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761B1 - 기술 설비 부품용 파이프 쉘 - Google Patents

기술 설비 부품용 파이프 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761B1
KR101129761B1 KR1020067009591A KR20067009591A KR101129761B1 KR 101129761 B1 KR101129761 B1 KR 101129761B1 KR 1020067009591 A KR1020067009591 A KR 1020067009591A KR 20067009591 A KR20067009591 A KR 20067009591A KR 101129761 B1 KR101129761 B1 KR 101129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groscopic material
pipe shell
layer
vapor barri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000A (ko
Inventor
스태플랜 티저펠트
Original Assignee
세인트-고베인 이소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인트-고베인 이소버 filed Critical 세인트-고베인 이소버
Publication of KR2006010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with a single sl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81Multilayer 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bl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Locating Fault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주위 공기의 이슬점 아래의 외측 표면 온도를 갖는 파이프, 콘테이너, 환기 덕트 및 설비부품의 절연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절연 시스템(1)은, 열 절연층(5) 및 상기 열 절연층 한 측부에 배열된 증기 배리어(2)를 포함한다. 절연 시스템은, 증기 배리어(2) 및 열 절연층(5) 사이에 배열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증기 배리어(2)에 연결된 흡습성 재료(3)를 포함한다. 와,
흡습성 재료(3)가 부분적으로 열 절연층(5)과 접촉하는 방법으로 흡습성 재료(3)와 증기 배리어(2)의 조합이 열 절연 층(5)에 연결된다.

Description

기술 설비 부품용 파이프 쉘 {PIPE SHELL FOR TECHNICAL INSTALLATIONS}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주위 공기 이슬점보다 낮아지는 외측 표면 온도를 갖는 파이프, 용기, 환기 덕트 등의 파이프 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이프 쉘은 열 절연층과 열 절연층의 한 측부상에 배열된 증기 배리어를 포함한다.
빌딩 및 프로세스 기술(building and process technology)에서, 예를들면, 파이프 및 용기를 절연시키는 것은 상당히 일반적이다. 절연은 파이프 쉘, 시이트 또는 매트와 같은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절연은, 주위 공기와 접하는 한 측부 상에 플라스틱, 종이 또는 금속의 보호 표면 층을 갖는 광물성 섬유와 같은 열 절연 재료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포일과 같이 단단한 것으로 고려되는 재료가 보호 표면 층으로 선택되고 열 절연 재료의 연속적인 덮개(enclosure)로서 배열되는 경우라면, 완전히 단단한 덮개는 얻을 수 없다. 이웃하는 파이프 쉘 사이의 조인트, 파이프에는 파이프 쉘의 장착을 허용하는 길이 방향 슬롯 또는 물리적인 손상부와 같은 개구가 항상 존재하는데, 그 개구들을 통하여 수증기가 절연부 및 절연될 표면에 침투할 수 있다. 수증기 침투의 다른 중요한 근원은 확산이다. 확산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포일과 같은 단단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재료를 통하여 발생하고, 따라서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
절연된 표면의 온도가 주위 공기의 이슬점 아래인 경우에, 수증기는 응축된다. 문제는 응축물이 증발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이것은 결국 부식 형태로 절연된 표면뿐 아니라 실제적인 절연물에도 손상을 야기 시킨다.
시장에 시행되는 해법이 있는데, 그것은 잘 기능하고 응축물의 제거를 제공한다.
첫번째 예는 WO 91/18237 에 의해 주어진다. 이 해법은 예를들면, 파이프와 같이 둥글게 배열되도록 구성된 열 절연 재료의 양 측부상에 흡습성 재료의 층들을 사용한다. 두 층들은 열 절연 재료의 개구를 통하여 서로 각각 연통하여, 모세관 작용에 의한 응축물이 내부 층에서 외부 층으로 전달된다. 파이프 쉘이 관련되는 경우에, 내부 층은 파이프를 감싸도록 배열되고, 그 각각의 자유 단부를 통해서, 파이프 쉘의 슬롯을 관통하도록 돌출하여, 이들 자유 단부가 주위 공기에 노출되고 증발 표면을 형성하는 파이프 쉘의 외측에 대해 배열될 수 있다. 흡습성 재료는, 응축되도록 노출된 표면을 응축물이 자유롭게 증발할 수 있는 주위 공기와 연통하게 하는 위크(wick)로 재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접근법의 변형물이 흡습성 재료의 연장부가 감소된 WO 95/19523 호에 한정되어 있다. 파이프의 전체 길이를 커버하는 대신에, 예를들면, 흡습성 재료는 파이프의 길이를 따라서 서로 각각 등거리로 이격된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된다. WO 91/18237 호와 비슷하게, 흡습성 재료는 응축이 일어나는 표면, 즉 절연 표면과 의 직접 접촉부로부터 주위 공기에 노출되어 증발 표면을 형성하는 절연부 외측까지 연장된다.
WO 94/05947 호에 한정된 다른 변형물에서, 그 중에서도 특히, 흡습성 재료가, 파이프 및 파이프 쉘중의 선택된 부분에, 증발 표면을 형성하도록 파이프 표면으로부터 파이프 쉘의 외측까지 연장하는 연속 페인트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흡습성 페인트가 도포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페인트는 전술한 WO 91/18237 호에서의 흡습성 재료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WO 97/16676 호는 제 1갭이 파이프와 주위 열 절연 재료 사이에 형성되는 해법을 개시하고 있다. 후자는, 열 절연 재료의 내부를 그것의 외부에 연결하여 모세관 작용에 의한 응축물이 제 1갭 및 파이프 표면으로부터 응축물이 주위 공기로 증발할 수 있는 열 절연 재료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모세관 작용 개구를 구비한다. 열 절연 재료의 외부는 방수막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막은 제 2 갭이 열 절연 재료 및 막 사이에 형성되도록 배열된다. 수분 흡수재료 층이 각 갭에 배열되고, 두 층이 예를들면, 열 절연 재료의 슬롯에 의해 서로 각각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수막의 적절한 재료의 예는 방수 및 확산 개방 섬유질 재료이다.
따라서 응축물 제거와 관련한 문제에 대한 모든 종래 해법의 공통적인 특징은, 흡습성 재료가 응축물이 형성되는 표면에 배열되고, 이 흡습성 재료가 주위 공기와 직접 접촉하고, 이것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주위 공기에 노출되는 증발 표면이 흡습성 재료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 기술은 매우 잘 확립되어 있다. 그러나, 흡습성 재료의 양에 대하여 과도한 규모가 관련된다. 이 과도한 규모는 제조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보호성 표면이 예를들면, 부착 테이프 형태로 자주 사용되는데, 이 부착 테이프는, 흡습성 재료의 절연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흡습성 재료 부분을 덮어서, 이 부분이 제어되지 않은 방법으로 주위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파이프 쉘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파이프 쉘을 기존의 제조 장비를 약간 변형한 후에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파이프 쉘은 종래 시스템을 장착하는 경험을 필요로하지 않는 상태에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 및 또는 언급되지 않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술된 특징을 갖는 파이프 쉘에 관련된다. 양호한 실시예가 청구항 2-10, 12 및 14에 한정되어 있다.
