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206B1 -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206B1
KR101134206B1 KR1020050042787A KR20050042787A KR101134206B1 KR 101134206 B1 KR101134206 B1 KR 101134206B1 KR 1020050042787 A KR1020050042787 A KR 1020050042787A KR 20050042787 A KR20050042787 A KR 20050042787A KR 101134206 B1 KR101134206 B1 KR 101134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unit
display device
refrigerator
stepp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638A (ko
Inventor
강대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20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가 가능한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에 소정의 크기로 함몰된 디스플레이 수납부(40)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부(4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4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2)는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2)가 열리면, 냉장고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창(45a) 및 조절부(45b)가 설치된 표시부(46)가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42)는 스테핑 모터(50)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스테핑 모터(50)와 디스플레이부(42)는 기어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42)를 닫고 냉장고를 이용하다가,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할 때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열어 사용할 수 있다.
김치냉장고, 개폐, 기어, 스테핑 모터

Description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apparatus refrigerator for KIMCHI}
도 1a는 종래 김치냉장고의 돌출형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1b는 종래 김치냉장고의 함몰형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디스플레이 수납부 42 : 디스플레이부
44 : 전면부 45a : 표시창
45b : 조절부 46 : 표시부
48 : 힌지축 50 : 스테핑 모터
52 : 구동기어 54 : 종동기어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시켜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냉장고는 김치 또는 야채 등의 식품을 담는 저장실이 본체내에 마련되며, 저장고 내의 온도를 냉장보관 또는 숙성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여 저장 식품을 저장 및 숙성시킨다. 이때 저장물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운전 모드별로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며, 각 저장고의 상태를 이용자에게 알려주고 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도 1a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돌출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김치냉장고가 사시도 및 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함몰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김치냉장고가 사시도 및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시된 바에 따르면, 김치냉장고의 상부에는 상기 냉장고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10)가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10) 하부에는 상기 냉장고의 몸체를 형성하고,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본체(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냉장고 내부의 상태를 알려주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30)가 구비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이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를 보거나 조작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이루며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을 이루며 함몰되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a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가 돌출되는 형태의 경우 이용자가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 및 인출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이용자가 부딪혀 이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돌출된 디스플레이 장치(30)에 김칫국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한 문제점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30)의 경사각을 줄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의 가독성이 나빠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조작이 불편하게 되어, 즉, 이용자가 허리를 숙여 디스플레이 장치(30)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돌출된 각을 줄일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함몰형 디스플레이 장치(30)의 경우에는 함몰경사가 클수록 함몰된 부분만큼 냉장고의 내부공간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함몰경사를 줄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의 가독성이 나빠지고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조작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고 함몰된 소정의 공간인 디스플레이수납부가 전면에 형성된 본체와, 차폐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수납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소정의 각을 이루어 형성되고 표시창 및 조절부가 구비된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부 외부로 인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일정구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회전량이 제어되는 스테핑 모터와, 상기 스테핑 모터와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달수단은 스테핑 모터에 연결된 구동기어와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된 종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본체의 전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어 이용자는 상기 냉장고에 좀더 가깝게 서서 상기 김치냉장고를 이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내용물을 인출 및 저장중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이물질을 흘릴 위험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장점이 있으면서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보거나 조작할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열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경사각이 커서 가독성이 좋아지고 이용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 고 이용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개폐는 전동기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개폐가 손쉽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요부를 확대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 본체의 전면에는 소정의 크기로 함몰된 디스플레이 수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부(40)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될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부(40)에는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디스플레이부(42)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2)가 차폐된 경우 상기 본체의 전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전면부(44)와, 상기 디스플레이부(42)의 다른 일면을 형성하며 표시창(45a)과 조절부(45b)가 구비된 표시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2)는 상기 전면부(44)와 표시부(46)가 소정의 각을 이루며 결합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42)는 삼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2)가 열렸을 때, 상기 표시부(46)의 내측 말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부(40)의 상단 내측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면부(44)의 하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2)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축(48)이 형 성되어 본체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동하게 지지된다. 상기 힌지축(48)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2)의 회전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2)의 일측에는 구동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2)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2)를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 등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전류의 유입량을 제어하여 회동 각을 조절할 수 있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er)(50)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는 축에 의해 직접 디스플레이부(42)의 힌지축(48)에 연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기어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기어 연결은, 상기 모터(50)의 출력축에 연결된 구동기어(52)와 상기 구동기어(52)에 맞물리고 힌지축(48)에 연결된 종동기어(54)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기어(52)와 종동기어(54)의 잇수비를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속도 및 회전각의 정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순서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방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먼저 입력버튼의 선택에 의하여 스테핑 모터(50)를 구동시킨다. 상기 스테핑 모터(50)는 모터에 유입되는 전류의 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 상기 스테핑 모터(50)가 일정각(디스플레이부가 완전히 열릴때 까지 회전하는 각) 회동하면 정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42)의 단면이 정삼각형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각은 60˚정도가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2)를 닫을 때에도 상기 디 스플레이부(42)가 완전히 닫히면 회동을 멈추도록 한다.
구동장치인 스테핑 모터(50)가 회전하면 이에 축으로 연결된 구동기어(52)도 동시에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52)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54)도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2)를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기어(52)와 종동기어(54)의 잇수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2)의 개폐 양상이 달라진다. 즉, 상기 구동기어(52)에 잇수가 작은 피니언을 사용하고, 상기 종동기어(54)에 잇수가 많은 기어를 사용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2)의 회전을 느리고 정교하게 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42)가 완전히 열린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2)가 회전하면서 상기 전면부(44)는 아래 방향을 향하게 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있던 표시부(46)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개방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46)의 내측 말단은 디스플레이 수납부(40)의 상단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상기 디스플레이부(42)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표시창(45a)을 통해 냉장고의 상태를 체크하고, 조절부(45b)를 이용하여 냉장고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42)를 닫고자 하는 경우 상기 스테핑 모터(50)를 역으로 회전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42)를 닫는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수납공간을 사용할 때 김치냉장고의 전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다. 따라서 이용자는 김치냉장고에 좀더 가까운 거리에 서서 김치냉장고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내용물을 인출 및 저장중에 디스플레이부에 이물질을 흘릴 위험성이 적고, 외관 면에서도 깔끔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가지면서도, 디스플레이부를 열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보거나 조작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의 경사각이 커서 디스플레이부의 가독성이 좋아지고 조작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개폐가 전동기기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개폐과정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관을 형성하고, 함몰된 소정의 공간인 디스플레이수납부가 전면에 형성된 본체와;
    차폐시 상기 디스플레이수납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소정의 각을 이루어 형성되고 표시창 및 조절부가 구비된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납부 외부로 인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일정구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회전량이 제어되는 스테핑 모터와, 상기 스테핑 모터와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스테핑 모터에 연결된 구동기어와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된 종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50042787A 2005-05-21 2005-05-21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34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87A KR101134206B1 (ko) 2005-05-21 2005-05-21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87A KR101134206B1 (ko) 2005-05-21 2005-05-21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38A KR20060119638A (ko) 2006-11-24
KR101134206B1 true KR101134206B1 (ko) 2012-04-09

