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802B1 - 펀치 핀 - Google Patents

펀치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802B1
KR101130802B1 KR1020110113819A KR20110113819A KR101130802B1 KR 101130802 B1 KR101130802 B1 KR 101130802B1 KR 1020110113819 A KR1020110113819 A KR 1020110113819A KR 20110113819 A KR20110113819 A KR 20110113819A KR 101130802 B1 KR101130802 B1 KR 101130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crap
cutter
punch pi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점식
Original Assignee
장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점식 filed Critical 장점식
Priority to KR102011011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Abstract

본 발명은 펀치 핀에 관한 것으로, 가공 대상물을 천공할 때 발생하는 스크랩이 펀치 핀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펀치 핀의 내부로 유입된 스크랩은 펀치 핀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을 통해 가공 대상물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출되는 펀치 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펀치 핀{PUNCH PIN}
본 발명은 펀치 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 대상물을 천공할 때 발생하는 스크랩이 펀치 핀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펀치 핀의 내부로 유입된 스크랩은 펀치 핀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펀치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 고무, 원단 등과 같은 얇은 박판에 미세한 천공을 형성하기 위해서 펀칭 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펀칭 장치는 천공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 대상물이 올려지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의 상방에 위치하여 가공 대상물을 향해 하강하여 가공 대상물을 관통하는 펀치 핀과, 상기 펀치 핀이 장착된 펀치 홀더 및 상기 펀치 홀더가 하강하여 펀치 핀이 가공 대상물을 관통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전달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 절달부는 유압 내지 공압을 이용해 펀치 핀을 포함한 펀치 홀더를 승강시키는 실린더 또는 회전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펀치 핀을 포함한 펀치 홀더를 승강시키는 전동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펀칭 장치는 스테이지에 가공 대상물이 안치되면 동력 전달부에 발휘되는 동력으로 펀치 핀이 승강하면서 가공 대상물을 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펀치 홀더에 장착되는 펀치 핀에 의해 가공 대상물의 천공 형태가 결정된다. 이러한 상기 펀치 핀은 대략 원 기둥(다각 기둥) 내지 원통 기둥(다각형 기둥)의 형상을 갖게 되며, 원 기둥의 펀치 핀의 경우 펀치 핀의 하강에 따라 가공 대상물에서 절단된 스크랩을 스테이지의 하부로 밀어내게 되며, 원통 기둥의 펀치 핀의 경우 펀치 핀의 하강에 따라 가공 대상물에서 절단된 스크랩이 펀치 핀의 내부로 수거된다.
특히, 상기 원통 기둥의 형상을 갖는 펀치 핀은 대략 중공관의 형태로 이루어져 펀치 핀의 하단 둘레에 가공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 날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 날의 중심으로 가공 대상물에서 절단된 스크랩이 유입되는 유입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지에 안치된 가공 대상물을 향해 펀치 핀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펀치 핀의 절단 날에 의해 가공 대상물이 천공되고, 가공 대상물에서 절단된 스크랩은 펀치 핀의 유입 홀을 통해 펀치 핀의 내부로 수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펀치 핀은 가공 대상물에서 절단된 스크랩이 펀치 핀의 유입 홀을 통해 펀치 핀의 내부에 수거되기 때문에 펀칭을 반복 수행하게 되면 펀치 핀의 내부에 스크랩이 채워져 일정 주기마다 펀치 핀을 펀치 홀더로부터 분리하여 스크랩을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펀치 핀을 펀치 홀더에서 분리하여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은 펀치 장치의 작동을 멈추고 실시되어야 하기 때문에 펀치 장치의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펀치 핀의 내부에 채워진 스크랩을 일정 주기마다 제거하지 않게 되는 경우 펀치 핀의 내부에 스크랩이 꽉 채워져 가공 대상물의 천공 중 스크랩의 일부가 펀치 핀의 유입 홀을 통해 펀치 핀의 하단으로 배출되면서 가공 대상물과 펀치 핀 사이에 스크랩이 끼이며 가동 대상물의 상면에 흠집을 발생시켜 불량품을 양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 대상물의 천공 중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해 펀치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킬 필요가 없어 펀치 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펀치 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펀치 핀에 의해 가공 대상물에서 