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95322A1 -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95322A1
WO2016195322A1 PCT/KR2016/005581 KR2016005581W WO2016195322A1 WO 2016195322 A1 WO2016195322 A1 WO 2016195322A1 KR 2016005581 W KR2016005581 W KR 2016005581W WO 2016195322 A1 WO2016195322 A1 WO 20161953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ercise
pair
slide block
handle
muscl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5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위현
Original Assignee
조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위현 filed Critical 조위현
Publication of WO20161953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95322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and joints,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muscle strength of both legs and arms by a striking motion on both legs and both arms, and to promote metabolic activity of the whole body by such a striking motion.
  • Ankle related to exercise equipment for muscle strength and joint improvement that can aim the flexibility of the joint by the reverse motion of the ankle.
  • various kinds of exercise equipments are used by users for physical exercise, and these kinds of exercise equipments are not only exercise equipment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specific parts of the body, but also many exercise equipments that help the whole body development. have.
  • Examples of exercise equipment that can be used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include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such as weights, bench presses, barbell sets, and scaling machines. Biceppe Roman chairs, scale sit-up benches, and galaxy boards as waist and abs exercises
  • As a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there are scale squat tracks and steppers, and as aerobic exercise equipment, there are various such as a health cycle and a treadmill.
  • exercise apparatuses are not suitable for use as exercise apparatuses for whole-body development because most of them are exercise apparatuses used for local development of the body.
  • exercise equipme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body is also being released and utilized, but it is very expensive because of the complex combination of various instruments to meet the purpose of the whole body movement. Even if the expensive whole body exercise equipment is purchased and utilized, it is not suitable for improving flexibility of joint motion because it is an exercise machine developed to focus on the actual strength development for the whole body.
  • most of the exercise equipment including not only the whole body exercise equipment but also the exercise equipment that is used for a specific part of the body, is suitable for the strength development use of the body, and the cycle is used for the aerobic exercise.
  • Patent Document 1 Patent Document 001 Registered Patent No. 10-0555140
  • Patent Document 2 Patent Document 002 Registered Patent No. 10— 1020459
  • various kinds of exercise equipments are used by users for physical exercise, and these kinds of exercise equipments are not only exercise equipment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specific parts of the body, but also many exercise equipments that help the whole body development. have.
  • Examples of exercise equipment that can be used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include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such as dumbbells, bench presses, barbell sets, and scaling machines, and as waist and abdominal exercise machines, bispecroman chairs, scale sit-up benches, and galaxy boards.
  • As a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there are scale squat tracks and steppers, and as aerobic exercise equipment, there are various such as a health cycle and a treadmill.
  • exercise apparatuses are not suitable for use as exercise apparatuses for whole-body development because most of them are exercise apparatuses used for localized development of the body.
  • exercise equipme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body is also being released and utilized, but it is very expensive because of the complex combination of various devices to meet the purpose of the whole body exercise. Even if the expensive whole body exercise equipment is purchased and utilized, it is not suitable for improving flexibility of joint motion because it is an exercise machine developed to focus on the actual strength development of the whole body.
  • most exercise equipments including not only whole body exercise apparatuses but also exercise apparatuses that are used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a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muscle strength of the body and use cycles for aerobic exercise.
  • Patent Document 1 Patent Document 001 Registered Patent No. 10-0555140
  • Patent Document 2 Patent Document 002 Registered Patent No. 10-1020459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support panel, a vertical support rod installed in the front center of the support panel, and a pair of rails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upport panel, the fron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anel A pair of handle bars that are supported by the shaft of the vertical support rod and rotated forward or backward, and a pair of footrests that are snapped to each rail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handle bars and slid to the rear or front to be crossed
  • the handle bar and the footrest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the footrest is parallel to the aerobic exercise of the whole body along with the joint movement of the arms, legs and ankles through the exercise device that the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movements are carried out.
  • the forward and reverse portion a pair of spur gears which are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being bitten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flexible rotation about each shaft formed protru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bout the pair of spur gear shafts
  • a pair of bearing parts mounted on a full rate formed on the vertical support rod and fixedly coupled to the plate, and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utside the pair of bearing parts, respectively, and holding the respective shaft rods fixed by holding keys.
  • Furn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ercise device for improving muscle strength and joints further comprises a fixed rod coupled to each of the handle bar by a fixed piece.
  • each of the slide blocks may have a top surface center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lide block so as to maintain the horizontal level,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lide block may be formed on the horizontal plan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so that the respective steps can be tilted forward or backward.
  • the slide groove is formed at the bottom center so as to be bitten by each rail,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stalled on the support panel from side to side to separate from each slide block
  • a feature of the exercise device for improving muscle strength and joints is configured to further comprise a pair of rail to prevent.
  • Each scaffold is performed to be flipped at the top of the slide block in the front and rear in the same way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3 ⁇ 4 force of both ankles, the slide block slides backward along the rail during the forward pull operation, the rear It is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mechanism for muscle strength and joints in which the slide block slides forward along the rails during the turning operation.
  •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bar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xercise bar and the slide block by the connecting rod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bar of the footrest to the second link to the exercise device for muscle strength and joint enhancement There is one feature.
  • Muscle strength and joints further includes a processing unit installed to process the amount of exercis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exercise measurement information numerically on the exterior housing in which the processing unit is embedded, to inform the athlete.
  • Dragon fitness equipment has one feature.
  • the adjustment device is further provided, and the adjustment device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shaped support rod installed forward from the vertical support rod, and is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support rod, respectively, and reel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left and right handle bars, respectively wound on the reels.
  • one end is tied to each handle bar, and there is a feature of the exercise device for muscle strength and joint improvement, including a rope for controlling the moving distance of each handle bar.
  • the rope tied to the other handlebar, which is pulled forward and stopped, is characterized by the exercise equipment for muscle strength and joint improvement that is maintained in a curved form.
  • the exercise equipment for muscle strength and joint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urchased at a lower price than existing expensive fitness equipment to perform the exercise for the whole body, so users are burdened on purchasing the exercise equipment. Can be less.
  • the exercise device for improving muscle strength and joi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ll ages, men and women, is suitable for individuals or household use, and especially can be used without the weak glaze to improve the body metabolism for the glazed people Can contribute.
