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946B1 - 임시 하수관, 관로 개폐 장치, 관로 정착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하수관의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임시 하수관, 관로 개폐 장치, 관로 정착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하수관의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946B1
KR101136946B1 KR1020110060255A KR20110060255A KR101136946B1 KR 101136946 B1 KR101136946 B1 KR 101136946B1 KR 1020110060255 A KR1020110060255 A KR 1020110060255A KR 20110060255 A KR20110060255 A KR 20110060255A KR 101136946 B1 KR101136946 B1 KR 101136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er pipe
air
temporary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기
Original Assignee
서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기 filed Critical 서창기
Priority to KR102011006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8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하수관을 보수하기 위하여, 공기 주입에 의해 설치되고 공기 제거에 의해 철거되는 관로 개폐 장치 및 임시 하수관을 이용하여 하수의 유출 없이 하수관의 공사 구간에 우회 관로를 설치하여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고, 하수관의 공사 구간에서 보수 공사를 수행하며, 관로 개폐 장치 및 임시 하수관을 이용하여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복구하고 하수관에 설치된 우회 관로를 철거한다. 관로 개폐 장치를 통해 하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하수 유출 없이 하수관을 보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시 하수관, 관로 개폐 장치, 관로 정착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하수관의 보수 방법{A TEMPORARY WATERWAY DEVICE, A WATERGATE DEVICE, A FIXING DEVICE, AND METHOD OF REPAIRING A SEWER PIP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시 하수관, 관로 개폐 장치, 관로 정착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하수관의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류 하수관은 각 가정에서 발생하는 생활 하수 또는 오폐수를 하수 종말 처리장(또는 물재생 센터)까지 운송하는 중간 관로이다. 상기 분류 하수관은 하천 정화에 일조하는 중요한 시설중 하나로서, 상기 분류 하수관의 대부분의 구간은 하천 내에 설치되어 있다.
분류 하수관에는 생활하수가 연중 계속하여 흐르고 있어 관로의 내구력이 약화되고 내부의 손상으로 인하여 누수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내구도가 떨어지고 생활하수가 하천으로 유출되더라도 보수 구간에 유입하는 하수를 차단 또는 우회시키기 곤란하여 관로 내부를 보수하기가 어려워 관로 외부로부터의 보수 등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보수 구간에 유입하는 하수를 차단하기 위해 보수 구간의 상류에서 오폐수를 하천으로 방류하는 경우 하천이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등 심각한 환경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오폐수의 방류 없이 하수관을 보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의 실시를 위한 것으로서 우회 관로 연결시 하수를 정상적으로 운송하는 임시 하수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의 실시를 위한 것으로서 하수의 이동 경로를 조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관로를 열거나 닫는 관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의 실시를 위한 것으로서 하수관에 우회 관로를 밀착시키는 관로 정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서는, 공기 주입에 의해 설치되고 공기 제거에 의해 철거되는 관로 개폐 장치 및 임시 하수관을 이용하여 하수의 유출 없이 하수관의 공사 구간에 우회 관로를 설치하여 상기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고, 상기 하수관의 상기 공사 구간에서 보수 공사를 수행하며, 상기 관로 개폐 장치 및 임시 하수관을 이용하여 상기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복구하고 상기 하수관에 설치된 상기 우회 관로를 철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사 구간에 우회 관로를 설치하여 상기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공사 구간의 하류에 위치하는 상기 하수관의 제1 지점에 제1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에 상응하는 상기 하수관의 제1 위치에 제1 천공을 형성하여 상기 우회 관로의 제1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정착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임시 하수관을 철거하는 단계, 상기 공사 구간의 상류에 위치하는 상기 하수관의 제2 지점에 제2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 지점에 상응하는 상기 하수관의 제2 위치에 제2 천공을 형성하여 상기 우회 관로의 제2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정착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 임시 하수관을 철거하는 단계, 상기 우회 관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관로 개폐 장치 및 제2 관로 개폐 장치를 각각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2 지점의 하류 지점에 제3 관로 개폐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제3 관로 개폐 장치를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점의 상류 지점에 제4 관로 개폐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제4 관로 개폐 장치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복구하고 상기 설치된 우회 관로를 철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4 관로 개폐 장치를 철거하는 단계, 상기 제3 관로 개폐 장치를 철거하는 단계, 상기 우회 관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관로 개폐 장치 및 제2 관로 개폐 장치를 각각 폐쇄하는 단계, 상기 하수관의 제2 지점에 제3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수관과 상기 우회 관로의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제2 정착 장치를 상기 제2 천공에서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 천공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3 임시 하수관을 철거하는 단계, 상기 하수관의 제1 지점에 제4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수관과 상기 우회 관로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정착 장치를 상기 제1 천공에서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천공을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임시 하수관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임시 하수관은 관로 부재, 제1 공기 튜브, 제2 공기 튜브 및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로 부재는 하수관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고, 유동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공기 튜브는 상기 관로 부재의 제1 단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공기 주입시 상기 관로 부재의 상기 제1 단부의 외측과 상기 하수관의 내측을 밀착시킨다. 상기 제2 공기 튜브는 상기 관로 부재의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제2 단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공기 주입시 상기 관로 부재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하수관의 내측을 밀착시킨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수관 상에 형성될 천공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관로 부재 상의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관로 부재를 보호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시 하수관은 제1 접촉 부재 및 제2 접촉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 부재는 상기 제1 공기 튜브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공기 튜브의 공기 주입시 상기 하수관의 내측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상기 제2 공기 튜브의 외벽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공기 튜브의 공기 주입시 상기 하수관의 내측에 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로프 고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로프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프 고리는 상기 관로 부재의 상기 제1 단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로프 고리는 상기 관로 부재의 상기 제2 단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로 부재는 라텍스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관로 개폐 장치는 제1 부재, 제2 부재, 외부 튜브 및 복수의 공기 주머니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는 관 형태로 내부 지지벽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부재는 관 형태로 상기 제1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 지지벽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 튜브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 주입시 상기 외부 지지벽을 관로에 밀착시킨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주머니는 상기 제1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여 공기 주입시 상기 제1 부재의 내부를 폐쇄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재의 횡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공기 주머니들의 개수는 3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재의 횡단면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공기 주머니들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관로 정착 장치는 정착재, 고정부, 밀착 튜브, 간극 조정재 및 삽입관을 포함한다. 상기 정착재는 제1 단부에 하수관의 천공 주변의 내측과 밀착되는 제1 돌출부를 갖고, 상기 천공 주변의 외측에 상응하는 제1 위치에 제2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돌출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밀착 튜브는 상기 정착재의 제1 단부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 제거시 상기 정착재와 상기 하수관을 밀착시킨다. 상기 간극 조정재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정착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하수관의 외측면과 상기 제2 돌출부와의 간극을 조정한다. 상기 삽입관은 상기 정착재와 우회 관로를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착재, 상기 밀착 튜브 및 상기 간극 조정재는 라텍스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수관의 보수 방법은 오폐수의 방류 없이 공사 구간에서 우회 관로를 통해 하수를 이동시키므로 환경 오염 없이 효율적으로 하수관을 보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의 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사 구간에 우회 관로를 설치하여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수관에 설치된 우회 관로를 철거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우회 관로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우회 관로를 철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시 하수관의 제1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시 하수관의 제2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21 내지 2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개폐 장치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개폐 장치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개폐 장치의 설치 및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도 29의 A 단면 및 B 단면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정착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정착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분류 하수관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분류 하수관 이외의 상하수관의 보수 및 다양한 수로 공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의 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의 보수 방법에 의해, 공기 주입에 의해 설치되고 공기 제거에 의해 철거되는 관로 개폐 장치 및 임시 하수관을 이용하여 하수의 유출 없이 하수관의 공사 구간에 우회 관로를 설치하여 상기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고(단계 S10), 상기 하수관의 상기 공사 구간에서 보수 공사를 수행하며(단계 S30), 상기 관로 개폐 장치 및 상기 임시 하수관을 이용하여 상기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복구하고 상기 하수관에 설치된 상기 우회 관로를 철거한다(단계 S50).
