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674A - 부표식 생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표식 생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674A
KR20160022674A KR1020140108533A KR20140108533A KR20160022674A KR 20160022674 A KR20160022674 A KR 20160022674A KR 1020140108533 A KR1020140108533 A KR 1020140108533A KR 20140108533 A KR20140108533 A KR 20140108533A KR 20160022674 A KR20160022674 A KR 20160022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facility
marker buoy
production
marker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준
박홍래
김민성
이상훈
박미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2674A/ko
Publication of KR20160022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부표식 생산 시스템으로서, 양성 부력을 갖고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에 의해 수면 아래에 계류되는 마커 부이(marker buoy); 및 상기 마커 부이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생산 설비;를 포함하며, 상기 마커 부이에는, 매니폴드(manifold)에 모인 유정 분출 혼합물(well fluid)을 수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라이저(riser)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중소형 유전을 다양한 지역에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개발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표식 생산 시스템{Buoy Type 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부표식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어링 라인(mooring line) 및 라이저(riser)가 연결된 해저의 마커 부이(marker buoy) 상에 생산 설비가 결합될 수 있고, 유전(oil field) 고갈시에는 생산 설비가 마커 부이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유전으로 이동될 수 있는 부표식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수면 밑에 설치되는 채굴·분리·이송 설비는 보통 '서브시(subsea)'로 불린다. 해양 플랜트는 크게 해상 플랫폼과 서브시 두 부문으로 나뉘며, 시장 규모는 서브시가 현재 두 배 가까이 크다.
서브시 시장의 급성장은 육상(陸上)·천해(淺海)에 매장된 에너지 자원 고갈로 수심 500m 이상의 심해(深海)에 위치한 유정(油井) 개발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에너지 전문가들은 세계 석유 매장량의 30% 이상인 1조6000만배럴이 해양에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유가 급등과 원유 시추 기술 발달에 따라 새로 발견되는 원유와 가스 유정의 평균 수심은 1990년대 초반 수심 200m 안팎에서 2000년대 후반 1000m로 깊어졌다. 최근 들어서는 수심 3000m 안팎의 심해 유정 개발에도 성공한 상태이다.
서브시는 크게 바닷속 지표면인 해상(海床)에 설치되는 해저 생산처리 설비, 해상 플랫폼과 생산처리 설비를 연결하는 파이프·케이블인 URF(엄빌리컬·라이저·플로라인)로 분류할 수 있다.
해저 생산처리 설비로는 유정에서 나오는 유정 분출 혼합물(well fluid)의 양을 제어하는 크리스마스 트리,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이송된 유정 분출 혼합물을 모으고 해상으로 쏘아올리는 매니폴드(manifold), 원유·가스·물을 1차 분리하는 분리기 등이 있다. URF는 해상 플랫폼과 매니폴드를 연결해 전력이나 유압 등을 제어하는 케이블인 엄빌리컬, 해상 플랫폼으로 유정 분출 혼합물이 이송되는 통로인 라이저(riser), 크리스마스 트리와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플로라인(flowline)을 각각 일컫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해저생산플랜트는 다수의 유정(well)에 대응하여 하나의 매니폴드를 설치하고, 매니폴드에 해저 파이프라인을 연결하여 유정 분출 혼합물을 해상의 플랫폼(platform)으로 이송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해저 파이프라인은 해저면 상에 설치되는 플로라인과 플로라인에서 해수면 방향으로 설치되어 해상의 플랫폼으로 이송하는 라이저로 구분된다.
해상에서 시추나 석유 및 천연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해상 플랫폼에는 고정식 플랫폼(fixed platform), 컴플라이언트 타워(compliant tower), 반잠수식 플랫폼(semi-submersible platform), 갑판승강형 플랫폼(jack-up platform), 드릴쉽(drillships), 부유식 생산 시스템(floating production system: FPSO, FSO, FSU 등), 텐션 레그 플랫폼(tension-leg platform), 스파 플랫폼(SPAR platform) 등이 있다.
