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491B1 -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491B1
KR101126491B1 KR1020097003143A KR20097003143A KR101126491B1 KR 101126491 B1 KR101126491 B1 KR 101126491B1 KR 1020097003143 A KR1020097003143 A KR 1020097003143A KR 20097003143 A KR20097003143 A KR 20097003143A KR 101126491 B1 KR101126491 B1 KR 101126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information
devices
transmission period
reserv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2126A (ko
Inventor
마이클 존 빔스 하트
유에펭 조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616482A external-priority patent/GB2440986A/en
Priority claimed from GB0623861A external-priority patent/GB0623861D0/en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6Resource re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송신 방법으로서 - 상기 시스템은 소스 장치, 목적지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중간 장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 장치로 연장되는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일련의 링크들을 따라 통신 방향으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는 상기 경로를 따라 이전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상기 경로를 따라 후속 장치에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시스템은, 이산 송신 구간 동안 상기 통신 방향으로의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송신 주파수 대역폭을 할당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시간-주파수 포맷에 대해 액세스하며, 상기 포맷은 이러한 구간 내에 복수의 송신 윈도우를 정의하고, 각각의 윈도우는 그 구간의 상이한 부분을 점유하고 그 구간의 해당 부분에 걸쳐 상기 이용가능한 송신 주파수 대역폭 내에 주파수 대역폭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윈도우는 이러한 송신 구간 동안 송신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장치들 중 하나에 할당가능함 -, 상기 방법은, 상기 장치들 중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들 중 제2 장치로 이러한 특정 송신 구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약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중간 장치 또는 상기 중간 장치들 중 하나이고,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특정 송신 구간의 예약될 적어도 하나의 송신 윈도우를 지정함 -; 및 상기 제2 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예약 정보에 따라서 상기 특정 송신 구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들)를 예약하는 단계를 포 함하는 송신 방법.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중간 장치, 송신 윈도우, 시간-주파수 포맷, 통신 경로

Description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S}
본 발명은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패킷 기반의 무선 및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서 멀티-홉 기술들을 이용하는 것에 상당한 관심이 있는데, 이것은 그러한 기술들이 커버리지 범위의 확장과 시스템 용량(처리율)의 증가를 모두 가능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멀티-홉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신호들은 소스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중간 장치들을 경유하여 목적지 장치에 이르는 통신 경로(C)를 따라 통신 방향으로 송신된다. 도 6은 (3G 통신 시스템들의 맥락에서는 "노드-B(NB)"로서 공지되어 있는) 기지국(BS), (중계국(RS)으로도 공지되어 있는) 중계 노드(RN), 및 (이동국(MS)으로도 공지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UE)를 구비하는 단일-셀 2-홉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신호들이 다운링크(DL)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노드(RN)를 경유하여 수신지 사용자 장비(UE)로 송신되는 경우, 기지국은 발신국(S)을 의미하고 사용자 장비는 착신국(D)을 의미한다. 통신 신호들이 업링크(UL)를 통해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발신국을 의미하고 기지국은 착신국을 의미한다. 중계 노드는 중간 장치(I)의 일례이고, 소스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수신기; 및 이 데이 터 또는 그것에 관한 파생물(derivative)을 목적지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송신기를 구비한다.
간단한 아날로그 중계기들(repeaters) 또는 디지털 중계기들이 데드 스폿들(dead spots)에서의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거나 제공하기 위한 중계 장치들(relays)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것들은 발신국 송신과 중계기 송신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발신국과는 상이한 송신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거나 발신국으로부터 송신이 없는 때에 동작할 수 있다.
도 7은 중계국들에 대한 다수 용례들을 예시한다. 고정 인프라스트럭처의 경우, 중계국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는, 다른 물체들의 그늘 하에 있거나, 기지국의 정규 범위 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충분한 강도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이동국들에게 통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인필(in-fill)"일 수 있다. 이동국이 기지국의 정규 데이터 송신 범위를 벗어날 때 중계국이 액세스를 허용하는 "범위 확장(range extension)"도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오른쪽 상단에 도시된 인필의 일례는, 지면 위에, 지면에, 또는 지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는 빌딩 내에서의 커버리지 신장을 허용하기 위해 노매딕(nomadic) 중계국을 배치하고 있다.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은, 사건 또는 비상 사태/재해가 발생한 동안에 액세스를 제공하여 일시적인 커버 효과를 가져오는 노매딕 중계국들이다. 도 7의 오른쪽 하단에 도시된 마지막 용례는 차량에 배치된 중계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에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중계 장치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의 이득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전된 송신 기술들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의 경우 공간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산란 또는 흡수되고, 이로 인해 전파 손실 또는 "경로 손실"의 발생이 발생되어, 신호 강도가 떨어진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경로 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송신기 안테나 높이, 수신기 안테나 높이, 반송파 주파수, 클러터 유형(도시, 교외, 시골), 지형학적 세부 사항들, 예컨대 높이, 밀도, 격리 거리(separation), 지세 유형(언덕, 평지)을 들 수 있다.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경로 손실(L(dB))은 다음의 수학식 A에 의해 모델링될 수 있는데,
Figure 112009009422123-pct00001
여기에서, d(미터)는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격리 거리이고, b(db) 및 n은 경로 손실 파라미터들이며, 절대적 경로 손실은 l=10(L/10)으로써 주어진다.
간접 링크 상에서 겪는 절대적 경로 손실들의 합(SI + ID)이 직접 링크 상에서 겪는 경로 손실(SD)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음의 수학식 B가 성립될 수 있다.
