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670B1 -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 Google Patents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670B1
KR101131670B1 KR1020100034685A KR20100034685A KR101131670B1 KR 101131670 B1 KR101131670 B1 KR 101131670B1 KR 1020100034685 A KR1020100034685 A KR 1020100034685A KR 20100034685 A KR20100034685 A KR 20100034685A KR 101131670 B1 KR101131670 B1 KR 101131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ower link
guide bar
user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275A (ko
Inventor
오은섭
Original Assignee
오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은섭 filed Critical 오은섭
Priority to KR102010003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670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7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상부링크에 구비되는 안장에 앉은 사용자가 체중과 하부링크에 구비되는 페달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접혔다 펼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팔, 허리, 다리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간단한 구조의 쇽업쇼바가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로 부여하는 부하의 세기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접철시키기 위한 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높은 효율로 팔, 허리, 다리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TRAINING INSTRUMENT FOR STRENGTHENING OF MUSCULAR STRENGTH}
본 발명은 상부링크에 구비되는 안장에 앉은 사용자가 체중과 하부링크에 구비되는 페달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접혔다 펼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팔, 허리, 다리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간단한 구조의 쇽업쇼바가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로 부여하는 부하의 세기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접철시키기 위한 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높은 효율로 팔, 허리, 다리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삶을 여유롭고 즐겁게 살고자 하는 웰빙(well-being)열풍이 불면서 이와 더불어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운동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즉, 육체를 건강하게 하여 풍요로운 삶을 즐기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최근 헬스클럽 등에서는 시간이 부족하거나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운동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다양한 운동도구를 이용하여 체력을 단련하고 있는데, 이중 그 크기가 작고 좁은공간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 운동기구가 널리 애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전거 운동기구는 바닥면에 반듯하게 세워놓거나 고정시켜 단지 다리만을 이용하여 페달을 돌리는 것에 의해 소정의 운동효과를 달성하도록 한 것일 뿐이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팔, 허리, 다리 등과 관련된 근력을 강화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상부링크의 상부에 형성된 안장부에 앉은 사용자가 체중과 하부링크의 양측면에 구비된 페달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접혔다 펼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팔, 허리, 다리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트레이닝 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트레이닝 기구 또한 단순하게 사용자가 체중과 상기 하부링크의 양측면에 구비된 상기 페달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접혔다 펼칠 뿐 사용자가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접혔다 펼치는데 소모되는 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없음으로 사용자가 보다 높은 효율로 팔, 허리, 다리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상부링크에 구비되는 안장에 앉은 사용자가 체중과 하부링크에 구비되는 페달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접혔다 펼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팔, 허리, 다리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간단한 구조의 쇽업쇼바가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로 부여하는 부하의 세기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접철시키기 위한 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높은 효율로 팔, 허리, 다리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하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를 지지하는 일측 및 타측 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가이드바 일측에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가이드바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가이드바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되고 일단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제 1상부링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가이드바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상부링크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를 기준으로 일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제 2상부링크로 이루어지는 상부링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가이드바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되고 일단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제 1하부링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가이드바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하부링크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부재의 하측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를 기준으로 일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제 2하부링크로 이루어지는 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의 제 1상부링크 또는 제 2상부링크에 구비되는 안장과; 상기 하부링크의 제 1하부링크 또는 제 2하부링크에 구비되는 페달과; 상기 상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의 접철시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쇽업쇼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쇽업쇼바는 상기 하부링크의 제 1하부링크와 상기 일측 다리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쇽업쇼바는 압력조절식 쇽업쇼바인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이동부재의 좌우이동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 및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가능거리를 근거로 사용자의 운동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사용자의 운동거리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연산부는 사용자의 운동거리 및 사용자의 운동시간을 근거로 속도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가이드바의 타측 상부에 별도의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본 발명은 상부링크에 구비되는 안장에 앉은 사용자가 체중과 하부링크에 구비되는 페달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접혔다 펼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팔, 허리, 다리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의 접철시 간단한 구조의 쇽업쇼바가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로 부여하는 부하의 