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771B1 -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771B1
KR101130771B1 KR1020110089124A KR20110089124A KR101130771B1 KR 101130771 B1 KR101130771 B1 KR 101130771B1 KR 1020110089124 A KR1020110089124 A KR 1020110089124A KR 20110089124 A KR20110089124 A KR 20110089124A KR 101130771 B1 KR101130771 B1 KR 101130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housing
injection
valve device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호
강병성
Original Assignee
강병성
김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성, 김철호 filed Critical 강병성
Priority to KR1020110089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771B1/ko
Priority to PCT/KR2012/007021 priority patent/WO2013032296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65D83/48Lift valves, e.g. operated by push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2Dip-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6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력용기내에 충전된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를 추진체로 하여 압력용기내의 원액을 분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액과 분사추진체가 충전된 압력용기에 마운팅컵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버튼에 의해 압력용기내의 원액을 분출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밸브장치는 압력용기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운팅컵에 하우징부가 고정설치되고, 마운팅컵을 관통하여 하부가 하우징부내에 위치하도록 버튼이 결합되는 스템이 설치되며, 버튼의 누름작동에 의해 딥튜브와 연결된 하우징부를 통해 압력용기내의 원액이 스템의 혼합공간내로 유입되고, 하우징부의 제3공급구를 통해 유입된 압력용기내의 분사추진체 또는 원액이 사이클론축의 나선유로를 통해 스템의 혼합공간내로 유입되며, 혼합공간내에서 분사추진체에 원액이 혼합되어 외부로 분출되거나, 압력용기내 분사추진체의 압력에 의해 혼합공간내의 원액이 외부로 분출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Injection valve device for aerosol spray}
본 발명은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로졸 스프레이에 설치되어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를 사이클론축에 의해 회전분출시키고, 회전분출되는 압력에 의해 압력용기내에 충전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스프레이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의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의 개방부에 누름버튼에 의해서 개폐되는 분사장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분사장치의 하단부에는 압력용기내로 연장되는 스트로우가 장착되어 내용물을 분사장치측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 스프레이의 압력용기내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내용물이 충진되는데, 이러한 내용물을 분사장치를 통해 분출시키기 위해 내부에 가스와 함께 내용물이 충전된다.
종래의 에어로졸 스프레이는 압력용기의 내부 공간 중 일부가 포장용 원액(분출하고자 하는 내용물)과 가스가 충전되고 나머지 공간은 가스의 팽창공간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원액과 액화석유가스가 충전된 상태에서 압력용기의 내부는 액화석유가스의 증기압에 의하여 내부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압력용기에 설치되어 있는 분사장치를 작동(오픈)시키면 원액과 액화석유가스의 혼합물이 동시에 분출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에어로졸 스프레이에 충전되는 가스는 액화천연가스, 부탄가스 등등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가연성 가스를 사용하고 있어, 원액의 분출시 화재의 위험성이 내재되고, 유해가스의 대기중 방출로 인하여 인체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충전 가스는 온도에 민감하여, 온도가 높을 경우, 폭발의 위험성을 구비하고, 온도가 낮을 경우, 분사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액화석유가스 및 부탄가스의 사용상 안전성의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철이나 알루미늄계의 소재로만 용기의 제작이 허용되는 등의 여러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방음, 밀폐효과 등 건축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환기마저 잘 안되는 현대인의 주거환경에서. 기존의 액화석유가스(LPG)를 이용한 스프레이는 대기로 VOCs를 다량 배출한다. 실내공기의 오염이 우리의 실내 환경을 파괴하고 건강을 해치게 되며, 특히 눈에는 보이지 않는 석유화학 자극물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질환 등과 같은 부차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충전가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기압에 의해 유체를 분출하는 방법이 있으나, 공기압만을 이용할 경우, 종래의 충전가스에 비해 분사력이 떨어져 에어로졸 스프레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97856 (2005.09.30)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12580 (2006.08.07)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2-80078 (2002.03.19.)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33114 (2008.05.22)