Figure 112009009422123-pct00002
따라서, 단일 송신 링크를 2개의 좀더 짧은 송신 세그먼트들로 분할하는 것 은, 경로 손실 대 거리 사이의 비선형 관계를 이용한다. 수학식 A를 이용한 경로 손실의 간단한 이론적 분석으로부터, 신호가 소스 장치로부터 목적지 장치로 직접적으로 송신되는 것이 아니라, 소스 장치로부터 중간 장치(예를 들어,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목적지 장치로 송신된다면, 전반적인 경로 손실의 감소(및 그에 따른 신호 강도 및 데이터 처리율의 향상 또는 이득)가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적절하게 구현된다면, 멀티-홉 통신 시스템들은, 무선 송신을 용이하게 하는 송신기들의 송신 전력의 감소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자기 방사에의 노출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간섭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전반적인 경로 손실의 감소는, 신호 전달에 필요한 전반적인 복사성 송신 전력(radiated transmission power)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수신기에서의 수신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멀티-홉 시스템들은 다중 반송파 송신에 의한 사용에 적합하다.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또는 DMT(discrete multi-tone)와 같은 다중 반송파 송신 시스템에서, 단일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이 자신만의 주파수 범위를 가진 N개의 병렬 부반송파들로 변조된다. 이로 인해, 총 대역폭(즉, 소정 시구간에서 송신될 데이터량)은, 복수의 부반송파에 걸쳐 분할됨으로써, 데이터 심볼 각각의 구간을 증가시킨다. 부반송파 각각이 좀더 낮은 정보율을 가지므로, 다중 반송파 시스템들은 단일 반송파 시스템들에 비해 채널 유도 왜곡에 대한 향상된 내성으로부터 이점을 취한다. 이것은 송신 속도 및 그에 따른 부반송파 각각의 대역폭을 채널의 가간섭성 대역폭 미만으로 확실하게 함으로써 실현된다. 그 결과, 신호의 부반송파가 겪는 채널 왜곡은 주파수 독립적이고, 그에 따라, 간단한 위상 및 진폭 정정 요인에 의해 정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 반송파 수신기 내의 채널 왜곡 정정 엔티티는, 시스템 대역폭이 채널의 가간섭성 대역폭을 초과하는 경우에, 단일 반송파 수신기 내의 것보다 상당히 덜 복잡할 수 있다.
OFDM은 FDM에 기초한 변조 기술이다. OFDM 시스템은, 수학적인 관점에서 직교하는 복수의 부반송파 주파수들을 이용함으로써, 부반송파들의 스펙트럼들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사실로 인해 간섭없이 중첩될 수 있다. OFDM 시스템들의 직교성은 보호 대역(guard band) 주파수들의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시스템의 스펙트럼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OFDM은 다수의 무선 시스템들에서 제안되고 채택되어 왔다. 현재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커넥션에서, (IEEE802.11a/g 표준에 기초한 WiFi 디바이스들과 같은) 일부 무선 LAN 애플리케이션에서, 그리고 (IEEE802.16 표준에 기초한) WiMAX와 같은 무선 MAN 애플리케이션에서 OFDM이 이용된다. OFDM은 흔히 채널 코딩, 오류 정정 기술과 함께 사용되어 COFDM(coded orthogonal FDM)을 생성한다. COFDM은 주파수 도메인의 부반송파들과 시간 도메인의 심볼들 모두에서 채널 왜곡의 변동이 나타날 수 있는 다중 경로 환경에서 OFDM 기반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현재 디지털 원격 통신 시스템들에서 널리 이용된다. 그 시스템은, DVB 및 DAB와 같은, 비디오 및 오디오 브로드캐스트뿐만 아니라 일정한 타입의 컴퓨터 네트워킹 기술에도 사용되어 왔다.
OFDM 시스템에서는, 송신기에서 시간 도메인에서의 "OFDM 심볼"로서 알려진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서 IDFT/IFFT(Inverse Discrete or Fast Fourier Transform algorithm)를 이용하여 N개의 변조된 병렬 데이터 발신 신호들의 블록을 N개의 직교하는 병렬 부반송파들에 맵핑한다. 이와 같이, "OFDM 심볼"은 모든 N개의 부반송파 신호들의 복합 신호이다. OFDM 심볼은 수학적으로 다음의 수학식 1로서 표현될 수 있는데,
Figure 112009009422123-pct00003
여기에서, △f는 Hz의 부반송파 격리 거리이고, Ts = 1/△f는 초의 심볼 시구간이며, cn은 변조된 소스 신호들이다. 발신 신호들 각각이 변조되는 수학식 1에서의 부반송파 벡터(c ∈ Cn, c = (c0, c1..cN-1))는 유한 컨스털레이션(finite constellation)으로부터의 N개의 컨스털레이션 심볼들의 벡터이다. 수신기에서는, 수신된 시간 도메인 신호는,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또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다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는 OFDM의 변형된 다중 접속 방식이다. 그것은 개개의 사용자에게 부반송파들의 서브세트를 할당함으로써 효과적이다. 이것은 몇몇 사용자들로부터의 동시 송신을 가능하게 하여 스펙트럼 효율성을 보다 양호하게 한다. 그러나, 간섭없이 양방향, 즉, 업링크 및 다운로드 방향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2개 노드들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2개(순방향 또는 다운로드 및 역방향 또는 업링크)의 통신 링크들을 듀플렉싱(duplexing)하여 디바이스가 동일한 자원 매체를 통해 동시에 송수신할 수 없다는 물리적인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두가지 상이한 공지의 방법들이 존재한다. 첫째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는 송신 매체를 하나는 순방향 링크 통신이고 다른 하나는 역방향 링크 통신인 2개의 별도의 대역들로 세분함으로써 2개의 링크들을 동시에 그러나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동작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둘째로, TDD(time division duplexing)는 2개의 링크들을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시키지만, 임의의 일 시점에서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링크만이 매체를 이용하도록 송신 매체에의 액세스를 시간으로 세분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양자의 방법들(FDD & TDD)은 그들만의 상대적 이점들을 가지며, 모두가 단일 홉의 유선 및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널리 이용되는 기술들이다. 예를 들어, IEEE802.16 표준은 FDD 및 TDD 모드를 모두 포함한다.
