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461B1 -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 Google Patents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461B1
KR101135461B1 KR1020060071161A KR20060071161A KR101135461B1 KR 101135461 B1 KR101135461 B1 KR 101135461B1 KR 1020060071161 A KR1020060071161 A KR 1020060071161A KR 20060071161 A KR20060071161 A KR 20060071161A KR 101135461 B1 KR101135461 B1 KR 101135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vessel
sensor
response
lng regas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740A (ko
Inventor
윤정식
배재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461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63B21/508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connected to submerged bu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6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with means to cause the buoy to surface in response to a transmitted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5Re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Liquified Natural Gas; LNG)를 재기화한 후 재기화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를 육상의 소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LNG 재기화 시스템을 갖춘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마련된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선박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로서, 선박에 마련된 검출용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응답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가 제공되어, 해수면 위에 떠있으면서 유동하는 선박에서 해저에 계류되어 유동하고 있는 부이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해 낼 수 있게 된다.
액화천연가스, 선박, 재기화, 부이, 위치 검출, 트랜시버, 트랜스폰더

Description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BUOY CONNECTED WITH A LNG REGASIFICATION VESS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LNG 재기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센서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상기 부이에 설치된 센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선박 3 : 터릿
4 : 부이 6 : 해저 터미널
10 :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 21 : 개구부
41 : 트랜스폰더 센서 110 : 승강 유닛
111 : 막대 부재 112 : 트랜시버 센서
113 : 제1 구동수단 120 : 개폐 유닛
121 : 게이트 부재 123 : 제2 구동수단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Liquified Natural Gas; LNG)를 재기화한 후 재기화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를 육상의 소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LNG 재기화 시스템을 갖춘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에 관한 것이다.
근래, 천연가스의 소비량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의 상태로 LNG 캐리어(특히,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LNG 수송선은, 액화천연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액화천연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LNG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 함)를 포함한다. 통상, 이러한 LNG 수송선은 LNG 저장탱크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액화된 상태 그대로 육상에 하역하며, 하역된 LNG는 육상에 설치된 LNG 재기화 설비에 의해 재기화된 후 천연가스의 소비처로 가스배관을 통해 운반된다.
이러한 육상의 LNG 재기화 설비는 천연가스 시장이 잘 형성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천연가스의 수요가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연가스의 수요가 계절적, 단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있는 천연가스 소요처의 경우에는, 높은 설치비와 관리비로 인해, 육상에 LNG 재기화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매우 불리하다.
특히, 자연재해 등에 의해 육상의 LNG 재기화 설비가 파괴될 경우, LNG 수송선이 소요처에 LNG를 싣고 도달한다 하더라도, 그 LNG를 재기화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존 LNG 수송선을 이용한 천연가스 운반은 한계성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LNG 수송선에 LNG 재기화 설비를 마련하여, 해상에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고, 그 재기화를 통해 얻어진 천연가스를 육상으로 공급하는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특허 제 0569621 호(엑손모빌 오일 코포레이션, 수송선 상에서 액화천연가스를 가스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미국 특허 제 6,546,739 호(Exmar Offshor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LNG regasification), 미국 특허 제 6,578,366 호(Moss Maritime AS, Device for evapor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미국 특허 제 6,688,114 호(El Paso Corporation LNG CARRIER, 미국 특허 제 6,598,408 호(El Pas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LNG), 한국 특허 제 0467963 호(강도욱, 앨앤지 알브이의 가스화 장치 운전 방법), 미국 특허 제 6,945,049 호(Hamworthy KSE a.s., Re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한국 특허 제 0504237 호(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저 개구부를 막을 수 있는 차폐수단이 구비된 선박), 한국 특허 제 0474522 호(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수 가열 시스템), 한국 특허공개 제 2003 -0090686 호(라이프 호에그 운트 코. 