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587B1 - 배과피를 이용한 고순도 알부틴정제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배과피로부터 정제된 천연알부틴 - Google Patents

배과피를 이용한 고순도 알부틴정제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배과피로부터 정제된 천연알부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587B1
KR101129587B1 KR1020090091077A KR20090091077A KR101129587B1 KR 101129587 B1 KR101129587 B1 KR 101129587B1 KR 1020090091077 A KR1020090091077 A KR 1020090091077A KR 20090091077 A KR20090091077 A KR 20090091077A KR 101129587 B1 KR101129587 B1 KR 101129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butin
purification
solvent
pear
purifica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535A (ko
Inventor
문제학
최한진
이형재
박근영
이상현
김월수
박근형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5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3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5Liquid-liquid separation; Phase sepa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부틴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Pyrus pyrifolia Nakai cv. 'chuwhagbae')과피로부터 알부틴(arbutin; 4-hydroxyphenyl β-D-glucopyranoside)을 고순도로 분리할 수 있는 배과피를 이용한 고순도 알부틴정제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배과피로부터 정제된 천연알부틴에 관한 것이다.
배과피, 알부틴, 정제

Description

배과피를 이용한 고순도 알부틴정제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배과피로부터 정제된 천연알부틴{Isolation Method of Arbutin in High Purity from Extract of Pear Peel and Arbutin Isolated Thereby}
본 발명은 알부틴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Pyrus pyrifolia Nakai cv. 'chuwhagbae')과피로부터 알부틴(arbutin; 4-hydroxyphenyl β-D-glucopyranoside)을 고순도로 분리할 수 있는 배과피를 이용한 고순도 알부틴정제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배과피로부터 정제된 천연알부틴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2차대사 산물로 알려져 있는 페놀성물질은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은 항산화활성에 의하여 사람들의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과일은 페놀성물질의 주요한 공급원이다.
특히 배 과실에는 페놀성 화합물인 클로로겐산, 루틴, 프로시아니딘 및 알부틴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이러한 페놀성 화합물들은 배의 항산화 활성의 주요 원인 물질로 작용(Schieber, A.; Keller, P.; Carle, R. J.; Chromatogr. A, 910, 265-273, 2001)함이 보고되어진 바 있다.
여기서, 알부틴(4-hydroxyphenyl-D-glucopyranoside)은 비당(aglycone)인 hydroquinone(히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퀴놀이라고도 한다. 구조상으로는 p-디하이드록시벤젠이라고 명명된다. 카테콜과 레조르시놀은 수산기 위치만이 다른 이성질체이다.)에 포도당 1개의 1번 탄소가 산소에 의해 β 형태로 에테르(ether)결합된 물질로서, 주근깨와 기미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색소를 만들어내는 효소 "tyrosinase"에 작용해 멜라닌색소의 생산을 강력하게 억제한다.
즉, 태양광선 가운데 자외선이나 스트레스, 대기오염 등에 피부가 노출되면 피부 속에서 프리라디칼인 활성산소가 발생, 그 자극에 의해 멜라노사이트(색소세포)가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멜라노사이트는 멜라닌색소를 만들어내는 원인이 되는 효소 "tyrosinase"의 작용을 활성화시키게 되어 멜라노사이트 안의 tyrosine이 tyrosinase에 의해 멜라닌색소로 변환되어 주근깨와 기미가 생기는데, 알부틴은 tyrosinase(티로시나아제: 산소가 존재하는 곳에서 산화하여 멜라닌을 생성하는 효소)에 직접 작용해 멜라닌색소의 생산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알부틴은 인간의 멜라닌색소의 생합성을 억제(Maeda, K.; Fukuda, M. Fragrance J., 23, 127-132, 1995)하여 우수한 미백효과를 발현하기 때문에 화장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Rychlinska,; I. Gudej, J. Acta Pol. Pharm., 60, 309-312, 2003).