일례로서, 도 8은 IEEE802.16 표준(WiMAX)의 OFDMA 물리 계층 모드에서 사용되는 단일 홉의 TDD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다.
각각의 프레임은 각각이 별도의 송신 구간인 DL 서브프레임과 UL 서브프레임으로 분할된다. 그것들은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uard interval) 및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uard interval)에 의해 분리된다. 각각의 DL 서브프레임은 프리앰블로 시작하여 FCH(Frame Control Header), DL-MAP, 및 UL-MAP가 뒤따른다.
FCH는 DL-MAP의 길이 및 버스트 프로파일을 특정하기 위한 DLFP(DL Frame Prefix)를 포함한다. DLFP는 각 프레임의 시작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구조이고 현재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그것은 FCH에 맵핑된다.
동시적 DL 할당들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유니캐스트될 수 있고, 그것들은 서브하는 BS가 아닌 다른 BS를 위한 할당도 포함할 수 있다. 동시적 UL들은 데이터 할당들 및 범위 또는 대역폭 요청들일 수 있다.
영국특허출원번호 제0616482.6은 통신 기술에 관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 제안되는 상관 발명을 기술한다. 이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통합되고, 이 출원의 사본은 본 출원에 첨부된다.
중계국(RS)에서의 프레임 구조는 표준화된 프레임 구조(도 8은 IEEE802.16(WiMAX) 표준에서의 표준화된 TDD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와의 호환 가능성을 유지하도록 그리고 기지국(BS) 및 이동국(MS)의 송신 간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양호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RS에서의 프레임 구조는 BS와 RS, BS와 MS, 또는 RS와 MS 사이의 통신을 보장해야 한다. 그러나, 발명자들은 MS로부터의 통신이 RS 및 BS 통신들로부터 간섭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참조되어야 하는 독립 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일례로써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RS 영역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WiMAX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RS 영역을 할당하는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5는 BS가 RS로부터의 어떠한 요청없이 RS 영역을 직접 지시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6은 단일-셀 2-홉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은 중계국들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도시한다.
도 8은 IEEE802.16 표준의 OFDMA 물리 계층 모드에서 이용되는 단일 홉 TDD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윈도우 예약
1. 서론
분산 제어된 멀티-홉 중계 기반 네트워크에서, RS는, DL 및 UL MAP 정보와 RS의 관련 IE들을 구성하면서, 자신의 액세스 링크에 자원 할당을 담당한다. 이에 따라, MR-BS(또는 상위(superordinate) RS)가 RS에 메시지를 보내어, 서비스하는 SS들로의 송신을 위해 RS에서 액세스 다운링크의 영역을 사용하지 않도록 지시할 수 있게 하는 메카니즘이 존재하지 않는다.
동일한 문제, 즉, 상위 RS 또는 MR-BS가 RS에 의해 제어되는 액세스 링크에 SS로부터의 송신을 할당하지 않도록 RS에 지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업링크에 대해 서도 존재한다.
그 결과, MR-BS는, 감소된 간섭 또는 제로(zero) 간섭을 겪는 DL 또는 UL 서브프레임의 송신 영역들을 시도하여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단일 홉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셀-와이드(cell-wide) 안전 영역을 할당할 수 없게 된다.
2.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를 수신하는 노드가 제어하는 액세스 DL 및 UL에서의 송신 기회의 할당을 달성하는, 하위 중간 노드에 "예약" 정보를 제공하는 상위 노드의 개념을 도입한다. 단순한 예로서는, 액세스 DL 및 액세스 UL의 임의의 영역을 이용하지 않도록 RS에 알리기 위해 RS에 정보를 송신하는 MR-BS가 있다. 그 결과, RS는 DL 및 UL MAP 각각에서 자원 할당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고, 이에 따라 RS는 액세스 DL 구간 내의 이 예약된 영역 내에서 송신하지 않을 것이고, SS 또는 MS는 액세스 UL 상의 이 예약된 영역 내에서 송신하지 않을 것이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MR-BS(또는 상위 RS)가 하위 RS에 예약 정보를 알릴 수 있게 하는 2개의 새로운 메시지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이들은 MR_DL_Safety_Region_IE 및 MR_UL_Safety_Region_IE로 불린다. 메시지는, 액세스 DL 및 UL 각각에서 RS에 의해 사용될 수 없는 윈도우 또는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RS는 기존의 메시지를 사용하여, 이 영역들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을 MS에 알릴 수 있다. 이는, IEEE802.16 기반의 시스템의 경우에, 레거시(legacy)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DL의 경우에, RS는 13의 DIUC를 사용하여 DL-MAP_IE를 송신할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면, SS/MS는 DL-MAP_IE에 의해 기술된 버스트에서 송신된 임의의 신호를 무시한다는 것을 DIUC 13에 의해 알게 되고, 이에 따라, RS는 이 버스트 또는 영역에서 아무것도 송신할 수 없다(또는 비-정보-전달(non-information-carrying)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UL의 경우에, RS는, 타입을 안전 구역(safety zone) 할당으로 설정하는 PAPR_reduction_and_safety_zone_allocation_IE에 선행하는 13의 UIUC에 의해 UL-MAP_IE를 송신하여, SS들/MS들에게, 이들이 지시된 영역에 UL 정보를 송신하지 않도록 지시할 것이다.