  • the exercise device for muscle strength and joint improvement by adjusting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handle bar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with the adjusting device can adjust the amount of exercise of both arms and legs of the user according to It can be adjusted by optimizing the amount of crossing exercise of each user's arms and legs.
  • the exercise device for muscle strength and joint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ibute to overcoming arthritis, as the user can finely adjust and perform the repetitive motion of the ankle in order to improve arthritis, especially in the elder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ercise device for muscle strength and joint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of the drawing of FIG. 1;
  •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rail biting state of the scaffolding unit illustrated in FIG. 1;
  • FIG. 4 is a view showing a rotation operation between the spur gears shown in FIG.
  • FIG. 5 is a view showing a rotation interlocking state of the handle ba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pur gear with the spur gear shown in FIG.
  •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front and rear wetting state for the footrest of the footrest shown in Figures 1 and 3
  • 7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state of the slide block to the rear of the rail in accordance with the front state of the front of the footrest in the footrest shown in FIG.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movement state of the slide block toward the front of the rail according to the rearward state of the footrest of the scaffold of FIG. 6.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recognized as a scope of rights including an extended range interpreted based on the technical contents describ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vertical upper dir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front support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support panel 10 provided on the bottom, It consists of a vertical support rod 20 and a pair of rails (30, 31) installed side by sid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gap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anel (10).
  •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unit 40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outside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unit 40 It is composed of a pair of handle bars (50, 51) possible, and each footrest portion (60) that is coupled to the pair of rails (30, 31) and slide-linked with each of the handle bars (50, 51) .
  • each footrest 60 is formed to provide flexibility to the ankle-flicking motion together with strengthening the leg muscle exercise of the person exercising.
  • the athlete puts his or her feet on the footrest 61 of each footrest part 60, and holds both hands on the handles 50a, 51a of the handlebars 50, 51, and shifts the legs.
  • the forward and reverse portion 40 is installed on the plate 20a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rod 20, a pair of spur gears 41 and 42 horizontally bite each other, the flat Each shaft 41a, 42a formed in the oute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gear, each bearing portion 43, 44 which provides a flexible rotation of each shaft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late 20a, and the oute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espective bearing portions It is provided in the configuration to hold each of the rods in the state holding each of the rods, and each of the fixing rods (45, 46) fixedly coupled to the handle bars (50, 51).
  • the spur gears 41 and 42 are horizontally arranged as shown in FIG. 4 with reference to FIG. 2 so that they are not restrained or obstruc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process while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 each of the shaft rods 41a and 42a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pur gears 41 and 42 are inserted into the bearing portions 43 and 44 provided on the out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ur gears 41 and 42,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plate 20a.
  • the fixing rods 45 and 46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earing parts 43 and 44 so as to hold and insert the shaft rods 41a and 42a, respectively. Is fixed to the coupling.
  • each of the shaft rods 41a and 42a inserted into each of the fixing rods 45 and 46 is fixed by the fixing keys 49 and 49a inserted i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fixing rods 45 and 46, thereby fixing the fixed rod ( Torsion is prevented in 45,46, and each of the fixing rods 45,46 is each handle bar 50,51 by means of fixing pieces 47,48 holding each handle bar 50,51. Is fixed to the coupling.
  • the scaffolding portion 60 is installed in a bite manner to each rail (30, 31)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anel 10, such scaffolding portion 60 is a footrest 61 that can step both fee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caffolding is composed of a slide block 62 is operated by sliding the rail (30,31) in the hinged state with the scaffold.
  • the slide block 62 forms a horizontal plane 64 at a center of the upper end thereof, and first and second slopes 65 and 66 having a symmetrical shape in front and rea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
  • the horizontal surface 64 serves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scaffold 61
  • the first and second slopes 65 and 66 of the crab is to serve to maintain the front or rear of the footrest 61.
  • the center forms the horizontal surface 64 and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65 and 66 in the front and rear.
  • the slide block 62 forms a protruding rod 63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forms the slide groove 67 at the lower center thereof, and thus slide grooves 67 on the rails 30 and 31. This bite structure becomes.
  •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ide block 6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rler 68 in front and back more than a plurality of lorler 68 is supported by the slide block 62 along the rail (30,31) to the front and rear room. The slide is moved.
  • the pair of handle bars (50, 51) bottom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ootrest portion 60 is installed in a link structure to the rail (30, 31) in a bite manner,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handle bar (
  • the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rods 53 and 54 a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s 53 and 54 by the first link 52, and the other ends of the connecting rods 53 and 54 are protruding rods 63 and the second of the slide block 62. It is connected by a link (55).
  • the footrest 61 of the footrest part 60 is provided with a sensor as a sensing unit, so that the tilt angle of the footrest 61, the slide block 62 The movement speed and the movement distance and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rails 30 and 31 of the slide block 62 are comprehensively sensed.
  • the momentum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is processed by a processing unit installed in the plate 20a on the vertical support unit 20, and may be provided as a kind of small CPU device as the processing unit.
  • the amount of exercise information of the athlete processed by the processor is displayed as a number in the exterior housing in which the processor is embedded and informs the athlete, so that the athlete adjusts the amount of exercise while grasping the amount of exercise information.
  • the outer housing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may be fixed to the plate 20a as a member to cover the spur gears 41 and 42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part 40, and the spur gear 41, It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embedded into the processing unit including 42).
  • an adjusting device 70 for controlling the moving distance of each handle bar (50, 51) the adjusting device 70 is a T-shaped support (mounted forwardly installed in the vertical support bar (20) ( 73, and reels 71 and 72 fix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respectively, and ropes RP tied to the handle bars 50 and 51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reels.
  • Each of the reels (71, 72) is fastened in a male and female form, respectively, is fixed by a nu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rope (RP) in order to shorten or increase the intersection distance of each handle bar (50, 5)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rope (RP) by loosening the nut fastened to each reel (71, 72) fastened in the form of male and female.