그러나 천연물로부터 알부틴을 정제 또는 단리하는 방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쥬스 등 제조시 가공부산물로 발생하는 배과피 또한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과실 중의 하나인 배(Pyrus pyrifolia Nakai cv. 'chuwhagbae')의 과피로부터 고순도의 알부틴을 정제할 수 있는 고순도알부틴 정제방법 및 그 방법으로 얻어진 천연알부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과피로부터 고순도 알부틴을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정제할 수 있어 정제비용 및 시간이 절감되는 고순도 알부틴 정제방법및 그 방법으로 얻어진 천연알부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산물로 버려지는 배과피를 재활용하여 고부가가치의 알부틴을 정제할 수 있는 고순도 알부틴 정제방법 및 그 방법으로 얻어진 천연알부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백 효과가 뛰어난 알부틴을 고순도일 뿐만 아니라 높은 수율로 확보함으로써 알부틴의 활용성을 높이고, 알부틴을 이용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고순도 알부틴 정제방법 및 그 방법으로 얻어진 천연알부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과피와 알코올을 균질하게 섞 은 후 방치하는 추출단계; 상기 방치물을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농축하는 농축단계; 상기 여과액농축물을 증류수로 현탁한 후 용매분획하여 지용성성분을 제거하는 제거단계; 및 상기 용매분획의 물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물층농축물을 정제하는 정제단계를 포함하는 배과피를 이용한 고순도 알부틴정제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에서 사용되는 알코올은 pH 5이하의 산성을 띄도록 조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에서 상기 방치는 암실에서 20시간 이상 수행되고, 상기 농축단계에서 농축은 감압 농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성분 제거단계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증류수(물층)의 양과 동량이거나 다량이고, 동량인 경우 상기 여과액농축물 1중량부 당 200 내지 300부피비가 사용되며, 상기 용매분획은 2회 이상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용성 성분 제거 단계에서 사용된 상기유기 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는 알코올수용액을 용출용매로 사용하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층의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된 충진제는 Diaion HP-20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알부틴이 용출되는 알코올수용액의 농도는 8~12부피%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는 상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얻어진 용출획분에 대해 분취용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가 추가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량 정제를 위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가 옥타데실실란 컬럼(20 i.d. × 250 mm, 5 μm, Shim-pack PREP-ODS(H)KIT, Shimadzu, Japan)이 연결된 시스템에서 250-300 nm의 파장 및 유속 9.9 mL/min의 조건하에서 수행될 때, t R 15.05-15.20 분에 용출된 피크분이 정제된 알부틴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배과피를 이용한 고순도 알부틴정제방법으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과피로부터 정제된 천연알부틴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알부틴은 상기 배과피 100중량부당 0.045 내지 0.05 중량부가 정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Pyrus pyrifolia Nakai cv. 'chuwhagbae')과피로부터 고순도의 알부틴을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과피로부터 고순도 알부틴을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정제할 수 있어 정제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산물로 버려지는 배과피를 재활용하여 고부가가치 의 알부틴을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백 효과가 뛰어난 알부틴을 고순도일 뿐만 아니라 높은 수율로 확보함으로써 알부틴의 활용성을 높이고, 알부틴을 이용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은 배(Pyrus pyrifolia Nakai cv. 'chuwhagbae')과피의 알코올추출물로부터 고순도의 천연알부틴을 단리, 정제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제방법은 배과피와 알코올을 균질하게 섞은 후 방치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데, 이 추출단계는 배과피와 알코올을 균질화시킨 후 암실 에서 20시간 이상 방치하여 수행되는데,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정도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추출단계에서 사용되는 알코올은 pH 5이하의 산성을 띠도록 조정되는데, 염산(HCl)을 이용하여 pH 3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사용되는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탄올이 고농도(80%)이고 사용되는 배과피가 신선상태의 것을 세절하여 사용하는 경우 배과피 1중량부 당 에탄올 7-13부피비 즉 배과피 1 g당 에탄올 7-13 mL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제방법은 추출단계에서 방치된 방치물을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농축하는 농축단계를 포함한다.