MR-BS(또는 상위 RS)로부터의 정보는 하위 RS9S에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이어서, 상위 RS 또는 MR-BS는, 하위 RS(들)로부터의 간섭을 저하시키는 성능을 갖는, MS/SS에의 송신들을 할당하기 위해 예약된 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a는 MR-BS로부터 DL 서브프레임 0에 발행된 명령이 하위 RS에 의해 다음 서브프레임의 액세스 링크에서 어떻게 동작되는지를 도시한다. 이 명령은 할당 해제(deallocate)될 때까지 지속되거나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에 대해서만 1회성으로 예약될 수 있다. 이 경우에, RS는 액세스 링크의 자신의 DL-MAP에, 이 영역이 13의 DIUC로 특정 버스트를 할당함으로써 예약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 결과, 이 특정 버스트 또는 영역에서는 RS에 의해 전달될 정보는 없으며, 이에 따라 SS/MS는 이 버스트를 무시할 수 있다.
빗금친(cross-hatched) 영역은, 하나의 지시가 멀티캐스트 그룹 내의 모든 RS들에게 윈도우 또는 영역의 예약을 알리는 멀티캐스트 안전 영역 할당이다. 어 둡기가 다른 2개의 빗금친 영역들은 유니캐스트 안전 영역 할당의 예들이고, 여기에서는 1 RS만이 IE에 할당된 윈도우 또는 영역을 예약한다. 백색 영역은, IE들을 발행하는 국(이 경우에는 MR-BS)에서 하위 RS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역들을 나타낸다.
도 1b는 MR-BS로부터 DL 서브프레임 0에 발행된 명령이 하위 RS에 의해 동일 또는 이후의 서브프레임 중 하나의 액세스 링크에서 어떻게 동작되는지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RS는 액세스 링크 상의 자신의 UL-MAP에, 이 영역이 예약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 결과, SS/MS는 이 영역 내에서 송신을 할당하지 않을 것이며, 이들은 할당이 이 영역을 스패닝할(span) 때 이 영역을 스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비-송신에 대해 영역 또는 윈도우의 사용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지만, "돈 케어(don't care)" 송신의 영역들을 할당하기 위해 MR-BS를 추가로 사용해도 된다. 이어서, 이러한 영역들은 모든 송신기들에 의해 사용되어, 파형을 전달하는 정보와 간섭될 위험없이, 비-정보 전달(non-information carrying) 파형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비-정보-전달 파형은, 톤 예약(이러한 톤 예약은 삼성이 출원한 특허공개(WO2005/025102)에 개시되어 있고, 802.16 표준에 포함되어 있음)으로 공지된 기술을 이용해서 송신기에서 PAPR(peak-to-average-power ratio)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영역 또는 윈도우에 대한 또 다른 사용은, 802.16 표준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사운딩(sounding)" 파형의 송신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요약하자면, 이 예약된 영역 또는 윈도우는 PAPR 감소를 위해 또는 비 송신을 위해 다운링크 접속을 통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운딩(파형 송신으로 공지됨), PAPR 감소, 또는 비 송신을 위해 업링크 접속을 통해 사용될 수 있다.
"비-정보 전달 신호"는, 수신기에 의해 처리되지 않을 일부 서브-캐리어들에서 이루어지는 송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데이터도 이들 서브-캐리어 상에 인코딩되지 않는다. 서브-캐리어에 적용되는 변조는 IFFT 이후의 전체 신호 파형의 변동을 감소시키려는 것이다. IFFT 방정식은 다수의 개별 사인파를 효과적으로 합산한다. 그 결과, 합성파(composite waveform)는 진폭이 크게 변동될 수 있다. PAPR 감소에 대한 아이디어는 이러한 변동을 줄이려고 한 것이다. 일 특정 방법은, 합성파의 변동을 줄이기 위해서 일부 "미사용(unused)" 데이터 서브-캐리어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서, "미사용" 데이터 서브-캐리어들이, 전체 시스템 PAPR을 감소시키도록 조정된 서브-캐리어에 변조가 적용된 송신 동안 사용되지만, 이들 "미사용" 서브-캐리어들은 수신기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미사용" 서브-캐리어들을 통해 송신된 신호는 "비-정보-전달 신호"로 불릴 수 있다.
사운딩 신호는 본래, 수신기에서 채널 응답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주지" 또는 다른 "공지" 신호이다. 그 사상은, 주지의 신호를 전송한다면(즉, 수신기가 무엇이 송신되었는지 안다면), 채널에 의해 유도된 왜곡을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채널 사운딩"이라는 용어는, 본질적으로 채널을 사운딩 아웃하여 그 속성을 얻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파형의 전송시에 사용된다. 이러한 신호는 통상적으로 특별한 속성을 갖도록 정의된다. OFDM의 경우에, 이들 신호는 통상, 모든 서브-캐리어들을 동일한 가중치로 사운딩하기 위해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일정한 진폭을 갖도록 설계된다. 이는, 노이즈로 인해 사운딩 프로세스에서 나오는 어떠한 오류도 채널 응답에 대해서 동일하게 가중화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OFDM의 경우에, 신호는 시간에 대해서 일정한 진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PAPR은 가능한 작게 된다.