다수의 용어가 명세서를 통하여 사용될 것인데, 다음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용어 증기 배리어는 증기 확산 및 증기 대류를 어렵게 하는 재료에 관한 것이다. 용어 흡습성 재료는, 수증기 및 응축물을 흡수 및 전달하고, 평형이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주위 공기의 습분 때문에 방출하는 재료에 관한 것이다.
특히, 파이프 쉘은, 주위 공기의 이슬점 아래의 외부 표면 온도를 주기적으로 갖는 파이프, 콘테이너, 환기 덕트 및 설비 부품용으로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 쉘은 열 절연층 및 상기 열 절연층 한 측부에 배열된 증기 배리어를 포함한다.상기 파이프 쉘은, 흡습성 재료가 증기 배리어 및 열 절연층 사이에 배열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증기 배리어에 연결되고, 흡습성 재료가 부분적으로 열 절연층과 접촉하는 방법으로 흡습성 재료와 증기 배리어의 조합이 열 절연 층에 연결된다.
용어 접속은 명세서를 통하여 증기 배리어 및/또는 흡습성 재료와 열 절연 층 사이의 부분적인 접착성 또는 부착성 부착물을 의미한다. 다른 중간 층에서, 흡습성 재료가 두 재료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 열 절연 재료 층과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결과로서, 간단한 방법으로 작동중 절연되는 표면상에 형성될 수 있는 응축물을 표면으로부터 열 절연 재료와 증기 배리어 사이에 배열된 흡습성 재료로 운송할 수 있는 파이프 쉘이 구비된다. 열 절연 재료와 흡습성 재료를 접촉시킴으로써, 응축물의 흡수가 발생한다. 흡수된 응축물은 증기 배리어 및 그곳의 본래의 개구를 통하여 주위 공기로 증발이 허용된다. 열 절연 재료를 통한 응축물의 운송은 모세관 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모세관 작용은 파이프 쉘에서 중간 압력의 영역인 물 포화 표면과 대기압 아래 영역인 주위 공기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일어난다. 환언하면, 응축물은 그것이 흡습성 재료와의 접촉에 의해 흡수되는 곳인 열 절연 재료를 통하여 외측으로 침투한다. 흡수로 인하여, 응축물은 흡습성 재료의 큰 표면위에 확산된다. 흡습성 재료에 모여진 응축물은 증기 배리어를 통하여 증발이 허용된다. 이것은 파이프 쉘을 이용하는 동안에 확산 및 증발된 수증기 사이의 평형을 초래한다.
파이프 쉘은 구성에서 매우 단순하고, 완만한 부품용의 제한된 필요성을 갖는 장치로서 제조되고 취급될 수 있다. 흡습성 재료 양 및 형태는 예를들면 직조 연속 표면 또는 네트형 구조체 사이의 선택에서, 파이프 쉘의 원하는 작동 조건에 따라 제조자에 의해 용이하게 적정화될 수 있다. 흡습성 재료의 적정화 가능성은 또한 파이프 쉘의 비용의 감소를 의미한다.
파이프 쉘은, 종래 장비 조정 없이 또는 작은 조정후에 종래 기술에 따라서 파이프 쉘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조 장비에서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제조에서 변환 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 더욱이, 종래 파이프 쉘의 설치 경험이 있는 작업자는 새로운 훈련 필요성 없이도 본 발명에 따라서 파이프 쉘을 장착할 수 있다. 파이프 쉘은 또한 예를들면 파이프 쉘, 매트 또는 시이트 형태의 다양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흡습성 재료는, 그것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후에 흡습성 재료를 열 절연 층에 노출시키도록 배열된 열가소성 바인더 수단에 의해 열 절연 층과 접촉한다. 노출된 덮개는 두 층 사이에 연통을 하도록 열 절연 재료와 부분적으로 접촉한다. 노출된 표면은 연속적일 필요는 없지만, 접촉 및 비접촉 영역 사이의 분포는 절연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흡습성 재료는 열가소성일 수 있다. 열가소성 흡습성 재료는 열가소성 바인더의 감소 또는 생략이 가능한데, 그 경우의 흡습성 재료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열가소성 바인더를 대체하기 때문이다.
증기 배리어 및 흡습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라미네이트부를 형성한다. 라미네이트 모양은 매우 특징적인데, 바인더 및 그곳에 도포되는 양이 매우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라미네이트 모양은 파이프 쉘에 포함된 재료 및 층들의 정확한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최후로 그러나 적어도, 라미네이트 모양은 매우 단순한 제조 공정을 가능하게 하는데, 취급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증기 배리어, 흡습성 재료 및 열가소성 바인더는 라미네이트부를 형성한다. 라미네이트부에의 열가소성 바인더의 포함은 매우 양호한 것인데, 바인더 및 그것의 도포양이 매우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인더 양과 그 위치에 대한 정확성은 증기 배리어 및 흡습성 재료 사이의 접촉을 보장하는데 가장 중요하다.
열가소성 바인더는 양호하게는 증기 배리어에 인접한 제 1 층과 열 절연 재료에 인접한 제 2층에 배열된다. 두 상이한 층에 배열되는 바인더에 의해서, 상이한 층의 두께 및 도포 패턴은 원하고 필요한 바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면, 증기 배리어 및 흡습성 재료 사이에 두껍고 연속적인 층으로 도포하는 것에 의해, 두 재료 사이에 완전한 부착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층은 외부 손상이 생기는 경우에 디라미네이션을 방지한다. 이런 연속적인 제 1층과 동시에, 예를들면, 비-연속적인 제 2층이, 접속, 즉 두 층 사이에 부분적인 부착과 동시에 흡습성 재료 및 열 절연 재료가 서로 각각 상호 연통을 위해 접촉하는 흡습성 재료 및 열 절연 재료 사이의 바인더-프리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보장할 목적으로 흡습성 재료 및 열 절연 재료 사이에 배열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라미네이드부는 흡습성 재료를 주위 공기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천공을 포함한다. 천공은 증기 배리어 및 흡습성 재료 사이의 가능한 층을 침투할 수 있을 정도로 깊어야 한다. 천공은 흡습성 재료가 주위 공기와 연통하도록 하여 절연된 표면 및 열 절연 재료로부터 흡수된 응축물이 증발하도록 한다.
흡습성 재료는 바람직하게 비-연속 층일 수 있다. 환언하면, 흡습성 재료는 또한, 예를들면, 네트형 구조체, 개개의 섬유 그 자체 또는 다발로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섬유는 모노필라멘트 얀(yarn)뿐 아니라 또는 멀티필라멘트 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흡습성 재료의 양은 따라서 원하는 바대로, 즉, 파이프 쉘이 작동되는 조건에 따라서 적절화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비-연속 층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한 도포는 흡습성 재료 및 열 절연 재료 사이의 접속, 즉 흡습성 재료 및 열 절연 재료 사이의 부분 부착을 보장한다.
