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086B1 - 박판 용접 지그 - Google Patents

박판 용접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086B1
KR102177086B1 KR1020190086511A KR20190086511A KR102177086B1 KR 102177086 B1 KR102177086 B1 KR 102177086B1 KR 1020190086511 A KR1020190086511 A KR 1020190086511A KR 20190086511 A KR20190086511 A KR 20190086511A KR 102177086 B1 KR102177086 B1 KR 102177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thin plates
groove
block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장세훈
이원석
조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86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64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workpie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판 용접 지그에 관한 것으로, 서로 용접되는 복수의 박판을 지지하는 받침 블럭; 받침 블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 및 자석에 흡착되어 복수의 박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 블럭을 포함하며, 복수의 박판은 서로 하나 이상의 폐곡선을 갖는 용접 패턴에 따라 용접되고 하나 이상의 폐곡선은 내측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받침 블럭은 용접 패턴의 폐곡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자석은 삽입홈의 내측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가압 블럭은 관통구를 통해 삽입홈에 삽입되어 자석에 흡착됨에 의해 용접패턴에 따라 복수의 박판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판 용접 지그{Thin plate welding jig}
본 발명은 박판 용접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받침 블럭에 자석을 배치하여 가압 블럭을 이용하여 복수의 박판을 가압 시 자석에 의한 흡착력에 의해 복수의 박판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가압 블럭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가압 블럭의 주변을 따라 설정되는 용접 패턴을 따라 복수의 박판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어 갭(gap)이 없는 제로 갭(zero gap)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박판 용접 지그에 관한 것이다.
용접의 종류는 크게 아크 용접(arc welding), 가스 용접(gas welding) 및 특수 용접이 있다. 아크 용접은 전기 아크(arc)를 이용해 모재의 일부와 용접봉을 녹여서 용접하는 방법이고, 가스 용접은 가스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해 용접하는 것이며, 특수 용접은 레이저와 같은 소스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이 있다. 레이저 용접은 레이저 빔을 이용해 소재를 표면에 접합시키거나 깊숙한 곳에 용접심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레이저 빔은 용접 과정에서 기존의 용접 방식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접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해 박판을 용접하는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24616호(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24616호는 박판용접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본 받침대에 홈을 만들고 용접대상 박판에 대한 주고정대의 고정위치를 자유로이 조정가능하게 하고, 용접대상 박판의 표면을 전체적으로 일정한 힘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스프링과 볼조인트로 지지된 고정판으로 박판을 지지하도록 하여 박판의 두께 공차에 따른 미압착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박판의 경우에 과열되기 쉽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판을 충분한 열용량을 가지고 용접열을 흡수할 수 있는 구리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용접 박판의 응력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24616호와 같이 종래의 박판용접용 고정장치 즉, 박판 용접 지그는 스프링과 볼조인트로 지지된 고정판을 이용해 용접대상 박판의 표면을 전체적으로 일정한 힘으로 고정하고 있으나 고정판을 볼트를 이용해 주고정대의 설치함으로써 주고정대의 탈착이 용이하지 않아 용접 작업의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246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 블럭에 자석을 배치하여 가압 블럭을 이용하여 복수의 박판을 가압 시 자석에 의한 흡착력에 의해 복수의 박판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가압 블럭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가압 블럭의 주변을 따라 설정되는 용접 패턴을 따라 복수의 박판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어 갭(gap)이 없는 제로 갭(zero gap)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박판 용접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 패턴을 따라 복수의 박판 사이가 제로 갭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로 갭 유지 불가로 인한 홀 뚫림이나 용접 불량 등의 발생을 제거함으로써 용접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용접 패턴을 따라 연속적으로 용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접 작업의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박판 