3. 이점들의 요약
상기 실시예들은, 상위 장치가 SS 또는 MS와의 간섭이 감소된 또는 간섭이 없는 통신을 보장할 수 있는 영역들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위 장치가 비-송신을 위해 하위 장치에서 윈도우들 또는 영역들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을 설명하였다. 또한, 이 개념을 풀어 놓는 메카니즘도 제공된다.
그 결과, 다음의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ㆍ 분산 시스템에서의 상위 장치는, 간섭 관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위 장치들에 대해 어느 정도의 제어를 가질 수 있다.
ㆍ 이는 분산 제어의 이점들이 실현될 수 있게 하면서, 본래 단일의(또는 더 나은) 주파수 재사용을 달성하려는 시스템에서, 간섭의 집중화된 제어를 위한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요약하면, BS(또는 RS)는, 하위 RS에게 DL 및 UL 둘 다에서의 비-송신을 위한 액세스 링크의 영역들을 예약할 것을 알리는 능력이 (특히 분산 스케줄링의 경우에) 필요하다. 이는, BS 및 그 하위 RS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 내의 간섭에 대해 소정의 제어를 가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2개의 메시지들이 고려될 수 있다. 이들은 둘 다 (DL 및 UL-MAP의) R-링크로 전달되고, 하나는 RS에게 DL 액세스 링크에서 사용하지 않는 영역을 알리고, 다른 하나는 UL 액세스 링크에서 사용하지 않는 영역을 알린다.
R-DL의 DL-MAP은, RS에 비-송신의 영역 또는 윈도우를 할당하는 멀티캐스트 그룹의 다수의 RS에 대한 멀티캐스트 또는 단일 RS에 대한 MR_DL_Safety_Zone_IE 유니캐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MR-BS는, 모든 RS들(또는 RS들의 그룹)로부터의 간섭을 경험하는 특정 RS 또는 MS로부터의 간섭을 경험하는 MS에 대한 송신을 위해 이 윈도우 또는 영역을 활용할 수 있다. 이는 또한 UL의 안전 구역 할당에도 적용되고, 여기에서 R-DL의 UL-MAP은, MR-BS로의 MS 송신에 대한 UL 간섭을 방지하도록 비-송신의 영역 또는 윈도우를 UL상의 RS에 할당하는 안전 영역 할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S는, RS에 접속된 MS들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MR-BS와 같은 방식으로 IE들을 하위 RS에 발행할 수 있다.
RS 영역 및 시스템 동작들의 세부 사항들
상술한 윈도우 예약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예가 RS 영역에서 주어진다.
RS 영역의 정의:
RS들 사이의 안전한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BS는 하나 또는 다수의 RS 영역들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할 것이다. 이 영역의 사이즈는 다수의 OFDM 심볼들(도 2의 (a)) 또는 다수의 슬롯들(도 2의 (b))일 수 있다.
RS 영역은 RS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BS 및 MS는 RS 영역 내에서 침묵을 지킴으로써, 간섭을 방지할 것이다. RS 영역 할당을 위한 바람직한 규제들은:
a. RS, BS, 및 MS의 서브프레임들에서 RS 영역이 생성되고 동기화될 것이다. 할당 및 사이즈는 BS에 의해 지시될 것이다;
b. RS 영역 내에서, MS 및 BS는 침묵을 지킬 것이다;
c. BS는 어떤 RS들이 RS 영역 내에서 송신할 권한을 갖는지를 지시할 것이다;
d. 하나 이상의 RS들이 RS 영역 내에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e. 다수의 RS 영역들이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구간 내에 할당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RS 영역의 목적들은:
a. RS들 사이에서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정보 교환;
b. RS와 MS 사이에서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정보 교환;
c. RS와 BS 사이에서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정보 교환; 및
d. 미리 판정된 시퀀스들이 채널 감지 및 동기화를 위해 RS 영역에 추가될 수 있다는 것일 수 있다.
RS 영역을 할당하기 위한 시스템 동작들:
도 3은, 중계국(도 3)이 RS 영역을 요청하기를 원할 때의 시그널링 도면을 도시한다.
도 4에서, RS 1#은 RS 영역을 요청하기 위해 RS_Rng_Req를 BS로 보냈는데, RS 영역 내에서의 송신에 관한 좀더 많은 정보가 이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BS는 응답을 위해 RS_Rng_Rsp 메시지를 보낼 것이다. BS는 RS 영역 할당을 거부하거나 승인할 수 있다. RS 영역 내에서의 송신에 관한 보다 많은 정보, 예를 들어, 거부의 원인들, RS 영역의 배치 및 타이밍 정보, 그리고 액세스 방법 등이 이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BS가 RS 영역 요청을 승인하면, 대응되는 RS 영역이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될 것이다.
RS 영역들은, RS로부터의 요청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BS에 의해 직접 특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BS는 RS_Rng_Rsp 메시지를 보내는 것에 의해 모든 RS들을 위해 RS 영역에 직접 지시한다. 보다 많은 정보가 이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멀티-홉 중계 시스템들에서는, RS_Rng_Req 및 RS_Rng_Rsp와 같은, 메시지들이 중계됨으로써, 멀티-홉 중계국이 RS 영역들을 요청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로,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중인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또는 그것에 관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당업자들이라면,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송신기의 기능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는데 실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방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또는 장치 프로그 램들(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로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그러한 프로그램들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들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신호들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한 신호들은 인터넷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데이터 신호들일 수 있거나, 반송파 신호를 통해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점들의 요약
요약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점들은 다음과 같다:
1. 윈도우들을 예약하는 유연성(flexibility)에 있어서의 연관된 개선을 통해서 (WiMAX와 같은) OFDMA 시스템을 개선시킨다;
2. 윈도우들을 예약하는 적절한 방법을 제공하여, 프레임 구조 및 네트워크 배치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3. WiMAX 표준과 양립될 수 있는, 제안된 윈도우 예약 방법에 대한 시그널링 메카니즘이 설계된다;
4. 분산된 스타일로 집중화된 알고리즘을 이동시키는 것이 보다 유연하다. 분산 구현은 BS에서의 계산 및 시그널링 로드를 경감시킬 수 있다;
5. 제안된 예약된 윈도우는, 채널 사운딩, 핸드오버, 라우팅 탐색 및 유지 등과 같은 다수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6. 윈도우 예약은 중계 시스템에서의 간섭을 피하는 유연한 방법이다.
