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325B1 -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325B1
KR101129325B1 KR1020110045747A KR20110045747A KR101129325B1 KR 101129325 B1 KR101129325 B1 KR 101129325B1 KR 1020110045747 A KR1020110045747 A KR 1020110045747A KR 20110045747 A KR20110045747 A KR 20110045747A KR 101129325 B1 KR101129325 B1 KR 101129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lever
wick
heat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일
임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11004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325B1/ko
Priority to PCT/KR2011/004924 priority patent/WO2012157809A1/ko
Priority to JP2014510229A priority patent/JP5758047B2/ja
Priority to CN201180070785.4A priority patent/CN103518101B/zh
Priority to ES11179929.2T priority patent/ES2671903T3/es
Priority to EP11179929.2A priority patent/EP25251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02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 F24C5/04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wick type
    • F24C5/06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wick type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23D3/24Carriers for wicks
    • F23D3/26Safety devices there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23D3/28Wick-adjus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3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combustion gas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027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mechanical means, e.g. using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23N5/247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1/00Fail safe
    • F23N2231/30Representation of working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히터 내부의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량 또는 온도, 또는 히터의 사용 시간을 설정하여 설정 조건을 벗어나게 될 경우 점화되어 있는 심지를 자동으로 내려가게 함으로써, 히터를 자동으로 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이산화탄소에 의한 산소 결핍 현상이나 일산화탄소에 의한 가스 질식 사고도 방지할 수 있으며, 발생 가능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of heater}
본 발명은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 내부의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량 또는 온도, 또는 히터의 사용 시간을 설정하여 설정 조건을 벗어날 경우에 자동으로 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지를 이용한 히터는 석유, 난방유 등의 액상으로 이루어진 화석 연료를 이용하며, 이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히터는 주로 심지에 연료를 흡수시켜 직접 연소시키거나 아니면 버너에 의하여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히터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소통의 내부에 심지가 설치되고, 상기 연소통의 상부에 방열통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바, 연소실 내에 노출되어 있는 심지의 상단부에 연소통의 일측에 설치된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점화시킬 경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통기공으로부터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연소실로 유입되어 연소가 촉진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의 히터는 사용자가 소화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여 소화를 하게 된다.
그런데, 만일에 사용자가 히터를 켜놓은 채로 외출을 하거나 잠이 들 경우, 불필요한 연료의 소모를 막을 수 없으며,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0982803호(2010. 9. 10 등록)의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는 타이머와 축 연결된 회전기어수단과, 상기 회전기어수단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탄성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탄성회동수단으로 이루어진 타이머구동부가 포함된다.
그런데, 상기 타이머구동부인 회전기어수단 및 탄성회동수단은 복수의 기어조립체들이 연결되어 작동하고, 복잡한 기계식 조립체로 이루어져 있어 타이머의 설정 시간에 대한 오차가 20%를 초과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더러, 컴팩트한 설계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부품의 증가로 인해 불량률 발생 빈도가 높아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터 내부의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량 또는 온도, 또는 히터의 사용 시간을 설정하여 설정 조건을 벗어났을 경우에 점화되어 있는 심지를 자동으로 내려가게 하되, 구동장치부를 간단한 전동식 구조로 전환시킴으로써, 종래의 타이머구동부의 설정 시간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컴팩트한 외형 설계를 가능토록 할 뿐만 아니라, 부품의 감소로 인해 불량률 발생 빈도를 현저히 감소시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는,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 센서(30) 또는 온도 센서(40)로 이루어진 감지수단과, 심지를 승하강시키는 심지 승하강장치의 심지 구동축(25) 사이에 연계되어 작동하는 복수개의 조립체들로 이루어진 연계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감지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심지(2)를 자동으로 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연계작동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의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진동모터(15)와; 상기 진동모터(15)의 편심력이 전달되어 레버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브라켓(16)으로 이루어진 구동장치부(10); 및,
