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086Y1 -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086Y1
KR200359086Y1 KR20-2004-0014417U KR20040014417U KR200359086Y1 KR 200359086 Y1 KR200359086 Y1 KR 200359086Y1 KR 20040014417 U KR20040014417 U KR 20040014417U KR 200359086 Y1 KR200359086 Y1 KR 200359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rotating member
kitchen
home automatio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홍
Original Assignee
현대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4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 씽크대의 상단에 모니터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방일을 하면서 FM/AM수신 및 TV시청을 함과 동시에 현관문을 열지 않고 방문객을 확인하는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모니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장착되어 회전축에 의해 상,하로 77~108˚ 회전하는 회전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와 모니터에 장착되어 좌,우로 최대 155˚ 회전하여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내측에 장착되어 하강하는 모니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가 구비된 감속부가 구성되는 것으로, 조작버튼을 원터치로 눌러서 사용하므로 제품의 사용이 편리하며, 회전부재의 내부에 장착된 감속기어가 모니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므로,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켰고, 멈춤턱이 형성된 슬라이드공과 각도조절부재가 형성되어 모니터를 사용자가 시청하기 편리한 각도로 조절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물기 있는 손으로 모니터를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감전이나 오작동 등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home automation for monitor in angle regulation device}
본 고안은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버튼을 원터치로 눌러서 사용하므로 제품의 사용이 편리하며, 감속기어가 모니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켰고, 멈춤턱이 형성된 슬라이드공과 각도조절부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모니터를 시청하기 편리한 각도로 조절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물기 있는 손으로 모니터를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감전이나 오작동 등을 최소화하는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오토메이션은, 아파트나 연립주택 및 일반주택의 현관문에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현관문을 열지 않고 방문객을 확인하면서 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요리, 식사대화 등의 가정사가 주방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특히 가정주부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주방에서 소요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주부들의 주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고, 주방용품에 대한 질적인 향상이 눈부시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에는 가정주부가 주방에서 설겆이나 요리 등을 하면서 음악을 청취하거나 TV시청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수납장의 하단부에 모니터를 설치하는 방향으로 구조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주방용 모니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의 수납장(10) 하단부에 수용공간(21)이 형성된 하우징(20)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21)에 모니터(30)가 수용되어 좌우측에 형성된 힌지(31)로 결합되고, 상기 모니터(30)의 끝단부에 하우징(20)과 고정되도록 고정장치(40))가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주방용 모니터는, 모니터의 끝단부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하우징과 고정하므로 제품의 견고성이 저하되고, 모니터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모니터의 상단부위를 잡아당겨서 강제로 착탈시키므로, 제품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져 제품이 손상되어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주방에서 일하는 도중에 TV시청이나 방문자를 확인하기 위해 물기 있는 손으로 모니터 부위를 조작하게 되므로 제품의 고장 및 오동작의 원인이 되어 비경제적이며, 무엇보다 감전의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작버튼을 원터치로 눌러서 모니터를 하향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제품의 편리성을 극대화 하였으며, 회전부재의 내부에 감속기어를 장착하여 하중에 의해서 빠른속도로 하강하는 모니터를 감속시키므로,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켰고, 멈춤턱이 형성된 슬라이드공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모니터를 주시할 수 있도록 77˚까지 모니터가 1차적으로 하강되고, 사용자가 임의로 108˚까지 조절 가능하게 하므로서 모니터를 보기 편리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니터를 좌,우로 최대 155˚까지 회전할 수 있어 사용자가 주방일을 하는 위치에 따라 편리하게 TV시청이나 방문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물기있는 손으로 모니터를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감전이나 오작동 등을 최소화하는 홈오토메이션용 모니터의 작동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방 씽크대의 상단에 모니터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방일을 하면서 FM/AM수신 및 TV시청을 함과 동시에 현관문을 열지 않고 방문객을 확인하는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모니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장착되어 회전축에 의해 상,하로 77~108˚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모니터에 장착되어 좌,우로 최대 155˚ 회전하여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내측에 장착되어 하강하는 모니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주방 모니터의 측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저면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 하우징의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 회전부재와 각도조절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도 6는 본 고안의 회전부재가 하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모니터가 하우징 내부에 안착된 상태이고,
