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455B1 - 배수공이 형성된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 - Google Patents

배수공이 형성된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455B1
KR101136455B1 KR1020100041731A KR20100041731A KR101136455B1 KR 101136455 B1 KR101136455 B1 KR 101136455B1 KR 1020100041731 A KR1020100041731 A KR 1020100041731A KR 20100041731 A KR20100041731 A KR 20100041731A KR 101136455 B1 KR101136455 B1 KR 101136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main body
protruding member
groove forming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311A (ko
Inventor
양숙경
Original Assignee
양숙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숙경 filed Critical 양숙경
Priority to KR102010004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45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2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69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10); 본체(11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돌출부재(120); 인접 강관(100a)의 돌출부재(120a)가 삽입되도록, 본체(110)의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홈형성부재(130); 배면토사의 물이 배출되도록, 돌출부재(120) 또는 홈형성부재(130)에 형성된 배수공(141)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마개(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공이 형성된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100)을 제시함으로써, 우천, 지하수의 상승 등으로 인하여 과대한 토압이 발생하더라도 차수벽이 위험상태에 처하지 않도록 하고, 주열식 현장타설 말뚝공법의 장점인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높은 차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배수공이 형성된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Steel Pipe for Underground Watertight Wall having Drainage Hole}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중 차수벽(遮水壁)에 관한 것이다.
현재, 흙막이 및 차수를 목적으로 지중에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공법으로서, C.I.P.(cast in place pile) 공법, S.C.W.(soil cement wall) 공법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C.I.P.(cast in place pile) 공법은 일종의 주열식 현장타설 말뚝으로서, 소정 직경으로 천공 후 주입식 콘크리트에 의해 토류벽을 형성하는 공법을 말하며, 주열식 강성체를 형성하므로 강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나, 연결부에 누수현상발생가능성이 크다는 단점을 갖는다.
S.C.W.(soil cement wall) 공법은 주열식 지중벽으로 계획심도까지 천공 후 주입제(soil cement)를 주입하여 벽체를 형성하고, H 파일을 응력재로 삽입하여 토류벽을 형성하는 공법을 말하며, 차수 효과가 우수한 반면, 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는다.
즉, 현장의 여건상 차수벽 구조물이 높은 강도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상기 C.I.P. 공법과 같은 주열식 현장타설 말뚝공법이 적절하다 할 수 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케이싱(casing)에 의해 하나의 현장타설 말뚝이 형성되는 방식을 취하므로,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말뚝 사이로 흐르는 물을 차단하기가 곤란하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각 말뚝의 일부가 상호 겹치도록 시공하는 오버랩(overlap) 배열방법, 말뚝을 갈짓자 형상으로 배치하는 방법, 말뚝 사이에 소일 시멘트에 의한 벽체를 형성하거나 철근바구니 등에 의한 별도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고안되어 왔다.
그러나, 그 어느 것도 완벽한 차수 효과를 얻을 수는 없었고, 우천, 지하수의 상승 등으로 인하여 과대한 토압이 발생함에 따라 차수벽이 위험상태에 처하는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합벽 등의 타설에 의해 지중 차수벽을 본 구조물의 지중벽체(영구벽체)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더욱 높은 차수효과가 요구되는데, 현재까지는 이를 만족하는 공법이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우천, 지하수의 상승 등으로 인하여 과대한 토압이 발생하더라도 차수벽이 위험상태에 처하지 않도록 하고, 주열식 현장타설 말뚝공법의 장점인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높은 차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지중 차수벽 형성을 위한 강관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110); 본체(11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돌출부재(120); 인접 강관(100a)의 돌출부재(120a)가 삽입되도록, 본체(110)의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홈형성부재(130); 배면토사의 물이 배출되도록, 돌출부재(120) 또는 홈형성부재(130)에 형성된 배수공(141)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마개(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공이 형성된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100)을 제시한다.
상기 차수용 돌출부재(120)는 원형 단면의 삽입부(121); 상기 삽입부(121)와 상기 본체(110)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삽입부(121)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연결부(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형성부재(130)는 상기 삽입부(121)가 삽입되는 홈부(131); 상기 홈부(131)와 상기 본체(110)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홈부(131)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지지부(1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수용 돌출부재(120) 및 홈형성부재(130)는 판형 부재의 절곡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판형 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본체(110)에 용접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공(141)은 상기 돌출부재(120)의 연결부(122)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공(141)은 상기 돌출부재(120)의 연결부(122)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우천, 지하수의 상승 등으로 인하여 과대한 토압이 발생하더라도 차수벽이 위험상태에 처하지 않도록 하고, 주열식 현장타설 말뚝공법의 장점인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높은 차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지중 차수벽 형성을 위한 강관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차수벽의 평면도.