  • Adjusting device 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9, as shown in Figure 1, for example, when the handle bar 50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is moved to the rear of the rope (RP) As the rope RP wound on the reel 71 while being moved by the length section is tightened, the rear movement of the handle bar 50 is stopped, and as the rear movement of the handle bar 50 is stopped, the spur gear While the rotation of the 41 is also stopped, the rotation of the spur gear 42 bitten by the spur gear 41 is also stopped, and thus the handle bar 51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is stopped in the process of moving forward. At this time, the rope RP wound on the reel 72 while being tied to the handle bar 51 is maintained in a bent state.
  • any one of the handles 50 and 51 which is moved to the rear is controlled by the tightened rope RP and is moved forward when the stop is no longer moved to the rear.
  • the knob is no longer moved forward by the stops of the spur gears (41, 42).
  • the handlebar 50 has a flat gear 41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part 40.
  • the slide block 62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ootrest 61 which interlocks with the handle bar 50, that is, on the right foot, rotates backward in the chest direction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slide block 62 As the slide is moved along the front, the right leg opens forward.
  • the left hand and the left leg are op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tion of the right hand and the right leg. That is, the left hand is performed to spread fo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chest, the left leg is performed to spread backward.
  • the handle bar 51 which is required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left arm and the left leg, is turned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chest direction, in which the spur gear 42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part 40 is half of the spur gear 41.
  • the slide block 62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ootrest 61 in conjunction with the turning rotation of the handle bar 51 slides along the rear of the rail (31) As it moves, the left leg spreads forward.
  • the ankles perform the flipping motion around the ankle joint.
  • the footrest 61 in order for the footrest 61 to be inclined forward on the slide block 62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65, it is possible as the front foot of the ankle is flipped forward.
  • the rear foot In order to allow the footrest 61 to be inclined rearwar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66 on the slide block 62 as shown in FIG. 8, the rear foot, which is the rear portion of the ankle, is turned backward.
  • the slide block 62 slides behind the rail 30 by the force transfer generated from the right leg as the footrest 61 is also flipped forward on the slide block 62.
  • the right leg is also rearward.
  • the handle bar 51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in intersection with the handle bar 50 is a spur gear due to the stop of the handle bar 50 by the rope (RP, taut state) in the process of moving forward, As the (41, 42) stops together, the handle bar 51 on the left side also stops under the control of the forward movement. At this time, the rope RP tied to the handle bar 51 is kept in a bent state rather than a taut state.
  • the handle bar 50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is also controlled to stop in the process of moving forward. do.
  • the strength of both arms and both legs can be strengthened, and the folding motion can b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joints of both ankles. As a result, it can help to soften the ankle and even get aerobic effects on the whol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전방 중앙에 설치된 수직지지봉, 및 지지패널의 좌우편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레일로 구성되며, 지지패널의 전방 좌우편에서 상기 수직지지 봉의 축 지지를 받으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 작동되는 한 쌍의 손잡이봉과, 상기 각 레일에 물리며 상기 각 손잡이봉과 링크로 연결되어 후방 또는 전방으로 슬라이드 작동되는 발판부로 구성된 운동기구를 통하여 팔과 다리 및 발목의 관절 운동과 함께 전신의 유산소 운동까지 병행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기술분야]
본 발명은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 보다 상세하게는 양다리 와 양팔에 대한 엇 동작에 의해 양다리와 양팔의 근력을 키우고, 이러한 엇 동작에 의해 전신의 신진 대사활동을 촉진할 수 있으며, 발목의 전후 반전 운동으로 관절 의 유연함을 도모할 수 있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신체 운동을 위하여 여러 종류의 운동기구들이 사용자들에 의해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기구들의 종류들로는 신체의 특정 부위 발달용으로 이용되는 운동기구뿐만 아니라, 전신 발달에 도움되는 운동기구들도 많이 있다. 신체 특정 부위에 도움되는 운동기구들로는 예를 들어 상체운동기구로서 아 령이나 벤치프레스, 바벨세트, 스케일로잉머신 등이 있으며, 허리 및 복근운동기구 로서 비스펙로만체어, 스케일 싯업벤치, 갤럭시보드 등이 있고, 하체운동기구로서 스케일 스쿼트랙, 스텝퍼 등이 있으며, 유산소운동기구로서 헬스싸이클, 런닝머신 등 다양하다.
하지만 상기의 운동기구들은 대부분 신체의 국한 부위 발달을 위하여 이용 되는 운동기구들이기 때문에 전신 발달을 위한 운동기구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물론, 전신 발달을 위한 운동기구들도 출시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전신 운동 목적 에 부합하기 위하여 여러 기구들이 복잡하게 조합되어 있는 관계로 매우 고가이다. 심지어, 고가인 전신운동기구를 구매하여 활용하더라도, 실제 전신에 대한 근력 발달에 초점을 맞춰 개발된 운동기구이기 때문에 관절 동작의 유연성을 향상 하는 용도로는 맞지 않다.
이처럼, 전신운동기구뿐만 아니라 신체의 특정 부위 용도로 활용되는 운동 기구들까지 포함하여 대부분의 운동기구들은 신체의 근력 발달 용도에 적합하고, 유산소 운동을 위해서는 싸이클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들은 전신운동기구의 비용이 고가인 관계로 구매를 망설이 게 되고, 설령 전신운동기구를 고가로 매입하여 활용하더라도 신체의 근력 발달에 만 도움되지 특정 관절의 유연성 도움은 받지 못하는 상황이며, 유산소 운동을 위 해서는 별도의 싸이클 운동 기구를 다시 구매해야 하는 이중 구매의 부담을 안고 있다. 이들 운동기구들은 대부분 힘을 사용하여 근력을 발달시키는 관계로, 특히 힘이 없거나 미약한 힘을 가진 유약자나 노년층들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유약자나 노년층들을 위하여 개발된 운동기구들도 다소 있지만, 이러한 운동기구들 은 공용으로 아파트 단지 내의 땅에 매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개인 가정용으로 활용할 수 없는 단점과 아울러 힘들이지 않고 단순한 반복 동작 수행으로 인하여 실제로 유약자나 노년층의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특허문헌 001 등록특허 제 10— 0555140호
(특허문헌 2) 특허문헌 002 등록특허 제 10— 1020459호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
일반적으로 신체 운동을 위하여 여러 종류의 운동기구들이 사용자들에 의해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기구들의 종류들로는 신체의 특정 부위 발달용으로 이용되는 운동기구뿐만 아니라, 전신 발달에 도움되는 운동기구들도 많이 있다. 신체 특정 부위에 도움되는 운동기구들로는 예를 들어 상체운동기구로서 아 령이나 벤치프레스, 바벨세트, 스케일로잉머신 등이 있으며, 허리 및 복근운동기구 로서 비스펙로만체어, 스케일 싯업벤치, 갤럭시보드 등이 있고, 하체운동기구로서 스케일 스쿼트랙, 스텝퍼 등이 있으며, 유산소운동기구로서 헬스싸이클, 런닝머신 등 다양하다.
