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477B1 -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477B1
KR101334477B1 KR1020060121178A KR20060121178A KR101334477B1 KR 101334477 B1 KR101334477 B1 KR 101334477B1 KR 1020060121178 A KR1020060121178 A KR 1020060121178A KR 20060121178 A KR20060121178 A KR 20060121178A KR 101334477 B1 KR101334477 B1 KR 101334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refrigerator
opening
open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0671A (ko
Inventor
도한영
김주현
김민섭
유민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477B1/ko
Publication of KR2008005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핸들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체의 일측을 밀어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보조하는 개방보조수단이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장고 본체(100)의 저장공간(S)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200)와; 상기 본체(100)의 개구된 저장공간(S)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200)와; 상기 도어(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동시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핸들(300)과; 상기 도어핸들(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핸들(300)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100)의 일측을 밀어 상기 도어(200)의 개방을 보조하는 개방보조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개방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도어, 도어핸들, 개방, 보조, 레버

Description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개방보조수단의 작동을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20. 냉동실
140. 냉장실 200. 도어
220. 냉동실도어 222. 디스펜서
240. 냉장실도어 242. 홈바
260. 안착부 300. 도어핸들
320. 파지부 340. 연장부
400. 개방보조수단 420. 핸들부재
422. 제1돌출부 422'. 제2돌출부
424. 삽입부 426. 제1구속홈
428. 제1가이드돌기 440. 작용부재
442. 이동부 444. 접촉부
446. 제2구속홈 448. 제2가이드돌기
460. 레버부재 462. 회동돌기
464. 제1장공 466. 제2장공
480. 장착브라켓 482. 장착구
490. 핸들커버 S. 저장공간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핸들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체의 일측을 밀어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보조하는 개방보조수단이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상태에 따라서 냉동 또는 냉장하여 보관하게 된다.
냉장고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며,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냉매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다.
즉,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위치 및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며, 대표적으로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방에 위치한 탑마운트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와, 냉동실이 하방에 위치한 바텀프리즈타입(Bottom freezez type) 의 냉장고, 그리고, 좌우에 각각 냉동실과 냉장실이 위치하는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Side by side type) 의 냉장고로 분류되며, 이들의 상세한 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냉장고 외에도 김치의 저장을 위한 김치냉장고, 또는 와인의 저장을 위한 와인냉장고 등 저장하고자하는 식품의 특성에 맞추어 다른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들도 있다.
이들 냉장고의 저장공간은 도어에 의해 차폐되며, 이러한 도어는 개폐방식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회동식 도어와, 전후방향 인출입에 의해 개폐되는 서랍식도어로 구성됩니다.
이와 같은 도어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파지하는 도어핸들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핸들을 파지한 채로 도어를 회동시키거나 인출입시켜 저장공간의 개폐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회동시켜야하며,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도어핸들을 파지한 채로 회동시키거나 당기는 등 의 조작을 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냉장고 도어의 이면과 상기 냉장고 본체의 사이에는 가스켓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는 소정의 힘을 가해 주어야만 한다. 즉,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는 상기 도어의 이면과 냉장고 본체 사이가 이격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해주어야만 한다.
특히, 회동식 도어의 이면에 식품이 저장되는 경우 또는 서랍식 도어에서 서랍의 내부에 식품이 많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어 자체의 무게 또한 무겁게 되어 도어의 개방을 위한 조작을 위해서는 더욱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가해지는 힘은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령 등에 따라 조작하기 힘들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 도어의 핸들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체의 일측을 밀어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보조하는 개방보조수단이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보조하는 개방보조수단에 레버부재에 의해 상대운동하는 핸들부재와 작용부재가 구비되어 핸들의 조작을 통해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장고 본체의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파지부가 상기 도어 전면으로 부터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도어의 일측을 관통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도어핸들;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도어의 단부에 수용되며, 상기 파지부의 전후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개방보조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개방보조수단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핸들부재와; 상기 도어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핸들부재와의 상대 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퇴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을 밀어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작용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기 핸들부재와 상기 작용부재에 축결합되어 상기 파지부의 조작시 회전에 의해 상기 핸들부재와 상기 작용부재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부재의 중앙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회동 중심이 되는 회동돌기와; 상기 회동돌기의 상방으로 길게 천공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일측이 수용되는 제1장공과; 상기 회동돌기의 하방으로 길게 천공 형성되어, 상기 작용부재의 일측이 수용되는 제2장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재는, 상기 도어핸들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작용부재를 가이드 하는 제2돌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삽입부로 상기 작용부재가 진퇴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핸들부재의 이면 일측에는 상기 레버부재의 상단을 수용하여 일방향 회동을 구속하는 제1구속홈이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재의 이면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1장공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된다.