세기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접철시키기 위한 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높은 효율로 팔, 허리, 다리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쇽업쇼바가 상기 하부링크의 제 1하부링크와 일측 다리부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쇽업쇼바가 사용자에 의해 접철되는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로 보다 용이하게 부하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쇽업쇼바가 압력조절식 쇽업쇼바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쇽업쇼바가 사용자에 의해 접철되는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로 부여하는 부하의 세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연산부가 센서부의 신호 및 이동부재의 이동가능거리를 근거로 사용자의 운동거리를 연산하고,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사용자의 운동거리를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 본인의 운동거리를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연산부가 사용자의 운동거리 및 사용자의 운동시간을 근거로 속도를 연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사용자의 속도를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 본인의 운동거리, 속도 등을 포함한 운동량을 육안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접철시키면서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가이드바 타측 상부에 구비된 별도의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배부위와 등부위를 활처럼 구부리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여 허리 , 가슴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이동부재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상부링크와 하부링크가 접철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베이스 프레임의 가이드바의 타측 상부에 별도의 손잡이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 프레임(10), 손잡이부(30), 이동부재(50), 상부링크(70), 하부링크(90), 안장(100), 페달(130) 및 쇽업쇼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가이드바(11)와 일측 및 타측 다리부(13, 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바(11)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상태로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수평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및 타측 다리부(13, 15)는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하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11)를 일정높이로 지지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다리부(13)는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 방향에 상단부에서 하단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타측 다리부(15)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바(11)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 일측에 상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수직바(310)와 손잡이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바(310)의 하단부 타측면에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이 용접접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바(310)는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일측 다리부(13)의 상단부는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에 상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수직바(310)의 하단부 일측면에 용접접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330)는 수평봉(331), 전측 손잡이봉(333) 및 후측 손잡이봉(3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봉(331)은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수직바(310)의 상단부 타측면에 중심부가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손잡이봉(333)은 상기 수평봉(331)의 전단부에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손잡이봉(335)은 상기 수평봉(331)의 후단부에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재(50)의 내부 중심부에는 상기 가이드바(11)가 수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이동부재(50)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상기 이동부재(50)가 상기 가이드바(11)의 길이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좌우이동될 수 있도록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50)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바(11)와 접한 상태에서 정역회전운동하는 하나 이상의 바퀴부재(51)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50)의 내부에 하나의 상기 바퀴부재(51)가 축결합될 경우, 하나의 상기 바퀴부재(5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이 상기 가이드바(11)의 상부면과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50)의 내부 상측에 중심부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50)의 내부에 두개의 상기 바퀴부재(51)가 축결합될 경우, 두개의 상기 바퀴부재(51)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 바퀴부재(510)와 하측 바퀴부재(5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바퀴부재(510)는 하측이 상기 가이드바(11)의 상부면과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50)의 내부 상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바퀴부재(530)는 상측이 상기 가이드바(11)의 하부면과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내부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상기 바퀴부재(51)가 상기 가이드바(11)의 상부면 접한상태 또는 두개의 상기 바퀴부재(51)가 각각 상기 가이드바(11)의 상하부면 모두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5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이동할 시 상기 바퀴부재(51)는 정역회전운동하여 상기 이동부재(50)가 보다 원활하게 상기 가이드바(11)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이동할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가 접철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링크(7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상부링크(71)와 제 2상부링크(73)로 이루어져 사용자에 의해 접철, 즉 접혔다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제 1상부링크(7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부(30)의 수직바(310) 하단부 타측면에 일단부가 축결합된다.
상기 제 1상부링크(71)의 타단부는 상기 제 1상부링크(71)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2상부링크(7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상부링크(71)의 타단부 하부면에 일단부가 축결합된다.
상기 제 2상부링크(73)의 타단부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상측에 축결합된다.
상기 제 2상부링크(73)의 일단부는 상기 제 2상부링크(73)의 타단부를 기준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링크(9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하부링크(91)와 제 2하부링크(93)로 이루어져 사용자에 의해 접철, 즉 접혔다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제 1하부링크(9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부(30)의 수직바(310)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된다.
상기 제 1하부링크(91)의 타단부는 상기 제 1하부링크(91)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2하부링크(9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하부링크(91)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된다.
상기 제 2하부링크(93)의 타단부는 상기 이동부재(50)의 하측에 축결합된다.