해저에 계류된 부이(buoy)를 이용하는 기술의 일 예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가 제안된 바 있고, 해양 환경에서 탄화수소 회수 작업을 행하기 위한 해저 생산 시스템에 관한 기술의 일 예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2에서는 '극지 생산 타워를 갖는 해저 생산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5461호(공고일자 2012년 04월 13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0881호(공개일자 2014년 02월 19일)
상기한 바와 같이, 육상·천해에 매장된 에너지 자원 고갈로 수심 500m 이상의 심해에 위치한 유정 개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바, 유가 급등에 따라 중소형 유전 개발을 위하여 경제성을 갖춘 부표식 생산 시스템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북해 영국 해역의 유전을 기준으로 경제성이 낮은 소형 유전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어 4천5백만 석유 환산 배럴(MMboe) 이하의 규모를 갖는 수심 600m의 유정을 개발하려 하고 있다.
유전 개발시에는 CAPEX(Capital expenditures: 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된 비용) 비중이 중요하다.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 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를 이용한 유전 개발의 경우는 CAPEX 비중이 높아 경제성이 낮은바, 단순화된 무인 생산 시스템을 개발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시장이 요구하는 저비용 고효율 생산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표식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무어링 라인 및 라이저가 연결된 해저의 마커 부이 상에 생산 설비가 결합될 수 있고, 유전 고갈시에는 생산 설비가 마커 부이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유전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표식 생산 시스템으로서, 양성 부력을 갖고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에 의해 수면 아래에 계류되는 마커 부이(marker buoy); 및 상기 마커 부이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생산 설비;를 포함하며, 상기 마커 부이에는, 매니폴드(manifold)에 모인 유정 분출 혼합물(well fluid)을 수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라이저(riser)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커 부이 하부의 바닷속 지표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산 설비서 생산된 원유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저장 탱크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송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커 부이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고정 지지대 및 상기 고정 지지대 주위를 둘러싸는 수평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지대는 상기 생산 설비의 하면 중앙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 지지부에는 상기 생산 설비의 하면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산 설비는, 잠수 또는 부상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발라스트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커 부이(marker buoy)로서, 양성 부력을 갖고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에 의해 수면 아래에 계류되며, 매니폴드(manifold)에 모인 유정 분출 혼합물(well fluid)을 수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라이저(riser)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중앙부에 형성되는 고정 지지대; 및 상기 고정 지지대 주위를 둘러싸는 수평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지대는 생산 설비의 하면 중앙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 지지부에는 상기 생산 설비의 하면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정 분출 혼합물(well fluid)을 원유, 가스 및 물로 분리하는 반잠수식 생산 설비로서, 양성 부력을 갖고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에 의해 수면 아래에 계류된 마커 부이(marker buoy)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커 부이에는, 매니폴드(manifold)에 모인 유정 분출 혼합물(well fluid)을 수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라이저(riser)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잠수 또는 부상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발라스트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생산 시스템에 의하면, 중소형 유전을 다양한 지역에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개발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해저의 마커 부이와 생산 설비는 쉽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바, 설치 및 해체에 필요한 작업시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필요시에 생산 설비를 마커 부이로부터 분리하여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는바, 생산 설비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생산 설비 내의 발라스트 탱크를 이용하여 생산 설비가 마커 부이와 결합된 상태에서 무어링 라인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유전 고갈시에는 생산 설비가 부이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유전으로 이동될 수 있는바 기존의 생산 설비를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CAPEX 비중을 줄일 수 있고, 저비용 고효율의 생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생산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생산 시스템에서 생산 설비가 마커 부이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생산 시스템에서 생산 설비가 마커 부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생산 시스템(1)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생산 시스템에서 생산 설비가 마커 부이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생산 시스템에서 생산 설비가 마커 부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생산 시스템(1)은 양성 부력을 갖고 무어링 라인(mooring line)(11)에 의해 수면 아래에 계류되는 마커 부이(marker buoy)(10); 및 상기 마커 부이(10)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생산 설비(20);를 포함한다.