용접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박판 용접 지그는 서로 용접되는 복수의 박판을 지지하는 받침 블럭; 상기 받침 블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 및 상기 자석에 흡착되어 상기 복수의 박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박판은 서로 하나 이상의 폐곡선을 갖는 용접 패턴에 따라 용접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폐곡선은 내측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 블럭은 상기 용접 패턴의 폐곡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은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압 블럭은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자석에 흡착됨에 의해 용접패턴에 따라 복수의 박판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박판 용접 지그는 받침 블럭에 자석을 배치하여 가압 블럭을 이용하여 복수의 박판을 가압 시 자석에 의한 흡착력에 의해 복수의 박판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가압 블럭의 탈부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가압 블럭의 주변을 따라 설정되는 용접 패턴을 따라 복수의 박판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어 갭(gap)이 없는 제로 갭(zero gap)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용접 패턴을 따라 복수의 박판 사이가 제로 갭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로 갭 유지 불가로 인한 홀 뚫림이나 용접 불량 등의 발생을 제거함으로써 용접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용접 패턴을 따라 연속적으로 용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접 작업의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판 용접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판 용접 지그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받침 블럭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부에 위치된 박판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부에 위치된 박판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박판이 겹쳐진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가압 블럭의 배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A-A선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받침 블럭과 가압 블럭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박판 용접 지그는 받침 블럭(110), 하나 이상의 자석(120) 및 하나 이상의 가압 블럭(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 블럭(110)은 서로 용접되는 복수의 박판(10,20)을 지지하며, 하나 이상의 자석(120)은 각각 받침 블럭(110)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가압 블럭(130)은 자석(120)에 흡착되어 복수의 박판(10,20)을 지지한다. 즉, 복수의 박판(10,20)은 서로 하나 이상의 폐곡선(12,22)을 갖는 용접 패턴(11,21)에 따라 용접되고 하나 이상의 폐곡선(12,22)은 내측에 관통구(13,23)가 형성되고, 받침 블럭(110)은 용접 패턴(11,21)의 폐곡선(12,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자석(120)은 삽입홈(111)의 내측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가압 블럭(130)은 관통구(13,23)를 통해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자석(120)에 흡착됨에 의해 용접 패턴(11,21)에 따라 복수의 박판(10,20)을 압착한다.
본 발명의 박판 용접 지그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박판(10,20)은 도 1,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서로 하나 이상의 폐곡선(12,22)을 갖는 용접 패턴(11,21)에 따라 용접되고 하나 이상의 폐곡선(12,22)의 내측에 관통구(13,23)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폐곡선(12,22)은 단일 폐곡선으로 형성되고, 관통구(13,23)의 개구 형상은 폐곡선(12,2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통구(13,23)의 개구 면적은 폐곡선(12,22)의 표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폐곡선(12,22)의 표면적은 각각 관통구(13,23)의 표면적과 용접 패턴(11,21)을 포함함으로 관통구(13,23)의 개구 면적은 폐곡선(12,22)의 표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용접 패턴(11,21)은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폐곡선(12,22) 이외에 라인 패턴(12a,22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박판(10,20)에 설정되는 용접 패턴(11,21)은 가압 블럭(130)의 주변을 따라 설정된다. 즉, 복수의 박판(10,20)에 설정되는 용접 패턴(11,21)은 가압 블럭(130)의 상부 외주면을 기준으로 그 폭이 1.5 내지 2.0㎜가 되도록 복수의 박판(10,20)에 설정된다. 예를 들어, 용접 패턴(11,21)은 복수의 박판(10,20)을 용접하기 위한 라인으로 복수의 박판(10,20)의 사용 목적에 따라 용접 패턴(11,21)이 형성되며, 용접 패턴(11,21)이 형성되면 용접 패턴(11,21)에 따라 가압 블럭(130)이 가압하여 복수의 박판(10,20) 중 용접 패턴(11,21)이 설정된 위치에서 서로 밀착되게 가압 블럭(130)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용접 패턴(11,21)은 가압 블럭(130)의 상부 외주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 즉, 0.5 내지 1㎜로 이격된 상태에서 용접 패턴(11,21)이 설정된다.