상기 공기 주입에 의해 설치되고 공기 제거에 의해 철거되는 관로 개폐 장치 및 임시 하수관을 이용하여 하수의 유출 없이 하수관의 공사 구간에 우회 관로를 설치하여 상기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S10)에서는, 오폐수의 방류 방지를 위해 임시 하수관을 설치한 상태에서 하수관에 천공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한 천공에 정착재를 이용하여 우회 관로를 결합시킨 후에 상기 설치한 임시 하수관을 제거한다. 이후 상기 하수관 및 상기 우회 관로에 설치된 관로 개폐 장치들을 개폐하여 하수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하수관의 공사 구간에 우회 관로를 설치하는 단계의 구체적인 실시 방법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하수관의 상기 공사 구간에서 보수 공사를 수행하는 단계(S30)에서는 관로 개폐 장치 및 우회 관로에 의해 공사 구간 내에 하수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하수관을 보수할 수 있다.
상기 관로 개폐 장치 및 상기 임시 하수관을 이용하여 상기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복구하고 상기 하수관에 설치된 상기 우회 관로를 철거하는 단계(S50)에서는, 상기 임시 하수관을 설치한 상태에서 천공에 설치된 정착재 및 우회 관로를 제거하고, 그 이후에 천공 제거 공사를 수행한 뒤 상기 임시 하수관을 제거하므로 하수의 방류 없이 천공이 형성된 부분을 복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하수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관로 개폐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하수관에서 우회 관로를 철거하는 단계의 구체적인 실시 방법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술하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관 및 다양한 수로 공사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분류 하수관의 보수 공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공사 구간에 우회 관로를 설치하여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사 구간에 우회 관로를 설치하여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S10)는, 상기 공사 구간의 하류에 위치하는 상기 하수관의 제1 지점에 제1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는 단계(S110), 상기 제1 지점에 상응하는 상기 하수관의 제1 위치에 제1 천공을 형성하여 상기 우회 관로의 제1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정착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S120), 상기 제1 임시 하수관을 철거하는 단계(S130), 상기 공사 구간의 상류에 위치하는 상기 하수관의 제2 지점에 제2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는 단계(S140), 상기 제2 지점에 상응하는 상기 하수관의 제2 위치에 제2 천공을 형성하여 상기 우회 관로의 제2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정착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S150), 상기 제2 임시 하수관을 철거하는 단계(S160), 상기 우회 관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관로 개폐 장치 및 제2 관로 개폐 장치를 각각 개방하는 단계(S170), 상기 제2 지점의 하류 지점에 제3 관로 개폐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제3 관로 개폐 장치를 폐쇄하는 단계(S180) 및 상기 제1 지점의 상류 지점에 제4 관로 개폐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제4 관로 개폐 장치를 폐쇄하는 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수를 방류하거나 하수의 흐름을 멈추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먼저 분류 하수관의 공사 예정 구간 하류 지점에 임시 하수도를 설치한 후에 하류 측 천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류측 천공을 우회 관로의 하류측 단부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천공과 우회 관로의 하류 측 연결에 정착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분류 하수관의 공사 예정 구간 상류 지점에 임시 하수도를 설치한 후에 상류 측 천공을 형성할 수 있다.
하류 측과 마찬가지로, 상기 천공과 우회 관로의 상류 측 연결에 정착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수의 흐름을 우회 관로로 바꾸기 위해 분류 하수관 및 우회 관로 내부의 관로 개폐 장치를 설치하여 우회 관로 내부의 관로 개폐 장치는 개방하고 분류 하수관 내부의 관로 개폐 장치는 폐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수는 분류 하수관 내의 공사 구간 상류 부분에서 우회 관로로 유출되어 공사 구간 하류 부분에서 다시 분류 하수관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 의해 하수의 유출없이 공사 구간을 우회하는 우회 관로로 하수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우회 관로를 설치하는 단계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도 1의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복구하고 하수관에 설치된 우회 관로를 철거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복구하고 하수관에 설치된 우회 관로를 철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4 관로 개폐 장치를 철거하는 단계(S510), 상기 제3 관로 개폐 장치를 철거하는 단계(S520), 상기 우회 관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관로 개폐 장치 및 제2 관로 개폐 장치를 각각 폐쇄하는 단계(S530), 상기 하수관의 제2 지점에 제3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는 단계(S540), 상기 하수관과 상기 우회 관로의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제2 정착 장치를 상기 제2 천공에서 제거하는 단계(S545), 상기 제2 천공을 폐쇄하는 단계(S550), 상기 제3 임시 하수관을 철거하는 단계(S555), 상기 하수관의 제1 지점에 제4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는 단계(S560), 상기 하수관과 상기 우회 관로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정착 장치를 상기 제1 천공에서 제거하는 단계(S570), 상기 제1 천공을 폐쇄하는 단계(S580) 및 상기 제4 임시 하수관을 철거하는 단계(S590)를 포함할 수 있다.
우회 관로를 설치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우회 관로를 철거하는 동안 하수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 하수관 및 관로 개폐 장치가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수가 우회 관로로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분류 하수관 내부의 관로 개폐 장치들을 철거하고, 우회 관로 내부의 관로 개폐 장치를 폐쇄하여 하수의 이동 경로를 우회 관로에서 분류 하수관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후에 천공과 연결된 우회 관로를 철거하고 천공을 폐쇄할 수 있다. 천공을 제거하는 동안의 하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 하수관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회 관로를 설치하는 단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우회 관로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점선으로 표시된 공사 구간(16)을 포함하는 분류 하수관(10)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또한 분류 하수관(10)에서의 하수 흐름 방향(FD)이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분류 하수관(10)에 형성된 네 개의 맨홀들(12a, 12b, 12c, 12d)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맨홀들(12a, 12b, 12c, 12d)을 통해 임시 하수관(100)을 설치하거나, 관로 개폐 장치를 설치 및 개폐하게 된다.