한 실시예에서, 열 절연 재료는 추가적인 흡습성 재료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흡습성 재료는 파이프, 콘테이너, 환기 덕트 또는 설비 부품으로부터의 수증기 및 응축물의 개선된 흡수 및 운송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한 추가적인 흡습성 재료는 예를들면,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주름진 매트 또는 라미네이드 매트 형태로 열 절연된 층에 합체된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그것은, 분획된 신축성 파이프 쉘, 즉, 파이프 쉘을 둥글게 신축, 예를들면, 파이프 벤드를 용이하게 하도록, 그것의 길이부를 따라서 다수의 신축성 세그먼트로 분할되는 파이프 쉘에서, 두 연속적인 세그먼트사이에 배열되는 층으로 구성된다. 나중의 층은 물론 예를들면, 흡습성 재료의 의류 또는 섬유로 구성되거나 또는 흡습성 페인트로 코팅된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예를들어, 압축 섬유 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흡습성 재료는 증기 배리어의 보강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보강부는 증기 배리어의 파열 강도, 따라서 외부 손상 위험을 증가시킨다.
라미네이트부는 바람직하게 파이프, 콘테이너, 환기 덕트 및 설비 부품을 덮도록 제조된 플랩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이 주어진다. 그러한 플랩은 증기 배리어의 외부에 부착, 따라서, 파이프 절연을 용이하게 하도록 파이프 절연부에서 종종 발견되는 슬롯을 밀봉하기기 위한 부착 테이프를 구비한다.
증기 배리어는 바람직하게 습분 적응 특성을 갖는다.
현재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본 발명이, 예로서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쉘 형태의 절연 시스템에 포함된 재료층의 단부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연부의 부분 단부에 대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따른 파이프 절연부의 일부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흡습성 재료가 라미네이트로 제조된 플랩을 경유하여 주위 공기에 노출되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연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열 절연 재료가 추가적인 흡습성 재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연부에 대한 사시도,
도 5a는 신축성 파이프 쉘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스템의 부분 측단부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파이프 쉘의 개개의 세그먼트 제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라미네이트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첩 플랩으로서 배열된 파이프 절연부의 두 변형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스템은, 주위 공기의 이슬점 아래인 외부 온도를 주기적으로 갖는 파이프, 용기, 환기 덕트 및 설비 부품에의 사용을 위함이다. 다음의 기술에서, 일반적인 부재 용어는 이들 파이프, 용기, 환기 덕트 또는 설비 부품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쉘 형태의 절연 시스템(1)의 개략적인 단부가 도시되었다. 도 1 및 절연 시스템(1)이 포함된 다른 도면들의 모든 재료층은 간명화를 위해 매우 크게 확대 도시되었다는 사실이 강조되어야 한다.
절연 시스템(1)은 외부로부터 시작하여, 증기 배리어(2), 흡습성 재료(3), 열가소성 바인더(4) 및 열 절연 재료(5)를 포함한다. 물론, 열가소성 바인더(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으로서 또는 도시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열 절연 재료(5)는 절연되어지는 부재(도시되지 않음) 표면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네 층(2,3,4,5)이 개별적으로 아래에 기술될 것이고, 그 후에 그러한 절연 시스템(1)의 다양한 실시예가 주어질 것이다. 개별적인 층에 대한 기술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열에 의한 영향을 받기전, 즉, 열 가소성 바인더가 용융되기전의 상태에서 이루어 진다.
증기 배리어(2)의 주요 기능은 증기 확산 또는 증기 대류를 어렵게 만드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절연 부재의 완전한 캡슐화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물 또는 수증기가 침투할 수 있고, 그리고 침투하면, 절연부 내부에서 보다 차가운 표면, 즉, 부재상에서 응축되는 조인트부가 항상 존재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절연 시스템(1)의 수명 동안에 증기 배리어(2)에 손상이 일어나고, 이것은 물 또는 수증기의 침투를 허용한다. 피할 수 없는 제 3 요소는 보통 밀착되어 있다고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표면을 통하여, 즉 금속 포일 또는 플라스틱 포일을 통하여 발생하는 확산이다.
증기 배리어(2) 재료의 선택은 그 중에서도, 절연 시스템(1)이 현재의 특수한 조립 기준, 현재의 화재 통제 기준 및 무엇 보다도 그것에 드는 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환경의 문제이다. 적절한 재료의 예는 금속 포일, 플라스틱 포일, 종이 및 방수막 재료이다. 방수막 재료는, 제 1 두께 방향에서 수증기의 이송이 가능하고, 제 2 두께 방향에서 물의 이송이 방지되는 재료와 관련된다. 방수막 재료의 예는 GoreTexR 이름으로 판매되는 재료이다.
수증기 배리어(2)는 또한 수분 적응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다. 수분 적응성은, 어떤 재료의 수증기의 확산 저항이 주위 대기에서 공기 습도에 의존하는 재료를 의미한다. 그러한 재료의 한 예가 EP 0 821 755 호에 주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재료는, 이런 종류의 증기 배리어를 감싸는 대기의 상대 습도가 30-50 % 범위일 때에, Sd 값(물-수증기 확산 저항)이 공기-층 두께당 2-5 m 범위내로 주어진다. 따라서, 상대 공기 습도가, 60-80 %, 또는 70-90 % 까지 늘어날 수 있는 70-80 % 범위내에 있을 때에, Sd 값이 공기-층 두께당 1 m 확산 미만이다. 이런 종류의 수증기 배리어는 양호하게는 나일론-6, 나일론-4 또는 나일론-3로 제조된다. 또한, 이런 종류의 수증기 배리어는 양호하게는 10 ㎛-2 mm, 그리고 가장 양호하게는 20 ㎛-100 ㎛ 두께에서 사용된다.
흡습성 재료(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증기를 흡수하고 운송하고, 응축하여 평형에 도달하는 방법으로 주위 공기의 습분으로 인해 수증기를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의미한다. 흡습성 재료(3)는 유리질 섬유, 섬유, 카드보드, 활성 점토,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또는 실리커 겔과 같은 수많은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흡습성 재료(3)는 또한,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과 같은 열 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열 가소성 형태의 재료는 열 가소성 바인더의 양이 감소되거나 또는 완전히 배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흡습성 재료(3)가 유리질 섬유 또는 열 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흡습성 재료는 직포, 스펀, 주름진(pleated) 또는 니티드(knitted)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습성 재료(3)는 또한 스테이플(staple) 섬유 또는 펠트(felt)형 섬유 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것의 가장 간단한 실시예에서, 흡습성 재료(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또한, 미세한-또는 조악한-직물 네트 형태, 또는 개개의 섬유 또는 다발로 배열된 섬유 형태의 비-연속 층으로 이루어진다. 섬유는 모노필라멘트 얀 또는 폴리필라멘트 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흡습성 재료(3)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얀에 사용될 수 있다. 다수층을 사용하는 경우에, 층들은 상이한 상호 배치가 이루어진다. 예를들면, 네트 구조의 두 층들은 45° 의 각도로 상호 배치될 수 있다.