받침 블럭(1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복수의 박판(10,20)이 지지된 상태에서 용접 패턴(11,21)의 폐곡선(12,22)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구(13,23)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111)이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삽입홈(111)의 내측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자석(120)이 배치된다. 이러한 받침 블럭(110)은 복수의 박판(10,20)을 전반적으로 지지하며 하나 이상의 삽입홈(111)이 형성된다. 받침 블럭(110)의 하나 이상의 삽입홈(111)은 각각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제1홈부(111a), 림부(111b) 및 제2홈부(11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홈부(111a)는 용접 패턴(11,21)의 폐곡선(12,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자석(120)에 의해 흡착되어 고정되는 가압 블럭(130)이 삽입되며, 림부(111b)는 제1홈부(111a)의 일측의 끝단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용접 패턴(11,21)이 설정된 영역의 복수의 박판(10,20)을 지지한다. 즉, 림부(111b)는 자석에 흡착되는 가압 블럭(130)과 함께 복수의 박판(10,20) 중 용접 패턴(11,21)이 설정된 영역을 지지함으로써 레이저 등의 용접 시 복수의 박판(10,20) 사이에 갭이 발생되는 것을 제거하여 제로 갭(zero gap)을 유지시킨다. 제2홈부(111c)는 림부(111b)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복수의 박판(10,20)을 받침 블럭(110)에 정렬시키기거나 가압 블럭(130)이 삽입홈(11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여 자석(130)을 이용해 서로 고정되는 받침 블럭(110)에서 가압 블럭(130)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제1홈부(111a), 림부(111b) 및 제2홈부(111c)의 개구 형상은 폐곡선(12,2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홈부(111a)의 개구 면적은 제2홈부(111c)의 개구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제2홈부(111c)의 개구 면적은 폐곡선(12,22)의 내측 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가압 블럭(130)이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복수의 박판(10,20)을 지지시 용접 패턴(11,21)의 주의를 견고하게 밀착시켜 복수의 박판(10,20)을 고정시킴에 의해 복수의 박판(10,20)이 서로 밀착되어 박판(10,20) 사이가 뜨는 현상 즉, 갭(gap)이 없는 제로 갭(zero gap)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1홈부(111a)의 개구 면적과 제2홈부(111c)의 개구 면적은 각각의 개방된 입구의 표면적을 의미하며, 각각의 개구 면적의 비교는 도 3,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홈부(111c)의 개구 면적이 제1홈부(111a)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폐곡선(12,22)의 내측 면적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용접 패턴(11,21)에서 단일 폐곡선으로 형성되는 폐곡선(12,22)의 내측의 전체 면적을 나타내며, 폐곡선(12,22)의 내측 면적은 제2홈부(111c)의 개구 면적보다 작다. 즉, 제2홈부(111c)의 개구 면적은 폐곡선(12,22)의 내측 면적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폐곡선(12,22)을 포함하는 용접 패턴(11,2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레이저 등을 이용한 용접 시 받침 블럭(110)이나 가압 블럭(130)의 간섭 없이 복수의 박판(10,20)을 균일하게 밀착시킨 후 연속적으로 용접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자석(120)은 각각 도 3,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원기둥형으로 형성되며, 두께(T1)는 삽입홈(111)의 깊이(T2)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나 이상의 자석(120)의 각각의 두께(T1)는 삽입홈(111)의 깊이(T2) 즉, 제1홈부(111a)의 깊이(T3)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가압 블럭(130)의 제1삽입 블럭(131)이 자석(120)과 흡착된 상태에서 제1홈부(111a)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가압 블럭(130)은 각각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박판(10,20)의 관통구(13,23)를 통해 받침 블럭(110)의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자석(120)에 의해 고정됨에 의해 복수의 박판(10,20)을 용접 패턴(11,21)을 따라 견고하게 밀착되게 하여 제로 갭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가압 블럭(130)은 각각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제1삽입 블럭(131)과 제2삽입 블럭(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삽입 블럭(131)은 관통구(13,23)를 통해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자석(120)에 의해 흡착되며, 관통구(13,23)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제1삽입 블럭(131)의 표면은 관통구(13,23)의 개구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1삽입 블럭(131)의 하부의 표면의 형상은 복수의 박판(10,20)에 형성된 관통구(13,23)의 개구 형상과 받침 블럭(110)에 형성된 삽입홈(111)의 제1홈부(111a)의 개구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홈부(111a)에 삽입 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1삽입 블럭(131)의 외주면이 제1홈부(111a)의 내측벽과 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자석(120)에 흡착된 상태에서 받침 블럭(110)에 삽입되어 복수의 박판(10,20)을 지지하게 된다.
