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655B1 -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655B1
KR101140655B1 KR1020100095796A KR20100095796A KR101140655B1 KR 101140655 B1 KR101140655 B1 KR 101140655B1 KR 1020100095796 A KR1020100095796 A KR 1020100095796A KR 20100095796 A KR20100095796 A KR 20100095796A KR 101140655 B1 KR101140655 B1 KR 101140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frame
vertical movement
movab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325A (ko
Inventor
류준석
조영민
최영진
김재홍
정일웅
최재준
Original Assignee
삼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6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4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65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오차없이 정확하게 탭핑가공상태가 양품인 가공물과 탭핑가공상태가 불량품인 가공물을 비접촉식으로 보다 용이하게 판정하여 프레임의 외부로 각각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가공물을 탭핑가공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가공물에서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NO-TOUCH TYPE APPARATUS FOR INSPECTING HOLES WITH BAD TAP}
본 발명은 오차없이 정확하게 탭핑가공상태가 양품인 가공물과 탭핑가공상태가 불량품인 가공물을 비접촉식으로 보다 용이하게 판정하여 프레임의 외부로 각각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가공물을 탭핑가공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가공물에서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탭 가공이라 함은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의 바닥면이나 벽면 등에 수나사를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홈(탭홀)을 형성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암나사홈(탭홀)은 보통 탭이라고 하는 비교적 지름이 작은 구멍의 암나사를 깎는 공구를 통해 형성된다.
이렇게 가공된 암나사홈(탭홀)은 그 홈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탭 가공이 양호한지 불량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이른바 탭 불량 검사장치를 통해 탭 가공의 불량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오차없이 정확하게 탭핑가공상태가 양품인 가공물과 탭핑가공상태가 불량품인 가공물을 비접촉식으로 보다 용이하게 판정하여 프레임의 외부로 각각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가공물을 탭핑가공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가공물에서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오차없이 정확하게 탭핑가공상태가 양품인 가공물과 탭핑가공상태가 불량품인 가공물을 비접촉식으로 보다 용이하게 판정하여 프레임의 외부로 각각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가공물을 탭핑가공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가공물에서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몸체와, 상기 제 1몸체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제 1구동모터와, 상기 제 1몸체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의 내부 바닥면에 하단부가 베어링고정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제 1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드릴링부재와, 상기 제 1몸체의 타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의 타측 상부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제 1실린더와, 상기 제 1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드릴링부재로 전달하는 제 1회전력전달부재로 구성되는 드릴링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몸체와, 상기 제 2몸체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제 2구동모터와, 상기 제 2몸체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의 내부 바닥면에 하단부가 베어링고정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제 2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탭핑부재와, 상기 제 2몸체의 타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의 타측 상부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제 2실린더와, 상기 제 2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탭핑부재로 전달하는 제 2회전력전달부재로 구성되는 탭핑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3몸체와, 상기 제 3몸체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에 제 1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제 3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상측에 상기 제 1공기유입구와 연통되는 제 2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제 2공기유입구와 연통되는 공기배출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측이 개방된 가공물 수용부재와,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공기유입구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블로워와, 상기 제 3몸체의 타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의 타측 상부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제 3실린더로 구성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4몸체와, 상기 제 4몸체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4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센싱봉과, 상기 제 4몸체의 타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의 타측 상부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제 4실린더로 구성되는 가공물 검사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5몸체와, 상기 제 5몸체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 상부면에 안착된 상기 가공물 검사부의 센싱봉에 의해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을 상기 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5상하이동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가 상기 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킨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을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하는 불량품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의 하측 상부면에 안착된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을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제 5실린더와, 상기 제 5몸체의 타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의 타측 상부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제 6실린더로 구성되는 불량품 배출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물 검사부의 센싱봉에 의해 양품으로 판정된 가공물을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하는 양품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프레임의 후측 사이에 구비되고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의 상부면방향으로 하향경사져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로 양품으로 판정된 가공물을 안내하는 안내판으로 구성되는 양품 배출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이동판과, 상기 고정판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판을 전후이동시키는 제 7실린더와, 상기 전후이동판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전후이동판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판을 좌우이동시키는 제 8실린더와, 상기 좌우이동판에 구비되고 일측에 탭핑하고자 하는 가공물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이송판으로 구성되어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을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상기 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공물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으로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을 공급하는 가공물 공급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공물 공급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판과; 상기 상하이동판을 상하이동시키는 제 8실린더와; 상기 상하이동판의 상부면으로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을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불량품 