상기 작용부재는, 상기 핸들부재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진퇴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일측과 접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용부재의 이면 일측에는 상기 레버부재의 하단을 수용하여 일방향 회동을 구속하는 제2구속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용부재의 이면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2장공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1구속홈과 제2구속홈은 각각 상방과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의 조작과 동시에 개방보조수단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와 냉장고 도어의 개폐방식에 관계없이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의 본체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각각 좌우로 구획된 냉동실(120)과 냉장실(140)이 형성된다.
상기 냉동실(120)과 냉장실(140)의 전면은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냉동실(120)과 냉장실(140)은 각각 냉장고 도어(20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200)는 냉동실도어(220)와 냉장실도어(240)로 구성되며, 상기 냉동실도어(220)와 냉장실도어(240)는 각각 상기 본체의 좌/우 측단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도어(240)와 냉동실도어(220)는 바깥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도어(240)와 냉동실도어(2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고의 저장공간(S)인 냉장실(140)과 냉동실(120)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도어(220)의 전면에는 필요에 따라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222)가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도어(240)의 전면에는 외부에서 냉장실도어(240)를 개방하지 않고 내부의 식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홈바(24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 도어(200)의 전면에는 도어핸들(30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핸들(300)은 상기 도어(200)의 개방시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 상기 냉동실도어(220)의 전면 우측단과 상기 냉장실도어(240)의 전면 좌측단에 구비된다.
상기 도어핸들(300)은 상기 냉장고 도어(2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환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200)의 전면으로부터 다소 전방으로 이격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조작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핸들(300)의 구성은 냉장실도어(240)와 냉동실도어(220)에 관계없이 동일하며, 그 장착위치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냉장실도어(240)와 냉동실도어(220)를 구분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도어핸들(300)의 형상 또한 상하 대칭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어핸들(300)의 상부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도어핸들(300)은 파지부(320)와 연장부(340)로 구성된다.
상기 파지부(320)는 상기 도어핸들(300)의 조작시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환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2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340)는 상기 파지부(320)가 상기 도어(20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파지부(320)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도어(200)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34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단면의 형상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340)는 상기 도어핸들(300)의 장착시 상기 도어(20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320)의 위치가 상기 도어(200)의 일측단에서 다소 내측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파지 및 조작이 한층 더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핸들(300)의 상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장부(340)의 좌 측단에는 개방보조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개방보조수단(400)은 상기 도어핸들(300)의 조작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0)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도어(200)의 개방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핸들부재(420)와 작용부재(440) 그리고 레버부재(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핸들부재(420)는 상기 도어핸들(300)의 일단 즉, 상기 연장부(340)의 우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도어핸들(3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재(420)는 아래에서 설명할 작용부재(440)가 수용 가능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422)와 제2돌출부(42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돌출부(422)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상부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연장부(340)의 상부에서 우측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돌출부(422)의 상하폭은 상기 연장부(340) 폭의 절반 정도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작용부재(440)의 이동부(442)의 상하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연장부(340)의 우측단 하측에는 제2돌출부(4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부(422')는 아래에서 설명할 작용부재(440)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상기 제1돌출부(422)와 이격된 하방에 상기 제1돌출부(422)와 나란하게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돌출부(422)와 제2돌출부(422')의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인 삽입 부(424)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424)에는 작용부재(440)가 삽입 장착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424)의 간격은 상기 작용부재(440)의 이동부(442) 상하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돌출부(422)의 이면(도 2 에서 볼 때 전면)의 좌우측과 상측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측의 단차부에는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 제1구속홈(426)이 형성된다.
