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781B1 - 장갑, 터치 부재 및 도전 물질 스프레이 - Google Patents

장갑, 터치 부재 및 도전 물질 스프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781B1
KR101133781B1 KR1020110027568A KR20110027568A KR101133781B1 KR 101133781 B1 KR101133781 B1 KR 101133781B1 KR 1020110027568 A KR1020110027568 A KR 1020110027568A KR 20110027568 A KR20110027568 A KR 20110027568A KR 101133781 B1 KR101133781 B1 KR 101133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finger
glove
conductive
condu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우
Original Assignee
(주)바스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스탄 filed Critical (주)바스탄
Priority to KR1020110027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781B1/ko
Priority to PCT/KR2012/002248 priority patent/WO2012134154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1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 H01B1/16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loves (AREA)

Abstract

장갑이 개시된다.
개시된 장갑은,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부;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몸체부; 및 상기 손가락부나 몸체부의 전부나 혹은 적어도 일부가 도전 물질로 형성된 터치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장갑을 낀 채로 터치 패널이 사용되는 전자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장갑, 터치 부재 및 도전 물질 스프레이{Gloves, touch element and conductive material spray}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장갑을 낀 채로 터치 패널을 접촉해도 터치 패널이 동작되는 장갑과, 장갑에 결합하여 터치 패널을 동작할 수 있는 터치 부재 및 장갑에 도전 물질을 도포할 수 있는 도전 물질 스프레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전자 제품 또는 전자 설비의 고기능화 및 다양화에 따라 터치 패널이 설치된 전자 장치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손가락 또는 터치 펜과 같은 다른 부재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을 접촉함으로써 전자 장치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예를 들어 저항 압력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등으로 동작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많이 늘고 있고, 스마트폰에서는 터치 능력이 우수한 정전 용량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정전 용량 방식은 도전성이 있는 특정 물체가 터치 패널을 접촉했을 때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다. 인체도 미세 전류가 통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접촉하였을 때 터치한 부분에서의 정전 용량이 변하고, 이 변화를 감지하여 특정의 입력부를 접촉하였음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도전성을 가지는 물체 또는 사람이 터치 패널을 접촉하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일반적인 장갑, 예를 들어 가죽 장갑이나 섬유 원단으로 만든 우븐 장갑, 실로 짠 니트 장갑을 낀 채로 터치 패널을 접촉하는 경우에는 이런 장갑류는 부도체이므로 터치 패널이 동작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겨울철에 스마트폰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장갑을 빼고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은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터치 패널을 구비한 여러 가지 전자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갑을 끼고 작업을 해야 하는 직종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 어떤 전자 제품에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을 하고자 할 때 장갑을 벗은 다음 입력을 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작업 능률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장갑을 낀 채로 터치 패널을 동작시킬 수 있는 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장갑에 결합하여 터치 패널을 동작시킬 수 있는 터치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은 장갑에 도전 물질을 도포하여 장갑이 터치 패널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전 물질 스프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부;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몸체부; 및 상기 손가락부나 몸체부의 전부나 혹은 적어도 일부가 도전 물질로 형성된 터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부는 원사나 원단 또는 가죽에 Ni, Cu, Cr, Au, 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금속, 합금, 은나노, 탄소나노튜브, 블랙카본, 탄소섬유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 물질이 1Ωcm 이하의 비저항이나 1Ω/□ 이하의 면저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갑은 밑실과 윗실로 짜여진 니트 장갑이고, 상기 터치부의 윗실이 도전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갑은 밑실과 윗실로 짜여진 니트 장갑이고, 상기 터치부의 윗실이 도전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밑실이 스판사나 고무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윗실은 1Ωcm 이하의 비저항을 가지는 도전 물질로 만든 도전사에 아크릴이나 울 또는 면을 섞어 한 가닥으로 만든 실 또는 1Ωcm 이하의 비저항을 가지는 도전 물질로 만든 도전사와 아크릴사나 울사, 면사를 한 가닥 이상 꼬아서 형성된 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윗실은 36수 이하의 굵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손가락부와 몸체부 사이의 경계에 도전사로 짜여진 적어도 한 줄 이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갑이 