하지만, 상기의 운동기구들은 대부분 신체의 국한 부위 발달을 위하여 이용 되는 운동기구들이기 때문에 전신 발달을 위한 운동기구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물론, 전신 발달을 위한 운동기구들도 출시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전신 운동 목적 에 부합하기 위하여 여러 기구들이 복잡하게 조합되어 있는 관계로 매우 고가이다. 심지어, 고가인 전신운동기구를 구매하여 활용하더라도, 실제 전신에 대한 근력 발달에 초점을 맞춰 개발된 운동기구이기 때문에 관절 동작의 유연성을 향상 하는 용도로는 맞지 않다.
이처럼, 전신운동기구뿐만 아니라 신체의 특정 부위 용도로 활용되는 운동 기구들까지 포함하여 대부분의 운동기구들은 신체의 근력 발달 용도에 적합하고, 유산소 운동을 위해서는 싸이클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들은 전신운동기구의 비용이 고가인 관계로 구매를 망설이 게 되고, 설령 전신운동기구를 고가로 매입하여 활용하더라도 신체의 근력 발달에 만 도움되지 특정 관절의 유연성 도움은 받지 못하는 상황이며, 유산소 운동을 위 해서는 별도의 싸이클 운동 기구를 다시 구매해야 하는 이중 구매의 부담을 안고 있다.
이들 운동기구들은 대부분 힘을 사용하여 근력을 발달시키는 관계로, 특히 힘이 없거나 미약한 힘을 가진 유약자나 노년층들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유약자나 노년층들을 위하여 개발된 운동기구들두 다소 있지만, 이러한 운동기구들 은 공용으로 아파트 단지 내의 땅에 매몰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개인 가정용으로 활용할 수 없는 단점과 아울러 힘들이지 않고 단순한 반복 동작 수행으로 인하여 실제로 유약자나 노년층의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특허문헌 001 등록특허 제 10-0555140호
(특허문헌 2) 특허문헌 002 등록특허 제 10-1020459호
【기술적 해결방법】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전방 중앙에 설치된 수직지지봉, 및 지지패널의 좌우편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 의 레일로 구성되며, 지지패널의 전방 좌우편에서 상기 수직지지봉의 축 지지를 받 으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되면서 교행되는 한 쌍의 손잡이봉과, 상기 각 레일 에 물리며 상기 각 손잡이봉과 링크로 연결되어 후방 또는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 서 교행되는 한 쌍의 발판부로 구성되어, 손잡이봉 및 발판부는 서로 연동되며 발 판부는 좌우가 교행 왕복운동 하는 운동기구를 통하여 팔과 다리 및 발목의 관절 운동과 함께 전신의 유산소 운동까지 병행하고, 지지패널의 전방 중앙에서 수직 상 방향으로 설치된 수직지지봉 상에 구축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정역 회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역회전부는, 수평 방향으로 상호 간에 물려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평기어, 상기 한 쌍의 평기어 축을 중심으로 좌 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각각의 축봉에 대한 유연한 회전을 제공하며 상기 수직지 지봉 상에 형성된 풀레이트에 얹혀져 상기 플레이트와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베어 링부, 및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 외측 좌우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축봉을 고정키로 홀딩 고정한 상태로 고정편에 의해 상기 각 손잡이봉에 결합 고정 되는 고정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한 쌍의 발판부는, 양발을 디딜 수 있는 각각의 발판, 상기 각 발판의 하부에서 상단이 상기 각 발판과 힌지 연결되고, 하단이 각 레일에 물림 방식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각 슬라이드블록의 전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각 슬라이드블록은 , 상기 각 발판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단 중앙이 수 평면을 형성하고 , 상기 각 발판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단 중 앙에 형성된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단 전후측이 제 1 ,2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 기 각 레일에 물릴 수 있게 하단 중앙에 슬라이드홈을 형성하고, 좌우편에 복수개 이상으로 설치된 를러를 더 포함하고, 지지패널 상에서 좌우로 설치되어 상기 각 슬라이드블록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레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근력 및 관 절 향상용 운동기구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각 발판은 양발목의 전후방 ¾힘에 따라 동일하게 전후방으로 상기 슬 라이드블록 상단에서 젖혀지는 작동이 수행되고, 전방으로의 젖힘 작동 시에 슬라 이드블록이 레일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후방으로의 젖힘 작동 시에 슬라이드블록이 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 동기구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손잡이봉의 하단에 일단이 게 1 링크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링크로 상 기 발판의 돌출봉에 연결되는 연결봉에 의해 상기 손잡이봉과 상기 슬라이드블록 상호 간에 연동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에 일 특징이 있다.