도 4에는 공사 구간(16)의 하류 측 제1 지점에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여 분류 하수관(10)과 우회 관로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공사 구간(16)의 하류 측에 형성될 천공(15)을 위해 하류 측에 제1 임시 하수관(100a)을 설치할 수 있다. 하류 측 2개의 맨홀들(12a, 12b)을 통해 제1 임시 하수관(100a)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준설기들(11a, 11b)을 분류 하수관(10) 상부의 지상에 설치하고, 제1 임시 하수관(100a)를 맨홀을 통해 분류 하수관(10) 내에 삽입한다. 준설기들(11a, 11b)에 연결된 로프들(13a, 13b)을 통해 제1 임시 하수관(100a)의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 로프들(13a, 13b)을 연결하기 위해, 임시 하수관은 제1 로프 고리 및 제2 로프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로프 고리는 임시 하수관(100a)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제2 로프 고리는 임시 하수관(100b)의 하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임시 하수관(100a)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컴프레셔(compressor,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제1 임시 하수관(100a)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1 임시 하수관(100a)을 설치할 수 있다. 제1 임시 하수관(100a)은 분류 하수관(10) 내부에서 임시적으로 하수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임시 하수관을 통해 천공(15) 형성 시에 하수의 방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임시 하수관(100a)이 설치된 상태에서 분류 하수관(10)에 천공(15) 형성을 위한 구멍을 뚫더라도, 하수는 천공(15)이 형성되는 구간에서는 임시 하수관(100a)을 통해 흐르므로 하수의 유출이 차단된다. 상기 임시 하수관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는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공사 구간(16)의 하류에 천공(15)을 형성한 후에, 상기 천공(15)을 우회 관로(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의 제1 단부와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천공(15)을 통해 우회 관로를 분류 하수관(10)과 밀착시키는 정착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착 장치는 하수가 우회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하수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우회 관로를 분류 하수관에 결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정착 장치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는 도 32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우회 관로의 제1 단부를 분류 하수관(10)과 연결한 다음, 제1 임시 하수관(100a)을 철거할 수 있다. 즉, 제1 임시 하수관(100a)에 주입되어 있는 공기를 제거하여 부피를 줄인 다음, 준설기에 연결된 로프를 통해 맨홀로 제1 임시 하수관(100a)을 철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사 구간(16)의 상류 측 제2 지점에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여 분류 하수관과 우회 관로의 제2 단부를 연결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하류 측 설치와 유사하게, 공사 구간(16)의 상류 측에 형성될 천공(17)을 위해 상류 측에 제2 임시 하수관(100b)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임시 하수관(100b)은 상기 제1 임시 하수관(100a)과 동일한 임시 하수관일 수도 있고, 다른 별개의 임시 하수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2 개의 제1 및 제2 임시 하수관을 각각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설치하여 두 개의 천공들(15, 16)을 형성하고, 우회 관로의 양 단부를 상기 천공들(15, 16)과 연결하는 과정을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임시 하수관을 통해 분류 하수관과 우회 관로를 연결하는 경우, 하류 측에 먼저 천공을 형성하여 우회 관로와 연결하고, 상류 측에 천공을 형성하여 우회 관로와 연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분류 하수관의 상류 측에 천공(17)을 형성하여 우회 관로와 연결하는 과정은 하류 측과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즉, 상류 측 2개의 맨홀들(12c, 12d)을 통해 제2 임시 하수관(100b)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준설기들(11c, 11d)을 분류 하수관(10) 상부의 지상에 설치하고, 제2 임시 하수관(100b)를 맨홀을 통해 분류 하수관(10) 내에 삽입한다. 준설기들(11c, 11d)에 연결된 로프들(13c, 13d)을 통해 제2 임시 하수관(100b)의 위치를 조정한다.
제2 임시 하수관(100b)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컴프레셔(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제2 임시 하수관(100b)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2 임시 하수관(100b)을 설치할 수 있다. 공사 구간(16)의 상류에 천공(17)을 형성한 후에, 상기 천공(17)을 우회 관로의 제2 단부와 연결할 수 있다. 제1 단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착 장치를 사용하여 천공(17)을 통해 우회 관로를 분류 하수관(10)과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우회 관로의 제2 단부를 분류 하수관(10)과 연결한 다음, 제2 임시 하수관(100b)을 철거할 수 있다. 즉, 제2 임시 하수관(100b)에 주입되어 있는 공기를 제거하여 부피를 줄인 다음, 준설기에 연결된 로프를 통해 맨홀로 제2 임시 하수관(100b)을 철거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우회 관로가 연결된 상태에서 관로 개폐 장치를 통해 하수의 흐름을 바꾸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분류 하수관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분류 하수관의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같이 참조하면, 도 4 및 도 5의 과정을 통해 우회 관로(150)가 설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우회 관로(150)의 제1 단부는 제1 정착 장치(500a)를 통해 분류 하수관(10)과 연결되고, 우회 관로(150)의 제2 단부는 제2 정착 장치(500b)를 통해 분류 하수관(10)과 연결될 수 있다. 우회 관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내측에는 각각 제1 관로 개폐 장치(300c) 및 제2 관로 개폐 장치(300d)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의 과정을 통해 우회 관로(1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1 관로 개폐 장치(300c) 및 제2 관로 개폐 장치(300d)를 개방하면, 분류 하수관으로만 흐르던 하수의 일부가 우회 관로(150)를 통해서도 흐르기 시작한다. 즉, 하수의 이동 경로가 2개가 되므로, 하수의 일부는 우회 관로(150)를 설치하기 이전과 마찬가지로 공사 구간을 통과하여 분류 하수관(10)을 통해 흐르고, 나머지 일부는 우회 관로(150)를 통해 흐르게 된다.
상기 공사 구간을 통해 분류 하수관(10)을 흐르는 하수를 완전히 차단하기 위하여, 우회 관로(150)의 제2 단부가 연결된 천공(17) 지점의 하류 지점에 제3 관로 개폐 장치(300b)를 설치할 수 있다. 제3 관로 개폐 장치(300b)를 설치한 후, 제3 관로 개폐 장치(300b)를 폐쇄시키면 공사 구간 내로 유입되는 하수는 완전히 차단되고, 오직 우회 관로(150)를 통해서만 하수가 흐르게 된다.
우회 관로(150)를 통과하여 분류 하수관으로 다시 유입된 하수의 일부가 공사 구간 쪽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회 관로(150)의 제1 단부가 연결된 천공(15) 지점의 상류 지점에 제4 관로 개폐 장치(300a)를 설치할 수 있다. 제4 관로 개폐 장치(300a)를 설치한 후, 제4 관로 개폐 장치(300a)를 폐쇄시키면 공사 구간 양단은 하수의 유입으로부터 완전히 차단된다.
