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192U -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192U
KR19990004192U KR2019980020466U KR19980020466U KR19990004192U KR 19990004192 U KR19990004192 U KR 19990004192U KR 2019980020466 U KR2019980020466 U KR 2019980020466U KR 19980020466 U KR19980020466 U KR 19980020466U KR 19990004192 U KR19990004192 U KR 199900041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support frame
user
assemb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평성인
Original Assignee
평성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성인 filed Critical 평성인
Priority to KR2019980020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192U/ko
Publication of KR199900041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192U/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하단 각각에 지지체를 가지고 지면에 안착되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축을 종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브라켓트 상면에 안착된 안장과, 이 안장의 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조립되어 안장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그 이동거리를 설정된 단계별로 제어하는 실리더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그 중앙부위에 갖추어진 축수부를 중심으로 조립되어 상단부에 갖추어진 손잡이를 당기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된 하단부의 발판이 역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안장과 연계되어 사용자의 근육을 발달시키는 가암 프레임이 갖추어진 것으로 달성되는데 이는 앉은 자세에서 팔 근육과, 다리 그리고 허리 근육을 동시에 발달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일련의 동작 과정이 하나의 기구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운동 효과가 대단히 뛰어나고, 안장 및 발판의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혹은 발달시키고자 하는 근육 부위에 따라 선택적인 운동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운동기구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장에 안착된 상태에서 팔과, 다리는 물론 허리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를 발달시키는 운동기구에는 단순히 일정량의 무게를 가지고 국부적으로 근육의 일부를 발달시키는 기구와 기계적 혹은 전자적인 장치를 이용하는 기구로 구분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운동기구들은 운동효과가 미비하거나 혹은 일반인이 쉽게 구입하기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역기와 같은 중량체로 이루어진 기구는 일반인이 구입하기는 쉬우나, 운동 조건에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반대로 기계적 혹은 전자적이 장치가 가미된 운동기구는 고가이고, 부피가 커 보관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여러가지의 운동 효과를 볼 수 있는 여러 장치가 개발되고는 있으나, 이 또한 상술한 문제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단순히 여러 운동기구를 조합한 것에 불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방측에 구비된 가압 프레임을 당기는 것으로 팔과, 다리는 물론 허리 운동이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선택적으로 기구를 조절하여 원하는 부위의 근육을 자유로이 발달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기구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고 제작성이 뛰어나 경제적인 절감 효과를 가지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단 각각에 지지체를 가지고 지면에 안착되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희전 가능하게 조립된 브라켓트 상면에 안착된 안장과, 이 안장의 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조립되어 안장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그 이동거리를 설정된 단계별로 제어하는 실리더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그 중앙부위에 갖추어진 축수부를 중심으로 조립되어 상단부에 갖추어진 손잡이를 당기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된 하단부의 발판이 역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안장과 연계되어 사용자의 근육을 발달시키는 가압 프레임이 갖추어진 것으로 달성되는데 이는 앉은 자세에서 팔 근육과, 다리 그리고 허리 근육을 동시에 발달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일련의 동작 과정이 하나의 기구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운동 효과가 대단히 뛰어나고, 안장 및 발판의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혹은 발달시키고자 하는 근육 부위에 따라 선택적인 운동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도,
도 4 는 본 고안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프레임 11 : 제1지지프레임
12 : 제2지지프레임 20 : 안장
21 : 브라켓트 22 : 화전축
30 : 가압 프레임 31 : 축수부
32 : 연결대 34 : 손잡이
200 : 실린더 220 : 가로대
300 : 발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높낮이 조절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사용장소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과, 이 지지프레임(10)에 조립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안장(20)과, 상기 지지 프레임(10)의 전방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사용자가 이를 끌어 당겨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압 프레임(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프레임(10)은 대략 ㅅ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1)(12)으로 구성되고, 그 각각의 하단부에는 지지체(13)가 갖추어져 지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안장(20)은 지지 프레임(11)에 관통 설치되는 회전축(2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브라켓트(21)의 상면에 안착된 구성으로 이 브라켓트(21)의 저면은 후술하는 실린더(200)에 지지된 상태이다.
다음 상기 가압 프레임(30)은 그 중앙 부위에 구비된 축수부(31)에 의해 지지 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시 그 직하부에 갖추어진 연결대(32)에 의해 상기 안장(20)을 지지하는 브라켓트(21)에 연결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가압 프레임(30)의 하단에는 그 양측 하향으로 연장된 보조 프레임(33)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 보조 프레임(33)의 하단부에는 발판(30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구조이다.
이러한 발판(300)은 도 3 과 같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데, 이러한 예는 하나의 실시예 이며, 다른 방법으로도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시 밀해 상기 보조 프레임(33)에 다수의 통공(310)을 형성하여 이에 발판(300)의 회동축(320) 적당한 높이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 프레임(30) 상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보조 프레임(33) 자체를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 다른 방법 예들 들면 나사식 혹은 유압식으로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 프레임(3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잡아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34)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34)는 양측부가 ㄷ형상으로 절곡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부 혹은 하부를 잡고 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중앙에는 카운터기(35) 즉 운동횟수를 계측하는 기기가 구비되어 있다.
도 4 는 상기 안장(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실린더(200)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린더(200)는 안장(20)의 이동거리 즉 상기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하이송거리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혹은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높이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조절수단(2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절수단(210)은 유압량을 조절하여 실린더(200)의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기 입력된 기준값을 가지고 사용자가 설정하는 설정값을 비교 판단하여 실린더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 있어서는 보다세밀하게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안장(20)의 하방측에는 팔굽혀 펴기 운동을 할 수 있는 가로대(22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가로대(200)는 그 양측단부가 ㄷ 형상으로 절곡되어 사용자는 그 상부 및 하부 가로대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 가로대(200)는 절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5 와 같이 사용자가 안장(20)에 앉은 상태에서 가압 프레임(30) 상단에 장착된 손잡이(34)를 한손 혹은 양손으로 잡아 당김과 동시에 발판(300)을 밀면 가압 프레임(30)은 축수부(31)를 중심으로 시소식으로 운동하며 그 상부 즉 손잡이(34)는 당겨지고, 하부 발판(300)은 그 반대측으로 밀리면서 연결대(32)와 연결 조립된 상기 안장(20)의 브라켓트(21)를 하방으로 끌어 내리게 된다.
이때 상기 안장(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실린더(200)는 조절된 거리 즉 1단으로 부터 선택된 최종 단에 이르기 까지 이동거리를 제어하며 안장(20)을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거의 서 있는 상태가 되며, 가압 프레임(30)을 당기는 힘을 풀면 실린더(200)가 복귀됨과 동시에 다음 동작을 위하여 안장(20) 그리고 가압 프레임(30) 또한 원위치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실린더(200)의 거리조절 혹은 발판(300)의 높낮이 조절로 사용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혹은 신체를 국부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고루 근육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장(20)의 후방측에 장착된 가로대(220)를 절첩시키며 팔굽혀 펴기와 같은 다양한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앉은 자세에서 팔 근육과, 다리 그리고 허리 근육을 동시에 발달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일련의 동작 과정이 하나의 기구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운동 효과가 대단히 뛰어나고, 더불어 구조적으로도 제작이 편리한 경제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안장 및 발판의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혹은 발달시키고자 하는 근육 부위에 따라 선택적인 운동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