b는 모니터가 하향으로 77˚ 회전된 상태이며,
c는 모니터가 108˚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각도조절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모니터가 좌,우로 회전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모니터가 좌,우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주요설명>
100: 하우징 110: 본체
120: 고정부 200: 회전부재
210: 커버 300: 각도조절부재
310: 몸체 320: 브라켓
400: 감속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회전부재와 각도조절부재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주방 씽크대의 상단에 모니터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방일을 하면서 FM/AM수신 및 TV시청을 함과 동시에 현관문을 열지 않고 방문객을 확인하는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10)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모니터(3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1)이 구비되는 하우징(100)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작동공간(112)에 장착되어 회전축(211)에 의해 상,하로 77~108˚ 회전하는 회전부재(200)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재(200)와 모니터(30)에 장착되어 좌,우로 최대 155˚ 회전하여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300)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재(200)의 내측에 장착되어 하강하는 모니터(3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410)가 구비된 감속부(4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00)은 모니터(3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1)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11)의 전면 중앙에 상기 회전부재(200)가 장착되어 회전하도록작동공간(112)이 구비되며, 전면 일측에 조작버튼(115)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공간(112)의 일측에 감속기어(410)가 맞물리는 나사산(114)과 회전부재(200)의 회전축(211)이 결합되도록 지지공(113)이 관통되는 본체(110)가 구비되며, 타측에 회전축(211)을 고정하는 고정공(123)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공(123)의 상부에 부채꼴형상의 슬라이드공(121)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공(121)의 끝단부에 멈춤턱(122)이 돌출되어 본체(100)에 결합되는 고정부(120)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지지공(113)과 고정공(123)에 장착되도록 회전축(211)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공(121)에 끼워져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돌기(212)가 구비되며, 타측에 상기 감속부(400)가 결합되도록 결합공(213)이 구비되고, 하단부에 상기 회전부재(200)를 수용하는 수용공(214)이 구비되며, 상기 감속부(400)와 회전부재(200)가 커버(210)의 내측에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안내리브(215)가 구성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300)는 상기 커버(210)에 장착되도록 일측에 결합리브(314)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나사산(312)이 구비되며, 상기 나사산(312)의 상부 일측에 멈춤돌기(313)가 구비된 몸체(3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3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12)에 끼워져 각도를 조절하도록 외주면에 탄성편(321)이 구비되며, 상단부에 고정돌기(322)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모니터(30)의 상단부에 장착되도록 장착리브(323)가 돌출된 브라켓(320)이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재(300)의 몸체(310) 내부에 브라켓(320)을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넣어 몸체(31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312)에 탄성편(321)이 회전 가능하도록 밀착시키고 고정돌기(322)를 몸체(310)의 멈춤돌기(313)에 위치하도록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한 각도조절부재(300)를 회전부재(200)의 커버(210) 내측에 형성된 안내리브(215)에 결합리브(314)를 정확히 위치시키고, 커버(21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213)에 감속기어(410)가 커버(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시켜 커버(210)의 외측에서 스크류(S)로 결합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된 각도조절부재(300)를 모니터(M)에 결합하기 위해서 브라켓(320)의 장착리브(323)를 모니터(30)의 상단부에 위치시켜 스크류(S)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회전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211)을 본체(110)의 지지공(113)에 끼워 결합함과 동시에 감속기어(410)를 나사산(114)에 맞물리도록 설치하고, 타측에 회전축(211)을 고정하도록 고정공(123)에 끼운 후, 커버(210)의 안내돌기(212)를 슬라이드공(121)에 안착시켜 본체(110)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모니터(30)를 회전시켜 수용공간(111)에 내장한 하우징(100)을 수납장의 하단부에 위치시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장착되어 있는 모니터(30)를하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된 조작버튼(115)을 손으로 눌러 터치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작버튼(115)을 터치를 하게 되면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모니터(30)의 고정부재(40)가 해제가 되면서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커버(210)의 내측에 장착된 감속기어(410)가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나사산(114)과 맞물려서 작동하므로 중력에 의해서 빠른속도로 회전되어 내려오는 모니터(30)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하향으로 회전되는 모니터(30)는 슬라이드공(121)에 형성된 멈춤턱(122)에 의해 77˚까지 천천히 내려와 멈추게 된다.