절단된 스크랩이 펀치 핀의 유입 홀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펀치 핀의 내부로 유입된 스크랩이 펀치 핀의 유입 홀을 통해 배출되지 않는 펀치 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가공 대상물의 천공 후 펀치 핀의 유입 홀을 통해 유입 홀의 내부로 유입된 스크랩이 외부로 배출될 때 가공 대상물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가공 대상물의 천공 중 스크랩이 가공 대상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펀치 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상단이 펀치 홀더에 고정되고, 하단에 가공 대상물을 뚫는 커터 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터 홀과 연통되며 커터 홀에 의해 절단된 스크랩이 유입되는 유입 홀 및 상기 유입 홀과 연통되며 상기 커터 홀의 너비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을 포함하되, 상기 커터 홀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가공 대상물의 표면과 가장 먼저 접촉하는 커터 외경 및 상기 커터 외경에서 상기 몸체의 축선을 향해 경사지며 상기 유입 홀과 만나는 커터 내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 홀은, 상기 커터 홀의 커터 내경과 동일한 너비를 갖고 상기 몸체의 상단을 향해 형성되는 안내 구간 및 상기 안내 구간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배출 홀로 갈수록 그 너비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확장 구간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 홀은 확장 구간 내에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과 대향하는 확장 구간 내측 벽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대향하는 확장 구간 내측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는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핀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2 돌출부보다 상기 커터 홀과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펀치 핀에 의하면, 가공 대상물을 천공할 때 발생하는 가공 대상물로부터 절단된 스크랩이 펀치 핀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상기 펀치 핀의 내부로 유입된 스크랩은 펀치 핀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가공 대상물의 천공 중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해 펀치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킬 필요가 없어 펀치 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펀치 핀에 유입된 스크랩은 펀치 핀의 승강 중 커터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펀치 핀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을 통해서만 배출되기 때문에 가공 대상물의 상면으로 스크랩이 떨어져 가공 대상물의 상면에 흠집 등을 발생시키지 않아 우수한 품질을 갖는 천공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 홀의 확장 구간에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스크랩이 배출 홀에서 배출될 때 일정한 동선을 그리며 펀치 핀으로부터 멀리 날아가 천공 중 스크랩이 가공 대상물의 상면에 떨어져 발생하는 흠집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스크랩의 수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치 핀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치 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치 핀에 의해 스크랩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치 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치 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치 핀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치 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펀치 핀(100)은 크게 상단이 펀치 홀더(미도시)에 고정되고, 하단에 가공 대상물(P)을 뚫는 커터 홀(110)이 형성된 몸체(120)와, 상기 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터 홀(110)과 연통되며 커터 홀(110)에 의해 절단된 스크랩(S)이 유입되는 유입 홀(130) 및 상기 유입 홀(130)과 연통되며 상기 커터 홀(110)의 너비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몸체(1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스크랩(S)을 몸체(12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홀(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기둥의 형상을 갖고 펀칭 장치(미도시)의 펀치 홀더에 장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120)를 중공된 원 기둥의 형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가공 대상물(P)에 형성할 천공의 형상에 부합하게 다각형 기둥, 타원형 기둥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기둥의 형상을 갖는 몸체(120)의 내부에는 가공 대상물(P)을 천공할 때 가공 대상물(P)로부터 절단된 스크랩(S)이 펀치 