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717A - 가열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열식 가습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2717A KR20190072717A KR1020170173716A KR20170173716A KR20190072717A KR 20190072717 A KR20190072717 A KR 20190072717A KR 1020170173716 A KR1020170173716 A KR 1020170173716A KR 20170173716 A KR20170173716 A KR 20170173716A KR 20190072717 A KR20190072717 A KR 201900727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mbustion gas
- burner
- gas
- water he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가열식 가습기는, 가스 흡입구; 버너; 물 가열부; 증기 배출구; 버너에 의해 연소된 공기가 이동하는 연소가스 배출관; 연소가스 배출관의 단부에 위치하고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소가스 배출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버너에서 연소되고, 버너에서 연소되는 가스의 열기에 의해 물 가열부가 가열되고, 물 가열부에서 가열된 물이 증기가 된 후 증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연소가스 배출구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주방 환풍기의 환기통로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열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연소를 통해 물을 가열하는 가열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습기 종류로는 가열식 가습기, 초음파 가습기, 복합 가습기, 자연방식 가습기 등이 있다.
가열식 가습기는 물을 끓여서 습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의 가습기인데, 세균 발생의 위험성이 적은 장점이 있지만, 전기료가 너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초음파 가습기는 초음파 진동으로 물을 입자 형태로 만들어 공기 중에 분무하는 형태이다. 전기료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지만 세균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복합식 가습기는 가열 과정을 거친 후 초음파 진동으로 습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가열식 가습기의 장점(세균 발생 억제)와 초음파 가습기의 장점(적은 전기료)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완전한 것은 아니다. 즉 수조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세균이 공기 중에 일부 방출되는 현상이 존재한다.
자연방식 가습기는 필터를 물에 적셔서 증발 현상에 의해 가습하는 장치이다. 세균 발생의 가능성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제품 자체가 무겁고 팬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 곳에 집중 가습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만일 가열식 가습기를 가스 연소에 의해 구현한다면, 전기료보다 가스비가 저렴하므로, 비용을 줄이면서도 세균 걱정이 없는 가습기가 될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가스 연소를 이용한 가열식 가습기의 예이다.
그러나 가열식 가습기를 가스 연소에 의해 구현하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산소농도가 줄어든다. 따라서 실내 내부 공기를 환기시켜야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그런데 실내 공기 환기를 하면, 내부의 습기가 빠져나가게 되므로, 가열식 가습기의 효율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균 발생의 위험성이 없는 가열식 가습기를 적은 비용에 의해 구현하면서도 실내 공기 오염의 위험성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한 가열식 가습기는, 가스 흡입구; 버너; 물 가열부; 증기 배출구; 버너에 의해 연소된 공기가 이동하는 연소가스 배출관; 연소가스 배출관의 단부에 위치하고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소가스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버너에서 연소되고, 버너에서 연소되는 가스의 열기에 의해 물 가열부가 가열되고, 물 가열부에서 가열된 물이 증기가 된 후 증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연소가스 배출구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주방 환풍기의 환기통로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열식 가습기는, 가스 흡입구; 버너; 물 가열부; 증기 배출구; 버너에 의해 연소된 공기가 이동하는 연소가스 배출관; 연소가스 배출관의 단부에 위치하고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소가스 배출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버너에서 연소되고, 버너에서 연소되는 가스의 열기에 의해 물 가열부가 가열되고, 물 가열부에서 가열된 물이 증기가 된 후 증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연소가스 배출구는 주방 환풍기의 환기 통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 가열부에는 상기 연소가스 배출관이 통과하고, 버너에 의해 연소된 가스는 상기 연소가스 배출관을 거쳐서 연소 가스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의 물와 상기 물 가열부는 수로 연결부가 있어서, 상기 수로 연결부를 통해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이 상기 물 가열부로 공급되고, 상기 수로 연결부는 물 가열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서, 물 가열부에서 가열된 물이 수로 연결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열식 가습기는 가스레인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식 가습기는 상기 물가열부를 둘러싸는 단열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식 가습기는 상기 증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증기 배출구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식 가습기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식 가습기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식 가습기는, 적은 비용에 의해 실내 공기에 가습을 할 수 있으면서도 실내 공기 오염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열식 가습기의 구성도
도 2는 연소가스 배출구를 주방 환풍기의 환풍 통로에 직접 연결한 모습
도 3은 연소가스 배출구를 주방 환풍기 필터의 아래에 위치시킨 모습
도 4는 연소가스 배출구를 주방 환풍기의 환풍 통로에 직접 연결한 상태에서 연소가스 배출관에 일방향 밸브를 설치한 모습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식 가습기에 가스레인지가 설치된 모습의 예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2는 연소가스 배출구를 주방 환풍기의 환풍 통로에 직접 연결한 모습
도 3은 연소가스 배출구를 주방 환풍기 필터의 아래에 위치시킨 모습
도 4는 연소가스 배출구를 주방 환풍기의 환풍 통로에 직접 연결한 상태에서 연소가스 배출관에 일방향 밸브를 설치한 모습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식 가습기에 가스레인지가 설치된 모습의 예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열식 가습기의 구성도이다.