상기 구동장치부(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되,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력을 구속하는 래칫수단과; 상기 래칫수단과 상호작용하여 심지 구동축(25)을 회동시키는 심지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종동장치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감지수단은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 센서, 온도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복합적으로 병행하여 사용하거나 각각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진동모터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종동장치부의 래칫수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작동레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칫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종동장치부(20)의 회전력이 구동장치부로 리턴되도록 하는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칫수단은, 상기 심지 구동축(25)에 축고정되는 래칫기어(23); 및, 래칫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래칫기어(23)의 기어이에 맞물려 래칫기어(23)의 회전을 구속하는 브라켓 래칫(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래칫기어에 고정되는 리턴레버; 및, 상기 브라켓 래칫에 고정되며, 상기 리턴레버의 작동력을 부여받는 탄성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라켓 래칫의 종동레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레버의 누름 동작에 의한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진동모터의 전원에 오프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복원수단의 작동에 의해 종동레버의 누름 동작이 해제될 경우 스위치 레버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진동모터에 전원 인가를 가능토록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에 의하면, 구동장치부를 간단한 전동식 구조로 전환시켜 기존의 타이머구동부의 설정 시간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외형 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부품의 감소로 인해 불량률 발생 빈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의 작동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의 구동장치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의 구동장치부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의 구동장치부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부를 포함한 종동장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의 작동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의 구동장치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지(2)에 연료를 흡수시킨 다음, 이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히터에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 센서(30), 온도 센서(40) 등과 같은 각종 센서로 이루어진 감지수단 또는 타이머(13)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장치를 적용하게 된다.
이러한 감지수단 또는 타이머(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가지의 구성을 복합적으로 병행하여 사용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단독으로 사용(도면에서는 타이머(13)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 센서(30), 온도 센서(40) 등의 감지수단이 각각 히터 내부의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량 또는 온도 등과 같은 설정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를 벗어나게 되거나, 상기 타이머(13)가 히터 사용에 대한 설정 완료 시간에 도달하게 될 경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 소화장치의 구동장치부(10)가 작동함으로써 점화되어 있는 심지(2)가 자동으로 내려가는 것으로 히터를 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히터를 자동으로 소화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 센서(30), 온도 센서(40), 타이머(13) 중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머(13)를 채택하여 작성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13)와 심지(2)를 승하강시키는 심지 승하강장치의 조작레버(미도시) 사이에 연계되어 작동하는 상기 자동 소화장치는, 상기 타이머(13)의 구동력이 연계작동수단인 복수개의 조립체들에 전달되는 구동장치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구동장치부(10)에 구비된 작동레버(17)의 타격에 의하여 그 힘이 복수개의 조립체들에 전달되고, 그 전달된 힘에 의하여 심지(2)가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종동장치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소화장치를 히터의 특정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미도시)를 갖는 판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1)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일측에 구비되어 타이머 구동축(131)을 공유하는 타이머(13)는 통상적으로 태엽을 사용하는 것과 소형 전동기를 사용하는 구동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타이머(13)는 희망하고자 하는 시각을 상기 태엽 또는 전동기를 이용하여 설정 시, 태엽 또는 전동기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사용자에게 설정 완료 시간을 알려주는 장치로서, 히터 사용에 대한 설정 완료 시간에 도달하게 될 경우에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모터인 진동모터(15)를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진동 발생원으로 이용되는 상기 진동모터(15)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 상에 설치된 상태로, 자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 일측에 작동레버(17)를 갖는 브라켓 조립체(bracket assembly)로 이루어진 회전 브라켓(16)의 상단부에 진동모터(15)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모터(15)와 회전 브라켓(16)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레버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17)의 반대편에 위치한 회전 브라켓(16) 일측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162)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부재(162)는 