즉 방치된 배과피와 알코올 혼합물을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는데, 감압농축물을 함유하는 용액의 용량은 용액중의 에탄올이 제거 되도록 감압농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제방법은 여과액농축물을 증류수로 현탁한 후 용매분획하여 지용성성분을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포함하는데, 제거단계에서 사용되는 증류수와 유기용매는 동량이고 여과액농축물 1중량부 당 200 내지 300부피비가 사용되며, 용매분획은 2회 이상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사용되는 용매로는 약간의 물에 대한 용해성을 갖고 지용성성분을 용해할 수 있는 공지된 모든 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에틸아세테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지용성 성분 제거단계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가 증류수(물층)의 양보다 다량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제방법은 용매분획의 물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물층농축물 을 정제하는 정제단계를 포함한다.
이 정제단계는 알코올수용액을 용출용매로 사용하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보다 고순도의 천연알부틴을 수득하기 위해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얻어진 용출획분에 대해 분취용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되는 알코올수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수용액이고, 농도는 8~12부피%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약 10부피%이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되는 충진제는 Diaion HP-20이다.
또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가 옥타데실실란 컬럼(20 i.d. × 250 mm, 5 μm, Shim-pack PREP-ODS(H)KIT, Shimadzu, Japan)이 연결된 시스템에서 250-300 nm 의 파장 및 유속 9.9 mL/min의 조건하에서 수행될 때, t R 15.05-15.20 분에 용출된 피크분이 정제된 고순도의 천연알부틴이다.
한편,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배의 외과피(껍질)만을 예시하였으나 내과피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차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여 배과피로부터 고순도의 천연알부틴을 수득하였다.
배(Pyrus pyrifolia Nakai cv. 'chuwhagbae')는 2008년 9월에 전남 나주에서 수확한 것을 수확 당일 과육과 과피를 분리하여 배의 과피만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분리 직후의 배 (추황) 과피(10 g)를 세절 후에 염산(HCl)을 이용하여 pH 3.0으로 조정한 80% EtOH 100 mL를 첨가한 다음, 균질화를 행하고 암실에서 24시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여과 (No. 2, Whatman) 후, 얻어진 여과액을 회전 감압농축을 행하여 농축물을 얻었다.
얻어진 농축물(1.347 g)을 250 mL의 증류수로 현탁 후, 에틸아세테이트 250 mL를 이용하여 물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으로 3회 용매분획함으로써 지용성 성분을 제거하였다.
그 후 용매분획분 중 물층을 취한 후 물층에 공존하는 유리당 등 극성화합물들의 제거를 위해, 얻어진 물층을 감압농축하여 물층농축물을 (1.2 g)얻은 후, 소량으로 물에 용해시켜 Diaion HP-20 (Mitsubishi chemical Industrial, Tokyo, Japan) 컬럼(3.5 × 45 cm)에 charge한 후 물 500 mL를 용출시켰다. 이어 에탄올/물=10:90(v/v) 용액 500 mL를 용출시켰다.
이와 같이 Diaion HP-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10% EtOH 용출획분에서 고농도의 알부틴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용매분획 전의 조추출물인 여과액과 용매분획 후 각 획분중의 알부틴 함량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즉 용매분획 후 배과피로부터 추출된 알부틴이 존재하는 층을 확인하기 위해 용매분획 전의 조추출물인 여과액, 용매분획 후의 물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 중에 함유된 알부틴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 옥타데실실란-80Ts 컬럼(Tosoh, 4.6 i.d. × 250 mm, Japan)이 연결된 시스템에서 280 nm (UVD-170S UV/VIS detector, DIONEX, Germany)의 파장과 유속 1.0 mL/min (p580 pump, DIONEX, Germany)의 조건을 이용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분석을 행하였다. 이동상 조건은 표 1과 같다.
