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042B1 -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042B1
KR101131042B1 KR1020050024180A KR20050024180A KR101131042B1 KR 101131042 B1 KR101131042 B1 KR 101131042B1 KR 1020050024180 A KR1020050024180 A KR 1020050024180A KR 20050024180 A KR20050024180 A KR 20050024180A KR 101131042 B1 KR101131042 B1 KR 101131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nut
station
piston valv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215A (ko
Inventor
박의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24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042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드의 단부에 피스톤밸브를 끼우고 피스톤너트를 체결하여 조립한 후 조립 이상유무를 검사하게 되는 조립검사유닛과, 상기 조립검사유닛에 작업대상인 상기 로드를 로딩하거나 조립이 완료된 상기 로드를 언로딩하게 되는 이송로봇을 포함한다.
따라서, 로드에 피스톤밸브와 피스톤너트를 자동으로 조립하고 검사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생산비용 절감의 이점을 얻고,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정확한 검사로 불량품 출고를 방지하고, 제품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쇽업소버, 로드, 피스톤, 밸브, 너트, 조립, 검사

Description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APPARATUS FOR ASSEMBLING A PISTON VALVE OF THE SHOCK ABSORBER}
도 1은 종래의 쇽업소버의 로드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의 피스톤밸브조립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의 피스톤밸브검사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의 피스톤너트가체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의 피스톤너트본체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의 피스톤너트검사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드어셈블리 12 : 로드
12a : 나사부 14 : 피스톤밸브
16 : 피스톤너트 100A : 이송로봇
100B : 조립검사유닛 110 : 인덱스시스템
110a : 로딩스테이션 110b : 피스톤밸브조립스테이션
110c : 피스톤밸브검사스테이션 110d : 피스톤너트가체결스테이션
110e : 피스톤너트본체결스테이션 110f : 피스톤너트검사스테이션
110g : 언로딩스테이션 112 : 안착회전부
112a : 안착지그 112b : 클램퍼
120 : 피스톤밸브조립장치 122 : 팔레트
124 : 그립퍼로봇 130 : 피스톤밸브검사장치
132 : 푸셔 132a : 체커
134 : 감지센서 136 : 승하강실린더
138 : 선형가이드 140 : 피스톤너트가체결장치
142 : 피스톤너트공급피더 144 : 피스톤너트가체결부
144a : 소켓 144b : 서보모터
144c : 전후진실린더 144d : 선형가이드
144e : 승하강실린더 150 : 피스톤너트본체결장치
152 : 너트런너 154 : 승하강실린더
156 : 선형가이드 160 : 피스톤너트검사장치
162 : 푸셔 162a : 체커
164 : 감지센서 166 : 승하강실린더
168 : 선형가이드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드에 피스톤밸브와 피스톤너트를 자동으로 조립하고, 그 조립 이상유무를 또한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는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시스템에 사용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체와 차륜측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차륜측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방진, 완충장치이다.