IEEE 802.16E-2005에 대한 RS 액세스 다운링크 안전 영역의 가능한 적용: 윈도우 예약 기여
서론
분산 제어 [1]의 MR 네트워크에서, RS는, DL 및 UL MAP 정보와 RS에서의 연관된 IE들을 구성하면서, 자신의 액세스 링크에 대한 자원 할당을 담당한다. 그 결과, MR-BS(또는 상위 RS)가 RS에 메시지를 보내어, 서비스하는 SS들로의 송신을 위해 RS에서 액세스 다운링크의 영역을 할당하지 않도록 지시할 수 있게 하는 메카니즘이 존재하지 않는다. MR-BS(또는 RS)가 자신의 액세스 다운링크에서 비-송신에 대해 예약된 영역을 RS에 지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새로운 DL-MAP IE가 MR-BS 또는 RS로부터 RS로의 R-Link[2]에서 송신되도록 제안되어, 그 액세스 다운링크에서 예약된 영역 또는 "안전" 영역을 지시한다. RS가 자신의 R-Link에서 "RS_DL_Safety_Region_IE"를 수신하면, RS는 다음 DL 서브프레임의 액세스 DL에 이 영역을 예약할 것이다.
제안된 텍스트
[이하 지시된 바와 같이 섹션 8.4.5.3.2.1의 표 277a의 항목 변경:]
Figure 112009009422123-pct00004
[새로운 하위조항 8.4.5.3.29 삽입:]
Figure 112009009422123-pct00005
중계 링크상의 DL-MAP에서, MR-BS 또는 RS는 RS_Access_DL_Safety_Region_IE()에 의해 DIUC=15를 전송하여, 다음 DL 서브프레임의 RS 액세스 DL에서 비-송신에 대해 예약될 영역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표 286ab]
RS_Access_DL_Safety_Region_IE
구문 사이즈 노트
RS_Access_DL_Safety_Region_IE(){
확장된 DIUC 4 비트 RS_Access_DL_Safety_Region_IE = 0x0A
길이 4 비트
OFDMA 심볼 오프셋 8 비트
OFDMA 서브채널 오프셋 8 비트
OFDMA 심볼 번호 7 비트
서브채널 번호 6 비트
}

Claims (47)

  1. 멀티-홉(multi-hop)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송신 방법으로서 - 상기 시스템은 소스 장치, 목적지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중간 장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 장치로 연장되는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일련의 링크들을 따라 통신 방향으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는 상기 경로를 따라 이전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를 상기 경로를 따라 후속 장치에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시스템에서의 송신을 위해 시간-주파수 포맷이 이용되고, 복수의 송신 윈도우가 송신 기간 내에 포함됨 -,
    상기 방법은,
    특정 송신 기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약 정보를 상기 장치들 중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들 중 제2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중간 장치 또는 상기 중간 장치들 중 하나이고,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예약될 적어도 하나의 송신 윈도우를 지정함 -; 및
    상기 제2 장치에서, 수신된 상기 예약 정보에 따라서 비-정보-전달(non-information-carrying) 신호의 비-송신 또는 송신에 대하여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를 예약하는 단계 - 상기 지정된 윈도우는 상기 제2 장치에 의한 송신에 대한 상기 특정 송신 기간에 이용되는 시간-주파수 포맷의 일부에 있음 -
    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소스 장치이며, 또는,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상기 중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중간 장치들 중 하나인 송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하나보다 많은 상기 중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기 중간 장치들 각각에 상기 예약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장치 중 각각의 중간 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예약 정보에 따라서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를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 또는 상기 복수의 중간 장치에서의 예약의 결과로서, 그 장치 또는 장치들이 상기 지정된 윈도우 동안 발생하는 다른 송신들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에서 그 장치 또는 장치들로부터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2 장치 또는 상기 복수의 중간 장치에서의 예약의 결과로서,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에서 그 장치 또는 장치들로부터 비-정보-전달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송신 기간에 바로 선행하는 송신 기간 동안, 또는 상기 특정 송신 기간 동안, 상기 예약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송신 기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송신 기간 각각에 대해 상기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는 지속성(persistent) 예약 정보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지속성 예약 정보를 취소하는 할당 해제(deallocation) 정보의 수신시까지 상기 복수의 송신 기간에 대해 하나씩 차례로 상기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향은 다운링크 방향이고,
    상기 목적지 장치는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소스 장치로 상기 통신 경로를 따라 상기 다운링크 방향에 반대되는 업링크 방향으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는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업링크 방향으로 이전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를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업링크 방향으로 후속 장치에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시간-주파수 포맷은 또한 상기 업링크 방향으로의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송신 주파수 대역폭을 할당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것인 송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에서의 예약의 결과로서,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방향으로의 상기 경로를 따라 배치된 상기 장치들 중 제3 장치로부터의 송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는, 상기 제3 장치가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에서 송신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장치가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에서 비-정보-전달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송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는, 상기 제3 장치가, 사운딩(sounding)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에서 공지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송신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는 예약될 적어도 2개의 송신 윈도우를 지정하고, 그 송신 윈도우들 중 하나는 상기 다운링크 방향으로의 송신을 위한 것이고, 그 송신 윈도우들 중 나머지 하나 또는 그 송신 윈도우들 중 또 다른 하나는 상기 업링크 방향으로의 송신을 위한 것인 송신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는, 그러한 송신 기간 동안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떨어져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송신 윈도우들의 할당을 담당하는 송신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는 제1 예약 정보이고,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은 제1 송신 기간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예약 정보의 송신에 후속하여, 상기 제1 송신 기간에 후속하는 제2 송신 기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제1 예약 정보와 상이한 제2 예약 정보를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예약 정보는 상기 제2 송신 기간의 예약될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지정함 -; 및
    상기 제2 장치에서, 수신된 상기 제2 예약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2 송신 기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를 예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송신 기간 내에서 상기 제2 예약 정보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의 위치는 상기 제1 송신 기간 내에서 상기 제1 예약 정보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의 위치와 다른 송신 방법.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산 송신 기간은 서브프레임 주기이며,
    상기 송신 윈도우 각각은 OFDM 또는 OFDMA 프레임 구조에서의 영역(region) 또는 구역(zone)을 포함하는 송신 방법.