운동량의 측정을 위해 상기 발판부의 발판이나 손잡이봉에 구비되어 발판의 젖힘 각도, 슬라이드블록의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 슬라이드블록의 이동 회수를 종 합적으로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봉 상의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감 지부로부터 전송된 운동데이터량을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를 내장하고 있 는 외관 하우징에 운동 측정 정보를 숫자로 디스플레이시켜 운동인에게 알려 제공 해 주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에 일 특징이 있다. 좌우편에 각각 구비된 손잡이봉의 움직임에 방해되지 않는 수직지지봉의 전 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좌우의 각 손잡이봉과 대응된 상태로 좌우의 각 손잡이봉이 전 후방으로 교행할 때에 각 손잡이봉의 교행 이동 거리를 제어하는 조절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조절장치는 수직지지봉에서 전방으로 설치된 T형상의 지지대와, 상 기 지지대의 양측 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좌우의 각 손잡이봉과 대응되는 릴과, 상기 릴의 각각에 감김 상태로 일측 단이 각 손잡이봉에 매여 각 손잡이봉의 교행 이동 거리를 제어하는 로프를 포함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각 손잡이봉 중 후방으로 이동되는 어느 하나의 손잡이봉에 매인 로프 의 팽팽해짐으로 상기 손잡이봉의 후방 이동이 멈춰짐과 동시에, 평기어들의 멈춤 에 의해 다른 하나의 손잡이봉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 멈춰지고, 전방으로 이 동되어 멈춰진 다른 하나의 손잡이봉에 매인 로프는 구부려진 형태를 유지하게 되 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에 일 특징이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는 기존의 고가인 헬스기구들에 비하여 저가로 구매하여 신체 전반에 대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운동기구에 대한 구매에 부담을 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는, 남녀노소 누구나 활 용이 가능하고, 개인이나 가정용도로 적합하며, 특히 힘이 없는 유약자들도 활용가 능하여 유약자들에 대한 신체 대사의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는 , 좌우에 각각 구비된 손잡이봉의 교행 이동거리를 조절장치로 조절하며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들 의 양팔 및 양다리의 교행 운동량올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 각자의 양팔 및 양 다리의 교행 운동량을 최적화시켜 조절할 수 있다 .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는, 특히 노년층에서 발생되는 관절염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목의 젖힘 반복 동작을 사용자 스스로 세밀 하게 조절하며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관절염 극복에 기여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를 사시로 도시한 도 면,
도 2는 도 1의 도면을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판부의 레일 물림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평기어 간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평기어를 축으로 평기어 회전에 따라 손잡이봉의 회전 연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발판부의 발판에 대한 전후방 젖힘 상태를 함 께 도시한 도면 ,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판부의 발판에 대한 전방 젖힘 상태에 따라 레일 후 방으로 슬라이드블록의 이동 상태를 함께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발판부의 발판에 대한 후방 젖힘 상태에 따라 레일 전 방으로 슬라이드블록의 이동 상태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 됨올 밝히고, 후술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른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되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 야 한다.
아울러, 하기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명세서 전반 에 기재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해석한 확장 범위까지 포함하는 권리범위로 인정 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구비된 느 지지패널 ( 10)과, 상기 지지패널의 일측 편에 해당되는 전방의 중앙 부근에서 수 직 상부 방향으로 설치된 수직지지봉 (20)과, 상기 지지패널 ( 10)의 좌우측으로 소정 의 간극을 유지하며 나란히 설치된 한 쌍의 레일 (30 , 3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봉 (20)의 상단에 형성된 플레이트 (20a) 상에는 좌우편으 로 구비된 정역회전부 (40)가 구축되며, 상기 정역회전부 (40)의 외측에서 좌우편 방 향으로 전 후방으로의 회전 젖힘이 가능한 한 쌍의 손잡이봉 (50 , 51)과, 상기 한 쌍 의 레일 (30 , 31)에 물려 상기 각 손잡아봉 (50,51)과 함께 슬라이드 연동되는 각각의 발판부 (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손잡이봉 (50 , 51)은 각 상단 부위에 각 손잡이 (50a , 51a)를 형성하고 있어 운동하는 사람의 팔 근력 운동 강화에 기여하게 되며, 상기 각 발판부 (60)는 각각 발판 (61)을 형성하고 있어 운동하는 사람의 다리 근력 운동 강화와 함께 발목의 젖힘 동작에 유연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하는 사람은 상기 각 발판부 (60)의 발판 (61)에 양발을 을려놓 고, 각 손잡이봉 (50 , 51)의 손잡이 (50a , 51a)에 양손을 잡은 상태로, 양다리의 어긋 난 벌림 동작에 따른 양다리의 근력 운동과 함께 양팔의 어긋난 펼침 및 오므림 동 작에 따른 양팔의 근력 운동과 아울러 전신의 유산소 운동까지 체험할 수 있게 된 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운동기구를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의 정역희전부 (40)는 수직지지봉 (20)의 상단에 형성된 플레이트 (20a) 상 에 얹혀진 형태로 설치되는데, 수평으로 상호 간에 물려 있는 한 쌍의 평기어 (41,42), 상기 각 평기어의 외측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각 축봉 (41a, 42a), 상기 각 축봉의 유연한 회전을 제공하며 상기 플레이트 (20a) 상단에 결합 고정되는 각 베어 링부 (43, 44), 상기 각 베어링부의 외측 좌우 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각 축봉을 홀딩 한 상태로 각 축봉을 고정하고 상기의 각 손잡이봉 (50, 51)에 고정 결합되는 각 고 정봉 (45, 46)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평기어 (41 ,42)들은 도 2를 참고로 도 4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배열 되어 상호 간 맞물린 상태로 정 방향 또는 역 방향 회전 과정에 구속되거나 장애 받지 않게 되는데, 이는 도 2에서와 같이 평기어 (41, 42)들의 외측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각 축봉 (41a, 42a)을 평기어 (41,42)들의 외측 좌우에 구비된 각 베어링부 (43,44)7} 삽입한 상태로 플레이트 (20a)에 결합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기 각 베어링부 (43, 44)는 베어링을 포함한 베어링의 외관으로 써 플레이트 (20a)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평기어 (41,42)들의 축에 해당되는 각 축봉 (41a, 42a)이 베어링을 통하여 유연한 회전 동작이 가능하고, 이러한 각 베 어링부 (43, 44) 및 각 축봉 (41a, 42a)의 구조적 특징에 기인하여 상기 평기어 (41,42) 들은 정 역 회전에 아무런 장애 없이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상기 각 고정봉 (45,46)은 각 베어링부 (43, 44)의 외측에서 좌우편으로 구비되 어 각 축봉 (41a, 42a)을 홀딩하며 삽입한 상태로 상기의 각 손잡이봉 (50,51)에 결합 고정된다. 이 경우 각 고정봉 (45,46)에 삽입된 각 축봉 (41a, 42a)은 고정봉 (45,46) 의 외측에서 내부로 삽입된 고정키 (49,49a)들에 의해 고정되어 고정봉 (45,46) 내에 서 헛돌림이 방지되며, 각각의 고정봉 (45,46)은 각 손잡이봉 (50,51)을 홀딩하는 고 정편 (47,48)들에 의해 각 손잡이봉 (50,51)에 결합 고정된다.