이러한 쇽업소버는 익히 주지된 바와 같이, 실린더형상인 베이스어셈블리(base assembly)와, 이 베이스어셈블리 내부로 삽입 장착되는 로드어셈블리(rod assembly)로 구성되며, 각각 반제품으로 제조된 후, 조립되어 완제품화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로드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로드어셈블리(10)는 환봉인 로드(12)의 하단부에 피스톤밸브(piston valve)(14)가 삽입되어 구비된 다음, 로드(12)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12a)에 대해 피스톤너트(piston nut)(16)를 체결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피스톤밸브(14)를 삽입한 후, 피스톤너트(16)를 체결하 여 조립하는 작업을 수동으로 실시하고, 또한 육안으로 그 조립 이상유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동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의 과다 소요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인력 투입으로 생산비용이 증가되며, 작업중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고, 반복작업에 따른 주의력 감소로 검사미스가 발생되어 불량품이 출고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동작업에 따라 로드(12)상에 이물질이 부착되게 되어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로드상에 피스톤밸브, 피스톤너트를 자동으로 조립하고 또한 조립 이상유무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는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드의 단부에 피스톤밸브를 끼우고 피스톤너트를 체결하여 조립한 후 조립 이상유무를 검사하게 되는 조립검사유닛과, 상기 조립검사유닛에 작업대상인 상기 로드를 로딩하거나 조립이 완료된 상기 로드를 언로딩하게 되는 이송로봇을 포함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검사유닛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로딩스테이션, 피스톤밸브조립스테이션, 피스톤밸브검사스테이션, 피스톤너트가체결스테이션, 피스톤너트본체결스테이션, 피스톤너트검사스테이션, 언로딩스테이션을 구비하는 인덱스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로봇은 상기 로딩스테이션에 상기 로드를 공급하고, 상기 언로딩스테이션으로부터 조립완료된 상기 로드를 언로딩시키며, 상기 피스톤밸브조립스테이션, 상기 피스톤밸브검사스테이션, 상기 피스톤너트가체결스테이션, 상기 피스톤너트본체결스테이션, 상기 피스톤너트검사스테이션측에는 그 외측에 각각 피스톤밸브조립장치, 피스톤밸브검사장치, 피스톤너트가체결장치, 피스톤너트본체결장치, 피스톤너트검사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는 로드(12)의 단부에 피스톤밸브(14)를 끼우고 피스톤너트(16)를 체결하여 조립한 후 조립 이상유무를 검사하게 되는 조립검사유닛(100B)과, 이 조립검사유닛(100B)에 작업대상인 로드(12)를 로딩하거나 조립이 완료된 로드(12)를 언로딩하게 되는 이송로봇(100A)을 포함한다.
이중, 이송로봇(100A)은 통상적인 로봇수단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 기로 한다.
조립검사유닛(100B)은 기본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7개의 스테이션(station)(110a~g)을 구비하는 인덱스(index)시스템(110)으로 이루어지며, 7개의 스테이션(110a~g)은 기능상 회전방향을 따라 로딩스테이션(110a), 피스톤밸브조립스테이션(110b), 피스톤밸브검사스테이션(110c), 피스톤너트가체결스테이션(110d), 피스톤너트본체결스테이션(110e), 피스톤너트검사스테이션(110f), 언로딩스테이션(110g)으로 구성된다.
즉, 인덱스시스템(110)의 로딩스테이션(110a)에 로딩된 작업대상의 로드(12)는 순차적으로 피스톤밸브조립스테이션(110b), 피스톤밸브검사스테이션(110c), 피스톤너트가체결스테이션(110d), 피스톤너트본체결스테이션(110e), 피스톤너트검사스테이션(110f), 언로딩스테이션(110g)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밸브조립스테이션(110b)측에는 그 외측으로 피스톤밸브조립장치(120)가, 피스톤밸브검사스테이션(110c)측에는 그 외측으로 피스톤밸브검사장치(130)가, 피스톤너트가체결스테이션(110d)측에는 그 외측으로 피스톤너트가체결장치(140)가, 피스톤너트본체결스테이션(110e)측에는 그 외측으로 피스톤너트본체결장치(150)가, 피스톤너트검사스테이션(110f)측에는 그 외측으로 피스톤너트검사장치(160)가 각각 구비되게 된다.
물론, 로딩스테이션(110a)상에 작업대상의 로드(12)를 공급하고, 언로딩스테이션(110g)으로부터 조립완료된 로드(12)를 언로딩시키는 작업은 전술한 이송로봇(100A)에 의해 실행되게 된다.
인덱스시스템(110)은 각 스테이션(110a~g)측에 작업대상의 로드(12)를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퍼(112b)와 로드(12)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지그(112a)를 구비하는 안착회전부(112)와, 안착회전부(112)를 회전시키기 위해 하부측에 구비되는 회전모터(미도시)와, 안착회전부(11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하부측에 구비되는 승하강모터(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회전부(112)를 승하강모터에 의해 승하강시키는 것은 기종별 로드(12)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기종간 로드(12)의 상단 높이를 동일한 정도로 맞추기 위함이다.
