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678B1 -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8678B1 KR100678678B1 KR1020050073970A KR20050073970A KR100678678B1 KR 100678678 B1 KR100678678 B1 KR 100678678B1 KR 1020050073970 A KR1020050073970 A KR 1020050073970A KR 20050073970 A KR20050073970 A KR 20050073970A KR 100678678 B1 KR100678678 B1 KR 1006786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igerator
- display unit
- cover
- display device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가 가능한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 전면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부(10)와, 냉장고의 상태를 나타내고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1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이를 지지하도록 걸림턱(19)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들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0)에는 링크(30)가 연결되어 일정각도 회전후에 안정정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덮개부(10)를 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회전하면서 외부로 나오게 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개폐할 수 있다.
김치냉장고, 개폐, 탄성부재, 힌지
Description
도 1a는 종래의 돌출형으로 형성된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b는 종래의 함몰형으로 형성된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덮개부 12 : 손잡이부
14 : 힌지부 18 : 투명창
19 : 걸림턱 20 : 가이드
22 : 가이드홈 30 : 링크
32 : 이동롤러 34 : 힌지축
40 : 디스플레이부 50 : 제 1 탄성부재
60 : 제 2 탄성부재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가 가능한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냉장고는 김치 또는 야채 등의 식품을 담는 저장실이 본체내에 마련되며, 저장고 내의 온도를 냉장보관 또는 숙성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여 저장 식품을 저장 및 숙성시킨다. 이때 저장물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운전 모드별로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며, 각 저장고의 상태를 이용자에게 알려주고 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돌출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김치냉장고를 사시도 및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함몰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김치냉장고를 사시도 및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시된 바에 따르면, 김치냉장고는 김치냉장고의 몸체를 이루는 냉장고 본체(1)와, 상기 본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 전면에는 냉장고 내부의 상태를 알려주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3)가 구비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는 이용자가 허리를 굽히 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를 보거나 조작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이루며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을 이루며 함몰되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a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가 돌출되는 형태의 경우 이용자가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 및 인출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몸이 부딪혀 이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돌출된 디스플레이장치에 김칫국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한 문제점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을 줄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가독성이 나빠지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조작이 불편하게 되어, 즉, 이용자가 허리를 숙여 디스플레이장치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돌출된 각을 줄일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함몰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함몰경사가 클수록 함몰된 부분만큼 냉장고의 내부공간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함몰경사를 줄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가독성이 나빠지고 디스플레이장치의 조작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가 가능한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조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방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가 큰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단부가 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 내면의 양 측면에 구비되고 종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가이드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냉장고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와, 일단이 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냉장고 본체의 전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동축은 상기 링크의 냉장고 본체에 대한 회전축과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하단에 "ㄷ"자 형태의 힌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힌지부 말단에 설치된 힌지축에 의하여 본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는 상기 링크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상기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의 회전축에는 상기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시창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에 돌출된 부분 없이 이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를 사용할 수 있어 상기 김치냉장고에 좀더 가까운 거리에 서서 상기 김치냉장고를 이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내용물을 인출 및 저장중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이물질을 흘릴 위험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장점이 있으면서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보거나 조작할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경사각이 크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독성이 좋아지고 조작이 편리하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의한 함몰형 디스플레이장치에 비하여 저장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의 전면에는 덮개부(10)가 설치된다. 상기 덮개부(10)에는 그 전면 상단에 손잡이부(12)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10)의 양 측면 하단은 본체 전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덮개부(10)의 양 측면의 하단에는 'ㄷ'자형태 또는 곡선을 포함한 'ㄷ'자형태로 형성된 힌지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4)의 말단은 힌지축(16)에 의해 냉장고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 (16)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전면 중앙부에는 투명창(18)이 설치될 수 도 있다. 상기 투명창(18)은 상기 덮개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후술할 디스플레이부가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10)의 상단은 냉장고 본체쪽으로 꺽여 걸림턱(19)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부(10) 이면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20)가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20)는 폭이 좁은 긴 판의 형태이고, 그 중앙에 종방향 중심축을 따라 선형의 가이드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22)은 후술할 링크(30)를 상기 가이드(20)를 따라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20)에는, 상기 가이드(20)를 따라 일단부가 이동가능한 링크(30)가 설치된다. 상기 링크(30)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2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22)과 상기 링크(30)의 일단에 설치된 이동롤러(32)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30)는 상기 덮개부(10)의 높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폭이 좁은 판형태 또는 봉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링크(30)의 타단은 냉장고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링크는 힌지축(34)에 의하여 본체에 힌지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0) 상단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부(4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링크(30)보다 약간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냉장고의 상태를 이용자에게 알려주고 냉장고의 상태를 조절하는 부분이다. 상기 링크(30)의 회전중심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40)의 회전중심은 달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회전중심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탄성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5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탄성부재(50)는 도 4a에 도시된 바를 중심으로 볼때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본체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탄성부재(50)로 일측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냉장고 본체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용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순서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서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있는 상태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4b에서는 덮개부를 열고 있는 상태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4c에서는 상기 덮개부가 완전히 열려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모습을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먼저 덮개부(10)에 마련된 손잡이를 잡아당겨 상기 덮개부(10)를 개방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0)를 개방하기 전에는 상기 덮개부(10), 링크(30) 및 디스플레이부(40)가 겹쳐진 채로 밀착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덮개부(10) 전면에 구비된 투명창(18)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부(40)를 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경사가 수직에 가까우므로, 사용자가 선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사용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0)에 형성된 손잡이부(12)를 잡아당겨 상기 덮개부(10)를 연다. 상기 덮개부(10)는 힌지축(16)을 중심으로 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힌지부(14)의 형상에 의해 조금 앞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된다. 한편, 상기 덮개부(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덮개부(10)에 일체로 설치된 가이드(20)도 함께 회전한다.