배출부의 제 5상하이동부재의 일측 하부에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을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로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의 전후측에 상기 배출공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공의 내측으로 각각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드릴링부와 탭핑부를 통해 가공물을 보다 용이하게 탭핑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물검사부를 통해 오차없이 정확하게 탭핑가공상태가 양품인 가공물과 탭핑가공상태가 불량품인 가공물을 비접촉식으로 보다 용이하게 판정하여 프레임의 외부로 각각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이물질 제거부의 블로워를 통해 가공물을 탭핑가공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가공물에서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공물 공급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전측으로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을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불량품 배출부의 제 5상하이동부재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이 보다 용이하게 불량품 배출컨베이어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배출공의 전후측에 각각 상기 배출공의 내측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이 상기 배출공을 보다 원활하게 통과하여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드릴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3은 탭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4는 이물질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가공물 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불량품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도 5의 가공물 이송부가 가공물을 이송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가공물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13은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이 불량품 배출컨베이어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양품으로 판정된 가공물이 양품 배출컨베이어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드릴링부(30), 탭핑부(50), 이물질 제거부(70), 가공물 검사부(90), 불량품 배출부(100), 양품 배출부(200) 및 가공물 이송부(도 2의 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하부면 각 모서리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다리부(101)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중심부 상측방향에는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도 2 내지 도 14의 5)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판(13)이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13)은 상기 안착판(13)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다리부(도 2의 131)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중심부 상측방향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드릴링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드릴링부(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몸체(310), 제 1구동모터(320), 제 1상하이동부재(330), 드릴링부재(340), 제 1실린더(350) 및 제 1회전력전달부재(36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몸체(31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구동모터(320)는 상기 제 1몸체(310)의 일측 내부 상측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구동모터(320)의 제 1구동축(321)은 상기 제 1몸체(310)의 상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330)는 상기 제 1몸체(310)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몸체(310)의 타측면에는 가이드레일(311)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33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몸체(310)의 가이드레일(311)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몸체(310)의 가이드레일(311)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가이드판(331)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릴링부재(340)의 상단부는 상기 제 1몸체(310)의 타측 상부면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릴링부재(340)의 하단부는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330)의 내부 바닥면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릴링부재(340)는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330)가 상하이동할 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상기 드릴링부재(340)는 상기 제 1구동모터(320)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가공물(5)을 드릴링할 수 있다.
상기 드릴링부재(340)는 상측 드릴링부재(341)와 하측 드릴링부재(3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드릴링부재(341)의 상단부는 상기 제 1몸체(310)의 타측 상부면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드릴링부재(341)의 상단부는 상기 제 1몸체(310)의 타측 상부면 상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드릴링부재(343)는 상기 상측 드릴링부재(341)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드릴링부재(343)의 하단부는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330)의 내부 바닥면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드릴링부재(343)의 하단부는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330)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드릴링부재(343)의 하측에는 공지된 드릴척(343b)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드릴링부재(341)의 하측 내주연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고정홈(341a)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드릴링부재(343)의 상측 외주연에는 상기 상측 드릴링부재(341)의 고정홈(341a)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고정되는 고정돌기(343a)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드릴링부재(341)의 내주연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홈(341a)과, 상기 하측 드릴링부재(343)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홈(341a)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고정되는 상기 고정돌기(343a)로 인해,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330)가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드릴링부재(340)의 상하길이가 보다 용이하게 신장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 1구동모터(320)에 의해 상기 상측 드릴링부재(341)와 하측 드릴링부재(343)가 보다 용이하게 함께 정역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실린더(350)는 상기 상측 드릴링부재(341)의 상단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몸체(310)의 타측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실린더(350)의 하단부가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330)의 타측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실린더(35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330)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력전달부재(360)는 상기 제 1구동모터(320)의 제 1구동축(321)의 정역회전력을 상기 드릴링부재(34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 1회전력전달부재(360)는 제 1풀리(361) 또는 제 1스프로켓(미도시), 제 2풀리(362) 또는 제 2스프로켓(미도시) 및 제 1벨트(363) 또는 제 1체인(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풀리(361) 또는 제 1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제 1구동모터(320)의 제 1구동축(321)의 상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풀리(362) 또는 제 2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드릴링부재(340)의 상측 드릴링부재(341)의 상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벨트(363) 또는 상기 제 1체인(미도시) 중 상기 제 1벨트(363)는 상기 제 1, 2풀리(361, 362)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고,
상기 제 1체인(미도시)은 상기 제 1, 2스프로켓(미도시)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다.