피스톤밸브조립스테이션(110b)측에 대해 구비되는 피스톤밸브조립장치(1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외측에 구비되어 조립될 피스톤밸브(14)를 다수개 적재하고 있는 팔레트(122)와, 이 팔레트(122)로부터 피스톤밸브(14)를 파지 이송하여 피스톤밸브조립스테이션(110b)에 위치된 로드(12) 상단부에 끼워서 조립되도록 하는 그립퍼로봇(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밸브검사스테이션(110c)측에 대해 구비되는 피스톤밸브검사장치(13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밸브(14)가 조립된 로드(12)에 상부로부터 끼워지도록 하강하여 그 내측 체커(checker)(132a)가 조립된 피스톤밸브(14)의 상면에 접촉된 후 상부로 밀리게 되는 푸셔(132)와, 이 푸셔(132)의 체커(132a)가 상부측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조립된 피스톤밸브(14)의 존재 및 이종품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LVDT형 감지센서(134)와, 푸셔(132)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승하강실린더(136)와, 푸셔(132)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되는 선형 가이드(138)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립된 피스톤밸브(14)의 이종품 확인은 이종품 부품들은 서로 그 두께가 달라 조립된 높이가 다르게 되는 것을 LVDT형 감지센서(134)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피스톤너트가체결스테이션(110d)측에 대해 구비되는 피스톤너트가체결장치(14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외측에 구비되어 조립될 피스톤너트(16)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피스톤너트공급피더(142)와, 피스톤너트공급피더(142)에서 공급되는 피스톤너트(16)를 부착하여 로드(12) 상부로 이송한 다음 하강하고 회전되어 로드(12) 상단의 나사부(12a)에 피스톤너트(16)가 조금 삽입되도록 가체결하게 되는 피스톤너트가체결부(14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너트가체결부(144)는 피스톤너트공급피더(142)측에서 피스톤너트(16)를 자력으로 부착한 후 이송되어 로드(12) 상단의 나사부(12a)에 대해 회전하여 피스톤너트(16)를 가체결하게 되는 소켓(144a)과, 소켓(144a)을 회전시켜 원활히 피스톤너트(16)가 부착되도록 하고 추후 피스톤너트(16)를 가체결하도록 하는 서보모터(144b)와, 소켓(144a)을 피스톤너트공급피더(142)측과 로드(12)측간에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전후진실린더(144c)와, 소켓(144a)의 수평방향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되는 선형가이드(144d)와, 소켓(144a)을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승하강실린더(144e)로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너트본체결스테이션(110e)측에 대해 구비되는 피스톤너트본체결장치(15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12) 상단의 나사부(12a)에 가체결된 피스 톤너트(16)를 회전시켜 완전히 본체결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너트런너(152)와, 너트런너(152)를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승하강실린더(154)와, 너트런너(152)의 상하방향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되는 선형가이드(156)로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너트검사스테이션(110f)측에 대해 구비되는 피스톤너트검사장치(16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너트(16)가 완전히 본체결된 로드(12)에 상부로부터 끼워지도록 하강하여 그 내측 체커(162a)가 조립된 피스톤너트(16)의 상면에 접촉된 후 상부로 밀리게 되는 푸셔(162)와, 이 푸셔(162)의 체커(162a)가 상부측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체결된 피스톤너트(16)의 존재 및 이종품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LVDT형 감지센서(164)와, 푸셔(162)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승하강실린더(166)와, 푸셔(162)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되는 선형가이드(168)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먼저, 이송로봇(100A)이 작업대상인 로드(12)를 이송하여 수직상태로 로딩스테이션(110a)의 안착회전부(112)의 안착지그(112a)상에 안착시키게 되며, 이후 안착회전부(112)의 클램퍼(112b)가 로딩 안착된 로드(12)의 중간부를 잡아서 클램핑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안착회전부(112)는 로딩되는 로드(12)의 기종에 따라 그 높이가 구비된 승하강모터의 구동에 의해 적절히 조절되게 된다.
이후, 안착회전부(112)가 그 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기설정된 일정각도만큼 회전되어 로딩된 로드(12)가 피스톤밸브조립스테이션(110b)에 위치하도록 한 후 멈추게 된다.
