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654B1 - 지엽류 취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지엽류 취출 방법, 및 지엽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지엽류 취출 방법, 및 지엽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654B1
KR101127654B1 KR1020097005212A KR20097005212A KR101127654B1 KR 101127654 B1 KR101127654 B1 KR 101127654B1 KR 1020097005212 A KR1020097005212 A KR 1020097005212A KR 20097005212 A KR20097005212 A KR 20097005212A KR 101127654 B1 KR101127654 B1 KR 101127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take
paper sheet
paper
taken 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383A (ko
Inventor
유우스께 미쯔야
유끼오 아사리
나루아끼 히라미쯔
데쯔오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040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2Suction bands, belts, or tables moving relatively to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18Modifying or stopping actuation of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5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stream of articles separated from each other
    • B65H2301/4452Regulating space between separ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3Rotary suction means, e.g. roller, cylinder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2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65H2511/514Particular portion of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10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10Speed
    • B65H2513/11Speed 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20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30Forces; Stresses
    • B65H2515/34Pressure, e.g.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3Parts concerned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701/131Edges
    • B65H2701/1311Edges lead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3Parts concerned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701/131Edges
    • B65H2701/1313Edges trail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6Envelopes and articles of 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엽류의 겹침 이송을 방지할 수 있어 갭을 원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는 지엽류 취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취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취출 장치(1)는 취출 위치(20)로 우편물(P)을 공급하는 공급 기구(30), 취출 위치(20)로부터 우편물(P)을 취출하는 취출 기구(3), 및 반송로(101) 상에 취출된 우편물(P)을 받아들여 반송하는 반송 기구(7)를 갖는다. 반송 기구(7)에 의해 우편물(P)의 선단부를 끼움 지지했을 때, 진공 펌프(33)의 흡착 동작을 정지하여 취출 벨트(34)의 주행 속도를 감속한다. 또한, 센서(16)에서 우편물(P)을 검지했을 때, 취출 벨트(34)를 정지한다.
공급 기구, 취출 기구, 반송 기구, 우편물, 취출 벨트

Description

지엽류 취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지엽류 취출 방법, 및 지엽류 처리 방법 {SHEETS RETRIEVING DEVICE, SHEETS HANDLING DEVICE, SHEETS RETRIEVING METHOD, AND SHEETS HANDLING METHOD}
본 발명은 집적 상태의 지엽류를 1매씩 반송로 상에 취출하는 지엽류 취출 장치, 이 지엽류 취출 장치를 구비한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취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집적 상태의 복수매의 지엽류를 1매씩 반송로 상에 취출하는 지엽류 취출 장치로서, 집적 방향 일단부에 있는 지엽류에 취출 롤러를 구름 접촉시켜 회전시킴으로써 당해 지엽류를 집적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면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장치에서는, 집적 방향 일단부의 지엽류가 취출된 후, 집적한 복수매의 지엽류를 집적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부의 지엽류를 항상 취출 롤러에 접촉하는 취출 위치로 공급한다. 또한, 이와 같은 종류의 취출 장치는, 예를 들어 복수통의 우편물을 검사하여 종류 구별하는 우편물 처리 장치 등에 조립된다.
이 취출 장치는, 취출 롤러에 의해 반송로 상에 취출되는 지엽류에 딸려 나와 버리는 2매째 이후의 지엽류를 분리하는 분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분리 기구는, 반송로 상에 취출되는 지엽류에 대해 취출 롤러와 동일한 측에서 취출 롤 러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이송 롤러, 및 이 이송 롤러에 대해 반송로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대향 배치된 분리 롤러를 갖는다. 지엽류가 반송로 상에 없는 경우, 분리 롤러는 이송 롤러에 압박 접촉되어 있다.
이송 롤러는,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를 순방향으로 보내도록 회전한다. 한편, 분리 롤러는, 이송 롤러와의 사이에 1매의 지엽류가 개재되는 경우나 지엽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이송 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동시에, 복수매의 지엽류가 겹친 상태에서 반송로 상에 취출되어 이송 롤러와의 사이를 통과할 때에는, 분리 롤러측의 2매째 이후의 지엽류에 대해 취출 방향과는 역방향의 분리력을 부여한다. 이에 의해, 2매째 이후의 지엽류에 제동이 걸려 1매째의 지엽류와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취출 롤러, 이송 롤러, 및 분리 롤러는, 고무 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지엽류에 대해 마찰력을 작용시켜 반송력을 부여한다. 이로 인해, 롤러의 고체차, 시간 경과에 따른 마모, 오염 등에 의해 지엽류에 작용시키는 마찰력에 변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지엽류의 표면의 상태에 따라서는 고무 롤러와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을 발생시킨다. 즉, 종래 고무 롤러를 사용한 취출 장치에서는, 지엽류의 취출, 분리, 반송을 고정밀도로 원하는 상태로 제어할 수는 없었다.
특히, 상술한 종래 취출 장치에서는, 취출 롤러가 항상 일정 속도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취출되는 지엽류 사이에 갭은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매의 지엽류가 겹쳐 취출된 경우도, 분리 롤러에 의해 부여되는 분리력에 의해 분리된 지엽류는, 즉시 정규의 방향으로 반송이 개시되기 때문에, 지엽류 사이에 거 의 갭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상술한 종래 취출 장치에서는, 지엽류를 반송로 상에 분리하여 취출한 후, 지엽류의 반송 속도를 단계적으로 바꿈으로써 갭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방법으로는 지엽류 사이의 갭을 원하는 값으로 제어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한, 집적된 지엽류를 취출부에 의해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의 겹침 이송을 검출하는 겹침 이송 검출부를 설치하고, 이 겹침 이송 검출부에 의해 겹침 이송이 검출된 복수매의 겹침 이송 지엽류를 서로 분리하는 분리부를 더 설치하고, 겹침 이송 검출부에서 겹침 이송을 검출했을 때, 취출부에서의 지엽류의 취출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취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지엽류 분리 반송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2에는, 또한 제어부는 제1 지엽류와 제2 지엽류 사이에 속도차를 발생시켜 양자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취지를 개시하고는 있으나, 갭 길이를 넓게 혹은 좁게 하는 구체적인 방책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편, 반송로 상에 연속하여 취출하는 시트(지엽류)의 반송 갭을 적정값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각 반송 갭의 실측 데이터를 평균화하여 이 평균 데이터를 미리 준비한 이론 데이터(목표값)와 비교하고, 평균 데이터가 이론 데이터보다 큰 경우에 반송 갭을 좁히도록 시트의 취출 타이밍을 빠르게 하고, 평균 데이터가 이론 데이터보다 작은 경우에 반송 갭을 넓히도록 시트의 취출 타이밍을 느리게 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즉, 이 장치에서는, 시트를 취출할 때에 일정한 반송 갭을 부여하여 취출 타이밍을 제어하고, 시트를 취출한 후, 각 시트 사이의 반송 갭을 실측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 결과를 목표값과 비교하여 시트의 취출 타이밍을 보정하는 귀환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따르면, 반송 갭의 평균값을 목표값으로 수렴시킬 수 있는 반면, 시트의 취출시에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쇼트 갭을 보정할 수는 없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34186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322727호 공보(도 3, [0015] [0016] 단락)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엽류의 겹침 이송을 방지할 수 있어 반송 중의 선행하는 지엽류와 후속의 지엽류 사이의 갭을 원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는 지엽류 취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취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지엽류 취출 장치는, 겹침 방향 일단부의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당해 지엽류를 면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기구와,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해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를 받아들여 끼움 지지 구속하여 더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가 상기 반송 기구에 전달되어 끼움 지지 구속된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부와, 상기 제1 검지부로부터 지엽류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지엽류를 검지하는 제2 검지부와,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검지부에 이르는 상기 반송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들 사이의 갭을 검지하는 갭 센서와, 상기 취출 기구의 회전 속도를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한 반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제어하고,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를 상기 제1 검지부에서 검지했을 때, 상기 취출 기구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고, 또한 상기 갭 센서에 의해 상기 지엽류와 후속의 지엽류 사이의 갭을 검출하지 않고 상기 제2 검지부를 통해 상기 지엽류를 검지했을 때, 상기 취출 기구의 회전 속도를 더 감속시키는 제어부를 갖는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된 지엽류를 끼움 지지 구속하여 반송하는 반송 기구에 지엽류가 전달되었을 때, 취출 기구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취출 위치에 있는 지엽류에 대해 취출 방향과 역방향으로 제동을 걸 수 있어, 지엽류의 겹침 이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동을 건 후, 후속의 지엽류 사이에 갭이 형성되지 않고 당해 지엽류가 또한 일정 거리만큼 반송되어 제2 검지부에서 검지되었을 때에는, 취출 기구를 더 감속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후속의 지엽류에 대해 취출 방향과는 역방향의 보다 강한 제동을 걸 수 있어, 겹침 이송 지엽류를 분리하는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엽류 