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044B1 - 모시의 박피방법 - Google Patents

모시의 박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044B1
KR101132044B1 KR1020090117557A KR20090117557A KR101132044B1 KR 101132044 B1 KR101132044 B1 KR 101132044B1 KR 1020090117557 A KR1020090117557 A KR 1020090117557A KR 20090117557 A KR20090117557 A KR 20090117557A KR 101132044 B1 KR101132044 B1 KR 10113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ie
skin
peeling
peel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038A (ko
Inventor
김현철
김우영
김수봉
김완진
최경연
Original Assignee
한국니트산업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니트산업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니트산업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0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CCHEMICAL OR BIOLOGICAL TREATMENT OF NATURAL FILAMENTARY OR FIBROUS MATERIAL TO OBTAIN FILAMENTS OR FIBRES FOR SPINNING; CARBONISING RAGS TO RECOVER ANIMAL FIBRES
    • D01C1/00Treatment of vegetable material
    • D01C1/02Treatment of vegetable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to obtain bast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0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yarns, thread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4/00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4/10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using agents which develop oxygen
    • D06L4/13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using agents which develop oxygen using inorganic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4/00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4/20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using agents which contain halogen
    • D06L4/22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using agents which contain halogen using inorganic agents
    • D06L4/24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using agents which contain halogen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chlorites or chlorine dioxi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0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 D06M11/3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f halogens, oxyacids of halogens or their salts, e.g. with perchlorat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8Rami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수작업이 아닌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박피함으로써 수작업을 통한 공급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모시 방적사를 대량생산할 수 있어 모시 원사의 가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모시의 박피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미박피 태모시를 아염소산나트륨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처리하여 박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의 박피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시, 박피, 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Description

모시의 박피방법{Method For Stripping Ramie}
본 발명은 속대가 제거된 미박피 모시 중 인피부를 제외한 겉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박피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작을 통하여 재배된 모시에서 실의 원료로 사용되는 섬유를 채취하는 일련의 공정을 섬유화(纖維化) 공정이라 한다.
재배된 모시는 껍질부와 인피부로 구성된 식물의 형태로서 모시 줄기를 섬유로 전환하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아마(Linen), 대마(Hemp) 및 황마(Jute)와 같은 다른 인피섬유(bast fibre)와 유사하다. 학계에 보고된 바에 따르면 모시 섬유는 매우 가늘고, 흰색을 띄며 광택이 우수할 뿐 아니라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 모시의 인장강도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모시 섬유의 인장강도는 면(綿) 섬유의 약 8배, 견(絹) 섬유의 약 7배에 달한다고 보고한 반면, 다른 보고서에서는 면, 아마, 황마, 저마가 거의 유사한 강?신도를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 같은 차이는 측정 원료의 차이, 섬유화 공정의 차이 및 측정 시 온?습도의 차이 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나 가장 큰 원인은 모시의 섬유화 과정에서의 차이에 따른 것이며, 특히 모시에서 펙틴질을 제거하는 정련(degumming) 공정에서의 섬유 손상 정도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따라서 모시 방적에 있어서 최종 제품의 품질은 모시 섬유화 공정의 영향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기존의 박피 공정 즉, 속대가 제거된 미박피 태모시에서 모시섬유로 사용되는 인피부를 제외한 겉껍질을 제거하는 공정은 농민이 모시를 재배 후 일정기간 건조시킨 모시대를 칼날을 사용하여 수작업을 통해 제거하였다. 이는 모시 원료의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 박피 태모시 구입 가격은 14,000원/kg으로 미박피 태모시의 10,000원/kg에 비해 Kg 당 4,000원 가량이 비쌌다. 수작업을 통해 공급된 박피 태모시를 이용한 모시 방적은 최종 모시 원사의 가격을 상승시키고, 또한 수작업을 통한 공급의 한계성으로 인한 모시 방적사을 대량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의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작업이 아닌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박피함으로써 수작업을 통한 공급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모시 방적사를 대량생산할 수 있어 모시 원사의 가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모시의 박피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속대가 제거된 미박피 태모시 중 인피부 외의 겉껍질을 제거하는 모시의 박피방법에 있어서,
미박피 태모시를 아염소산나트륨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처리하여 박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의 박피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미박피 태모시를 아염소산나트륨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의 박피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개미산이 첨가된 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미박피 태모시를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처리하여 박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의 박피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모시의 박피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모시의 박피방법은 속대가 제거된 미박피 태모시를 아염소산나트륨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처리하여 인피부를 제외한 겉껍질을 제거한다.
아염소산나트륨은 중성 또는 알칼리성 수용액에 대단히 안정하여 표백작용도 없으나 산성 용액에서는 과산화염소와 염소산나트륨 등으로 분해가 되고, 이 중에서 과산화염소(ClO2)와 산소가 표백작용을 하며, 염소산나트륨은(NaClO3)은 표백작용에 관여하지 않는다.
산성조건 하에서의 아염소산나트륨의 분해 반응은 하기의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5 NaClO2 + 4 HCl → 4 ClO2 + 5 NaCl + 2H2O
3 NaClO2 → 2 NaClO3 + NaCl
NaClO2 → NaCl + O2
그리고 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하여 모시의 겉껍질을 제거할 때 과산화염소와 산소의 생성을 충분히 하기 위해 개미산(formic acid)를 첨가하여 pH를 3~4로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
미박피 태모시를 90~100℃의 아염소산나트륨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 미만인 경우에는 과산화염소, 산소 등의 침투력이 좋지 못하여 겉껍질이 원활히 분리되지 못하고, 100℃ 초과인 경우에는 섬유가 손상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하여 미박피 태모시를 처리한 후 염화나트륨 및 유색불순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온수와 냉수를 이용하여 수회 반복하여 수세하는 것이 좋다.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은 표백작용의 조성이 일정하고 안정성이 좋을 뿐 아니라 표백작용도 다소 온화하여 섬유를 상하거나 표백 얼룩이 생기는 일이 적다.
처리 시 수용액에서 하기의 화학식 2와 같이 하이포아염소산(HClO)을 생성하고 이 하이포아염소산이 분해되면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해 산화 표백작용이 진행된다. 하기 화학식 2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분해반응을 나타내었다.
[화학식 2]
NaClO + H2O → HClO + NaOH
HClO → 2 HCl + O2
미박피 태모시를 35~45℃의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 미만인 경우에는 과산화염소, 산소 등의 침투력이 좋지 못하여 겉껍질이 원활히 분리되지 못하고, 45℃ 초과인 경우에는 섬유가 손상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모시의 박피방법은 수작업이 아닌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박피함으로써 수작업을 통한 공급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모시 방적사를 대량생산할 수 있어 모시 원사의 가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모시의 박피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과 같은 미박피 태모시를 도 2와 같이 아염소산나트륨 23 wt.%를 95℃에서 40분간 처리하여 겉껍질을 제거하고, 겉껍질이 제거된 박피 태모시를 수세하였다.
이때 미박피 태모시는 서천군 한산면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모시 박피에 필요한 과산화염소와 산소의 생성을 충분히 하기 위해 개미산을 첨가하여 pH를 3~4로 유지시켰다. 또한 수세는 60℃의 물로 10분간, 20℃의 물로 5분간 3회 에 걸쳐서 수행하였다.
아염소산나트륨 처리 결과 얻어진 겉껍질이 제거된 박피 태모시는 도 3과 같다.
[실시예 2]
미박피 태모시를 도 4와 같이 차아염소산나트륨 12 wt.%를 40℃에서 약 1일간 처리하여 겉껍질을 제거하고, 겉껍질이 제거된 박피 태모시를 냉수세하여 도 5와 같은 박피 태모시를 얻었다.
도 3 및 도 5와 같이 아염소산나트륨 및 차아염소산나트륨에 의해 화학적 박피된 박피 태모시는 겉껍질이 완전 제거되는 등 박피효율이 우수하였다. 또한 화학적 방법에 의해 박피함으로써 자동화가 가능하여 제품 가격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고 모시의 대중화를 좀더 앞당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미박피 태모시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박피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박피된 박피 태모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박피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박피된 박피 태모시를 촬영한 사진이다.