이어서, 피스톤밸브조립장치(120)가 작동하게 되며, 즉 그립퍼로봇(124)이 피스톤밸브(14)를 적재하고 있는 팔레트(122)측으로부터 조립될 피스톤밸브(14)를 파지한 후, 승하강 및 전후진 이송하여 피스톤밸브조립스테이션(110b)에 위치된 로드(12)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내려 놓게 되며, 이후 그립퍼로봇(124)는 역순으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으로, 안착회전부(112)는 또한 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기설정된 일정각도만큼 회전되어 로드(12)가 피스톤밸브검사스테이션(110c)에 위치하도록 한 후 멈추게 된다.
이어서, 피스톤밸브검사장치(130)가 작동하게 되며, 즉 푸셔(132)가 그 승하강실린더(136)의 구동에 의해 하강하여 그 하단부측에 내설된 체커(132a)가 조립된 피스톤밸브(14)의 상면에 접촉된 후 상부로 밀리게 되며, 이 밀리는 체커(132a)를 상부측에서 감지센서(134)가 감지하는 것에 의해 조립된 피스톤밸브(14)의 존재 및 이종품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검사결과 피스톤밸브(14)가 조립되어 있지 않거나 이종품이 조립된 것으로 확인되면, 즉시 이송로봇(100A)이 구동되어 해당 로드(12)를 들어내도록 작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피스톤밸브(14)가 정상 조립된 것으로 확인된 로드(12)는 안착회 전부(112)에 의해 회전되어 피스톤너트가체결스테이션(110d)에 위치되게 되며, 이어서 피스톤너트가체결장치(140)가 작동되게 된다.
즉, 피스톤너트가체결장치(140)의 소켓(144a)이 피스톤너트공급피더(142)측에서 조립될 피스톤너트(16)를 자력으로 부착한 후 그 전후진실린더(144c)와 승하강실린더(144e)의 구동에 의해 피스톤너트가체결스테이션(110d)에 위치된 로드(12) 상부로 이송된 후 하강하여 로드(12)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12a)에 대해 그 서보모터(144b)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이송해 온 피스톤너트(16)를 조금 삽입되도록 가체결시키게 되며, 이후 소켓(144a)은 역순으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으로, 피스톤너트(16)의 가체결이 완료된 로드(12)는 안착회전부(112)에 의해 회전되어 피스톤너트본체결스테이션(110e)에 위치되게 되며, 이어서 피스톤너트본체결장치(150)가 작동되게 된다.
즉, 피스톤너트본체결장치(150)의 너트런너(152)가 그 승하강실린더(154)의 구동에 의해 피스톤너트본체결스테이션(110e)에 위치된 로드(12) 상단에 가체결되어 있는 피스톤너트(16)에 대해 상부로부터 하강한 다음, 너트런너(152)가 자체적으로 회전구동되어 피스톤너트(16)를 완전히 본체결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피스톤너트(16)의 본체결이 완료된 로드(12)는 안착회전부(112)에 의해 회전되어 피스톤너트검사스테이션(110f)에 위치되게 되며, 이어서 피스톤너트검사장치(160)가 작동되게 된다.