도 3은 탭핑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탭핑부(5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2몸체(510), 제 2구동모터(520), 제 2상하이동부재(530), 탭핑부재(540), 제 2실린더(550) 및 제 2회전력전달부재(560)로 구성된다.
상기 제 2몸체(510)는 상기 제 1몸체(3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구동모터(520)는 상기 제 2몸체(510)의 일측 내부 상측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구동모터(520)의 제 2구동축(521)은 상기 제 2몸체(510)의 상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530)는 상기 제 2몸체(510)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몸체(510)의 타측면에는 가이드레일(511)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53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2몸체(510)의 가이드레일(511)에 결합되어 상기 제 2몸체(510)의 가이드레일(511)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가이드판(531)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탭핑부재(540)의 상단부는 상기 제 2몸체(510)의 타측 상부면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탭핑부재(540)의 하단부는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530)의 내부 바닥면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탭핑부재(540)는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530)가 상하이동할 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상기 탭핑부재(540)는 상기 제 2구동모터(520)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가공물(5)을 탭핑가공할 수 있다.
상기 탭핑부재(540)는 상측 탭핑부재(541)와 하측 탭핑부재(5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탭핑부재(541)의 상단부는 상기 제 2몸체(510)의 타측 상부면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탭핑부재(541)의 상단부는 상기 제 2몸체(510)의 타측 상부면 상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탭핑부재(543)는 상기 상측 탭핑부재(541)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탭핑부재(543)의 하단부는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530)의 내부 바닥면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탭핑부재(543)의 하단부는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530)의 하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탭핑부재(543)의 하측에는 공지된 탭핑척(543b)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탭핑부재(541)의 내주연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고정홈(541a)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탭핑부재(543)의 외주연에는 상기 상측 탭핑부재(541)의 고정홈(541a)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고정되는 고정돌기(543a)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탭핑부재(541)의 내주연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홈(541a)과, 상기 하측 탭핑부재(543)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홈(541a)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고정되는 상기 고정돌기(543a)로 인해,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530)가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탭핑부재(540)의 상하길이가 보다 용이하게 신장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 2구동모터(520)에 의해 상기 상측 탭핑부재(541)와 하측 탭핑부재(543)가 보다 용이하게 함께 정역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실린더(550)는 상기 상측 탭핑부재(541)의 상단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2몸체(510)의 타측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실린더(550)의 하단부가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530)의 타측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2실린더(55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530)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회전력전달부재(560)는 상기 제 2구동모터(520)의 제 2구동축(521)의 정역회전력을 상기 탭핑부재(54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 2회전력전달부재(560)는 제 3풀리(561) 또는 제 3스프로켓(미도시), 제 4풀리(562) 또는 제 4스프로켓(미도시) 및 제 2벨트(563) 또는 제 2체인(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풀리(561) 또는 제 3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제 2구동모터(520)의 제 2구동축(521)의 상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4풀리(562) 또는 제 4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탭핑부재(540)의 상측 탭핑부재(541)의 상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벨트(563) 또는 제 2체인(미도시) 중 상기 제 2벨트(563)는 상기 제 3, 4풀리(561, 562)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고,
상기 제 2체인(미도시)은 상기 제 3, 4스프로켓(미도시)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다.
도 4는 이물질 제거부(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물질 제거부(7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몸체(710), 제 3상하이동부재(720), 가공물 수용부재(730), 블로워(740) 및 제 3실린더(750)로 구성된다.
상기 제 3몸체(710)는 상기 제 2몸체(5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720)는 상기 제 3몸체(710)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몸체(710)의 타측면에는 가이드레일(711)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7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3몸체(710)의 가이드레일(711)에 결합되어 상기 제 3몸체(710)의 가이드레일(711)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가이드판(721)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720)의 하측 중심부에는 상하측이 개방된 제 1공기유입구(720a)가 형성된다.