핀(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중공된 형상을 갖고, 상기 몸체(120)의 측면에 스크랩(S)을 배출하는 배출 홀(1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120)의 하단에 가공 대상물(P)을 뚫는 커터 홀(110)이 형성되며, 상기 커터 홀(110)의 상부로 스크랩(S)이 유입되는 유입 홀(130)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 홀(130)은 몸체(12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140)과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유입 홀(130)은 가공 대상물(P)을 뚫는 커터 홀(110)의 너비보다 작거나 또는 동등한 너비를 갖게 되며, 상기 배출 홀(140)은 상기 커터 홀(110)의 너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커터 홀(110)에 의해 절단된 스크랩(S)이 상기 유입 홀(130)에 적재되어 배출 홀(140)을 통해 펀치 핀(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가공 대상물(P)을 뚫는 커터 홀(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 외경(D1)과 커터 내경(D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터 외경(D1)은 상기 몸체(120)의 하단에 형성되어 가공 대상물(P)의 표면과 가장 접촉하여 가공 대상물(P)을 절단해 스크랩(S)을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 커터 외경(D1)에 의해 절단된 스크랩(S)은 커터 내경(D2)에 안내를 받아 유입 홀(130)로 안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터 내경(D2)은 커터 외경(D1)으로부터 상기 몸체(120)의 축선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터 외경(D1)에서 상기 커터 내경(D2)으로 갈수록 그 너비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유입 홀(130)은 상기 커터 홀(110)에서 절단된 스크랩(S)이 다시 커터 홀(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안내 구간(L1)과 확장 구간(L2)이 형성되어 스크랩(S)을 원활하게 몸체(120)의 내부에 적재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유입 홀(130)은 상기 커터 홀(110)의 커터 내경(D2)과 동일한 너비를 갖고 상기 몸체(120)의 상단을 향해 형성되는 안내 구간(L1) 및 상기 안내 구간(L1)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배출 홀(140)로 갈수록 그 너비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확장 구간(L2)이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20)의 측단면상 안내 구간(L1)과 확장 구간(L2)은 θ°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터 홀(110)을 통해 유입 홀(130)로 유입된 스크랩(S)은 안내 구간(L1)에 꽉 끼인 상태를 갖게 되고, 이후 가공 대상물(P)의 천공에 따라 다음번 스크랩이 먼저 번의 스크랩을 유입 홀(130) 내에서 몸체(120)의 상방을 향해 밀어올리게 된다.
이렇게, 상기 유입 홀(130)의 안내 구간(L1)에 순차적으로 적재된 스크랩(S)은 상기 안내 구간(L1)과 연결된 확장 구간(L2)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확장 구간(L2)은 안내 구간(L1)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배출 홀(140)로 갈수록 그 너비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갖게 됨으로써, 안내 구간(L1)으로부터 이동한 스크랩(S)은 상기 확장 구간(L2) 내측 벽면과 스크랩(S) 테두리 사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확장 구간(L2) 내측 벽면과 스크랩(S)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여유 공간에 의해 상기 커터 홀(110)을 통해 안내 구간(L1)에서 확장 구간(L2)으로 이동한 스크랩(S)은 가공 대상물(P)의 반복적인 천공에 따라 스크랩(S)이 유입 홀(130)에 적재되면서 순차적으로 배출 홀(140)을 통해 몸체(1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상기 유입 홀(130)에 적재된 스크랩(S)이 몸체(12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140)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동할 때 상기 스크랩(S)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유입 홀(130)과 상기 배출 홀(140)은 원만한 호를 이루며 연결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 홀(130)과 상기 배출 홀(140)은 상기 몸체(120)의 측단면상 호를 이루며 연결되어, 상기 유입 홀(130)의 스크랩(S)이 원만한 호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배출 홀(140)을 통해 몸체(1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치 핀(100)에 의한 스크랩(S)의 배출을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치 핀에 의해 스크랩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펀치 핀(100)은 상단이 펀치 홀더에 장착되며, 상기 펀치 핀(100)의 하방에는 천공하려고 하는 가공 대상물(P)이 스테이지(미도시)에 안치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동력 전달부(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펀치 홀더를 포함한 펀치 핀(100)이 가공 대상물(P)을 향해 승강하면서 펀치 핀(100)의 하단이 가공 대상물(P)을 뚫게 된다.