상기 제3 관로 개폐 장치(300b) 및 제4 관로 개폐 장치(300a)의 설치를 위해 준설기들(11e, 11f, 11g, 11h) 및 이들과 연결된 로프들(13e, 13f, 13g, 13h)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준설기들(11e, 11f, 11g, 11h) 및 이들과 연결된 로프들(13e, 13f, 13g, 13h)을 이용하여 상기 제3 관로 개폐 장치(300b) 및 제4 관로 개폐 장치(300a)의 위치를 조정하고, 컴프레셔를 통해 상기 관로 개폐 장치들(300a, 300b)의 외부 튜브에 공기를 압입하여 팽창시키면 상기 관로 개폐 장치들(300a, 300b)이 분류 하수관(1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컴프레셔를 통해 상기 설치된 관로 개폐 장치들(300a, 300b)의 공기 주머니들에 공기를 압입하여 팽창시키면 관로 개폐 장치들(300a, 300b)을 통과하는 하수의 흐름이 차단된다. 관로 개폐 장치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는 도 18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이 종료되면, 설치된 우회 관로(150)에만 하수가 흐르게 되고 분류 하수관(10)의 공사 구간(16) 내에는 하수가 흐르지 않으므로 분류 하수관(10)의 보수 공사를 시작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우회 관로를 철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분류 하수관(10)의 공사 구간 내 보수 공사가 종료되면, 하수의 흐름을 원래대로 복구 시키고 우회 관로(150)를 철거시킬 필요성이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우회 관로가 연결된 상태에서 관로 개폐 장치를 통해 하수의 흐름을 바꾸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분류 하수관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분류 하수관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하수의 흐름이 우회 관로(150)에서 분류 하수관(1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먼저 공사 구간의 하류 측에 위치한 제4 관로 개폐 장치(300a)를 철거할 수 있다. 컴프레셔를 진공 모드로 변환하여 분류 하수관(10) 내 하류 측에 위치한 제4 관로 개폐 장치(300a)의 공기 주머니 및 외부 튜브 내의 공기를 제거하면 제4 관로 개폐 장치(300a)의 부피가 감소하여 맨홀을 통해 꺼낼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상류 측에 위치한 제3 관로 개폐 장치(300b)를 제거할 수 있다.
제3 및 제4 관로 개폐 장치들(300a, 300b)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우회 관로(150) 외에도 분류 하수관(10)의 공사 구간에도 하수의 일부가 통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우회 관로(150)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관로 개폐 장치(300c) 및 제2 관로 개폐 장치(300d)를 폐쇄한다. 이 경우에 우회 관로(150)의 입구 쪽인 제2 단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관로 개폐 장치(300d)를 먼저 폐쇄하고, 우회 관로(150)의 하수가 모두 분류 하수관으로 유출된 후에 제1 관로 개폐 장치(300c)를 폐쇄하면 우회 관로(150) 내부에 잔존하는 하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과정을 수행한 상태에서, 우회 관로(150)는 폐쇄되므로 하수는 모두 분류 하수관(10)을 통해서만 흐르게 된다. 이후 과정에서 우회 관로를 제거하면 보수 공사가 종료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 및 도 9의 과정이 수행된 이후에 우회 관로를 철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분류 하수관(10)의 상류 측 천공(17)과 연결된 우회 관로의 제2 단부를 분류 하수관(1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맨홀(12d)을 통해 제3 임시 하수관(100c)을 분류 하수관(10)에 집어 넣고, 준설기들(11e, 11f) 및 로프들을 통해 제3 임시 하수관(100c)의 위치를 조정한다. 제3 임시 하수관(100c)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컴프레셔를 통해 제3 임시 하수관(100c)의 공기 튜브에 공기를 압입하여 제3 임시 하수관(100c)을 분류 하수관(10) 내부에 고정시킨다. 제3 임시 하수관(100c)이 분류 하수관(10) 내부에 고정된 이후에는 하수가 제3 임시 하수관(100c)의 내부를 통하여만 흐르므로, 제2 천공(17)에 설치된 제2 정착 장치를 제거하여 우회 관로의 제2 단부를 분류 하수관(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우회 관로의 제2 단부가 분류 하수관(10)에서 분리되면 제2 천공(17)이 노출되므로, 분류 하수관(10)을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제2 천공(17)을 봉입하는 방식으로 제2 천공(17)을 폐쇄할 수 있다. 이후에 제3 임시 하수관(100c)을 제거하여 상류 측 우회 관로의 분리를 마무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분류 하수관(10)의 하류 측 천공(15)과 연결된 우회 관로의 제1 단부를 분류 하수관(1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먼저 맨홀(12b)을 통해 제4 임시 하수관(100d)을 분류 하수관(10)에 집어 넣고, 준설기들(11e, 11f) 및 로프들을 통해 제4 임시 하수관(100d)의 위치를 조정한다. 제4 임시 하수관(100d)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컴프레셔를 통해 제4 임시 하수관(100d)의 공기 튜브에 공기를 압입하여 제4 임시 하수관(100d)을 분류 하수관(10) 내부에 고정시킨다. 제4 임시 하수관(100d)이 분류 하수관(10) 내부에 고정된 이후에는 하수가 제4 임시 하수관(100d)의 내부를 통하여만 흐르므로, 제1 천공(15)에 설치된 제1 정착 장치를 제거하여 우회 관로의 제1 단부를 분류 하수관(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우회 관로의 제1 단부가 분류 하수관(10)에서 분리되면 제1 천공(15)이 노출되므로, 분류 하수관(10)을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제1 천공(15)을 봉입하는 방식으로 제1 천공(15)을 폐쇄할 수 있다. 이후에 제4 임시 하수관(100d)을 제거하여 하류 측 우회 관로의 분리를 마무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우회 관로의 철거가 종료되어 모든 공사가 마무리된 상태의 분류 하수관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하수관의 보수 방법에 의하면, 하수의 유출 없이 효율적으로 분류 하수관의 보수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분류 하수관의 보수 방법의 실시를 위한 임시 하수관, 관로 개폐 장치 및 관로 정착 장치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시 하수관의 제1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임시 하수관이 분류 하수관 내에 설치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는 임시 하수관이 분류 하수관 내에 설치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임시 하수관(100)은 관로 부재(110), 제1 공기 튜브(130), 제2 공기 튜브(140) 및 돌출부(180)를 포함한다.
임시 하수관(100)이 점선으로 도시된 분류 하수관(10)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관로 부재(110)는 분류 하수관(10)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설치 전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관로 부재(110)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관로 부재(110)는 신축성 및 탄력성이 양호하고 내화학성이 강한 라텍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공기 튜브(130)는 관로 부재(110)의 제1 단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공기 주입시 관로 부재(110)의 상기 제1 단부의 외측과 분류 하수관(100)의 내측을 밀착시킨다. 제1 공기 튜브(130)는 공기를 압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제1 공기 주입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는 제1 공기 튜브(130)에 공기가 제거된 상태의 임시 하수관(1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제1 공기 튜브(130)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의 임시 하수관(100)이 도시되어 있다.