마커 부이(10)는 수면 방향으로 상승하려는 양의 부력을 갖고 조류에 떠내려가지 않게 강선으로 수면 아래에 계류되는 것으로서, 중앙부에 형성되는 고정 지지대(12) 및 수평 지지부(13);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무어링 라인(11)에 의해 수면 아래에 계류된다.
이때, 무어링 라인(11)은 강선을 느슨하게 물에 드리우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마커 부이(10)를 고정할 수도 있고, 강선을 팽팽하게 해저면에 고정하여 연직 방향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텐션 레그(tension-leg)를 이용하여 마커 부이(10)를 고정할 수도 있다.
마커 부이(10)에는, 매니폴드(31)에 모인 유정 분출 혼합물(well fluid)을 수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라이저(riser)(32)의 상단부가 연결된다.
해저 유정에는 유정에서 나오는 유정 분출 혼합물의 양을 제어하는 크리스마스 트리가 설치되고, 크리스마스 트리로부터 나오는 유정 분출 혼합물은 매니폴드(31)에 모여진다.
매니폴드(31)에 모인 유정 분출 혼합물은 라이저(32)에 의해 마커 부이(10)가 계류된 위치까지 쏘아 올려지게 된다.
이러한 마커 부이(10) 상에는 후술하게 될 생산 설비(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 지지대(12)는 생산 설비(20)의 하면 중앙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마커 부이(1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다각형 뿔 또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지지부(13)는 생산 설비(20)의 하면이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고정 지지대(12) 주위를 둘러싸도록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지지부(13)에는 무어링 라인(11)이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면 하부에 마커 부이(10)를 구비함으로써, 무어링 라인 연결 작업과 라이저 작업 및 생산 설비와의 결합 작업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생산 설비(20)는 유정 분출 혼합물을 원유, 가스 및 물로 분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발라스트 탱크(21)를 포함한다.
생산 설비(20)는 물·가스 분리 시스템과 발전 및 제어 장비가 탑재되어 소형 유전에서의 원유 생산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능을 갖추고 있다.
즉, 마커 부이(10)에 연결된 라이저(32)를 통해 공급받은 유정 분출 혼합물을 원유, 가스 및 물로 분리하여 원유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발라스트 탱크(21)는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생산 설비(20)를 잠수 또는 부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생산 설비(20)는 반잠수식 설비로서, 마커 부이(10) 상부의 수면으로부터 잠수되어 마커 부이(10)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커 부이(10)의 고정 지지대(12)가 생산 설비(20)의 하면 중앙부에 삽입되고, 마커 부이(10)의 수평 지지부(13)에 생산 설비(20)의 하면이 안착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생산 설비(20)를 마커 부이(10) 상에 설치하거나 마커 부이(10)로부터 해체하는 경우의 작업시간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대규모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생산 설비(20)를 마커 부이(10)로부터 분리하여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는바, 마커 부이(1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생산 설비(20)가 마커 부이(10)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발라스트 탱크(21)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바, 무어링 라인(11)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생산 설비(20)는 25년 이상의 수명으로 설계되며,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생산 시스템(1)은 3 내지 5년 내에 고갈되는 유전에서의 사용을 위해 제안된다.
따라서, 생산 설비(20)는 유전이 고갈되면 마커 부이(10)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유전으로 이동되어 재사용될 수 있는바, CAPEX 비중을 줄일 수 있고, 저비용 고효율의 생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생산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생산 설비(20)의 경제성을 최대한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무인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생산 시스템(1)에는 마커 부이(10) 하부의 바닷속 지표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 탱크(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생산 설비(20)에서 생산된 원유는 이러한 하나 이상의 저장 탱크(40)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표식 생산 시스템(1)의 운용 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유전이 개발되어 유정 상부에 크리스마스 트리가 설치되고 플로라인과 매니폴드(31) 등이 설치되면 마커 부이(10)의 수평 지지부(13)에 무어링 라인(11)을 연결하여 마커 부이(10)를 수면 아래에 계류시킨다.
그 후, 라이저(32)의 상단부를 마커 부이(10)에 연결시킨다.