한편, 상기 발판부 (60)는 지지패널 (10)의 좌우 편에 구비된 각 레일 (30,31) 에 물림 방식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발판부 (60)는 양발을 디딜 수 있는 발판 (61) 과, 상기 발판의 하부에서 발판과 힌지 연결된 상태로 레일 (30,31)에 물려 슬라이 드 동작하는 슬라이드블록 (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 (62)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의 중앙이 수평면 (64)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전 후방에 대칭 형상의 제 1,2 경 사면 (65,66)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수평면 (64)은 발판 (61)의 수평 유지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게 1,2 경사면 (65, 66)은 발판 (61)의 전방 또는 후방 젖힘 유지 역할 을 수행하게 된다.
즉, 슬라이드볼록 (62)의 상단에 있어서 중앙은 수평면 (64)을 전 후방으로는 제 1,2 경사면 (65 ,66)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블록 (62)은 전 방향인 전단 중앙에 돌출봉 (63)을 형성하 고 있으며, 하단 중앙으로 슬라이드홈 (67)을 형성하고 있어 레일 (30,31)에 슬라이 드홈 (67)이 물린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블록 (62)의 좌우 측에는 다수의 를러 (68)들이 앞뒤로 복 수개 이상으로 설치되어 를러 (68)의 지지를 받으며 슬라이드블록 (62)이 레일 (30,31)을 따라 전후 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손잡이봉 (50,51) 하단은 각 레일 (30, 31)에 물림 방식으 로 설치된 각 발판부 (60)와 링크 구조로 연결되는데,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손 잡이봉 (50,51)의 하단은 연결봉 (53, 54)의 일단과 제 1 링크 (52)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봉 (53,54)의 타단은 슬라이드블록 (62)의 돌출봉 (63)과 제 2 링크 (55)로 연결되 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손잡이봉 (50,51)이 전방 또는 후방의 젖힘 회전 동작이 이 루어질 때, 이와 함께 각 발판부 (60)의 슬라이드블록 (62)들이 레일 (30,31) 상에서 후방 또는 전방의 슬라이드 이동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운동기구에 있어서, 운동인의 운동량 측정을 위해 상기 발 판부 (60)의 발판 (61)에는 감지부로서 센서가 설치되어져 발판 (61)의 젖힘 각도, 슬 라이드블록 (62)의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 슬라이드블록 (62)의 레일 (30,31) 이동회 수를 종합적으로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의 운동량 측정 정보는 상기 수직지지부 (20) 상의 플레이트 (20a)에 설치된 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데, 처리부로서 일종의 소형 CPU 장치로 구 비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부가 처리한 운동인의 운동량 정보는 처리부를 내장하는 외관 하 우징에서 숫자로 디스플레이되어 운동인에게 알려 줌으로써 운동인은 자신의 운동 량 정보를 파악하면서 운동량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외관 하우징은 도면에 도시되 않았지만, 상기의 정역회전부 (40)의 평기어 (41,42)를 보호하도록 커버하는 부재로서 플레이트 (20a)에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평기어 (41,42)를 포함한 처리부까지 내장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각 손잡이봉 (50, 51)의 교행 이동 거리를 제어하는 조절장치 (70)가 구 비되는데, 이러한 조절장치 (70)는 수직지지봉 (20)에서 전방으로 설치 고정된 T형상 의 지지대 (73)와, 상기 지지대의 양측 단에 각각 고정된 릴 (71 ,72)과, 상기 각 릴 에 감김 채로 각 손잡이봉 (50,51)에 매여 있는 로프 (RP)로 구성된다.
상기의 각 릴 (71 , 72)은 각각 암수 형태로 체결되고,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데, 각 손잡이봉 (50, 5)의 교행 거리를 단축하거나 늘리기 위해서는 로프 (RP)의 길 이 조절로 가능한바, 이를 위해 암수 형태로 체결된 각각의 릴 (71 ,72)에 체결된 너 트를 풀어 로프 (RP)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절장치 (70)는, 도 1을 참고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예를 들어 오른쪽에 해당되는 손잡이봉 (50)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로프 (RP)의 길이구간만큼 이동되다가 릴 (71)에 감긴 로프 (RP)가 팽팽해지면서 상기 손잡이봉 (50)의 후방 이동이 멈춰지고, 이러한 상기 손잡이봉 (50)의 후방 이동이 멈춰짐에 따라, 평기어 (41)의 회전도 멈춰지면서 상기 평기어 (41)에 물린 평기어 (42)의 회전 또한 멈춰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왼쪽에 해당되는 손잡이봉 (51)은 전방으로 이동 되는 과정에서 멈춰지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봉 (51)에 매인 채 릴 (72)에 감긴 로프 (RP)는 구부러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오른쪽과 왼쪽에 해당되는 양 손잡이봉 (50 , 51)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봉 이 예를 들어 후방으로 이동될 때에 다른 손잡이봉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간 에 교행 이동되는데, 이때 후방으로 이동되는 손잡이봉은 로프가 팽팽해짐에 따라 손잡이봉의 후방 이동이 제어되면서 멈춰지고, 이때 전방으로.이동되는 손잡이봉은 후방 이동 상태로 멈춰진 손잡이봉에 의해 평기어들의 회전도 함께 멈춰짐에 따라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멈춰지게 된다.