제2 공기 튜브(140)는 관로 부재(110)의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제2 단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공기 주입시 관로 부재(110)의 상기 제2 단부의 외측과 분류 하수관(100)의 내측을 밀착시킨다. 제2 공기 튜브(130)는 공기를 압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제2 공기 주입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는 제2 공기 튜브(140)에 공기가 제거된 상태의 임시 하수관(1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제2 공기 튜브(140)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의 임시 하수관(100)이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180)는 분류 하수관(10) 상에 형성될 천공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관로 부재(110) 상의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관로 부재(110)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임시 하수관(1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에서, 천공이 형성될 분류 하수관(10)의 위치에 상기 돌출부(180)가 자리잡도록 임시 하수관(10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관로 부재(110)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천공 형성을 위한 장비가 의도하지 않게 관로 부재(110)에 접촉하는 경우 관로 부재(110)가 파손되어 임시 하수관으로서의 역할 수행이 불가능하게 되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돌출부(180)는 분류 하수관(10)에 천공을 형성하는 경우 의도치 않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관로 부재(110)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기능 이외에도 돌출부(180)로 인하여 천공 형성 이후에 정착 장치를 결합하는 경우에 공간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돌출부(180)는 제1 공기 튜브(130) 및 제2 공기 튜브(140) 사이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180)는 제1 공기 튜브(130) 및 제2 공기 튜브(140) 사이의 관로 부재(110) 상에서 형성되는 나선형의 골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180)는 제1 공기 튜브(130) 및 제2 공기 튜브(140) 사이의 관로 부재(110) 상에서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시 하수관(100)은 제1 접촉 부재(120) 및 제2 접촉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 부재(120)는 제1 공기 튜브(130)의 외측에 위치하여 제1 공기 튜브(130)의 공기 주입시 분류 하수관(10)의 내측에 밀착되고, 제2 접촉 부재(160)는 제2 공기 튜브(140)의 외측에 위치하여 제2 공기 튜브(140)의 공기 주입시 분류 하수관(10)의 내측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공기 튜브(130) 및 제2 공기 튜브(140)는 신축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해야 하므로, 분류 하수관(10) 내측에 이물질 등이 존재하는 경우 팽창시 제1 공기 튜브(130) 및 제2 공기 튜브(140)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촉 부재(120) 및 제2 접촉 부재(160)는 상대적으로 강인한 재질로 이루어져 공기 주입시 제1 공기 튜브(130) 및 제2 공기 튜브(14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시 하수관의 제2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임시 하수관(100)의 제1 공기 튜브(130) 및 제2 공기 튜브(140)에 공기가 주입되기 이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임시 하수관(100)의 돌출부(180)를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임시 하수관(100)의 제1 공기 튜브(130) 및 제2 공기 튜브(140)에 공기가 주입된 이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1 공기 튜브(130) 및 제1 접촉 부재(120)가 포함된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2 공기 튜브(140) 및 제2 접촉 부재(160)가 포함된 단면 또한 도 15와 동일하게 도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7은 제1 공기 튜브(130) 및 제1 접촉 부재(120)가 포함된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2 공기 튜브(140) 및 제2 접촉 부재(160)가 포함된 단면 또한 도 17과 동일하게 도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5 및 도 17을 참조하면, 관로 부재(110)의 외측에 제1 공기 튜브(130)가 위치하고, 제1 공기 튜브(130)의 외측에 제1 접촉 부재(120)가 위치한다.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하수관(100)의 관로 부재(110)는 제1 단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세 개의 로프 고리(115a, 115b, 115c) 및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제2 단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세 개의 로프 고리(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임시 하수관(100)을 설치하기 위하여 먼저 임시 하수관(100)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로프 고리들에 로프를 결착하여 준설기와 연결한 후에 임시 하수관(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5는 제1 공기 튜브(130)에 공기가 주입되기 이전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므로, 점선으로 도시된 분류 하수관(10)과 제1 접촉 부재(120)는 밀착되지 않으며 어느 정도의 빈 공간(101)이 존재하게 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공기 튜브(130)에 공기가 주입되면 제1 공기 튜브(130)가 팽창되고, 제1 접촉 부재(120)가 분류 하수관(10)이 밀착되어 임시 하수관(100)이 고정된다.
도 16에는 임시 하수관(100)의 돌출부(180) 상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180)와 분류 하수관(10)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빈 공간(102)이 존재하여, 천공 형성 공사 및 정착 장치 결합시에 관로 부재(1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 확보를 하게 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관로 개폐 장치(300)는 제1 부재(310), 제2 부재(370), 외부 튜브(330) 및 복수의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을 포함한다. 관로 개폐 장치(300)의 설치시 균일한 공기 주입을 위해 외부 튜브(330)는 공기 주입구들(330a, 330b, 330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은 각각의 공기 주입구들(351a, 351b, 35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310)는 관 형태로 내부 지지벽을 형성하고, 제2 부재(370)는 관 형태로 제1 부재(310)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 지지벽을 형성한다. 외부 튜브(330)는 제1 부재(310)와 제2 부재(370)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 주입시 제2 부재(370)를 하수관 내측에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외부 튜브(330) 또한 제1 부재(310) 및 제2 부재(370)와 마찬가지로 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은 제1 부재(310) 내측에 위치하여 공기 주입시 제1 부재(310)의 내부를 폐쇄한다.
