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555B1 - 압흔을 개선한 스팟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압흔을 개선한 스팟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555B1
KR101733555B1 KR1020160103654A KR20160103654A KR101733555B1 KR 101733555 B1 KR101733555 B1 KR 101733555B1 KR 1020160103654 A KR1020160103654 A KR 1020160103654A KR 20160103654 A KR20160103654 A KR 20160103654A KR 101733555 B1 KR101733555 B1 KR 101733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ip
cover
casing
internal electrode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철
김기홍
김삼방
김두석
허차진
Original Assignee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09Pressur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23K2201/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팟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이 안착되는 케이싱안착판과; 상기 커버를 흡착지지하며, 상기 케이싱안착판에 대해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의 용접위치에 상기 커버를 위치시키는 커버고정헤드와; 상기 케이싱의 외벽면에 위치되는 외부전극팁과; 상기 커버고정헤드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의 내벽면을 접촉가압하는 내부전극팁과; 상기 외부전극팁과 상기 내부전극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전극팁과 상기 내부전극팁을 서로 통전시키는 전류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전극팁은, 상기 커버고정헤드에 매립결합되는 내부전극팁본체와; 상기 내부전극팁본체의 판면에 대해 상기 커버를 향하여 일정 높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커버와의 접촉면적을 줄인 커버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흔을 개선한 스팟용접장치{SPOT WELDING APPARATUS TO IMPROVE DENTING}
본 발명은 스팟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스팟용접시에 외부로 드러나는 압흔을 개선한 스팟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팟용접은 2장의 모재를 겹쳐 놓고 점용접하려는 타점을 정하여 타점의 양측면을 각각 한 쌍의 전극으로 맞댄 후 전극 간에 국부적인 고전류를 흘려주며 양측 전극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모재의 겹쳐진 부위를 용융시켜 접합하는 용접방식이다.
이러한 스팟용접은 용접작업이 간단하고 녹이나 열에 의한 모재 변형도 적어 자동차 차체 라인 및 다양한 제품의 생산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스팟용접장치(10)를 이용해 차량의 레조네이터를 스팟용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레조네이터의 커버(A)와 케이싱(B)을 서로 맞댄 후, 케이싱(B)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전극팁(11)과 커버(A)의 내측에 배치된 내부전극팁(13)이 서로 전류를 인가하고 압력을 가하여 스팟용접이 수행된다.
그런데, 종래 스팟용접장치(10)의 경우 외부전극팁(11)의 단부(11a)가 단면이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접촉면적이 좁고, 내부전극팁(13)의 모재접촉단(13a)은 평평한 형태로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되므로 압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도 2에 도시된 사진처럼 케이싱(B)의 표면에 외부전극팁(11) 의해 가압된 0.4mm 내외의 압흔(a)이 형성된다.
이 때, 발생되는 압흔(a)의 깊이 정도에 따라 용접품질이 결정된다. 용접품질은 압흔(a)의 깊이가 판두께의 30% 이하인 경우 D급, 압흔(a)의 깊이가 0.3mm 이하일 경우 경우 C급, 압흔(a)의 깊이가 0.1mm 이하인 경우 B급, 육안으로 판별할 수 없는 경우 A급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스팟용접장치(10)는 외부전극팁(11)의 단부(11a)가 원호 형태로 형성되므로 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져 압력이 가해질 때 응력집중이 발생된다. 이에 의해 케이싱(A)의 외부에 형성된 압흔(a)의 깊이가 깊어 용접품질이 4등급으로 판정된다. 이렇게 4등급 용접품질로 판정받는 경우 케이싱(A)의 품질이 떨어져 레조네이터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 드러나는 케이싱의 표면에 형성되는 압흔을 개선할 수 있는 스팟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의 내벽면에 커버를 스팟용접하는 스팟용접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팟용접장치는, 상기 케이싱이 안착되는 케이싱안착판과; 상기 커버를 흡착지지하며, 상기 케이싱안착판에 대해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의 용접위치에 상기 커버를 위치시키는 커버고정헤드와; 상기 케이싱의 외벽면에 위치되는 외부전극팁과; 상기 커버고정헤드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의 내벽면을 접촉가압하는 내부전극팁과; 상기 외부전극팁과 상기 내부전극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전극팁과 상기 내부전극팁을 서로 통전시키는 전류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전극팁은, 상기 커버고정헤드에 매립결합되는 내부전극팁본체와; 상기 내부전극팁본체의 판면에 대해 상기 커버를 향하여 일정 높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커버와의 접촉면적을 줄인 커버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전극팁본체에는 체결부재삽입공과 돌기삽입공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상기 커버접촉돌기는 상기 돌기삽입공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축과, 상기 삽입축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전극팁본체의 판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되는 돌출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전극팁의 단부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과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며, 상기 돌출헤드의 단부는 단면형상이 평면, 반원,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는 케이싱에 커버를 스팟용접할 때, 외부전극팁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내부전극팁의 접촉면적을 줄여 