Family

ID=3770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787A KR101134206B1 (ko) 2005-05-21 2005-05-21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2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5078A (ja) * 2000-02-01 2001-08-10 Lg Electronics Inc 冷蔵庫用液晶表示機器の設置角度調節装置
KR20020009818A (ko) * 2000-07-27 2002-02-02 윤종용 디스플레이패널을 갖춘 냉장고
KR100356539B1 (ko) * 2001-01-03 2002-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장치를 갖춘 냉장고
KR200359086Y1 (ko) * 2004-05-24 2004-08-16 현대통신 주식회사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5078A (ja) * 2000-02-01 2001-08-10 Lg Electronics Inc 冷蔵庫用液晶表示機器の設置角度調節装置
KR20020009818A (ko) * 2000-07-27 2002-02-02 윤종용 디스플레이패널을 갖춘 냉장고
KR100356539B1 (ko) * 2001-01-03 2002-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장치를 갖춘 냉장고
KR200359086Y1 (ko) * 2004-05-24 2004-08-16 현대통신 주식회사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38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386B1 (ko) 랩톱컴퓨터의 액정표시겸 키보드커버 개폐 및 각도조정장치
US9927163B2 (en) Domestic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dispenser
JP5183548B2 (ja) 遊技機の演出装置
JP6866233B2 (ja) 加熱調理器
KR101598817B1 (ko) 전기압력밥솥을 위한 랙과 피니언 방식의 자동 잠금 장치
KR101134206B1 (ko)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116953A (ja) 蓋開閉機構及びその装置
KR100356539B1 (ko) 모니터장치를 갖춘 냉장고
KR20050056696A (ko) 냉장고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KR100634363B1 (ko)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43931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자동개폐장치
JP5798367B2 (ja) 窓開閉装置
KR101197791B1 (ko)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202148A (ja) 調理器
CN205849216U (zh) 食品处理机及其排渣装置
CN111336730A (zh) 制冰机及具有其的冰箱
JPH0721499A (ja) 開閉式電子機器
CN112983158A (zh) 一种车门限位器、车门及车辆
JPH066663U (ja) フロント扉装置
JP2003302151A (ja) 扉自動開放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KR100728387B1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13863B1 (ko) 에어컨의 셔터 구동장치
KR100678678B1 (ko)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KR930000412B1 (ko)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덮개 자동 개폐장치
JP2003304813A (ja) 家庭用冷菓製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