본 발명은 압력용기내에 충전된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를 추진체로 하여 압력용기내의 원액을 분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된 사이클론축에 의해 압력용기내의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를 고속으로 분출하여, 이를 압력용기내 원액과 함께 혼합분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액과 분사추진체가 충전된 압력용기에 마운팅컵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버튼에 의해 원액을 분출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밸브장치는, 압력용기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운팅컵에 고정설치되고 딥튜브가 연결설치되며, 압력용기내의 분사추진체 또는 원액이 내부로 유입되는 하우징부와; 마운팅컵을 관통하여 하부가 하우징부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버튼이 결합되며 내부에 혼합공간을 구비하는 스템과; 하우징부와 마운팅컵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스템의 혼합공간과 연통되는 스템의 제1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스템가스켓과; 스템 하부내로 삽입설치되고 혼합공간과 연통되는 나선유로를 구비하는 사이클론축과; 스템의 하부에 연결설치되고 사이클로축의 나선유로와 연통되는 제2공급구를 구비하는 슬리브축과; 슬리브축의 하단축이 삽입설치되고 하우징부내에 끝단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와 하우징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부와 스템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 가스켓과, 상기 스템가스켓과 포스트 가스켓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부와 스템 사이에 설치되고 스템 하부에 의해 개폐되어 딥튜브를 통해 하우징부내로 유입된 원액을 스템의 제1유입구로 유입시키는 가스켓 포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압력용기내에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를 충전하고, 이를 분사추진체로 하여 압력용기내의 원액을 분출하도록 되어 있어, 원액의 분출에 따른 화재위험이 없고, 분출에 따른 실내오염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효과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용기내부의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가 스템내부에 설치된 사이클론축을 따라 회전하며 분출되도록 되어 있어, 높은 분출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액과의 혼합분출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용기를 거꾸로 하여 분출하더라도, 볼에 의해 하우징의 제3통로가 폐쇄되어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의 공급이 차단되고, 사이클론축을 통해 스템 혼합공간내로 원액이 분출되어, 압력용기내의 압축공기 및 압축질소의 압력에 의해 스템의 혼합공간내로 분칠된 원액이 분사노즐을 통해 미세분사되어 원액의 분사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 등을 분사추진체로 사용하고, 사이클론축에 의한 강력한 회전력에 의해 원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므로, 분사노즐 하단에 분사유로가 위치하도록 버튼내에 분사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액분출 후 분사유로내에 위치하는 원액이 분사노즐이 아닌 스템의 혼합공간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분사노즐 외측에 원액방울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사용에 따른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용기는 액화석유가스(LPG)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안전검사 규격에 따라 안전용기로 철 캔(steel can), 알루미늄 캔 만을 사용하여야 하나, 본 발명은 압축기체를 사용하므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압력용기는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안전검사 규제 대상이 아니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철 캔(steel can), 알루미늄 캔 뿐 아니라, 플라스틱(PET)용기도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제품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조립분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템, 사이클론축, 슬리브축 및 슬리브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과 하우징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평상시)
도 6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1차누름상태)
도 7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2차누름상태)
도 8 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예시도(정위치 분사)