Claims (4)

  1. 속대가 제거된 미박피 태모시 중 인피부 외의 겉껍질을 제거하는 모시의 박피방법에 있어서,
    개미산이 첨가되어 pH가 3~4로 유지되고 90~100℃의 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하여 박피 태모시를 처리하여 박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의 박피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117557A 2009-12-01 2009-12-01 모시의 박피방법 KR101132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557A KR101132044B1 (ko) 2009-12-01 2009-12-01 모시의 박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557A KR101132044B1 (ko) 2009-12-01 2009-12-01 모시의 박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38A KR20110061038A (ko) 2011-06-09
KR101132044B1 true KR101132044B1 (ko) 2012-04-02

Family

ID=4439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557A KR101132044B1 (ko) 2009-12-01 2009-12-01 모시의 박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0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809A (ja) * 2005-11-01 2007-05-24 Meirong Xu 靭皮繊維の抽出および調製のためのプロセス、このプロセスから得られる靭皮繊維、およびこれらの靭皮繊維の使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809A (ja) * 2005-11-01 2007-05-24 Meirong Xu 靭皮繊維の抽出および調製のためのプロセス、このプロセスから得られる靭皮繊維、およびこれらの靭皮繊維の使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38A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9554B2 (ja) 靭皮繊維の抽出および調製のためのプロセス、このプロセスから得られる靭皮繊維、およびこれらの靭皮繊維の使用
CN102560696B (zh) 一种天然彩色桑蚕丝绵的生产方法
CN100422396C (zh) 一种竹原纤维的制备方法
CN100487173C (zh) 天然竹纤维及其加工方法
CN104047063B (zh) 一种蒸汽闪爆和碱处理相结合制备纺织用棉秆皮纤维的方法
CN106087075B (zh) 一种可纺性好的竹原纤维的生产方法
CN103422387A (zh) 可消毒、杀菌、除异味的(tcf)光催化书画纸及制作方法
CN105803536A (zh) 一种棕榈纤维的制备工艺
CN104278335A (zh) 一种大麻前处理工艺
CN104894746A (zh) 一种桑蚕绵片的制造方法
CN103436969A (zh) 一种机械碾压-闪爆-梳理除杂组合大麻脱胶方法
CN1390989A (zh) 天然竹纤维的制备方法
CN104419987A (zh) 黄麻纤维脱胶工艺
CN107988643A (zh) 一种采用本色竹纤浆粕制备本色竹纤维素纤维的制备方法
KR101132044B1 (ko) 모시의 박피방법
CN101130887A (zh) 应用复合酶对黄麻进行脱胶的方法
CN102373637A (zh) 一种用竹子生产竹纤维的预处理工艺
KR20110026635A (ko) 대나무 섬유용 펄프의 제조 방법
CN100560820C (zh) 应用复合酶对黄麻进行脱胶的方法
CN100560821C (zh) 应用复合酶对黄麻进行脱胶的方法
CN100560819C (zh) 应用复合酶对黄麻进行脱胶的方法
CN104153026B (zh) 一种用于婴幼儿枕套的保健面料
CN102677468B (zh) 一种丝绵增重及蓬松的处理方法
KR20170003831A (ko) 한지사를 이용한 원단과 그 제조방법
CN102031569A (zh) 富含丝胶的绢纺精干品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