섬유 원단 또는 가죽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부가 도전 원단이나 도전 가죽으로 형성되며, 상기 섬유 원단 또는 가죽이 터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전 원단과 도전 가죽은 원단이나 가죽에 Ni, Cu, Cr, Au, Ag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금속, 합금, 은나노, 탄소나노튜브, 블랙카본, 탄소섬유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 물질로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가 장갑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가 골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가 탄성체 밴드를 포함하거나, 접착층과 접착층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물질 스프레이는, 스프레이 용기; 상기 스프레이 용기 내에 분말 상태 또는 액화된 상태로 수용된 도전 물질; 및 상기 스프레이 용기의 입구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도전 물질을 분무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도 터치 패널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매우 편리하게 터치 패널을 구비한 전자 기기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는 장갑의 필요한 곳에 끼우거나 부착하여 터치 패널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하던 장갑을 터치 패널용 장갑으로 바꾸지 않고도 간단하고 저렴하게 터치 패널을 구비한 전자 기기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전 물질 스프레이는 장갑에 도전 물질을 분무하여 장갑을 끼고도 터치 패널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고, 기존에 사용하던 장갑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갑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2b, 2c, 2d,2e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니트 장갑에 사용되는 원사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손바닥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도 4a에 터치부의 영역이 장갑 전체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일 손가락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일 손가락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손바닥면에 터치부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장갑의 손바닥면에 터치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장갑의 손바닥면에 손등면이 결합된 상태의 일 손가락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일 손가락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장갑의 일 손가락부의 손바닥면 측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일 손가락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장갑의 터치부와 내피에 사용되는 내피 터치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터치부와 내피 터치부가 장갑의 일 손가락부에 결합된 상태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터치부를 손가락부에 결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전 물질 스프레이의 사용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을 끼고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사용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 터치 부재, 및 도전 물질 스프레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상" 또는 "위"라는 용어는 어떤 층 위에 직접 접촉되어 배치된 경우뿐만 아니라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위에 배치되는 경우, 다른 층을 사이에 두고 위에 배치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갑(1)을 도시한 것이다. 장갑(1)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부(10)와,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몸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부(10)는 예를 들어, 엄지부(11), 검지부(12), 중지부(13), 약지부(14), 소지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손가락부가 엄지부와 나머지 네 개의 손가락을 함께 끼울 수 있는 벙어리 장갑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손을 출입시킬 수 있는 출입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부(10)의 적어도 일부에 도전 물질로 형성된 터치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전 물질은 예를 들어, 금속, 합금, 은나노, 탄소나노튜브, 탄소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 물질은 전류를 통하게 할 수 있는 물질로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40)를 통해 터치 패널을 접촉할 때 터치 패널 표면에 있던 전자가 상기 터치부(40)를 통해 방출되거나 인체에 흐르게 되어 터치 패널이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 물질은 1Ωcm 이하의 비저항이나 1Ω/□ 이하의 면저항을 갖고 충분한 면적을 가지게 되면 인체와는 상관 없이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터치부(40)는 제조의 편리성과 가격을 줄이기 위해 손가락부(10)의 일부에만 구비되거나, 또는 손가락부(10)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을 접촉할 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엄지부(11), 검지부(12)나 중지부(13)에 터치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터치부가 다양한 위치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터치부(40a)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와 손가락부(10)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터치부(40)(40a)는 장갑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터치부가 장갑과 별도로 구비되어 장갑에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터치부가 장갑과 별도로 제작되어 장갑에 탈착 가능하게 된 형태를 터치 