취출 장치는, 겹침 방향 일단부의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접촉하여 면 방향으로 주행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취출 벨트와, 상기 취출 벨트를 가변속으로 주행시키는 모터와, 상기 취출 벨트의 상기 취출 위치와 반대인 이면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다수의 구멍을 통해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부압을 작용시켜 상기 취출 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인부와, 상기 취출 벨트에 흡착되어 상기 취출 위치의 취출 방향 하류측으로 연장된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를 받아들여 끼움 지지 구속한 상태에서 더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가 상기 반송 기구에 받아들여져 지지 구속된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부와, 상기 제1 검지부로부터 지엽류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지엽류를 검지하는 제2 검지부와,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검지부에 이르는 상기 반송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들 사이의 갭을 검지하는 갭 센서와, 상기 취출 벨트의 주행 속도를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한 반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제어하고,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의 반송 방향 선단부를 상기 제1 검지부에서 검지했을 때, 상기 취출 위치에 작용하는 부압을 적어도 감소시키도록 상기 흡인부에 의한 흡인 동작을 제어함과 함께 상기 취출 벨트의 주행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갭 센서에 의해 상기 지엽류와 후속의 지엽류 사이의 갭을 검출하지 않고 상기 제2 검지부를 통해 상기 지엽류의 반송 방향 선단부를 검지했을 때, 상기 부압을 증가시켜 상기 취출 벨트의 주행 속도를 더 감속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반송 기구에 지엽류의 반송 방향 선단부가 받아들여져 끼움 지지 구속되었을 때, 취출 벨트의 주행 속도를 감속하는 동시에 흡인부에 의한 흡인력을 약하게 하도록 했기 때문에, 선행하는 지엽류가 반송 기구에 전달된 후, 취출 벨트에 의해 취출 위치의 지엽류에 부여되는 반송력을 거의 없앨 수 있어, 지엽류의 겹침 이송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엽류 취출 방법은, 겹침 방향 일단부의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부압을 작용시켜 상기 취출 부재에 흡착시키는 흡착 공정과, 상기 흡착 공정에서 흡착된 지엽류에 추출 부재를 접촉시켜 회전시킴으로써 당해 지엽류를 그 면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공정과, 상기 취출 공정에서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를 하류측의 반송 기구에 받아들여 더 반송하는 반송 공정과,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상기 지엽류가 상기 반송 기구에 받아들여졌을 때,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를 상기 취출 부재에 흡착시키는 흡착력을 적어도 감소시킴과 함께, 상기 취출 부재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제1 감속 공정과, 상기 반송 기구에 받아들여진 상기 지엽류가 일정 거리 더 반송되었을 때, 후속의 지엽류 사이에 갭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를 상기 취출 부재에 흡착시키는 흡착력을 증가시킴과 함께, 상기 취출 부재의 회전 속도를 더 감속시키는 제2 감속 공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엽류 취출 방법은, 취출된 지엽류 사이의 갭이 목표값으로 되도록, 복수매의 지엽류를 취출 위치로부터 반송로 상에 연속하여 취출하는 공정과,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되어 상기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고 있는 지엽류들 사이의 갭을 검출하는 공정과,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 도중인 제1 지엽류와 1개 전에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제2 지엽류 사이의 제1 갭을 상기 목표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갭이 상기 목표값으로부터 임의의 임계값을 초과하여 크거나 또는 작은 경우, 상기 제1 갭과, 1개 더 전에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제3 지엽류와 상기 제2 지엽류 사이의 제2 갭을 더한 값이 상기 목표값을 2배 한 값보다 커지도록 상기 제1 지엽류의 취출 동작을 제어하는 공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엽류 취출 장치는,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들 사이의 갭이 목표값이 되도록, 복수매의 지엽류를 취출 위치로부터 상기 반송로 상에 연속하여 취출하는 취출 기구와,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해 취출되어 상기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고 있는 지엽류들 사이의 갭을 검출하는 갭 검출부와, 상기 갭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해 취출 도중의 제1 지엽류와 1개 전에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되어 반송되어 있는 제2 지엽류 사이의 제1 갭과, 1개 더 전에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제3 지엽류와 상기 제2 지엽류 사이의 제2 갭을 더한 값이 상기 목표값을 2배 한 값보다 커지도록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한 상기 제1 지엽류의 취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취출 도중인 제1 지엽류와 1개 전에 취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제2 지엽류 사이의 제1 갭과, 1개 더 전에 취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제3 지엽류와 제2 지엽류 사이의 제2 갭을 기초로 하여, 취출 도중인 제1 지엽류의 취출 동작을 제어하도록 했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에 의해 제2 갭을 목표값으로 할 수 없었던 경우라도, 그 만큼의 어긋남을 제1 갭의 조정시에 흡수할 수 있어, 처리 전체적으로 처리량을 낮추지 않고,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우편물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처리 장치에 조립된 취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취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취출 장치의 취출 벨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취출 장치의 하류측에 보정부를 구비한 우편물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처리 장치에 조립된 취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취출 장치의 전자기 밸브를 절환하여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취출 도중인 우편물의 취출 동작 제어 중에 참조하는 데이터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데이터테이블을 참조하여 취출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류 취출 장치(1)[이하, 단순히, 취출 장치(1)라 칭함]를 포함하는 우편물 처리 장치(100)[이하, 단순히, 처리 장치(100)라 칭함]의 개략 구성을 블록도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 장치(100)는, 취출 장치(1) 외에, 판별부(102), 리젝트부(104), 스위치 백부(106), 및 집적부(108)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에서 처리하는 지엽류는 우편물이지만, 피처리 매체(즉 지엽류)는 우편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편물은, 집적 상태에서 취출 장치(1)에 세트되고, 취출 장치(1)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반송로(101) 상에 1통씩 취출된다. 반송로(101)에는, 복수 세트의 도시하지 않은 무단 형상의 반송 벨트가 반송로(101)를 사이에 끼우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고, 우편물은 반송 벨트에 끼움 지지되어 반송된다.
반송로(101) 상에 취출된 우편물은, 판별부(102)를 통과하고, 여기서 당해 우편물로부터 각종 정보가 판독된다. 판별부(102)에서는, 판독한 각종 정보를 기초로 하여 우편물의 반송 자세나 구분처 등을 판별한다. 특히, 판별부(102)에서는, 우편물에 쓰여 있는 우편 번호나 주소 등의 수신처 정보를 판독하여 구분처를 판별한다.
판별부(102)를 통과한 우편물은, 게이트(G1)를 통해 그 반송 방향이 나누어진다. 즉, 판별부(102)에서 리젝트해야 할 우편물인 것이 판별된 우편물은, 게이트(G1)를 통해 리젝트부(104)로 반송되고, 그 이외의 우편물은, 게이트(G1)를 통해 집적부(108)로 반송된다.
이때, 당해 우편물의 반송 방향을 역전시킬 필요가 있는 것을 판별부(102)에서 판별한 경우, 당해 우편물이 게이트(G2)를 통해 스위치 백부(106)로 송입되고, 여기서 반송 방향이 역전된다. 반송 방향을 역전할 필요가 없는 우편물은, 게이트(G2)를 통해 스위치 백부(106)를 우회하고, 집적부(108)로 반송된다.
반송로(101)를 통해 집적부(108)로 송입된 우편물은, 판별부(102)에 있어서의 판별 결과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구분 집적 포켓에 구분 집적된다. 각 구분 집적 포켓에 구분 집적되는 우편물은, 상하가 가지런한 상태로 집적된다.
도 2에는, 취출 장치(1)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는, 취출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계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 장치(1)는, 복수통의 우편물(P)을 겹친 상태에서 투입하는 투입부(2), 투입된 복수통의 우편물(P)을 그 겹침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동 방향 선단부에 있는 우편물(P)을 취출 위치(20)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30), 취출 위치(20)에 공급된 우편물(P)을 상술한 반송로(101) 상에 취출하는 취출 기구(3), 투입부(2)를 통해 투입된 우편물(P) 중 겹침 방향 선단부의 우편물(P)을 취출 위치를 향해 흡인하는 흡인 기구(4),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되는 우편물(P)에 딸려 나온 2통째 이후의 우편물(P)을 분리하는 분리 기구(5), 취출 위치(20)에 공급된 우편물(P)에 대해 취출 기구(3)로부터 취출하는 방향 상류측에서 부압을 작용시켜 정역 양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취출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 기구(6), 및 분리 기구(5)를 통과한 우편물(P)을 빼내어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7)를 갖는다.
또한, 이 취출 장치(1)는, 도 3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부(2)의 일단부에 있는 취출 위치(20)로부터 반송로(101) 상에 취출된 우편물(P)의 통과를 검지하 는 6개의 센서(11, 12, 13, 14, 15, 16)를 갖는다. 각 센서(11 내지 16)는, 우편물(P)이 통과하는 반송로(101)를 사이에 끼우도록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갖고, 그 광축을 우편물(P)이 차단함으로써 당해 우편물(P)의 통과를 검지한다. 특히, 우편물(P)의 취출 방향을 따라 상류측으로부터 5번째의 센서(15)는 본 발명의 제1 검지부로서 기능하고, 가장 하류에 있는 6번째의 센서(16)는 본 발명의 제2 검지부로서 기능한다. 나머지 4개의 센서(11 내지 14)는, 반송로(101) 상에 취출된 우편물(P) 사이의 갭을 검출하는 갭 센서로서 기능한다.
제1 검지부(15)는, 취출 위치(20)에 공급된 우편물(P)의 취출 방향 선단부로부터 센서의 광축이 차단되는 검출 위치까지의 거리가, 이 처리 장치(100)에서 처리하는 우편물(P) 중 취출 방향의 길이가 최소의 우편물(P)(이하, 이와 같은 우편물을 최소 우편물이라 칭함)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제1 검지부(15)는, 반송로(101) 상에 취출된 우편물(P)이 반송 기구(7)에 전달된 것을 검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소 우편물의 길이를 135[㎜]로 했다.
또한, 제2 검지부(16)는, 취출 위치(20)의 우편물(P)의 선단부로부터 우편물의 검지 위치까지의 거리가, 이 처리 장치(100)에서 처리하는 우편물(P) 중 최대의 길이를 갖는 우편물(P)(이하, 이와 같은 우편물을 최대 우편물이라 칭함)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이 제2 검지부(16)에서 우편물(P)의 선단부 통과를 검지했을 때에는, 당해 우편물(P)의 후단부는 취출 위치(20)로부터 벗어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대 우편물의 길이를 250[㎜]으로 했다.
또한, 취출 장치(1)는, 우편물(P)의 단부변이나 면을 접촉시켜 그 이동이나 반송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반송 가이드(21, 22, 23)를 갖는다.