흡습성 재료는 흡습성 페인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래에 바인더로 참조되는 열 가소성 바인더(4)는 폴리에틸렌(PE)이 가장 양호한 것이 될 수 있는 수많은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인더(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속 층으로,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연속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압력과 열에 의한 영향을 받기 전에 가장 개략적인 비-연속층을 도시하고 있다.
바인더(4)가 배열되어, 그것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때에, 그것이 용융되어 흡습성 재료(3)를 절연 재료(5)에 접속시킨다. 용어 "접속"은, 수증기 배리어 및/또는 흡습성 재료(3) 및 열 절연 재료(5) 사이에 부분적으로 결합력 또는 부착력이 있는 부착에 관한 것이다. 다른 중간 영역에서, 흡습성 재료(3)는 두 재 료 사이에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 열 절연 재료(5)와 접촉되는 상태로 배열된다. 부착이 있는 그리고 없는 영역 사이의 분배는 절연 시스템(1) 표면 상부까지도 이루어져야 한다. 접속 설비는 아래에 기술된다.
가열과 관련하여, 균일하게 분배된 압력이 예를들면, 롤에 의해 인가되어, 대부분의 경우에 개방된 섬유 구조체 또는 다른 개방된 구멍을 갖는 열 절연 재료(5)내로 가압되고, 흡습성 재료(3)의 공간 및 울퉁불퉁한 부분으로 가압되는 바인더(4)와의 조합에 의해 접착이 발생한다. 그러한 공간의 예는, 그 표면에서의 울퉁불퉁한 부분, 작은 구멍, 천공 및 네트형 구조체의 이웃하는 섬유 사이의 공간 또주요 섬유의 솜 또는 직조 섬유에서의 개별적인 섬유 사이의 공간이다.
바인더(4)의 개방된 섬유 구조체/구멍 및 전술한 공간내로의 도포에 의해, 열 절연 재료(5)에의 부착이 무엇보다 이들 영역에서 발생하고, 동시에, 흡습성 재료(3)와 열 절연 재료(5) 사이의 바인더-프리 접촉 표면이 형성되며, 그 접촉 표면에서 두 재료는 상호 연통을 위해 서로 각각 접촉한다.
전술된 접속은 따라서, 부분 부착으로 구성되는데, 그것의 정도는 표면 구조 및 흡습성 재료(3)의 형태, 예를들면, 직조 연속 층 또는 네트형 구조체로 구성되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부착은 열 절연 재료(5)뿐 아니라 흡습성 재료(3)의 반대 측부상에 배열된 증기 배리어(2)에도 발생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증기 배리어(2) 및 흡습성 재료(3) 사이의 부착은 유리하게 연속적일 수 있다. 이것은 예를들면,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증기 배리어(2) 및 흡습성 재료(3) 사이의 바인더(4)의 분리된 층 에 의해 조절된다.
바인더(4)는 아래에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
바인더(4)는 열 절연 재료(5)를 향하여 배치된 표면상의 흡습성 재료(3)의 정상부에 얇은 연속층으로 도포될 수 있다. 그러한 층은 너무 얇아서, 인가된 압력과의 조합에서 그것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동안에, 그 층은 떨어지게 가압되고 부분적으로 흡습성 재료(3)를 열 절연 재료(5)와 접촉시킨다. 전술한 바에 따라서, 바인더(4)의 초과분은 열 절연 재료(5)내로 또는 흡습성 재료(3)의 공간내로 가압되고, 그곳에서, 흡습성 재료(3) 및 열 절연 재료(5) 사이의 부분적 접착을, 그리고 증기 배리어(2) 및 열 절연 재료(5) 사이의 부착을 야기시킨다.
압력은 롤 수단에 의해 적절하게 인가된다. 바인더의 적절한 양은 5-100 g/m2, 보다 양호하게는 10-70 g/m2, 가장 양호하게는 20-50 g/m2 이다.
전술한 상태의 있음직 한 변형은 바인더 층이 증기 배리어(2) 및 흡습성 재료(3) 사이에 배열되는 것이다. 열과 압력이 인가될 때에, 용융 바인더(4)는 상방으로 흡습성 재료(3)의 공간을 관통하여, 예를들면, 직조 섬유 구조체에서 섬유들 사이로 인가되어, 바인더(4)가 열 절연 재료(5)와 접촉하게 된다. 바인더의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인더가 흡습성 재료(3)의 정상부, 즉 열 절연 재료(5)와 접하는 측부상의 한 층으로서 도포되는 경우와 동일할 것이다.
바인더(4)는 또한 두 층에서 배열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의 층은 증기 배리어(2) 및 흡습성 재료(3) 사이에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층은 흡습성 재료(3) 및 열 절연 재료(5) 사이에 배열된다. 양호하게는 흡습성 재료(3)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은 두께가 주어지는 제 1층은 증기 배리어(2) 및 흡습성 재료(3) 사이에서 연속 부착을 보장한다. 그러나, 제 1층은 그렇게 두껍게 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아서, 흡습성 재료(3)는 그 층에 완전히 내장된다. 제 2층은 흡습성 재료(3) 및 열 절연 재료(5) 사이에서 매우 얇게 도포된다. 이 제 2층은 얇게 배열되어, 제 1층의 용융 온도 아래 온도에 노출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인가된 압력이 바인더(4)의 제 2층 옆을 가압하여, 흡습성 재료(3)가 전술한 바에 따라서 열 절연 재료(5)와 부분적 접촉과 부분적 부착을 이룬다.
바인더 도포의 네 번째 변형물은, 예를들면, 프래싱 또는 스프래잉에 의해 매우 얇게 인가되는 비-연속 층 형태이다. 도포의 이 형태는, 흡습성 재료(3) 및 열 절연 재료(5) 사이의 원하는 부분 부착 및 부분 접촉을 보장한다. 바인더(4)의 비-연속 층은 흡습성 재료(3)가 흡습성 페인트인 경우에 사용되어야 한다.
바인더에서 흡습성 재료의 배열에 의해 놀라운 효과가 발현되어 왔다. 사실, 흡습성 재료와 관련하여 바인더에서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모세관 흡수를 크게 개선시킨다는 것이 알려져 왔다.
열 절연 재료(5)는 광물성 섬유 또는 다른 어떤 확산 개방 재료와 같은 적절한 통상의 절연 재료이다. 용어 "광물성 섬유"는 유리질 섬유 또는 로크(rock) 섬유를 포함한다.
증기 배리어(2), 흡습성 재료(3) 및 바인더(4)는 개별적인 층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를 이유로, 절연 시스템(1)의 제조 동안에 원하는 부착을 이루도록 열 및 압력에의 노출에 의한 열 절연 재료(5)상에 라미네이트되는 라미네이트부(7) 형태로 배열되어야 한다. 라미네이트부(7)는 절연 시스템(1)의 제조 동안에 열 절연 재료(5)에 도포가 매우 용이한데, 그것이 한 피스(piece)로 취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라미네이트부(7)는 바인더(4)의 정확한 양과 분포를 보장하여, 흡습성 재료(3)가 열 절연 재료(5)와 부분 접촉 및 부분 부착을 보장한다. 동시에, 가능한 곳에서, 라미네이트부는 증기 배리어(2) 및 열 절연 재료(5) 사이에 원하는 부착을 보장한다. 라미네이트부(7)는 또한, 필요한 경우에, 열 절연 재료(5)에 대한 흡습성 재료(3)의 원하는 배치를 보장한다. 후자의 예는 파이프 절연체(6)와 수직의 또는 평행한 흡습성 재료의 섬유 배치이다.
