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351B1 -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 Google Patents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351B1
KR101134351B1 KR1020110122916A KR20110122916A KR101134351B1 KR 101134351 B1 KR101134351 B1 KR 101134351B1 KR 1020110122916 A KR1020110122916 A KR 1020110122916A KR 20110122916 A KR20110122916 A KR 20110122916A KR 101134351 B1 KR101134351 B1 KR 101134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h water
water supply
support
casing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권정
Original Assignee
(주)대한중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중전기 filed Critical (주)대한중전기
Priority to KR102011012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88Test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6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6Lubrication
    • F04D29/061Lubrication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83Testing, e.g. methods, components or too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98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44Centrifugal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정에 저장된 유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입축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가동이 가능한 입축펌프는 집수정이 빈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로서, 회전축이 구비된 모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집수정에 저장된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가 결합된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 및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부시, 상기 케이싱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서 상기 지지부에 청수를 공급하는 청수공급관, 상기 집수정의 외부에 위치된 상기 청수공급설비에서 상기 청수공급관으로 청수를 공급하는 메인공급라인, 및 상기 메인공급라인의 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를 가동 또는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윤활작용을 하는 청수를 공급하여 집수정이 빈상태에서도 회전축 및 지지부의 마모 없이 시험가동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pump available self-testing under dry conditions}
본 발명은 집수정에 저장된 유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유체를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시키거나, 저압상태에 있는 것을 고압으로 높이는 수력기계로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펌프가 산업계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펌프는 축의 위치에 따라 입축펌프와 횡축펌프로 구분되며 축이 수평으로 위치하는 펌프를 횡축펌프라고 일컬으며, 구동하는 축이 수직으로 세워진 펌프를 입축펌프라고 일컫는다.
대부분의 펌프는 축이 수평으로 위치되는 횡축펌프이지만 설치 장소의 면적이 좁은 곳 또는 양정이 높아 공동현상(cavitation)이 발생하는 곳에는 주로 입축펌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입축펌프는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케이싱의 흡입구 부분에 설치되는 임펠러와, 임펠러의 수직상부에 위치되고, 케이싱의 상부에서 케이싱을 관통하여 임펠러와 결합되는 구동축이 구비된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입축펌프는 흡입구가 집수정에 저장된 유체에 일부 잠긴 상태로 위치되어 임펠러의 회전시 케이싱을 통해 집수정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입축펌프는 집수정에 유체가 차는 수방기간 동안만 작동하고, 수방기간 외에는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방기간 외 즉, 휴지기간에는 주기적으로 입축펌프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시험가동을 수행한다.
하지만, 입축펌프는 집수정에 빈 상태에서는 시험가동을 하기 난해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07434호(등록일자 2003. 3. 3)의 "배수펌프의 시험 가동 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배수펌프의 시험 가동 장치는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샤프트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둘레면에 수평방향을 따라 고정됨은 물론 둘레면에 다수개의 피동기어열이 형성된 회전부와; 회전부의 회전경로상에 수직방향을 따라 장착됨은 물론 몸체선단부에 전기적 신호에 따라 피동기어열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열이 형성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배수펌프의 시험 가동 장치는 배수펌프를 시험할 때 구동부를 작동시켜 구동부와 맞물린 샤프트에 구비된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형태로 시험 가동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배수펌프의 시험 가동 장치는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구동부와 메인모터의 구동력의 차이일 뿐,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형태로 시험가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집수정이 비어있는 경우에 샤프트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마모에 윤활작용을 하는 유체가 공급되지 못함으로써, 시험가동 시 샤프트 및 지지부에 마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인모터가 아닌 구동부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메인모터를 시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수정이 비어있는 상태에서 시험가동을 수행 시 샤프트 및 지지부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험구동 시에도 평상 시와 동일하게 모든 구성이 작동하여 모든 구성의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는 집수정이 빈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로서, 회전축이 구비된 