat atgaagagtc tattgccaag 960 gatttgaagg ccaaaatttc tcaggtcgat gagtctcgtg gcttcaaagc tgatgtctta 1020 actgcgttct tgaacaaagt ttacaagaga agcaaatag 1059 <210> 6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HMG1 <400> 6 aaaagaattc atggaccaat tggtgaaa 28 <210> 7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HMG1 <400> 7 aaaagtcgac ttaggattta atgcaggt 28 <210> 8 <211> 3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ispA <400> 8 atggaattca aaaatggact ttccgcagca actcgaa 37 <210> 9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ispA <400> 9 cggactacat catccagcgt aataaataag tcgacctc 38 <210> 10 <211> 3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GPPS <400> 10 atggaattca aaaatgtaca tggattccaa ggcaatg 37 <210> 11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GPPS <400> 11 gaggtcgact taattttgtc tgaatgccac gtaatc 36 <210> 12 <211> 4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Erg20 <400> 12 atggaattca aaaatggctt cagaaaaaga aattaggaga gag 43 <210> 13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Erg20 <400> 13 cttgaacaaa gtttacaaga gaagcaaata actcgagctc 40 <210> 1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cADH1-F primer <400> 14 gagctctgta gccctagact tgat 24 <210> 1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cADH1-R primer <400> 15 gaattctgta tatgagatag ttga 24

Claims (9)

  1. HMG-CoA 리덕타제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 및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 (farnesyl pyrophosphate synthase)를 발현하는 벡터를 도입시켜 제조된 효모 변이주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프로모터는 GAL10 프로모터 또는 ADH1 프로모터인 효모 변이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MG-CoA 리덕타제는 HMG1 유전자인 효모 변이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는 ispA 유전자 또는 Erg20 유전자인 효모 변이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도 3(e) 또는 3(i)에 기재된 개열지도를 갖는 효모 변이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주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805인 효모 변이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주는 기탁번호 KCTC 11577BP인 효모 변이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주는 기탁번호 KCTC 11578BP인 효모 변이주.
  9. HMG-CoA 리덕타제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 및 파네실 파이로포스페이트 신타제 (farnesyl pyrophosphate synthase)를 발현하는 벡터를 도입시켜 제조된 효모 변이주를 배양하여 스쿠알렌을 생산하는 방법.
KR1020090104505A 2009-10-30 2009-10-30 효모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스쿠알렌의 생산 방법 KR101137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505A KR101137026B1 (ko) 2009-10-30 2009-10-30 효모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스쿠알렌의 생산 방법
PCT/KR2010/007621 WO2011053079A2 (ko) 2009-10-30 2010-11-01 효모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스쿠알렌의 생산 방법
US13/460,244 US8679804B2 (en) 2009-10-30 2012-04-30 Modified yeast strain and a method for producing squalen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505A KR101137026B1 (ko) 2009-10-30 2009-10-30 효모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스쿠알렌의 생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757A KR20110047757A (ko) 2011-05-09
KR101137026B1 true KR101137026B1 (ko) 2012-04-19