부재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2a는 터치 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터치 부재(50)는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 물질로 형성된 몸체(52) 및 상기 몸체(52)가 장갑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몸체(52)가 골무의 형태로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터치부재(50)는 장갑의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며, 몸체(52)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52)는 여러 가지 길이와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몸체 전체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부재(60)의 일부 만이 전도성 물질(62)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 부재(50)(60)는 장갑에 결합되는 결합부(54)(64)를 가지며, 결합부(54)(64)는 장갑의 손가락부에 끼울 수 있는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결합부(54)(64)는 장갑의 손가락부에 결합시 잘 빠지지 않도록 조여주는 탄성체 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는, 터치 부재를 접착제나 열융합 등으로 장갑에 고정 시킬 수 있다. 또는, 결합부가 터치 부재를 장갑에 부착시킬 수 있는 스티커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스티커가 터치 부재 내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c는 또 다른 예의 터치 부재(70)를 도시한 것이다. 터치 부재(70)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복수 개의 손가락부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부재(70)는 전체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손가락부의 일부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d는 벙어리 장갑(85)에 결합될 수 있는 터치 부재(80)를 도시한 것이다. 터치 부재(80)는 전체 또는 일부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고, 벙어리 장갑(85)의 손가락부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e는 터치 부재(90)가 스티커 형태로 제작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터치 부재(90)는 적어도 일부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몸체(92)와, 스티커 형태로 상기 몸체(92)를 장갑(95)에 부착시킬 수 있는 결합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93)는 몸체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93a)과 접착층(93a)을 보호하는 보호필름(9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90)는 예를 들어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치 부재가 스티커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사용자들이 다양한 형상과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터치 부재는 대부분의 경우 터치부가 없는 장갑에 끼우거나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터치 부재에 사용하는 도전성 물질은 1Ωcm 이하의 비저항이나 1Ω/□ 이하의 면저항을 가지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갑(100)으로, 예를 들어 니트 장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장갑(100)은 손가락부(110)와 몸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부(110)의 적어도 일부에 터치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니트 장갑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103)과 윗실(105)로 짜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부(140)는 도전사로 짜여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윗실(105)이 도전사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부(140)를 제외하고 손가락부(110)와 몸체부(120)는 도전사가 아닌 일반 원사로 형성된 밑실과 윗실로 짜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밑실(103)은 스판 또는 고무로 형성되고, 윗실(105)은 울 또는 아크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부(110)에서는 일반 원사로 짜다가 터치부(140)에서는 도전사로 바꾸어 짠다
도전사는 일반적으로 재질이나 만드는 방법에 따라 불리는 명칭이 다를 수있다. 예를 들어, 도전사는 금속사, 필라멘트사, 카본블랙사, 탄소섬유사 등으로도 불리울 수 있다. 여기서는 도전사라는 명칭으로 통칭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전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일 예로 화학적 방법 또는 물리적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적 방법의 일 예로는, 아크릴로리트릴을 주 원료로 사용한 아크릴사에 황산구리(CuSO4)를 반응시키면 구리(Cu), 시안(CN), 유황(S) 등의 화합물이 아크릴사와 화학적인 결합을 하여 도전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처리된 도전사의 경우 1/10-1/100 Ωcm 범위의 비저항을 가질 수 있다.
물리적인 방법의 일 예로는 무전극 도금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니켈(Ni), 크롬(Cr), 카본블랙, 금(Au), 또는 은(Ag)과 같은 도전 물질과 원사를 수조에 담가 니켈, 크롬, 카본블랙, 금, 또는 은 입자가 원사에 달라 붙도록 하여 도전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만든 도전사에 면이나 울이나 아크릴 등을 섞어 새로운 한 가닥의 실을 만들 수 있다. 또는, 도전사에 면사, 울사, 아크릴사를 꼬아서 니트 기계에 넣기 용이하도록 합사나 연사를 할 도 있고 또한 도전사와 기존의 면사, 울사, 아크릴사, 혹은 이들의 혼합사를 니트 기계에서 같이 섞어 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장갑을 도전사로 짜거나 도전사에 다른 재질을 섞어 더 다양하게 짤 수도 있으며, 이 결과 장갑의 보온성을 높이고 디자인을 보다 화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전사에 다른 재료를 섞어 만든 실은 저항 값이 높아지기 때문에 터치부가 인체에 직접 닿아야 터치 패널이 동작될 수 있다. 또는, 장갑 전체를 도전사가 포함된 실로 제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도전사로 형성된 윗실은 예를 들어 36수 이하의 굵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7~15 수 정도의 윗실로 두툼한 니트 장갑을 만들 수 있다.