도 2는 강관의 돌출부재의 평면도.
도 3은 강관의 홈형성부재의 평면도.
도 4는 강관의 돌출부재 및 홈형성부재의 결합상태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강관의 돌출부재 및 홈형성부재의 결합상태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강관의 돌출부재 및 홈형성부재의 결합상태의 제3 실시예의 평면도.
도 7은 강관의 돌출부재 및 홈형성부재의 결합상태의 제4 실시예의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주열식 현장타설 말뚝공법에 의해 지중 차수벽을 형성하기 위한 강관(100)에 관한 것이다.
이는 본체(110); 본체(11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돌출부재(120); 인접 강관(100a)의 돌출부재(120a)가 삽입되도록, 본체(110)의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홈형성부재(130); 배면토사의 물이 배출되도록, 돌출부재(120) 또는 홈형성부재(130)에 형성된 배수공(141)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마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강관(100)의 양측에 돌출부재(120) 및 홈형성부재(130)를 설치하고, 이러한 구조의 강관(100) 복수를 위 돌출부재(120) 및 홈형성부재(130)가 상호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차수 구조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돌출부재(120) 또는 홈형성부재(130)에 배수공(141)을 형성하고, 이에 마개(14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평소에는 마개(140)를 막아 차수 효과를 얻도록 하고, 우천, 지하수의 상승 등으로 인하여 과대한 토압이 발생하는 경우, 위 마개(140)의 이탈에 의해 배수공(141)을 개방하여 배면토사의 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차수벽이 붕괴 등 위험상태에 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강관(100)의 구체적 구성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수용 돌출부재(120)는 구체적으로, 원형 단면의 삽입부(121); 삽입부(121)와 본체(110)를 연결함과 아울러, 삽입부(121)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연결부(122);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홈형성부재(130)는 구체적으로, 위 삽입부(121)가 삽입되는 홈부(131); 홈부(131)와 본체(110)를 연결함과 아울러, 홈부(131)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지지부(132);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차수용 돌출부재(120) 및 홈형성부재(130)가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차수용 돌출부재(120)의 삽입부(121)와 홈형성부재(130)의 홈부(131)가 상호 원형 단면의 구조로서 맞물리므로, 초기에는 그 틈을 통해 어느 정도의 누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점차 배후토사의 세립분(10)이 그 틈에 끼게 되고, 양 부재(120,130)의 표면에 녹이 발생함에 따라 높은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4,5).
둘째, 돌출부재(120)의 삽입부(121)에 비해 연결부(122)의 폭이 좁으므로, 홈형성부재(130)에 대한 돌출부재(120)의 회전가능반경이 넓어지는바, 차수벽을 이루기 위한 다수의 강관(100)의 열이 직선을 취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연스럽게 양 강관의 연결이 가능하다.
셋째, 홈형성부재(130)의 홈부(131)에 비해 지지부(132)의 폭이 넓으므로, 상술한 돌출부재(120)의 회전에 불구하고, 양 부재의 안정적인 정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홈형성부재(130)의 홈부(131)의 형성위치를 변화시킴에 따라, 양 강관이 다양한 각도에 의해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도 6,7).
차수용 돌출부재(120) 및 홈형성부재(130)가 판형 부재의 절곡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그 판형 부재의 양단부는 본체(110)에 용접결합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돌출부재(120)의 연결부(122)와 홈형성부재(130)의 지지부(132)가 2겹의 판에 의해 형성되는 결과가 되는데, 이는 시공 전후에 걸쳐 부재의 일부가 훼손되더라도 차수 및 방수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2중의 안전장치 효과를 얻도록 한다.