도 9 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예시도(역위치 분사)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조립분해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템, 사이클론축, 슬리브축 및 슬리브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과 하우징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평상시)를, 도 6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1차누름상태)를, 도 7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2차누름상태)를, 도 8 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예시도(정위치 분사)를, 도 9 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예시도(역위치 분사)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액과 분사추진체가 충전된 압력용기(200)에 마운팅컵(300)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버튼(400)에 의해 압력용기내의 원액을 분출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분사밸브장치(100)는 압력용기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운팅컵에 하우징부(10)가 고정설치되고, 마운팅컵(300)을 관통하여 하부가 하우징부(10)내에 위치하도록 버튼이 결합되는 스템(20)이 설치되며,
버튼(400)의 누름작동에 의해 딥튜브(50)와 연결된 하우징부(10)를 통해 압력용기(200)내의 원액이 스템(20)의 혼합공간(21)내로 유입되고,
하우징부(10)의 제3공급구(14)를 통해 유입된 압력용기(200)내의 분사추진체 또는 원액이 사이클론축(30)의 나선유로(31)를 통해 스템의 혼합공간(21)내로 유입되며,
혼합공간(21)내에서 분사추진체에 원액이 혼합되어 외부로 분출되거나, 압력용기내 분사추진체의 압력에 의해 혼합공간(21)내의 원액이 외부로 분출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사밸브장치(100)는, 압력용기(200)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운팅컵(300)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부(10)와; 마운팅컵(300)을 관통하여 하부가 하우징부(10)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버튼(400)이 결합되고 내부에 혼합공간(21)을 구비하는 스템(20)과; 하우징부(10)와 마운팅컵(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스템가스켓(30)과; 스템(20) 하부내로 삽입설치되고 혼합공간(21)과 연통되는 나선유로(41)를 구비하는 사이클론축(40)과; 스템(20)의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슬리브축(50)과; 슬리브축(50)의 일측이 삽입설치되고 하우징부(10)내에 끝단(61)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슬리브(60)와; 상기 슬리브(60)와 하우징부(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70)과; 상기 하우징부(10)와 스템(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 가스켓(80)과; 상기 스템가스켓(30)과 포스트 가스켓(8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부(10)와 스템(20)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 포스트(90)를 포함하여,
버튼(400)의 누름작동에 의해 스템의 혼합공간(21)내로 나선유로를 따라 회전하며 유입된 분사추진체에 원액이 혼합되어 외부로 분출되거나, 압력용기내 분사추진체의 압력에 의해 나선유로를 통해 혼합공간(21)내로 유입된 원액이 외부로 분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분사추진체는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 또는 불연성기체 등등의 압축기체이며, 바람직하게는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를 의미한다.
상기 하우징부(10)는 도 1,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컵(300)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볼하우징(12)과, 상기 볼하우징(12)내에 설치되는 볼(13)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은 일측에 제3공급구(14)를 구비하고 하단에 토출구(15)를 구비하는 메인하우징(16)과, 상기 메인하우징(16) 일측에 위치하고 볼하우징(12)이 결합되는 보조하우징(17)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6)은 스템가스켓(30)이 결합되는 상단결합홀(16a)과, 상기 가스켓포스트(90) 및 포스트 가스켓(80)이 설치되는 중단결합홀(16b)과, 상기 스템(20), 슬리브축(50), 슬리브(60), 스프링(70)이 삽입되고 제3공급구(14) 및 토출구(15)와 연통되는 하단결합홀(16c)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하우징(17)은 메인하우징의 중단결합홀(16b)과 제3유입구(17a)에 의해 연결되는 제3원액통로(17b)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구(15)는 버튼의 작동시 제3공급구를 통해 하우징내로 유입된 분사추진체 또는 원액을 다시 연료용기내로 토출시켜 버튼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볼하우징(12)은 보조하우징(17)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하우징연결대(12a)와, 딥튜브(500)내로 삽입되는 튜브연결대(12b)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연결대(12b)는 내부에 제1원액통로(12c)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연결대(12a)는 내부에 제1원액통로(12c)와 하우징의 제3원액통로(17b)를 연결되는 제2원액통로(12d)와, 상기 제2원액통로(12d)와 격벽(12e)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되며 볼(13)이 위치하는 볼홈(12f)을 포함한다.