  16.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소스 장치, 목적지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중간 장치들 -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 장치로 연장되는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일련의 링크들을 따라 통신 방향으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는 상기 경로를 따라 이전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를 상기 경로를 따라 후속 장치에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함 -;
    송신 기간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송신 윈도우를 가지는 상기 시스템에서의 송신에 이용되는 시간-주파수 포맷 ;
    상기 장치들 중 제1 장치에 제공되고, 특정 송신 기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약 정보를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들 중 제2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 수단 -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중간 장치 또는 상기 중간 장치들 중 하나이고,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예약될 적어도 하나의 송신 윈도우를 지정함 -; 및
    상기 제2 장치에 제공되고, 수신된 상기 예약 정보에 따라서 비-정보-전달 신호의 비-송신 또는 송신에 대하여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를 예약하도록 동작가능한 예약 수단 - 상기 지정된 윈도우는 상기 제2 장치에 의한 송신에 대한 상기 특정 송신 기간에 이용되는 시간-주파수 포맷의 일부에 있음 -
    을 포함하는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17.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의 컴퓨팅 디바이스들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시스템으로 하여금 송신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모음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 상기 시스템은, 소스 장치, 목적지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중간 장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 장치로 연장되는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일련의 링크들을 따라 통신 방향으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는 상기 경로를 따라 이전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를 상기 경로를 따라 후속 장치에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시스템에서의 송신을 위해 시간-주파수 포맷이 이용되고, 복수의 송신 윈도우가 송신 기간 내에 포함됨 -
    상기 방법은,
    특정 송신 기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약 정보를 상기 장치들 중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들 중 제2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중간 장치 또는 상기 중간 장치들 중 하나이고,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예약될 적어도 하나의 송신 윈도우를 지정함 -; 및
    상기 제2 장치에서, 수신된 상기 예약 정보에 따라서 비-정보-전달 신호의 비-송신 또는 송신에 대하여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를 예약하는 단계 - 상기 지정된 윈도우는 상기 제2 장치에 의한 송신에 대한 상기 특정 송신 기간에 이용되는 시간-주파수 포맷의 일부에 있음 -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8.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의 특정 중간 장치에서의 사용을 위한 송신 방법으로서 - 상기 시스템은 소스 장치, 목적지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중간 장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 장치로 연장되는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일련의 링크들을 따라 통신 방향으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는 상기 경로를 따라 이전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를 상기 경로를 따라 후속 장치에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시스템에서의 송신을 위해 시간-주파수 포맷이 이용되고, 복수의 송신 윈도우가 송신 기간 내에 포함됨 -
    상기 방법은,
    특정 송신 기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약 정보를 상기 장치들 중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예약될 적어도 하나의 송신 윈도우를 지정함 -; 및
    수신된 상기 예약 정보에 따라서 비-정보-전달 신호의 비-송신 또는 송신에 대하여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를 예약하는 단계 - 상기 지정된 윈도우는 상기 특정 중간 장치에 의한 송신에 대한 상기 특정 송신 기간에 이용되는 시간-주파수 포맷의 일부에 있음 -
    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19.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의 특정 중간 장치로서,
    상기 시스템은,
    소스 장치, 목적지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중간 장치들 -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 장치로 연장되는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일련의 링크들을 따라 통신 방향으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는 상기 경로를 따라 이전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를 상기 경로를 따라 후속 장치에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함 - ; 및
    송신 기간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송신 윈도우를 가지는 상기 시스템에서의 송신에 이용되는 시간-주파수 포맷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중간 장치는
    특정 송신 기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약 정보를 상기 장치들 중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 -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예약될 적어도 하나의 송신 윈도우를 지정함 -; 및
    수신된 상기 예약 정보에 따라서 비-정보-전달 신호의 비-송신 또는 송신에 대하여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를 예약하도록 동작가능한 예약 수단 - 상기 지정된 윈도우는 상기 특정 중간 장치에 의한 송신에 대한 상기 특정 송신 기간에 이용되는 시간-주파수 포맷의 일부에 있음 -
    을 포함하는 특정 중간 장치.