이 경우, 돌출부재(120)의 연결부(122)는 위 2겹의 구조에 불구하고 폭이 좁게 형성되지만, 홈형성부재(130)의 지지부(132)는 폭이 넓은 2겹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배수를 위한 배수공(141)은 돌출부재(120)의 연결부(122)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수공(141)이 돌출부재(120)의 연결부(122)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가 형성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일부의 배수공(141)은 폐쇄하고, 다른 배수공(141)은 개방하는 방식 등에 의해 배수량 및 배후토압의 증대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강관(100)은 지반의 천공작업, 천공 홀에 대한 강관의 순차적 삽입(이때, 삽입되는 강관(100)의 돌출부재(120)가 기삽입된 강관(100)의 홈형성부재(1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삽입됨), 강관 내부에 대한 콘크리트 속채움의 순서로 시공되어 지중 차수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강관 110 : 본체
120 : 돌출부재 121 : 삽입부
122 : 연결부 130 : 홈형성부재
131 : 홈부 132 : 지지부
140 : 마개 141 : 배수공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돌출부재(120);
    인접 강관(100a)의 돌출부재(120a)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홈형성부재(130);
    배면토사의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돌출부재(120) 또는 홈형성부재(130)에 형성된 배수공(141)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마개(140);를 포함하고,
    상기 차수용 돌출부재(120)는
    원형 단면의 삽입부(121);
    상기 삽입부(121)와 상기 본체(110)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삽입부(121)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연결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홈형성부재(130)는
    상기 삽입부(121)가 삽입되는 홈부(131);
    상기 홈부(131)와 상기 본체(110)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홈부(131)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지지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차수용 돌출부재(120) 및 홈형성부재(130)는 판형 부재의 절곡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판형 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본체(110)에 용접결합하며,
    상기 배수공(141)은 상기 돌출부재(120)의 연결부(122)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공이 형성된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141)은 상기 돌출부재(120)의 연결부(122)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공이 형성된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100).
KR1020100041731A 2010-05-04 2010-05-04 배수공이 형성된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 KR101136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731A KR101136455B1 (ko) 2010-05-04 2010-05-04 배수공이 형성된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731A KR101136455B1 (ko) 2010-05-04 2010-05-04 배수공이 형성된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311A KR20110122311A (ko) 2011-11-10
KR101136455B1 true KR101136455B1 (ko) 2012-04-19

Family

ID=4539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731A KR101136455B1 (ko) 2010-05-04 2010-05-04 배수공이 형성된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4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863A (ja) * 1994-02-09 1995-10-17 Taisei Corp 地中壁及びその構築方法
JPH07324329A (ja) * 1994-05-31 1995-12-12 Kubota Corp 鋼管柱列による止水壁の構築方法
KR20060012840A (ko) * 2004-08-04 2006-02-09 백경재 채널바가 부착된 강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863A (ja) * 1994-02-09 1995-10-17 Taisei Corp 地中壁及びその構築方法
JPH07324329A (ja) * 1994-05-31 1995-12-12 Kubota Corp 鋼管柱列による止水壁の構築方法
KR20060012840A (ko) * 2004-08-04 2006-02-09 백경재 채널바가 부착된 강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311A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9041B2 (ja) 海底トンネルの施工方法および陸上トンネルの施工方法
KR100752397B1 (ko)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케이싱
JP6449040B2 (ja) 沈埋函体同士の接続構造、海底トンネルの施工方法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KR101612521B1 (ko) 변형억제 및 합벽식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WO2009005244A2 (en) Method for burying hume pipes and support block used in the method
KR20110070188A (ko)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KR101136455B1 (ko) 배수공이 형성된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
KR101567742B1 (ko) Phc파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204058B1 (ko)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
KR101153314B1 (ko)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KR101153313B1 (ko) 보조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KR102237058B1 (ko) 암반층 차수용 합성파일 차수벽체 시공방법
JP6542587B2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工法
KR101285987B1 (ko) 토목, 도로, 철도, 단지, 수자원, 구조, 항만, 상하수도 및 환경분야에 적용되는 개량된 복합형 루프식 터널 공법
KR20130061054A (ko) 강관을 이용한 급경사면 호안블록 일체화 구조
JP4274898B2 (ja) 地下水流動保全工法
JP2017096074A (ja) 消雪用送水管の保護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KR101685114B1 (ko) 매입철물과 커플러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466403B1 (ko) 차수용 합성파일 차수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69668B1 (ko) 강관루프 구조체
KR102439239B1 (ko) 유출방지구를 구비한 지중연속벽용 연결박스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방법
KR102231712B1 (ko) 목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0770559B1 (ko) 옹벽축조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