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925B1 -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 - Google Patents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925B1
KR101129925B1 KR1020090116207A KR20090116207A KR101129925B1 KR 101129925 B1 KR101129925 B1 KR 101129925B1 KR 1020090116207 A KR1020090116207 A KR 1020090116207A KR 20090116207 A KR20090116207 A KR 20090116207A KR 101129925 B1 KR101129925 B1 KR 101129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jig
main body
strip coil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461A (ko
Inventor
김길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92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85Joining ends of material to continuous strip, bar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92Welding in the rolling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 코일을 클램핑하는 패드 설비의 상부 패드 커버지를 용이하게 교체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하부 패드로 구성된 패드 설비의 중간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양측부와 바닥부로 구성되는 지그 본체와, 상부 패드의 고정 클램프의 회전 동작시 간섭되지 않도록 지그 본체의 양측부에 요홈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패드 설비의 상부 패드에 커버지를 용이하게 교체 및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JIG STRUCTURE OF PAD FOR STRIP COIL}
본 발명은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립 코일을 클램핑하는 패드 설비의 상부 패드 커버지를 용이하게 교체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레스 강판은 스테인레스 강판용 압연 소재를 가열로를 통해 가열한 후에 압연하여 스테인레스 강판을 제조하는 재 처리공정을 거친다.
가열로에는 압연소재(코일)를 가열하는 기구외에 가열로를 통과하는 강판 코일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해 회전 가능한 강판 이송용 롤과 압연 롤이 설치된다.
또한, 가열로의 압연 공정을 따라 이송되는 선행 코일의 압연이 완료되기 전에, 나중에 후행 이송되는 코일의 선단부를 선행되는 코일의 후단부와 용접으로 이음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용접기 등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립 코일의 용접 이음 작업시 클램핑하는 패드에 부직포 소재의 커버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트립 코일을 클램핑하는 패드 설비의 동작시 하강되는 상부 패드가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도록 양측부와 바닥부로 구성된 지그 본체와,
상기 지그 본체의 양측부에 상기 상부 패드의 고정 클램프가 회전 동작되도록 요홈 형태로 형성된 수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 본체는 양측부와 바닥부에 하나이상의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지그 본체는 바닥부의 폭보다 양측부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
상기 패드 설비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 본체의 양측부 외측면과 간섭되어 상기 지그 본체의 유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스트립 코일을 클램핑하는 패드 설비의 상부 패드 커버지를 용이하게 교체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패드 설비의 상부 패드에 커버지를 용이하게 교체 및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선행 스트립 코일(이하, 선행 코일이라 지칭함)과 후행 스트립 코일(이하, 후행 코일이라 지칭함)간의 용접작업은 선행 코일이 이송되지 않도록 클램핑 기구인 패드 설비로 클램핑하여 정지되도록 고정시킨 후에, 후행 코일의 선단부를 선행 코일의 후단부 상부에 겹치도록 한 후에 용접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간의 용접 이음작업시에도 재 처리 공정 조업이 중단되지 않도록 상부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는 루프 피트(loop pit) 내에 여유분의 스트립 코일을 비축하고 있다.
패드 설비는 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한 상부 패드와 바닥에 고정된 하부 패드로 구성된다.
상기한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의 용접 이음 작업시 선행 코일의 후단부가 루프 피트 내로 끌려가지 않도록 패드 설비의 상부 패드가 하강 동작되어 선행 코일의 후단부를 눌러서 고정시킨다.
또한, 상부 패드는 스트립 코일과 접촉시 제품 표면에 손상이 되지 않도록 부직포 소재의 커버지가 씌워져 있다.