도전사를 이용하여 니트 장갑을 짜는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니트 장갑을 기계로 짤 때, 단지 손가락 상단 끝부터 단지 손가락 하단으로 내려 오면서 작업하고, 약지 손가락 끝으로 올라가 약지 하단으로 내려오고 다시 중지 손끝으로 올라가는 순서로 작업한다. 그런데, 터치부(140)는 도전사가 포함되어 있는 실로 짜고 나머지 손가락부나 몸체부는 일반 원사로 짠다. 이때, 엄지 손가락 상단부, 검지 손가락 상단부, 중지 손가락 상단부는 도전사가 사용되고 나머지 부분은 일반 원사가 사용되는데, 기계가 정확하게 코를 맞추지 못하는 경우 터치부가 아닌 부분에서도 도전사로 짜여져 도전사와 일반 원사가 섞이게 되는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불량률을 줄이기 위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부(110) 하단부에 도전사 또는 금속사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 줄의 패턴(115)이 들어가도록 짤 수 있다. 상기 패턴(115)은 일반 원사와 도전사가 바뀌는 연결 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량 영역을 무늬화하여 불량률을 줄일 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a에서는 터치부가 손가락부(140)의 일부에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니트 장갑 전체가 도전사로 짜여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니트 장갑 전체에 도전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또는, 터치부 대신에 도전 물질로 형성된 터치 부재(도 2a 내지 도 2e 참조)를 장갑에 끼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터치 골무가 도전사로 짜여질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200)을 도시한 것이다. 장갑(200)은 손가락부(210)와 몸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갑(200)은 섬유 원단 또는 가죽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a에서는 장갑의 손바닥면을 보인 것이다. 손가락부(210)의 적어도 일부에 터치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손바닥면의 손가락부(210)의 단부가 재단되고, 터치부(240)가 재단된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엄지부(210a), 검지부(210b), 중지부(210c)의 단부에 터치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240)는 도전 원단 또는 가죽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240)는 손가락부의 일부 또는 전체에 구비되거나, 장갑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도전 원단은 도전사를 편직이나 제직하여 제작될 수 있고, 도전사를 만드는 방법대로 기존 원단을 사용하여 만들 수도 있으며 도전 물질을 한 면에 얇게 코팅하여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도전 물질이 닳지 않도록 산화 방지 코팅과 같은 특수 코팅을 해 주면 내 마모성이 강해질 수 있다. 도전 가죽도 도전 원단과 만드는 방법은 유사하며,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는 부분에 도전 물질을 충분하게 도포하여 도전 가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부(240)는 손가락부(210)의 단부에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부(240)는 손가락부의 단부에 봉재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봉재된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손가락부(210)는 손바닥면에 있는 제1 손가락부(210a)와 손등면에 있는 제2 손가락부(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가락부(210a)와 제2 손가락부(210b)는 봉재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부(240)가 한 겹의 도전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c는 터치부(240a)가 원단(241)의 한 면에만 도전 물질(242)이 코팅된 도전 원단이나 도전 가죽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d는 예를 들어 장갑 원단(245)의 한 면에 도전 물질(240b)이 코팅된 도전 원단이나 도전 가죽을 이용하여 손가락부 전체 또는 장갑 전체를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d는 천연 소재의 가죽 장갑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30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갑(300)은 손가락부(310)와 몸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손가락부(310)와 몸체부(320)는 섬유 원단 또는 가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장갑(300)의 손바닥면을 도시한 것이다. 손바닥면의 손가락부(310)의 적어도 일부에 터치부(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340)는 도전 원단으로 형성되며, 손가락부(310)의 단부에 중첩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부(340)를 손가락부(310)에 봉재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는, 터치부(310)를 열융착 방법에 의해 손가락부에 부착하거나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봉재가 필요 없고, 터치부의 패턴을 더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터치부(340)는 손가락부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 터치부(340a)와 손가락부의 외측에 배치된 외측 터치부(3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터치부(340a)와 외측 터치부(340b)는 전류를 통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내측 터치부(340a)는 외측 터치부(340b)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 것은 일 예일 뿐이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터치되는 면적을 작게 하여 원하지 않는 영역이 터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외측 터치부(340b)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터치부(340b)가 가로 세로 10mm 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터치부(340b)가 10-6.8mm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5b는 손가락부(310)에 터치부(340)가 결합된 손바닥면을 보인 것이다. 상기 내측 터치부(340a)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직접 접촉되는 면으로 전류가 사용자로부터 내측 터치부(340a) 및 외측 터치부(340b)를 통해 터치 패널로 전달된다.