다시 말해, 양 손잡이봉 (50 ,51)들 중 후방으로 이동되는 어느 하나의 손잡이 봉이 팽팽해진 로프 (RP)에 의해 제어 받으며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멈춰 질 때에, 전방으로 이동되는 다른 하나의 손잡이봉은 평기어 (41, 42)들의 멈춤에 의 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멈춰지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에 대한 작동에 관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먼저, 운동인은 양손을 각 손잡이봉 (50, 51)의 상단에 형성된 각 손잡이 (50a, 51a)를 잡고 양발을 각각 한 쌍의 레일 (30, 31) 상에 구비된 각 발판부 (60)의 발판 (61)에 을려놓은 상태에서 팔과 함께 다리에 힘을 가하여 각 손잡이봉 (50,51) 및 슬라이드블록 (62)의 연동되어 동작된다. *예를 들에 손잡이봉 (50)의 손잡이 (50a)를 잡고 있는 손이 오른손일 경우 오른팔을 가슴 방향으로 잡아당길 때에 상기 손잡이봉 (50)은 정역회전부 (40)의 평 기어 (4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관계로 가슴 방향을 향하여 후방으로의 젖힘 회전되고, 상기 손잡이봉 (50)과 연동되는 즉 오른발을 딛고 있는 발판 (61) 하부의 슬라이드블록 (62)은 레일 (30)의 전방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오른다리가 전방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왼손과 왼다리는 상기의 오른손과 오른다리의 동작과 반대로 동작된 다. 즉, 왼손은 가슴 방향에서 전방으로 펼쳐지는 동작이 수행되고, 왼다리는 후방 으로 벌어지는 동작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 왼팔과 왼다리의 동작 수행을 요하는 손잡이봉 (51)은 가슴 방향 에서 전방을 향하여 젖힘 회전되는데, 이는 정역회전부 (40)의 평기어 (42)가 상기 평기어 (41)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작동에 기반하 며, 상기 손잡이봉 (51)의 젖힘 회전과 연동되는 발판 (61) 하부의 슬라이드블록 (62) 은 레일 (31)의 후방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왼다리는 전방으로 벌어지게 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양팔과 양다리의 움직임이 있을 경우, 상기 양발목 은 발목 관절올 중심으로 젖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발판 (61)이 도 7 에서와 같이 슬라이드블록 (62) 상에서 제 1 경사면 (65)에 해당되는 전방으로 기울어 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발목의 전방 부위인 앞발이 전방으로 젖혀짐에 따라 가능하 고, 발판 (61)이 도 8에서와 같이 슬라이드블록 (62) 상에서 제 2 경사면 (66)에 해당 되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발목의 후방 부위인 뒷발이 후방으로 젖혀짐에 따라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오른발이 전방으로 젖혀지면 발판 (61) 또한 슬라이드블록 (62) 상에 서 전방으로 젖혀짐에 따라 오른다리로부터 발생되는 힘 전달에 의해 슬라이드블록 (62)이 레일 (30)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오른다리도 함께 후방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오른발이 후방으로 젖혀지면 발판 (61) 또한 슬라이드블록 (62) 상에서 후방으로 ¾혀짐에 따라 오른다리로부터 발생되는 힘 전달에 의해 슬라이드블록 (62)이 레일 (30)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오른다리도 함께 전방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처럼, 왼발의 젖힘과 왼다리의 벌림 동작도 상기의 오른발과 오른다리의 동작과 동일하게 진행되되, 오른발과 오른다리의 동작과는 반대로 동작된다.
한편, 조절장치 (70)의 경우, 도 1을 참고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오른쪽에 해당되는 손잡이봉 (50)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로프 (RP)의 길이구간 만큼 이동되다가 릴 (71)에 감긴 로프 (RP)가 팽팽해지면서 상기 손잡이봉 (50)의 후 방 이동을 제어하여 손잡이봉 (50)을 멈추게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봉 (50)과 교행하는 왼쪽에 해당되는 손잡이봉 (51)은 전방 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로프 (RP, 팽팽한 상태)에 의해 상기 손잡이봉 (50)의 멈춤으로 인하여, 평기어 (41 , 42)들도 함께 멈춰짐에 따라, 왼쪽에 해당되는 손잡이 봉 (51) 또한 전방으로의 이동에 제어를 받으며 멈춰지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 봉 (51)에 매인 로프 (RP)는 팽팽한 상태가 아닌 구부려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 다.
물론, 왼쪽에 해당되는 상기 손잡이봉 (51)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에도 상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제어 메커니즘에 의해 오른쪽에 해당되는 상기 손잡이봉 (50) 또 한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어를 받아 멈춰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기구를 활용하여 운동인이 운동할 경우에, 양팔의 근력 강화, 양다리의 근력 강화뿐만 아니라 양발목의 관절을 중심으로 젖힘 동작을 세밀하게 수행할 수 있어 관절 주변의 근력 향상에 따라 발목의 유연한 젖힘에 도 움을 줄 수 있으며, 전신에 대한 유산소 운동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전방 증앙에 설치된 수직지지봉, 및 지지패널 의 좌우편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레일로 구성되며;
지지패널의 전방 좌우편에서 상기 수직지지봉의 축 지지를 받으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되면서 교행되는 한 쌍의 손잡이봉과, 상기 각 레일에 물리며 상기 각 손잡이봉과 링크로 연결되어 후방 또는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교행되는 한 쌍의 발판부로 구성되어, 손잡이봉 및 발판부는 서로 연동되며 발판부는 좌우가 교 행 왕복운동 하는 운동기구를 통하여 팔과 다리 및 발목의 관절 운동과 함께 전신 의 유산소 운동까지 병행하고,
지지패널의 전방 중앙에서 수직 상 방향으로 설치된 수직지지봉 상에 구축되 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정역회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역회전부 는, 수평 방향으로 상호 간에 물려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평기 어;
. 상기 한 쌍의 평기어 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각각의 축봉 에 대한 유연한 회전을 제공하며 상기 수직지지봉 상에 형성된 플레이트에 얹혀져 상기 플레이트와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베어링부; 및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 외측 좌우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축봉 을 고정키로 홀딩 고정한 상태로 고정편에 의해 상기 각 손잡이봉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봉;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 구.
【청구항 4】
거 U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판부는, 양발을 디딜 수 있는 각각의 발판;
상기 각 발판의 하부에서 상단이 상기 각 발판과 힌지 연결되고, 하단이 각 레일에 물림 방식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슬라이드블록; 및
상기 각 슬라이드블록의 전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봉;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 구.