상기 회전 브라켓(16)과 함께 작동레버(17)가 진동모터(15)의 원심력에 의해 회전할 경우에 레버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원활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진동모터(15)는 모터축(151)에 편심추(152)가 장착되어 회전자(미도시)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편심추(152)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진동을 일으키게 하는 모터로서,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의해 회전할 경우 상기 모터축(151)의 편심추(152)에 의해 자체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진동모터(15)의 모터축(151)에 장착된 편심추(152)의 원심력, 즉 편심력이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게 될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모터(15)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회전 브라켓(16)은 진동모터(15)의 편심력에 의해 레버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진동모터(15)가 편심추(152)의 편심력에 의해 레버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회전 브라켓(16)의 작동레버(17) 또한 반시계 방향, 즉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구동장치부(10)는 타이머(13)의 설정 완료 시간 도달 시에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모터(15)의 편심력을 작동레버(17)까지 전달하는 구성으로, 종래의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의 연동 가능한 복수개의 기어 조립체들이 연속적으로 회전 작동하면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한 기계식 구조를 대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17)와 평행하게 스위치 레버(181)가 배치되어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18)가 회전 브라켓(16)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8)는 히터의 소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브라켓 래칫(22)의 탄성플레이트(224)와 연동하는 종동레버(221)의 누름 동작에 의해 작동레버(17)가 초기 상태로 복귀 시 함께 연동하는 스위치 레버(181)의 탄성 조작에 의한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진동모터(15)의 전원에 오프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오프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진동모터(15)에 정지 명령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심지 승하강장치의 조작레버(미도시)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이와 연동하는 브라켓 래칫(22)의 종동레버(221)가 상승하여 누름 동작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스위치 레버(181)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진동모터(15)에 전원 인가를 가능토록 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모터(15)에 대한 전원 인가 가능 상태라 함은, 상기 제어부가 타이머(13)의 설정 완료 시간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를 비롯한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 센서(30), 온도 센서(40) 등의 감지수단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히터 내부의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량 또는 온도 등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레버(181)는 상기 작동레버(17)와 같이 레버 회전축(161)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 변형되면서 스위치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그 일측에는 제1탄성부재(162)와 연결된 스프링연결부(171)가 구비되고, 그 타측에는 종동장치부(20)에 구비되어 있는 브라켓 래칫(22)의 일측을 타격하는 타격부(17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구동장치부(10)는 타이머(13)의 회전 구동력을 작동레버(17)까지 전달하는 구성으로, 연동 가능한 조립체가 연속적으로 회전 작동하면서 상기 회전 구동력을 종동장치부(2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종동장치부(20)는 복수의 조립체들로 이루어져 베이스 브라켓(21)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1)에는, 래칫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기 작동레버(17)에 접촉하는 종동레버(221)가 구비되는 동시에, 타측에는 후술하는 래칫기어(23)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래칫수단에서의 폴(pawl) 기능을 갖는 핀부(222)를 구비한 브라켓 래칫(22)이 상기 래칫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래칫(22)에는, 후술하는 심지 구동축(25)과 서로 이웃하여 직교하며 서로 마주보는 역 'U'자형의 절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플레이트(2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탄성플레이트(224)의 일측 플레이트 면은 상기 브라켓 래칫(22)의 종동레버(221) 후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 플레이트 면은 후술하는 래칫기어(23)의 배면에 형성된 리턴레버(231)와 접촉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턴레버(231)와 함께 회동하면서 상기 브라켓 래칫(22)의 핀부(222)에 의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심지(2)를 승하강시키는 조작레버(미도시)와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래칫기어(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래칫수단으로서의 래칫기어(23)는 연소통(1)의 내부에서 심지(2)를 수동으로 승하강시키는 조작레버(미도시)와 연결되는 심지 구동축(25) 선상에 일체로 축고정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 래칫(22)에 구비된 핀부(222)의 구속 작용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래칫기어(23)는 상기 핀부(222)에 의해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구속된다.
이때, 상기 래칫기어(23)의 하단부에는 상기 핀부(222)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절개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동 소화장치의 작동이 완료되어 심지 구동축(25)이 초기상태로 복귀할 경우 상기 핀부(222)는 상기 래칫기어(23)의 절개부(232)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종동레버(221)가 작동레버(17)를 최하단까지 누르는 상태가 된다.