투입부(2)에는, 복수통의 우편물(P)이 겹친 상태이고 또한 입위에서 일괄하여 투입된다. 투입부(2)의 바닥에는, 각 우편물(P)의 하단부변을 접촉시켜 그 겹침 방향(도면 중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2개의 플로어 벨트(24, 2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매의 우편물(P) 중 이동 방향 후단부에 있는 우편물(P)에 면접하는 위치에는, 플로어 벨트(24, 25)와 협동하여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 방향 선단부의 우편물(P)을 취출 위치(20)로 공급하는 백업 플레이트(26)가 배치되어 있다. 백업 플레이트(26)는, 2개의 플로어 벨트(24, 25) 중 취출 방향 하류측의 비교적 긴 쪽의 플로어 벨트(24)에 접속되고, 이 플로어 벨트(24)를 주행시킴으로써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플로어 벨트(24)를 따라 연장된 반송 가이드(21)는, 화살표 F 방향을 따라 투입부(2)의 한쪽을 규정하는 위치에 연장 설치되고, 각 우편물(P)의 단부변을 접촉시켜 안내한다. 또한, 반송 가이드(22)는 취출 위치(20)의 투입부(2)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화살표 F 방향으로 공급된 이동 방향 선단부의 우편물(P)을 취출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기능하는 동시에,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되는 우편물(P)의 한쪽면에 접촉하여 안내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분리 기구(5)와 반송 기구(7) 사이에 배치된 반송 가이드(23)는, 반송 기구(7)의 후술하는 닙을 향해 반송로(101) 상에 취출된 우편물(P)의 반송 방향 선단부를 안내하도록 기능한다.
취출 기구(3)는, 챔버(31), 가이드(32), 및 진공 펌프(33)(또는 상당품)(흡인부)를 갖는다. 챔버(31)와 진공 펌프(33)를 잇는 배관의 도중에는, 부압을 온(ON)/오프(OFF)하는 전자기 밸브(33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취출 기구(3)는, 적어도 일정 영역의 부위가 취출 위치(20)를 따라 도면 중 화살표 T 방향[우편물(P)의 취출 방향]으로 주행하는 무단 형상의 취출 벨트(34)(취출 부재), 및 이 취출 벨트(34)를 구동하는 모터(35)를 갖는다. 취출 벨트(34)는, 적어도 그 일부가, 취출 위치(20)를 따라 도면 중 화살표 T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복수의 롤러(36)에 권취되어 걸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32)는, 취출 벨트(34)의 내측에서 벨트를 사이에 끼워 취출 위치(20)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챔버(31)는, 가이드(32)의 이면측, 즉 취출 벨트(34) 및 가이드(32)를 사이에 끼워 취출 위치(20)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취출 벨트(34)는,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흡착 구멍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32)도, 취출 벨트(34)의 주행 방향(T)을 따라 가늘고 긴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슬릿을 갖는다.
이리하여, 진공 펌프(33)를 동작시켜 전자기 밸브(33a)를 개방하여 챔버(31) 내를 진공 배기하면, 가이드(32)에 대향한 챔버(31)의 개구(도시하지 않음), 가이드(32)의 복수개의 슬릿, 및 화살표 T 방향으로 주행하는 취출 벨트(34)의 다수의 흡착 구멍을 통해, 취출 위치(20)에 공급된 우편물(P)에 대해 부압이 작용되고, 당해 우편물(P)이 취출 벨트(34)의 표면에 흡착된다. 흡착 동작을 정지하기 위해서는, 전자기 밸브(33a)를 폐쇄하여 부압을 오프로 한다.
진공 펌프(33)에 의한 흡착력은, 취출 벨트(34)에 흡착된 1매째의 우편물(P)을 취출 방향(T)으로 조출하는 반송력이, 적어도 1매째의 지엽과 2매째의 지엽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커지도록 설정된다. 이 취출 기구(3)는, 기본적으로는, 취출 위치(20)의 우편물(P)을 1매씩 분리하여 반송로(101) 상으로 조출하나, 복수매가 겹친 상태에서 반송로(101) 상에 조출된 겹침 이송 우편물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분리 기구(5)에 의해 1매씩으로 분리한다.
흡인 기구(4)는, 취출 위치(20)에 대해 반송 가이드(22)의 이면측에 배치된 챔버(41), 및 챔버(41) 내의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블로워(42)(또는 상당품)를 갖는다. 챔버(41)는, 상술한 취출 기구(3)와 후술하는 보조 기구(6) 사이에서, 그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를 가이드(22)의 이면에 대향시키는 자세로 취출 위치(2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22)는, 챔버(41)의 개구의 폭에 맞추어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구멍을 갖는다.
이리하여, 블로워(42)를 동작시켜 챔버(41) 내의 공기를 흡인하면, 가이드(22)의 복수의 구멍을 통해 챔버(41)의 개구를 향하는 공기 흐름이 발생하고, 투입부(2)에 투입된 복수통의 우편물(P) 중 취출 위치(20)에 가장 가까운 우편물(P)이 취출 위치(20)를 향해 흡인된다. 취출 위치(20)에 흡인된 우편물(P)이 취출된 후는, 다음의 우편물(P)이 취출 위치(20)를 향해 흡인된다. 즉, 이 흡인 기구(4)를 설치함으로써, 다음에 취출하는 우편물(P)을 빠르게 취출 위치(20)로 공급할 수 있고, 상술한 공급 기구(30)에 의한 화살표 F 방향의 공급력을 약하게 해도 1통째의 우편물(P)만은 항상 안정적으로 취출 위치(20)로 빠르게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취출 기구(3)에 의한 우편물(P)의 취출 동작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분리 기구(5)는, 취출 위치(20)의 하류측(도 2 중 하방)으로 연장된 반송로(101)에 대해, 상술한 취출 기구(3)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분리 기구(5)는, 반송로(101)를 통해 반송되는 우편물(P)에 대해 취출 기구(3)와 반대측으로부터 부압을 작용시키면서 우편물(P)의 취출 방향과 역방향의 분리력을 부여한다. 즉, 이 분리 기구(5)를 동작시킴으로써,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되는 우편물(P)에 2통째 이후(3통 이상 겹쳐 취출되는 경우도 있음)의 우편물(P)이 딸려 나온 경우라도, 상술한 부압 및 분리력에 의해 이 2통째 이후의 우편물(P)이 정지되거나 혹은 역방향으로 복귀되어 1통째의 우편물(P)과 분리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 기구(5)는, 우편물(P)의 취출 방향(T)을 따라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대략 원통형의 분리 롤러(51)를 갖는다. 분리 롤러(51)는, 반송로(101)에 대해 고정적으로 장착된 회전축, 즉 챔버(52)를 갖는 원통체(53)에 대해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관통한 다수의 흡착 구멍(51a)을 갖는다.
분리 롤러(51)는, 대략 원통형의 금속 재료 등의 강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이 반송로(101)에 노출되는 위치에 위치 결정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으로서의 원통체(53)는,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챔버(52)를 갖고, 이 챔버(52)의 개구(52a)가 반송로(101)를 향하는 자세로 위치 결정되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리 기구(5)는, 분리 롤러(51)를 정역 양방향으로 원하는 토크로 회 전시키기 위한 AC 서보 모터(54), 및 이 모터(54)에 의한 구동력을 분리 롤러(51)에 전달하기 위한 무단 형상의 타이밍 벨트(55)를 갖는다. 타이밍 벨트(55)는, 모터(54)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된 풀리(54a) 및 분리 롤러(51)에 고정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풀리에 권취되어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리 기구(5)는, 분리 롤러(51)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원통체(53)의 챔버(52)에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거쳐 접속된 진공 펌프(56)(또는 상당품)(도 3)를 갖는다.
그리고, 진공 펌프(56)를 동작시켜 챔버(52) 내를 진공 배기하면, 챔버(52)의 개구(52a), 및 분리 롤러(51)의 다수의 흡착 구멍(51a) 중 개구(52a)에 대향한 특정한 흡착 구멍을 통해, 반송로(101)를 통과하는 우편물(P)의 표면에 부압이 작용되고, 분리 롤러(51)의 외주면에 당해 우편물(P)이 흡착된다. 이때, 분리 롤러(51)가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분리 롤러(51)의 외주면에 흡착된 우편물(P)에도 분리 롤러(51)의 회전 방향을 따른 반송력이 부여된다.
흡인 기구(4)의 도면 중 상방, 즉 우편물(P)의 취출 방향을 따라 상류측에 배치된 보조 기구(6)는, 상술한 분리 기구(5)와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보조 기구(6)는, 우편물(P)의 취출 방향을 따라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 롤러(61)를 갖는다.
보조 롤러(61)는, 취출 위치(20)에 대향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된 회전축, 즉 내부에 챔버(62a)를 갖는 원통체(6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관통한 다수의 흡착 구멍(61a)을 갖는다. 또한, 보조 롤러(61)는, 대략 원통형의 금속 재료 등의 강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이 취출 위치(20)에 노출되는 위치에 위치 결정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으로서의 원통체(62)는, 챔버(62a)의 개구가 취출 위치(20)를 향하는 자세로 위치 결정되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기구(6)는, 보조 롤러(61)를 정역 양방향으로 원하는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AC 서보 모터(63), 및 이 모터(63)에 의한 구동력을 보조 롤러(61)에 전달하기 위한 무단 형상의 타이밍 벨트(64)를 갖는다. 또한, 보조 기구(6)는, 보조 롤러(61)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원통체(62)의 챔버(62a)에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거쳐 접속된 진공 펌프(65)(또는 상당품)를 갖는다.