  1. 하단 각각에 지지체를 가지고 지면에 안착되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브라켓트상면에 안착된 안장과, 이 안장의 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조립되어 안장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그 이동거리를 설정된 단계별로 제어하는 실리더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그 중앙부위에 갖추어진 축수부를 중심으로 조립되어 상단부에 갖추어진 손잡이를 당기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된 하단부의 발판이 역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안장과 연계되어 사용자의 근육을 발달시키는 가압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
KR2019980020466U 1998-10-26 1998-10-26 운동기구 KR199900041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466U KR19990004192U (ko) 1998-10-26 1998-10-26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466U KR19990004192U (ko) 1998-10-26 1998-10-26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192U true KR19990004192U (ko) 1999-01-25

Family

ID=6951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466U KR19990004192U (ko) 1998-10-26 1998-10-26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19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750B1 (ko) * 2002-07-04 2005-05-06 표옥근 온몸운동구
KR101131670B1 (ko) * 2010-04-15 2012-03-28 오은섭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WO2017135555A1 (ko) * 2016-02-01 2017-08-10 장병택 복합운동 헬스자전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750B1 (ko) * 2002-07-04 2005-05-06 표옥근 온몸운동구
KR101131670B1 (ko) * 2010-04-15 2012-03-28 오은섭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WO2017135555A1 (ko) * 2016-02-01 2017-08-10 장병택 복합운동 헬스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569A (en) Training apparatus
US6220990B1 (en) Jumping jack exercise machine
US6705976B1 (en) Exercise apparatus
US6068579A (en) Treadmill with a Y-shaped yoke
KR100995230B1 (ko) 운동 기구
US4546968A (en) Adjustable bench mounted leg lift exerciser
US5378209A (en) Apparatus for exercising arms and legs vertically
US7670270B2 (en) Exercising machine
KR102012192B1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KR102191270B1 (ko) 하체 운동기구
KR19990004192U (ko) 운동기구
KR200463740Y1 (ko) 실외용 쇼울더 기구
KR200374873Y1 (ko) 종합 헬스기
KR200421999Y1 (ko)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KR102434907B1 (ko) 아령 들어올리기
KR100939095B1 (ko) 체중 체감형 플라이 운동기구
KR200351859Y1 (ko) 전신 운동용 트위스트 머신
KR102434911B1 (ko) 역기 내리기
KR100895111B1 (ko) 운동기구
KR102434901B1 (ko) 노젓기
KR20030016939A (ko) 하체운동기구
KR940002361Y1 (ko) 종합 신체단련 기구
KR200462291Y1 (ko) 실외용 하이풀리 기구
KR200381120Y1 (ko) 지렛대와 자기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CA2422317C (en) Exercis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