케이싱의 외면에 형성되는 압흔을 현저히 개선하여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전극팁의 커버접촉돌기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여, 마모시에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스팟용접장치를 이용해 스팟용접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스팟용접장치에 의해 용접된 레조네이터의 외관에 형성된 압흔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에 의해 용접되는 레조네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를 이용해 레조네이터를 용접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의 외부전극팁과 내부전극팁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내부전극팁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를 이용해 레조네이터를 용접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를 이용해 용접한 레조네이터의 외관에 형성된 압흔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100)는 중공관 형상의 케이싱 내벽면에 커버 또는 결합물을 스팟용접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10)과 커버(220)로 구성되는 차량용 레조네이터(200)를 일례로 용접과정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차량용 레조네이터(200) 뿐만 아니라 중공형 케이싱의 내벽면에 커버 또는 대응되는 구조물을 스팟용접하는 제품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100)는 레조네이터(200)의 케이싱(210)이 안착되는 케이싱안착판(110)과, 케이싱안착판(110)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커버(220)가 결합되는 커버고정헤드(120)와, 커버고정헤드(12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130)와, 커버고정헤드(120)의 주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케이싱(210)의 외벽면으로 전류를 인가하는 외부전극부(140)와, 커버고정헤드(120)의 외주면에 매립되게 결합되어 커버(220)의 내벽면으로 전류를 인가하는 내부전극팁(150)과, 외부전극부(140)와 내부전극팁(150)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케이싱안착판(110)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면에 케이싱(210)이 안착된다. 케이싱안착판(110)은 케이싱(210)의 내벽면과 커버(220)의 스팟용접이 진행되는 동안 케이싱(210)이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를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케이싱(2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지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고정헤드(120)는 커버(220)를 고정하여 케이싱(210)의 용접위치로 이동시킨다. 커버고정헤드(120)는 커버(220)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조네이터(200)는 중공관 형태의 케이싱(210)의 상부와 하부에 외부플랜지(211)가 구비된다. 커버(220)의 외주연에는 내부플랜지(221)가 구비된다.
스팟용접장치(100)는 케이싱(210)의 외부플랜지(211) 내벽면에 커버(220)의 내부플랜지(221)를 스팟용접한다.
커버고정헤드(120)는 내부플랜지(221)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커버고정헤드(120)는 진공압에 의해 커버(220)를 하면에 흡착한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고정헤드(120)의 커버결합부(121)가 커버(220)의 내부플랜지(221) 내부로 삽입되고 커버(220)는 커버결합부(121)의 하면에 흡착지지된다.
커버고정헤드(120)는 승강구동부(130)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안착판(110)에 이격되는 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이동되어 케이싱(210)의 외부플랜지(211) 내부로 커버결합부(121)가 삽입되는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커버고정헤드(120)의 상부에는 헤드지지부(123)가 구비된다. 헤드지지부(123)는 커버고정헤드(12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헤드결합판(123a)과, 승강구동부(130)와 결합되는 구동부결합판(123b)과, 헤드결합판(123a)과 구동부결합판(123b)을 서로 연결하며 승강구동부(130)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승강실린더(123c)를 포함한다.
승강구동부(130)와 승강실린더(123c)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외부전극부(140)는 커버고정헤드(12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외부전극부(140)는 커버고정헤드(120)와 함께 상하로 승강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10)의 외부플랜지(211) 외벽면에 전류를 인가하고 압력을 인가한다.
이를 위해 외부전극부(140)는 전류제어부(160)와 가압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외부전극부(140)의 단부에는 외부전극팁(141)이 구비된다. 외부전극팁(141)은 외부플랜지(211)의 외벽면을 직접 접촉 가압하며, 전류를 인가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외부전극팁(141)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141a)가 평평하게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외부전극팁(11)의 단부(11a)가 반원형태로 형성된 것과 차이가 있다. 이렇게 외부전극팁(141)의 단부(141a)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외부전극팁(141)이 케이싱(210)의 외부플랜지(211)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넓어진다. 즉, 종래 반원형태의 외부전극팁(11)의 단부(11a)는 접촉면적이 좁기 때문에 응력집중이 발생되어 압흔이 깊게 발생되던 것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외부전극팁(141)은 접촉면적이 넓어 압력이 분산되므로 압흔이 얕게 발생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내부전극팁(150)은 커버고정헤드(120)의 커버결합부(121)의 외주연을 따라 복수개가 매립되게 결합된다. 내부전극팁(150)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고정헤드(120)에 매립되는 내부전극팁본체(151)와, 내부전극팁본체(15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접촉돌기(153)와, 내부전극팁본체(151)를 커버고정헤드(120)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도 3의 B 참조)가 삽입되는 체결부재삽입공(155)을 포함한다.