모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집수정에 저장된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가 결합된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 및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부시, 상기 케이싱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서 상기 지지부에 청수를 공급하는 청수공급관, 상기 집수정의 외부에 위치된 청수공급설비에서 상기 청수공급관으로 청수를 공급하는 메인공급라인, 및 상기 메인공급라인의 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를 가동 또는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수공급관에 구비되어 상기 청수공급관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메인밸브, 상기 메인밸브의 개방 시 상기 청수공급관으로 청수의 공급여부를 판단하는 플로우스위치, 및 상기 플로우스위치의 판단에 따라 임의로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모터를 임의로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시는 상기 청수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청수가 상기 부시의 내주면으로 유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어 상기 부시의 내주면 전체로 청수를 공급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상기 부시의 내주면에 격자형태로 형성되거나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회전축에서 임펠러가 결합되는 상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임펠러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임펠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4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수공급관은 제1 지지부와 상기 케이싱을 연결하는 제1 청수공급관,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케이싱을 연결하는 제2 청수공급관, 상기 제3 지지부와 상기 케이싱을 연결하는 제3 청수공급관, 및 상기 제4 지지부와 상기 케이싱을 연결하는 제4 청수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제3 청수공급관에서 상기 제3 지지부로 공급되는 청수가 지나는 공급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로와 연통되어 상기 공급로를 지나는 청수를 상기 제3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임펠러의 부분으로 분사하는 노즐공이 형성되는 분사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수공급관은 상기 케이싱의 주조 시 상기 청수공급관을 삽입하여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윤활작용을 하는 청수를 공급하여 집수정이 빈 상태에서도 회전축 및 지지부의 마모 없이 시험가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시험가동 시 모든 구성이 평상 시의 작동과 동일하게 작동되어 모든 구성의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가 구비되어 청수공급설비 이상으로 청수가 미공급된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청수가 지지부에 충분히 공급된 다음 시험가동을 수행함으로써, 회전축과 지지부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은 도 1의 "A"부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제3 지지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를 구성하는 부시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를 구성하는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를 구성하는 제어부의 작동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를 수동조작하는 작동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가 수중펌프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는 유체가 임시로 저장되는 집수정(200)에 설치되어 집수정(200)에 저장된 유체를 집수정(200)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집수정(200)에 저장되는 유체는, 오수, 하수, 우수, 등이 될 수 있으며, 드라이컨디션(dry conditions) 상태란 집수정(200)이 비어 펌프(100)가 건조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는 입축펌프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의 펌프는 펌프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앙한 종류의 펌프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는 모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모터(110)는 고정자와 회전축이 구비된 회전자로 구성되며, 외부의 전기를 공급받아 고정자와 회전자의 사이에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따라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모터(110)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모터(110)는 집수정(20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는 임펠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임펠러(120)는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유체를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임펠러(120)는 모터(1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 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임펠러(120)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날개가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임펠러(120)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는 케이싱(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이싱(13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싱(130)의 하부가 유체를 유입하는 흡입구(131)가 될 수 있으며, 케이싱(130)의 상부가 케이싱(13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33)가 될 수 있다.
이때, 케이싱(130)의 토출구(133)는 90°케이싱(130)의 상부에서 90°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토출구(133)가 집수정(200)에 구비된 배출관(21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모터(110)는 임펠러(120)의 수직선상의 상부에 위치되는 집수정(200)이 외부에 위치되어 모터(110)의 회전축이 케이싱(130)의 절곡된 부분을 관통하여 케이싱(130)의 흡입구(131)에 구비된 임펠러(120)와 결합된다.