절연 시스템(1)의 제조에서, 라미네이트부(7) 또는 개별적인 층들은 압력 및 열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열 절연 재료(5)에 도포된다. 이곳에서 열은, 바인더(4)의 적어도 한 층, 양호하게는, 흡습성 재료(3) 및 열 절연 재료(5) 사이에 배열된 층의 용융점을 초과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이 공정에서, 라미네이트부(7) 또는 개별적인 재료층(2,3,4)들은 열 절연 재료(5)와 함께 절연 시스템(1) 형태에서 싱글 유니트를 형성할 것이다. 이 절연 시스템(1)은 파이프 쉘, 매트 또는 시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증기 배리어(2)는 양호하게는, 기계적으로 만들어진 천공(8)을 포함한다. 천공(8)은, 증기 배리어(2) 및 증기 배리어(2)를 포함하는 선택적인 라미네이트(7)를 관통하여, 그들이 흡습성 재료(3)를 주위 공기와 연통시키어, 부재 및 열 절연 재료(5)에서 흡수된 응축물이 증발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천공(8)은 증기 배리어(2)와, 증기 배리어(2) 및 흡습성 재료(3) 사이의 선택적인 바인더 층(4)을 침투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가져야한다.
천공(8)은 양호하게는 30-100,000 천공/m2, 더욱 양호하게는 200-50,000 천공/m2, 가장 양호하게는 1,000-30,000 천공/m2 의 빈도로 배열된다. 천공(8)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증기 배리어(2) 표면 위의 천공(8)의 배열에 의해, 흡습성 재료(3)의 구성과는 독립적으로, 천공(8)은 흡습성 재료(5)와 직접 일치하고, 따라서 증발을 위해 주위 공기와 연통하는 개구를 형성한다. 흡습성 재료(5)와 일치하지 않는 천공(8)은 열 절연 재료(5)를 향한 작은 개구를 형성하고, 그 개구를 통하여 물이 침투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물은 동일한 개구를 통하여 증발될 수 있거나, 또는 다음 천공(8)에서의 다른 증발을 위해 모세관 작용에 의해 흡습성 재료(5)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증기 배리어(2)의 두께에 의존하여 항상 의도적으로 배열된 천공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증기 배리어(2)가 금속 또는 플라스틱 포일인 경우에, 증기 배리어는 그것의 제조 공정 때문에, 확산을 용이하게 하는 작은 마이크로천공으로서 나타나는 핀홀, 즉 결점의 변화하는 정도를 포함한다. 포일이 얇으면 얇을 수록, 핀홀이 더 많아진다. 200-50,000 천공/m2 범위에서 낮은 값 200은 7 ㎛ 두께의 알루미늄 포일의 정상적인 제조에서 발생하는 핀홀의 숫자에 대응한다. 핀홀은 흡습성 재료(3)로부터 응축물의 충분한 증발을 허용하는 놀라운 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관점에서 핀홀형태의 결점은 따라서 천공과 동등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발명의 파이프 쉘 형태의 절연 시스템(1)의 기능이 다음에서 기술된 것이다.
전술한 기술에 따르면, 주위 공기로부터의 물은 증기 배리어(2)의 필연적인 개구를 통하여 절연 시스템(1)내로 침투된다. 다른 수증기는 확산에 의해 침투된다. 절연 시스템(1)과 부재의 주위 공기에 대한 온도 차이의 경우에, 응축이 발생한다. 응축은 부재의 표면이 되는 가장 시원한 표면에서 발생한다. 구멍의 수압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서, 응축물은 대기압 아래 압력 영역을 향해 이동하며, 그 영역은 흡습성 재료 또는 그와 관련되는 곳에서 발견된다. 바꾸어 말하면, 응축물은 흡습성 재료(5)와의 접촉에 의해 흡수되는 곳인 열 절연 재료(5)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이동한다. 흡수는 흡습성 재료(5)에서 응축물의 전파를 초래한다. 그 전파는 부분 압력 차이에 의해 가속되고, 그것에 의해, 응축물은 주위 공기와 접촉하여 증발할 수 있는 증기 배리어(2)에 형성된 천공(8) 또는 핀홀을 향하여 이동한다. 확산 및 증발된 수증기 양 사이의 평형은 사용되는 절연 시스템(1)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쉘 형태의 절연 시스템(1)은 수증기의 높은 순환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능한 천공(8) 때문에, 확산은 사실 전통적인 절연 시스템에서보다 약간 커지는데, 이것은 응축물의 보다 많은 양이 증발에 의해 운송됨을 의미한다. 증발은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이것은 내부 절연 성능 형태, 즉 전통적인 절연 시스템에서보다 높은 λ 값(열 전도성)을 측정할 때에 분명해진다. 이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한 바와 같이, 열 절연 재료(5)의 보다 두꺼운 층을 배열시키는 것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도 2a는 파이프 절연체(6)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파이프 절연체(6)는 알루미늄 포일의 라미네이트부(7), 네트-형 흡습성 재료(3) 및 (도시되지 않은) PE의 바인더 층을 포함한다.
바인더의 양은 20-50 g/㎡ 이고, 라미네이트부(7)를 형성하기 위해 초기에 흡습성 재료(5)를 증기 배리어(2)에 바인딩시키는 얇은 연속 측으로 배열된다. 라미네이트부(7)는 롤러 수단에 의해 천공된다. 파이프 절연체(6)를 제조할 때에, 라미네이트부(7)는 높은 기계적 압력과 바인더 용융점을 초과하는 온도에서 열 절연 재료(5)에 도포된다. 이 압력 및 열 처리 동안에, 바인더는 열 절연 재료(5)와 접하는 흡습성 재료(3)의 측부로부터 밀리게 가압되고, 흡습성 재료(3)의 네트-형 구조체의 섬유(9) 사이의 잔류 공간으로 밀린다. 이것은 흡습성 재료(5)가 부분적으로 열 절연 재료(5)와 접촉됨을 의미한다. 더욱이, 부분 부착이 흡습성 재료(3) 또는 그곳의 공간과 열 절연 재료(5) 사이에서 발생한다.
압력 및 열의 이 인가 동안에, 증기 배리어(2) 및 흡습성 재료(3) 사이의 초기 부착은 해로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부착은 양호하게 전체 접촉면위에 연속적인 것이 된다.