상기 제 2하부링크(93)의 일단부는 상기 제 2하부링크(93) 타단부를 기준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상기 안장(100)은 상기 상부링크(70)의 제 1상부링크(71)에 구비되거나 상기 상부링크(70)의 제 2상부링크(73)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안장(100)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링크(70)의 제 1상부링크(71)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안장(100)의 하부에 형성된 수직축(101)은 상기 상부링크(70)의 제 1상부링크(71) 타단부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양발바닥부위와 각각 접하는 상기 페달(130)은 상기 하부링크(90)의 제 1하부링크(91) 또는 제 2하부링크(93)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페달(130)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링크(90)의 제 1하부링크(91)의 전후면에 각각 상기 페달(130)이 축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안장(100)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과 사용자가 상기 페달(130)로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는 접철, 즉 접혔다 펼쳐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가 접철될 시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쇽업쇼바(15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가 접철될 시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로 부하를 부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쇽업쇼바(15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링크(90)의 제 1하부링크(91)와 상기 일측 다리부(1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쇽업쇼바(150)의 내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로 인입출되는 상기 쇽업쇼바(150)의 피스톤로드(151)의 타단부는 상기 제 1하부링크(91)의 일단부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쇽업쇼바(150)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 다리부(13)의 하단부 타측면에 축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쇽업쇼바(150)는 압력조절식 쇽업쇼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식 쇽업쇼바는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압력조절밸브가 구비된 공압식 쇽업쇼바 또는 내부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압력조절밸브가 구비된 가스식 쇽업쇼바로 이루어지거나, 내부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유압식 쇽업쇼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압력조절밸브가 구비된 공압식 쇽업쇼바 또는 내부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압력조절밸브가 구비된 가스식 쇽업쇼바로 이루어지거나, 내부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유압식 쇽업쇼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압력조절식 쇽업쇼바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압력조절식 쇽업쇼바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 등의 압력의 세기가 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접철되는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에 대한 상기 피스톤로드(151)의 저항력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압력조절식 쇽업쇼바는 사용자에 의해 접철되는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로 보다 강한 부하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를 접철시키기 위해 특히, 상기 페달(130)로 보다 강한 힘을 가하게 되고, 이때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는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접철된다.
상기 압력조절식 쇽업쇼바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 등의 압력이 작을 경우 사용자에 의해 접철되는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에 대한 상기 피스톤로드(151)의 저항력은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압력조절식 쇽업쇼바는 사용자에 의해 접철되는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로 보다 약한 부하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특히, 상기 페달(130)로 보다 약한 힘을 가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보다 쉽게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를 접철시킬 수 있다.
상기 쇽업쇼바(150)가 상기 하부링크(90)의 제 1하부링크(91)와 상기 일측 다리부(13)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쇽업쇼바(150)가 사용자에 의해 접철되는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로 보다 용이하게 부하를 부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쇽업쇼바(150)가 공지된 압력조절식 쇽업쇼바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쇽업쇼바(150)가 사용자에 의해 접철되는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로 부여하는 부하의 세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제어부(16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센서부(170), 연산부(190) 및 디스플레이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70)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좌우이동횟수를 측정하여 제어부(160)로 측정한 상기 이동부재(50)의 좌우이동횟수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손잡이부(30)의 수직바(310) 등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그 구비위치는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센서부(17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 일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70)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상부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이동부재(50)를 감지하는 리미트 센서 등을 포함한 접촉식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미트 센서 등을 포함한 접촉식 센서로 이루어지는 상기 센서부(170)는 상기 이동부재(50)의 감지횟수를 근거로 상기 이동부재(50)의 좌우이동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미트 센서 등을 포함한 접촉식 센서로 이루어지는 상기 센서부(170)가 감지한 상기 이동부재(50)의 감지횟수가 3회인 경우,
상기 리미트 센서 등을 포함한 접촉식 센서로 이루어지는 상기 센서부(170)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좌우이동횟수가 3회인것으로 측정하게 된다.
한편, 리미트 센서 등을 포함한 접촉식 센서는 대게 수명이 짧기 때문에 상기 센서부(170)의 수명연장을 위해 상기 센서부(170)는 비접촉식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비접촉식 센서로 이루어지는 상기 센서부(17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석(171)과 홀센서(17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171)은 상기 이동부재(50)의 전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50)를 따라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홀센서(17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50)를 따라 좌우이동하는 상기 자석(171)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자석(171)과 홀센서(173)로 구성되는 비접촉식 센서로 이루어지는 상기 센서부(170)는 상기 자석(171)의 자력감지횟수를 근거로 상기 이동부재(50)의 좌우이동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센서(173)가 감지한 상기 자석(171)의 자력감지횟수가 3회인 경우,
상기 자석(171)과 홀센서(173)로 구성되는 비접촉식 센서로 이루어지는 상기 센서부(170)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좌우이동횟수가 3회인것으로 측정하게 된다.