그리고, 케이싱(130)에는 지지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지지부(140)는 케이싱(130)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케이싱(130)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40)는 제1 지지부(141), 제2 지지부(142), 제3 지지부(143) 및 제4 지지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41)는 케이싱(130)의 절곡된 부분에 구비되어 케이싱(130)을 관통한 회전축의 부분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싱(130)을 관통하는 회전축의 상단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41)는 케이싱(130)의 절곡된 상부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으로 회전축이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케이싱(13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142)는 제1 지지부(141)의 하부 더 구체적으로는 회전축에 임펠러(120)가 결합되기 전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케이싱(13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부(142)도 제2 지지부(142)의 중앙을 회전축이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회전축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지지부(143)는 임펠러(1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 제3 지지부(143)는 임펠러(120)가 설치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임펠러(120)의 상단 둘레가 일부 삽입되는 형태로 임펠러(120)를 지지하여 임펠러(120)의 회전시 회전력에 의해 임펠러(12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지지부(143)는 분사링(1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분사링(190)은 임펠러(120)가 제3 지지부(143)에 일부 삽입된 부분으로 청수(淸水)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링(19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임펠러(120)의 상단이 일부 삽입되는 제3 지지부(143)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3 지지부(143)의 내면과 접촉되는 분사링(190)의 외면에는 공급로(191)가 분사링(19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분사링(190)의 내주면에는 공급로(191)와 연통되는 노즐공(19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즐공(193)은 분사링(19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노즐공(193)을 통해 분사되는 청수의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분사링(190)은 임펠러(120)가 삽입되는 제3 지지부(143)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제3 지지부(143)로 공급되는 청수가 공급로(191)를 통해 노즐공(193)으로 분사됨으로써, 임펠러(120)와 제3 지지부(143)의 사이를 윤활하는 윤활작용을 할 수 있다.
제4 지지부(144)는 회전축의 끝단 더 구체적으로는 임펠러(120)가 결합된 회전축의 끝단을 케이싱(130)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지지부(144)는 회전축의 끝단을 감싸는 형태로 케이싱(13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3 지지부(143)를 제외한 각 지지부(140)에는 지지부(140)와 회전축의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축과 지지부(14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부시(180, Bush)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180)는 지지부(140)로 공급되는 청수가 부시(180)의 내주면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관통된 관통공(18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부시(180)의 내주면에는 관통공(183)과 연통된 유로(18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유로(181)는 관통공(183)을 통해 부시(180)의 내주면으로 윤활 기능을 수행하도록 공급된 청수가 이동하여 부시(180)의 내주면에서 청수를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유로(181)는 부시(180)의 내주면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격자형태로 형성되거나 나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로(181)의 상,하는 밀폐되어 유로(181)에 유(181)를 통해 유체가 부시(18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머무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의 유로(181)는 격자형태로 구성하였다.
한편, 부시(180)에 유로(181)가 형성됨으로 인해 윤활작용하는 청수가 부시(180) 내주면에서 골고루 퍼져 청수의 윤활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는 청수공급관(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청수공급관(150)은 지지부(140)와 케이싱(130)을 연결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청수를 청수공급관(150)을 통해 지지부(140)의 내주면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청수공급관(150)은 청수가 지날 수 있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청수공급관(150)은 제1 청수공급관(151), 제2 청수공급관(152), 제3 청수공급관(153), 제4 청수공급관(15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청수공급관(151)은 케이싱(130)의 외부에서 제1 지지부(141)의 내주면으로 청수가 공급되도록 제1 지지부(141)의 측면에서 제1 지지부(141)와 수평한 위치의 케이싱(130)의 부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청수공급관(152)은 케이싱(130)의 외부에서 제2 지지부(142)의 내주면으로 청수가 공급되도록 제2 지지부(142)의 측면에서 제2 지지부(142)와 수평한 위치의 케이싱(130)의 부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3 청수공급관(153)은 케이싱(130)의 외부에서 제3 지지부(143)의 내주면으로 청수가 공급되도록 제2 지지부(142)의 측면에서 제3 지지부(143)와 수평한 위치의 케이싱(130)의 