도 5c는 장갑의 손바닥면과 손등면이 결합된 상태의 손가락부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손가락부(310)는 손바닥면에 있는 제1 손가락부(310a)와 손등면에 있는 제2 손가락부(310b)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340)는 제1 손가락부(310a)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제2 손가락부의 안과 밖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터치부를 손가락부의 안과 밖을 연결하지 않고, 손가락부의 바깥쪽에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터치부가 장갑의 손가락부 외부면에 중첩 배치되어 봉재로 결합될 수 있다. 터치부를 손가락부의 바깥쪽에만 배치하는 경우에는 인체와 터치부가 접촉하지 않으면서 터치 패널에서 터치부로 전자가 방출됨으로써 터치 패널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인체와 터치부가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터치부의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좋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손가락부(410)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손가락부(410)의 적어도 일부에 도전사로 수를 놓아 터치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를 놓는 것은 도전사로 손가락부(410)에 봉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부(440)는 도전사로 손가락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오가며 봉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전사에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된 실로 수를 놓을 수 있다. 도전사에 폴리에스테계 실을 섞어 장갑을 만들 면 실의 인장력이 높아져 재봉틀로 수를 놓는데 유리해진다. 한편, 터치부(440)는 문자, 무늬, 도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부를 수를 놓아 형성하는 경우 장갑의 상표명이나 로고 등을 형성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터치부(440a)는 도전사를 적어도 1회 장갑의 손가락부(410a)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왕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전사가 적어도 1회 왕복하면서 실이 풀어지지 않도록 매듭을 짓는다. 이때, 도전사는 여러 겹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위의 행위를 반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전사로 수를 놓아 터치부를 형성하는 경우, 터치부 위에 도전 원단을 덧부쳐 터치부를 보다 견고하게 하고,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터치부 위에 도전 원단을 접착할 때 예를 들어 도전성 접착제, 열 융착 방법, 봉재와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5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장갑(501)과 내피(5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겉장갑(501)과 내피(550)의 손바닥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겉장갑(501)은 손가락부(510), 몸체부(520), 및 상기 손가락부(510)의 적어도 일부에 도전 물질로 형성된 터치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겉장갑(501)은 예를 들어, 니트 장갑, 우븐 장갑, 가죽 장갑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540)는 도 1a, 도 1b, 도 3a, 도 4a, 도 5a, 도 6a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내피(550)는 겉장갑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겉장갑과 대응되게 내피 손가락부(560), 내피 몸체부(570), 및 내피 터치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내피 터치부(580)는 상기 터치부(540)에 대응되는 내피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내피(550)는 예를 들어 섬유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피 터치부(580)는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전성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피 터치부(580)는 다양한 방법으로 내피 손가락부(56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피 손가락부의 상단부가 재단되고, 재단된 자리에 내피 터치부(58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피 터치부(580)는 봉재로 연결될 수 있다. 내피(550)가 겉장갑(501) 내부에 결합될 때, 상기 내피 터치부(580)는 겉장갑(501)의 터치부(540)와 접촉된다. 그럼으로써,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터치 패널을 접촉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피 터치부(580)를 접촉하고, 터치 패널에서 상기 내피 터치부(580)와 터치부(540)로 전자가 방출되고, 터치 패널이 동작될 수 있다.
또는, 내피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는 터치부(540)가 전자를 밖으로 방출하여 터치부가 인체의 손과는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을 때이다. 앞에서 설명한 터치부에 사용하는 소재의 저항이 아주 낮을 경우 예를 들어, 1Ωcm 이하의 비저항이나 1Ω/□ 이하의 면저항을 가지는 경우 터치부가 인체에 접촉하지 않고도 터치 패널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겉장갑의 터치부(620)와 내피에 구비된 내피 터치부(64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터치부(620)가 손가락부(610)에 결합되기 전의 재단된 상태와 내피 터치부(640)가 내피 손가락부(630)에 결합되기 전의 재단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b는 겉장갑의 손바닥면의 손가락부(610)와 내피 손바닥면의 손가락부(630)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겉장갑의 손가락부(610)는 외측면(610a)과 내측면(610b)를 포함할 수 있다. 내피의 손가락부(630)는 외측면(630a)과 내측면(63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면은 장갑을 꼈을 때 손가락 쪽에 있는 면이고, 외측면은 그 바깥쪽에 위치한 면을 나타낼 수 있다. 