상기 가공물 수용부재(730)는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720)의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공물 수용부재(730)의 상측 중심부에는 상기 제 1공기유입구(720a)와 연통되는 상하측이 개방된 제 2공기유입구(731)가 형성된다.
상기 가공물 수용부재(730)의 양측에는 상기 제 2공기유입구(731)와 연통되는 공기배출구(73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공물 수용부재(730)의 하측은 개방된다.
상기 블로워(740)는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720)의 하측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공기유입구(720a)로 외부공기를 강제유입시키게 된다.
상기 가공물 수용부재(730)의 내부에 탭핑가공된 가공물(5)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블로워(740)에 의해 상기 제 1공기유입구(720a)로 강제유입되어 상기 공기배출구(7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외부공기로 인해 상기 가공물(5)을 탭핑하는 과정 중에 발생된 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상기 가공물(5)에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3실린더(750)는 상기 제 3몸체(710)의 타측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실린더(750)의 하단부가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720)의 타측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3실린더(750)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720)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가공물 검사부(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공물 검사부(9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4몸체(910), 제 4상하이동부재(920), 센싱봉(930), 제 4실린더(940)로 구성된다.
상기 제 4몸체(910)는 상기 제 3몸체(7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920)는 상기 제 4몸체(910)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4몸체(910)의 타측면에는 가이드레일(911)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9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4몸체(910)의 가이드레일(911)에 결합되어 상기 제 4몸체(910)의 가이드레일(911)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가이드판(921)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봉(930)은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920)의 하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봉(930)은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920)를 따라 상하이동하여 탭핑가공된 가공물(5)의 탭홀(51)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센싱봉(930)은 탭핑가공된 가공물(5)의 탭홀(51)내로 삽입되어 탭홀(51)의 순간변화량을 체크하면서 탭핑가공된 가공물(5)의 탭홀(51)의 불량여부를 판정하게 되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센싱봉(930)이 탭핑가공된 가공물(5)의 탭홀(51)의 불량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오차없이 판정하기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센싱봉(930)을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시키는 제 3구동모터(95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3구동모터(950)는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920)의 하측 상부면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구동모터(950)의 제 3구동축(951)은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920)의 하측 상부면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싱봉(930)은 상기 제 3구동모터(950)의 제 3구동축(951)의 하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4실린더(940)는 상기 제 4몸체(910)의 타측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4실린더(940)의 하단부가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920)의 타측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4실린더(94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920)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불량품 배출부(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불량품 배출부(10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5몸체(110), 제 5상하이동부재(120),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 제 5실린더(140) 및 제 6실린더(150)로 구성된다.
상기 제 5몸체(110)는 상기 제 4몸체(9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는 상기 제 5몸체(110)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 5몸체(110)의 타측면에는 가이드레일(111)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5몸체(110)의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되어 상기 제 5몸체(110)의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가이드판(123)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의 하측 상부면 타측에는 상기 가공물 검사부(90)의 센싱봉(930)에 의해 불량품 또는 양품으로 판정된 탭핑가공된 가공물(5)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의 하측 상부면 타측에 상기 가공물 검사부(90)의 센싱봉(930)에 의해 불량품으로 판정된 탭핑가공된 가공물(5)이 안착된 경우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는 상기 프레임(10)의 중심부 상부방향으로 하강하여 불량품으로 판정된 탭핑가공된 가공물(5)을 상기 안착판(13)의 후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중심부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의 하측 상부면 타측에 상기 가공물 검사부(90)의 센싱봉(930)에 의해 양품으로 판정된 탭핑가공된 가공물(5)이 안착된 경우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는 상기 프레임(10)의 중심부 상부방향으로 하강하지 않게 된다.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는 상기 제 5몸체(110)의 하측 내부에 일정크기로 형성되는 공간(112)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는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다리부(132)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는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가 상기 프레임(10)의 중심부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킨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을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제 5실린더(140)는 상기 프레임(10)의 후측 상부면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5실린더(140)는 상기 프레임(10)의 후측 상부면 타측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되는 지지판(141)의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41)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다리부(142)에 의해 상기 지지판(141)이 상기 프레임(10)의 후측 상부면 타측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5실린더(14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의 하측 상부면 타측에 안착된 불량품으로 판정된 탭핑가공된 가공물(5)을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 6실린더(150)는 상기 제 5몸체(110)의 타측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6실린더(150)의 하단부가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의 타측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6실린더(15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양품 배출부(2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품 배출컨베이어(210)와 안내판(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210)는 상기 프레임(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2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다리부(211)에 의해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210)가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210)는 상기 가공물 검사부(90)의 센싱봉(930)에 의해 양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을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안내판(22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210)와 상기 프레임(10)의 안착판(1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판(220)은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210)의 상부면 방향으로 하향경사져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210)로 양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을 안내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5의 가공물 이송부(300)가 가공물(5)을 이송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공물 이송부(300)는 도 2 및 도 8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판(301), 전후이동판(302), 제 7실린더(303), 좌우이동판(304),제 