에이에스에이, 선박 및 하역 시스템), 미국 특허공개 제 2005-0061002A 호(Shipboard regasification for LNG carriers with alternate propulsion plants), 한국 특허공개 제 2004-0105801 호(엑셀레이트 에너지 리미티드 파트너쉽, 개량된 LNG 운반선), 한국 실용등록 제 0410836 호(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가스선의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LNG 재기화 선박은, LNG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를 위해 기화기 등의 설비를 선박에 구비하며, 또한,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육상 소요처로 공급하기 위해, 시스템 내 배관과 육상 소요처의 가스배관을 연결시키는 연결장치, 그리고, 천연가스의 하역이 이루어지는 동안 선박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선박위치 유지장치 등을 구비한다.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선박 내에 마련된 구조물인 터릿(turret)과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buoy)를 서로 연결해야 하는데, 선박은 해수면 위에 떠있으면서 유동하는 상태이고 부이는 해저에 계류되어 유동하는 상태이므로, 선박에서 부이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선박의 외측에 센서 등의 검출장치를 부착할 경우에는 돌출된 센서 구조물로 인한 저항이 발생하여 선박의 속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센서가 항상 선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끼, 불가사리 등의 해양생물에 의해 오염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LNG 재기화 선박 내에 마련된 구조물인 터릿에 결합되는 부이로서, 평상시에는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으며, 필요시 LNG 재기화 선박에서 그 정확한 위치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부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마련된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선박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로서, 선박에 마련된 검출용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응답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검출용 센서에 의한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응답 센서는 복수개가 상기 부이의 외주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답 신호는 각각의 상기 응답 센서마다 고유의 주파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박에 설치되는 검출용 센서는 트랜시버 센서이고 상기 부이에 설치되는 응답 센서는 트랜스폰더 센서로서, 상기 트랜시버 센서는 상기 트랜스폰더 센서와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NG 재기화 선박에 마련된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10)은 선박(2)에 설치되고, 그 선박(2)을 해상에 계류시킨 상태로 액화천연가스를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로 재기화한 후 이를 해저 터미널(6)을 통해 육상의 소요처(도시생략)로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4)를 선박의 터릿(3) 하단에 끼워 접속함으로써 선박 상의 LNG 재기화 시스템(10)과 해저 터미널(6)과의 사이를 부이(4) 및 라이저(9)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10)은, 액화천연가스의 수송 기능이 있는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LNG 수송선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받아 이를 재기화시키는 해상 위의 다른 해상 부유 구조물에 본 실시예의 시스템(10)이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10)은, LNG 저장탱크(11)와, 그 LNG 저장탱크(11)로부터 끌어 올려진 액화천연가스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석션드럼(12)과, 상기 석션드럼(12)으로부터 공급되는 액화천연가스를 고압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고압펌프(13)(도 1에는 하나만이 도시됨)와, 이 복수의 고압펌프(13)들 각각에서 승압되어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열교환 매체를 이용하여 재기화시키는 복수의 기화기(14)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 매체로는 해수 또는 청수를 이용하거나, 중간 열교환 매체(예컨대, 프로판, 에탄, 암모니아 등)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미국 특허 제 6,945,049 호 참조).
그리고,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육상으로 공급(즉, 하역)하기 위해서는, 해저의 가스 배관을 이용하는 방식, 또는 해저 가스 배관 없이 직접 선박의 가스 배관과 육상의 배관(특히, 육상 안벽에 설치된 배관)을 연결하는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저 가스 배관(7)을 이용하는 방식, 그 중에서도 해저의 부이(4)를 선박의 터릿(3)에 접속함으로써 선박 상의 LNG 재기화 시스템(10)과 해저 터미널(6)과의 사이를 부이(4) 및 라이저(9; riser)에 의해 연결하는 방식인 STL(Submerged Turret Loading) 방식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STL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2에는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게이트가 폐쇄되어 있는 동시에 센서가 상승되어 선체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게이트는 개방되어 있으나 센서가 하강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게이트 가 개방되어 있는 동시에 센서가 하강되어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이 위치 검출장치는, 평상시에는 선박(2)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필요시에만 선박(2)으로부터 돌출되어 부이(4)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낼 수 있도록 작동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는, 선박(2)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유닛(110)과, 상기 승강 유닛(110)이 돌출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 유닛(120)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부이 위치 검출장치에 따르면, 부이(4)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승강 유닛(110)이 평상시에는 