상기 연산부(190)는 상기 제어부(160)에 내장되어 상기 센서부(170)의 신호 및 상기 이동부재(50)의 이동가능거리를 근거로 사용자의 운동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50)의 이동가능거리는 상기 제어부(16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이동가능거리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좌측방향으로 최대이동거리와 상기 이동부재(50)의 우측방향으로 최대이동거리를 합산한 값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재(50)가 좌측방향으로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이동거리가 50cm이고,
좌측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이동부재(50)가 다시 우측방향으로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이동거리가 50cm인 경우 상기 이동부재(50)의 이동가능거리는 100cm가 되며,
상기 제어부(160)에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이동가능거리 100cm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외부의 전원공급부(16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센서부(170)의 신호 즉, 상기 센서부(170)가 출력하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좌우이동횟수 및 상기 이동부재(50)의 이동가능거리를 곱하여 사용자의 운동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70)가 출력하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좌우이동횟수가 3회이고, 상기 제어부(160)에 미리 설정된 상기 이동부재(50)의 이동가능거리가 100cm인 경우 상기 연산부(190)가 연산한 사용자의 운동거리는 300cm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연산부(190)에 의해 연산된 사용자의 운동거리를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문자, 숫자 등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손잡이부(30)의 수직바(310)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190)가 상기 센서부(170)의 신호 및 상기 이동부재(50)의 이동가능거리를 근거로 사용자의 운동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상기 연산부(190)에 의해 연산된 사용자의 운동거리를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사용자 본인의 운동거리를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산부(190)는 사용자의 운동거리 및 사용자의 운동시간을 근거로 속도를 연산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손잡이부(30)의 수직바(310)에는 사용자의 운동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190)는 사용자의 운동거리를 상기 타이머(310)가 측정한 사용자의 운동시간으로 나누어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190)에 의해 연산된 속도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문자, 숫자 등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190)가 사용자의 운동거리 및 사용자의 운동시간을 근거로 속도를 연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상기 연산부(190)에 의해 연산된 사용자의 속도를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사용자 본인의 운동거리, 속도 등을 포함한 운동량을 육안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은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의 타측 상부에 별도의 손잡이부(4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의 타측 상부에는 별도의 손잡이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별도의 상기 손잡이부(40)는 수직바(410)와 손잡이부재(4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바(410)는 상기 가이드바(11)의 타측 상부에 일체형으로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43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재(430)의 중심부 하측은 상기 수직바(410)의 상단부에 용접접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장(100)에 앉은 사용자는 팔 부위를 상기 가이드바(11)의 타측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별도의 상기 손잡이부(40)의 손잡이부재(430)를 양손으로 각각 파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를 접철시키면서 배부위와 등부위를 활처럼 구부리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접철시키면서 허리, 가슴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상부링크(70)에 구비되는 상기 안장(100)에 앉은 사용자가 체중과 상기 하부링크(90)에 구비되는 상기 페달(130)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를 접혔다 펼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팔, 허리, 다리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의 접철 시 간단한 구조의 상기 쇽업쇼바(150)가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로 부여하는 부하의 세기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상부링크(70)와 하부링크(90)를 접철시키기 위한 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높은 효율로 팔, 허리, 다리 등과 관련된 근력강화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10; 베이스 프레임, 11; 가이드바,
13; 일측 다리부, 15; 타측 다리부,
30, 40; 손잡이부, 310, 410; 수직바,
330, 430; 손잡이부재, 331; 수평봉,
333; 전측 손잡이봉, 335; 후측 손잡이봉,
50; 이동부재, 51; 바퀴부재,
510; 상측 바퀴부재, 530; 하측 바퀴부재,
70; 상부링크, 71; 제 1상부링크,
73; 제 2상부링크, 90; 하부링크,
91; 제 1하부링크, 93; 제 2하부링크,
100; 안장, 130; 페달,
150; 쇽업쇼버, 151; 피스톤로드,
160; 제어부, 161; 전원공급부,
170; 센서부, 171; 자석,
173; 홀센서, 190; 연산부,
300; 디스플레이부, 310; 타이머.