가스 흡입구(110)를 통해 가스(예를 들면, 도시가스)가 공급되고, 버너(120)에서 가스가 배출되면서 연소된다.
스파크 발생기(130)에서는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이고, 밸브(140))는 가스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이다.
버너(120)에서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밸브(140)를 열어서 가스가 통과하도록 허용하면서, 스파크 발생기(130)에서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스파크 발생기(130)은 가스 점화를 위한 것이므로 점화기라고 부를 수도 있다.
즉, 버너(120)에서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밸브(140)를 열어서 가스를 공급하면서, 스파크 발생기(130)로 스파크를 발생시켜 불을 붙이고 가스를 지속적으로 연소시킨다.
가스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불꽃은 물 가열부(220) 내부의 물을 가열시킨다.
물 가열부(220)는 물 저장부(210)와 수로 연결부(23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물 저장부(210)에 저장된 물이 수로 연결부(230)를 통해 물 가열부(220)에 공급된다. 물 가열부(220)는 물 저장부(210)와 수로 연결부(2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물 가열부(220)는 물 저장부(210)는 거의 동일한 수위를 유지한다. 따라서 물 가열부(220) 안의 물이 가열되어 기화되면, 물 저장부(210)의 물이 계속 물 가열부(210)으로 공급된다.
가열된 물은 가열되기 전의 물보다 밀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수로 연결부(230)가 물 가열부(220)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면, 물 가열부에서 가열된 물이 수로 연결부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 가열부(220)의 물이 아무리 가열되더라도 물 저장부(210)의 물은 가열되지 않으므로, 버너(120)에서 연소된 열은 물 가열부(220)의 물을 끓이는 것에만 이용된다.
도 1에서, 물 가열부(220)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증기 배출구(270)를 통해 배출된다. 증기 배출구에는(270)에는 증기 배출구 덮개(280)을 씌울 수도 있다. 증기 배출구 덮개(280)는 외부에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서 빠져나가는 증기가 분산되어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배기 배출구(270)의 크기보다 증기 배출구 덮개(280)의 공기 배출 면적이 더 크다면 빠져 나가는 증기가 분산되어 증기의 속도가 느려지므로, 배출되는 증기에 의해 사람이 화상당할 위험성이 적어진다.
버너(120)에 의해 연소된 공기는 연소가스 배출관(240)을 통과한 후, 연소가스 배출구(250)을 통해 배출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연소가스 배출관(240)의 아래 부분은 물 가열부(220)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물 가열부(220)는 단열재(26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연소가스 배출관(240)의 아래 부분은 물 가열부(220)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므로, 연소가스의 열기는 물 가열부(220)에 의해 흡수된다.
물 가열부(220)는 단열재(260)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므로, 물 가열부(220)의 열기는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물 가열부(220) 내부의 물을 끓이는 것에만 사용된다.
도 1에서는 물가열부(220)과 단열재(260)이 각각 2개로 분리된 것처럼 그려져 있으나, 이것은 단면도를 그렸기 때문이며, 입체적으로 그리면 1개로 연결되어 있다. 즉 입체적으로 그리면, 물가열부(220)과 단열재(260)은 원통형 또는 원뿔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도 1에서, 연소가스 배출구(250)은 주방환풍기(300)에 연결되어 있다.
주방 환풍기(300)는 주방에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로서, 음식 조리시에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음식 조리시 주방에서 발생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설비이다. 주방 환풍기(300)는, 일반적으로, 환풍팬(320), 환풍팬이 설치되는 환풍팬 입구(330), 환풍팬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빠져나가는 주방 환풍기의 환풍 통로(310), 주방 환풍기 하부에 설치되는 주방 환풍기 필터(34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연소가스 배출구(250)는 환풍팬 입구(330)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완전하게 연결된 것으로 아니고 그 연결부의 하부는 일부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환풍팬이 회전할 때, 주방 환풍기 필터(340)을 통해 주방의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다. 즉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다.
연소가스 배출구(250)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일반 공기보다 온도가 높아 가벼워서 위로 이동하려고 하므로, 환풍팬(320)이 회전하지 않더라도 주방 환풍기의 환풍 통로(310)로 이동하게 된다.
도 1의 연소가스 배출구(250)은 환풍팬 입구(330)에 연결되지 않고, 주방 환풍기의 환풍 통로(31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는 연소가스 배출구를 주방 환풍기의 환풍 통로에 직접 연결한 모습이다.