선박(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승강 유닛(110)이 선박(2)의 외부로 돌출되는 통로인 개구부(21)는 개폐 유닛(120)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으므로, 이 승강 유닛(110)을 선박(2)의 내부에 안전하게 수용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110)은, 말단에 부이(4)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112)가 부착되어 있는 막대 부재(111)와, 상기 막대 부재(111)를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에서 구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수단(113)과, 상기 막대 부재(111)의 승강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승강 감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막대 부재(111)의 말단에 부착되는 센서는 트랜시버(transceiver) 센서(112)로서, 부이(4)에 부착되어 있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 센서(41)와 신호 를 주고 받아 이 부이(4)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4)에는 상기 막대 부재(111) 말단의 트랜시버 센서(112)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신호를 보내는 복수개의 트랜스폰더 센서(41)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복수개의 트랜스폰더 센서(41)는 부이(4)의 하부 프레임의 외주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모두 6개의 트랜스폰더 센서(41)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르면 부이(4)의 외주에 2개 이상의 트랜스폰더 센서(41)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충분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해수면 아래의 3차원적인 공간 내에서 유동하는 부이(4)의 위치를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검출해 내기 위해서, 부이(4)의 외주에 3 ~ 6개의 트랜스폰더 센서(41)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구동 수단(113)으로서는 유압 실린더를 비롯하여, 상기 막대 부재(111)를 승강 구동시킬 수 있다면 공지된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승강 감지 수단은, 상기 막대 부재(111)가 상승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115)와, 상기 막대 부재(111)가 하강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116)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승강 감지 수단은 2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지만, 센서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 등은 설계시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강 유닛(110)의 막대 부재(111)는 반드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성일 필요는 없으며, 선박에 있어서의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설치위치 등을 감안하여 수평방향이나 비스듬한 경사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 유닛(120)은, 상기 승강 유닛(110)의 막대 부재(111)가 통과하는 개구부(21)를 개폐하는 게이트 부재(121)와, 상기 게이트 부재(121)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구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수단(123)과, 상기 게이트 부재(121)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 감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구동 수단(123)으로서는, 제1 구동 수단(113)과 마찬가지로, 유압 실린더를 비롯하여, 상기 게이트 부재(121)를 개폐 구동시킬 수 있다면 공지된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개폐 감지 수단은, 상기 게이트 부재(121)가 개방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3 센서(127)와, 상기 게이트 부재(121)가 폐쇄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4 센서(128)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 감지 수단과 마찬가지로, 상기 개폐 감지 수단은 2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지만, 센서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 등은 설계시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부이(4)의 위치를 검출해 낼 필요가 없는 평상시의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상기 승강 유닛(110)의 막대 부재(111)는 선박(2)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승되어 있고, 상기 개폐 유닛(120)의 게이트 부재(121)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부이(4)의 위치를 검출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개폐 유닛(120)의 제2 구동 수단(123)에 의해 게이트 부재(121)를 개방시킨다. 이때 게이트 부재(121)가 완전히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개폐 감지 수단의 제3 센서(127)에 의해서 감지한다.
게이트 부재(121)의 완전 개방이 감지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유닛(110)의 제1 구동 수단(113)에 의해 막대 부재(111)가 하강되어 선박(2)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막대 부재(111)가 완전히 하강되었는지 여부를 승강 감지 수단의 제2 센서(116)에 의해서 감지한다.
여기에서, 게이트 부재(121)가 완전히 개방된 것이 감지되었을 때에만 막대 부재(111)가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대 부재(111)의 완전 하강이 감지되면, 이 막대 부재(111)의 말단에 부착되어 있는 트랜시버 센서(112)에 전원이 공급되어 신호를 송출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트랜시버 센서(112)가 신호를 보내면, 부이(4)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트랜스폰더 센서(41)가 각각 고유한 주파수를 갖는 복수개의 응답 신호를 보낸다.
계속해서 트랜시버 센서(112)는 트랜스폰더 센서(41)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받아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보내어, 부이(4)의 위치를 계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막대 부재(111)가 개구부(21)를 통하여 선박(2)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는 부이(4)의 위치를 계속해서 검출하게 된다.
