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952B1 - 야광타월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야광타월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952B1
KR101131952B1 KR1020100058457A KR20100058457A KR101131952B1 KR 101131952 B1 KR101131952 B1 KR 101131952B1 KR 1020100058457 A KR1020100058457 A KR 1020100058457A KR 20100058457 A KR20100058457 A KR 20100058457A KR 101131952 B1 KR101131952 B1 KR 10113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owel
luminous
parts
col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525A (ko
Inventor
박통령
Original Assignee
박통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통령 filed Critical 박통령
Priority to KR102010005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95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0004General aspects of dyeing
    • D06P1/0012Effecting dyeing to obtain luminescent or phosphorescent dye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9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dyes dissolved in organic solvents or aqueous emuls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백성분과 야광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일체형의 착색호료를 사용하여 이미 착색되어 있는 기성의 타월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야광타월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타월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착색호료를 도포하고, 60 내지 80℃의 온도범위 이내로 가열하는 열처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착색호료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착색호료는 호료 100.0중량부에 표백제 15.0 내지 25.0중량부 및 야광안료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호료는 바인더 5.0 내지 6.0중량%, 유연제 0.1 내지 1.0중량%, 물 15.0 내지 25.0중량% 및 잔량으로서 유기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야광타월 및 그의 제조방법 {nightglow tow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야광타월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백성분과 야광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일체형의 착색호료를 사용하여 이미 착색되어 있는 기성의 타월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야광타월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타월은 원사를 먼저 염색한 후, 타월지를 직포하고 봉재하여 구성되는 선염타월과, 무 염색된 원사를 이용하여 먼저 타월지를 직포한 후 염색하는 후염타월로 구분되며, 상기 타월에는 각종 장식 또는 홍보를 위해 무늬나 문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문양부가 적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문양부를 구성함에 있어, 기존 타월은 날염이나 발염으로 문양을 구성하거나, 또는 스크린 인쇄에 의해 문양을 표현하거나, 컴퓨터 자수기를 이용하여 타월의 표면에 문양을 부여하는 정도로서, 기본적으로 스크린 인쇄의 경우는 잦은 마찰과 세탁으로 문양부분이 훼손되기 쉽기 때문에 내구력이 없고 품위가 저하될 뿐 아니라,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은 등의 결점이 있었으며, 컴퓨터 자수의 경우에는 문양부가 주변의 파일부보다 몰입되는 상태이어서, 문양부의 가시성과 표현력이 저하되고 주변의 면사부와 다른 조밀한 조직을 갖게 되어 촉감이 경직되고 딱딱하여 사용효과가 저하되며, 타월의 면사와 다른 이종의 자수 사(絲)를 이용하기 때문에, 세탁 후 문양부의 수축이 발생되어 타월의 형태가 변형되고 이를 잡아당겨 강제적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 문양부의 찢어짐이 초래되어 미관의 저해나 조직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공통적으로 문양 가공의 특성상 자체적인 발광기능이 전무하게 되는 것이어서, 빛이 있는 곳에서만 타월의 문양을 관찰할 수 있어 문양의 사용효과가 주간으로 한정되고, 야간에는 문양의 존재 가치가 실효성을 갖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984-4202호는 야자나무의 잎과 피 및 열매의 껍질에서 채취한 야자섬유를 표백 및 염색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는 야자나무의 잎과 피 및 열매의 껍질등에서 채취한 야자섬유를 선별하여 차염산 10㎏, 크로칼키 1㎏, 석회수 8㎏을 배합하여서 된 표백제에 담그어 가끔 저으면서 2 내지 3시간 침지하여 표백하고 이를 형광염료 1㎏, 유산 0.5㎏, 물 10㎏를 배합한 형광염료용액에 담그어 2 내지 3시간 처리하여 형광염색 처리를 하는 제1공정과 탄산소다 10%, 유화소다 10%, 황산소다 15%, 물 20배량을 배합하여 유화염료 적량을 넣어 균일하게 교반하면서 60 내지 90℃의 온도로 표백한 야자섬유를 유화염료로 염색처리하는 제2공정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는 기왕에 염색까지 완료된 기성의 타월에 적용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5-46515호는 타월의 발광 문양 가공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이는 폴리에스터 발광체 염료로 선염된 폴리에스터 발광원사와, 미 가공된 면사의 혼합사를 파일사로 하여 타월의 문양부에 적용토록 하고, 나머지 비 문양부와 경사?위사는 미 가공 면사를 적용하여 타월 원단을 제직한 다음, 후가공에서 면사만이 염색되도록 하여 미(未) 염색되는 폴리에스터 발광원사가 발광 특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폴리에스터 발광원사부분이 발광되면서 선명한 문양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타월의 문양부가 주?