상기 볼(13)은 볼하우징의 볼홈(12f)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용기(200)를 거꾸로 세울 경우, 볼홈(12f)으로부터 나와 보조하우징의 제3원액통로(17b)를 막아 제3원액통로를 통한 분사추진체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스템(20)은 버튼(400)의 작동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혼합공간(21)을 구비하는 상부(23)와, 사이클론축(40)이 삽입되는 사이클론축 결합홀(25)이 형성된 하부(24)와, 상기 혼합공간(21)과 사이클론축 결합홀(25)을 연결하는 제1공급구(26)와, 상기 상부(23)의 하단에 띠형상을 이루고 형성되고 스템가스켓(30)이 위치하는 유로홈(27)과, 상기 유로홈(27)과 혼합공간(21)을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스템가스켓(30)에 의해 개폐되는 제1유입구(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공급구(26)와 제1유입구(22) 사이에는 분리벽(28)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벽(28)은 제1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되는 원액(210)과, 제1공급구(26)를 통해 유입되는 분사추진체(220)가 혼합공간(21)내에서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혼합공간(21)내로 원액 및 분사추진체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제1유입구(22)는 하우징부(10)를 통해 유입된 원액을 혼합공간(21)내로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제1유입구(22)는 버튼(400)의 누름작동에 따른 스템(20)이 스프링(70)을 압축하며 이동되면, 스템의 제1유입구(22)가 스템가스켓(30)을 벗어나 개방되게 되고, 버튼의 복귀작동시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스템(20)이 이동되면, 스템가스켓(30)내로 제1유입구(22)가 삽입되어 폐쇄되게 된다.
상기 사이클론축 결합홀(25)은 사이클론축(40)이 삽입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을 구비하거나 내부에 나선 또는 나선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클론축 결합홀(25)은 사이클론축(40)과의 결합력 및 분사추진체의 분출력 상승을 위하여 나선형상 또는 나선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클론축(4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면에 나선유로(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사이클론축 결합홀(25)내로 삽입설치된다. 또한, 상기 사이클론축 결합홀(25)에 나선 또는 나선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사이클론축 결합홀에 형성된 나선 또는 나선형상 돌기의 간격보다 나선유로의 골과 골 사이의 거리가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나선유로(41)를 통한 분사추진체 또는 원액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축(5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축(40)이 삽입된 스템 하부(24)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51)와, 상기 결합부(5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상단축(52)과, 상기 상단축(52)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슬리브내로 삽입되는 하단축(53)과, 상기 나선유로(41)와 연통되도록 결합부(51)에 형성된 제2공급구(5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51), 상단축(52) 및 하단축(53)은 동일중심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상단축(52)의 직경이 하단축(53)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6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슬리브축의 하단축(53)이 삽입관통되는 슬리브 관통홀(62)을 구비하고, 하부에 스프링 삽입홀(63)을 구비하며, 끝단(61)이 하우징의 하단결합홀(16e)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밀착설치된다.
상기 슬리브(60)는 슬리브축의 상단축(52)에 의해 결합부(51)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이격에 의해 형성된 결합부와 슬리브 사이의 공간(상단축 둘레에 위치하는 공간)을 통해 버튼의 누름작동시, 하우징의 제3공급구(14)를 통해 유입된 분사추진체(220) 또는 원액(210)이 결합부의 제2공급구(54)를 통해 나선유로(41)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스프링(70)은 버튼(400)의 누름작동시 슬리브(60)에 의해 압축되고, 버튼 누름의 해제시, 탄력에 의해 슬리브(60)를 상승시켜, 스템(20) 및 버튼(400)을 복귀시킨다.
상기 포스트 가스켓(80)은 하우징부(10)내로 삽입되는 스템(20)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의 중단결합홀(16b)내에 설치된다.
상기 가스켓 포스트(9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내로 삽입되는 스템(20)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중단결합홀(16b)내에 설치되고, 하우징부의 제3유입구(14)와 연결되는 제2유입구(91)를 구비한다.