8실린더(305), 이송판(306)으로 구성되어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5)을 상기 프레임(10)의 안착판(13) 전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안착판(13) 후측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판(301)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상부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01)은 상기 고정판(301)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다리부(301a)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상부면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302)은 상기 고정판(301)의 상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01)의 상부면 일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수평연장되는 가이드레일(301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302)의 하부면 타측에는 상기 고정판(301)의 가이드레일(301b)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301)의 가이드레일(301b)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가이드판(302b)이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7실린더(303)는 상기 고정판(301)의 상부면 타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7실린더(303)의 단부가 상기 고정판(301)의 후단부 타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7실린더(303)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고정판(301)을 전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304)은 상기 전후이동판(302)의 상부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302)의 상부면 전측과 상부면 후측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수평연장되는 가이드레일(302a)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304)의 하부면 전측과 하부면 후측에는 상기 전후이동판(302)의 가이드레일(302a)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판(302)의 가이드레일(302a)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가이드판(304a)이 일정간격으로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8실린더(305)는 상기 전후이동판(302)의 타측 상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8실린더(305)의 단부가 상기 좌우이동판(304)의 타측 상부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8실린더(305)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좌우이동판(304)을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판(306)은 상기 좌우이동판(304)의 상부면에 볼트고정 또는 용접접합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판(306)의 일측에는 탭핑하고자 하는 가공물(5)을 수용하는 일측이 개방된 수용홈(도 10의 306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판(306)은 상기 전후이동판(302)과 상기 좌우이동판(304)을 따라 전후좌우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면서 후술할 상하이동판(401)에 안착된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5) 상기 프레임(10)의 안착판(13)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 과정 중에 불량품으로 판정된 탭핑가공된 가공물(5)은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로 배출되고,
양품으로 판정된 탭핑가공된 가공물(5)은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210)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2는 가공물 공급부(4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안착판(13) 전방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안착판(13) 전측으로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5)을 공급하는 가공물 공급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공물 공급부(400)는 상하이동판(401), 제 8실린더(403) 및 공급컨베이어(4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401)은 상기 프레임(10)의 안착판(13) 전측에 수직구비되는 고정판(401a)의 전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8실린더(403)는 상기 상하이동판(40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안착판(13)의 전측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8실린더(403)의 상단부가 상기 상하이동판(401)의 하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8실린더(403)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상하이동판(401)을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401)의 상부면 중심부 내부에는 상기 상하이동판(401)의 상부면에 안착된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5)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40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센서(401b)가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5)의 무게를 감지할 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8실린더(403)는 상측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 상기 상하이동판(401)을 상승시키게 된다.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5)이 상기 가공물 이송부(300)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판(401)의 상부면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안착판(13) 전측 상부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무게감지센서(401b)는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5)의 무게를 감지할 수 없게 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8실린더(403)는 하측방향으로 길이가 줄어들면서 상기 상하이동판(401)을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공급컨베이어(404)는 상기 상하이동판(401)의 상부면으로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5)을 일정시간간격으로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급컨베이어(404)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면에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컨베이어(404)는 상기 공급컨베이어(404)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다리부(404a)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컨베이어(404)의 컨베이어벨트(404b)의 외주면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404b)의 외부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바(404c)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404c) 사이마다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5)이 작업자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공물 공급부(400)를 통해 상기 프레임(10)의 안착판(13) 전측 상부면으로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5)을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3은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이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불량품 배출부(100)의 제 5상하이동부재(120)의 일측 하부에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을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로 배출하는 배출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121)의 전후측에는 상기 배출공(121)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공(121)의 내측으로 각각 상향경사지는 경사면(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불량품 배출부(100)의 제 5상하이동부재(12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배출공(121)을 통해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배출공(121)의 전후측에 각각 상기 배출공(121)의 내측으로 상향경사지는 상기 경사면(122)이 형성되기 때문에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이 상기 배출공(121)을 보다 원활하게 통과하여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로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4는 양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이 양품 배출컨베이어(210)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드릴링부(30)와 탭핑부(50)를 통해 가공물(5)을 보다 용이하게 탭핑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공물 검사부(90)를 통해 오차없이 정확하게 탭핑가공상태가 양품인 가공물(5)과 탭핑가공상태가 불량품인 가공물(5)을 비접촉식으로 보다 용이하게 판정하여 도 7,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각각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이물질 제거부(70)의 블로워(740)를 통해 가공물(5)을 탭핑가공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가공물(5)에서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5; 가공물, 10; 프레임,
30; 드릴링부, 50; 탭핑부,
70; 이물질 제거부, 90; 가공물 검사부,
100; 불량품 배출부, 200; 양품 배출부,
300; 가공물 이송부.