터치부(620)는 손가락부(610)의 상단부에 중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터치부(620)는 손가락부(610)의 상단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둘러 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터치부(620)는 외측면(610a)에 배치되는 외측 터치부(620a)와 내측면(610b)에 배치되는 내측 터치부(620b)를 포함할 수 있다. 내피 터치부(640)는 내피 손가락부(630)의 외측면(630a)에 배치되는 제1터치부(640a)와 내측면(630b)에 배치되는 제2터치부(640b)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터치부(620a)는 손가락과 일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측 터치부(620b)는 손가락부의 둘레를 가로지르는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피의 제1터치부(640a)는 손가락부 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손가락 길이 방향으로 긴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피의 제1터치부(640a)는 그림과 같이 최소의 면적을 갖는다. 이와 같이 터치부를 도전 원단으로 덧대는 경우는 세 겹의 천이 겹쳐져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감으로 사용자가 둔하게 느끼거나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하면 겉장갑의 외측 터치부(620a), 내측 터치부(620b), 내피의 제1터치부(640a)와 제2터치부(640b)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이 좋다. 터치부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한편, 터치부(620)와 내피 터치부(640) 접촉성 또한 확보되는 것이 필요하다. 접촉은 겉장갑의 내측 터치부(620b)와 내피의 제1터치부(640a)에서 이루어진다. 내측 터치부(620b)를 손가락의 둘레 방향으로 긴 띠 형상으로 형성하고, 내피의 제1터치부(640a)를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긴 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내피가 이동되는 경우에도 내측 터치부(620b)와 내피의 제1터치부(640a)가 면적을 줄이더라도 터치를 할 때 항상 접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내피의 제2터치부(640b)를 손가락 형상으로 하지 않고 제1터치부(640a)와 같이 띠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겉장의 내측 터치부(620b)와 내피의 제1터치부(640a)의 형상이 서로 바뀌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형상은 일 예일 뿐이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피 터치부를 수를 놓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 6a,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부를 도전사 혹은 도전사를 포함한 실로 수를 놓아 구성하는 것과 같다. 또는, 겉장갑과 내피에 각각 수를 놓는 대신 겉장갑과 내피에 함께 수를 놓아 겉장갑의 터치부와 내피 터치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내피 터치부를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전사로 내피 손가락부에 꿰매고 매듭지어 풀리지 않게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손가락부에 터치부를 결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터치부(740)를 재단한다. 터치부(740)는 내측 터치부(740a)와 외측 터치부(74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터치부(740)를 손가락부(710)의 외측면에 외측 터치부(740b)가 내측 터치부(740a)보다 위에 오도록 배치한다. 외측 터치부(740b)가 손가락부(710)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져 위치된다. 외측 터치부(740b)의 상단부를 봉재한다. 상기 내측 터치부(740a)는 손가락부(710)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도면 부호 750은 제1 봉재 부분을 나타낸다.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봉재 부분(750)을 중심으로 터치부를 회전시켜 내측 터치부(740a)가 외측 터치부(740b)의 위쪽으로 오도록 한다. 그런 다음,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터치부(740a)가 손가락부(710)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내측 터치부(740a)와 외측 터치부(740b)의 하단부를 함께 바느질한다. 도면 부호 750은 제2 봉재 부분을 나타낸다. 장갑의 외부에서 보면 상기 제2 봉재 부분(750)만이 보이며, 내측 터치부(740a)는 하단부만이 봉재되고 양측 부분은 봉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바느질 공정을 줄이고 장갑 밖에 나타나는 봉재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제조 방법은 도 9a에 도시된 내피의 터치부(640)를 내피 손가락부에 결합하는 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전 물질 스프레이(8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전 물질 스프레이(800)는 스프레이 용기(805) 내부에 도전 물질(810)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 물질(810)은 Ni, Cu, Cr, Au, 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금속, 합금, 은나노, 탄소나노튜브, 블랙카본, 탄소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 물질(810)은 1Ωcm 이하의 비저항이나 도포 후 1Ω/□ 이하의 면저항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도전 물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 용기(805)의 입구에는 도전 물질(810)을 분무할 수 있는 배출부(8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전 물질 스프레이(800)를 이용하여 장갑(840)에 도전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상기 장갑(840)이 터치 패널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도전사나 도전원단을 만드는 방법을 상온에서 스프레이 원리를 활용하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장갑과 터치 부재뿐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제품을 터치 패드의 터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갑이나 가방 등에 도전 물질 스프레이(800)를 이용하여 도전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지갑이나 가방 등으로 터치 패드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전 물질은 분말로 만들거나 액화시켜 스프레이 용기(805)에 담겨질 수 있다. 