상기 스템가스켓(30)은 버튼의 작동에 의해 스템(20)의 제1유입구(22)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하우징부의 상단결합홈(16a)내에 위치하도록 또한, 스템의 유로홈(27)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버튼(400)은 스템(20)을 이동시켜 분사추진체 및 원액을 분출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스템의 혼합공간과 연통되는 분사유로(420)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유로(420)의 끝단에 분사노즐(410)이 결합되되,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구(430)가 분사유로(4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분사노즐(410)이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버튼(400)은 분사노즐(410)의 하부 일측이 분사유로(420)내에 끼워지도록 버튼(400)에 분사노즐(410)이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410)의 분사구(430)과 분사유로(420)는 분사공극(430)에 의해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분사공극(430)은 버튼에 결합되는 분사노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분사유로(420)의 형성에 의해 원액 분사후, 분사노즐의 외측에 원액방울이 발생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은 원액분사 후, 스템의 혼합공간내로 원액이 흐르기 때문에, 0.2㎜ 정도의 분사구에 원액방울이 흐르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존의 액화석유가스(LPG)의 기화력을 이용하는 방식이 아닌 압축기체를 이용하고, 또한, 압축기체(공기, 질소)를 이용하여 직접 분사방식이 아닌 별도로 내장된 사이클론축의 나선유로를 통하여 압축기체가 회오리되면서 원액을 마이크로 입자(30/㎛~60/㎛) 미만의 입자로 쪼개어 스프레이 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310 은 마운틴 가스켓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 5 내지 도 9 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평상시 (버튼 미누름작동시:정위치상태)
도 5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평상시)를 도시한 것으로, 스프링(70)의 탄력에 의해 슬리브(60)의 끝단(61)이 하우징부의 하단결합홀(16e)과 기밀을 유지하면서 제3공급구(14) 상측 즉, 제3공급구(14)와 제2공급구(54)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3공급구(14)를 통해 유입되는 압력용기내의 분사추진체(220)는 슬리브축의 제2공급구(54)로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70)의 탄력에 의해 스템의 제1유입구(22)가 스템가스켓(30)내에 위치하여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스템 하부(24)가 가스켓 포스트(90)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밀착되어 제2유입구(91)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압력용기내의 원액(210)은 스템의 제1유입구(22) 및 가스켓 포스트의 제2유입구(91)의 폐쇄로 인해, 스템의 혼합공간(21)내로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 버튼 누름작동시 : 정위치상태
(누름1차상태)
도 6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1차누름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버튼의 누름작동에 의해 스템(20), 슬리브축(50), 슬리브(60)가 하우징부내에서 스프링(70)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 즉, 하강되어, 슬리브의 끝단(61)이 제3공급구(14) 하측에 위치하게 되며, 이와 같이 슬리브 끝단(61)이 제3공급구(14) 하측에 위치하게 될 경우, 압력용기내의 분사추진체(220)가 제3공급구(14), 슬리브축의 제2공급구(54)를 통해 사이클론축의 나선유로(41)로 유입되어, 나선유로(41)를 따라 회전하면서 스템의 제1공급구(26)를 통해 혼합공간(21)내로 공급되어 분사노즐(410)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이때, 스템의 제1유입구(22)는 스템가스켓(3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가스켓포스트의 제2유입구(91) 역시 스템 하부(24)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딥튜브(500), 제1원액통로(12c), 제2원액통로(12d), 제3원액통로(17b) 및 제3유입구(17a)로 유입된 압력용기내의 원액(210)이 스템의 유로홈(27)내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즉, 누름1차상태에서는 혼합공간내로 분사추진체는 유입되나 원액은 유입되지 않게 된다.
(누름2차상태)
도 7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2차누름상태)를, 도 8 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예시도(정위치 분사)를 도시한 것으로, 누름1차상태에서 버튼(400)을 더 눌러 스템(20)을 하강시키면, 스템가스켓(30)으로부터 스템의 제1유입구(22)가 개방되고, 스템 하부(24)로부터 가스켓포스트의 제2유입구(91)가 개방되어, 딥튜브(500), 제1원액통로(12c), 제2원액통로(12d), 제3원액통로(17b) 및 제3유입구(17a)로 유입된 압력용기내의 원액(210)이 스템의 유로홈(27)을 따라 제1유입구(22)를 통해 혼합공간(21)내로 공급되며, 제1공급구(26)를 통해 혼합공간(21)내로 회전되면서 분사되고 있는 분사추진체(220)와 혼합되어 외부로 분출되게 된다. 즉, 누름2차상태에서 분사추진체와 원액이 혼합되어 분출되게 된다.
