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975A -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 Google Patents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975A
KR20160038975A KR1020140131363A KR20140131363A KR20160038975A KR 20160038975 A KR20160038975 A KR 20160038975A KR 1020140131363 A KR1020140131363 A KR 1020140131363A KR 20140131363 A KR20140131363 A KR 20140131363A KR 20160038975 A KR20160038975 A KR 20160038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wick
ventilation cap
automatic fire
temperatur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5748B1 (ko
Inventor
홍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140131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748B1/ko
Priority to ES15002299T priority patent/ES2794098T3/es
Priority to EP15002299.4A priority patent/EP3002516B1/en
Priority to CN201510510678.9A priority patent/CN105465826B/zh
Publication of KR2016003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3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combustion gas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23D3/24Carriers for wicks
    • F23D3/26Safety devices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23D3/28Wick-adjus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027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23N5/247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02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 F24C5/04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wick type
    • F24C5/06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wick type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탱크를 포함하는 히터 본체; 상기 히터 본체에 고정되고, 상단이 개방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단에 개구가 형성된 중공의 공기통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과 공기통 사이에서 심지를 승강시키는 심지 승강유닛; 상기 심지 승강유닛의 상단에 배치되는 연소통; 상기 공기통의 상단 개구를 개폐하는 통기 캡; 상기 통기 캡의 바닥면에 상기 공기통의 중공에 면하도록 설치되는 온도감지유닛; 및, 상기 온도감지유닛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심지를 하강 이동시키는 자동 소화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심지의 불꽃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온도감지유닛이 불꽃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Heater comprising automatic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의 연소중 바람(외부 환경) 및 자체 과열에 의해 과대염 발생시 자동으로 소화시키도록 하는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지를 이용한 히터는 석유나 난방유 등 액상으로 이루어진 화석 연료를 연소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히터는 주로 심지에 연료를 흡수시켜 직접 연소시키거나 아니면 버너에 의하여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심지에 연료를 흡수하여 연소시키는 경우, 히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연소통의 내부에 심지가 설치되고, 심지 승강유닛의 상부에 연소통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연소통 내에 노출되어 있는 심지에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점화시키면 히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통기 구멍으로부터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연소통으로 유입되어 연소가 촉진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의 히터는 사용자가 소화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여 소화를 하게 된다.
그런데, 만일 사용자가 히터를 켜놓은 채로 외출을 하거나 잠이 들 경우, 불필요한 연료의 소모를 막을 수 없으며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료가 불완전 연소하는 경우 실내에 이산화탄소나 일산화탄소가 확산될 수 있었으며, 이 경우 밀폐된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타이머나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 센서 등에 의해 설정치 이상의 값이 검출되는 경우 자동으로 소화되도록 하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히터는 환기를 위한 자연바람이나 선풍기 바람과 같은 인공바람에 노출되는 경우 또는 제품 자체의 과열에 의해 순간적으로 또는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과대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에 의해 열반사부 등에 그을음이 발생하거나 불꽃이 과대하게 높아져 화재 또는 화상 등의 위험성이 상존했다.
그러나, 종래의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에는 불꽃이 향하는 방향으로 온도감지유닛이 설치될 뿐이어서 평상시 불꽃의 온도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따라 정작 실제 과대염이 발생할 경우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29325호(2012.03.15)_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본 발명의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를 위한 자연바람이나 선풍기 바람과 같은 인공바람에 노출되는 경우 또는 제품 자체의 과열에 의해 순간적으로 또는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과대염이 발생하는 경우 불꽃의 방향에 대하여 반대쪽에 온도감지유닛을 설치하여 불꽃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는,
연료탱크를 포함하는 히터 본체;
상기 히터 본체에 고정되고, 상단이 개방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단에 개구가 형성된 중공의 공기통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과 공기통 사이에서 심지를 승강시키는 심지 승강유닛;
상기 심지 승강유닛의 상단에 배치되는 연소통;
상기 공기통의 상단 개구를 개폐하는 통기 캡;
상기 통기 캡의 바닥면에 상기 공기통의 중공에 면하도록 설치되어 불꽃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쪽에 위치하는 온도감지유닛; 및,
상기 온도감지유닛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심지를 하강 이동시키는 자동 소화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기 캡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기 캡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 다리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온도감지유닛은 상기 고정판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다리의 상단은 상기 통기 캡에 형성된 통기공에 끼워져 절곡되는 것에 의해 상기 통기 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기 캡은 위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은 상기 통기 캡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감지유닛이 통기 캡의 바닥면에 공기통의 중공에 면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심지의 불꽃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온도감지유닛이 불꽃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감지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은 통기 캡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기 캡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다리의 상단은 상기 통기 캡에 형성된 통기공에 끼워져 절곡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을 상기 통기 캡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이미 형성된 통기공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을 통기 캡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고정을 위한 추가 비용의 부담이 없고, 상호 분리가 가능하므로 유지보수 및 온도감지유닛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통기 캡, 지지 프레임 및 온도감지유닛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상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분해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통기 캡, 지지 프레임 및 온도감지유닛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1000)는, 연료탱크(110)를 포함하는 히터 본체(100), 상기 히터 본체(100)에 고정되고, 상단이 개방된 외통(310)과 상기 외통(310)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단에 개구(321)가 형성된 중공의 공기통(320)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310)과 공기통(320) 사이에서 심지(330)를 승강시키는 심지 승강유닛(300), 상기 심지 승강유닛(300)의 상단에 배치되는 연소통(400), 상기 공기통(320)의 상단 개구(321)를 개폐하는 통기 캡(500), 상기 통기 캡(500)의 바닥면에 상기 공기통(320)의 중공에 면하도록 설치되어 불꽃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쪽에 위치하는 온도감지유닛(600) 및, 상기 온도감지유닛(60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심지(330)를 하강 이동시키는 자동 소화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감지유닛(600)이 상기 통기 캡(500)의 바닥면에 상기 공기통(320)의 중공에 면하도록 설치되어, 심지(330)가 상승한 상태에서 불꽃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온도감지유닛(600)이 상기 불꽃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최소화된다.