이리하여, 이 보조 기구(6)는, 보조 롤러(61)를 정역 양방향으로 원하는 속도로 회전 및 정지시키는 동시에, 진공 펌프(65)에 의한 부압을 작용시킴으로써, 우편물(P)의 취출 동작 및 분리 동작을 서포트한다. 예를 들어, 취출 위치(20)에 공급된 우편물(P)을 취출 기구(3)에 의해 취출하는 경우, 당해 우편물(P)의 취출 방향 후단부측에 부압을 작용시켜 흡착하고, 순방향으로 회전하여 당해 우편물(P)의 취출을 서포트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중량이 비교적 무거운 대형의 우편물(P)을 취출할 때에, 통상의 우편물(P)을 취출할 때보다 큰 반송력을 부여할 수 있어, 우편물(P)의 취출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취출 기구(3)에 의해 1통째의 우편물(P)을 취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1통째의 우편물(P)이 취출된 후에 취출 위치에 공급되는 2통째의 우편물(P)의 후단부측을 흡착시켜 역방향의 원하는 속도로 회전시켜 제동을 걸 수도 있어, 상술한 분리 기구(5)와 협동하여 우편물(P)의 겹침 이송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보 조 롤러(61)에 부여하는 역방향의 속도를 제어하는 동시에 제동을 거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취출 위치(20)로부터 반송로(101) 상에 취출하는 우편물(P)의 갭이나 피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반송 기구(7)는, 취출 위치(20)의 하류측으로 연장된 반송로(101)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2세트의 반송 벨트(71, 72)를 갖는다. 각 반송 벨트(71, 72)는, 지면(紙面) 방향으로 연장된 도시하지 않은 2개의 벨트를 각각 갖고, 복수의 반송 롤러(74)에 권취되어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리하여, 반송로(101)를 통해 화살표 T 방향으로 반송된 우편물(P)은, 그 반송 방향 선단부가 2세트의 반송 벨트(71, 72) 사이에 받아들여 끼움 지지 구속되고, 반송 벨트(71, 72)의 주행에 의해 더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0)에는, 취출 위치(20)의 하류로 연장된 반송로(101) 상에 설치된 6개의 센서(11, 12, 13, 14, 15, 1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00)에는, 공급 기구(30)의 2개의 플로어 벨트(24, 25)를 각각 독립하여 구동하는 2개의 벨트 모터(201, 202), 취출 벨트(34)를 가변속으로 주행시키기 위한 모터(35), 분리 롤러(51)에 분리력을 부여하기 위한 AC 서보 모터(54), 보조 롤러(61)를 정역 양방향으로 임의의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AC 서보 모터(63), 및 반송 기구(7)의 반송 벨트(71, 72)를 일정한 속도로 주행시키기 위한 모터(20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0)에는, 취출 기구(3)의 챔버(31)를 진공 배기하기 위한 진공 펌프(33), 흡인 기구(4)의 챔버(41)에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블로워(42), 분리 기구(5)의 챔버(52)를 진 공 배기하기 위한 진공 펌프(56), 및 보조 기구(6)의 챔버를 진공 배기하기 위한 진공 펌프(65)가 접속되어 있다.
이리하여, 투입부(2)에 세트된 우편물(P)은, 공급 기구(30)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 F 방향으로 보내지고, 공급 방향 선단부의 우편물(P)이 흡인 기구(4)에 의해 취출 위치(20)로 끌어 당겨진다. 이와 같이, 취출 위치(20)에 흡인 기구(4)를 설치함으로써, 공급 기구(30)에 의한 우편물(P)의 공급력을 작게 해도, 1통째의 우편물(P)을 빠르게 취출 위치(20)에 배치할 수 있다.
취출 위치(20)로 끌어 당겨진 우편물(P)은, 취출 기구(3)의 취출 벨트(34)의 표면에 흡착되고, 이 상태에서 취출 벨트(34)로부터의 반송력을 받아 취출 방향(T)으로 조출되어 간다. 반송로(101) 상에 조출된 우편물(P)은, 6개의 센서(11 내지 16)를 통해 통과가 검지되면서, 반송 기구(7)에 의해 빼내어지는 형태로 반송로(101)를 거쳐 더 하류로 반송되어 간다.
이때, 분리 기구(5)의 분리 롤러(51)를 통해 부압이 작용되는 동시에 취출 방향과 역방향의 분리력이 부여되고,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된 1매째의 우편물(P)에 딸려 나온 2매째 이후의 우편물(P)이 분리된다. 또한, 이때, 보조 기구(6)의 보조 롤러(61)를 통해 취출 위치(20)의 취출 방향 후단부측에서 부압이 작용되고, 취출 위치(20)의 우편물(P)의 취출 동작이 보조된다.
이하, 상기 구조의 취출 장치(1)에 의한 상술한 동작 중, 특히, 본 발명의 특징인 취출 기구(3)의 동작에 대해, 도 4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취출 기구(3)는, 제어부(200)에 의해 동작되고, 상술한 6개의 센서(11 내지 16)의 출력이 제어부(200)에 있어서 감시되고, 취출 벨트(34)의 모터(35), 및 진공 펌프(33)가 제어된다.
도 4에 스텝 S1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우선 취출 기구(3)의 진공 펌프(33)를 동작하여 챔버(31)를 진공 배기하는 동시에 전자기 밸브(33a)를 개방함으로써 취출 벨트(34)에 흡착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모터(35)를 구동하여 취출 벨트(34)를 속도 Vp[m/s]로 취출 방향(화살표 T 방향)으로 주행시킨다(스텝 S2). 이에 의해, 상술한 공급 기구(30)에 의해 취출 위치(20)에 공급된 우편물(P)이 반송로(101) 상에 조출된다. 이때, 취출 벨트(34)의 초기의 주행 속도 Vp[m/s]는, 하류측의 반송 기구(7)에 의한 우편물(P)의 반송 속도 Vc[m/s]와 대략 동일한 속도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속도 Vp 및 Vc를 4[m/s]로 설정했다.
이 후, 제어부(200)는, 반송 기구(7)의 끼움 지지 위치에 있는 센서(15)의 출력을 감시하고, 취출 벨트(34)에 의해 반송로(101) 상에 취출된 우편물(P)의 취출 방향 선단부 통과를 검지한다(스텝 S3). 그리고, 제어부(200)는, 당해 우편물(P)의 선단부를 센서(15)를 통해 검출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스텝 S3 ; 예), 진공 펌프(33)의 전자기 밸브(33a)를 오프로 하여 진공 펌프(33)에 의한 흡인 동작을 정지하여 취출 벨트(34)에 의한 흡착력을 대략 제로로 하는 동시에(스텝 S4), 모터(35)를 제어하여 취출 벨트(34)의 주행 속도를 Vp1[m/s]까지 감속시킨다(스텝 S5).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4에서 진공 펌프(33)에 의한 흡인력을 대략 제로로 했으나, 적어도 흡인력을 감소시키면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5에서 감속시킨 취출 벨트(34)의 주행 속도 Vp1을 2[m/s]로 설정했다.
여기서 말하는「흡인력을 감소」라 함은, 취출 위치(20)에 있는 우편물(P)을 취출 벨트(34)에 흡착시키는 힘을 약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부압을 감소」시키는 것과 대략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반대로,「흡인력을 증가」혹은「부압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취출 벨트(34)에 대한 우편물(P)의 흡착력이 강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반송 기구(7)에 의해 끼움 지지 구속된 상태의 1매째의 우편물(P)이 후단의 처리부(도시하지 않음)를 향해 속도 Vc로 반송되는 동시에, 다음에 취출 위치(20)에 공급되는 후속의 우편물(P)에 대한 조출력을 약하게 할 수 있고, 및 조출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어, 분리 기구(5)에 의한 분리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즉, 선행하는 우편물(P)이 반송 기구(7)에 전달된 후, 다음의 우편물(P)에 대한 조출 동작을 개시할 때까지의 동안은, 취출 기구(3)에 의한 조출력은 불필요하고, 특히 선행하는 우편물(P)이 최소 우편물인 경우에는, 후속의 우편물(P)의 조출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양자 사이에 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스텝 S5에서 취출 벨트(34)의 주행 속도를 감속시킨 후, 제어부(200)는, 센서(11 내지 15)의 출력을 감시하고, 반송 기구(7)에 전달되어 반송되고 있는 선행하는 우편물(P)과 후속의 우편물(P) 사이에 갭이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 처음에 취출된 선행하는 우편물(P)이 정상적으로 1매만 취출 위치(20)로부터 취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2통째의 우편물(P)은 분리 기구(5)의 작용에 의해 취출 위치(20)에 있기 때문에, 선행하는 1매째의 우편물(P)의 취출 방향 후단부가 최상류의 센서(11)를 통해 검출된 것을 근거로 하여, 우편물 사이의 갭이 검출된다.
그러나, 2통의 우편물(P)이 약간 겹친 상태에서 반송로(101) 상에 취출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 후, 어느 센서가 켜지는지 알 수 없다. 혹은, 센서(11 내지 15)가 모두 켜지지 않고 2통의 우편물(P)이 겹친 상태로 반송되어 버릴 가능성도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센서(11 내지 15)가 켜졌을 때에는, 후속의 2통째의 우편물(P)은 반송 기구(7)에 전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시점으로부터 2통의 우편물(P)에 속도차를 발생한다. 이로 인해, 갭을 검출하는 센서 간격에 따라서 속도차를 발생하고 있는 시간에 차가 발생하고, 갭이 변화된다. 따라서, 갭을 불필요하게 넓히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가능한 한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센서(15)의 상류측에 많은 센서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15)의 상류측에(4)개의 갭 센서(11 내지 14)를 배치했으나, 갭 센서의 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스텝 S6에서 어느 하나의 센서(11 내지 15)가 켜져 갭이 검출된 경우(스텝 S6 ; 예), 제어부(200)는, 선행하는 우편물(P)의 후단부 통과를 검지하여 갭을 검지한 센서 자신이 후속의 우편물(P)의 선단부 통과를 검지할 때까지의 시간과 감속한 속도 Vp1을 기초로 하여 당해 갭의 길이를 산출하고, 당해 처리 장치(100)에서 필요하게 되는 규정 갭과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이 산출한 실제의 갭을 규정 갭에 일치시키도록 취출 벨트(34)의 주행 속도를 미세 조정한다. 즉, 산 출한 갭이 규정 갭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0)는, 쇼트 갭을 판단하고(스텝 S7 ; 예), 취출 벨트(34)의 주행 속도를 Vp'(< Vp)로 보정한다(스텝 S8).