외부 튜브(330) 및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은 공기 주입 여부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을 하므로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높고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재(310) 및 제2 부재(370)는 외부 튜브(330) 및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고 신축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튜브(330) 및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에 공기를 주입한 경우, 제1 부재(310) 및 제2 부재(370)가 관로 개폐 장치(300)의 형태를 잡아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 도 19 및 도 20은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에 공기가 일정량 주입된 상태,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에 공기가 가득 찬 상태 및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에서 공기를 제거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18, 도 19 및 도 20 모두 외부 튜브(330)에는 공기가 가득 주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 내지 도 20에는 원형의 하수관에 사용되는 관로 개폐 장치(300)가 도시되어 있으며, 3 개의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을 포함하는 관로 개폐 장치(300)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머니에 공기가 완전히 주입된 경우 공기 주머니들끼리 맞닿는 접촉면들이 이루는 각은 약 120도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직사각형의 하수관을 개폐하기 위해 관로 개폐 장치의 제1 부재, 제2 부재, 외부 튜브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관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주머니들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관로 개폐 장치는 준설기를 이용한 로프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로프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관로 개폐 장치는 분류 하수관의 개폐에 사용될 수도 있고 우회 관로 내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분류 하수관과 우회 관로가 같은 크기 및 같은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경우, 동일한 관로 개폐 장치가 분류 하수관 및 우회 관로에 사용될 수 있다. 분류 하수관과 우회 관로가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을 갖는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관로 개폐 장치가 분류 하수관 및 우회 관로의 개폐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1 내지 2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개폐 장치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1, 도 22 및 도 23은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에 공기가 일정량 주입된 상태,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에 공기가 가득 찬 상태 및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에서 공기를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다시 말하면, 도 21, 도 22 및 도 23은 각각 도 18, 도 19 및 도 20의 사시도에 상응하는 단면도들일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은 각각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에 공기가 일정량 주입된 상태,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에 공기가 가득 찬 상태 및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에서 공기를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다시 말하면, 도 24, 도 25 및 도 26은 각각 도 21의 단면 D1, 도 22의 단면 D2 및 도 23의 단면 D3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일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7을 함께 참조하면, 공기 주머니들(350b, 350c)은 각각 관로 개폐 장치(30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마구리들(352b, 353b, 352c, 35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구리들(352b, 353b, 352c, 353c)은 상대적으로 두껍고 덜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공기 주머니들(350b, 350c)에 공기가 주입된 경우 형태를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머니들(350b, 350c)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경우 마구리들(352b, 353b, 352c, 353c)은 관로 개폐 장치(300)의 안쪽으로 접혀져 하수가 흐르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머니들(350b, 350c)에 공기가 주입된 경우 마구리들(352b, 353b, 352c, 353c)은 관로 개폐 장치(300)의 바깥쪽으로 팽창되어 하수가 흐르는 통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마구리들(352b, 353b, 352c, 353c)이 펼쳐져 있는지 접혀져 있는지 여부에 따라 관로 개폐 장치(300)가 폐쇄되었는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육안으로 관로 개폐 장치(300)의 개방 여부를 쉽게 식별하기 위하여, 마구리들(352b, 353b, 352c, 353c)에 형광 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또는 무색 투명한 야광석 등을 섞어 제작한 라텍스 판을 마구리들(352b, 353b, 352c, 353c) 각각에 압착하여 관로 개폐 장치(300)를 제작할 수도 있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개폐 장치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관로 개폐 장치(300)의 외부 튜브(330) 및 공기 주머니(350a)의 공기가 모두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8을 참조하면, 관로 개폐 장치(300)의 외부 튜브(330) 및 공기 주머니(350a)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분류 하수관(10) 내에 관로 개폐 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로 하는 위치로 공기가 제거된 상태의 관로 개폐 장치(300)를 이동시키고, 외부 튜브(330)에 공기를 주입한다.
외부 튜브(330)에만 공기를 주입시킨 상태는 관로 개폐 장치(300)가 설치되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에 공기를 주입하여 관로 개폐 장치(300)를 폐쇄하고, 공기 주머니들(350a, 350b, 350c)에서 공기를 제거하여 관로 개폐 장치(300)를 개방할 수 있다. 도 28은 관로 개폐 장치(300)가 설치되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개폐 장치의 설치 및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1 컴프레셔(21)가 제1 공기 호스(21a)를 통해 관로 개폐 장치(300)의 외부 튜브(330)와 연결된다. 또한, 제2 컴프레서(22)가 제2 공기 호스(22a)를 통해 관로 개폐 장치(300)의 공기 주머니들과 연결된다. 제2 공기 호스(22a)는 세 개의 공기 주머니들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세 개의 공기 호스들(22b, 22c, 22d)로 분기된다.
관로 개폐 장치(300)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공기가 제거된 관로 개폐 장치를 분류 하수관(10) 내부로 밀어 넣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이후에 제1 컴프레셔(21)를 이용하여 제1 공기 호스(21a)를 통해 외부 튜브(330)에 공기를 압입하면 관로 개폐 장치(300)의 제2 부재가 분류 하수관(10)의 내측과 밀착되어 관로 개폐 장치(300)가 설치된다. 관로 개폐 장치(300)를 철거하기 위하여는 설치와 반대로 제1 컴프레셔(21)를 이용하여 제1 공기 호스(21a)를 통해 외부 튜브(330)의 공기를 흡입한다. 이에 따라 외부 튜브(330)의 공기가 제거되어 관로 개폐 장치(300)를 철거할 수 있다.
관로 개폐 장치(300)를 폐쇄하기 위해, 제2 컴프레셔(22)를 이용하여 제2 공기 호스(22a) 및 분기된 공기 호스들(22b, 22c, 22d)을 통해 공기 주머니들에 공기를 압입한다. 공기 주머니들에 공기가 주입되면 도 19, 도 22, 도 25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개폐 장치(300)가 폐쇄된다. 관로 개폐 장치(300)를 개방하기 위해, 폐쇄의 경우와 반대로 제2 컴프레셔(22)를 이용하여 제2 공기 호스(22a) 및 분기된 공기 호스들(22b, 22c, 22d)을 통해 공기 주머니들에 공기를 흡입한다. 공기 주머니들의 공기가 제거되면 도 20, 도 23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개폐 장치(300)가 개방된다.
도 30 및 도 31은 도 29의 A 단면 및 B 단면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0은 도 29의 A 단면을 나타내는 일 예이다.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단면이 나타날 수 있다. 공기 호스(22b)는 필요에 따라 공기 주머니(35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31은 도 29의 B 단면을 나타내는 일 예이다. 제2 공기 호스(22a)는 분기부(23)를 통해 세 개의 공기 호스들(22b, 22c, 22d)로 분기되어 공기 주머니들과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주머니의 개수가 네 개인 경우, 하나의 공기 호스가 네 개의 공기 호스들로 분기되어 상기 공기 주머니들과 연결되거나 또는 두 개의 공기 호스 각각이 두 개로 공기 호스들로 분기되어 총 네 개의 분기된 공기 호스들이 상기 공기 주머니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정착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2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관로 정착 장치(500)는 정착재(520), 고정부(510), 밀착 튜브(530), 간극 조정재(550) 및 삽입관(540)을 포함한다. 정착재(520)는 제1 단부에 분류 하수관(10)의 천공 주변의 내측과 밀착되는 제1 돌출부(521)를 갖고, 분류 하수관(10)의 외부 위치에 상응하는 제1 위치에 제2 돌출부(522)를 갖는다. 고정부(510)는 제2 돌출부(52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밀착 튜브(530)는 정착재(520)의 제1 단부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 제거시 성착재(520)와 분류 하수관(10)을 밀착시킨다. 간극 조정재(550)는 상기 제1 돌출부(521) 및 제2 돌출부(522) 사이에서 정착재(520)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여 분류 하수관(10)의 외측면과 상기 제2 돌출부(522)와의 간극을 조정한다. 삽입관(540)은 정착재(520)와 우회 관로(150)를 연결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정착재(520), 삽입관(540) 및 우회 관로(150)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3에서 간극 조정재(550)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밀착 튜브(530)는 신축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며,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재(520) 및 고정부(5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 주입 경로를 통해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밀착 튜브(530)는 정착재(520)의 제1 돌출부(522)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관로 정착 장치를 하수관의 천공에 결착시킬 때 밀착 튜브(530)의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 상태로 만들어 외부 압력에 의해 제1 돌출부(521)를 하수관 천공 주변 내측과 강하게 결합하여야 하는데, 밀착 튜브(530)와 제1 돌출부(521) 사이에 틈이 존재하는 경우 공기가 투입되어 제대로 결착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밀착 튜브(530)와 제1 돌출부(521)를 일체형으로 생산하여 틈을 최소화하는 경우 정착 장치의 결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32에는 밀착 튜브(530)에 공기가 적당량 주입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2의 상태에서 관로 정착 장치의 밀착 튜브(530) 및 정착재(520)의 제1 돌출부(521)를 천공 내측에 밀어 넣게 된다. 이 경우, 정착재(520)의 제2 돌출부(522)는 천공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천공에 정착 장치(50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공기 주입 경로에 의하여 분류 하수관(10) 외부에서도 분류 하수관(10) 내부에 위치하는 밀착 튜브(53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공기 주입 경로에 컴프레셔를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하거나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밀착 튜브(530) 및 정착재(520)는, 예를 들면 라텍스와 같은 신축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에, 고정부(520)는 견고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520)는 금속 물질,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밀착 튜브(530) 및 정착재(520)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더라도, 밀착 튜브(530)는 공기 주입시 팽창되기 위해 소재를 얇게 형성하여 유연성이 높을 수 있고, 정착재(520)의 제1 돌출부(521)는 소재가 투텁게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밀착 튜브(530)보다 탄성 또는 유연성이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착재(520)의 제1 돌출부(521)는 관로 정착 장치의 천공 결착시 밀착 튜브(530)의 공기가 제거됨에 따라 압력에 의해 힘을 받더라도 형태를 지지하여 주어 결합 상태를 굳건히 유지하여 줄 수 있다.
