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446B1 - 도어용 투시창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용 투시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446B1
KR101134446B1 KR1020090097192A KR20090097192A KR101134446B1 KR 101134446 B1 KR101134446 B1 KR 101134446B1 KR 1020090097192 A KR1020090097192 A KR 1020090097192A KR 20090097192 A KR20090097192 A KR 20090097192A KR 101134446 B1 KR101134446 B1 KR 101134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frame
front frame
s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065A (ko
Inventor
정도영
Original Assignee
정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영 filed Critical 정도영
Priority to KR1020090097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4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투시창 구조에 관한 것으로, 폐루프를 형성하는 판체(101)와, 상기 판체(101)의 내측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결합판(102)과, 상기 수직결합판(102)의 인접부 판체(101)의 이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체결수단(103)으로 이루어진 전면 프레임(A)과; 상기 전면 프레임(A)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후면프레임(A') 및; 상기 전면 프레임(A)과 후면 프레임(A') 사이에 끼워지는 투시판(B)으로 구성되어 단순하고 동일한 구조의 전후면 프레임을 서로 결합하여 도어용 투시창을 설치할 수 있어 한 종류의 프레임만을 제작하게 되어 투시창 자체의 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설치에 소요되는 인력 감축과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어 경제성이 탁월하게 되고, 전후면 프레임의 조립뿐만 아니라 해체도 용이하여 여러가지 모양의 투시창의 다양화가 가능하고, 투시판의 고정에 실리콘 수지 등의 접착 밀봉제를 사용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어용 투시창, 전면프레임, 후면프레임, 간격 요홈, 투시판.