- 버튼의 복귀작동시 (정위치상태)
버튼(40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스프링(70)의 탄력에 의해 스템(20), 슬리브축(50) 및, 슬리브(90)가 상승되며, 먼저 스템 하부(24)에 의해 가스켓 포스트의 제2유입구(91)가 폐쇄되고, 또한 스템가스켓(30)에 의해 스템의 제1유입구(22)가 각각 폐쇄되어 혼합공간(21)내로의 원액(210) 유입이 차단되고, 슬리브(60)의 상승에 의해 제3공급구(14)로 유입된 분사추진체의 제2공급구(54) 유입이 차단된다.
- 버튼 누름작동시 : 역방향위치
도 9 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예시도(역위치 분사)를 도시한 것으로, 압력용기(200)가 거꾸로 위치(역방향위치)하게 되면, 압력용기내의 분사추진체(220)가 위로 상승하게 되고, 압력용기내의 원액(210)이 분사장치(100)가 위치한 아래로 하강하게 되며, 볼하우징(12)내의 볼(13)이 볼홈부(12f)로부터 나와 제3원액통로(17b)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볼(13)의 작동에 의해 제3원액통로(17b)를 통한 분사추진체(220)의 유입이 차단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압력용기(200)가 거꾸로 위치한 상태에서 버튼(400)을 누름작동하게 되면, 버튼의 누름작동에 의해 스템, 슬리브축, 슬리브가 하우징부내에서 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 즉, 상부방향으로 상승 이동하게 되어, 제3공급구(14)와 제2공급구(54)가 서로 연통되므로, 압력용기내의 원액(210)이 압력용기내 분사추진체(220)의 압력에 의해 제3공급구(14), 슬리브축의 제2공급구(54), 사이클론축의 나선유로(41), 스템의 제1공급구(26)를 통해 혼합공간(21)내로 공급되어 분사노즐(410)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이때, 분사노즐(410)을 통해 분출되는 원액(210)은 압력용기내 분사추진체(220)의 압력에 의해 분출되며, 미세한 분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하우징부 (11) : 하우징
(12) : 볼하우징 (12a) : 하우징연결대
(12b) : 튜브연결대 (12c) : 제1원액통로
(12d) : 제2원액통로 (12e) : 격벽
(12f) : 볼홈 (13) : 볼
(14) : 제3공급구 (15) : 토출구
(16) : 메인하우징 (16a) : 상단결합홀
(16b) : 중단결합홀 (16c) : 하단결합홀
(17) : 보조하우징 (17a) : 제3유입구
(17b) : 제3원액통로 (20) : 스템(stem)
(21) : 혼합공간 (22) : 제1유입구
(23) : 상부 (24) : 하부
(25) : 결합홀 (26) : 제1공급구
(27) : 유로홈 (28) : 분리벽
(30) : 스템가스켓(stem gasket) (40) : 사이클론축(cyclone post)
(41) : 나선유로 (50) : 슬리브축(sleeve post)
(51) : 결합부 (52) : 상단축
(53) : 하단축 (54) : 제2공급구
(60) : 슬리브(sleeve) (61) : 끝단
(62) : 슬리브 관통홀 (63) : 스프링 삽입홀
(70) : 스프링 (80) : 포스트가스켓(post gasket)
(90) : 가스켓 포스트(gasket post) (91) : 제2유입구
(100) : 분사밸브장치 (200) : 압력용기
(210) : 원액 (220) : 분사추진체
(300) : 마운팅 컵(mounting cup) (400) : 버튼
(410) : 분사노즐 (500) : 딥튜브(dip tube)

Claims (13)

  1. 원액과 분사추진체가 충전된 압력용기에 마운팅컵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버튼에 의해 압력용기내의 원액을 분출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밸브장치는 압력용기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운팅컵에 하우징부가 고정설치되고, 마운팅컵을 관통하여 하부가 하우징부내에 위치하도록 버튼이 결합되는 스템이 설치되며,
    버튼의 누름작동에 의해 딥튜브와 연결된 하우징부를 통해 압력용기내의 원액이 스템의 혼합공간내로 유입되고,
    하우징부의 제3공급구를 통해 유입된 압력용기내의 분사추진체 또는 원액이 사이클론축의 나선유로를 통해 스템의 혼합공간내로 유입되며,
    혼합공간내에서 분사추진체에 원액이 혼합되어 외부로 분출되거나, 압력용기내 분사추진체의 압력에 의해 혼합공간내의 원액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분사밸브장치는, 압력용기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운팅컵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부;
    마운팅컵을 관통하여 하부가 하우징부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버튼이 결합되고 내부에 혼합공간을 구비하는 스템;
    하우징부와 마운팅컵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스템가스켓;
    스템 하부내로 삽입설치되고 혼합공간과 연통되는 나선유로를 구비하는 사이클론축;
    스템의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슬리브축;
    슬리브축의 일측이 삽입설치되고 하우징부내에 끝단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와 하우징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부와 스템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 가스켓;