환기를 위한 자연바람이나 선풍기 바람과 같은 인공바람에 노출되는 경우, 또는 제품 자체의 과열에 의해 순간적으로 또는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과대염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연소통(400) 내부가 과열되기 때문에 상기 연소통(400) 하부의 과열된 온도가 온도감지유닛(600)에 의해 감지되며, 설정온도 이상의 값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신호가 상기 자동 소화장치(200)에 전달되어 작동됨으로써 소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온도감지유닛(600)은 지지 프레임(700)을 매개로 상기 통기 캡(5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상기 온도감지유닛(600)이 연소통(400)으로부터 가급적 멀리 떨어지게 하여 과대염으로 인한 과열에 의해 직접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 프레임(700)은 상기 통기 캡(5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고정판(710)과, 상기 고정판(710)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기 캡(50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 다리(7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온도감지유닛(600)은 적당한 체결수단(770)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700)의 고정판(710)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온도감지유닛(600)은 설정온도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바이메탈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공지된 일반적인 온도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 다리(7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판(71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온도감지유닛(600)이 밀폐되지 않아 한층 정확한 온도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 다리(720)의 상단은 상기 통기 캡(500)에 형성된 통기공(510)에 끼워져 절곡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700)이 상기 통기 캡(5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 형성된 통기공(510)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700)을 상기 통기 캡(500)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고정을 위한 추가 비용 부담이 없고, 상호 분리가 가능하므로 유지보수 및 온도감지유닛(600)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물론, 상기 지지 프레임(700)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통기 캡(5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통기 캡(500)은 위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710)은 상기 통기 캡(500)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위쪽으로 볼록한 형상의 상기 통기 캡(500)의 둘레 측면(520)에 관통 형성된 보조 통기공(521)을 통해 유입된 과대염의 열이 상기 온도감지유닛(600)을 손상시키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소화장치(200)는, 상기 온도감지유닛(60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연소통(400) 하부, 공기통(320)에 형성된 중공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의 값일 때 감지신호가 전달되어 자동으로 불꽃을 소화하는 장치이다.
다소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도 1에 도시한 심지 구동축(210)을 회전시켜서 심지(330)를 상승시킨 후 점화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고, 사용시 과대염이 발생할 경우 상기 온도감지유닛(600)으로부터 상기 자동 소화장치(200)로 신호가 전달되어 자동 소화장치(20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심지 구동축(210)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역회전시켜서 심지를 하강 및 소화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자동 소화장치(200)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29325호에 개시된 장치와 동일한 것으로, 그 작동방법 역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 자동 소화장치(200)는 공지된 그 밖의 구조와 작동방법의 장치가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히터 본체
200... 자동 소화장치
310... 외통
320... 공기통
330... 심지
400... 연소통
500... 통기 캡
600... 온도감지유닛
700... 지지 프레임
710... 고정판
720... 지지 다리
1000... 히터

Claims (4)

  1.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에 있어서,
    연료탱크를 포함하는 히터 본체;
    상기 히터 본체에 고정되고, 상단이 개방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단에 개구가 형성된 중공의 공기통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과 공기통 사이에서 심지를 승강시키는 심지 승강유닛;
    상기 심지 승강유닛의 상단에 배치되는 연소통;
    상기 공기통의 상단 개구를 개폐하는 통기 캡;
    상기 통기 캡의 바닥면에 상기 공기통의 중공에 면하도록 설치되어 불꽃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쪽에 위치하는 온도감지유닛; 및,
    상기 온도감지유닛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심지를 하강 이동시키는 자동 소화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캡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기 캡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 다리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온도감지유닛은 상기 고정판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의 상단은 상기 통기 캡에 형성된 통기공에 끼워져 절곡되는 것에 의해 상기 통기 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캡은 위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은 상기 통기 캡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KR1020140131363A 2014-09-30 2014-09-30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KR101615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363A KR101615748B1 (ko) 2014-09-30 2014-09-30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ES15002299T ES2794098T3 (es) 2014-09-30 2015-08-02 Calentador con extintor automático