또한 도 1이나 도 2와 같이, 연소가스 배출구(250)를 설치할 경우, 연소가스 배출구(250)이 주방 환풍기 필터(340)를 관통해야 하므로, 주방 환풍기 필터(340)의 모양을 변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주방 환풍기 필터(340) 모양의 변형을 않기를 원한다면, 연소가스 배출구(250)를 주방 환풍기 필터(340)의 아래에 밀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연소가스 배출구를 주방 환풍기 필터의 아래에 위치시킨 모습이다.
이렇게 연소가스 배출구(250)를 연소가스 배출구(250)를 주방 환풍기 필터(340)의 아래에 밀착하여 설치하면, 주방 환풍기 필터(340) 모양의 변형을 않으면서도, 배출된 연소가스의 대부분이 주방 환풍기의 환풍 통로(310)로 빠져나가게 된다. 연소가스 배출구(250)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일반 공기보다 온도가 높아 가벼워서 위로 이동하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연소가스 배출구(250)를 주방 환풍기의 환기 통로(310)에 연결한다는 것의 의미는, 도 2와 같이 직접 연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 1 또는 도 3과 같이 연결하는 것도 포함한다. 즉 연소가스 배출구(250)를 통해 나온 연소가스의 대부분이 주방 환풍기의 환기 통로(310)로 이동한다면, 연결되어 있다고 표현한다.
도 2에서, 버너(12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환풍팬(320)을 돌리면, 환풍팬에 의해 밀려들어온 공기가 연소가스 배출구(250)를 통해서 아래로 역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일방향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연소가스 배출구를 주방 환풍기의 환풍 통로에 직접 연결한 상태에서 연소가스 배출관에 일방향 밸브를 설치한 모습이다.
도 4에서, 연소가스 배출구(250)의 아래쪽에는 일방향 밸브(255)가 설치되어 있다. 일방향 밸브는, 공기가 어느 특정한 방향으로 흐를 때에는 열리지만, 공기가 다른 방향으로 흐를 때는 닫히는 밸브이다.
따라서 도 4에서, 공기가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흐를 때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지만, 공기가 도 4의 화살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흐를 때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따라서 버너(12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환풍팬(320)을 돌리더라도, 환풍팬에 의해 밀려들어온 공기가 연소가스 배출구(250)를 통해서 아래로 역류할 가능성이 없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식 가습기를 주방에 두면, 주방이 복작해 보이고 심미적으로 나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주방에는 가스레인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발명의 가열식 가습기를 가스 레인지와 결합된 형태로 설치한다면, 주방이 복잡해 보이지 않고 심미적으로도 좋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식 가습기에 가스레인지가 설치된 모습의 예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서, 가습기 몸체(100) 안에 버너(120), 스파크 발생기(130), 물 저장부(210), 물 가열부(220) 등의 장치가 모두 들어 있다. 다만, 연소가스 배출관(240), 증기 배출구 덮개(180) 등은 가습기 몸체(10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가스레인지(400)는 가스레인지 화구(410)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가스레인지를 의미하는데, 도 5와 도 6에서는 가습기 몸체(100)의 상부에 가스레인지(4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주방이 복잡해 보이지 않고 심미적으로도 좋다.
또한 일반적인 주방에서, 가스레인지 상부에 주방 환풍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도 5와 같이 가스 레인지가 결합된 가열식 가습기를 설치하면, 연소가스 배출관(240)을 주방 환풍기의 환풍 통로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열식 가습기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여 가열식 가습기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목표 습도를 설정한 후 가열식 가습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습도가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고, 가습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을 때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열식 가습기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집안에 있는 와이파이 공유기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만일 본 발명의 가열식 가습기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집에 들어오기 전(예를 들면 1시간 전)에 외부에서 가열식 가습기를 작동하여 집에 들어왔을 때 최적의 습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열식 가습기가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고, 가스레인지도 포함하고 있다면, 통신부의 기능은 가스 레인지를 제어하는 것에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레인지의 조작부에 각도 측정 센서를 설치하면 가스 레인지를 켜 두었는지를 각도 측정 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만일 일정 사간(예를 들면, 1시간) 이상 동안, 가스 레인지가 켜져 있으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경고 신호가 가고, 사용자가 가스레인지를 꺼기를 원하면, 스마트폰으로 가스레인지를 끌 수도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가스 레인지의 가스 밸브도 원격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100: 가습기 몸체
110: 가스 흡입구
120: 버너
130: 스파크 발생기
140: 밸브
210: 물 저장부
220: 물 가열부
230: 수로 연결부
240: 연소가스 배출관
250: 연소가스 배출구
255: 일방향 밸브
260: 단열재
270: 증기 배출구
280: 증기 배출구 덮개
300: 주방 환풍기
310: 주방 환풍기의 환풍 통로
320: 환풍팬
330: 환풍팬 입구
340: 주방 환풍기 필터
400: 가스레인지
410: 가스레인지 화구
110: 가스 흡입구
120: 버너
130: 스파크 발생기
140: 밸브
210: 물 저장부
220: 물 가열부
230: 수로 연결부
240: 연소가스 배출관
250: 연소가스 배출구
255: 일방향 밸브
260: 단열재
270: 증기 배출구
280: 증기 배출구 덮개
300: 주방 환풍기
310: 주방 환풍기의 환풍 통로
320: 환풍팬
330: 환풍팬 입구
340: 주방 환풍기 필터
400: 가스레인지
410: 가스레인지 화구
Claims (9)
- 가스 흡입구;
버너;
물 가열부;
증기 배출구;
버너에 의해 연소된 공기가 이동하는 연소가스 배출관;
연소가스 배출관의 단부에 위치하고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소가스 배출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버너에서 연소되고,
버너에서 연소되는 가스의 열기에 의해 물 가열부가 가열되고,
물 가열부에서 가열된 물이 증기가 된 후 증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연소가스 배출구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주방 환풍기의 환기통로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가습기.