제2삽입 블럭(132)은 제1삽입 블럭(131)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1삽입 블럭(131)이 자석(120)에 의해 흡착되면 복수의 박판(10,20)을 지지하며, 제2삽입 블럭(132)의 표면적은 관통구(13,23)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삽입 블럭(131)이 자석(120)에 의해 흡착되면 용접 패턴(11,21)에 따라 복수의 박판(10,20)을 지지한다. 즉, 제2삽입 블럭(132)의 표면적은 제1삽입 블럭(131)과 접하는 하부면의 전체 면적을 의미하며, 제2삽입 블럭(132)의 표면적이 복수의 박판(10,20)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13,23)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2삽입 블럭(132)에 의해 용접 패턴(11,21)의 주의를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용접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홀 뚫림이나 용접 불량 등의 발생을 제거함으로써 용접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삽입 블럭(132)의 표면적과 관통구(13,23)의 개구 면적의 크기 비교는 복수의 박판(10,20)에서 제2삽입 블럭(13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구(13,23)와 비교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박판 용접 지그를 이용해 용접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박판 용접 지그를 이용해 용접되는 복수의 박판(10,20)은 연료 전지의 전극이나 분리막(도시 않음)인 적용되는 경우에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되는 둘 이상의 폐곡선(12,22)을 갖는 용접 패턴(11,21)에 따라 용접되고 둘 이상의 폐곡선(12,22)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단일 폐곡선(12,22)으로 형성되며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내측에 각각 관통구(13,23)가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박판(10,20)의 재질은 금속이며, 두께는 0.1 내지 5㎜인 것이 사용된다. 받침 블럭(110)은 도 3에서와 같이 용접 패턴(11,21)의 폐곡선(12,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둘 이상의 삽입홈(111)이 형성되며 둘 이상의 삽입홈(111)은 둘 이상의 폐곡선(12,22)과 대응되게 개구 형상과 개구 면적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며 자석(120)은 둘 이상의 삽입홈(111)의 내측에 각각 둘 이상이 배치된다.
가압 블럭(130)은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둘 이상의 삽입홈(111)과 대응되게 둘 이상이 구비되며, 둘 이상의 가압 블럭(130)은 둘 이상의 폐곡선(12,22)과 대응되게 표면 형상과 표면적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며 각각은 관통구(13,23)를 통해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자석(120)에 흡착됨에 의해 용접 패턴(11,21)에 따라 복수의 박판(10,20)을 압착한다. 복수의 박판(10,20)은 금속 재질로 이러한 복수의 박판(10,20)의 용접 시 지지하는 받침 블럭(110)과 가압 블럭(13)은 자석(120)에 의해 흡착되기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자석(120)은 받침 블럭(110)에 고정되게 흡착된다.
둘 이상의 폐곡선(12,22)을 갖는 용접 패턴(11,21)에 따를 서로 용접되는 복수의 박판(10,20)은 용접 작업을 위해 먼저 받침 블럭(110)에 정렬된다. 복수의 박판(10,20)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용접 패턴(11,21)이 6개의 폐곡선(12,22)과 2개의 라인 패턴(12a,22a)을 갖도록 설정되며, 6개의 폐곡선(12,22)의 내측에는 각각 관통구(13,23)가 형성되어 각각 관통구(13,23)를 통해 가압 블럭(130)을 받침 블럭(110)에 형성된 삽입홈(111)에 삽입시킨 후 자석(120)을 이용해 고정키며, 라인 패턴(12a,22a)은 복수의 박판(10,20)의 외측에서 가압 블럭(130)을 이용해 복수의 박판(10,20)을 밀착시킴에 의해 고정시킨다.