【청구항 5]
거 1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드블록은 , 상기 각 발판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단 중앙이 수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각 발판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단 중앙에 형성된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단 전후측이 제 1,2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각 레일에 물릴 수 있게 하단 중앙에 슬라이드홈을 형성하고;
좌우편에 복수개 이상으로 설치된 를러;
를 더 포함하고,
지지패널 상에서 좌우로 설치되어 상기 각 슬라이드블록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레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청구항 6】
거 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발판은 양발목의 전후방 질힘에 따라 동일하게 전후방으로 상기 슬 라이드블록 상단에서 젖혀지는 작동이 수행되고, 전방으로의 젖힘 작동 시에 슬라 이드블록이 레일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후방으로의 젖힘 작동 시에 슬라이드블록이 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청구항 7】
제 4항에 있어서,
손잡이봉의 하단에 일단이 제 1 링크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링크로 발판의 돌출봉에 연결되는 연결봉에 의해 상기 손잡이봉과 상기 슬라이드블록 상호 간에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청구항 8】
제 1항에 있어서,
운동량의 측정을 위해 상기 발판부의 발판이나 손잡이봉에 구비되어 발판의 젖힘 각도, 슬라이드블록의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 슬라이드블록의 이동회수를 종 합적으로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수직지지봉 상의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송된 운동 데이터량을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를 내장하고 있는 외관 하우징에 운동 측정 정보를 숫자로 디스 플레이시켜 운동인에게 알려 제공해 주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청구항 9】
제 1항에 있어서,
좌우편에 각각 구비된 손잡이봉의 움직임에 방해되지 않는 수직지지봉의 전 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좌우의 각 손잡이봉과 대웅된 상태로 좌우의 각 손잡이봉이 전 후방으로 교행할 때에 각 손잡이봉의 교행 이동 거리를 제어하는 조절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조절장치는
수직지지봉에서 전방으로 설치된 T형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양측 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좌우의 각 손잡이봉과 대응되 는 릴;
상기 릴의 각각에 감김 상태로 일측 단이 각 손잡이봉에 매여 각 손잡이봉의 교행 이동 거리를 제어하는 로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청구항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손잡이봉 중 후방으로 이동되는 어느 하나의 손잡이봉에 매인 로프 의 팽팽해짐으로 상기 손잡이봉의 후방 이동이 멈춰짐과 동시에, 평기어들의 멈춤 에 의해 다른 하나의 손잡이봉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 멈춰지고;
전방으로 이동되어 멈춰진 다른 하나의 손잡이봉에 매인 로프는 구부려진 형 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PCT/KR2016/005581 2015-06-01 2016-05-26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WO201619532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486 2015-06-01
KR1020150077486A KR101593069B1 (ko) 2015-06-01 2015-06-01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322A1 true WO2016195322A1 (ko) 2016-12-08

Family

ID=5535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581 WO2016195322A1 (ko) 2015-06-01 2016-05-26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3069B1 (ko)
WO (1) WO20161953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11111B4 (de) 2019-04-29 2024-04-25 Norbert König Trainingsgerät zur Verbesserung der Beweglichkeit der Gelenke der unteren Extremitäten von Person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393B1 (ko) * 2018-12-13 2019-03-20 윤명규 운동기구
KR200496830Y1 (ko) * 2021-06-29 2023-05-04 강인태 다기능 운동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2385A (en) * 1985-09-13 1986-12-30 Alexander Geraci Walking exercise apparatus
US6210305B1 (en) * 1999-07-27 2001-04-03 Paul William Eschenbach Variable lift exercise apparatus with curved guide
US20040097339A1 (en) * 2002-08-07 2004-05-20 Moon Daniel Ross Adjustable stride elliptical motion exercise machine and associated methods
US20090181830A1 (en) * 2008-01-15 2009-07-16 Super Made Products Co., Ltd. Fitness treadmill
KR101131670B1 (ko) * 2010-04-15 2012-03-28 오은섭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427A (ko) 2003-04-01 2003-05-09 염락호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KR100903410B1 (ko) 2007-10-16 2009-06-18 (주)다산알앤디 자동속도조절 러닝머신 및 그 제어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2385A (en) * 1985-09-13 1986-12-30 Alexander Geraci Walking exercise apparatus
US6210305B1 (en) * 1999-07-27 2001-04-03 Paul William Eschenbach Variable lift exercise apparatus with curved guide
US20040097339A1 (en) * 2002-08-07 2004-05-20 Moon Daniel Ross Adjustable stride elliptical motion exercise machine and associated methods
US20090181830A1 (en) * 2008-01-15 2009-07-16 Super Made Products Co., Ltd. Fitness treadmill
KR101131670B1 (ko) * 2010-04-15 2012-03-28 오은섭 근력강화용 트레이닝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11111B4 (de) 2019-04-29 2024-04-25 Norbert König Trainingsgerät zur Verbesserung der Beweglichkeit der Gelenke der unteren Extremitäten von Perso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069B1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5206B2 (en) Exercise machine
US6764431B2 (en) Swim machine
US5941800A (en)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US6203474B1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US7585263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7455633B2 (en) Abdominal exerciser device
US7938761B2 (en) Multi axes exercise apparatus
US7686746B2 (en) Training apparatus
US7794361B2 (en) Swing handle arrangement for an exercise equipment
US6010437A (en) Standing push/pull exercise machine
WO2016195322A1 (ko)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US10569127B2 (en) Core exercise machine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WO1992018204A1 (en) Exercise device
US20060211546A1 (en) Fitness machine
US20200360760A1 (en) Folding biokinetic ski fitness machine for workout of the spine in horizontal position and for strengthening whole musculoskeletal system
JP2008237785A (ja) 重力負荷運動装置
KR20190005612A (ko) 복합 운동기구
JP2008237785A5 (ko)
KR101604913B1 (ko) 하체 기능회복을 위한 재활훈련 장치
KR102184611B1 (ko) 교차형 상하지연동재활운동기구
KR101845310B1 (ko) 복합운동기구
KR20110089913A (ko) 하체 및 복근 운동기구
US20130267388A1 (en) Swing handle arrangement for an exercise equipment
JP2006043406A (ja) 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036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036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