더 이상 부이(4)의 위치를 검출할 필요가 없게 되면, 트랜시버 센서(112)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고 막대 부재(111)는 선박(2)의 내부로 상승하여 수용된다. 이때 승강 감지 수단의 제1 센서(115)에 의해서 막대 부재(111)가 완전히 상승된 것을 감지하였을 때에만 상기 게이트 부재(121)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계속해서 게이트 부재(121)가 폐쇄되어 제4 센서(128)에 의해서 게이트 부재(121)의 완전 폐쇄가 감지되면, 도 2에서와 같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다음의 부이 위치 검출작업이 행해질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LNG 재기화 선박 내에 마련된 구조물인 터릿에 결합되는 부이로서, 평상시에는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으며, 필요시 LNG 재기화 선박에서 그 정확한 위치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부이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해수면 위에 떠있으면서 유동하는 선박에서 해저에 계류되어 유동하고 있는 부이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해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이의 위치를 검출할 필요가 있을 때에만 센서가 선체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센서를 선박의 내부에 안전하게 수용시킬 수 있어 오염이나 고장의 우려가 없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마련된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선박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로서,
    선박에 마련된 검출용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응답 센서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검출용 센서에 의한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응답 센서는 복수개가 상기 부이의 외주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응답 신호는 복수의 응답 센서 중 각각의 상기 응답 센서마다 고유의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설치되는 검출용 센서는 트랜시버 센서이고 상기 부이에 설치되는 응답 센서는 트랜스폰더 센서로서, 상기 트랜시버 센서는 상기 트랜스폰더 센서 와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마련된 상기 검출용 센서는, 상기 부이의 위치를 검출할 때에는 선박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는 선박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는, 상기 부이의 위치를 검출할 때에는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 내부에 수용될 때에는 상기 통로를 폐쇄하는 개폐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는, 상기 검출용 센서의 승강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승강 감지 수단과, 상기 개폐 수단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 감지 수단이 마련되며,
    여기에서, 상기 개폐 감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개폐 수단이 개방된 것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검출용 센서는 하강하지 않고, 상기 승강 감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검출용 센서의 하강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개폐 수단은 폐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8.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마련된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선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의 위치를 검출해 내는 부이 위치 검출방법으로서,
    상기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검출용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용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부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응답 센서가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용 센서에 의해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상기 응답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어 부이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와;
    더 이상 부이의 위치를 검출할 필요가 없게 되면 상기 검출용 센서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부이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부이의 외주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한 복수개의 응답 센서가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응답 신호는 복수의 응답 센서 중 각각의 상기 응답 센서마다 고유의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방법.
KR1020060071161A 2006-07-28 2006-07-28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KR101135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161A KR101135461B1 (ko) 2006-07-28 2006-07-28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161A KR101135461B1 (ko) 2006-07-28 2006-07-28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740A KR20080010740A (ko) 2008-01-31
KR101135461B1 true KR101135461B1 (ko) 2012-04-13

Family

ID=3922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161A KR101135461B1 (ko) 2006-07-28 2006-07-28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674A (ko) 2014-08-20 2016-03-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표식 생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271A (en) 1978-06-27 1980-01-12 Zeniraito V:Kk Navigation aiding device
US4547163A (en) * 1980-06-03 1985-10-15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Oil transfer apparatus
US20020174662A1 (en) * 2001-05-23 2002-11-28 Frimm Fernando C.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LNG regasification
KR100781867B1 (ko) 2006-07-28 2007-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 및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271A (en) 1978-06-27 1980-01-12 Zeniraito V:Kk Navigation aiding device
US4547163A (en) * 1980-06-03 1985-10-15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Oil transfer apparatus
US20020174662A1 (en) * 2001-05-23 2002-11-28 Frimm Fernando C.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LNG regasification
KR100781867B1 (ko) 2006-07-28 2007-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 및검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674A (ko) 2014-08-20 2016-03-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표식 생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740A (ko)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3613B2 (en) System using a catenary flexible conduit for transferring a cryogenic fluid
US10359229B2 (en)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CN103697326A (zh) 运输和管理液化天然气
JP2014525366A (ja) 外側容器を有する海上プラットフォーム
KR100775528B1 (ko) Lng 재기화 선박용 모의 부이를 이용한 lng 재기화선박의 작동 시험 방법
KR100676615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781868B1 (ko)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 및 그것의 운전 정지 방법
KR100781867B1 (ko)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 및검출방법
AU20112554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LNG cargo tanks
KR100888339B1 (ko) 해상구조물에서 lng 재기화에 이용된 유체의 처리 방법및 시스템
KR20080070412A (ko) Lng 재기화 선박용 모의 부이
KR101135461B1 (ko)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KR100678853B1 (ko) Lng 재기화 선박용 기화기
KR100779780B1 (ko) 누출 lng를 수용하는 안전용기를 구비한 lng 선박
KR100779779B1 (ko) Lng 재기화 선박용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의취급방법
KR101121619B1 (ko) 엘엔지운반선의 재기화용 해수방류장치 및 방법
KR100747378B1 (ko) 터릿에 설치되는 압력감소장치를 구비한 lng 선박
KR100701398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터릿에 설치되는 선체 변형 방지용 스프레이 장치 및 상기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한 선체 변형 방지 방법
KR100653044B1 (ko) 유동액체 내의 가스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064574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고압펌프 장치
KR100995801B1 (ko) 터릿 주위에 설치되는 방호시설을 구비한 lng 선박
KR101135462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윈치장치
KR100747408B1 (ko) 연질관을 구비한 lng 선박
KR100747373B1 (ko) Lng 운송선의 설비 정비를 위한 설비 운반 시스템 및방법과 lng 운송선
KR100804907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라이저 장치 및 그것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