복수의 박판(10,20)에 설정된 용접 패턴(11,21)의 6개의 폐곡선(12,22)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2개의 라인 패턴(12a,22a) 또한,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6개의 폐곡선(12,22)이나 2개의 라인 패턴(12a,22a)에 따라 각각에 대응되는 관통구(13,23)가 형성되고, 관통구(13,23)의 형상에 따라 받침 블럭(110)의 삽입홈(111)이나 가압 블럭(130)의 외형이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받침 블럭(110)에 형성된 8개의 삽입홈(111)이나 8개의 가압 블럭(130)의 외형은 각각 복수의 박판(10,20)에 설정된 용접 패턴(11,21)의 6개의 폐곡선(12,22)이나 2개의 라인 패턴(12a,22a)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받침 블럭(110)에 복수의 박판(10,20)이 정렬 즉, 받침 블럭(110)에 형성된 8개의 삽입홈(111)에 복수의 박판(10,20)에 설정된 용접 패턴(11,21)에 대응되게 형성된 관통구(13,23)가 일치되도록 정렬되면 각각 삽입홈(1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8개의 가압 블럭(130)을 삽입홈(111)에 삽입시키면 삽입홈(111)에 배치된 자석(120)이 가압 블럭(130)을 흡착시켜 고정시킴에 의해 복수의 박판(10,20)을 용접 패턴(11,21)에 따라 서로 밀착되어 제로 갭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자석(120)은 삽입홈(111)에 하나나 둘 또는 5개 이상을 이격시켜 배치시키고, 각각의 자석(120)은 원기둥 형이 사용되고, 각각의 두께(T1)는 동일한 것이 사용되나 지름의 크기는 삽입홈(111)의 크기에 따라 다른 것이 사용되며, 받침 블럭(110)과 가압 블럭(130)의 재질은 각각 금속이 사용된다. 특히 자석(120)에 흡착되는 가압 블럭(130)은 자중과 자석(120)의 흡착력에 의해 복수의 박판(10,20)을 지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이 사용된다.
8개의 가압 블럭(130)이 받침 블럭(110)에 형성된 8개의 삽입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 삽입홈(111)에 배치된 자석(120)에 의해 흡착되어 고정되면 가압 블럭(130)이 자석(120)에 의해 흡착되어 고정되면 자석(120)의 흡착력과 가압 블럭(130)의 자중에 의해 가압 블럭(130)의 제2삽입 블럭(132)이 받침 블럭(110)에 정렬된 복수의 박판(10,20)을 가압하여 서로의 사이에 갭이 없는 제로 갭이 유지되도록 밀착시킨다. 받침 블럭(110)과 8개의 가압 블럭(130)에 의해 각각 복수의 박판(10,20)이 용접 패턴(11,21)에 따라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거나 압착되면 레이저 등을 이용해 용접을 진행한다.
용접은 레이저 용접을 이용함으로써 가압 블럭(130)의 외주면을 기준으로 설정된 용접 패턴(11,21)에 따라 복수의 박판(10,20)을 용접시 가압 블럭(130)의 손상 없이 연속적으로 용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용접 작업의 신뢰성이나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박판 용접 지그는 연료전지 분야는 물론 다양한 종류의 핸드폰, 커패시터 제조 삽업 분야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0,20: 박판 11,21: 용접 패턴
12,22: 폐곡선 13,23: 관통구
110: 받침 블럭 111: 삽입홈
120: 자석 130: 가압 블럭

Claims (7)

  1. 서로 용접되는 복수의 박판을 지지하는 받침 블럭;
    상기 받침 블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 및
    상기 자석에 흡착되어 상기 복수의 박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박판은 서로 하나 이상의 폐곡선을 갖는 용접 패턴에 따라 용접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폐곡선은 내측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 블럭은 상기 용접 패턴의 폐곡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은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압 블럭은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자석에 흡착됨에 의해 용접패턴에 따라 복수의 박판을 압착하는 박판 용접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박판은 서로 하나 이상의 폐곡선을 갖는 용접 패턴에 따라 용접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폐곡선의 내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폐곡선은 단일 폐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의 개구 형상은 폐곡선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통구의 개구 면적은 상기 폐곡선의 표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박판 용접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블럭은 복수의 박판이 지지된 상태에서 용접 패턴의 폐곡선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홈의 내측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자석이 배치되는 박판 용접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블럭의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홈은 상기 용접 패턴의 폐곡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홈부와, 상기 제1홈부의 일측의 끝단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림부와, 상기 림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홈부와 상기 림부와 상기 제2홈부의 개구 형상은 상기 폐곡선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홈부의 개구 면적은 상기 제2홈부의 개구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2홈부의 개구 면적은 상기 폐곡선의 내측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박판 용접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은 각각 원기둥형으로 형성되며, 두께는 상기 삽입홈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박판 용접 지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압 블럭은 각각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자석에 의해 흡착되는 제1삽입 블럭과,