EP15002299.4A EP3002516B1 (en) 2014-09-30 2015-08-02 Heater having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N201510510678.9A CN105465826B (zh) 2014-09-30 2015-08-19 具有自动熄火器的加热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363A KR101615748B1 (ko) 2014-09-30 2014-09-30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975A true KR20160038975A (ko) 2016-04-08
KR101615748B1 KR101615748B1 (ko) 2016-04-27

Family

ID=5396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363A KR101615748B1 (ko) 2014-09-30 2014-09-30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002516B1 (ko)
KR (1) KR101615748B1 (ko)
CN (1) CN105465826B (ko)
ES (1) ES279409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4832A1 (en) 2018-04-18 2019-10-24 Key Safety Systems, Inc. Automatic fire suppress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952U (ko) * 1985-06-28 1987-02-20 주식회사 금성사 석유스토브의 자동소화장치
KR200202470Y1 (ko) * 2000-03-23 2000-11-15 주식회사아이씨에프 좌우 수평측정 골프 퍼터 및 연습기구
KR100982803B1 (ko) * 2009-12-08 2010-09-20 주식회사 파세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KR101129325B1 (ko) 2011-05-16 2012-03-26 주식회사 파세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5436A (en) * 1978-08-28 1979-11-27 Burlington Industries, Inc. Wet/dry bulb hygrometer with automatic wick feed
JPS602823A (ja) * 1983-06-17 1985-0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装置
NO166895C (no) * 1985-04-30 1991-09-11 Toyotomi Kogyo Co Ltd Sikkerhetsanordning for oljebrenner.
KR930003262B1 (ko) * 1987-05-12 1993-04-2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석유연소기의 심지상하동장치
KR0178312B1 (ko) * 1995-12-14 1999-03-20 배순훈 팬히터의 안전장치
JPH1038670A (ja) * 1996-07-17 1998-02-13 Alps Electric Co Ltd 感震・転倒検出器
KR100849941B1 (ko) * 2008-04-29 2008-08-01 원우이에프엔지니어링주식회사 열 및 연기 화재감지장치 복합시험기
KR20120137084A (ko) * 2011-06-10 2012-12-20 이승수 멜로디 양초
KR101235687B1 (ko) * 2012-03-30 2013-02-21 주식회사 파세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KR101225542B1 (ko) * 2012-04-19 2013-01-23 주식회사 파세코 전도방지장치가 장착된 히터
CN203735471U (zh) * 2014-03-14 2014-07-30 川渝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气流控制升降式火焰加热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952U (ko) * 1985-06-28 1987-02-20 주식회사 금성사 석유스토브의 자동소화장치
KR200202470Y1 (ko) * 2000-03-23 2000-11-15 주식회사아이씨에프 좌우 수평측정 골프 퍼터 및 연습기구
KR100982803B1 (ko) * 2009-12-08 2010-09-20 주식회사 파세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KR101129325B1 (ko) 2011-05-16 2012-03-26 주식회사 파세코 히터용 자동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65826B (zh) 2017-12-01
CN105465826A (zh) 2016-04-06
EP3002516A1 (en) 2016-04-06
ES2794098T3 (es) 2020-11-17
EP3002516B1 (en) 2020-04-08
KR101615748B1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2543B1 (en) Water heater with pressurized combustion
US5838243A (en) Combination carbon monoxide sensor and combustion heating device shut-off system
US9228746B2 (en) Heating device having a secondary safety circuit for a fuel lin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2516986A (ja) 煙道ガス分析安全装置
JP5079861B2 (ja) ガスコンロ
KR101615748B1 (ko) 자동 소화장치를 구비한 히터
US20110277706A1 (en) Gas-fired heating device having a thermopile
JP5828935B2 (ja) ガスコンロ
KR101332988B1 (ko) 레인지 후드장치
KR101360077B1 (ko) 과열방지장치를 구비한 가스렌지
CN105737213A (zh) 具有防烫提示功能的燃气灶
KR20200011146A (ko) 보일러실 일산화탄소 배출 시스템
KR200433367Y1 (ko) 스탠드 난로
KR20190072717A (ko) 가열식 가습기
CN210688710U (zh) 防干烧节能型燃气采暖热水炉
KR960009751Y1 (ko) 가스보일러의 자동소화장치
JPS6146365Y2 (ko)
JP6591914B2 (ja) 換気制御システム
CN207006135U (zh) 酒精灯
JP2563836B2 (ja) ロースターにおける安全装置
KR20230129277A (ko) 스택 레인지
KR101395939B1 (ko) 촛대
KR20190089240A (ko) 가열식 가습기
JPH0134004Y2 (ko)
JPS61334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