상기 제1구속홈(426)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레버부재(460)의 상단이 수용되는 것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구속홈(426)은 레버부재(460)의 시계방향(도 2 에서 볼 때)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구속홈(426)의 우측부는 레버부재(460) 상단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구속홈(426)의 좌측부는 레버부재(460) 상단의 곡률보다 더 완만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구속홈(426)에 상단이 수용되는 레버부재(460)는 시계방향의 회동이 구속되는 반면 반시계방향의 회동은 자유롭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구속홈(426)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1돌출부(422)의 이면에는 제1가이드돌기(428)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돌기(428)는 아래에서 설명할 레버부재(460)의 제1장공(464)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1장공(464)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1돌출부(422)의 이면에서 전방(도 2 에서 볼 때)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재(420)의 제1돌출부(422)와 제2돌출부(422')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삽입부(424)에는 작용부재(44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작용부재(440)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핸들부재(420)의 이동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접하는 것으로, 이동부(442)와 접촉부(444)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442)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삽입부(424)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부(424)의 상하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422)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442)의 이면(도 2 에서 볼 때 전면)의 좌우측과 하측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며, 하측의 단차부에는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 제2구속홈(44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구속홈(446)의 위치는 상기 제1구속홈(426)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게 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2구속홈(446)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레버부재(460)의 하단이 수용되는 것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구속홈(446)은 레버부재(460)의 시계방향(도 2 에서 볼 때)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구속홈(446)의 좌측부는 레버부재(460) 하단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구속홈(446)의 우측부는 레버부재(460) 하단의 곡률보다 더 완만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구속홈(446)에 하단이 수용되는 레버부재(460)는 시계방향의 회동이 구속되는 반면 반시계방향의 회 동은 자유롭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구속홈(446)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이동부(442)의 이면에는 제2가이드돌기(448)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돌기(448)는 아래에서 설명할 레버부재(460)의 제2장공(466)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2장공(466)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부(442)의 이면에서 전방(도 2 에서 볼 때)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442)의 우측단(도 2 에서 볼 때)에는 접촉부(444)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444)는 상기 이동부(442)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접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를 밀어 상기 도어(200)가 용이하게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444)는 상기 이동부(442)의 우측단과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와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442)와는 직교하는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접촉부(444)는 상기 이동부(442)가 상기 삽입부(424)로 완전하게 삽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부(424)의 우측단은 물론 상기 핸들부재(420)의 좌측단을 차폐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재(420)와 작용부재(440)의 전방(도 2 에서 볼 때)에는 레버부재(460)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부재(460)는 상기 핸들부재(420)와 작용부재(440)가 연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핸들부재(420)와 작용부재(440)를 서로 연결하도록 장착되며,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레버부재(46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막대 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대략 중앙부에는 회동돌기(462)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돌기(462)는 상기 레버부재(460)의 회동을 위한 것으로, 상기 레버부재(460)의 중앙에서 전방(도 2 에서 볼 때)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도어(200)의 이면에 형성된 안착부(260) 또는 상기 도어핸들(300)의 장착을 위한 장착브라켓(480)에 형성된 장착구(482)에 삽입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부재(460)는 상기 회동돌기(46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구속홈(426)과 제2구속홈(446)에 각각 상단과 하단이 수용되어 시계방향의 회동이 제한되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돌기(462)는 상기 도어(200)의 안착부(260)나 장착브라켓(480) 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핸들부재(420)의 제1돌출부(422) 또는 상기 작용부재(440)의 이동부(44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돌기(462)를 기준으로 상기 레버부재(46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1장공(464)과 제2장공(466)이 형성된다.
상기 제1장공(464)은 상기 제1가이드돌기(428)를 수용하여 상기 핸들부재(420)의 이동시 상기 제1가이드돌기(428)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회동돌기(462)의 일측에서 상기 레버부재(460)의 상단까지 길게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장공(466)은 제2가이드돌기(448)를 수용하여 상기 작용부재(440)의 이동시 상기 제2가이드돌기(448)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회동돌기(462)의 일측에서 상기 레버부재(460)의 하단까지 길게 천공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핸들(300)이 장착되는 상기 도어(200)의 단부에는 안착부(26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60)는 상기 도어(200)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함 몰 형성되거나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핸들(300)의 연장부(340)는 외부로 노출되는 반면, 상기 개방보조수단(400)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보조수단(400)의 상하 좌우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핸들(300)의 장착시 상기 도어핸들(300)의 연장부(340) 및 파지부(320)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핸들(30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안착부(260)에 장착브라켓(480)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장착브라켓(480)은 상기 도어핸들(300)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개방보조수단(4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재(420)와 작용부재(440)의 이면과 형합되어 이들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안내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 개방보조수단(400)의 후방에는 핸들커버(490)가 장착된다. 상기 핸들커버(490)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후방을 차폐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도어(200)의 일단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장착브라켓(480)과 결합되어 상기 개방보조수단(400)이 상기 도어(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핸들부재(420)와 작용부재(440)의 원활한 이동을 가이드 하기도 한다.