    상기 제11삽입 블럭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1삽입 블럭이 자석에 의해 흡착되면 받침 블럭에 위치된 복수의 박판을 지지하는 제2삽입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삽입 블럭의 표면은 관통구의 개구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 블럭의 표면적은 상기 관통구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삽입 블럭이 자석에 의해 흡착되면 용접 패턴에 따라 복수의 박판을 지지하는 박판 용접 지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박판, 상기 복수의 박판, 상기 자석 및 상기 가압 블럭 중 상기 복수의 박판은 서로 인접되는 둘 이상의 폐곡선을 갖는 용접 패턴에 따라 용접되고 상기 둘 이상의 폐곡선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단일 폐곡선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각각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 블럭은 상기 용접 패턴의 폐곡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둘 이상의 삽입홈은 상기 둘 이상의 폐곡선과 대응되게 개구 형상과 개구 면적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자석은 상기 둘 이상의 삽입홈의 내측에 각각 둘 이상이 배치되며, 상기 가압 블럭은 상기 둘 이상의 삽입홈과 대응되게 둘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둘 이상의 가압 블럭은 상기 둘 이상의 폐곡선과 대응되게 표면 형상과 표면적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며 각각은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자석에 흡착됨에 의해 용접패턴에 따라 복수의 박판을 압착하는 박판 용접 지그.
KR1020190086511A 2019-07-17 2019-07-17 박판 용접 지그 KR10217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511A KR102177086B1 (ko) 2019-07-17 2019-07-17 박판 용접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511A KR102177086B1 (ko) 2019-07-17 2019-07-17 박판 용접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086B1 true KR102177086B1 (ko) 2020-11-10

Family

ID=7354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511A KR102177086B1 (ko) 2019-07-17 2019-07-17 박판 용접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0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616B1 (ko) 1999-12-21 2005-11-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박판용접용 고정장치
KR101351490B1 (ko) * 2012-03-26 2014-03-12 주식회사 엘티에스 박판 용접장치의 고정지그유닛
KR20190023261A (ko)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휴비스 용접용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616B1 (ko) 1999-12-21 2005-11-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박판용접용 고정장치
KR101351490B1 (ko) * 2012-03-26 2014-03-12 주식회사 엘티에스 박판 용접장치의 고정지그유닛
KR20190023261A (ko)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휴비스 용접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3053C (zh) 用于夹持部件的设备
US6684489B2 (en) Apparatus for assembling a stator core
KR102177086B1 (ko) 박판 용접 지그
JP2011088200A (ja) プレス方法及びプレス装置
KR101626595B1 (ko) 마스크 프레임 용접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 제조방법
US6278350B1 (en) Holding device for workpieces in the form of even metal sheets
JP2015150578A (ja) 溶接用冶具および溶接方法
JPH09234523A (ja) 積層金型装置
KR100669939B1 (ko) 레이저 용접용 강판 클램핑 장치 및 방법
CN210789717U (zh) 一种汽车座椅薄板激光焊夹具
CA2752968C (en) Adjustable clamshell assembly fixture
JP2003103376A (ja) 鋼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101733555B1 (ko) 압흔을 개선한 스팟용접장치
JPH0399788A (ja) ギヤ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720570A (zh) 夾具
KR101091427B1 (ko) 레이저 용접용 박판 고정 방법
JP2019166539A (ja) ボックス柱およびボックス柱の溶接方法
CN112846508B (zh) 一种膜盒的激光加工方法和焊接工装
KR101518364B1 (ko) 대형모터 고정자용 환기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JP3218003U (ja) 鍛造プレス装置
JP7052766B2 (ja) 組立スラブの組立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クラッド鋼板の製造方法並びに組立スラブ
CN217981278U (zh) 一种吸附平台
CN215728957U (zh) 一种工装治具
CN211651425U (zh) 一种汽车消声器后端盖总成检测装置
JP2003220482A (ja) レーザ溶接方法及びレーザ溶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