상기 가이드(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20)와 연결된 링크(30)도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링크(30)는 그 타단이 냉장고 본체에 힌지축(34)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힌지축(34)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링크(30)가 상기 힌지축(34)를 중심으로 회전면서 상기 덮개부(10)와 상기 힌지축(34)와의 거리가 멀어진다. 이때, 상기 제 1 탄성부재(5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들어올린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0)가 더욱 개방되면 상기 덮개부(10)와 상기 힌지축(34) 사이의 거리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길이보다 길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링크(30)를 지나서 상기 덮개부(10)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9)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고, 이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냉장고의 상태를 관찰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차폐할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손으로 일정 깊이만큼 밀어 넣은 후에 상기 덮개부(10)를 닫아 차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을 살핀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힌지부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힌지축(16)에 상기 덮개부(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60)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탄성부재(60)는 일측이 힌지부(14)에 고정되고, 타측은 냉장고 본체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덮개부(10)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덮개부(10)는 제 2 탄성부재(60)에 의해 닫혀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10)를 닫을때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아래로 밀어넣고 상기 덮개부(10)의 손잡이부(12)를 놓아주면 자동으로 상기 덮개부(10)가 닫히게 되어 상기 덮개부(10)의 차폐과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10)의 복원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축방향으로 압축하게 되고,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폐가 가능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닫혀진경우에는 김치냉장고의 전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다. 따라서 이용자는 김치냉장고에 좀더 가까운 거리에 서서 김치냉장고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내용물을 인출 및 저장중에 디스플레이부에 이물질을 흘릴 위험성이 적은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방한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회전하여 고정되므로 디스플레이부의 경사각이 커 디스플레이부의 가독성이 좋아지고, 조작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닫혀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내부로 경사각을 가지고 함몰되지 않고 수직으로 위치하므로, 종래기술에 의한 함몰형 디스플레이부와 같이 김치냉장고 내부공간을 줄어들게 하지않으므로 냉장고 내부공간의 이용효율이 좋은 효과가 있다.
Claims (7)
- 하단부가 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부와;상기 덮개부 내면의 양 측면에 구비되고, 종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가이드와;일단이 상기 가이드의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냉장고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 그리고일단이 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냉장고 본체의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덮개부는 하단에 설치된 "ㄷ"자 형태의 힌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덮개부는 상기 힌지부 말단에 설치된 힌지축에 의하여 본체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링크는 상기 링크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상기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덮개부의 회전축에는, 상기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을 더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을 더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하단부가 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부와;상기 덮개부 내면의 양 측면에 구비되고, 종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가이드와;일단이 상기 가이드의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냉장고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 그리고일단이 상기 링크의 냉장고 본체에 대한 회전축과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냉장고 본체의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3970A KR100678678B1 (ko) | 2005-08-11 | 2005-08-11 |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3970A KR100678678B1 (ko) | 2005-08-11 | 2005-08-11 |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8678B1 true KR100678678B1 (ko) | 2007-02-06 |
Family
ID=3810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3970A KR100678678B1 (ko) | 2005-08-11 | 2005-08-11 |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8678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13955A (ko) * | 1988-02-02 | 1989-09-26 | 이반 밀러 레르니 |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 |
KR950019566A (ko) * | 1993-12-03 | 1995-07-24 | 이헌조 | 냉장고의 온도조절부 덮개 개폐장치 |
-
2005
- 2005-08-11 KR KR1020050073970A patent/KR10067867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13955A (ko) * | 1988-02-02 | 1989-09-26 | 이반 밀러 레르니 |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 |
KR950019566A (ko) * | 1993-12-03 | 1995-07-24 | 이헌조 | 냉장고의 온도조절부 덮개 개폐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55826B1 (ko) | 냉장고 | |
JP3679003B2 (ja) | 冷蔵庫の扉開閉装置 | |
JP2001287584A (ja) | 物品支持装置 | |
WO2015078315A1 (zh) | 双向开门装置及具有该装置的冰箱 | |
KR100678678B1 (ko) |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0804272B1 (ko) |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의 개폐구조 | |
KR101036306B1 (ko) | 냉장고용 홈바구조 | |
KR20080084782A (ko) | 냉장고의 서랍 개폐 장치 | |
JP6425811B2 (ja) | 引出し式ケース | |
JPH08240378A (ja) | 貯蔵庫 | |
JP2001349130A (ja) | 保管庫 | |
KR101248297B1 (ko) | 홈바 도어의 개폐장치 | |
KR100654990B1 (ko) | 김치냉장고의 서랍저장용기 개폐 구조 | |
KR101334477B1 (ko) |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 |
KR100603732B1 (ko) |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각도 정지 장치 | |
KR101197791B1 (ko) |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0424107B1 (ko) | 김치저장고의 도어개폐 장치 | |
KR100634363B1 (ko) |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0608953B1 (ko) |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 |
KR20050017056A (ko) | 도어 손잡이 | |
KR20080045469A (ko) | 냉장고용 도어핸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저장공간개폐장치 | |
KR100679653B1 (ko) | 도어 수납부의 개폐장치 | |
KR101143677B1 (ko) |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 |
JP2004290291A (ja) | 収納キャビネット | |
JP2005179906A (ja) | 昇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