Claims (6)

  1. 가이드바(11)와,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하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11)를 지지하는 일측 및 타측 다리부(13, 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 일측에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5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부(30)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되고 일단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제 1상부링크(71)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상부링크(71)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부재(50)의 상측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를 기준으로 일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제 2상부링크(73)로 이루어지는 상부링크(7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부(30)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되고 일단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제 1하부링크(91)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하부링크(91)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부재(50)의 하측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를 기준으로 일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제 2하부링크(93)로 이루어지는 하부링크(90)와;
    상기 상부링크(70)의 제 1상부링크(71) 또는 제 2상부링크(73)에 구비되는 안장(100)과;
    상기 하부링크(90)의 제 1하부링크(91) 또는 제 2하부링크(93)에 구비되는 페달(130)과;
    상기 상부링크(70)와 상기 하부링크(90)의 접철시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쇽업쇼바(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쇽업쇼바(150)는 상기 하부링크(90)의 제 1하부링크(91)와 상기 일측 다리부(13)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쇽업쇼바(150)는 압력조절식 쇽업쇼바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의 좌우이동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부(170)와;
    상기 센서부(170)의 신호 및 상기 이동부재(50)의 이동가능거리를 근거로 사용자의 운동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190)와;
    상기 연산부(190)에 의해 연산된 사용자의 운동거리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190)는 사용자의 운동거리 및 사용자의 운동시간을 근거로 속도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이드바(11)의 타측 상부에 별도의 손잡이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KR1020100034685A 2010-04-15 2010-04-15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KR101131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685A KR101131670B1 (ko) 2010-04-15 2010-04-15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685A KR101131670B1 (ko) 2010-04-15 2010-04-15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275A KR20110115275A (ko) 2011-10-21
KR101131670B1 true KR101131670B1 (ko) 2012-03-28

Family

ID=4502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685A KR101131670B1 (ko) 2010-04-15 2010-04-15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069B1 (ko) * 2015-06-01 2016-02-11 조위현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828Y1 (ko) * 1983-01-10 1984-12-26 이세영 전신 운동구
KR19990004192U (ko) * 1998-10-26 1999-01-25 평성인 운동기구
KR20060034519A (ko) * 2004-10-19 2006-04-24 김기홍 전신 운동 기구
KR20080003289U (ko) * 2007-02-08 2008-08-13 유호재 상체운동 기능을 갖는 바이크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828Y1 (ko) * 1983-01-10 1984-12-26 이세영 전신 운동구
KR19990004192U (ko) * 1998-10-26 1999-01-25 평성인 운동기구
KR20060034519A (ko) * 2004-10-19 2006-04-24 김기홍 전신 운동 기구
KR20080003289U (ko) * 2007-02-08 2008-08-13 유호재 상체운동 기능을 갖는 바이크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069B1 (ko) * 2015-06-01 2016-02-11 조위현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WO2016195322A1 (ko) * 2015-06-01 2016-12-08 조위현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275A (ko)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5988B2 (en) Exercise apparatus
KR101433284B1 (ko) 자세조절부를 포함하는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US9248339B2 (en) Elliptical trainer
JP4478208B1 (ja) 運動補助装置
US9474928B1 (en) Treadmill with folding overhead handlebar assembly
CN110141828A (zh) 一种可折叠多功能健身器材
US20090011906A1 (en) Rebounding exerciser
CN204050797U (zh) 一种集多功能于一体的健身器械
KR101131670B1 (ko)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US20120277067A1 (en) Cycle Exerciser With Peddles and Ballistic Handle Bars
TW201729872A (zh) 蹲立健身器
CN206045295U (zh) 上肢牵引康复健身器
CN102641579B (zh) 手倒立行走器
CN102188791B (zh) 扭腰甩腿器
CN108905102B (zh) 一种一驱两动式倒立机
KR101099244B1 (ko) 전신 운동기구
CN201431737Y (zh) 一种运动健身器
CN201596298U (zh) 翘臀机
CN107715377A (zh) 一种多人协同或对抗健身器材及其使用方法
CN213941989U (zh) 可收折的划船器
JP3185542U (ja) エアロバイクマシンの仰臥台座
CN211611452U (zh) 箱体折叠锻炼器
CN202446723U (zh) 悬吊式跑跳姿势力量训练器
CN102580284A (zh) 一种跑跳姿势力量训练器
JP2006296703A (ja) 筋肉訓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