생산 설비(20)는 마커 부이(10)가 설치된 위치 상부의 수면상으로 이동된다.
마커 부이(10)가 설치된 위치를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생산 설비(20)를 예인하는 선박이나 생산 설비(20)에는 마커 부이(10) 위치 검출용 센서로서 트랜시버 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고, 마커 부이(10)에는 응답 센서로서 트랜스폰더 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생산 설비(20)가 마커 부이(10)가 설치된 위치 상부의 수면상에 위치되면 내부의 발라스트 탱크(21)에 물을 채워 생산 설비(20)를 잠수시킨다.
그리고, 마커 부이(10)의 고정 지지대(12)는 생산 설비(20)의 하면 중앙부에 삽입되고 마커 부이(10)의 수평 지지부(13)에는 상기 생산 설비(20)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하여 생산 설비(20)를 마커 부이(10) 상에 결합시킨다.
생산 설비(20)가 마커 부이(10) 상에 결합되면 무어링 라인(11)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발라스트 탱크(21) 내부의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마커 부이(10)에 연결되어 있는 라이저(32)의 상단부는 마커 부이(10)에 결합된 생산 설비(20)에 유정 분출 혼합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생산 설비(20)에 결합되게 된다.
그 후, 생산 설비(20)는 라이저(32)를 통해 공급받은 유정 분출 혼합물을 원유, 가스 및 물로 분리하여 원유를 생산하게 된다.
생산 설비(20)에서 생산된 원유는 마커 부이(10) 하부의 바닷속 지표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 탱크(40)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저장 탱크(40)에 저장된 원유는 셔틀 탱커 등에 의해 수송된다.
생산 설비(20)는 물·가스 분리 시스템과 발전 및 제어 장비가 탑재되어 소형 유전에서의 원유 생산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능을 갖춘 무인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대규모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생산 설비(20)를 마커 부이(10)로부터 분리하여 수면 위로 부상시킨 상태에서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다.
생산 설비(20)는 유전이 고갈되면 마커 부이(10)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유전으로 이동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생산 시스템(1)은 3 내지 5년 내에 고갈되는 유전에서의 사용을 위해 제안된 것이고, 생산 설비(20)는 25년 이상의 수명으로 설계되므로, 하나의 생산 설비(20)가 다수의 중소형 유전에서 사용될 수 있어, CAPEX 비중을 줄일 수 있고, 저비용 고효율의 생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생산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표식 생산 시스템은, 중소형 유전을 다양한 지역에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개발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해저의 마커 부이와 생산 설비는 쉽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바, 설치 및 해체에 필요한 작업시간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필요시에 생산 설비를 마커 부이로부터 분리하여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는바 생산 설비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생산 설비 내의 발라스트 탱크를 이용하여 생산 설비가 마커 부이와 결합된 상태에서 무어링 라인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유전 고갈시에는 생산 설비가 부이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유전으로 이동될 수 있는바 기존의 생산 설비를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CAPEX 비중을 줄일 수 있고, 저비용 고효율의 생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생산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부표식 생산 시스템
10: 마커 부이 11: 무어링 라인
12: 고정 지지대 13: 수평 지지부
20: 생산 설비 21: 발라스트 탱크
31: 매니폴드 32: 라이저
40: 저장 탱크

Claims (9)

  1. 양성 부력을 갖고 무어링 라인(mooring line)(11)에 의해 수면 아래에 계류되는 마커 부이(marker buoy)(10); 및
    상기 마커 부이(10)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생산 설비(20);를 포함하며,
    상기 마커 부이(10)에는, 매니폴드(manifold)(31)에 모인 유정 분출 혼합물(well fluid)을 수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라이저(riser)(32)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생산 시스템.
  2. 양성 부력을 갖고 무어링 라인(mooring line)(11)에 의해 수면 아래에 계류되며,
    매니폴드(manifold)(31)에 모인 유정 분출 혼합물(well fluid)을 수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라이저(riser)(32)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 부이(marker buoy).