Time
2% AcOH
60% MeOH
100% MeOH
(min)
0
100
0
0
45 0
100
0
55 0 0 100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 후의 각 크로마토그램을 도 2에 도시하였으며, 각 획분에 함유된 알부틴의 함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즉, 용매분획 전 에탄올 추출물 중의 알부틴의 함량을 100%로 하였을 때, 물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에 알부틴이 각각 약 75%와 3.75%가 이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mg/10 g fresh wt. %
배과피 추출물 8.0 100.0
물층 6.0 75.0
에틸아세테이트층 0.3 3.75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용매분획 후 대부분의 알부틴은 수용성 획분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와의 용매분획에 의해 효과적으로 지용성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물층농축물을 정제하여 천연알부틴을 얻기 위해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를 행하였는데, 천연알부틴을 정제하기에 적합한 용출용매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물층농축물에 대해 용출용매로 에탄올수용액을 사용하는데, 에탄올/물의 농도(v/v)를 0:100, 10:90, 20:80, 30:70, 40:60, 50:50, 60:40, 80:20, 100:0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용출시키는 Diaion HP-20 (3.5 × 45 cm, Mitsubishi chemecal Industrial, Tokyo, Japan)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를 행하였다. 각 단계의 용매는 500 mL씩 용출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각 획분들을 대상으로 알부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plate에 spotting한 후, 부탄올/아세틱산/물=4:1:1(v/v/v)을 이용하여 전개한 다음, 요오드로 발색을 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으로부터 10% EtOH 용출획분만이 알부틴 표준품의 R f 값(0.73)과 동일 위치에 spot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그 결과로부터 Diaion HP-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10% EtOH 용출획분에서 고농도의 알부틴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다 정확한 확인을 위해 상술된 조건과 동일한 조건을 이용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품 알부틴(t R 15.13분)과의 비교를 통해 용출위치를 확인한 결과, Diaion HP-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의 용출 획분 중 10% EtOH 획분이 알부틴의 주요 용출위치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여 기기분석에 의해 알부틴을 동정하였다.
즉, 실시예 1에서 얻어진 Diaion HP-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 후의 10% EtOH 용출획분을 대상으로 Prep-HPLC를 행하여 알부틴을 정제한 후, 얻어진 화합물이 알부틴인지 동정하기 위하여 알부틴 표준품과 UV/VIS spectra를 비교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일치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배 과피로부터 단리한 화합물이 알부틴일 가능성이 강하게 시사되었다. 이어 단리된 화합물의 보다 정확한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1H-NMR 분석을 실시하였다.
Varian사의 UNITINOVA 500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1H-NMR (acetone-d 6 ) 분석을 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는데, 단리화합물의 1H-NMR (500 MHz, CD3OD, TMS) data가 기재된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1종의 glucose에 귀속되어지는 7종의 sp 3 carbon proton signals [δ 4.58 (1H, d, J = 7.0 Hz, H-1') 3.87 (1H, br.d, J = 7.0 Hz, H-6'a), 3.69 (1H, dd, J = 5.0, 17.0 Hz, H-6'b), 3.44~3.30 (4H, m, J = 7.0 Hz, H-2', 3', 4', 5')]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각각 2H분의 aromatic carbon proton 유래로 시사되는 2종의 sp 2 carbon proton signals [δ 6.46 (2H, d, J = 9.0 Hz, H-2, 3), 6.69 (2H, d, J = 9.0 Hz, H-5, 6)]가 관찰되었으며, 그 signals의 분열패턴 및 chemical shifts로부터 para 형태의 AA'BB'계의 benzene환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δ 4.58 (H-1)에서 검출된 proton signal의 coupling constant 값(J = 7.0 Hz)으로부터 단리화합물이 glucose와 1,4-dihydroxyphenol이 β형태로 ether결합하고 있는 알부틴일 것으로 강하게 시사되었다. 그래서 시판품(SIGMA)의 알부틴을 단리화합물의 1H-NMR과 동일 조건에서 분석하여 두 화합물의 1H-NMR spectra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였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리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이 표준품 알부틴의 spectrum과 일치함을 알 수 있어,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배과피로부터 정제된 단리화합물을 알부틴으로 동정하였다.