간극 조정재(550)는 분류 하수관(10)의 외측면과 정착재(520)의 제2 돌출부(522)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분류 하수관(10)의 두께, 즉 분류 하수관(10)의 외직경과 내직경과의 차이는 분류 하수관(1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분류 하수관(10)의 외측면과 정착재(520)의 제2 돌출부 사이의 간격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밀착 튜브(530)에 의해 정착재(520)의 제1 돌출부(521)와 분류 하수관(10)의 내측면이 결합되더라도 분류 하수관(10)의 외측면과 정착재(520)의 제2 돌출부(522)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경우 우회 관로(150)로 유입되는 하수가 유출되거나, 하수의 유입 압력이 높은 경우 의도치 않게 정착 장치가 천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간극 조정재(550)를 삽입하여 분류 하수관(10)의 외측면과 정착재(520)의 제2 돌출부(522)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간극 조정재(550) 또한 공기 주입 여부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분류 하수관(10)의 외측면과 정착재(520)의 제2 돌출부(522) 사이의 간격이 다양하게 나타나더라도 간극 조정재(550)에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 튜브(530)의 공기를 제거하기 이전에 먼저 밀착 튜브(530)에 공기를 주입하여 천공 내부로 밀어 넣을 때 접혔던 밀착 튜브(530)가 균일하게 펴지도록 한다. 동시에 간극 조정재(550)에도 적정하게 공기를 주입하여 분류 하수관(10) 외측면과 정착재(520)의 제2 돌출부 사이에 틈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후에 밀착 튜브(530)가 분류 하수관(10)의 내측면에 진공 밀착되도록 밀착 튜브(530)의 공기를 최대한 제거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정착 장치(500)에 의해 분류 하수관(10)과 우회 관로(150)가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3의 상태에서, 밀착 튜브(530)와 분류 하수관(10) 내측 사이의 틈을 최대한 없애고 밀착 튜브(530)의 공기를 제거하게 된다. 정착 장치(500)의 밀착 튜브(530)에는 공기가 제거되어 밀착 튜브(530)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정착재(520)의 제1 단부에 위치한 제1 돌출부(521)가 분류 하수관(10)의 내벽쪽으로 힘을 받아 밀착된다. 정착재(520)는 분류 하수관(10)의 천공 내에 삽입을 용이하기 위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착재(520)는 라텍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관(540)은 우회 관로(150)에 연결된 상태에서 관 형태의 정착재(520) 내측에 삽입되어 분류 하수관(10)과 우회 관로(150)를 연결할 수 있다. 삽입관(540)과 우회 관로(150)의 연결을 위해 추가적으로 결합용 앙카(55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관로 개폐 장치(300c)가 삽입관(540) 또는 우회 관로(150) 내부에 위치하여 우회 관로(150)로의 하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정착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간극 조정재(550) 및 삽입관(540)이 정착재(520) 및 고정부(510)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착 튜브(530)는 정착재(520)의 제1 돌출부(521)와 일체를 이룰 수 있으며, 도 35의 사시도에서는 정착재(520)의 제1 돌출부(521)는 밀착 튜브(530)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상태이다.
간극 조정재(550)는 정착재(520)의 제1 돌출부(521)와 제2 돌출부(522)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공기 주입구(551)를 통해 간극 조정재(550)의 공기를 주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삽입관은 정착재(520) 내부로 삽입되어 정착 장치(500)와 우회 관로(150)를 연결할 수 있다. 삽입관(540)과 정착재(520)를 간격없이 결합하기 위하여 신축성 밴드(560)가 더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하수도의 보수 공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분류 하수관의 보수 공사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수로 공사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공기 주입에 의해 설치되고 공기 제거에 의해 철거되는 관로 개폐 장치 및 임시 하수관을 이용하여 하수의 유출 없이 하수관의 공사 구간에 우회 관로를 설치하여 상기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하수관의 상기 공사 구간에서 보수 공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관로 개폐 장치 및 상기 임시 하수관을 이용하여 상기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복구하고 상기 하수관에 설치된 상기 우회 관로를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사 구간에 우회 관로를 설치하여 상기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공사 구간의 하류에 위치하는 상기 하수관의 제1 지점에 제1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에 상응하는 상기 하수관의 제1 위치에 제1 천공을 형성하여 상기 우회 관로의 제1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정착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임시 하수관을 철거하는 단계;
    상기 공사 구간의 상류에 위치하는 상기 하수관의 제2 지점에 제2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 지점에 상응하는 상기 하수관의 제2 위치에 제2 천공을 형성하여 상기 우회 관로의 제2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정착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임시 하수관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임시 하수관 및 상기 제2 임시 하수관의 각각은,
    상기 하수관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고,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관로 부재;
    상기 관로 부재의 제1 단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공기 주입시 상기 관로 부재의 상기 제1 단부의 외측과 상기 하수관의 내측을 밀착시키는 제1 공기 튜브;
    상기 관로 부재의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제2 단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공기 주입시 상기 관로 부재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하수관의 내측을 밀착시키는 제2 공기 튜브; 및
    상기 하수관 상에 형성될 천공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관로 부재 상의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관로 부재를 보호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보수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 구간에 우회 관로를 설치하여 상기 하수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우회 관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관로 개폐 장치 및 제2 관로 개폐 장치를 각각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2 지점의 하류 지점에 제3 관로 개폐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제3 관로 개폐 장치를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점의 상류 지점에 제4 관로 개폐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제4 관로 개폐 장치를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보수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된 우회 관로를 철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4 관로 개폐 장치를 철거하는 단계;
    상기 제3 관로 개폐 장치를 철거하는 단계;
    상기 우회 관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관로 개폐 장치 및 제2 관로 개폐 장치를 각각 폐쇄하는 단계;
    상기 하수관의 제2 지점에 제3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수관과 상기 우회 관로의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제2 정착 장치를 상기 제2 천공에서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 천공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3 임시 하수관을 철거하는 단계;
    상기 하수관의 제1 지점에 제4 임시 하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수관과 상기 우회 관로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정착 장치를 상기 제1 천공에서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천공을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임시 하수관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보수 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시 하수관 및 상기 제2 임시 하수관의 각각은,