부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4 청수공급관(154)은 케이싱(130)의 외부에서 제4 지지부(144)의 내주면으로 청수가 공급되도록 제4 지지부(144)의 측면에서 제4 지지부(144)와 수평한 위치의 케이싱(130)의 부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각 지지부(140)에 설치되는 부시(180)는 각 청수공급관(150)으로 공급되는 청수가 부시(180)의 내부로 청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부시(180)에 형성된 관통공(183)과 청수공급관(150)이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청수공급관(150)은 케이싱(1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싱(130)은 통상 주조로 제작되는데, 케이싱(130)을 주조할 때 지지부(140)와 케이싱(130)을 연결하는 청수공급관(150)을 삽입하여 함께 주조하는 형태로 청수공급관(150)과 케이싱(130)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수공급관(150)을 케이싱(130)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청수공급관(150)과 연결되는 지지부(140)의 부분 및 케이싱(130)의 부분에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는 메인공급라인(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메인공급라인(160)은 청수가 공급되는 관으로서, 지지부(140)에 청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집수정(200)의 외부에 위치된 청수공급설비(250)와 청수공급관(150)을 연결하여 청수공급설비(250)에서 공급되는 청수를 청수공급관(150)을 통해 각 지지부(14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각 청수공급관(150)은 하나의 메인공급라인(160)에 연결되어 메인공급라인(160)에서 공급되는 청수가 각 청수공급관(150)으로 공급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청수공급설비(250)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설비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어부(170)는 메인공급라인(160)의 상태에 따라 모터(110)를 가동 또는 중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메인밸브(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메인밸브(171)는 메인공급라인(160)에 구비되어 메인공급라인(160)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형태로 청수공급설비(250)에서 메인공급라인(160)으로 공급되는 청수를 차단 또는 공급할 수 있다. 그리도, 메인밸브(171)에는 유량계(미도시)가 구비되어 메인밸브(171)을 통해 메인공급라인(160)으로 청수가 공급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플로우스위치(1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플로우스위치(173)는 메인공급라인(160)에 구비되어 메인밸브(171)의 개방 시 메인공급라인(160)으로 청수의 공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플로우스위치(173)는 메인밸브(171)의 개방 시 메인공급라인(160)으로 청수가 공급되면 온(ON)되고, 메인밸브(171)가 개방 상태에서도 메인공급라인(160)으로 청수가 공급되지 않으면 오프(OFF)되는 형태로 메인공급라인(160)으로 청수의 공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타이머(1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타이머(175)는 모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타이머(175)는 임의로 설정된 시간 후 모터(110)가 작동되도록 지연시간, 및 모터(110)가 작동된 후 임의로 설정된 시간동안만 작동하도록 작동시간 두 가지의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머(175)는 플로우스위치(173)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플로우스위치(173)의 작동에 따라 타이머(175)가 온(ON)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예컨대, 플로우스위치(173)가 온(ON)될 경우, 타이머(175)가 작동하고, 플로우스위치(173)가 오프(OFF)될 경우, 타이머(175)가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어부(170)는 메인밸브(171)가 개방되었음에도 청수공급설비(250)의 이상으로 메인공급라인(160)에 청수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 펌프(100)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펌프(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메인공급라인(160)에 청수가 공급될 경우 모터(110)의 지연시간 동안 충분히 청수가 공급된 다음 시험가동을 수행하도록 펌프(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는 케이싱(130)에 회전축이 지지되는 지지부(140)와 케이싱(130)을 청수공급관(150)으로 서로 연결되고, 청수공급관(150)은 외부의 청수공급설비(250)와 메인공급라인(160)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때, 제3 지지부를 제외한 지지부(140)와 케이싱(130)의 사이에는 부시(180)가 설치되는 데, 이 부시(180)에는 청수공급관(150)으로 공급되는 청수가 부시(180)의 내주면으로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유로(181)가 형성되며, 제3 지지부(143)에는 제3 청수공급관(153)으로 공급되는 청수를 분사하는 분사링(190)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는 집수정(200)에 비어 펌프(100)이 건조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윤활유 역할을 하는 청수를 공급함으로써, 펌프(100)의 시험가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00)의 시험가동을 수행할 때에는 제어부(17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사용자가 컨트롤패널의 시험가동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170)는 메인밸브(171)를 개방하여 청수공급설비(250)에서 메인공급라인(160)으로 청수를 공급한다.
이때, 메인공급라인(160)으로 청수가 유입되면 플로우스위치(173)가 온(ON)되어 플로우스위치(17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타이머(175)를 작동시키고, 타이머(175)는 청수공급설비(250)에서 청수가 각 지지부(140)에 분사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된 시간 즉, 지연시간이 지나면, 모터(110)를 구동시켜 임펠러(120)를 회전시키는 형태로 시험가동을 한다.