Figure 112009059086089-pat00001
실시예 2
보다 고순도의 천연알부틴을 단리하기 위해 실시예 1에서 얻어진 10% EtOH 용출획분에 대해 분취용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즉 옥타데실실란 컬럼(20 i.d. × 250 mm, 5 μm, Shim-pack PREP-ODS(H)KIT, Shimadzu, Japan)이 연결된 시스템에서 트리플루오르아세틱산을 pH 2.65로 조정한 물(A)과 물/메탄올=50:50 (v/v, B)을 이용하였는데, 즉 A용액을 출발 용출용매로 시작하여 5분동안 85:15 (A:B, v/v)가 되도록 20분동안 유지시키고, 이어 B가 100%가 되도록 한 후, 25분 동안 유지시키는 용출계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280 nm (SPD-M20A, Shimadzu, Japan)의 파장과 유속 9.9 mL/min (LC-6AD, Shimadzu, Japan)의 조건으로 degaser (DGU-20A3, Shimadzu, Japan)가 장착되고, Shimadzu LC Solution의 프로그램이 설치된 분취용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였고,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용출계에 있어 t R 15.13 분에 용출된 피크를 분취하여 천연알부틴화합물(4.8 mg)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예 4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단리 알부틴의 HPLC 분석에 의한 순도확인 실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단리 화합물의 정확한 순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2% 아세틱산을 포함한 물과 60% 메탄올 간에 gradient (45분) 용출법에 의해 옥타데실실란-80Ts 컬럼(Tosho, 4.6 i.d. × 250 mm)을 이용하여 280 nm의 파장으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flow rate 1.0 mL/min)을 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8에 도시하였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얻어진 화합물의 순도가 99%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 과피로부터 고순도 알부틴을 정제하는 방법에 대한 절차도,
도 2는 도 1의 방법을 수행하여 얻어진 배 과피에탄올추출물과 그 용매분획물(물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에 대해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얻어진 알부틴함량 분석결과인 크로마토그램,
도 3은 Diaion HP-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 후에 얻어진 각 용출획분을 대상으로 알부틴의 용출용매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얻어진 알부틴 용출획분을 확인한 크로마토그램,
도 4는 Diaion HP-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 후에 얻어진 각 획분을 대상으로 알부틴의 용출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
도 5는 도 1의 방법을 수행하여 배 과피로부터 단리한 알부틴과 표준품 알부틴의 UV/VIS 비교 스펙트럼,
도 6은 도 1의 방법을 수행하여 배 과피로부터 단리한 알부틴과 표준품 알부틴의 1H-NMR 비교 Spectrum,
도 7은 Diaion HP-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 후에 얻어진 알부틴 함유 10% EtOH획분을 대상으로 분취용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알부틴을 분취한 크로마토그램,
도 8은 분취용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단리된 알부틴의 순도측정을 행한 크로마토그램,
도 9는 배 과피의 에탄올추출물로부터 단리하여 동정된 알부틴의 구조도.