  3. 제2항에 있어서,
    중앙부에 형성되는 고정 지지대(12); 및
    상기 고정 지지대(12) 주위를 둘러싸는 수평 지지부(13);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지대(12)는 생산 설비(20)의 하면 중앙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 지지부(13)에는 상기 생산 설비(20)의 하면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 부이.
  4. 유정 분출 혼합물(well fluid)을 원유, 가스 및 물로 분리하는 반잠수식 생산 설비(20)로서,
    양성 부력을 갖고 무어링 라인(mooring line)(11)에 의해 수면 아래에 계류된 마커 부이(marker buoy)(10)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커 부이(10)에는, 매니폴드(manifold)(31)에 모인 유정 분출 혼합물(well fluid)을 수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라이저(riser)(32)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잠수 또는 부상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발라스트 탱크(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부이(10) 하부의 바닷속 지표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 탱크(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산 설비(20)에서 생산된 원유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저장 탱크(40)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송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생산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부이(10)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고정 지지대(12) 및 상기 고정 지지대(12) 주위를 둘러싸는 수평 지지부(13)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지대(12)는 상기 생산 설비(20)의 하면 중앙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 지지부(13)에는 상기 생산 설비(20)의 하면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생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설비(20)는, 잠수 또는 부상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발라스트 탱크(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생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설비(20)는, 무인 생산 설비(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식 생산 시스템.
KR1020140108533A 2014-08-20 2014-08-20 부표식 생산 시스템 KR20160022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33A KR20160022674A (ko) 2014-08-20 2014-08-20 부표식 생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33A KR20160022674A (ko) 2014-08-20 2014-08-20 부표식 생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74A true KR20160022674A (ko) 2016-03-02

Family

ID=5558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533A KR20160022674A (ko) 2014-08-20 2014-08-20 부표식 생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267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61B1 (ko) 2006-07-28 2012-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KR20140020881A (ko) 2011-01-28 2014-02-19 엑손모빌 업스트림 리서치 캄파니 극지 생산 타워를 갖는 해저 생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61B1 (ko) 2006-07-28 2012-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재기화 선박에 결합되는 부이
KR20140020881A (ko) 2011-01-28 2014-02-19 엑손모빌 업스트림 리서치 캄파니 극지 생산 타워를 갖는 해저 생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02371C (zh) 立管安装浮式平台及其使用方法
US9074428B2 (en) Connector for steel catenary riser to flexible line without stress-joint or flex-joint
US7470163B2 (en) Combined riser, offloading and mooring system
US7025533B1 (en) Concentrated buoyancy subsea pipeline apparatus and method
CN101730784A (zh) 可解脱立管系泊系统
CN103661819A (zh) 连接到水下管线结构的浮式系统及其使用方法
NO344207B1 (no) Hybrid stigerørstårn samt fremgangsmåte for installasjon av dette
EP2504517B1 (en) Riser configuration
WO2005090152A1 (en) Field development with centralised power generation unit
US20150128840A1 (en) Frontier Field Development System for Large Riser Count and High Pressures for Harsh Environments
Aggarwal et al. Deepwater Arctic-technical challenges and solutions
US20080014024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reduced-heave floating structure
KR101620923B1 (ko) 부표식 생산 시스템을 위한 계류 시스템
WO2011008593A1 (en) Mid-water transfer line
KR101701281B1 (ko) 복수의 기능별 모듈을 포함하는 잠수식 생산 시스템
GB2191229A (en) Offshore hydrocarbon production system
KR20160022674A (ko) 부표식 생산 시스템
JPH02501561A (ja) 海洋油井田の浮遊式生産システム及び掘削船
KR101655198B1 (ko) 잠수식 생산 시스템
GB2351724A (en) Offshore oil loading
Chandrasekaran et al. Introduction to Offshore Platforms
Schmidt et al.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offshore industry
EA030215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уклонения от препятствий во время операций по добыче углеводородов
KR102477560B1 (ko) 복합 해양구조물
GB2210334A (en) Floating production system and vessel for undersea oil w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