파이프 절연체(6)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파이프 절연체(6)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길이 방향 관통 슬롯(10)(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파이프 절연체(6)를 장착할 때에, 슬롯(10)은 양호하게 천공(8)에 구비될 수 있는 (도시되지 않은) 부 착 테이프로 밀봉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파이프 절연체(6)의 부분 확대도이다. 확대된 부분에 대한 이 도면은, 열적으로 영향을 받고, 이것에 의해 네트-형 구조체로 형성된 흡습성 재료(5)에서의 섬유(9) 사이의 공간내로 바인더가 침투되는 파이프 절연체(6)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은, 흡습성 재료(3) 및 열 절연 재료(5) 사이 및 증기 배리어(2) 및 흡습성 재료(5) 사이에서 부분 부착물이 어떻게 배열되는 가를 명확하게 보여 주고 있다. 도시의 목적으로, 천공(8)이 도시되었는데, 천공은 열 절연 재료(5) 및 흡습성 재료(3)를 주위 공기와 연통하게 만들도록 배열된다. 일부 천공이 흡습성 재료(5)를 주위 공기와 어떻게 연통시키고, 반면에 다른 천공이 열 절연 재료를 주위 공기와 어떻게 연통하게 하는지를 명확하게 보여 주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연체(6)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파이프 절연체(6)는 도 2a의 것과 동일한 내부 구성을 갖고, 따라서, 그것의 구성은 다시 기술하지 않으며,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균등한 부품에 사용된다. 파이프 절연체(6)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바, 라미네이트(7)가 360°이상 절연 파이프(6)를 원주 방향으로 감싸는 정도의 폭을 갖는데, 즉, 라미네이트(7)가 돌출 플랩(11)을 형성한다. 플랩(11)은 주위 공기에 자류롭게 노출되는 표면을 형성할 정도의 폭을 갖는다. 플랩(11)은 파이프 절연체(6)의 장착후에 슬롯(10)을 밀봉하기 위한 보호성 필름을 구비한 부착 테이프(13)를 슬롯(10)에 인접한 표면에 갖는다. 플랩(11)의 이 표면 외측에, 흡습성 재료(5)가 자류롭게 주위 공기에 노출되어, 이 노출된 표면(12)이 절연 시스템(1) 내부의 흡습성 재료(3)에 의해 흡수된 응축물을 위한 추가 증발 표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응축물은 한편으로는 증발 배리어(2)를 통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플랩(11)의 이 자유 노출 표면(12)을 통하여 증발될 수 있다.
그러한 파이프 절연체(6)를 장착할 때에, 파이프 쉘이 양호하게 장착되어, 플랩(11)이 물 및 먼지가 집적될 수 있는 상방으로 정향된 간막이를 형성하지 못하도록 배치된다.
전술된 예에 따른 플랩이 관련되는 기술은 또한 두 연속 파이프 절연체 사이의 (도시되지 않은) 중첩부에 사용될 수 있다. 증기 배리어, 흡습성 재료 및 바인더의 대응 구성을 갖는 플랩이 제 1 파이프 절연체의 단부에 돌출부로서 배열된다. 두 파이프 절연체가 나란하게 장착될 때에, 제 1 파이프 쉘의 돌출 표면은 제 2 파이프 절연체의 증기 배리어와 중첩되도록 배열되어, 다소 자류롭게 노출된 증발 표면을 형성한다. 그러한 해법에서, 예를 들면, 흡습성 재료(5)는 파이프 절연체의 길이방향 축과 나란하게 배열된 개개의 섬유 또는 섬유 다발일 수 있다.
도 4는 파이프 절연체(6)의 하나 이상의 변형물을 도시하고 있다. 파이프 절연체(6)는 기본적으로 도 2a의 것과 내부 구성이 동일하고, 따라서, 그것의 구성은 더 이상 설명하지 않으며,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균등한 부품에 대해 사용될 것이다. 절연 시스템(1)은 이미 도시된 시스템과 열 절연 재료(5)가 상이하다. 열 절연 재료(5)는, 열 절연 재료(5)에서 파형 단부 패턴을 형성하는 추가적인 흡습성 재료(14)를 포함한다. 그러한 열 절연 재료(5)는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주름진 매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주름진 매트의 제조 방법은 예를들면, EP 434 536 B1을 참조하여 기술되는데, 그 곳에서, 도포된 흡습성 재료를 구비한 광물성 섬유 매트가 경화전에 수평 방향으로 압축되고, 따라서 파형 패턴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원하는 절연 시스템(1)은 그것의 큰 흡수 면적 때문에 큰 흡수 능력을 보여준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파이프 쉘(60)을 도시하고 있다. 파이프 쉘(60)은 도 2a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하여 기술된 파이프 절연체(6)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되므로, 그것의 구성에 대한 기술은 반복되지 않고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될 것이다. 절연 시스템(1)은, 파이프 쉘(60)을 용이하게 둥근 파이프 밴드로 휘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짧은 신축성 세그먼트(15)로 분할되는 파이프 쉘(60)의 길이를 따르는 열 절연 재료(5)가 다르다. 각 세그먼트(15) 사이에 추가적인 흡습성 재료(14')가 배열되는데, 그것은 파이프 쉘(6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흡수 표면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습성 재료(14')는 연속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동일하게 연속으로 네트와 같은 네트형 구조체 또는 페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흡습성 재료(14')는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형태의 라미네이트 피스로 구성된다. 그 관점에서, 라미네이트는 두 연속 세그먼트(15) 사이의 표면에만 또는 선택적으로 두 연속 세그먼트 사이의 양 표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런 구성의 파이프 쉘(60)은 바람직하게 추가적인 흡습성 재료(14')가 있는 영역과 국부적으로 관련되는 추가적인 천공(8)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b를 참고하면, 개별적인 세그먼트(15)가 양호하게 열 절연 재료(5) 매트(16) 상의 (도시되지 않은) 바인더와 함께 배열된 흡습성 재료(14')에 의해 제조된 다. 흡습성 재료(14')는 또한, 그것의 제조 동안에 나중에 거치게 되는 경화 공정 동안에 열 절연 재료에 부착함으로써 바인더 없이 부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매트(16)는 세그먼트(15) 길이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다. 그 개개의 세그먼트(15)가 매트(16)로부터 펀치/절단/톱질되고, 증기 배리어, 어떤 종류의 흡습성 재료 및 열가소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되시되지 않은) 라미네이트상에 배열된다. 이 제조 공정은 매우 유리한데, 그 제조로부터 그것의 구조가 기본적으로 매트(16)의 평면에 놓이는 섬유 방향(17)을 갖기 때문이다. 개개의 세그먼트(15)가 펀치/절단/톱질되고, 파이프 쉘(60)의 길이방향 축에서 그들의 길이방향 축을 갖는 상태로 파이프 쉘(60)에서 배열되는 것에 의해서, 각 세그먼트에서 섬유 방향은 파이프 쉘(60)의 길이방향 축과 수직이 될 것이다. 