그리고, 임펠러(120)가 회전하여 임의로 설정된 시간 즉, 작동시간이 지나게 되면 타이머(175)가 모터(110)의 작동을 멈춰 시험가동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제어부(170)가 메인밸브(171)를 개방하였으나 메인공급라인(160)으로 청수가 유입되지 않으면, 플로우스위치(173)는 오프(OFF)된 상태가 되어 타이머(175)를 작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청수의 공급 없이 시험가동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는 수동조작하여 펌프(100)의 시험가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시험가동을 수행할 경우에는 메인밸브(171)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메인공급라인(160)으로 청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메인밸브(171)에 구비된 압력계를 통하여 청수가 메인공급라인(160)으로 공급됨을 확인하고, 모터(110)를 임의의 시간 동안 작동시켜 펌프(100)의 이상유무를 파악하며, 임의의 시간이 지난 후 모터(110)를 정지시키는 형태로 펌프(100)의 시험가동을 종료한다.
이때, 압력계를 확인하여 청수가 메인공급라인(160)으로 공급되지 않으면 바로 펌프(100)의 시험가동을 정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가 수중펌프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펌프는 다양한 종류의 펌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100)는 집수정(200)이 비어있는 상태에서도 청수공급설비(250)에서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140)에 윤활작용을 하는 청수를 공급함으로써,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140)의 마모로 인한 펌프(1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시험가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가 청수공급설비(250)의 이상으로 청수가 미공급 상태에서 시험가동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험가동을 수행할 때 타이머(175)가 청수가 충분히 공급된 상태에서 시험가동을 수행하도록 지연시간을 둠으로써, 청수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펌프(100)의 시험가동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펌프 110: 모터
120: 임펠러 130: 케이싱
131: 흡입구 133: 토출구
140: 지지부 141: 제1 지지부
142: 제2 지지부 143: 제3 지지부
144: 제4 지지부 150: 청수공급관
151: 제1 청수공급관 152: 제2 청수공급관
153: 제3 청수공급관 154: 제4 청수공급관
160: 메인공급라인 170: 제어부
171: 메인밸브 173: 플로우스위치
175: 타이머 180: 부시
181: 유로 183: 관통공
190: 분사링 191: 공급로
193: 노즐공 200: 집수정
210: 배출관 250: 청수공급설비

Claims (7)

  1. 집수정이 빈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로서,
    회전축이 구비된 모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집수정에 저장된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가 결합된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 및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부시,
    상기 케이싱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서 상기 지지부에 청수를 공급하는 청수공급관,
    상기 집수정의 외부에 위치된 청수공급설비에서 상기 청수공급관으로 청수를 공급하는 메인공급라인, 및
    상기 메인공급라인의 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를 가동 또는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수공급관에 구비되어 상기 청수공급관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메인밸브,
    상기 메인밸브의 개방 시 상기 청수공급관으로 청수의 공급여부를 판단하는 플로우스위치, 및
    상기 플로우스위치의 판단에 따라 임의로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모터를 임의로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상기 청수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청수가 상기 부시의 내주면으로 유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어 상기 부시의 내주면 전체로 청수를 공급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부시의 내주면에 격자형태로 형성되거나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회전축에서 임펠러가 결합되는 상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임펠러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임펠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4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수공급관은
    제1 지지부와 상기 케이싱을 연결하는 제1 청수공급관,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케이싱을 연결하는 제2 청수공급관,
    상기 제3 지지부와 상기 케이싱을 연결하는 제3 청수공급관, 및