이에 반해, 상기 핀부(222)가 상기 조작레버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래칫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상기 종동레버(221)가 상승하면서 마이크로 스위치(18)와의 누름 동작에 의한 접촉을 해제하게 되므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스위치 레버(181)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진동모터(15)에 전원 인가를 가능토록 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심지 구동축(25)이 래칫기어(23)와 더불어 일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감김 방향으로 작용하여 그 회전 방향의 역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심지구동수단인 제2탄성부재(24)가 상기 심지 구동축(25)에 권취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2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단이 심지 구동축(25) 상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심지 구동축(25)에 인접한 베이스 브라켓(21)의 고정체(211)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탄성부재(24)는 심지 구동축(25)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기거나 풀려 그 직경이 변하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심지 구동축(25)이 회전 가능한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그 심지 구동축(25)에 고정된 제2탄성부재(24)는 그 역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상기 래칫기어(23)가 브라켓 래칫(22)의 핀부(222)에 의하여 구속되지 않을 경우, 심지 구동축(25)은 제2탄성부재(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 방향의 역방향으로 신속하게 자유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통(1) 내에 심지(2)를 승하강시키는 심지 구동축(25)에 의한 작동 구성은 이미 공지된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 관계 및 연결 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자동 소화장치에 의하여 심지(2)가 내려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히터가 소화될 경우, 자동 소화장치는 그 구동장치부(10) 및 종동장치부(20)에 구성된 조립체들의 작동 순서에 대한 역순으로 구동하여 초기 상태로 재설정 가능토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 소화장치가 초기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원수단은, 상기 래칫기어(23)의 배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래칫기어(23)가 브라켓 래칫(22)의 핀부(222)에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심지 구동축(25)에 고정된 제2탄성부재(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래칫기어(23)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플레이트(224)에 순간적으로 추력을 부여하는 리턴레버(231)이다.
상기 리턴레버(231)는 상기 심지 구동축(25)에 직교하는 탄성플레이트(224)의 타측 플레이트 면에 순간적인 추력을 주게 되며, 상기 탄성플레이트(224)의 일측 플레이트 면은 브라켓 래칫(22)과 함께 래칫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의 작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의 구동장치부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의 구동장치부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부를 포함한 종동장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먼저, 심지 구동축(25)에 결합되어 심지(2)를 승하강시키는 심지 승하강장치의 조작레버(미도시)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심지(2)를 연소통(1) 위로 승강시킨 후, 상기 심지(2)에 불을 붙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심지 구동축(25)에 권취되어 있는 제2탄성부재(24)는 감김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그 반대 방향으로 리턴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제2탄성부재(24)의 리턴력을 구속하는 수단으로 심지 구동축(25)에 인접하게 구성된 브라켓 래칫(22)은, 그 브라켓 래칫(22)에 구비된 핀부(222)가 상기 심지 구동축(25)에 축고정된 래칫기어(23)의 기어이에 맞물려 고정되면서 상기 래칫기어(23)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은 래칫기어(23)의 구속상태에서, 초기 연속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타이머(13)의 조작레버(미도시)를 통하여 사용 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시간이 설정이 완료된 타이머(13)는 태엽 또는 전동기에 의해 천천히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타이머(13)가 설정 완료 시간에 도달할 경우, 그 완료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도 7의 진동모터(15)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구동 신호를 전송받은 진동모터(15)는 편심추(152)가 회전하면서 자체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편심추(152)의 편심력이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게 될 경우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모터(15)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회전 브라켓(16)은 진동모터(15)의 편심력에 의해 레버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작동레버(17)가 회전하여 상승하게 된다.