Claims (2)

  1.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몸체(310)와, 상기 제 1몸체(3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제 1구동모터(320)와, 상기 제 1몸체(310)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상하이동부재(330)와,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330)의 내부 바닥면에 하단부가 베어링고정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제 1구동모터(320)에 의해 회전하는 드릴링부재(340)와, 상기 제 1몸체(310)의 타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330)의 타측 상부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상하이동부재(330)를 상하이동시키는 제 1실린더(350)와, 상기 제 1구동모터(320)의 회전력을 상기 드릴링부재(340)로 전달하는 제 1회전력전달부재(360)로 구성되는 드릴링부(30)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몸체(510)와, 상기 제 2몸체(5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제 2구동모터(520)와, 상기 제 2몸체(510)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상하이동부재(530)와,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530)의 내부 바닥면에 하단부가 베어링고정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제 2구동모터(520)에 의해 회전하는 탭핑부재(540)와, 상기 제 2몸체(510)의 타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530)의 타측 상부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상하이동부재(530)를 상하이동시키는 제 2실린더(550)와, 상기 제 2구동모터(520)의 회전력을 상기 탭핑부재(540)로 전달하는 제 2회전력전달부재(560)로 구성되는 탭핑부(50)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3몸체(710)와, 상기 제 3몸체(710)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에 제 1공기유입구(720a)가 형성되는 제 3상하이동부재(720)와,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720)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상측에 상기 제 1공기유입구(720a)와 연통되는 제 2공기유입구(731)가 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제 2공기유입구(731)와 연통되는 공기배출구(73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측이 개방된 가공물 수용부재(730)와,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7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공기유입구(720a)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블로워(740)와, 상기 제 3몸체(710)의 타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720)의 타측 상부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3상하이동부재(720)를 상하이동시키는 제 3실린더(750)로 구성되는 이물질 제거부(70)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4몸체(910)와, 상기 제 4몸체(910)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4상하이동부재(920)와,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9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센싱봉(930)과, 상기 제 4몸체(910)의 타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920)의 타측 상부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4상하이동부재(920)를 상하이동시키는 제 4실린더(940)로 구성되는 가공물 검사부(90)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5몸체(110)와, 상기 제 5몸체(110)의 타측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 상부면에 안착된 상기 가공물 검사부(90)의 센싱봉(930)에 의해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을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5상하이동부재(120)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킨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을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와,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의 하측 상부면에 안착된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을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로 이동시키는 제 5실린더(140)와, 상기 제 5몸체(110)의 타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의 타측 상부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5상하이동부재(120)를 상하이동시키는 제 6실린더(150)로 구성되는 불량품 배출부(100)와;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물 검사부(90)의 센싱봉(930)에 의해 양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을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양품 배출컨베이어(210)와,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210)와 상기 프레임(10)의 후측 사이에 구비되고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210)의 상부면방향으로 하향경사져 상기 양품 배출컨베이어(210)로 양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을 안내하는 안내판(220)으로 구성되는 양품 배출부(200)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판(301)과, 상기 고정판(301)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이동판(302)과, 상기 고정판(301)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판(302)을 전후이동시키는 제 7실린더(303)와, 상기 전후이동판(302)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이동판(304)과, 상기 전후이동판(302)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판(304)을 좌우이동시키는 제 8실린더(305)와, 상기 좌우이동판(304)에 구비되고 일측에 탭핑하고자 하는 가공물(5)을 수용하는 수용홈(306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이송판(306)으로 구성되어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5)을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공물 이송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으로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5)을 공급하는 가공물 공급부(400)가 구비되고,