즉, 상기 펀치 핀(100)이 하강하게 되면 가장 먼저 몸체(120)의 하단에 형성된 커터 홀(110) 중 커터 외경(D1)이 가공 대상물(P)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며, 상기 펀치 핀(100)의 하강이 진행될수록 상기 커터 외경(D1)이 가공 대상물(P)을 깊숙하게 파고들어 결국 커터 홀(110)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천공이 가공 대상물(P)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터 외경(D1)에 의해 절단된 가공 대상물(P)의 스크랩(S)은 이후 가공 대상물(P)의 천공에 따라 다음번 스크랩이 먼저 번의 스크랩을 유입 홀(130)의 안내 구간(L1)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안내 구간(L1)로 이동한 스크랩(S)은 상기 안내 구간(L1)에 꽉 끼인 상태이기 때문에 펀치 핀(100)이 가공 대상물(P)을 천공하기 위해 승강하여도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가공 대상물(P)의 천공이 진행될수록 스크랩(S)이 순차적으로 유입 홀(130)에 적재되면서 유입 홀(130) 중 안내 구간(L1)의 최상층에 위치한 스크랩(S)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스크랩(S)에 의해 안내 구간(L1)에서 확장 구간(L2)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안내 구간(L1)에서 확장 구간(L2)으로 이동한 스크랩(S)은 유입 홀(130)과 배출 홀(140)을 연결하는 원만한 호에 안내되어 결국 몸체(12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펀치 핀(100)에 의하면, 가공 대상물(P)을 천공할 때 발생하는 가공 대상물(P)로부터 절단된 스크랩(S)이 펀치 핀(1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상기 펀치 핀(100)의 내부로 유입된 스크랩(S)은 펀치 핀(10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14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가공 대상물(P)의 천공 중 스크랩(S)을 제거하기 위해 펀치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킬 필요가 없어 펀치 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펀치 핀(100)에 유입된 스크랩(S)은 펀치 핀(100)의 승강 중 커터 홀(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펀치 핀(10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140)을 통해서만 배출되기 때문에 가공 대상물(P)의 상면으로 스크랩(S)이 떨어져 가공 대상물(P)의 상면에 흠집 등을 발생시키지 않아 우수한 품질을 갖는 천공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배출 홀(140)을 통해 몸체(120)의 외부로 배출되는 스크랩(S)이 가공 대상물(P)의 표면에 떨어지지 않게 상기 배출 홀(140)의 측방으로 스크랩(S)을 수거하는 수거함(미도시)이 장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배출 홀(140)에 미끄럼 레일(미도시)을 장착하여 상기 배출 홀(140)을 통해 배출된 스크랩(S)이 미끄럼 레일을 따라 미끄러져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홀(140)을 통해 몸체(120)의 외부로 배출되는 스크랩(S)이 일정한 동선을 그리며 펀치 핀(100)으로부터 멀리 날아가도록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치 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치 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몸체(12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140)에서 스크랩(S)이 배출될 때 펀치 핀(100)으로부터 스크랩(S)이 멀리 날아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입 홀(130)의 확장 구간(L2) 내에 제 1 돌출부(132)와 제 2 돌출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32)는 상기 몸체(12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140)과 대향하는 확장 구간(L2) 내측 벽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돌출부(134)는 상기 제 1 돌출부(132)와 대향하는 확장 구간(L2) 내측 벽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132)와 제 2 돌출부(134)는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돌출부(132)는 상기 제 2 돌출부(134)보다 상기 커터 홀(110)과 가깝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돌출부(132)와 제 2 돌출부(134) 사이에 높이 차(G)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확장 구간(L2) 내측 벽면에 제 1 돌출부(132)와 제 2 돌출부(134)가 형성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 홀(110)을 통해 유입 홀(130)의 안내 구간(L1)에서 확장 구간(L2)으로 스크랩(S)이 순차적으로 적재될 때 스크랩(S)은 제 1 돌출부(132)와 먼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132)와 제 2 돌출부(134) 사이에 높이 차(G)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스크랩들이 순차적으로 적재될수록 제 1 돌출부(132)의 직하방에 위치한 부분의 스크랩(S)에 압력이 집중된다.