여기까지는 구동장치부(10)의 작동을 설명한 것이며, 다음으로는 종동장치부(2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17)가 브라켓 래칫(22)의 일측, 즉 종동레버(221)를 타격하게 되면 상기 브라켓 래칫(22)은 래칫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칫기어(23)의 회전을 구속하고 있는 브라켓 래칫(22)의 핀부(222)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래칫기어(23)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래칫기어(23)의 구속이 해제될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탄성부재(24)의 리턴력에 의하여 심지 구동축(25)에 축고정되어 있는 래칫기어(2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배면에 고정된 리턴레버(231)는 래칫기어(23)와 연동하면서 브라켓 래칫(22)의 탄성플레이트(224)에 누름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심지 승하강장치의 심지 구동축(2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심지(2)가 연소통(1) 내에서 하강하면서 소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히터의 소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래칫(22)의 탄성플레이트(224)에 상기 리턴레버(231)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브라켓 래칫(22)이 초기 작동 방향의 역방향으로 래칫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초기 작동과 반대로 작동레버(17)에 추력을 부여하게 되며, 상기 작동레버(17)는 초기 상태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진동모터(15) 또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자동 소화장치가 초기 설정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진동모터(15)는 상기 브라켓 래칫(22)의 종동레버(221)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스위치 레버(181)를 눌러주게 되면 진동모터(15)의 전원에 오프 신호가 인가되어 회전 작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후, 심지 승하강장치의 조작레버(미도시)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절개부(232)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 있는 브라켓 래칫(22)의 핀부(222)는 래칫기어(23)의 간섭에 의해, 다시 하강하면서 브라켓 래칫(22)의 종동레버(221)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스위치 레버(181)가 다시 원상태로 상승하여 복귀되면서 진동모터(15)는 전원 인가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구동장치부 11 : 베이스플레이트
13 : 타이머 131 : 타이머 구동축
15 : 진동모터 151 : 모터축
152 : 편심추 16 : 회전 브라켓
161 : 레버 회전축 162 : 제1탄성부재
17 : 작동레버 171 : 스프링연결부
172 : 타격부 18 : 마이크로 스위치
181 : 스위치 레버 20 : 종동장치부
21 : 베이스 브라켓 211 : 고정체
22 : 브라켓 래칫 221 : 종동레버
222 : 핀부 223 : 래칫 회전축
224 : 탄성플레이트 23 : 래칫기어
231 : 리턴레버 232 : 절개부
24 : 제2탄성부재 25 : 심지 구동축
30 :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 센서 40 : 온도 센서

Claims (5)

  1.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 센서(30) 또는 온도 센서(40)로 이루어진 감지수단과, 심지를 승하강시키는 심지 승하강장치의 심지 구동축(25) 사이에 연계되어 작동하는 복수개의 조립체들로 이루어진 연계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감지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심지(2)를 자동으로 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연계작동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의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진동모터(15)와; 상기 진동모터(15)의 편심력이 전달되어 레버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브라켓(16)으로 이루어진 구동장치부(10); 및,
    상기 구동장치부(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되,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력을 구속하는 래칫수단과; 상기 래칫수단과 상호작용하여 심지 구동축(25)을 회동시키는 심지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종동장치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 센서(30), 온도 센서(40)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복합적으로 병행하여 사용하거나 각각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라켓(16)은 상기 진동모터(15)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종동장치부(20)의 래칫수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작동레버(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종동장치부(20)의 회전력이 구동장치부(10)로 리턴되도록 하는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수단은, 상기 심지 구동축(25)에 축고정되는 래칫기어(23); 및,
    래칫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래칫기어(23)의 기어이에 맞물려 래칫기어(23)의 회전을 구속하는 브라켓 래칫(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래칫기어(23)에 고정되는 리턴레버(231); 및,
    상기 브라켓 래칫(22)에 고정되며, 상기 리턴레버(231)의 작동력을 부여받는 탄성플레이트(224)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라켓 래칫(22)의 종동레버(22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레버(221)의 누름 동작에 의한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진동모터(15)의 전원에 오프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복원수단의 작동에 의해 종동레버(221)의 누름 동작이 해제될 경우 스위치 레버(181)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진동모터(15)에 전원 인가를 가능토록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KR1020110045747A 2011-05-16 2011-05-16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KR101129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747A KR101129325B1 (ko) 2011-05-16 2011-05-16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PCT/KR2011/004924 WO2012157809A1 (ko) 2011-05-16 2011-07-06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JP2014510229A JP5758047B2 (ja) 2011-05-16 2011-07-06 ヒータ用自動消火装置