    상기 제4 지지부와 상기 케이싱을 연결하는 제4 청수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제3 청수공급관에서 상기 제3 지지부로 공급되는 청수가 지나는 공급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로와 연통되어 상기 공급로를 지나는 청수를 상기 제3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임펠러의 부분으로 분사하는 노즐공이 형성되는 분사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수공급관은
    상기 케이싱의 주조 시 상기 청수공급관을 삽입하여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KR1020110122916A 2011-11-23 2011-11-23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KR101134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916A KR101134351B1 (ko) 2011-11-23 2011-11-23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916A KR101134351B1 (ko) 2011-11-23 2011-11-23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351B1 true KR101134351B1 (ko) 2012-04-06

Family

ID=4614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916A KR101134351B1 (ko) 2011-11-23 2011-11-23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3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099B1 (ko) * 2015-08-04 2016-05-12 이남민 고효율 및 장수명 입축펌프
KR20160066571A (ko) * 2014-12-02 2016-06-13 윌로펌프 주식회사 입형 배수펌프
KR101948886B1 (ko) * 2018-11-22 2019-02-15 (주)대한중전기 멀티 노즐부와 노즐제어부에 의해 슬러지제거성을 향상시킨 펌프
KR101948885B1 (ko) * 2018-11-22 2019-02-15 (주)대한중전기 멀티 노즐부에 의해 슬러지제거성을 향상시킨 펌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664A (ja) 1998-04-24 1999-11-05 Hitachi Ltd 液化ガス用ポンプ装置の工場試験方法
JP2001027185A (ja) 1999-07-14 2001-01-30 Kichinosuke Yamamoto 重力負荷弁
JP2006057567A (ja) * 2004-08-23 2006-03-02 Kubota Corp ポンプシステム
KR101006925B1 (ko) * 2010-10-14 2011-01-10 (주)대한중전기 펌프의 슬러지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664A (ja) 1998-04-24 1999-11-05 Hitachi Ltd 液化ガス用ポンプ装置の工場試験方法
JP2001027185A (ja) 1999-07-14 2001-01-30 Kichinosuke Yamamoto 重力負荷弁
JP2006057567A (ja) * 2004-08-23 2006-03-02 Kubota Corp ポンプシステム
KR101006925B1 (ko) * 2010-10-14 2011-01-10 (주)대한중전기 펌프의 슬러지 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571A (ko) * 2014-12-02 2016-06-13 윌로펌프 주식회사 입형 배수펌프
KR101670656B1 (ko) * 2014-12-02 2016-11-01 윌로펌프 주식회사 입형 배수펌프
KR101605099B1 (ko) * 2015-08-04 2016-05-12 이남민 고효율 및 장수명 입축펌프
KR101948886B1 (ko) * 2018-11-22 2019-02-15 (주)대한중전기 멀티 노즐부와 노즐제어부에 의해 슬러지제거성을 향상시킨 펌프
KR101948885B1 (ko) * 2018-11-22 2019-02-15 (주)대한중전기 멀티 노즐부에 의해 슬러지제거성을 향상시킨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925B1 (ko) 펌프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1134351B1 (ko)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KR20110099967A (ko) 세탁기와 그 배수펌프
KR20160061769A (ko) 펌프
CN103075369B (zh) 一种组合型立式液下长轴泵
JP6966388B2 (ja) ポンプ
JP6259289B2 (ja) 横軸ポンプ
KR101948885B1 (ko) 멀티 노즐부에 의해 슬러지제거성을 향상시킨 펌프
JP6827366B2 (ja) 横軸ポンプ
JP5404859B2 (ja) ポンプの軸受清掃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17106600A (ja) 攪拌装置、潤滑油採取方法、及び回転機械システム
KR101948886B1 (ko) 멀티 노즐부와 노즐제어부에 의해 슬러지제거성을 향상시킨 펌프
CN102022342A (zh) 便捷污水自吸离心泵
JP2019183697A (ja) 横軸ポンプ装置
JP4408242B2 (ja) 回転縦軸の軸受け装置、遠心分離機
JP2010138876A (ja) ポンプ設備とその運転方法
CN220727884U (zh) 一种循环供油润滑的托轮设备及合绳机
KR102339286B1 (ko) 실시간 누설 진단 및 공회전이 가능한 부스터펌프시스템
CN210565135U (zh) 一种效率自吸性能高的自吸泵
JP2000130390A (ja) 縦軸ポンプ装置
CN110905800A (zh) 一种抽油用等壁厚螺杆泵
CN108683282A (zh) 一种水泵立式电机轴承注排油结构及立式电机
RU2752789C1 (ru) Герметичный электронасос
JP2022068933A (ja) 先行待機ポンプ
CN218717524U (zh) 一种可自动补油的化工离心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