탄소섬유의 일 예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 polyarcylonitrile) 섬유를 내염화 처리(耐炎化處理)를 한 후에, 1000°~1500℃에서 탄화(炭化)하면 탄소 섬유가 얻어진다. 이것을 다시 2500˚~3000°C의 고온으로 열처리하면 흑연화(黑鉛化)하여 고탄성(高彈性) 섬유가 되는데, 이것이 CFRP용의 섬유이다. 특징은 내식성이 크고, 열팽창이 작다. 전기 전도성이 좋고, 또 내열성이 뛰어나다. 이 소재를 분말로 만든 다음 액화 가스와 함께 넣어 사용하거나 용제에 녹여 액상으로 만든 다음 액화 가스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을 낀 상태로 스마트 폰을 이용하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장갑을 끼고도 터치 패널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매우 편리하게 터치 패널을 구비한 전자 기기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방한용 장갑, 골프 장갑, 스키 장갑, 등산 장갑, 산업용 장갑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업용 장갑으로 사용하는 경우 작업 도중에 장갑을 벗고 전자 기기들을 동작함으로써 초래되는 생산성 저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는 장갑과 별도로 제작되어 장갑에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부착하여 터치 패널을 동작시킬 수 있다. 터치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이미 사용하고 있던 장갑에 터치 부재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장갑을 구입하지 않고도 터치 패널을 동작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전 물질 스프레이는 장갑이나 기타 원하는 물품에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용이하고 간단하게 도전 물질을 도포하여 터치 패널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0,200,300,500...장갑 10,110,210,310,410,510...손가락부
20,120,220,320,420,520...몸체부, 40,140,240,340,440,540...터치부
50...터치 골무, 501...겉장갑
550...내피, 580,620...내피 터치부

Claims (32)

  1.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부;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몸체부; 및
    상기 손가락부나 몸체부의 전부나 혹은 적어도 일부가 도전 물질로 형성된 터치부;를 포함하고, 밑실과 윗실로 짜여진 니트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부의 윗실이 1Ωcm 이하의 비저항을 가지는 도전 물질로 만든 도전사에 아크릴이나 울 또는 면을 섞어 한 가닥으로 만든 실 또는 1Ωcm 이하의 비저항을 가지는 도전 물질로 만든 도전사와 아크릴사나 울사, 면사를 한 가닥 이상 꼬아서 형성된 실을 포함하는 장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실이 스판사나 고무줄로 형성된 장갑.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은 36수 이하의 굵기를 가지는 장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와 몸체부 사이의 경계에 도전사로 짜여진 적어도 한 줄 이상의 패턴이 형성된 장갑.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부;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몸체부; 및
    상기 손가락부나 몸체부의 전부나 혹은 적어도 일부가 도전 물질로 형성된 터치부;를 포함하고, 섬유 원단 또는 가죽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부가 섬유 원단이나 가죽의 앞 뒷면 중 적어도 하나에 도전 원단이나 도전 가죽을 배치하여 형성된 장갑.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에 도전사로 수를 놓은 장갑.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사가 폴리에스테르계를 더 포함하는 장갑.
  18.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부;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몸체부; 및
    상기 손가락부나 몸체부의 전부나 혹은 적어도 일부가 도전 물질로 형성된 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부는 도전사를 장갑에 한번 이상 왕복시켜 매듭을 지어 형성된 장갑.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 위에 도전 원단이 더 결합된 장갑.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이 내피를 더 포함하는 장갑.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가 상기 터치부에 대응되는 내피의 영역에 도전 물질로 형성된 내피 터치부를 포함한 장갑.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 터치부가 상기 터치부와 접촉된 장갑.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 터치부가 1Ωcm 이하의 비저항이나 1Ω/□ 이하의 면저항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장갑.
  24.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 물질로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가 장갑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가 밑실과 윗실로 짜여진 니트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윗실이 1Ωcm 이하의 비저항을 가지는 도전 물질로 만든 도전사에 아크릴이나 울 또는 면을 섞어 한 가닥으로 만든 실 또는 1Ωcm 이하의 비저항을 가지는 도전 물질로 만든 도전사와 아크릴사나 울사, 면사를 한 가닥 이상 꼬아서 형성된 실을 포함하는 터치 부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골무 형태로 형성된 터치 부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탄성체 밴드를 포함하거나, 접착층과 접착층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부재.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평면 형태로 형성되고, 결합부가 접착층과 접착층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부재.