상기 핸들커버(490)는 장착시 상기 도어(200)의 일단과 동일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장착브라켓(480) 또는 상기 안착부(260)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200)의 일측단 외형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핸들(300)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도어핸들(300)의 파지부(320)와 연장부(340)는 상기 도어(20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방보조수단(400)은 상기 도어(2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보조수단(400)이 구비된 도어(200)의 일단은 핸들커버(490)에 의해 차폐되어 도어(200)의 일측단이 돌출된 부분 없이 매끄럽게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개방보조수단의 작동을 보인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200)가 개방되는 모습을 살펴보면, 우선 냉장고 도어(200)는 저장공간(S)을 차폐하기 위해 닫힌 상태에서는 본체(100)의 일측과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작용부재(440)가 상기 핸들부재(420)의 삽입부(424) 내측으로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도 4a 에 이와 같은 상태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작용부재(440)가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444)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우측면과 접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접촉부(444)의 우측면과 대응하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면접촉 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접촉 부(444)가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밀착되지 않고 다소 떨어져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용부재(440)가 상기 핸들부재(420)의 삽입부(424)로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재(460)는 상기 작용부재(440)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420)의 제1가이드돌기(428)는 상기 제1장공(464)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작용부재(440)의 제2가이드돌기(448)는 상기 제2장공(466)의 가장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부재(46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제1구속홈(426)과 제2구속홈(446)에 수용되며, 이들 각각은 상기 제1구속홈(426)과 제2구속홈(446) 중 상기 레버부재(460)의 상단과 하단의 곡률에 대응하는 면과 접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200)의 개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핸들(300)을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300)의 파지부(3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도 4a 에서 좌측)으로 당기게 되면, 서로 일체로 결합 형성된 상기 도어핸들(300)의 연장부(340)와 파지부(320)가 전방으로 다소 돌출되고, 상기 작용부재(440)는 상기 레버부재(460)에 의해 후방(도 4a 에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0)의 일측을 밀면서 상기 도어(200)를 개방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사용자가 도어(200)의 개방을 위해 상기 도어핸들(300)의 파지부(320)를 파지한 채로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핸 들(300)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핸들부재(420)가 전방(도 4a 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들부재(420)의 이동을 제한하는 별도의 구성이 없으므로 상기 핸들부재(420)의 전방이동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300)을 당겨줌에 따라 상기 도어핸들(300) 즉, 상기 파지부(320)와 연장부(340)는 다소 전방으로 돌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4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460)의 상단을 수용하고 있는 제1구속홈(426)이 상기 레버부재(460)의 상단을 좌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즉 상기 레버부재(460)의 상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상기 제1구속홈(426)의 일측이 상기 레버부재(460) 상단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핸들부재(420)의 이동으로 상기 레버부재(460)는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려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부재(460)는 회동돌기(462)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부재(460)는 상기 제1구속홈(426)에 의해 반시계방향(도 4a 에서 볼 때)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레버부재의 반시계방향 회동으로 상기 제1가이드돌기(428)는 상기 제1장공(464)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시 레버부재(460)의 반시계방향 회동으로 상기 제2가이드돌기(448)는 상기 제2장공(466)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2가이드돌기(448)의 이동으로 상기 작용부재(440)의 이동부(44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작용부재(440)가 우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작용부재(440)의 하단이 수용된 제2구속홈(446)의 우측은 상기 작용부재(440) 하단의 곡률보다 완만한 곡률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작용부재(440)의 반시계방향의 회동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작용부재(440)가 완전하게 상기 핸들부재(4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상기 도 4b 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에도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작용부재(440)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개구된 면으로부터 후방(도 4b 에서 볼 때 우측)으로 돌출되며, 이때 상기 레버부재(460)는 원래의 상태에서 대략 45°각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비스듬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핸들(300)을 전방으로 당긴 상태에서는 상기 작용부재(44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본체(100)와 접하거나 인접한 위치에 있던 상기 작용부재(440)의 접촉부(444)가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면접촉하면서 상기 본체(100)를 밀어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를 이격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는 도 3 에 상세하게 도시되어있다.