야간 구분 없이 가시적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는 기왕에 염색까지 완료된 기성의 타월에 적용시킬 수 없으며, 또한 문양부의 형성이 자유롭지 못하고, 제한된 문양부의 형성 만이 가능하며, 생산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요구는 더 새롭고, 미적으로도 더욱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타월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간편하고도 소정의 원하는 문양을 임의로 야광으로 형상화할 수 있으며, 특히 미리 제작된, 특히 이미 염색된 기존의 타월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야광타월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야광타월은, 타월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착색호료를 도포하고, 60 내지 80℃의 온도범위 이내로 가열하는 열처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착색호료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착색호료는 호료 100.0중량부에 표백제 15.0 내지 25.0중량부 및 야광안료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호료는 바인더 5.0 내지 6.0중량%, 유연제 0.1 내지 1.0중량%, 물 15.0 내지 25.0중량% 및 잔량으로서 유기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야광타월의 제조방법은, (1) 호료 100.0중량부에 표백제 15.0 내지 25.0중량부 및 야광안료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호료는 바인더 5.0 내지 6.0중량%, 유연제 0.1 내지 1.0중량%, 물 15.0 내지 25.0중량% 및 잔량으로서 유기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착색호료를 제공하는 착색호료제공단계; (2) 상기 착색호료를 타월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3) 상기 착색호료가 도포된 타월을 60 내지 80℃의 온도범위 이내로 가열하는 열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백성분과 야광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일체형의 착색호료를 사용하여 이미 착색되어 있는 기성의 타월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야광타월 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광타월은, 타월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착색호료를 도포하고, 60 내지 80℃의 온도범위 이내로 가열하는 열처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착색호료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착색호료는 호료 100.0중량부에 표백제 15.0 내지 25.0중량부 및 야광안료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호료는 바인더 5.0 내지 6.0중량%, 유연제 0.1 내지 1.0중량%, 물 15.0 내지 25.0중량% 및 잔량으로서 유기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월로는 아무런 무늬나 착색이 되지 않은 원단이 될 수 있기는 하나, 이미 착색되고 무늬가 형성된 기성의 타월도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착색호료가 표백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표백제를 포함하는 착색호료의 도포 후의 열처리에 의하여 기 착색된 무늬 또는 색상을 탈색시키고, 그 부위에 역시 상기 착색호료 중에 포함되는 야광안료에 의해 야간에도 가시화될 수 있는 야광안료에 의해 야광타월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착색호료는 호료 100.0중량부에 표백제 15.0 내지 25.0중량부 및 야광안료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호료는 바인더 5.0 내지 6.0중량%, 유연제 0.1 내지 1.0중량%, 물 15.0 내지 25.0중량% 및 잔량으로서 유기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인더는 착색호료를 구성하는 표백제 및 야광안료를 타월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의 일종이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포리졸'이라는 상품명으로 거래되는 것을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인더가 호료 총중량을 기준으로 5.0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한 표백제나 야광안료가 타월의 표면에 충분히 고정되지 못하여 야광성능이 쉽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6.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타월의 물성 저하, 특히 사용감의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연제는 섬유에 유연성을 가하는 섬유유연제이며, 이는 섬유처리제의 일종이며, 역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당업계에서 상용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연제가 호료 총중량을 기준으로 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타월 원단의 섬유의 유연효과가 충분치 못하여 표백제 및 야광안료가 섬유들 사이로 충분히 스며들어 고정되지 못하여 야광성능이 쉽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역시 과다한 사용으로 인하여 타월의 물성 저하, 특히 사용감의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호료를 구성하는 나머지 성분들로서는 물과 유기용제가 있으며, 이들 중 물이 상기 호료 총중량을 기준으로 15.0중량%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25.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잔량으로서의 유기용제와 함께 사용되어 구성되는 용매시스템이 상기 바인더 또는 유연제들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키고, 안정한 분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호료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등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이 될 수 있다. 