  2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물질은 Ni, Cu, Cr, Au, 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금속, 합금, 은나노, 탄소나노튜브, 블랙카본, 탄소 섬유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부재.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10027568A 2011-03-28 2011-03-28 장갑, 터치 부재 및 도전 물질 스프레이 KR101133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568A KR101133781B1 (ko) 2011-03-28 2011-03-28 장갑, 터치 부재 및 도전 물질 스프레이
PCT/KR2012/002248 WO2012134154A2 (ko) 2011-03-28 2012-03-28 장갑, 터치 부재 및 도전 물질 스프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568A KR101133781B1 (ko) 2011-03-28 2011-03-28 장갑, 터치 부재 및 도전 물질 스프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781B1 true KR101133781B1 (ko) 2012-04-09

Family

ID=4614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568A KR101133781B1 (ko) 2011-03-28 2011-03-28 장갑, 터치 부재 및 도전 물질 스프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3781B1 (ko)
WO (1) WO2012134154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08Y1 (ko) * 2012-04-19 2014-08-28 강래일 스마트 터치 장갑
KR101547206B1 (ko) 2013-11-29 2015-09-14 프롬비 (주) 전도성 가죽장갑
KR101818988B1 (ko) * 2016-02-16 2018-01-16 전종환 전류 및 전압 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절연 장갑
KR102219967B1 (ko) * 2020-11-16 2021-02-24 주식회사 제일 손가락의 가동 범위 확장용 확장모듈이 구비된 장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8753A1 (de) * 2013-10-30 2015-04-30 Lekisport Ag Fingerhandschuh.
CN103653418A (zh) * 2013-12-28 2014-03-26 苏州市峰之火数码科技有限公司 手套指部套
CN103815595B (zh) * 2014-03-13 2015-04-29 湖州市菱湖重兆金辉丝织厂 一种触摸屏手套生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487Y1 (ko) 2000-09-14 2001-03-15 신윤자 도전성 장갑
US20090000010A1 (en) 2007-06-28 2009-01-01 Apple Inc. High tactility glove system
JP3160211U (ja) 2010-04-05 2010-06-17 株式会社イチーナ 手袋
KR200453606Y1 (ko) 2010-11-23 2011-05-19 박정일 핑거패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597Y1 (ko) * 2002-05-31 2002-08-30 동아연필 주식회사 소거성 잉크가 내장된 스프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487Y1 (ko) 2000-09-14 2001-03-15 신윤자 도전성 장갑
US20090000010A1 (en) 2007-06-28 2009-01-01 Apple Inc. High tactility glove system
JP3160211U (ja) 2010-04-05 2010-06-17 株式会社イチーナ 手袋
KR200453606Y1 (ko) 2010-11-23 2011-05-19 박정일 핑거패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08Y1 (ko) * 2012-04-19 2014-08-28 강래일 스마트 터치 장갑
KR101547206B1 (ko) 2013-11-29 2015-09-14 프롬비 (주) 전도성 가죽장갑
KR101818988B1 (ko) * 2016-02-16 2018-01-16 전종환 전류 및 전압 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절연 장갑
KR102219967B1 (ko) * 2020-11-16 2021-02-24 주식회사 제일 손가락의 가동 범위 확장용 확장모듈이 구비된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4154A2 (ko) 2012-10-04
WO2012134154A4 (ko) 2013-03-14
WO2012134154A3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781B1 (ko) 장갑, 터치 부재 및 도전 물질 스프레이
JP5818386B2 (ja) 指先部が導電性の手袋
US8528117B2 (en) Gloves for touchscreen use
US9851794B2 (en) Bulk resistive glove
US8400256B2 (en) Glove with a particularized electro-conductivity feature
US20130025327A1 (en) Process for Making Knit Embroidered Conductive Gloves
US20130152272A1 (en) Protective Glove with Conductive Stitching
US20140033396A1 (en) Conductive glove with conductive lining and conductive waterproof bladder
KR101047853B1 (ko) 터치패널용 가죽장갑
US20140165658A1 (en) Process for making knit embroidered conductive gloves
JP3168219U (ja) 手袋
JP3176313U (ja) 二重手袋
JP5683043B2 (ja) 手袋
KR20140065790A (ko) 터치스크린용 장갑
JP4305069B2 (ja) 作業用手袋
JP2015108207A (ja) 手袋
KR20120023303A (ko) 정전식 감응기구 조작이 가능한 장갑
JP3172060U (ja) 入力補助具
KR200474208Y1 (ko) 스마트 터치 장갑
AU2012100306A4 (en) Glove with conductive fingertips
KR101321520B1 (ko) 터치기능을 갖는 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장갑
JP3174052U (ja) 手袋
WO2014058991A2 (en) Conductive glove with conductive lining and conductive waterproof blad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