상기 작용부재(440)의 후방 돌출로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는 보다 손쉽게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이격된 후에는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도어(200)를 회동시키거나 인출시키는 등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200)를 닫을 때에는 상기 도어(200)를 회동시켜 본체(100)와 접촉시키게 되면, 상기 작용부재(440)가 상기 도어(200)의 이면보다 먼저 상기 본체(100)와 접하게 되며, 상기 작용부재(440)가 상기 본체(100)와 접하여 상기 핸들부재(42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 기 핸들부재(420)를 원상태로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도어핸들(300)은 상기 도어(200) 개방 전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위해 상기 도어핸들을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개방보조수단의 레버부재에 의해 상기 핸들부재와 작용부재가 상대운동하게 되고, 상기 도어핸들을 당기는 힘만큼 작용부재가 본체의 일측을 밀어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가장 많은 힘이 드는 상기 본체와 도어의 이격순간에 보다 작은 힘으로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남녀노소 사용자의 제한 없이 사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핸들을 당기게 될 때 상기 도어핸들이 다소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도어핸들의 조작감이 더욱 우수해지게 됨은 물론 도의 개방순간을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사용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를 적절한 힘으로 개방가능하게 되어 순간적으로 강한 힘으 로 개방하게 되어 상기 도어의 이면에 저장된 식품들이 쓰러지거나 탈거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향상기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장고 본체의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파지부가 상기 도어 전면으로 부터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도어의 일측을 관통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도어핸들;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도어의 단부에 수용되며, 상기 파지부의 전후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개방보조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개방보조수단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핸들부재와;
    상기 도어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핸들부재와의 상대 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퇴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을 밀어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작용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기 핸들부재와 상기 작용부재에 축결합되어 상기 파지부의 조작시 회전에 의해 상기 핸들부재와 상기 작용부재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부재의 중앙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회동 중심이 되는 회동돌기와;
    상기 회동돌기의 상방으로 길게 천공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일측이 수용되는 제1장공과;
    상기 회동돌기의 하방으로 길게 천공 형성되어, 상기 작용부재의 일측이 수용되는 제2장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는,
    상기 도어핸들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작용부재를 가이드 하는 제2돌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삽입부로 상기 작용부재가 진퇴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구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의 이면 일측에는 상기 레버부재의 상단을 수용하여 일방향 회동을 구속하는 제1구속홈이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재의 이면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1장공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재는,
    상기 핸들부재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진퇴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일측과 접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재의 이면 일측에는 상기 레버부재의 하단을 수용하여 일방향 회동을 구속하는 제2구속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용부재의 이면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2장공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속홈과 제2구속홈은 각각 상방과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와 작용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측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연장부를 수용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결합시 상기 연장부를 차폐하여, 상기 도어의 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핸들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 구조.
KR1020060121178A 2006-12-04 2006-12-04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KR101334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78A KR101334477B1 (ko) 2006-12-04 2006-12-04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78A KR101334477B1 (ko) 2006-12-04 2006-12-04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671A KR20080050671A (ko) 2008-06-10
KR101334477B1 true KR101334477B1 (ko) 2013-12-05

Family

ID=3980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178A KR101334477B1 (ko) 2006-12-04 2006-12-04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7085A1 (en) 2021-01-07 2022-07-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0357B (zh) * 2012-12-24 2015-05-1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388U (ko) * 1997-09-08 1999-04-06 전주범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
JP2001280818A (ja) 2000-03-31 2001-10-10 Alpha Corp 冷蔵庫のドアハンドル構造
JP2001317864A (ja) 2000-04-28 2001-11-16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の扉開放装置
KR20060083552A (ko) * 2005-01-18 2006-07-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인체진단 기능을 구비하는 양문형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388U (ko) * 1997-09-08 1999-04-06 전주범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
JP2001280818A (ja) 2000-03-31 2001-10-10 Alpha Corp 冷蔵庫のドアハンドル構造
JP2001317864A (ja) 2000-04-28 2001-11-16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の扉開放装置
KR20060083552A (ko) * 2005-01-18 2006-07-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인체진단 기능을 구비하는 양문형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7085A1 (en) 2021-01-07 2022-07-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671A (ko) 200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310B1 (ko) 냉장고
KR101622228B1 (ko) 냉장고
US7765645B2 (en) Refrigerator
US10941973B2 (en) Refrigerator
JP2002522738A (ja) 冷蔵庫の扉開閉装置
US8459759B2 (en) Refrigerator and drawe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the same
KR20060081923A (ko) 냉장고
US9127879B2 (en) Refrigerator having door opening unit
KR101350018B1 (ko)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KR100767844B1 (ko) 냉장고
KR101737846B1 (ko) 냉장고
KR101334477B1 (ko)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JP2000292054A (ja) 冷蔵庫の収納容器
KR101869556B1 (ko) 냉장고
US11255601B2 (en) Refrigerator
KR20060082334A (ko) 냉장고
KR20060015146A (ko) 냉장고용 홈바구조
KR102093435B1 (ko) 냉장고
KR102179342B1 (ko) 냉장고
KR100717434B1 (ko) 냉장고의 제빙실도어 개폐구조
KR20060088593A (ko) 냉장고 홈바 손잡이 구조
KR102093461B1 (ko) 냉장고
KR102111717B1 (ko) 냉장고
KR102093448B1 (ko) 냉장고
KR102392210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