- 가스 흡입구;
버너;
물 가열부;
증기 배출구;
버너에 의해 연소된 공기가 이동하는 연소가스 배출관;
연소가스 배출관의 단부에 위치하고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소가스 배출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버너에서 연소되고,
버너에서 연소되는 가스의 열기에 의해 물 가열부가 가열되고,
물 가열부에서 가열된 물이 증기가 된 후 증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연소가스 배출구는 주방 환풍기의 환기 통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가습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물 가열부에는 상기 연소가스 배출관이 통과하고
버너에 의해 연소된 가스는 상기 연소가스 배출관을 거쳐서 연소 가스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열식 가습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의 물와 상기 물 가열부는 수로 연결부가 있어서, 상기 수로 연결부를 통해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이 상기 물 가열부로 공급되고,
상기 수로 연결부는 물 가열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서, 물 가열부에서 가열된 물이 수로 연결부로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가습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가스레인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가습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물가열부를 둘러싸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가습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증기 배출구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가습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가습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가습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3716A KR20190072717A (ko) | 2017-12-17 | 2017-12-17 | 가열식 가습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3716A KR20190072717A (ko) | 2017-12-17 | 2017-12-17 | 가열식 가습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2717A true KR20190072717A (ko) | 2019-06-26 |
Family
ID=6710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3716A KR20190072717A (ko) | 2017-12-17 | 2017-12-17 | 가열식 가습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7271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68329A (zh) * | 2020-10-27 | 2021-01-26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直供式加湿供水装置、加湿设备及加湿设备的供水控制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6274A (ko) | 1996-10-08 | 1998-07-15 | 김광호 | 가습기 |
-
2017
- 2017-12-17 KR KR1020170173716A patent/KR20190072717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6274A (ko) | 1996-10-08 | 1998-07-15 | 김광호 | 가습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68329A (zh) * | 2020-10-27 | 2021-01-26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直供式加湿供水装置、加湿设备及加湿设备的供水控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67708B2 (en) | Gas-fired heater with carbon dioxide detector | |
KR101271748B1 (ko) | 펠렛난로 | |
US20170363326A1 (en) | Portable heater with environmental sensors | |
US20170363327A1 (en) | Vent-free heater with environmental sensors | |
KR20190072717A (ko) | 가열식 가습기 | |
US20230296282A1 (en) | Humidifier with flame-like vapor | |
KR20190089240A (ko) | 가열식 가습기 | |
CN101178184A (zh) | 自抽油烟燃气灶 | |
EP3045814B1 (en) | Collective concentric flue duct | |
CN115682065A (zh) | 集成灶蒸汽排放控制方法和集成灶 | |
JP2006138603A (ja) | ガスコンロ | |
KR101548084B1 (ko) | 오븐 | |
TWM497751U (zh) | 自動排風系統及藍芽無線排風裝置 | |
CN208566689U (zh) | 一种便于通风燃气燃烧器 | |
JP3041437U (ja) | 小型燃焼装置 | |
SE2350026A1 (en) | A burner apparatus for a gas appliance, a gas applian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 |
KR20210028662A (ko) | 실내용 난로 겸 보일러 | |
TWI480494B (zh) | Gas furnace and its combustion control method | |
CN201184621Y (zh) | 自抽排油烟燃气灶 | |
KR101363221B1 (ko) | 이중벽을 가진 역순환식 목화난로 | |
KR20050042119A (ko) | 건강 레인지후드 | |
JP2002048412A (ja) | 燃焼式暖房機 | |
JPS6119335Y2 (ko) | ||
JPS6256406B2 (ko) | ||
JPH0240936B2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