한편, 모니터(30)가 하향으로 회전되어 멈춘 상태에서 TV를 시청하거나 방문객을 확인 할 수는 있지만,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모니터(30) 각도도 조절되어야 하므로, 사용자는 모니터(30)를 사용자측으로 잡아당겨 최대 108˚까지 임의로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기 편리하게 위치 시킨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30)를 하향으로 회전하여 조절 한 후, 사용자가 주방일을 하는 위치에서 시청이 용이하도록 모니터(30)를 좌,우로 조절하게 되는데, 이 모니터(30)는 최대 155˚까지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모니터(30)를 회전하여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때, 각도조절부재(300)에 형성된 나사산(312)과 탄성편(321)이 맞물려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돌아가는 느낌을 감지하여 정확한 위치로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모니터(30)를 원하는 각도에 위치 시킨 상태에서, TV시청을 하거나 방문객을 편리하게 확인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조작버튼을 원터치로 눌러서 모니터를 하향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제품의 편리성을 극대화 하였으며, 회전부재의 내부에 감속기어를 장착하여 하중에 의해서 빠른속도로 하강하는 모니터를 감속시키므로,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켰고, 멈춤턱이 형성된 슬라이드공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모니터를 주시할 수 있도록 77˚까지 모니터가 1차적으로 하강되고, 사용자가 임의로 108˚까지 조절 가능하게 하므로서 모니터를 보기 편리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니터를 좌,우로 최대 155˚까지 회전할 수 있어 사용자가 주방일을 하면서 편리하게 TV시청이나 방문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물기가 뭍어있는 손으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로 인한 감전이나 오작동 등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주방 수납장(10)의 상단에 모니터(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방일을 하면서 FM/AM수신 및 TV시청을 함과 동시에 현관문을 열지 않고 방문객을 확인하는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10)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모니터(3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1)이 구비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작동공간(112)에 장착되어 회전축(211)에 의해 상,하로 77~108˚ 회전하는 회전부재(200)와;
    상기 회전부재(200)와 모니터(30)에 장착되어 좌,우로 최대 155˚ 회전하여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300)와;
    상기 회전부재(200)의 내측에 장착되어 하강하는 모니터(3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감속기어(410)가 구비된 감속부(4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의 작동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모니터(3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1)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11)의 전면 중앙에 상기 회전부재(200)가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작동공간(112)이 구비되며,전면 일측에 조작버튼(115)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공간(112)의 일측에 감속기어(410)가 맞물리는 나사산(114)과 회전부재(200)의 회전축(211)이 결합되도록 지지공(113)이 관통되는 본체(110)가 구비되며, 타측에 회전축(211)을 고정하는 고정공(123)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공(123)의 상부에 부채꼴형상의 슬라이드공(121)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공(121)의 끝단부에 멈춤턱(122)이 돌출되어 본체(100)에 결합되는 고정부(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오토메이션용 모니터의 작동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지지공(113)과 고정공(123)에 장착되도록 회전축(211)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공(121)에 끼워져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돌기(212)가 구비되며, 타측에 상기 감속부(400)가 결합되도록 결합공(213)이 구비되고, 하단부에 상기 회전부재(200)를 수용하는 수용공(214)이 구비되며, 상기 감속부(400)와 회전부재(200)가 커버(210)의 내측에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안내리브(2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오토메이션용 모니터의 작동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300)는,
    상기 커버(210)에 장착되도록 일측에 결합리브(314)가 구비되고, 내주면에나사산(312)이 구비되며, 상기 나사산(312)의 상부 일측에 멈춤돌기(313)가 구비된 몸체(3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3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12)에 끼워져 각도를 조절하도록 외주면에 탄성편(321)이 구비되며, 상단부에 고정돌기(322)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모니터(30)의 상단부에 장착되도록 장착리브(323)가 돌출된 브라켓(3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오토메이션용 모니터의 작동구조.
KR20-2004-0014417U 2004-05-24 2004-05-24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KR200359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417U KR200359086Y1 (ko) 2004-05-24 2004-05-24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417U KR200359086Y1 (ko) 2004-05-24 2004-05-24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086Y1 true KR200359086Y1 (ko) 2004-08-16

Family

ID=4943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417U KR200359086Y1 (ko) 2004-05-24 2004-05-24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0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06B1 (ko) * 2005-05-21 2012-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06820A (ko) * 2014-07-09 2016-01-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모니터 콘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06B1 (ko) * 2005-05-21 2012-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06820A (ko) * 2014-07-09 2016-01-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모니터 콘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7723B1 (en) Sliding hinge for a domestic appliance
KR20080021921A (ko) 세탁 장치
US20140238832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panel assembly thereof
US11585596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02551B2 (en) Dishwasher
KR200359086Y1 (ko) 홈오토메이션용 주방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CN107299497B (zh) 一种上盖开合安全控制结构
KR102643352B1 (ko) 의류처리장치
CN105063970B (zh) 用于洗衣机的壳体组件及洗衣机
CN105063971A (zh) 用于洗衣机的壳体组件及洗衣机
CN108577763B (zh) 洗碗机及其关门控制装置
CN108468470B (zh) 具有折叠功能的门提手及卧式冷柜
CN106895647B (zh) 制冷器具
JP4998282B2 (ja) 組込式加熱調理器
EP2092871A1 (en) Device for coupling an access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a dishwashing machine, to a covering panel
KR20160004363U (ko) 도어 스토퍼
CN109208279B (zh) 一种衣物处理装置
CN108301684B (zh) 折叠把手及制冷设备
CN219622463U (zh) 一种隐藏式门把手及智能门
CN214498720U (zh) 家用电器
CN217439777U (zh) 铰链及电器设备
KR100488530B1 (ko) 빌트인 냉장고
CN215686929U (zh) 双控制控盒和具有其的烹饪器具
CN114680581B (zh) 烹饪器具
CN220192956U (zh) 一种操控装置及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