    상기 제1 공기 튜브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공기 튜브의 공기 주입시 상기 하수관의 내측에 밀착되는 제1 접촉 부재; 및
    상기 제2 공기 튜브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공기 튜브의 공기 주입시 상기 하수관의 내측에 밀착되는 제2 접촉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보수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부재는,
    상기 제1 단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로프 고리; 및
    상기 제2 단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로프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보수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부재는 라텍스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보수 방법.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관로 개폐 장치들의 각각은,
    관 형태로 내부 지지벽을 형성하는 제1 부재;
    관 형태로 상기 제1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 지지벽을 형성하는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 주입시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하수관 내측에 밀착시키는 외부 튜브; 및
    상기 제1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여 공기 주입시 상기 제1 부재의 내부를 폐쇄시키는 복수의 공기 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보수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횡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공기 주머니들의 개수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보수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횡단면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공기 주머니들의 개수는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보수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착 장치 및 상기 제2 정착 장치의 각각은,
    제1 단부에 상기 하수관의 천공 주변의 내측과 밀착되는 제1 돌출부를 갖고, 상기 천공 주변의 외측에 상응하는 제1 위치에 제2 돌출부를 갖는 정착재;
    상기 제2 돌출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정착재의 제1 단부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 제거시 상기 정착재와 상기 하수관을 밀착시키는 밀착 튜브;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정착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하수관의 외측면과 상기 제2 돌출부와의 간극을 조정하는 간극 조정재; 및
    상기 정착재와 우회 관로를 연결하는 삽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보수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재, 상기 밀착 튜브 및 상기 간극 조정재는 라텍스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보수 방법.
KR1020110060255A 2011-06-21 2011-06-21 임시 하수관, 관로 개폐 장치, 관로 정착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하수관의 보수 방법 KR101136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255A KR101136946B1 (ko) 2011-06-21 2011-06-21 임시 하수관, 관로 개폐 장치, 관로 정착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하수관의 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255A KR101136946B1 (ko) 2011-06-21 2011-06-21 임시 하수관, 관로 개폐 장치, 관로 정착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하수관의 보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946B1 true KR101136946B1 (ko) 2012-04-19

Family

ID=4614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255A KR101136946B1 (ko) 2011-06-21 2011-06-21 임시 하수관, 관로 개폐 장치, 관로 정착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하수관의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9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60B1 (ko) 2012-10-29 2013-02-07 (주)칠칠공사 고층 건물의 배관라인 교체 방법
KR20160090013A (ko) 2015-01-21 2016-07-29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하수관 보수 공사용 우회 장치
KR101814880B1 (ko) * 2015-11-18 2018-01-04 서울특별시 하수관로 물 돌리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360Y1 (ko) * 2003-06-27 2003-11-15 허제 하수관 보수 작업용 바이패스기기
JP3115789U (ja) * 2005-08-12 2005-11-17 株式会社パイプシステム新潟 パイプジョイント装置
KR100632978B1 (ko) * 2004-09-20 2006-10-11 건양씨엔이 (주) 노후 하수도관 연속식 부분 보수 공법 및 그 장치
JP2008128480A (ja) * 2006-11-27 2008-06-05 Hitachi Metals Ltd 流路閉塞用工具及びガス供給管の更新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360Y1 (ko) * 2003-06-27 2003-11-15 허제 하수관 보수 작업용 바이패스기기
KR100632978B1 (ko) * 2004-09-20 2006-10-11 건양씨엔이 (주) 노후 하수도관 연속식 부분 보수 공법 및 그 장치
JP3115789U (ja) * 2005-08-12 2005-11-17 株式会社パイプシステム新潟 パイプジョイント装置
JP2008128480A (ja) * 2006-11-27 2008-06-05 Hitachi Metals Ltd 流路閉塞用工具及びガス供給管の更新工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60B1 (ko) 2012-10-29 2013-02-07 (주)칠칠공사 고층 건물의 배관라인 교체 방법
KR20160090013A (ko) 2015-01-21 2016-07-29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하수관 보수 공사용 우회 장치
KR101814880B1 (ko) * 2015-11-18 2018-01-04 서울특별시 하수관로 물 돌리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946B1 (ko) 임시 하수관, 관로 개폐 장치, 관로 정착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하수관의 보수 방법
EP1792049B1 (en) Screen for controlling inflow of solid particles in a wellbore
KR101360172B1 (ko)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방법 및 물돌리기 장치
KR100725226B1 (ko) 물돌리기용 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돌리기 공법
KR101842859B1 (ko) 바이패스용 개구부를 가진 차집관거 물막이벽, 및 이를 이용한 차수 및 물돌리기 공법
JP2011101847A (ja) 水道管内面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CN207419536U (zh) 一种市政检查井避臭井盖
KR200418566Y1 (ko) 비굴착식 상,하수관 보수용 패커
JP4861212B2 (ja) 透過型砂防堰堤
KR100869829B1 (ko) 상수도관의 보수 보강장치
KR101531788B1 (ko) 하수관 전체 보수 장치 및 공법
Tam et al. Management of rubber dams in Hong Kong
CN207213487U (zh) 一种非开挖扩张紧贴型修复管道
KR100741326B1 (ko) 배관용 유체 차단기 및 이를 이용한 유체 배관의 부단 이설방법
KR102543834B1 (ko) 하수관거 차수장치 구조체
KR102140417B1 (ko) 차집관로의 보수를 위한 하수 우회장치
KR100378208B1 (ko) 터널의 누수방지용 보수재 및 보수공법
KR101613360B1 (ko)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Herckis Hot Tapping and Plugging in New York City: A Method to Maintain Service and Protect the Marine Environment during Reconstruction of a Major Sewage Pumping Station and Treatment Plant
CN217175104U (zh) 一种管道系统缓冲排污装置
KR20130026470A (ko) 배관의 부분 구간별 세정 및 유로 변경 장치와 그 방법
CN209033895U (zh) 烟气脱硫石膏滤饼冲洗装置
Griffin Extensive By-Pass Pumping Solution To Philly Sewer Project
CN113883329B (zh) 燃气管道搬迁复位的方法
US201701759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ugging a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