상기 착색호료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호료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여기에 표백제 15.0 내지 25.0중량부 및 야광안료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백제로는 바람직하게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또는 차아염소산칼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섬유의 염색에 사용되는 염료의 탈색이 가능하나, 야광안료와는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거나, 야광안료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표백제는 상기 착색호료가 적용되는 타월 원단에 적용된 색상이나 문양 등을 제거하여 상기 착색호료를 구성하는 야광안료의 시인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표백제가 15.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표백효과가 충분치 못하여 야광안료의 시인성을 높이지 못하거나 또는 타월 원단에 기 적용된 색상이 불균일하게 탈색되어 심미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2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표백제의 사용으로 타월 원단의 물성이 저하되고, 또한 타월에 잔류하는 표백제의 양이 증가하여 타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야광안료는 야간 시인성을 높이는 기능을 하는 야광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상기 야광안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색호료를 구성하는 상기 표백제와 공존하는 경우에도 상기 표백제에 의하여 변성되거나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야광안료는 당업자에게는 상용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국 소재 항주야밍 사에서 상용적으로 제공되는 상품명 더블류엘-2(WL-2)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야광안료가 0.1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야간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타월의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고가의 야광안료가 효능의 더 이상의 상승 없이 낭비되어 야광타월의 생산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야광타월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착색호료를 사용하여 이를 타월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도포하고, 60 내지 80℃의 온도범위 이내로 가열하는 열처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착색호료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도포의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소정의 무늬나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당업계에서 공지된 임의의 도포방법 및 도포장치 등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처리의 온도가 60℃ 미만으로 되는 경우, 표백제에 의한 탈색 및 야광안료의 고착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80℃를 초과하는 경우,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 뿐만 아니라 열처리 동안에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바인더나 타월 자체의 물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야광타월의 제조방법은, (1) 호료 100.0중량부에 표백제 15.0 내지 25.0중량부 및 야광안료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호료는 바인더 5.0 내지 6.0중량%, 유연제 0.1 내지 1.0중량%, 물 15.0 내지 25.0중량% 및 잔량으로서 유기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착색호료를 제공하는 착색호료제공단계; (2) 상기 착색호료를 타월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3) 상기 착색호료가 도포된 타월을 60 내지 80℃의 온도범위 이내로 가열하는 열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착색호료제공단계는 호료 100.0중량부에 표백제 15.0 내지 25.0중량부 및 야광안료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호료는 바인더 5.0 내지 6.0중량%, 유연제 0.1 내지 1.0중량%, 물 15.0 내지 25.0중량% 및 잔량으로서 유기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색호료를 구성하는 구성성분들 및 각 구성성분의 사용량 등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상기 (2)의 도포단계는 상기 착색호료를 타월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3)의 열처리단계는 상기 착색호료가 도포된 타월을 60 내지 80℃의 온도범위 이내로 가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야광타월의 제조방법은 표백제와 야광안료를 동시에 포함하는 착색호료를 사용하여 이를 타월의 표면에 도포하고 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문양의 형성, 표백(탈색) 및 야광기능의 부여라는 3가지 기능을 단 한번의 처리조작에 의해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야광타월의 생산단계를 획기적으로 감축시켜서 생산성의 향상과 생산비의 절감 및 미려한 외관의 야광기능을 갖는 야광타월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타월, 특히 야광기능을 가져, 야간시인성이 높고, 야간에도 미적인 외관을 갖는 타월을 제공함으로써 타월의 제조 및 유통산업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타월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착색호료를 도포하고, 60 내지 80℃의 온도범위 이내로 가열하는 열처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착색호료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착색호료는 호료 100.0중량부에 표백제 15.0 내지 25.0중량부 및 야광안료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호료는 바인더 5.0 내지 6.0중량%, 유연제 0.1 내지 1.0중량%, 물 15.0 내지 25.0중량% 및 잔량으로서 유기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타월.