이것은 절연 시스템(1)에서 모세관 작용에 의해 응축물의 운송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도 6a는 본 발명의 구성부가 아닌 절연체(19)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절연체(19)는 도 2a에 도시된 파이프 절연체(6)와 동일한 내부 구성을 갖고, 따라서, 그것의 구성은 설명되지 않으며,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균등한 부품에 사용될 것이다. 이곳에서 라미네이트부(7)는, 파이프 절연체에 형성된 슬롯(10)의 각 측부상에 제 1 및 제 2 돌출 플랩(11a, 11b)을 형성하도록 원주 방향에서 연장부를 갖는다. 절연체(19)를, 예를들면, (도시되지 않은) 파이프에 장착할 때에, 제 1플랩(11a)은 양호하게 파이프와 접촉하도록 슬롯(10)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된다. 제 1플랩(11a)은 슬롯(10)의 깊이를 초과하는 폭, 즉 열 절연 재료(5)의 두께를 초과하는 폭을 가져야한다. 제 1플랩(11a)은 그것의 폭에 의존하여, 편평하게 놓이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0)에서 둘로 접힐 수 있다. 플랩(11a)이 편평하게 놓이는 경우에, 슬롯(10)에서 흡습성 재료(3)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부(7)의 측부가 파이프를 향하는 방법으로 양호하게 배열된다. 제 2플랩(11b)은 도 3에 도시된 파이프 절연체(6)와 같이, 유리하게 주위 공기에 자유롭게 노출되는 표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폭을 갖는다. 제 2플랩(11b)은 슬롯(10)에 인접한 그것의 표면에, 절연체(19)의 장착후에 슬롯(10)을 밀봉하기 위한 보호성 필름을 구비한 부착 테이프(13)를 포함한다. 제 2플랩(11b)의 이 표면 외측에서, 흡습성 재료(3)가 주위 공기에 자유롭게 노출되어, 이 노출된 표면(12)이 절연 시스템(1)의 내부에서 흡습성 재료(3)에 의해 흡수된 응축물을 위한 추가 증발 표면을 형성한다. 응축물은 따라서, 한편으로는 증발 배리어(2)를 통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제 2플랩(11b)의 자유롭게 노출된 표면(12)을 통하여 증발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변형물을 도시하고 있다. 제 1플랩(11a) 및 제 2플랩(11b)는 각각 양호하게는 동일한 폭을 갖고, 부착 테이프를 구비할 수 있거나 또는 그러지 않을 수 있다. 도 6b에서, 플랩(11a, 11b)은 부착 테이프가 없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플랩(11a, 11b)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18)로 구획된다. 그러한 절연체(19)가 장착될 때에, 제 1플랩(11a) 및 제 2플랩(11b)은 슬롯(10)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되고, 유리하게는 파이프와 접촉을 만드는 방법으로 배열된다. 플랩(11a,11b)은 슬롯(10)에서 편평하게 또는 둘이 접히게 놓일 수 있다. 더욱이, 그들은 흡습성 재료(3)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부(7) 의 측부가 외측으로, 즉 파이프를 향하도록 배향되는 방법으로 슬롯(10)에 양호하게 배열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는, 열 절연층(5)내로 합체된 추가적인 흡습성 재료(3)를 갖지 않는 강성 파이프 쉘 또는 다른 절연 시스템(1)에 관심이 간다.
당업자는 절연체의 전술한 실시예는 매트 또는 시이트형태의 동일한 연속체로 배열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쉘 형태의 절연 시스템(1)이 흡습성 재료의 완만한 성분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절연되는 부재와 연관하여 직접 흡습성 재료(3)를 도포할 수 있다.그러한 추가적인 흡습성 재료는 부재를 따라 유동하는 응축물의 흡수를 위한 비-수평 부재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되고 기술된 본 발명의 파이프 쉘의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러가지 변형과 변화가 가능하고,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배타적으로 한정된다.

Claims (15)

  1. 주기적으로 주위 공기의 이슬점 아래에 있는 외측 표면 온도를 갖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으로서, 열 절연층(5), 상기 열 절연층의 한 측부에 배열된 증기 배리어(2) 층, 및 흡습성 재료(3) 층을 포함하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쉘이 외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증기 배리어(2), 상기 흡습성 재료(3) 층, 및 상기 열 절연 층(5)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상기 층들이 원주위에 배열되며,
    상기 흡습성 재료(3) 층이 상기 증기 배리어(2) 층과 상기 열 절연 층(5) 사이의 원주위에 배열되며,
    상기 흡습성 재료(3)가 상기 증기 배리어(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흡습성 재료(3)가 상기 열 절연층(5)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흡습성 재료(3)와 상기 증기 배리어(2)의 조합체가 상기 열 절연 층(5)에 연결되며,
    상기 흡습성 재료(3) 층이 상기 파이프 쉘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설비 부품의 외측 표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재료(3)가, 용융점 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된 후에, 흡습성 재료(3)를 열 절연층(5)에 노출시키도록 배열되는 열가소성 바인더(4)에 의해 열 절연층(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재료(3)가 열가소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리어(2) 및 흡습성 재료(3)가 라미네이트부(7)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리어(2), 흡습성 재료(3) 및 열가소성 바인더(4)가 라미네이트부(7)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바인더(4)는 두 개 층에 배열될 수 있는데, 두 개의 층 중 하나는 상기 증기 배리어(2)와 흡습성 재료(3) 사이에 배열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흡습성 재료(3)와 열 절연 층(5)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부(7)가, 흡습성 재료(3)를 주위 공기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천공(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재료(5)가 비-연속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바인더(4)가 비-연속 층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절연층(5)은 추가의 흡습성 재료(14,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재료(3)가 증기 배리어(2)의 보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
  13. 삭제
  14. 제 1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리어(2)가 습기 적응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등의 설비부품을 절연하기 위한 파이프 쉘.