Family

ID=4392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505A KR101137026B1 (ko) 2009-10-30 2009-10-30 효모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스쿠알렌의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79804B2 (ko)
KR (1) KR101137026B1 (ko)
WO (1) WO201105307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4058A1 (ko) * 2013-06-20 2014-12-2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레티노이드 생산에 관여하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레티노이드의 생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9643A (zh) * 2014-03-11 2014-06-11 北京理工大学 一种利用蛋白支架提高酿酒酵母中鲨烯的合成方法
KR101879904B1 (ko) * 2014-04-17 2018-07-1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지방산 함량 개선을 위한 형질전환 효모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082588A1 (zh) * 2016-11-04 2018-05-11 中国科学院天津工业生物技术研究所 一种重组菌及其用途
CN110607247B (zh) * 2019-08-15 2021-06-08 宜昌东阳光生化制药有限公司 一种提高酿酒酵母合成角鲨烯能力的方法
CN110373338B (zh) * 2019-08-15 2021-09-28 宜昌东阳光生化制药有限公司 酿酒酵母及其用途
KR102543061B1 (ko) * 2021-03-12 2023-06-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에서 브라제인을 고발현하기 위한 재조합 발현 벡터 및 이를 이용한 브라제인의 대량 생산방법
CN113502235B (zh) * 2021-07-05 2023-04-28 江南大学 一种强化表达内质网大小调节因子的酿酒酵母菌株的构建和应用
CN117487681A (zh) * 2023-11-16 2024-02-02 湖南农业大学 一种生产角鲨烯的酵母工程菌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1038A (en) 1994-09-27 1998-10-13 Rhone-Poulenc Rorer S.A. Yeast with modified permeability
US20040110257A1 (en) * 1998-07-06 2004-06-10 Arkion Life Sciences Llc. Production of farnesol and geranylgeraniol
US20080171378A1 (en) 2004-07-27 2008-07-17 Keasling Jay D Genetically Modified Host Cells And Use Of Same For Producing Isoprenoid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5088A1 (en) 1997-09-30 2004-11-25 Schering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rgosterol and its intermediate products using recombinant yeasts
KR100475133B1 (ko) * 2002-09-13 2005-03-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효모 표면 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변이 리파제를스크리닝하는 방법 및 신규 변이 리파제
EP3020799B1 (en) 2006-09-26 2020-08-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oduction of isoprenoids and isoprenoid precurs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1038A (en) 1994-09-27 1998-10-13 Rhone-Poulenc Rorer S.A. Yeast with modified permeability
US20040110257A1 (en) * 1998-07-06 2004-06-10 Arkion Life Sciences Llc. Production of farnesol and geranylgeraniol
US20080171378A1 (en) 2004-07-27 2008-07-17 Keasling Jay D Genetically Modified Host Cells And Use Of Same For Producing Isoprenoid Compoun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4058A1 (ko) * 2013-06-20 2014-12-2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레티노이드 생산에 관여하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레티노이드의 생산 방법
US10030258B2 (en) 2013-06-20 2018-07-24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Microorganism comprising gene for coding enzyme involved in producing retinoid and method for producing retinoid by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22129A1 (en) 2012-12-20
US8679804B2 (en) 2014-03-25
KR20110047757A (ko) 2011-05-09
WO2011053079A2 (ko) 2011-05-05
WO2011053079A3 (ko)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026B1 (ko) 효모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스쿠알렌의 생산 방법
US11866738B2 (en) UDP-dependent glycosyltransferase for high efficiency production of rebaudiosides
AU2007275126B2 (en) Metabolically engineered cells for the production of pinosylvin
EP2576605B1 (en) Production of metabolites
US20110045563A1 (en) Short chain volatile isoprene hydrocarbon production using the mevalonic acid pathway in genetically engineered yeast and fungi
EP2780452B1 (en) Valencene synthase
CN102753697A (zh) 改良的使用dxp和mva途径的异戊二烯生产
US20220259603A1 (en) Methods and cells for microbial production of phytocannabinoids and phytocannabinoid precursors
JP7487099B2 (ja) レバウジオシドの高効率生成のためのエンドウ(pisum sativum)カウレンオキシダーゼ
US9340809B2 (en) Microbial conversion of sugar acids and means therein
CN113260699A (zh) 用于高效生成瑞鲍迪苷的甜叶菊异贝壳杉烯酸羟化酶变体
KR101640853B1 (ko) 연속 대사경로 효소 집합체 구축을 통한 이소프레노이드 고효율 생산 방법
RU2795550C2 (ru) Применение кауреноксидазы pisum sativum для высокоэффектив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ребаудиозидов
US20220282228A1 (en) Kaurenoic acid 13-hydroxylase (kah) variants and uses thereof
KR101400274B1 (ko) P450 효소의 촉매활성을 증대시키는 cpr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이에 의하여 형질전환된 세균 및 이를 이용한 p450 촉매반응 화합물의 제조방법
CN113631698A (zh) 用于高效生成瑞鲍迪苷的abc转运蛋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