커버지를 상부 패드에 조립하기 위해서 상부 패드에는 커버지를 양측에서 조여서 고정시키는 고정 클램프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지를 교체하기 위해서 커버지를 구부린 후에 양측에서 파지한 후에 눌러준 상태로 고정 클램프로 고정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므로, 최소 3인 이상의 작업인원이 필요하며 조립 작업성이 저하되므로, 상부 패드와 커버지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그가 요구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상,하부 패드(110,120)로 구성된 패드 설비(100)의 중간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양측부(210)와 바닥부(220)로 구성되는 지그 본체(200)와, 상부 패드(110)의 고정 클램프(115)의 회전 동작시 간섭되지 않도록 지그 본체(200)의 양측부(210)에 요홈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부(250)를 포함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패드 설비(100)는 하측에 고정된 하부 패드(120)와, 하부 패드(120)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실린더(150)의 승강동작에 따라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상부 패드(110)로 구성된다.
상부 패드(110)는 커버지(300)를 양측에서 조여서 고정시키는 고정 클램프(115)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지그 본체(200)는 상부 패드(110)가 하강 동작되어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공간부를 갖는다.
또한, 지그 본체(200)는 양측부(210) 또는 바닥부(220)에 다수개의 통공(202)이 형성되며, 이는 지그 자체의 하중을 경감시켜 운반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지그 본체(200)는 바닥부(220)의 폭보다 양측부(210)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지그 본체(200)의 공간부 상부가 하부보다 넓은 폭(ℓ1〉ℓ2)을 갖도록 함으로써, 양측부(210)와 바닥부(220)의 내측면에 부직포 소재의 커버지(300)가 공간부 내에 용이하게 진입되어 안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 패드(110)의 하강 동작시 공간부 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본체(200)의 좌,우 양 외측면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패드 설비(100)에 스토퍼(12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125)는 지그 본체(200)의 양측부(210) 외측면과 간섭되어 상기 지그 본체(200)의 유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
스토퍼(125)는 도면에서 고정된 구조로 표현되어 있으나, 힌지 타입으로 구성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는, 상부 패드(110)의 하부 외측면을 마감하는 커버지(300)의 교체작업시, 상부 패드(11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고정 클램프(115)를 회전 동작시켜 고정 클램프(115)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한다.
커버지(300)를 상부 패드(11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새로운 커버지(300)를 2겹으로 지그 본체(200)의 바닥부(220)와 양측부(210)의 내측면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상부 패드(110)를 하강 동작시켜 커버지(300)가 상부 패드(110)의 하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구부러지고, 이후에 고정 클램프(115)를 회전 동작시켜 단부가 커버지(300)의 외측면을 파지하도록 한 후에 고정 클램프(115)의 볼트(115a)를 체결시켜 고정시키면 커버지(300)와 상부 패드(1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에, 커버지(300)가 조립된 상부 패드(110)를 실린더(150)를 이용하여 상승 동작시키면, 상부 패드(110)가 지그 본체(200)의 공간부로부터 분리되면서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한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용접기(10)를 이용한 선행 코일(22)과 후행 코일(24)의 용접 이음 작업시 선행 코일(22)의 후단부가 루프 피트(30) 내로 끌려가지 않도록 패드 설비(100)의 상부 패드(110)가 하강 동작되어 선행 코일(22)의 후단부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패드 설비(100)에 스토퍼(125)가 배치된 경우에는 지그 본체(200)의 각 테두리 외측면에 각각의 스토퍼(125)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호 간섭에 의해 지그 본체(200)의 좌,우 방향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한 지그 본체(200)는 패드 설비(100)가 조업중이 아닐 경우에 패드 설비(100)가 배치된 곳에서 하부 패드(120)의 상측에 안착시키고, 부직포 소재의 커버지(300)를 이중으로 겹쳐서 안착시킨 후에,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커버지(300)를 교체할 수 있다.
혹은, 패드 설비 등과 동일한 조건을 갖는 모사장치를 구비하여 모사장치에서 본 발명의 지그를 이용하여 커버지를 조립할 수도 있다.