즉, 푸셔(162)가 그 승하강실린더(164)의 구동에 의해 하강하여 그 하단부측에 내설된 체커(162a)가 조립된 피스톤너트(16)의 상면에 접촉된 후 상부로 밀리게 되며, 이 밀리는 체커(162a)를 상부측에서 감지센서(164)가 감지하는 것에 의해 조립된 피스톤너트(16)의 존재 및 이종품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물론, 검사결과 피스톤너트(16)가 조립되어 있지 않거나 이종품이 조립된 것으로 확인되면, 이송로봇(100A)이 즉시 구동되어 해당 로드(12)를 들어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어서, 피스톤너트(16)의 검사까지 완료된 로드(12)는 안착회전부(112)에 의해 회전되어 언로딩스테이션(110g)에 위치되게 되며, 이어서 이송로봇(100A)이 해당 로드(12)를 파지한 후 들어내 차기공정 등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로써, 하나의 로드(12)에 대한 피스톤밸브(14) 및 피스톤너트(16)의 조립 및 그 조립검사가 완료되게 되며, 복수개의 로드(12)에 대하여 전술한 작업과정이 동시에 진행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드에 피스톤밸브와 피스톤너트를 자동으로 조립하고 검사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생산비용 절감의 이점을 얻고,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정확한 검사로 불량품 출고를 방지하고, 제품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9)

  1.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로딩스테이션, 피스톤밸브조립스테이션, 피스톤밸브검사스테이션, 피스톤너트가체결스테이션, 피스톤너트본체결스테이션, 피스톤너트검사스테이션, 언로딩스테이션을 구비하는 인덱스시스템으로 이루어져 로드의 단부에 피스톤밸브를 끼우고 피스톤너트를 체결하여 조립한 후 조립 이상유무를 검사하게 되는 조립검사유닛과,
    상기 로딩스테이션에 상기 로드를 공급하고, 상기 언로딩스테이션으로부터 조립완료된 로드어셈블리를 언로딩시키는 이송로봇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밸브조립스테이션, 상기 피스톤밸브검사스테이션, 상기 피스톤너트가체결스테이션, 상기 피스톤너트본체결스테이션, 상기 피스톤너트검사스테이션측에는 그 외측에 각각 피스톤밸브조립장치, 피스톤밸브검사장치, 피스톤너트가체결장치, 피스톤너트본체결장치, 피스톤너트검사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인덱스시스템은, 상기 각 스테이션측에 상기 로드를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퍼와 상기 로드의 하단을 안착하는 안착지그를 구비하는 안착회전부와, 상기 안착회전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하부측에 구비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안착회전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하부측에 구비되는 승하강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밸브조립장치는,
    상기 피스톤밸브를 다수개 적재하고 있는 팔레트와,
    상기 팔레트로부터 상기 피스톤밸브를 파지 이송하여 상기 피스톤밸브조립스테이션에 위치된 상기 로드의 상단부에 끼워서 조립되도록 하는 그립퍼로봇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밸브검사장치는,
    상기 피스톤밸브가 조립된 상기 로드에 상부로부터 끼워지도록 하강하여 그 내측 체커가 상기 피스톤밸브의 상면에 접촉된 후 상부로 밀리게 되는 푸셔와,
    상기 체커가 상부측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조립된 상기 피스톤밸브의 존재 및 이종품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LVDT형 감지센서와,
    상기 푸셔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상기 푸셔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되는 선형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너트가체결장치는,
    조립될 상기 피스톤너트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피스톤너트공급피더와,
    상기 피스톤너트공급피더측에서 상기 피스톤너트를 부착하여 상기 로드 상부로 이송된 다음 하강하고 회전되어 상기 로드 상단의 나사부에 상기 피스톤너트가 조금 삽입되도록 가체결하게 되는 피스톤너트가체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너트가체결부는,
    상기 피스톤너트공급피더측에서 상기 피스톤너트를 자력으로 부착한 후 이송되어 상기 로드 상단의 상기 나사부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피스톤너트를 가체결하게 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을 회전시켜 원활히 상기 피스톤너트가 부착되도록 하고 추후 상기 피스톤너트를 가체결하도록 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소켓을 상기 피스톤너트공급피더측과 상기 로드측간에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전후진실린더와,
    상기 소켓의 수평방향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되는 선형가이드와,
    상기 소켓을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승하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너트본체결장치는,
    상기 로드 상단의 나사부에 가체결된 상기 피스톤너트를 회전시켜 완전히 본체결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너트런너와,
    상기 너트런너를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상기 너트런너의 상하방향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되는 선형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너트검사장치는,