Claims (12)

  1. 배과피와 알코올을 균질하게 섞은 후 방치하는 추출단계;
    상기 방치물을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농축하는 농축단계;
    상기 여과액농축물을 증류수로 현탁한 후 용매분획하여 지용성성분을 제거하는 제거단계; 및
    상기 용매분획의 물층을 농축하여 얻어진 물층농축물을 정제하는 정제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거단계에서 사용되는 증류수와 용매는 동량이고 상기 여과액농축물 1중량부 당 200 내지 300부피비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과피를 이용한 알부틴정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에서 사용되는 알코올은 pH 1 내지 5의 산성을 띠도록 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과피를 이용한 알부틴정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에서 상기 방치는 암실에서 20시간 내지 24시간 수행되고, 상기 농축단계에서 농축은 감압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과피를 이용한 알부틴정제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과피를 이용한 알부틴정제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는 충진제로 Diaion HP-20을 사용하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과피를 이용한 알부틴정제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는 알코올수용액을 용출용매로 사용하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과피를 이용한 알부틴정제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수용액의 농도는 8~12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과피를 이용한 알부틴정제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는 상기 Diaion HP-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얻어진 용출획분에 대해 분취용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과피를 이용한 알부틴정제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가 옥타데실실란 컬럼(20 i.d. × 250 mm, 5 μm, Shim-pack PREP-ODS(H)KIT, Shimadzu, Japan)이 연결된 시스템에서 250-300 nm의 파장 및 유속 9.9 mL/min의 조건하에서 수행될 때, tR 15.05-15.20 분에 용출된 피크분이 정제된 알부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과피를 이용한 알부틴정제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091077A 2009-09-25 2009-09-25 배과피를 이용한 고순도 알부틴정제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배과피로부터 정제된 천연알부틴 KR101129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077A KR101129587B1 (ko) 2009-09-25 2009-09-25 배과피를 이용한 고순도 알부틴정제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배과피로부터 정제된 천연알부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077A KR101129587B1 (ko) 2009-09-25 2009-09-25 배과피를 이용한 고순도 알부틴정제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배과피로부터 정제된 천연알부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535A KR20110033535A (ko) 2011-03-31
KR101129587B1 true KR101129587B1 (ko) 2012-03-28

Family

ID=4393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077A KR101129587B1 (ko) 2009-09-25 2009-09-25 배과피를 이용한 고순도 알부틴정제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배과피로부터 정제된 천연알부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4697B (zh) * 2018-06-05 2020-06-05 安徽龙润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梨树叶中熊果苷的提取与分离方法
KR102491296B1 (ko) * 2021-06-21 2023-01-26 제이엠퍼시픽(주) 배과피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 53: 3882-3887(2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535A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eng et al. Tyrosinase inhibition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Morus australis
Struijs et al. The flavonoid herbacetin diglucoside as a constituent of the lignan macromolecule from flaxseed hulls
Kaur et al. Large scale extraction of the fruits of Garcinia indica for the isolation of new and known polyisoprenylated benzophenone derivatives
KR20080016269A (ko) 고순도의 호노키올, 마그놀올 및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의제조방법
Miles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cis-C8-diol-ester of okadaic acid from Dinophysis acuta in New Zealand
KR101129587B1 (ko) 배과피를 이용한 고순도 알부틴정제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배과피로부터 정제된 천연알부틴
US20030185921A1 (en) Compounds and compositions derived from oliv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22215441A1 (ja) 新規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
KR100313323B1 (ko) 작약씨로부터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방법
KR101605128B1 (ko) 둘시스플라반 함유 배과피농축액 및 상기 배과피농축액을 이용한 둘시스플라반정제방법
KR100363111B1 (ko) 감태로부터 분리된 신규 물질, 이의 추출 및 정제방법, 및항산화제로 사용하는 용도
KR101178500B1 (ko) 불등가사리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알츠하이머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844088B2 (ja) チロシナーゼ活性抑制剤
KR20010098012A (ko) 감태로부터 분리된 신규 물질, 이의 추출 및 정제방법, 및항산화제로 사용하는 용도
KR101838025B1 (ko) 천연알부틴 단리방법
WO2022254867A1 (ja) 新規フェニルプロパノイド化合物
Hang et al. Biflavones and megastigmane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Antidesma bunius.
KR101467605B1 (ko) 신규의 다프난 디테르펜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330137B1 (ko) 트리테르펜계 지질과산화 저해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0966837B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쿠마로일 화합물
JP7297890B2 (ja) 植物のカルス培養液を用いた二量体スチルベンの生産方法
KR100262383B1 (ko) 베타그루코갈린 화합물의 항산화제로서의 용도 및 그의분리, 정제방법
KR20010008772A (ko) 히스피딘계 활성산소소거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1558526B1 (ko) 붉은싸리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0933963B1 (ko) 복분자 와인으로부터 분리한 신규물질들 및 그 분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