이렇게, 상기 제 1 돌출부(132)의 직하방에 위치한 부분의 스크랩(S)에 집중된 압력은 제 2 돌출부(134)의 직하방에 위치한 부분의 스크랩(S)에 집중된 압력에 비해 높기 때문에 제 1 돌출부(132)와 제 2 돌출부(134)에서 스크랩(S)이 벗어날 때 제 1 돌출부(132)의 직하방에 위치한 부분의 스크랩(S)이 먼저 튕겨져 제 1 돌출부(132)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때, 제 1 돌출부(132)에서 스크랩(S)이 벗어날 때 상기 제 1 돌출부(132)의 직하방에 집중된 압력에 비례하여 스크랩(S)이 벗어날 때의 이동 속도는 증가하는 반면, 제 2 돌출부(134)의 직하방에 위치한 부분의 스크랩(S)은 튕겨지는 힘이 미약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랩(S)이 날아가는 동선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132)와 제 2 돌출부(134)에서 스크랩(S)이 벗어날 때 제 1 돌출부(132)의 직하방에 위치한 부분의 스크랩(S)이 먼저 제 1 돌출부(132)에서 벗어나고 이후 튕겨지는 힘에 의해 스크랩(S)은 도 5의 S1 ~ Sn 까지의 동선을 그리며 상기 배출 홀(140)로부터 멀리 날아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 홀(130)의 확장 구간(L2)에 제 1 돌출부(132)와 제 2 돌출부(134)가 형성되면, 가공 대상물(P)의 천공 후 펀치 핀(100)의 유입 홀(130)을 통해 유입 홀(130)의 내부로 유입된 스크랩(S)이 외부로 배출될 때 스크랩(S)은 일정한 동선을 그리며 펀치 핀(100)으로부터 멀리 날아가 가공 대상물(P)의 천공 중 스크랩(S)이 가공 대상물(P)로 떨어져 가공 대상물(P)의 상면에 흠집 등을 발생시키지 않아 우수한 품질을 갖는 천공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펀치 핀(100)으로부터 멀리 날아가는 스크랩(S)은 일정한 동선을 그리며 날아가기 때문에 스크랩(S)의 착지 위치를 예상할 수 있어, 예상된 스크랩(S)의 착지 위치에 스크랩(S)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미도시)을 마련함으로써, 스크랩(S)의 수거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100 : 펀치 핀 110 : 커터 홀
120 : 몸체 130 : 유입 홀
132 : 제 1 돌출부 134 : 제 2 돌출부
140 : 배출 홀 D1 : 커터 외경
D2 : 커터 내경 L1 : 안내 구간
L2 : 확장 구간 P : 가공 대상물
S : 스크랩

Claims (7)

  1. 상단이 펀치 홀더에 고정되고, 하단에 가공 대상물(P)을 뚫는 커터 홀(110)이 형성된 몸체(120);와, 상기 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터 홀(110)과 연통되며 커터 홀(110)에 의해 절단된 스크랩(S)이 유입되는 유입 홀(130); 및 상기 유입 홀(130)과 연통되며 상기 커터 홀(110)의 너비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몸체(12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140);을 포함하되,
    상기 커터 홀(110)은, 상기 몸체(120)의 하단에 형성되어 가공 대상물(P)의 표면과 가장 먼저 접촉하는 커터 외경(D1); 및 상기 커터 외경(D1)에서 상기 몸체(120)의 축선을 향해 경사지며 상기 유입 홀(130)과 만나는 커터 내경(D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 홀(130)은, 상기 커터 홀(110)의 커터 내경(D2)과 동일한 너비를 갖고 상기 몸체(120)의 상단을 향해 형성되는 안내 구간(L1); 및 상기 안내 구간(L1)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배출 홀(140)로 갈수록 그 너비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확장 구간(L2);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 홀(130)은 확장 구간(L2) 내에 제 1 돌출부(132);와 제 2 돌출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132)는 상기 몸체(12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홀(140)과 대향하는 확장 구간(L2) 내측 벽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돌출부(134)는 상기 제 1 돌출부(132)와 대향하는 확장 구간(L2) 내측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132)와 제 2 돌출부(134)는 높이 차(G)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132)는 상기 제 2 돌출부(134)보다 상기 커터 홀(110)과 가깝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핀.