    상기 스템가스켓과 포스트 가스켓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부와 스템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 포스트를 포함하여,
    버튼의 누름작동에 의해 스템의 혼합공간내로 나선유로를 따라 회전하며 유입된 분사추진체에 원액이 혼합되어 외부로 분출되거나, 압력용기내 분사추진체의 압력에 의해 나선유로를 통해 혼합공간내로 유입된 원액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마운팅컵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볼하우징과, 상기 볼하우징내에 설치되는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제3공급구를 구비하고 하단에 토출구를 구비하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 일측에 위치하고 볼하우징이 결합되는 보조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은 스템가스켓이 결합되는 상단결합홀과, 가스켓포스트 및 포스트 가스켓이 설치되는 중단결합홀과, 스템, 슬리브축, 슬리브, 스프링이 삽입되고 제3공급구 및 토출구와 연통되는 하단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6.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보조하우징은 메인하우징의 중단결합홀과 제3유입구에 의해 연결되는 제3원액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7.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볼하우징은 보조하우징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하우징연결대와, 딥튜브내로 삽입되는 튜브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연결대는 내부에 제1원액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연결대는 내부에 제1원액통로와 하우징의 제3원액통로를 연결되는 제2원액통로와, 상기 제2원액통로와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되며 볼이 위치하는 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내부에 혼합공간을 구비하는 상부와, 사이클론축이 삽입되는 사이클론축 결합홀이 형성된 하부와, 상기 혼합공간과 사이클론축 결합홀을 연결하는 제1공급구와, 상기 상부의 하단에 띠형상을 이루고 형성되고 스템가스켓이 위치하는 유로홈과, 상기 유로홈과 혼합공간을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스템가스켓에 의해 개폐되는 제1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구와 제1유입구 사이에는 분리벽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축은 사이클론축이 삽입된 스템 하부의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상단축과, 상기 상단축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슬리브내로 삽입되는 하단축과, 상기 나선유로와 연통되도록 결합부에 형성된 제2공급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포스트는 하우징부내로 삽입되는 스템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중단결합홀내에 설치되고, 하우징부의 제3유입구와 연결되는 제2유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분사추진체는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 또는 불연성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내부에 스템의 혼합공간과 연통되는 분사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유로의 끝단에 분사노즐이 결합되되,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구가 분사유로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버튼내에 분사유로가 형성되어 분사노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KR1020110089124A 2011-09-02 2011-09-02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KR101130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124A KR101130771B1 (ko) 2011-09-02 2011-09-02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PCT/KR2012/007021 WO2013032296A2 (ko) 2011-09-02 2012-08-31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124A KR101130771B1 (ko) 2011-09-02 2011-09-02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771B1 true KR101130771B1 (ko) 2012-03-28

Family