한편, 스텝 S6에서 센서(11 내지 15)를 통해 갭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스텝 S6 ; 아니오), 제어부(200)는, 또한 하류에 배치한 센서(16)를 통해, 선행하는 우편물(P)의 선단부 통과를 감시한다(스텝 S9).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16)는, 취출 위치(20)에 배치된 우편물(P)의 취출 방향 선단부로부터의 거리가 이 처리 장치(100)에서 처리하는 최대 우편물(P)의 길이와 대략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센서(16)에서 선단부를 검지한 우편물(P)의 취출 방향 후단부는 적어도 취출 위치(20)로부터 벗어나 있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센서(16)에서 선단부 통과를 검지한 시점에서 센서(11 내지 15) 중 어느 하나가 켜지지 않은 경우(스텝 S6 ; 아니오, 스텝 S9 ; 예)에는, 당해 우편물(P)과 후속의 우편물(P)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겹쳐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200)는, 진공 펌프(33)에 의한 부압을 증가시켜 취출 기구(3)에 의한 흡착력을 증가시키고(스텝 S10), 취출 벨트(34)의 주행 속도를 속도 Vp2까지 더 감속시키도록 한다(스텝 S11).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때의 주행 속도 Vp2를 0[m/s]으로 설정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 취출 벨트(34)를 정지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 2단계째의 감속은, 제로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Vp1보다 느린 속도이면 좋다.
이에 의해, 겹침 이송을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후속의 우편물(P)에 대해 더 강한 제동을 걸 수 있어, 분리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200)는, 센서(11 내지 16)의 출력을 감시하고, 반송 기구(7)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선행하는 우편물(P)과 후속의 우편물(P) 사이에 갭이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 그리고, 상술한 취출 벨트(34)의 감속 제어와 본래 분리 동작을 담당하는 분리 기구(5)에 의한 분리 토크에 의해 2통의 우편물(P) 사이에 갭이 형성되어 센서(11 내지 16) 중 어느 하나가 켜진 경우(스텝 S12 ; 예), 제어부(200)는, 상술한 스텝 S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속의 우편물(P)과의 사이의 갭을 산출하여 규정 갭과 비교하고, 쇼트 갭을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스텝 S7 ; 예) 갭을 보정한다(스텝 S8).
또한, 이 경우, 겹침 이송한 2통의 우편물(P)의 후속의 우편물(P)의 후단부 통과를 검지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는, 후단의 처리부에서 겹침 이송을 판단하여 리젝트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처리를 투입부(2)에 우편물(P)이 없어질 때까지 계속하고(스텝 S13 ; 예) 처리 동작을 종료한다. 처리 대상으로 되는 우편물(P)이 투입부(2)에 남아 있은 경우(스텝 S13 ; 아니오)에는, 스텝 S1의 처리로 복귀하여, 취출 기구(3)에 의한 부압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취출 벨트(34)의 주행을 재개하여 처리를 속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반송로(101) 상에 취출된 선행하는 우편물(P)이 반송 기구(7)에 전달되어 끼움 지지 구속된 타이밍에서 취출 벨트(34)를 감속시키고, 또한 후속의 우편물(P)과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지 않고 선행하는 우편물(P)이 센서(16)까지 반송된 경우에, 취출 벨트(34)를 더 감속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우편물(P)의 길이에 의존하지 않고 모든 우편물(P)을 안정적으로 취출할 수 있 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우편물(P) 사이의 갭을 필요 이상으로 넓히지 않고, 원하는 갭으로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고, 분리 기구(5)에 의한 분리 동작을 보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취출된 우편물(P)의 선단부가 반송 기구(7)에 의해 끼움 지지 구속된 타이밍에서 취출 기구(3)의 취출 벨트(34)를 감속시키는 동시에 진공 펌프(33)를 오프로 하여 흡착력을 없애도록 제어했으나, 흡착력은 반드시 감소시킬 필요는 없고, 취출 벨트(34)의 속도 제어만이라도 좋다.
그런데, 상술한 방법에서 우편물(P)을 연속하여 반송로 상으로 취출하는 경우, 겹침 이송한 우편물(P)이 도중에 분리되어 양자 사이에 갭이 형성되면, 반송로 상의 어느 위치에서 갭이 검출되는지 알 수 없다. 이로 인해, 특히, 1통째의 우편물(P)에 겹쳐 취출된 2통째의 우편물(P)이 최소 우편물인 경우에는, 분리 후에 검출한 갭을 넓히고자 해도 2통째의 우편물(P)이 취출 위치로부터 벗어나 버려, 2통째의 우편물(P)에 대한 감속 제어를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2통의 우편물(P) 사이에 충분한 갭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반송 기구(7)에 전달되어 후단의 처리부로 반송되어 버리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쇼트 갭은, 연속하여 발생할 가능성도 생각된다.
특히, 쇼트 갭이 연속하여 발생해 버리면, 예를 들어 반송 하류측의 보정부(후술함)에서 갭을 넓히고자 해도, 제어 대상으로 되는 우편물(P)의 전후에 충분한 갭이 없어, 갭 보정이 불가능해진다. 이 경우, 쇼트 갭이 연속한 복수통의 우편물은, 모두 리젝트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본원 발명자 등은, 갭 보정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은 우편물(P)의 다음에 취출하는 우편물(P)의 취출을 조금 느리게 함으로써, 갭 보정을 위한 마진을 확보하여, 연속한 쇼트 갭에 대응 가능하게 했다. 바꾸어 말하면, 연속한 쇼트 갭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취출시에 쇼트 갭이 연속하고 있는 것을 순간 판단하거나 또한 취출 도중인 우편물(P)을 느리게 하는 것 이외에 방법은 없다.
이하, 이와 같은 기능을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우편물 처리 장치(300)[이하, 단순히 처리 장치(300)라 칭함]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 장치(300)는, 반송로 상에 취출한 후의 우편물(P)의 갭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일례로 된다. 또한, 여기서는, 상술한 처리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기능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 장치(300)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의 취출 장치(1) 외에, 보정부(302), 검지부(304), 리젝트부(104), 판독부(306), 및 3개의 집적부(108)를 갖는다. 또한, 취출 장치(1)의 하류측으로 연장된 반송로(301) 상에는, 우편물(P)의 반송 방향을 절환하는 복수의 게이트(303, 305, 307)가 설치되어 있다. 즉, 게이트(303)는 우편물(P)의 반송 방향을 리젝트부(104)와 판독부(306)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절환하고, 게이트(305, 307)는 우편물(P)을 지정된 집적부(108)로 지향시킨다.
우편물은, 집적 상태에서 취출 장치(1)에 세트되고, 취출 장치(1)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반송로(301) 상으로 1통씩 취출된다. 반송로(301)에 는, 복수 세트의 도시하지 않은 무단 형상의 반송 벨트가 반송로(301)를 사이에 끼우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고, 우편물은 반송 벨트에 끼움 지지되어 반송된다.
반송로(301) 상에 취출된 우편물은, 보정부(302)를 통해 반송되고, 여기서 스큐나 갭이 보정되어, 검지부(304)로 송입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정부(302)는, 반송로(301)를 통해 연속하여 반송되는 우편물의 반송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당해 우편물의 전후에 있는 갭을 조정한다.
검지부(304)에서는, 우편물의 겹침 이송, 쇼트 갭, 두께, 높이 등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지부(30)를 통해 규정 밖인 것이 판단된 우편물은, 게이트(303)를 통해 리젝트부(104)로 반송된다. 즉, 보정부(302)를 통과해도 쇼트 갭을 보정하지 못한 우편물은, 리젝트부(104)로 리젝트되게 된다.
게이트(303)를 통해 판독부(306)에 송입된 우편물은, 여기서 수신자명 등의 구분처에 관한 정보가 판독된다. 그리고, 판독부(306)를 통과한 우편물은, 판독부(306)에 있어서의 판독 결과를 기초로 하여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게이트(305, 307)를 통해 지정된 집적부(108)로 구분 집적된다.
다음에, 이 처리 장치(300)에 조립된 취출 장치(1)의 동작에 대해, 도 6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취출 장치(1)는, 상술한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에 조립된 취출 장치(1)와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여기서는 장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적절하게 참조하기로 한다.
제어부(200)는, 우선 모터(35)를 구동하여 취출 벨트(34)를 속도 Vp[m/s]로 취출 방향(화살표 T 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취출 기구(3)의 진공 펌프(33)를 동작 하여 챔버(31)를 진공 배기하는 동시에 전자기 밸브(33a)를 개방함으로써, 취출 벨트(34)에 흡착력을 발생시킨다(도 6 ; 스텝 S1). 이에 의해, 상술한 공급 기구(30)에 의해 취출 위치(20)에 공급되어 있는 우편물(P)이 반송로(101) 상에 조출된다. 이때, 취출 벨트(34)의 초기의 주행 속도 Vp[m/s]는, 하류측의 반송 기구(7)에 의한 우편물(P)의 반송 속도 Vc[m/s]와 대략 동일한 속도로 설정된다.
취출 기구(3)는,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의 처리 장치(100)에 조립된 취출 장치(1)의 취출 기구(3)와 마찬가지로 동작하고, 반송로(301) 상에 취출되어 반송되는 우편물(P) 사이의 갭이 목표값(Gref)에 가능한 한 근접하도록, 취출 위치(20)에 공급된 우편물(P)을 반송로(301) 상에 일정한 갭으로 연속하여 취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갭의 목표값(Gref)을 100[㎜]으로 설정했다.