  20.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의 특정 중간 장치의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특정 중간 장치로 하여금 송신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 상기 시스템은, 소스 장치, 목적지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중간 장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 장치로 연장되는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일련의 링크들을 따라 통신 방향으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중간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간 장치는 상기 경로를 따라 이전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를 상기 경로를 따라 후속 장치에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시스템에서의 송신을 위해 시간-주파수 포맷이 이용되고, 복수의 송신 윈도우가 송신 기간 내에 포함됨 -,
    상기 방법은,
    특정 송신 기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약 정보를 상기 장치들 중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예약될 적어도 하나의 송신 윈도우를 지정함 -; 및
    수신된 상기 예약 정보에 따라서 비-정보-전달 신호의 비-송신 또는 송신에 대하여 상기 특정 송신 기간의 상기 지정된 윈도우를 예약하는 단계 - 상기 지정된 윈도우는 상기 특정 중간 장치에 의한 송신에 대한 상기 특정 송신 기간에 이용되는 시간-주파수 포맷의 일부에 있음 -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KR1020097003143A 2006-08-18 2007-07-31 통신 시스템 KR101126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616482.6 2006-08-18
GB0616482A GB2440986A (en) 2006-08-18 2006-08-18 Wireless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GB0623861A GB0623861D0 (en) 2006-11-29 2006-11-29 Communication systems
GB0623861.2 2006-11-29
PCT/GB2007/002896 WO2008020164A1 (en) 2006-08-18 2007-07-31 Communication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126A KR20090032126A (ko) 2009-03-31
KR101126491B1 true KR101126491B1 (ko) 2012-04-13

Family

ID=3869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143A KR101126491B1 (ko) 2006-08-18 2007-07-31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59668B2 (ko)
EP (1) EP2052561B1 (ko)
JP (1) JP4952792B2 (ko)
KR (1) KR101126491B1 (ko)
WO (1) WO20080201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5285A (ja) * 2006-07-28 2008-02-14 Kyocera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GB2440986A (en) * 2006-08-18 2008-02-20 Fujitsu Ltd Wireless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2760235B1 (en) * 2007-11-05 2018-05-16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source allocation
US8462743B2 (en) 2008-01-25 2013-06-11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ignal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n a network that employs relay nodes
CN101588289A (zh) * 2008-05-20 2009-1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中继通信系统的数据传输方法
WO2009145013A1 (ja) * 2008-05-29 2009-12-03 日本電気株式会社 中継局装置、マルチホップシステム、および中継方法
US9294219B2 (en) * 2008-09-30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relay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03564B2 (en) 2008-10-20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via a relay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01177B2 (en) * 2009-03-03 2012-10-30 Intel Corporation Efficient paging operation for femtocell deployment
CN102422689B (zh) 2009-03-13 2015-04-15 黑莓有限公司 用于向中继分配资源的系统和方法
KR101587542B1 (ko) * 2009-05-15 2016-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 셀 시스템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송 프레임
KR20110031111A (ko) * 2009-09-18 2011-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8634352B2 (en) 2011-12-13 2014-01-2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negotiation in a direct communication link networ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8984A2 (en) 2002-01-07 2003-07-17 Loranet Nv Wireless cellular network architecture
WO2005067173A1 (en) 2003-12-30 2005-07-21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lay base stations with asymmetric data links
KR100584409B1 (ko) 2004-12-29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 기반의 셀룰러 시스템을 위한중계 통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0588B2 (ja) * 1995-08-25 2003-05-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
US5752193A (en) * 1995-09-01 1998-05-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469188B2 (ja) * 2000-10-13 2003-11-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パケット中継方法、無線パケット中継システム及び無線局
KR100933115B1 (ko) * 2003-09-09 2009-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피크 전력 대 평균 전력비의 감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7558589B2 (en) * 2004-04-08 2009-07-07 Motorola, Inc. Talker arbit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4779438B2 (ja) 2004-05-31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DE602005026482D1 (de) * 2004-06-14 2011-04-07 Broadcom Corp Kompensation und Messung der Differentiellen Verzögerung in gebundenen Systemen
US7616575B2 (en) 2004-06-23 2009-11-1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nk quality routing using a weighted cumulative expected transmission time metric
JP5148275B2 (ja) * 2004-08-12 2013-02-20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無線通信媒体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6186905A (ja) * 2004-12-28 2006-07-13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無線通信システム
US7486928B2 (en) 2005-04-14 2009-02-03 Kddi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8984A2 (en) 2002-01-07 2003-07-17 Loranet Nv Wireless cellular network architecture
US20050059342A1 (en) 2002-01-07 2005-03-17 Marc Engels Wireless cellular network architecture
WO2005067173A1 (en) 2003-12-30 2005-07-21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lay base stations with asymmetric data links
KR100584409B1 (ko) 2004-12-29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 기반의 셀룰러 시스템을 위한중계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2561B1 (en) 2012-09-26
US20100189050A1 (en) 2010-07-29
KR20090032126A (ko) 2009-03-31
JP4952792B2 (ja) 2012-06-13
WO2008020164A1 (en) 2008-02-21
US8259668B2 (en) 2012-09-04
JP2010502074A (ja) 2010-01-21
EP2052561A1 (en)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491B1 (ko) 통신 시스템
KR101119789B1 (ko) 통신 시스템들
JP5322414B2 (ja) マルチホップ無線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78368B2 (ja) マルチホップ無線通信システム、中間装置、送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92606B2 (ja) 2ホップ無線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ソース装置、送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10932B1 (ko) 통신 시스템들
KR101007446B1 (ko) 통신 시스템들
KR100983942B1 (ko)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한 통신 방법,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장치, 중간 장치, 및 사용자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