Description

도어용 투시창 구조{Structure of windows for door}
본 발명은 실내문이나 현관문에 있어 문의 일부에 내외부를 투시 관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투시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치원, 학원, 교육기관 등의 실내외 도어의 일부를 잘라내고 그 잘라낸 공간부에 조립식으로 투시창을 끼워 설치함으로써 설치공정의 단축으로 인한 시간과 인력을 절감시켜 비용의 절감을 기할 수 있고,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투시창 모양의 다양화가 가능하고 ,투시창 설치에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지 않아 비용 절감과 외관미의 개선을 추구할 수 있는 도어용 투시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치원, 학원, 교육기관 등의 각종 건축물에 설치되는 실내외 도어에는 방범 및 사고 방지를 위하여 투시창의 설치가 필요하고, 투시창이 없는 경우 내외부를 관찰할 수 없어 답답함을 초래하게 되므로 도어의 일부분에 별도의 투시창을 설치하게 된다.
예컨대 유치원의 도어인 경우 유아들의 안전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도어에 투시창이 필요한 경우도 있고, 기타 성추행 등의 예방을 목적으로 도어에 투시창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도어의 투시창은 최초 건축물의 건축시에 투시창을 구비하는 도어를 설치할 수 있고 투시창이 없는 도어에 도어의 일부를 잘라내고 투시창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투시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제작시 도어판체에 투시공을 천공시킨 다음 졸대와 못, 실리콘 수지 등을 사용하여 글라스를 고정하였던 것으로 이는 일일이 수작업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과 인력의 낭비가 심하여 작업능률이 극히 저하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제작원가가 상승되어 제품인 도어의 구매 경쟁력이 떨어지게 되고, 글라스를 접착시키는 졸대와 못 또는 실리콘 수지가 도어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것이어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도어용 투시창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동일한 구조의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을 서로 끼워 체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도어용 투시창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한 종류의 프레임만을 제작하게 되어 투시창 자체의 제품 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단순 조립에 의하여 설치되므로 투시창의 설치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탁월하게 되는 도어용 투시창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여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과 투시판의 고정에 실리콘 수지 등의 접착 밀봉제를 사용하지 않아 비용이 절감되고 외 관이 미려하게 되는 도어용 투시창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 뿐만 아니라 해체도 용이하여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과 투시창 형상(원형, 타원형, 하트형,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 별모양, 캐릭터 모양 등)의 다양화가 가능하여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도어용 투시창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도어용 투시창 구조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판체(101)와, 상기 판체(101)의 내측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결합판(102)과, 상기 수직결합판(102)의 인접부 판체(101)의 이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체결수단(103)으로 이루어진 전면 프레임(A)과; 상기 전면 프레임(A)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후면프레임(A') 및; 상기 전면 프레임(A)과 후면 프레임(A') 사이에 끼워지는 투시판(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도어용 투시창 구조는 동일한 구조의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을 서로 끼워 체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도어용 투시창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한 종류의 프레임만을 제작하게 되어 투시창 자체의 제품 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단순 조립에 의하여 설치되므로 투시창의 설치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탁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여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과 투시판의 고정에 실리콘 수지 등의 접착 밀봉제를 사용하지 않아 비용이 절감되고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립 뿐만 아니라 해체도 용이하여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과 투시창 형상(원형, 타원형, 하트형,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 별모양, 캐릭터 모양 등)의 다양화가 가능하여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도어용 투시창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도어용 투시창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어용 투시창 구조를 보여주는 제1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도어용 투시창 구조를 보여주는 제2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도어용 투시창 구조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투시창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로서, 본 발명 도어용 투시창 구조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판체(101)와, 상기 판체(101)의 내측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결합판(102)과, 상기 수직결합판(102)에 인접한 판체(101)의 이면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체결수단(103)으로 이루어진 전면 프레임(A)과; 상기 전면 프레임(A)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후면프레임(A') 및; 상기 전면 프레임(A)과 후면 프레임(A') 사이에 끼워지는 투시판(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후면 프레임(A, A')에 형성된 각각의 수직결합판(102)은 상기 판체(101)의 내측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D) 연장된 후 단턱(105a) 지면서 그 두께의 절반을 이루는 내측면 만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결합부(102a)와, 상기 판체(101)의 내측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부(102a)의 단부 길이까지 연장된 후 단턱(105b) 지면서 그 두께의 절반을 이루는 외측면 만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결합부(102b)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A)의 제1결합부(102a)가 상기 후면프레임(A')의 제2결합부(102b)에, 상기 전면 프레임(A)의 제2결합부(102b)가 상기 후면프레임(A')의 제1결합부(102a)에 결합되며 상기 전후면 프레임(A, A')의 사이에 상기 투시판(B)이 삽입되는 간격 요홈(102')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 요홈(102')은 상기 제1결합부(102a)의 단턱(105a)에서 단부까지의 길이 보다 제2결합부(102b)의 단턱(105b)에서 단부까지의 길이가 투시판(B)의 두께만큼 더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 프레임(A)과 후면 프레임(A')이 결합될 때 제1결합부(102a)와 제2결합부(102b)의 길이 차이로 인하여 전후면 프레임(A, A') 사이에 간격 요홈(102')이 형성되고 이에 투시판(B)이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1결합부(102a)와 제2결합부(102b)는 각각 폐루프 길이의 1/2씩 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면 프레임(A)과 후면 프레임(A')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길이가 된다면 그 이하라도 상관 없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103)은 판체(101)의 이면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에 삽입구가 형성된 돌기 삽입구(103a)와 상기 돌기 삽입구(103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103b)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부(102a) 측 판체(101)의 이면에는 다수의 돌기 삽입구(103a)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102b) 측 판체(101)의 이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03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1결합부(102a) 측 판체(101)의 이면에 다수의 결합돌 기(103b)를 형성하고, 상기 제2결합부(102b) 측 판체(101)의 이면에 다수의 돌기 삽입구(103a)를 형성하여도 되고, 상기 판체(101)의 이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기 삽입구(103a)와 결합돌기(103b)를 교대로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돌기 삽입구(103a)와 결합돌기(103b)로 이루어진 체결수단(103)이 형성된 프레임을 한 종류만 성형한 다음, 전면 프레임(A)의 내측과 후면 프레임(A')의 내측을 도3과 같이 서로 마주 보도록 하면 상기 돌기 삽입구(103a)들과 결합돌기(103b)들이 서로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투시판(B)으로는 필요에 따라 유리나, 아크릴 등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루프를 형성하는 판체(101)의 형상은 특정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타원형, 하트형,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 별모양, 캐릭터 모양 등 폐루프를 이룰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형상의 것이 채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도어용 투시창 구조를 사용한 도어용 투시창의 설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어용 투시창을 설치할 부분에 해당하는 도어(P)의 일정한 부분을 잘라내고, 도어(P)의 일측에서 잘라낸 공간에 전후면 프레임(A, A') 중 어느 하나를 끼운 다음, 투시판(B)을 대고 도어(P)의 타측에서 전후면 프레임(A, A') 중 다른 하나를 끼우고 체결수단(103)으로 전후면 프레임(A, A')을 체결함으로써 별도의 졸대와 못, 실리콘 수지 등으로 접착 밀봉하는 등의 마감 작업이 필요 없이 도어용 투시창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도어(P)의 일정한 부분을 잘라내고, 도어(P)의 일측에서 잘라낸 공간에 전면 프레임(A) 끼우고, 전면 프레임(A)의 결합부(102a) 단면에 투시판(B)을 대고밀착시킨 상태로 도어(P)의 타측에서 후면 프레임(A')을 끼우되, 전면 프레임(A)의 돌기 삽입구(103a)에 후면 프레임(A')의 결합돌기(103b)를 마주 보게하고 돌기 삽입구(103a)에다 대응하는 결합돌기(103b)를 끼우면, 제1결합부(102a)와 제2결합부(102b)가 서로 끼워지면서, 상기 제1결합부(102a)와 제2결합부(102b)의 길이 차이로 인하여 형성된 간격 요홈(102')에 상기 투시판(B)이 삽입 고정된 상태로 전후면 프레임(A, A')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고, 도어의 절단면은 전후면 프레임(A, A')의 판체(101)에 가려져 외관이 미려한 투시창이 설치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 도어용 투시창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어용 투시창 구조를 보여주는 제1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도어용 투시창 구조를 보여주는 제2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도어용 투시창 구조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투시창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판체 102 : 수직결합판
102' : 간격 요홈 102a, 102b : 제1,2결합부
103 : 체결수단 103a : 돌기 삽입구
103b : 결합돌기 A, A' : 전후면 프레임
B : 투시판 P : 도어