그리고, 스텝 S1의 취출 동작이 개시되면, 제어부(200)는, 복수의 센서(11, 12, 13, 14, 15)의 출력을 감시하여, 취출 벨트(34)에 의해 반송로(301) 상에 취출된 모든 우편물(P) 사이의 실제의 갭을 검출한다(스텝 S2). 즉, 이때, 제어부(200)는, 어느 하나의 센서(11 내지 15)가 켜진 상태에서 꺼진 상태로 된 것을 n번째로 취출된 우편물[P(n)]의 선단부 통과를 검지하고, 동일한 센서에서 1개 앞서 반송된 n-1번째의 우편물[P(n-1)]의 후단부 통과(꺼짐 → 켜짐)를 검지한 후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고, 이 경과 시간 및 당해 우편물[P(n), P(n-1)]의 반송 속도 Vp를 기초로 하여 이들 2통의 우편물(P) 사이의 갭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00)는, 어느 하나의 센서(11 내지 15)가 처음으로 n번째의 우편물[P(n)]의 선단부 통과를 검지했을 때의 n-1번째의 우편물[P(n- 1)]과의 사이의 초기의 갭[G(n)]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취출 기구(3)를 동작 제어하여 갭[G(n)]을 보정한 후의 갭[G'(n)]을 검출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200)는, 반송로(301) 상에 취출되는 모든 우편물(P)에 관해, 항상 전후의 갭의 변화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검출한 갭을 기초로 하여, 제어 가능한 상태의 우편물[P(n)], 즉 취출 벨트(34)로 취출 도중인 우편물[P(n)]의 취출 동작을 제어하고, 모든 우편물(P)의 갭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n번째의 우편물[P(n)](제1 지엽류)의 보정 전의 갭[G(n)](제1 갭)을 검출했을 때, 제어부(200)는, 검출한 갭[G(n)]을 최소 갭(Gmin)(임계값)과 비교한다(스텝 S3). 여기서 말하는 최소 갭(Gmin)이라 함은, 취출 장치(1)로부터 반송 하류측에 배치된 판독부(306)나 집적부(108) 등의 각 처리부에 있어서의 처리가 가능하고 또한 게이트(303, 305, 307)의 절환 동작이 적절한 최소값이고, 반송로(303)에 있어서의 반송 변동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이 최소 갭(Gmin)을 하회하는 2통의 우편물[P(n), P(n-1)]은 쇼트 갭 우편물로서 리젝트 대상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쇼트 갭의 임계값으로 되는 최소 갭(Gmin)을 50[㎜]으로 설정했다.
스텝 S3의 비교의 결과, n번째의 우편물[P(n)]의 갭[G(n)]이 Gmin 이상인 것을 판단한 경우(스텝 S3 ; 아니오), 제어부(200)는, 당해 우편물[P(n)]에 대한 갭 보정이 당장 필요 없음을 판단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즉, 이 경우, n번째의 우편물[P(n)]에 대한 취출 동작 제어는 실시되지 않고 반송로(301)를 통해 그대로 반송된다. 혹은, 이때, 제어부(200)는, 검출한 갭[G(n)]이 최소 갭(Gmin)과 대략 바뀌 지 않는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갭[G(n)]을 갭(Gref)에 근접하도록 n번째의 우편물[P(n)]의 취출 동작을 제어해도 좋다.
한편, 스텝 S3에서 n번째의 우편물[P(n)]의 갭[G(n)]이 Gmin보다 작은 쇼트 갭인 것을 판단한 경우(스텝 S3 ; 예), 제어부(200)는, 1개 전에 취출되어 있는 n-1번째의 우편물[P(n-1)](제2 지엽류)의 갭[G(n-1)](제2 갭)을 Gmin과 비교한다(스텝 S4). 이때, 제어부(200)는, 당해 우편물[P(n)]의 갭[G(n)]을 갭(Gref)에 근접하도록 당해 우편물[P(n)]의 취출 동작을 즉시 제어하는 것은 하지 않는다.
스텝 S4의 비교 결과, 갭[G(n-1)]이 Gmin보다 작은 쇼트 갭인 것을 판단한 경우(스텝 S4 ; 예), 제어부(200)는, 쇼트 갭이 적어도 2회 연속하고 있는 것을 판단하고, 취출 벨트(34)로 취출 도중인 제어 가능한 우편물[P(n)]의 보정량[X(n)]을 산출한다(스텝 S5). 이때, 제어부(200)는, 우편물[P(n)]의 갭[G(n)]을 목표값(Gref)보다 더 크게 넓히도록, 취출 벨트(34)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보정량[X(n)]을 계산한다.
즉, 연속한 쇼트 갭 중 이미 취출 동작 중인 보정을 할 수 없는 하류측의 갭[G(n-1)]을 반송 하류의 보정부(302)에서 보정하기 위해서는, 우편물[P(n-1)]의 반송 속도를 느리게 하여 우편물[P(n-1)]로부터 더 1개 전에 취출되어 있는 우편물[P(n-2)](제3 지엽류)과의 사이의 갭[G(n-1)]을 넓히고, 그 후, 우편물[P(n)]의 반송 속도를 느리게 하여 우편물[P(n-1)]과 우편물[P(n)] 사이의 갭[G(n)]을 넓힐 필요가 있으나, 취출 제어에서, 3매째에 취출된 우편물[P(n)]의 갭[G(n)]을 목표값(Gref)으로 조정한 것만으로는, 보정부(302)에서 한가운데의 우편물[P(n-1)]의 반송 속도를 느리게 했을 때에 그 상류측의 갭[G(n)]이 목표값(Gref)보다 짧아져 버린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하류측의 갭[G(n-1)]의 보정분을 고려하여 반송 상류측의 갭[G(n)]을 목표값보다 여분으로 넓히도록 했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의 보정량[X(n)]은, 목표값(Gref)을 2배 한 값으로부터 검출한 하류측의 갭[G(n-1)]과 상류측의 갭[G(n)]을 뺀 값으로 설정했다. 이에 의해, 보정부(302)에서, 2개의 갭[G(n-1), G(n)]을 각각 목표값(Gref)으로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4에서 갭[G(n-1)]이 Gmin 이상인 것을 판단한 경우(스텝 S4 ; 아니오), 보정부(302)에 있어서의 갭[G(n-1)]의 보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제어부(200)는, 제어 가능한 우편물[P(n)]의 갭[G(n)]만을 목표값(Gref)으로 보정하기 위한 보정량[X(n)]을 산출한다(스텝 S6). 즉, 이 경우의 보정량[X(n)]은, Gref로부터 G(n)를 뺀 값으로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갭[G(n-1)]이 최소 갭(Gmin)에 가까운 값인 경우에는, G(n-1)를 조금 넓히는 보정을 고려하여, 보정량[X(n)]을 조금 크게 해도 좋다.
결국, 제어부(200)는, 스텝 S5 또는 스텝 S6에서 산출한 보정량[X(n)]을 기초로 하여, 취출 도중인 우편물[P(n)]의 취출 타이밍을 느리게 한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스텝 S2에서 당해 우편물[P(n)]의 초기의 갭[G(n)]을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취출 벨트(34)의 속도를 Vp[m/s]로부터 Vp'[m/s]로 감속시키고(스텝 S7), 보정 후의 갭[G'(n)]이 G(n) + X(n)이 될 때까지(스텝 S8 ; 예), 우편물[P(n)]의 취출 속도를 느리게 한다. 이때, 취출 벨트(34)를 감속하고 있는 갭 보정 시간 T[sec]는, T = X(n)/Vp'로 된다.
그리고, 갭 보정 시간 T[sec]가 경과한 후(스텝 S8 ; 예), 제어부(200)는, 취출 벨트(34)의 주행 속도를 Vp'[m/s]로부터 Vp[m/s]로 복귀시키고(스텝 S9), 다음 우편물[P(n+1)]의 처리를 대기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취출 도중인 우편물[P(n)]의 갭[G(n)]이 쇼트 갭인 것을 검출했을 때에, 1개 전의 우편물[P(n-1)]의 갭[G(n-1)]을 참조하여 당해 우편물[P(n)]의 갭 보정량에 가산하도록 했기 때문에, 쇼트 갭이 연속하고 있는 경우라도, 하류측의 보정부(302)에서 쇼트 갭을 보정할 수 있을 정도의 갭의 마진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같이, 1개 전의 갭을 보정했을 때에 다음의 갭이 막힐 것 같은 경우에는 당해 우편물[P(n)]의 갭[G(n)]을 여분으로 취함으로써, 보정부(302)를 통과한 모든 우편물(P)의 갭을 적정한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쇼트 갭에 의한 리젝트율을 저하시킬 수 있고, 그 만큼,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쇼트 갭이 연속한 경우의 보정량이 필요 최저한으로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즉 평균한 갭이 일정하게 되도록 보정량이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정부(302)를 통과한 후의 우편물(P) 사이의 갭을 목표값(Gref)에 대강 일치시킬 수 있어, 처리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리젝트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취출 도중인 우편물[P(n)]의 취출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연속한 쇼트 갭을 효율적으로 보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예를 들어 1개 선행하는 우편물[P(n-1)]의 갭[G(n-1)]이 목표값(Gref)보다 크게 넓혀져 있는 경우에는, 그 만큼, 후속의 우편물[P(n)]의 취출 속도를 빠르게 하여 갭[G(n)]을 메우는 보정을 가해도 좋다. 이에 의해, 이 연속한 3통의 우편물(P)의 갭을 보정부(302)에서 보정한 후, 불필요하게 큰 갭을 축소할 수 있고, 그 만큼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취출 도중인 우편물[P(n)]의 갭[G(n)]을 보정하기 위해, 1개 전의 갭[G(n-1)]을 참조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1개 전의 갭[G(n-1)]도 취출 제어에 의해 보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보정 후의 갭[G'(n-1)]을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연속한 쇼트 갭 중 반송 상류측의 쇼트 갭[G(n)]을 보정할 때에, 우편물[P(n)]을 취출 중인 취출 벨트(34)의 주행 속도를 느리게 하는 제어를 채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취출 벨트(34)의 주행 속도를 느리게 하는 대신에 전자기 밸브(33a)를 폐쇄하여 취출 벨트(34)에 의한 흡착을 오프로 하는 제어를 채용해도 좋다. 즉, 이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같이, 취출 장치(1)를 동작시킨다.