도 7의 (a)와 (b)는 내부전극팁(15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전극팁본체(151)는 크롬동 재질로 형성된다. 내부전극팁본체(151)는 커버고정헤드(120)에 매립될 수 있는 형상과 두께로 형성된다.
내부전극팁본체(151)에는 커버접촉돌기(153)가 삽입되는 돌기결합공(152)이 형성된다. 돌기결합공(152)의 내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커버접촉돌기(153)는 돌기결합공(152)에 삽입되는 삽입축(153a)과, 삽입축(153a)의 상단에 결합되며 내부전극팁본체(151)의 상면으로 일정높이(h) 돌출되는 돌출헤드(153b)를 포함한다. 삽입축(153a)은 돌기결합공(152)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구비된다. 이에 의해 커버접촉돌기(153)는 나사결합에 의해 내부전극팁본체(15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복수회의 스팟용접을 수행하는 경우, 커버접촉돌기(153)의 돌출헤드(153b)는 마모된다. 돌출헤드(153b)가 마모되면, 작업자는 마모된 커버접촉돌기(153)를 내부전극팁본체(151)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내부전극팁본체(151)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체 커버고정헤드(120)를 교환하지 않고 내부전극팁본체(151)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커버접촉돌기(153)는 베륨동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돌출헤드(153b)의 측단면은 반원형상, 사다리꼴 형상, 평평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헤드(153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플랜지(221)의 내벽면과 접촉되며 전류를 인가하고 가압력을 인가한다. 이 때, 돌출헤드(153b)가 내부전극팁본체(151)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되므로 도 1에 도시된 종래 내부전극팁(13)과 비교할 때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100)는 외부전극팁(141)이 외부플랜지(211)와 접촉되는 접촉면적은 늘려 외부로 드러나는 압흔은 줄이고, 내부전극팁(150)이 내부플랜지(221)와 접촉되는 접촉면적은 줄여 케이싱(210)와 커버(220)의 용접부위에 작용하는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플랜지(211)와 내부플랜지(221) 사이에 형성되는 너겟(N)의 크기는 종래 스팟용접장치(10)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어 용접효율은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100)를 이용한 레조네이터(200) 스팟용접과정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팟용접을 위해 작업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10)을 케이싱안착판(110)에 안착시킨다. 이 때, 스팟용접이 이루어질 외부플랜지(211)가 상부를 향하도록 케이싱(210)을 배치한다.
그리고, 커버고정헤드(120)에 커버(220)를 결합시킨다. 커버(220)의 내부플랜지(221) 내부로 커버결합부(121)를 삽입한다. 이 때, 커버고정헤드(120)의 바닥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진공압형성공(미도시)이 구비되어 진공압을 인가하여 커버(220)가 커버고정헤드(120)에 흡착된다. 커버고정헤드(미도시)에는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펌프(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승강구동부(130)는 커버고정헤드(120)와 외부전극부(140)를 함께 하강시킨다. 하강에 의해 커버고정헤드(120)의 커버결합부(121)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10)의 외부플랜지(211)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외부플랜지(211)와 접촉되도록 가압부(미도시)가 외부전극부(140)를 외부플랜지(211)를 향해 가압한다. 이와 동시에 전류제어부(160)가 외부전극팁(141)과 내부전극팁(150)으로 고전류를 인가한다. 외부전극팁(141)과 내부전극팁(150)이 통전되면서, 외부플랜지(211)와 내부플랜지(221)의 서로 접촉되는 영역이 저항발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너겟(N)을 형성한다. 너겟(N)이 냉각되면서 외부전극팁(141)와 내부전극팁(150)은 서로 접합된다.