  2. (1) 호료 100.0중량부에 표백제 15.0 내지 25.0중량부 및 야광안료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호료는 바인더 5.0 내지 6.0중량%, 유연제 0.1 내지 1.0중량%, 물 15.0 내지 25.0중량% 및 잔량으로서 유기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착색호료를 제공하는 착색호료제공단계;
    (2) 상기 착색호료를 타월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3) 상기 착색호료가 도포된 타월을 60 내지 80℃의 온도범위 이내로 가열하는 열처리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타월의 제조방법.
KR1020100058457A 2010-06-21 2010-06-21 야광타월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457A KR101131952B1 (ko) 2010-06-21 2010-06-21 야광타월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457A KR101131952B1 (ko) 2010-06-21 2010-06-21 야광타월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525A KR20110138525A (ko) 2011-12-28
KR101131952B1 true KR101131952B1 (ko) 2012-03-29

Family

ID=4550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457A KR101131952B1 (ko) 2010-06-21 2010-06-21 야광타월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294B1 (ko) 2014-09-02 2017-09-13 손대업 흡열용 타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96B1 (ko) 2005-11-16 2007-04-24 박근식 생지 나염용 호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96B1 (ko) 2005-11-16 2007-04-24 박근식 생지 나염용 호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525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32628B (zh) 一种兼具雕印和烂花风格的经编绒类面料及其加工方法
CN101906717A (zh) 一种液体变印花产品及其生产方法
KR101131952B1 (ko) 야광타월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01133B1 (ko) 광변색 잉크수지를 이용한 날염방식에 따른 광변색 섬유제조방법
KR101461595B1 (ko) 번-아웃 및 나염을 위한 레이스가 달린 경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835481A (zh) 夜光法兰绒纤维面料的制备方法
KR101541214B1 (ko) 온도차에 따라 가변색상을 갖는 타올의 제조방법
Gausa et al. Tie-dye (Adire) among the Jukun people
CN101942774B (zh) 洗花工艺
KR20030037711A (ko) 직물의 착색 번아웃 가공방법
CN101935930B (zh) 涤棉混纺织物的烂花/扎染方法
KR101645968B1 (ko)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이용한 장식사 및 직물의 제조방법
CN110846021A (zh) 一种发绿光的光致变色染料
KR100853654B1 (ko) 다색 청바지원단
KR20090072661A (ko) 원착사 함유 직물
CN109208144A (zh) 一种基于烂花印花法的棉涤双层织物
US4822376A (en) Printed bleeding madras
KR101024629B1 (ko) 발염처리에 의한 구제문양이 표현되는 발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발염 직물
CN109082913A (zh) 一种艾德莱斯挂饰的生产工艺与方法
KR200361002Y1 (ko) 축광 플로킹 원단
CN1891877A (zh) 服装用织物
CN1291120C (zh) 多色植物纤维编制墙纸的生产工艺
KR20090027944A (ko) 방염원단 제조방법 및 방염조성물
CN105274880A (zh) 一种布料洗花工艺
JP3140410U (ja) 印刷した紙をテープ、糸あるいは紐にしたものおよびこれらを使用した織編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