CN201180070785.4A CN103518101B (zh) 2011-05-16 2011-07-06 取暖器用自动灭火装置
ES11179929.2T ES2671903T3 (es) 2011-05-16 2011-09-02 Aparato para extinguir automáticamente un calentador
EP11179929.2A EP2525147B1 (en) 2011-05-16 2011-09-02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tinguishing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747A KR101129325B1 (ko) 2011-05-16 2011-05-16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9325B1 true KR101129325B1 (ko) 2012-03-26

Family

ID=4467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747A KR101129325B1 (ko) 2011-05-16 2011-05-16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525147B1 (ko)
JP (1) JP5758047B2 (ko)
KR (1) KR101129325B1 (ko)
CN (1) CN103518101B (ko)
ES (1) ES2671903T3 (ko)
WO (1) WO20121578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2516A1 (en) 2014-09-30 2016-04-06 Paseco Co., Ltd. Heater having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7552A (zh) * 2013-09-29 2014-02-05 王波兰 电暖器控制系统
US10408471B1 (en) 2016-12-28 2019-09-10 Lionel Lanouette Wireless carbon monoxide furnace shutoff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2407A (ja) 1981-10-09 1983-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石油燃焼器
KR950010474Y1 (ko) * 1993-04-15 1995-12-14 박범규 가스밸브 개폐장치
JP2006207978A (ja) 2005-01-31 2006-08-10 Toyotomi Co Ltd 石油燃焼器の安全装置
KR100982803B1 (ko) * 2009-12-08 2010-09-20 주식회사 파세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4211A (en) * 1981-04-02 1982-10-08 Shizuko Maruyama Wick elevational movement type petroleum stove with automatic odorless fire extinguisher
JPS61130707A (ja) * 1984-11-29 1986-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灯芯式石油燃焼器の吸臭制御装置
JPS61184316A (ja) * 1985-02-07 1986-08-18 Sharp Corp 石油燃焼器の臭気低減装置
JP2555008B2 (ja) * 1985-04-19 1996-11-20 松下電工株式会社 タイマ−回路
JPH02110203A (ja) * 1988-10-18 1990-04-23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芯上下式石油ストーブ
KR100381256B1 (ko) * 2000-06-09 2003-04-23 주식회사 파세코 자동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2407A (ja) 1981-10-09 1983-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石油燃焼器
KR950010474Y1 (ko) * 1993-04-15 1995-12-14 박범규 가스밸브 개폐장치
JP2006207978A (ja) 2005-01-31 2006-08-10 Toyotomi Co Ltd 石油燃焼器の安全装置
KR100982803B1 (ko) * 2009-12-08 2010-09-20 주식회사 파세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2516A1 (en) 2014-09-30 2016-04-06 Paseco Co., Ltd. Heater having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20160038975A (ko) 2014-09-30 2016-04-08 주식회사 파세코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KR101615748B1 (ko) * 2014-09-30 2016-04-27 주식회사 파세코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25147A3 (en) 2016-01-06
CN103518101A (zh) 2014-01-15
JP5758047B2 (ja) 2015-08-05
JP2014517902A (ja) 2014-07-24
WO2012157809A1 (ko) 2012-11-22
EP2525147A2 (en) 2012-11-21
EP2525147B1 (en) 2018-02-14
CN103518101B (zh) 2016-01-27
ES2671903T3 (es)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325B1 (ko)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WO2012092863A1 (zh) 一种具有旋钮嵌套式渐进火力调节器的燃气灶
KR100982803B1 (ko)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JP4023207B2 (ja) 調理器
JP3541275B2 (ja) 自動消火装置
CN103363556B (zh) 用于加热器的自动关断装置
CN218209680U (zh) 一种安全型打火机
JPH0627563B2 (ja) 液体燃料燃焼器の芯昇降装置
TWM347542U (en) Knob-type igniter of gas cooking device
JP2006207978A (ja) 石油燃焼器の安全装置
KR101133667B1 (ko) 열풍기의 가스밸브 안전장치
JPS58182036A (ja) 電気ヒ−タ付石油スト−ブ
JPS5812035Y2 (ja) セキユネンシヨウキグノアンゼンソウチ
KR101774226B1 (ko) 자동 소화장치를 포함하는 히터
KR100358411B1 (ko) 자동소화장치
JP6044273B2 (ja) 自動小燃焼機構付き石油燃焼機
JP3871795B2 (ja) 加熱調理器の自動消火装置
CN206163343U (zh) 点火开关装置及使用其的燃气取暖器
EP0719985B1 (en) Oil burner of the automatic combustion reduction type
JP2015034666A (ja) 石油ストーブ
JP3127189B2 (ja) ガスコンロの器具栓
JP2871376B2 (ja) 自動小燃焼芯下機構付石油燃焼器
JPS6137933Y2 (ko)
JPS61110816A (ja) 芯上下式石油スト−ブ
JP2871377B2 (ja) 自動小燃焼芯下機構付石油燃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