여기서, 외부전극팁(141)이 외부플랜지(211)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고, 내부전극팁(150)이 내부플랜지(221)와 접촉되는 면적이 줄어들면서 외부플랜지(211)와 내부플랜지(221)로 가해지는 가압력, 즉 접촉저항(R)은 종래 스팟용접기(10)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스팟용접에 영향을 주는 전류, 가압력, 통전시간을 도 1에 도시된 종래 스팟용접장치(10)와 동일하게 유지하고, 레조네이터(200)를 스팟용접한 결과 케이싱(210)의 표면에 형성된 압흔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9에 도시된 케이싱(210)에 나타난 압흔(b)을 도 2의 압흔(a)과 비교할 때, 압흔(b)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도 9의 케이싱(210)에 나타난 압흔(b)은 깊이가 0.1mm 가 되지 않으므로 용접품질상 A등급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수한 용접품질을 나타낼 수 있으며, 레조네이터의 제품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싱의 외부플랜지에 커버의 내부플랜지가 스팟용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케이싱의 관로 상에 커버나 판상구조물을 스팟용접 할 때도 본 발명의 스팟용접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케이싱의 외부로 드러나는 스팟용접의 압흔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제품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는 케이싱안착판에 대해 커버고정헤드와 외부전극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수직방식으로 형성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케이싱안착판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커버고정헤드와 외부전극부가 좌우로 이동되는 수평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팟용접장치는 케이싱에 커버를 스팟용접할 때, 외부전극팁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내부전극팁의 접촉면적을 줄여 케이싱의 외면에 형성되는 압흔을 현저히 개선하여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전극팁의 커버접촉돌기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여, 마모시에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스팟용접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스팟용접장치 110 : 케이싱안착판
120 : 커버고정헤드 121 : 커버결합부
123 : 헤드지지부 123a : 헤드결합판
123b : 구동부결합판 123c : 승강실린더
130 : 승강구동부 140 : 외부전극부
141 : 외부전극팁 150 : 내부전극팁
151 : 내부전극팁본체 152 : 돌기결합공
153 : 커버접촉돌기 153a : 삽입축
153b : 돌출헤드 155 : 체결부재삽입공
160 : 전류제어부 200 : 레조네이터
210 : 케이싱 211 : 외부플랜지
220 : 커버 221 : 내부플랜지

Claims (3)

  1. 케이싱의 내벽면에 커버를 스팟용접하는 스팟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안착되는 케이싱안착판과;
    진공압에 의해 커버가 하면에 흡착되며, 상기 케이싱안착판에 대해 상하로 승강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의 용접위치에 상기 커버를 위치시키는 커버고정헤드와;
    상기 케이싱의 외벽면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벽면에 접촉되는 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벽면을 둘러싸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외부전극팁과;
    상기 커버고정헤드의 외주면 중 상기 외부전극팁과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커버의 내벽면을 접촉가압하는 복수 개의 내부전극팁과;
    상기 외부전극팁과 상기 내부전극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전극팁과 상기 내부전극팁을 서로 통전시키는 전류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전극팁은, 체결부재삽입공과 돌기삽입공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상기 커버고정헤드에 매립결합되는 내부전극팁본체와, 상기 내부전극팁본체의 판면에 대해 상기 커버를 향하여 일정 높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커버와의 접촉면적을 줄인 커버접촉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접촉돌기는, 상기 돌기삽입공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축과, 상기 삽입축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전극팁본체의 판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되며 단부의 단면형상이 평면, 반원,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돌출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팟용접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103654A 2016-08-16 2016-08-16 압흔을 개선한 스팟용접장치 KR101733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54A KR101733555B1 (ko) 2016-08-16 2016-08-16 압흔을 개선한 스팟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54A KR101733555B1 (ko) 2016-08-16 2016-08-16 압흔을 개선한 스팟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555B1 true KR101733555B1 (ko) 2017-05-11

Family

ID=5874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654A KR101733555B1 (ko) 2016-08-16 2016-08-16 압흔을 개선한 스팟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1512A (zh) * 2017-05-20 2017-08-22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汽车顶盖总成的自动焊接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1512A (zh) * 2017-05-20 2017-08-22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汽车顶盖总成的自动焊接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2948A (ko) 저항 스폿 용접 방법
US20130112665A1 (en) Device and method of vibro-spot welding
KR101733555B1 (ko) 압흔을 개선한 스팟용접장치
KR101814354B1 (ko) 전기접합방법 및 전기접합장치
KR102086914B1 (ko) 유도가열 및 표면회전마찰에 의한 중첩금속판재의 전기저항 선용접기 및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KR100832343B1 (ko) 박판 심용접 장치
CN2785779Y (zh) 一种薄板点焊装置
KR100501655B1 (ko) 알루미늄판재 접합용 자기압입 마찰리벳 및 이것을 이용한알루미늄판재의 접합방법
CN1545439A (zh) 对接焊接装置、对接焊接方法及对接焊接制品
KR20120076045A (ko)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전극체
WO2017073129A1 (ja) 重ね隅肉アーク溶接継手及びプレス成形部品の接合構造
KR102394629B1 (ko) 핫스탬핑 강판의 접합방법
KR101570690B1 (ko) 하이브리드 용접기
JP7255119B2 (ja) インダイレクトスポット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KR102285069B1 (ko) 프로젝션 용접 장치
KR101608716B1 (ko) 스폿 용접용 캡 팁
CN211102117U (zh) 一种用于螺母凸焊的电极组件
CN110116262B (zh) 一种焊接工装设备
US1237915A (en) Electric welding apparatus.
US988948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ss-formed article and press forming apparatus
KR101923667B1 (ko) 이중복합 전극팁을 가지는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CN105583513A (zh) 点焊机电极头结构
KR101432091B1 (ko) 스폿 용접용 다중 가압 전극
KR102177086B1 (ko) 박판 용접 지그
JP6414805B2 (ja) スポット溶接装置及びスポット溶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