Claims (5)

  1. 삭제
  2. 폐루프를 형성하는 판체(101)와, 상기 판체(101)의 내측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D) 연장된 후 단턱(105a) 지면서 그 두께의 절반을 이루는 내측면 만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결합부(102a)와, 상기 판체(101)의 내측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부(102a)의 길이까지 연장된 후 단턱(105b) 지면서 그 두께의 절반을 이루는 외측면 만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결합부(102b)로 구성되는 전면 프레임(A)과; 상기 전면 프레임(A)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후면프레임(A')과; 상기 전면 프레임(A)의 제1결합부(102a)가 상기 후면프레임(A')의 제2결합부(102b)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A)의 제2결합부(102b)가 상기 후면프레임(A')의 제1결합부(102a)에 결합되며, 상기 판체(101)의 이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체결수단(103)으로 서로 체결되어 상기 전후면 프레임(A, A')의 사이에 투시판(B)이 삽입되는 간격 요홈(1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투시창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103)은 돌출부에 삽입구가 형성된 다수의 돌기 삽입구(103a)와 상기 돌기 삽입구(103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돌기(103b)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투시창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요홈(102')은 상기 제1결합부(102a)의 단턱(105a)에서 상기 제1결합부(102a)의 단부까지의 길이 보다 제2결합부(102b)의 단턱(105b)에서 상기 제2결합부(102b)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투시판(B)의 두께 만큼 더 길게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02a)와 제2결합부(102b)가 결합되면 전후면 프레임(A, A')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투시창 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101)는 원형, 타원형, 하트형,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 별모양, 캐릭터 모양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투시창 구조.
KR1020090097192A 2009-10-13 2009-10-13 도어용 투시창 구조 KR10113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92A KR101134446B1 (ko) 2009-10-13 2009-10-13 도어용 투시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92A KR101134446B1 (ko) 2009-10-13 2009-10-13 도어용 투시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65A KR20110040065A (ko) 2011-04-20
KR101134446B1 true KR101134446B1 (ko) 2012-04-09

Family

ID=4404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192A KR101134446B1 (ko) 2009-10-13 2009-10-13 도어용 투시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5782B2 (ja) * 2016-06-08 2019-08-07 株式会社Lixil 明り取り窓構成部品と明り取り部材
KR200496458Y1 (ko) * 2020-07-30 2023-02-06 이청우 투명창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976Y1 (ko) 2005-05-12 2005-07-28 박병덕 공기조화기 투시창용 지지테
JP2009024370A (ja) 2007-07-18 2009-02-05 Atom Livin Tech Co Ltd 明かり採り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976Y1 (ko) 2005-05-12 2005-07-28 박병덕 공기조화기 투시창용 지지테
JP2009024370A (ja) 2007-07-18 2009-02-05 Atom Livin Tech Co Ltd 明かり採り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65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623B2 (en) Adjustable garage door window frame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462001B1 (ko) 착탈식 단열패널을 구비한 복합창호
KR101134446B1 (ko) 도어용 투시창 구조
JP6172960B2 (ja) 格子の取付構造
WO2012156555A1 (es) Placa metálica para la realización de fachadas arquitectónicas
KR20200048077A (ko)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벽 패널 조립체
JPH0497048A (ja) 化粧パネルの取付構造
JP6171188B2 (ja) 建具
KR200451130Y1 (ko) 창틀 및 문틀 고정용 브래킷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JPH10131281A (ja) フェンスの構造
KR101271205B1 (ko) 양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간판프레임 시스템
US20050097841A1 (en) Glazing method
KR100780373B1 (ko) 투명 셔터
KR200411564Y1 (ko) 건물의 벽체 패널과 이 패널의 설치구조
CN217811764U (zh) 一种玻璃隔墙的凹扣式连接结构
JP2009052253A (ja) 間仕切パネル
EP1552101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lazing clips for ancillary elements on glazing units
KR200360386Y1 (ko) 방범창
KR102184880B1 (ko) 창틀프레임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안전난간의 결합구조
JP3994972B2 (ja) フェンス体、およびフェンス
KR101839200B1 (ko) 건축물 외장패널
CN213980430U (zh) 安装方便的幕墙式窗
KR100940584B1 (ko) 패널조립체와 패널조립방법
KR101245833B1 (ko) 슬라이딩방식의 레일 캐리어가 적용된 커튼월의 일체형 루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