  15. 삭제
KR1020067009591A 2003-10-17 2004-10-15 기술 설비 부품용 파이프 쉘 KR101129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302738-0 2003-10-17
SE0302738A SE525985C2 (sv) 2003-10-17 2003-10-17 Isoleringssystem till tekniska installationer
PCT/SE2004/001484 WO2005038330A1 (en) 2003-10-17 2004-10-15 Insulation system for technical install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000A KR20060105000A (ko) 2006-10-09
KR101129761B1 true KR101129761B1 (ko) 2012-03-26

Family

ID=2939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591A KR101129761B1 (ko) 2003-10-17 2004-10-15 기술 설비 부품용 파이프 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607457B2 (ko)
EP (1) EP1687561B1 (ko)
JP (1) JP4708356B2 (ko)
KR (1) KR101129761B1 (ko)
CN (1) CN100451429C (ko)
AT (1) ATE475841T1 (ko)
AU (1) AU2004281354B2 (ko)
BR (1) BRPI0415481A (ko)
CA (1) CA2542294C (ko)
DE (1) DE602004028397D1 (ko)
DK (1) DK1687561T3 (ko)
EA (1) EA008846B1 (ko)
ES (1) ES2349141T3 (ko)
SE (1) SE525985C2 (ko)
WO (1) WO20050383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9812A1 (de) * 2004-12-10 2006-06-29 Ewald Dörken Ag Dampfbremse zum Einsatz in Gebäuden
SE530313C2 (sv) * 2006-09-22 2008-04-29 Saint Gobain Isover Ab Tejp för förslutning av en skarv i ett isoleringssystem, samt metod för förslutning av en dylik skarv
JP4997187B2 (ja) * 2008-06-20 2012-08-08 ニチアス株式会社 保温構造
FI123913B (fi) * 2008-09-23 2013-12-13 Paroc Oy Ab Korroosiolta suojaava putkieristyskouru
SE533541C2 (sv) * 2009-02-04 2010-10-19 Roxtec Ab Smörjning av en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US7914872B2 (en) * 2009-07-23 2011-03-29 Auburn Manufacturing, Inc. Segmented insulative device and related kit
US8039079B2 (en) * 2009-07-23 2011-10-18 Auburn Manufacturing, Inc. Low permeance segmented insulative device and related kit
EP2504631B1 (en) 2009-11-24 2019-04-10 Climate Recovery Ind AB A connecting piece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EP2668435B1 (en) 2011-01-25 2018-03-07 RNS Technologies BV Insulation composition and method to detect water in an insulation composition
US20130213515A1 (en) * 2012-02-22 2013-08-22 Joseph Robert Secoura Insulation members employing standoff surfaces for insulating pipe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US9157566B2 (en) 2012-05-11 2015-10-13 Nomaco Inc. Insulation systems employing expansion features to insulate elongated containers subject to extreme temperature fluctuation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WO2013172971A1 (en) * 2012-05-14 2013-11-21 Federal-Mogul Powertrain, Inc. Thermal textile sleeve having an outer robust metallic layer
CN106414054B (zh) * 2014-05-01 2018-10-12 费德罗-莫格尔动力系有限责任公司 微孔反射性纺织套筒及其制作方法
US10704794B2 (en) * 2015-04-07 2020-07-07 Brown Un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for passively cooling an interior
GB201515381D0 (en) * 2015-08-28 2015-10-14 Proctor Group Ltd A Adhesive tape and uses
WO2018063925A1 (en) * 2016-09-27 2018-04-05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Systems for and methods of differentiating pipe insulation
EP3706885A4 (en) * 2017-11-06 2022-01-12 Sandymount Technologies Corporation FLOW CONTROL IN REVERSE OSMOSIS SYSTEMS WITH A LARGE NUMBER OF TANKS COUPLED IN SERIES
RU204515U1 (ru) * 2020-10-29 2021-05-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Центр"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е изделие с негорючим покрытием для труб
US20240003589A1 (en) * 2022-06-30 2024-01-04 Johns Manville Self-adhering duct insulation produ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5947A1 (en) * 1992-08-31 1994-03-17 Rockwool International A/S Method and apparatus for insulating
JP3366004B2 (ja) * 1990-05-14 2003-01-14 ハイグロウィック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ーペーエス 断熱システム及び斯かる断熱システムを導管又は容器に形成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4967A (en) * 1968-10-08 1971-10-26 Royston Lab Multilayered pipe coatings and coated pipe
FR2563608B1 (fr) * 1984-04-25 1986-11-07 Coflexip Conduite calorifugee pour le transport de fluides
JPH0319677Y2 (ko) * 1986-07-22 1991-04-25
JPH0319676Y2 (ko) * 1986-07-22 1991-04-25
US5104701A (en) * 1987-09-15 1992-04-14 Venture Tape Corp. Insulation with tape adhering surface and tape therefor
CA2032229C (fr) 1989-12-19 2001-10-16 Paolo Baracchini Matelas thermo-isolant en fibres minerales a orientation aleatoire
US5520009A (en) * 1992-08-31 1996-05-28 Rockwool International A/S Method and apparatus for insulating
CN2202880Y (zh) * 1993-12-02 1995-07-05 王俊祥 一种新型的保温风管
DE69501818T2 (de) * 1994-01-14 1998-07-09 Rockwool In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solierung
DE19514420C1 (de) * 1995-04-19 1997-03-06 Fraunhofer Ges Forschung Dampfbremse für den Einsatz zur Wärmedämmung von Gebäuden
EP0855001B1 (en) 1995-10-30 1999-05-06 Hygrowick-International Aps An insulation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an insulation system on a pipe or a container ("insulation system")
CN1097190C (zh) * 1997-08-15 2002-12-25 海戈若维克国际公司 绝热外罩结构,利用该外罩结构的管线和方法
US20010031329A1 (en) * 2000-01-21 2001-10-18 Shaffer Roy E. Unitary vapor retarder for chilled pipe insulation
EP1138996B1 (de) * 2000-03-27 2005-02-16 Aeroflex International Co., Ltd. Isolierelement für Roh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6004B2 (ja) * 1990-05-14 2003-01-14 ハイグロウィック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ーペーエス 断熱システム及び斯かる断熱システムを導管又は容器に形成する方法
WO1994005947A1 (en) * 1992-08-31 1994-03-17 Rockwool International A/S Method and apparatus for insul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07457B2 (en) 2009-10-27
CA2542294A1 (en) 2005-04-28
EA200600789A1 (ru) 2006-10-27
ATE475841T1 (de) 2010-08-15
WO2005038330A1 (en) 2005-04-28
SE525985C2 (sv) 2005-06-07
BRPI0415481A (pt) 2006-12-26
EA008846B1 (ru) 2007-08-31
AU2004281354A1 (en) 2005-04-28
CN1886619A (zh) 2006-12-27
ES2349141T3 (es) 2010-12-28
KR20060105000A (ko) 2006-10-09
SE0302738L (sv) 2005-04-18
EP1687561A1 (en) 2006-08-09
EP1687561B1 (en) 2010-07-28
JP2007508511A (ja) 2007-04-05
JP4708356B2 (ja) 2011-06-22
DE602004028397D1 (de) 2010-09-09
SE0302738D0 (sv) 2003-10-17
CA2542294C (en) 2012-08-21
DK1687561T3 (da) 2010-11-08
US20070017590A1 (en) 2007-01-25
CN100451429C (zh) 2009-01-14
AU2004281354B2 (en) 200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761B1 (ko) 기술 설비 부품용 파이프 쉘
DK164303B (da) Isolering til et roer eller en kanal med en relativ lav overfladetemperatur og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isoleringen
US11940082B2 (en) Insulation product with inward curling closure flap
AU740723B2 (en) Panel-shaped, evacuated molded element, method of thermal insulation and use of the molded element
US7222645B2 (en) Duct insulation having condensate wicking
JP2004360916A (ja) 被覆、繊維質、パイプ断熱材系
CA2398079C (en) Unitary vapor retarder for chilled pipe insulation
WO2015144590A1 (en) Insulation system for a pipe
KR20160146771A (ko) 미세 천공된 반사형 섬유 슬리브 및 이의 제조방법
US11191982B2 (en) Fire-protection element and fire-protection wrap
EP2069679B1 (en) Adhesive tape for sealing a joint in an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such a joint
CZ47395A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 insulation
KR200370481Y1 (ko) 후렉시블닥트 호스
KR20210061291A (ko) 내경 조절형 배관 단열 자재
JPH11101392A (ja) 不燃断熱被覆配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23217Y1 (ko) 덕트(duct)용커버지
JP6004964B2 (ja) 機器の被覆構造、および蒸気タービン
CZ6897U1 (cs) Tepelné izolované potrub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