즉, 전자기 밸브(33a)를 개방하여 취출 벨트(34)에 의한 흡착력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우편물(P)의 취출을 개시한 후(스텝 S11), 복수의 센서(11 내지 15)를 통해 갭[G(n), G(n-1)]을 검출하고(스텝 S12), 취출 도중인 n번째의 우편물[P(n)]의 갭[G(n)]을 목표값(Gmin)과 비교한다(스텝 S13).
이 후, 필요에 따라서, 1개 전의 갭[G(n-1)]도 Gmin과 비교하여(스텝 S14), 취출 도중인 우편물[P(n)]에 대한 보정량[X(n)]을 산출하고(스텝 S15, S16), 산출한 갭 보정 시간만큼(스텝 S18 ; 예) 전자기 밸브(33a)를 폐쇄하여 흡착을 오프로 한다(스텝 S17). 그리고, 우편물[P(n)]에 대한 취출 제어가 종료하면, 제어부(200)는, 전자기 밸브(33a)를 개방하여 흡착력을 부활시키고(스텝 S19), 다음의 우편물[P(n+1)]의 취출을 대기한다.
이와 같이, 취출 벨트(34)에 의한 취출 속도를 제어하는 대신에 전자기 밸브(33a)를 스위칭하는 제어를 채용해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취출 도중인 우편물[P(n)]의 갭[G(n)]을 보정할 때에, 1개 전의 갭[G(n-1)]만을 참조하여 보정량[X(n)]을 산출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또한 1개 더 전의 갭[G(n-2)]도 보정량[X(n)]을 산출할 때에 참조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준비한 데이터테이블을 참조하여,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취출 장치(1)를 동작시킨다. 또한, 도 8의 데이터테이블에는, 가장 필요성이 높은 데이터로서, 최하류의 갭[G(n-2)]이 쇼트 갭(0 내지 50[㎜])인 경우의 데이터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것 이외에, 갭[G(n-2)]이 쇼트 갭이 아닌 데이터도 있다.
우선, 제어부(200)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통의 우편물(P)을 반송로(301) 상에 (이상적으로는) 일정한 갭(Gref)(100[㎜])으로 연속하여 취출하고(스텝 S21), 반송로(301) 상에 취출한 모든 우편물(P)에 관해, 보정 전, 보정 후의 갭[G(n), G'(n)]을 시간 경과에 따라 몇 번이나 검출한다(스텝 S22). 검출한 갭은, 리얼타임으로 재기입하면서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기억해 둔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n번째의 우편물[P(n)]의 취출 동작 중에, 갭[G(n)]을 검출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스텝 S23 ; 예),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현시점에 있어서의 갭[G(n-1), G(n-2)]을 추출하고(스텝 S24), 도 8에 예시한 데이터테이블에 대조한다(스텝 S25).
이 후, 제어부(200)는, 스텝 S25의 대조에 의해 추출한 n번째의 우편물[P(n)]의 보정 후의 이상 갭[G'(n)]에 근접하도록, 현시점에 있어서의 갭[G(n)]을 기준으로 하여 취출 벨트(34)의 주행 속도 및 제어 시간을 제어하고(스텝 S26), n번째의 우편물[P(n)]의 취출 속도를 가감속시킨다. 이에 의해, 갭[G(n-2), G(n-1)]의 Gref에 대한 어긋남을 상쇄할 수 있어, 반송 하류의 보정부(302)를 통과한 우편물의 갭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스텝 S21로부터 스텝 S26의 처리는, 투입부(2)에 투입된 모든 우편물(P)이 취출될 때까지(스텝 S27 ; 예) 계속된다.
예를 들어, 스텝 S24에서 추출한 (n-2)번째의 우편물[P(n-2)]의 갭[G(n-2)]이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0 내지 50[㎜]이고, (n-1)번째의 우편물[P(n-1)]의 갭[G(n-1)]이 50 내지 100[㎜]인 경우, n번째의 우편물[P(n)]의 이상 갭[G'(n)]은 250[㎜]으로 된다. 예를 들어, 이때 실측한 갭[G(n)]이 100[㎜]인 경우, 보정량[X(n)]은 +150[㎜]으로 되고, 제어부(200)는, n번째의 우편물[P(n)]의 취출을 150[㎜] 느리게 하도록 취출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걸치는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해도 좋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취출 기구(3), 분리 기구(5), 보조 기구(6)의 각각에 개별의 진공 펌프(22, 37, 57)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1대의 진공 펌프에 복수개의 배관을 접속하여 각각의 전자기 밸브를 개별로 개폐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롤러(31)의 주위면에 부압을 발생시켜 분리력을 부여하고, 또는 보조 롤러(51)의 주위면에 부압을 발생시켜 회전을 제어하도록 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롤러 대신에 무단 형상의 벨트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취출 위치(20)에 공급된 우편물(P)에 취출 벨트(34)를 접촉시켜 취출하는 구조로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우편물(P)에 접촉시키는 취출 부재는 분리 기구(5)와 같은 롤러라도 좋다.
본 발명의 지엽류 취출 장치, 및 지엽류 처리 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고 있으므로, 지엽류의 겹침 이송을 방지할 수 있어 갭을 원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Claims (33)

  1. 겹침 방향 일단부의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당해 지엽류를 면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기구와,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해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를 받아들여 끼움 지지 구속하여 더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가 상기 반송 기구에 전달되어 끼움 지지 구속된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부와,
    상기 제1 검지부로부터 지엽류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지엽류를 검지하는 제2 검지부와,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검지부에 이르는 상기 반송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들 사이의 갭을 검지하는 갭 센서와,
    상기 취출 기구의 회전 속도를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한 반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제어하고,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를 상기 제1 검지부에서 검지했을 때, 상기 취출 기구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고, 또한 상기 갭 센서에 의해 상기 지엽류와 후속의 지엽류 사이의 갭을 검출하지 않고 상기 제2 검지부를 통해 상기 지엽류를 검지했을 때, 상기 취출 기구의 회전 속도를 더 감속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출 장치.
  2. 겹침 방향 일단부의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접촉하여 면 방향으로 주행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취출 벨트와,
    상기 취출 벨트를 가변속으로 주행시키는 모터와,
    상기 취출 벨트의 상기 취출 위치와 반대인 이면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다수의 구멍을 통해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부압을 작용시켜 상기 취출 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인부와,
    상기 취출 벨트에 흡착되어 상기 취출 위치의 취출 방향 하류측으로 연장된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를 받아들여 끼움 지지 구속한 상태에서 더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가 상기 반송 기구에 받아들여져 지지 구속된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부와,
    상기 제1 검지부로부터 지엽류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지엽류를 검지하는 제2 검지부와,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검지부에 이르는 상기 반송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들 사이의 갭을 검지하는 갭 센서와,
    상기 취출 벨트의 주행 속도를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한 반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제어하고,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의 반송 방향 선단부를 상기 제1 검지부에서 검지했을 때, 상기 취출 위치에 작용하는 부압을 적어도 감소시키도록 상기 흡인부에 의한 흡인 동작을 제어함과 함께 상기 취출 벨트의 주행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갭 센서에 의해 상기 지엽류와 후속의 지엽류 사이의 갭을 검출하지 않고 상기 제2 검지부를 통해 상기 지엽류의 반송 방향 선단부를 검지했을 때, 상기 부압을 증가시켜 상기 취출 벨트의 주행 속도를 더 감속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의 취출 방향 선단부로부터 상기 제1 검지부까지의 거리는, 처리 대상으로 되는 지엽류 중 취출 방향의 길이가 최소인 지엽류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의 취출 방향 선단부로부터 상기 제2 검지부까지의 거리는, 처리 대상으로 되는 지엽류 중 취출 방향의 길이가 최대인 지엽류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의 반송 방향 선단부를 상기 제1 검지부에서 검지했을 때, 상기 흡인부에 의한 흡인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출 장치.
  6. 겹침 방향 일단부의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에 부압을 작용시켜 취출 부재에 흡착시키는 흡착 공정과,
    상기 흡착 공정에서 흡착된 지엽류에 상기 취출 부재를 접촉시켜 회전시킴으로써 당해 지엽류를 그 면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 공정과,
    상기 취출 공정에서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가 하류측의 반송 기구에 의해 받아들여져서 더 반송되는 반송 공정과,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된 상기 지엽류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받아들여졌을 때,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를 상기 취출 부재에 흡착시키는 흡착력을 적어도 감소시킴과 함께, 상기 취출 부재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제1 감속 공정과,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받아들여진 상기 지엽류가 일정 거리 더 반송되었을 때, 상기 지엽류와 후속의 지엽류 사이에 갭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취출 위치에 공급된 지엽류를 상기 취출 부재에 흡착시키는 흡착력을 증가시킴과 함께, 상기 취출 부재의 회전 속도를 더 감속시키는 제2 감속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출 방법.
  7. 취출된 지엽류들 사이의 갭이 목표값으로 되도록, 복수매의 지엽류를 취출 위치로부터 반송로 상에 연속하여 취출하는 공정과,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되어 상기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고 있는 지엽류들 사이의 갭을 검출하는 공정과,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 도중인 제1 지엽류와 1개 전에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제2 지엽류 사이의 제1 갭을 상기 목표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갭이 상기 목표값으로부터 임의의 임계값을 초과하여 크거나 또는 작은 경우, 상기 제1 갭과, 1개 더 전에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제3 지엽류와 상기 제2 지엽류 사이의 제2 갭을 더한 값이 상기 목표값을 2배 한 값보다 커지도록 상기 제1 지엽류의 취출 동작을 제어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방법.