ID=4614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124A KR101130771B1 (ko) 2011-09-02 2011-09-02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7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613B1 (ko) * 2012-04-02 2014-02-13 (주)피앤폴 사이클론 에어로졸 분사장치
KR101898472B1 (ko) 2017-03-29 2018-09-13 박정민 분사장치
KR20190076169A (ko)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조이에어 에어로졸 스프레이용 중력밸브
CN114471992A (zh) * 2020-11-05 2022-05-13 中山高林美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气雾阀袋
WO2023124926A1 (zh) * 2021-12-27 2023-07-06 广州阜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抛射型气雾剂给用辅助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814Y1 (ko) * 1988-04-21 1991-10-05 조선무약 합자회사 분무 용기 캡
US5170782A (en) 1991-09-12 1992-12-15 Devilbiss Health Care, Inc. Medicament nebulizer with improved aerosol chamber
JP2004073949A (ja) 2002-08-13 2004-03-11 Mitani Valve Co Ltd エアゾール容器のゴミ除去機能付バルブ
JP4290941B2 (ja) 2002-08-12 2009-07-08 株式会社三谷バルブ 内容物の混合放出機構ならびにこの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814Y1 (ko) * 1988-04-21 1991-10-05 조선무약 합자회사 분무 용기 캡
US5170782A (en) 1991-09-12 1992-12-15 Devilbiss Health Care, Inc. Medicament nebulizer with improved aerosol chamber
JP4290941B2 (ja) 2002-08-12 2009-07-08 株式会社三谷バルブ 内容物の混合放出機構ならびにこの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2004073949A (ja) 2002-08-13 2004-03-11 Mitani Valve Co Ltd エアゾール容器のゴミ除去機能付バルブ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613B1 (ko) * 2012-04-02 2014-02-13 (주)피앤폴 사이클론 에어로졸 분사장치
KR101898472B1 (ko) 2017-03-29 2018-09-13 박정민 분사장치
KR20190076169A (ko)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조이에어 에어로졸 스프레이용 중력밸브
CN114471992A (zh) * 2020-11-05 2022-05-13 中山高林美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气雾阀袋
CN114471992B (zh) * 2020-11-05 2023-10-10 中山高林美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气雾阀袋
WO2023124926A1 (zh) * 2021-12-27 2023-07-06 广州阜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抛射型气雾剂给用辅助设备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771B1 (ko)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KR101146126B1 (ko)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US2746796A (en) Metering valve aerosol bottle
US2667991A (en) Dispensing valve for pressurized dispensing containers
RU2013109379A (ru) Емкости и способы смешивания и дозированной выдачи концентратов напитков
JP2013510715A (ja) スプレー吐出アセンブリ
EP0826608B1 (en) Spray mechanism for an aerosol product
RU2427401C1 (ru) Химический воздушно-пенный огнетушитель
CN204176069U (zh) 一种悬挂式七氟丙烷灭火器容器阀
US20110024525A1 (en) Perfume bottle spray head assembly
RU2514228C1 (ru) Химический воздушно-пенный огнетушитель
JP2008207873A (ja) 定量バルブ機構および、この定量バルブ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US2785838A (en) Aerosol dispenser
KR101377401B1 (ko)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CN200980909Y (zh) 二元包装简易式灭火器
CN205850042U (zh) 一种手提式高压细水雾灭火器
CN101474461B (zh) 一种车用自动灭火装置
JP2010202222A (ja) スプレー缶の再充填装置
JP4407268B2 (ja) 間欠噴射用釦
KR20070040704A (ko) 디스펜서
KR200405656Y1 (ko) 디스펜서
KR102061949B1 (ko) 에어로졸 스프레이용 중력밸브
CN220810525U (zh) 一种气雾剂阀门及气雾剂喷雾装置
TWM586101U (zh) 具有飲料瓶自密封和co漏氣保護裝置的氣泡水產生機
JP2010036922A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