    상기 가공물 공급부(400)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판(401)과;
    상기 상하이동판(401)을 상하이동시키는 제 8실린더(403)와;
    상기 상하이동판(401)의 상부면으로 탭핑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5)을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4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불량품 배출부(100)의 제 5상하이동부재(120)의 일측 하부에 불량품으로 판정된 가공물(5)을 상기 불량품 배출컨베이어(130)로 배출하는 배출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21)의 전후측에 상기 배출공(121)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공(121)의 내측으로 각각 상향경사지는 경사면(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
KR1020100095796A 2010-10-01 2010-10-01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 KR101140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796A KR101140655B1 (ko) 2010-10-01 2010-10-01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796A KR101140655B1 (ko) 2010-10-01 2010-10-01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325A KR20120034325A (ko) 2012-04-12
KR101140655B1 true KR101140655B1 (ko) 2012-05-03

Family

ID=4613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796A KR101140655B1 (ko) 2010-10-01 2010-10-01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158B1 (ko) 2023-03-29 2024-03-15 주식회사 에이치엔티 탭 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729B1 (ko) * 2016-11-30 2019-04-02 문제정 가구재 제조용 측판 가공장치
KR101998696B1 (ko) * 2018-01-03 2019-07-10 이용진 내경나사 탭핑 및 접촉식 피치 검사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813A (ja) 2002-02-25 2003-09-05 Rozefu Technol:Kk タップ穴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50101146A (ko) * 2005-09-30 2005-10-20 유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자동탭핑기에서 탭핑검사장치
JP2008164349A (ja) 2006-12-27 2008-07-17 Nitto Seiko Co Ltd ねじ山検査装置
KR20100090424A (ko) * 2009-02-06 2010-08-16 전상동 태핑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813A (ja) 2002-02-25 2003-09-05 Rozefu Technol:Kk タップ穴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50101146A (ko) * 2005-09-30 2005-10-20 유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자동탭핑기에서 탭핑검사장치
JP2008164349A (ja) 2006-12-27 2008-07-17 Nitto Seiko Co Ltd ねじ山検査装置
KR20100090424A (ko) * 2009-02-06 2010-08-16 전상동 태핑 검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158B1 (ko) 2023-03-29 2024-03-15 주식회사 에이치엔티 탭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325A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711B1 (ko) 휠 자동검사 및 자동디버링시스템
KR100268273B1 (ko) 볼트체결장치 및 방법
KR101140655B1 (ko) 비접촉식 탭 불량검사장치
KR101131042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자동조립장치
US20100018836A1 (en) Machining facility using sub-pallet
CN104858579A (zh) 一种空调底座螺栓、底座脚自动焊接生产系统
KR100593578B1 (ko) 자동탭핑기에서 탭핑검사장치
CN106181008B (zh) 一种下油底壳自动焊接装置
KR100852877B1 (ko) 자동가공 공급장치
WO2020098291A1 (zh) 保持架自动化综合检测工业线
KR910008198B1 (ko) 부품 공급장치
KR101130057B1 (ko)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KR100607070B1 (ko) 파이프 단부 가공장치
CN106216827A (zh) 一种下油底壳自动焊接方法
CN109202165A (zh) 上拉式拉床
CN112264333A (zh) 一种四通道通螺纹止规检测装置
JP5086151B2 (ja) ワーク検知装置及びワーク検知方法並びにワーク検知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KR100700055B1 (ko) 정션박스의 미디퓨즈 체결장치
CN209986688U (zh) 机器人去毛刺抛光设备
KR100555333B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캘리퍼 피스톤 전자동 전용 가공기
KR101809876B1 (ko) 파이프 내경 및 모따기 검사장치
KR101473011B1 (ko) 자동 팔레트 교환 장치
JP3432961B2 (ja) ワークの機種検出装置
KR100908279B1 (ko) 사무기기 드럼용 온도감지센서의 자동 용접장치
CN210549401U (zh) 一种发动机正时链盖拧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