    상기 피스톤너트가 조립된 상기 로드에 상부로부터 끼워지도록 하강하여 그 내측 체커가 상기 피스톤너트의 상면에 접촉된 후 상부로 밀리게 되는 푸셔와,
    상기 체커가 상부측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조립된 상기 피스톤너트의 존재 및 이종품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LVDT형 감지센서와,
    상기 푸셔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상기 푸셔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되는 선형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KR1020050024180A 2005-03-23 2005-03-23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KR101131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180A KR101131042B1 (ko) 2005-03-23 2005-03-23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180A KR101131042B1 (ko) 2005-03-23 2005-03-23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215A KR20060102215A (ko) 2006-09-27
KR101131042B1 true KR101131042B1 (ko) 2012-03-30

Family

ID=3763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180A KR101131042B1 (ko) 2005-03-23 2005-03-23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8393A (zh) * 2020-08-27 2020-12-01 库卡机器人(广东)有限公司 阀体装配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5595B (zh) * 2013-07-13 2016-08-31 广东顺事德智能科技有限公司 全自动活塞装配机
CN105643273A (zh) * 2016-03-16 2016-06-08 温州职业技术学院 汽油喷油嘴阀芯自动化装配设备
KR102032120B1 (ko) * 2017-11-10 2019-11-08 태양금속공업주식회사 스핀들유닛 자동조립시스템과 스핀들유닛 조립방법
KR102032119B1 (ko) * 2017-11-10 2019-10-15 태양금속공업주식회사 스핀들 유닛용 스핀들 자동 공급 및 체결장치
KR102032118B1 (ko) * 2017-11-10 2019-10-15 태양금속공업주식회사 스핀들 유닛용 너트 자동공급장치
KR102059089B1 (ko) * 2019-07-29 2019-12-24 김영배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 조립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2161806B1 (ko) * 2019-11-29 2020-10-05 주식회사 코만 호스연결구 자동조립방법
KR102470892B1 (ko) * 2020-10-08 2022-11-25 (주)삼우엔지니어링 완충기용 피스톤 밸브의 유로 형성 장치 및 방법
CN114986148B (zh) * 2022-06-06 2023-10-13 惠州市祥胜智能装备有限公司 用于防水透气阀的自动组装设备及其自动组装工艺
CN116175162B (zh) * 2023-02-17 2023-11-03 苏州天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空气减震器的智能组装生产线及组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151A (ja) * 1999-05-14 2000-11-28 Hitachi Service & Engineering (East) Ltd 小物製品自動組立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151A (ja) * 1999-05-14 2000-11-28 Hitachi Service & Engineering (East) Ltd 小物製品自動組立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8393A (zh) * 2020-08-27 2020-12-01 库卡机器人(广东)有限公司 阀体装配系统
CN112008393B (zh) * 2020-08-27 2021-07-30 库卡机器人(广东)有限公司 阀体装配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215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042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KR101131041B1 (ko) 쇽업소버의 로드어셈블리 자동조립장치
KR0151438B1 (ko) 자동 조립 장치
US7165309B2 (en) Method for assembly of a motorcycle frame
CN105345281B (zh) 镭焊机
KR102042500B1 (ko) 이종볼트 스크류 체결 및 검사 자동화 장치
KR101478433B1 (ko) 상용차용 휠 허브의 탭 검사장치
KR102032118B1 (ko) 스핀들 유닛용 너트 자동공급장치
KR20100099278A (ko) 생산장치
CN112025365B (zh) 采用机器人上下料方式的缸盖毛坯的加工夹具
CN108213945B (zh) 仪表自动化生产线
CN112917067A (zh) 化妆品容器的全自动生产系统
CN217083602U (zh) 衬套检测机构及衬套压装装置
US4949833A (en) Apparatus for successive supply of parts
WO2007119828A1 (ja) 治具パレット
CN104729583B (zh) 车灯调光马达总成自动化组装及检测设备
KR20070055109A (ko) 환봉소재의 자동 공급시스템
KR101218198B1 (ko) 디스크 로딩 장치를 이용한 로봇핸드링시스템
KR101162321B1 (ko) 쇽업소버의 베이스 어셈블리 자동검사장치
CN115519336B (zh) 一种金属衬套压装设备
US10280011B2 (en) Workpiece 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hanger maintenance-work necessity judging method
KR101140655B1 (ko)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
JPH0523435Y2 (ko)
CN114986229B (zh) 一种挖掘机引导轮轴座加工用坯料上料设备及方法
CN212945235U (zh) 汽车方向盘安全气囊连接片螺丝铜钉组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