KR1020110113819A 2011-11-03 2011-11-03 펀치 핀 KR101130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819A KR101130802B1 (ko) 2011-11-03 2011-11-03 펀치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819A KR101130802B1 (ko) 2011-11-03 2011-11-03 펀치 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802B1 true KR101130802B1 (ko) 2012-03-28

Family

ID=4614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819A KR101130802B1 (ko) 2011-11-03 2011-11-03 펀치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8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800A (ja) * 1999-01-13 2000-07-25 Mori Engineering:Kk 穿孔機の切り抜きドリル
JP2003291094A (ja) 2002-03-29 2003-10-14 Asahi Seiki Kk ポンチ装置
JP2006150579A (ja) * 2004-11-05 2006-06-15 Takahashi Keisei:Kk 抜き型用切断刃及び抜き型
JP2009144911A (ja) 2007-09-19 2009-07-02 Boe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自己穿孔エレメ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800A (ja) * 1999-01-13 2000-07-25 Mori Engineering:Kk 穿孔機の切り抜きドリル
JP2003291094A (ja) 2002-03-29 2003-10-14 Asahi Seiki Kk ポンチ装置
JP2006150579A (ja) * 2004-11-05 2006-06-15 Takahashi Keisei:Kk 抜き型用切断刃及び抜き型
JP2009144911A (ja) 2007-09-19 2009-07-02 Boe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自己穿孔エレメン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9450B2 (ja) 目打ち装置を備える裁断機、およびその目打ち屑除去方法
KR20130123925A (ko) 복합재료 절단기
KR20060074835A (ko)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및형성장치
JP2013013982A (ja) 裁断機の目打ち装置および方法
KR20120113460A (ko) 인테이크 파이프 절단 장치
KR20190109796A (ko) 타공이물의 제거가 가능한 필름시트 프레싱장치
JP2018130760A (ja) 角パイプの穴開加工装置。
KR100618302B1 (ko) 그린 시트 천공 장치
KR101130802B1 (ko) 펀치 핀
CN110154147B (zh) 冲孔装置
KR20060054696A (ko) 판재에의 다공 펀칭 금형 장치 및 다공 펀칭 방법
KR101908641B1 (ko) 포터블형 오픈함 펀칭장치
KR20160139872A (ko)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상승 방지장치
KR100919795B1 (ko) 덕트용 연결구 제조금형
CN210548574U (zh) 一种五金件裁切装置
KR101003887B1 (ko) 샤프트 방식을 이용한 고속 타발금형
CN208178631U (zh) 一种双电极头细孔放电机
JP2002153922A (ja) パンチ金型及びその金型を使用するパンチ加工方法
ES2756624T3 (es) Ensamblaje de punzones de tableros con bujes extractores
JP2003230920A (ja) パンチプレスの追切り切断金型および切断方法
JP5522007B2 (ja) 鋳型の穴あけ方法及び穴あけ工具並びに鋳型の穴あけ装置
CN220446679U (zh) 一种导管打孔排废料结构
JP2005296795A (ja) 破砕処理装置
CN216992305U (zh) 一种木棒自动钻孔机
CN220637997U (zh) 一种柱状毛刺清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