  8. 삭제
  9. 취출된 지엽류들 사이의 갭이 목표값이 되도록, 복수매의 지엽류를 취출 위치로부터 반송로 상에 연속하여 취출하는 공정과,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되어 상기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고 있는 지엽류들 사이의 갭을 검출하는 공정과,
    상기 취출 위치로부터 취출 도중인 제1 지엽류와 1개 전에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제2 지엽류 사이의 제1 갭과, 1개 더 전에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제3 지엽류와 상기 제2 지엽류 사이의 제2 갭을 더한 값이 상기 목표값의 2배가 되도록, 상기 제1 지엽류의 취출 타이밍을 조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방법.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1 갭과 상기 제2 갭이 상기 목표값이 되도록 상기 제2 지엽류의 반송 속도를 조정하여 지엽류들 사이의 갭을 보정하는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동작을 제어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제2 갭을 상기 목표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갭이 상기 목표값으로부터 임의의 임계값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갭을 상기 목표값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1 지엽류의 취출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방법.
  12.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들 사이의 갭이 목표값이 되도록, 복수매의 지엽류를 취출 위치로부터 상기 반송로 상에 연속하여 취출하는 취출 기구와,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해 취출되어 상기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고 있는 지엽류들 사이의 갭을 검출하는 갭 검출부와,
    상기 갭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해 취출 도중의 제1 지엽류와 1개 전에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제2 지엽류 사이의 제1 갭과, 1개 더 전에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제3 지엽류와 상기 제2 지엽류 사이의 제2 갭을 더한 값이 상기 목표값을 2배 한 값보다 커지도록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한 상기 제1 지엽류의 취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갭을 상기 목표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갭이 상기 목표값으로부터 임의의 임계값을 초과하여 크거나 또는 작은 경우에, 상기 제1 갭과 상기 제2 갭을 더한 값이 상기 목표값을 2배 한 값보다 커지도록,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한 상기 제1 지엽류의 취출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16. 반송로 상에 취출된 지엽류들 사이의 갭이 목표값이 되도록, 복수매의 지엽류를 취출 위치로부터 상기 반송로 상에 연속하여 취출하는 취출 기구와,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해 취출되어 상기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고 있는 지엽류들 사이의 갭을 검출하는 갭 검출부와,
    상기 갭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해 취출 도중인 제1 지엽류와 1개 전에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제2 지엽류 사이의 제1 갭과, 1개 더 전에 상기 반송로 상에 취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제3 지엽류와 상기 제2 지엽류 사이의 제2 갭을 더한 값이 상기 목표값의 2배가 되도록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한 상기 제1 지엽류의 취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갭을 상기 목표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갭이 상기 목표값으로부터 임의의 임계값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갭을 상기 목표값에 근접하도록, 상기 취출 기구에 의한 상기 제1 지엽류의 취출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18. 제12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갭 검출부에서 검출한 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갭과 상기 제2 갭이 상기 목표값이 되도록 상기 제2 지엽류의 반송 속도를 조정하여 지엽류들 사이의 갭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2 갭이 상기 목표값보다 작을 때에 그 갭을 크게 하도록 상기 제2 지엽류의 상기 반송 속도를 감속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2 갭이 상기 목표값보다 클 때에 그 갭을 작게 하도록 상기 제2 지엽류의 상기 반송 속도를 가속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097005212A 2006-09-14 2007-09-10 지엽류 취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지엽류 취출 방법, 및 지엽류 처리 방법 KR101127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9913 2006-09-14
JPJP-P-2006-249913 2006-09-14
JP2007087191 2007-03-29
JPJP-P-2007-087191 2007-03-29
PCT/JP2007/000986 WO2008032446A1 (en) 2006-09-14 2007-09-10 Sheets retrieving device, sheets handling device, and sheets retriev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383A KR20090040383A (ko) 2009-04-23
KR101127654B1 true KR101127654B1 (ko) 2012-03-22

Family

ID=3918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212A KR101127654B1 (ko) 2006-09-14 2007-09-10 지엽류 취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지엽류 취출 방법, 및 지엽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845629B2 (ko)
EP (2) EP2460750B1 (ko)
JP (1) JP4734418B2 (ko)
KR (1) KR101127654B1 (ko)
WO (1) WO2008032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9939A (ja) * 2009-04-20 2010-12-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8439348B2 (en) * 2009-04-20 2013-05-1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50254B2 (ja) * 2009-04-23 2014-07-1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り出し装置
US20110116904A1 (en) * 2009-11-19 2011-05-19 Sick,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tem Handling
JP5388915B2 (ja) * 2010-03-16 2014-01-15 株式会社東芝 流路開閉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JP2011225370A (ja) * 2010-03-30 2011-11-10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US8596634B2 (en) * 2010-09-13 2013-12-03 Pitney Bowes Inc. System for controlling a singulating belt in a mailpiece feeder
US8596635B2 (en) 2010-09-13 2013-12-03 Pitney Bowes Inc. System for controlling mailpiece conveyance in a mailpiece feeder
US8511816B2 (en) * 2010-09-24 2013-08-20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flattener in an ink-based printing apparatus
DE102012207320B4 (de) * 2012-05-03 2013-11-21 Maschinenbau Oppenweiler Binder Gmbh & Co. Kg Saugtransport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nahme eines Bogens von einem Bogenstapel
JP5750413B2 (ja) * 2012-08-09 2015-07-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50001040A1 (en) * 2013-07-01 2015-01-01 Accelerate Inc. Double Flat Detection and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EP2886104A1 (en) 2013-12-11 2015-06-24 Patir, Suleyman An intra-articular g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7633A (ja) 1987-04-22 1988-11-04 Nec Corp 紙葉類の供給装置
JP2001322727A (ja) * 2000-05-16 2001-11-20 Katsuragawa Electric Co Ltd 自動プリント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5075630A (ja) * 2003-09-03 2005-03-24 Toshiba Corp 紙葉類分離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13526B (it) * 1976-03-27 1986-01-20 Licentia Gmbh Equipaggiamento per l'inoltro successivo di articoli di spedizione sotto forma di lettere da una pila
US4357007A (en) * 1980-04-24 1982-11-02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ic Corporation Singler device
JPH05208755A (ja) * 1992-01-31 1993-08-20 Kanzaki Paper Mfg Co Ltd 枚葉用紙用給紙装置
FR2696163B1 (fr) * 1992-09-25 1994-11-04 Cga Hbs Dépileur d'articles plats incluant un dispositif de retaquage.
JP2659344B2 (ja) * 1995-02-10 1997-09-30 日本電気ロボット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紙葉類の摩擦式供給機構
DE19607304C1 (de) * 1996-02-27 1997-07-31 Aeg Electrocom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bzugsvorrichtung für flache Sendungen von einem Stapel
DE69808407T2 (de) * 1997-11-13 2003-06-26 Hitachi Ltd Papiersortier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Papierblättern und Artikeln
US6089561A (en) * 1998-06-08 2000-07-18 Ncr Corporation Document feeder
US6076821A (en) * 1998-09-14 2000-06-20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sheets
JP2990185B1 (ja) * 1998-10-02 1999-12-13 日本電気株式会社 紙葉類の供給装置
US6575450B2 (en) * 2001-01-30 2003-06-1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ingulation mechanism
US6554275B1 (en) * 2001-12-04 2003-04-29 Unisy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ocument overlap/gap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JP4077245B2 (ja) 2002-05-28 2008-04-1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出装置
JP4062694B2 (ja) * 2003-04-23 2008-03-19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331357A (ja) * 2003-05-09 2004-11-25 Ricoh Co Ltd 用紙搬送装置及びその用紙搬送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8058735A (ja) * 2006-08-31 2008-03-13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及び媒体搬送方法
JP4790568B2 (ja) * 2006-11-06 2011-10-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DE102008014676A1 (de) * 2008-02-28 2009-09-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Gegenständ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7633A (ja) 1987-04-22 1988-11-04 Nec Corp 紙葉類の供給装置
JP2001322727A (ja) * 2000-05-16 2001-11-20 Katsuragawa Electric Co Ltd 自動プリント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5075630A (ja) * 2003-09-03 2005-03-24 Toshiba Corp 紙葉類分離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0750B1 (en) 2013-07-24
EP2062840A1 (en) 2009-05-27
EP2062840A4 (en) 2012-01-25
KR20090040383A (ko) 2009-04-23
EP2062840B1 (en) 2016-05-04
JPWO2008032446A1 (ja) 2010-01-21
US20090224461A1 (en) 2009-09-10
WO2008032446A1 (en) 2008-03-20
JP4734418B2 (ja) 2011-07-27
US20110042882A1 (en) 2011-02-24
US8561984B2 (en) 2013-10-22
US7845629B2 (en) 2010-12-07
EP2460750A1 (en) 201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654B1 (ko) 지엽류 취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지엽류 취출 방법, 및 지엽류 처리 방법
JP4184904B2 (ja) 紙葉類分離搬送装置
JP5509125B2 (ja) 紙葉類の取出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紙葉類処理装置
KR20070109905A (ko)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KR101127715B1 (ko) 지엽류 취출 장치
KR101142717B1 (ko) 종이 시트 픽업 장치
KR20030091783A (ko) 시트 취출 장치
JP2008280139A (ja) 紙葉類分離取り出し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881206B2 (ja) 紙葉類分離取り出し装置
JP2011225295A (ja) 紙葉類処理装置
EP2781478B1 (en) Paper sheet pickup device and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5377237B2 (ja) 紙葉類取出し装置
JP5823327B2 (ja) 紙葉類取出し装置
EP2030921B1 (en) Sheet take-out apparatus
JP2007076844A (ja)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6129925B2 (ja) 紙葉類取出し装置
JP4624185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12246071A (ja) 紙葉類の取出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紙葉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