도 1은 스트립 코일용 패드 설비가 채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코일용 패드 설비의 조립용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상부 패드가 지그 본체 내에 수용되기 전,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 패드가 지그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지그 본체의 상,하부 폭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스토퍼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선행 코일 24 : 후행 코일
100 : 패드 설비 110 : 상부 패드
115 : 고정 클램프 120 : 하부 패드
125 : 스토퍼 200 : 지그 본체
202 : 통공 210 : 양측부
220 : 바닥부 250 : 수용부
300 : 커버지

Claims (4)

  1. 스트립 코일을 클램핑하는 패드 설비의 동작시 하강되는 상부 패드가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도록 양측부와 바닥부로 구성된 지그 본체와,
    상기 지그 본체의 양측부에 상기 상부 패드의 고정 클램프가 회전 동작되도록 요홈 형태로 형성된 수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그 본체는 양측부와 바닥부에 하나이상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그 본체는 바닥부의 폭보다 양측부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설비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 본체의 양측부 외측면과 간섭되어 상기 지그 본체의 유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
KR1020090116207A 2009-11-27 2009-11-27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 KR101129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207A KR101129925B1 (ko) 2009-11-27 2009-11-27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207A KR101129925B1 (ko) 2009-11-27 2009-11-27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461A KR20110059461A (ko) 2011-06-02
KR101129925B1 true KR101129925B1 (ko) 2012-03-23

Family

ID=4439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207A KR101129925B1 (ko) 2009-11-27 2009-11-27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1833A (zh) * 2013-07-09 2013-10-09 西北工业大学 一种飞机壁板装配小围框夹持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534Y1 (ko) 1995-12-14 2000-01-15 이구택 냉연강판 용접시 선후행스트립 교정장치
KR200168893Y1 (ko) 1999-08-23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강판 연결부의 센터링 장치
KR100494091B1 (ko) 2000-12-01 2005-06-13 주식회사 포스코 다중 클램핑 기능을 갖는 스트립 용접장치
KR20080092450A (ko) * 2006-04-27 2008-10-15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스트립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534Y1 (ko) 1995-12-14 2000-01-15 이구택 냉연강판 용접시 선후행스트립 교정장치
KR200168893Y1 (ko) 1999-08-23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강판 연결부의 센터링 장치
KR100494091B1 (ko) 2000-12-01 2005-06-13 주식회사 포스코 다중 클램핑 기능을 갖는 스트립 용접장치
KR20080092450A (ko) * 2006-04-27 2008-10-15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스트립 연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1833A (zh) * 2013-07-09 2013-10-09 西北工业大学 一种飞机壁板装配小围框夹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461A (ko)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2515B2 (en) Welding fixture clamp
JP5166077B2 (ja) ナックルブラケット
RU2420381C2 (ru) Способ и сварочный стапель для сварки листов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1129925B1 (ko) 스트립 코일용 패드의 조립용 지그 구조체
CN104416261A (zh) 焊接部件及其制造方法
KR20000026826A (ko) 로봇 핸드
US9321123B2 (en) Spot welding electrode removal apparatus
KR101484317B1 (ko) 치구 상부용 로터리 커플러의 가이드 장치
JP2519152B2 (ja) ポジショナにおける位置決め装置
CN207171867U (zh) 一种用于带凸缘车轮的抓夹机构
JP2015110465A (ja) 吊りクランプ用幅調整治具
JP2000225469A (ja) 極厚鋼板製平板の溶接方法
CN107234005A (zh) 一种电除尘器移动极板装置
CN211970973U (zh) 一种机器人的送料机械手
CN218230620U (zh) 碗式送料机节能式导轨结构
CN210715748U (zh) 一种方钢排屑链条
CN109231008A (zh) 一种薄板翻身装置及方法
KR102177086B1 (ko) 박판 용접 지그
KR20130074519A (ko) 코일 리프트 장치의 패드 조립체
CN214031442U (zh) 一种起重机更换钢丝绳防粘物装置
KR102070027B1 (ko) 스윙 타입 클램핑 장치
CN211680635U (zh) 一种锻造合金钢和铸造碳钢焊接齿圈用保温装置
CN109693910A (zh) 皮带翻身工艺
JPH04147794A (ja) 平板用シーム溶接装置
KR200478861Y1 (ko) 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