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727B1 - 반사체 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봉 - Google Patents

반사체 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727B1
KR101124727B1 KR1020080115419A KR20080115419A KR101124727B1 KR 101124727 B1 KR101124727 B1 KR 101124727B1 KR 1020080115419 A KR1020080115419 A KR 1020080115419A KR 20080115419 A KR20080115419 A KR 20080115419A KR 101124727 B1 KR101124727 B1 KR 101124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present
lane
reflective film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313A (ko
Inventor
강복심
Original Assignee
강복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복심 filed Critical 강복심
Priority to KR102008011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7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교통 안전시설물의 하나로 차선을 분리시켜 차량주행시 차량의 진출입을 막고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후된 반사체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면에 고정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노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지주; 및 상기 지주의 표면에 부착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체는 각각 반사시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반사필름이 점착력으로 각각 부착되어 있어서 오염이 발생한 반사필름을 제거하면 하부의 새로운 반사필름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 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봉을 제공한다.
차선 규제봉, 반사체, 반사시트

Description

반사체 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봉 {Reflector replaceable line post for road}
본 발명은 도로교통 안전시설물의 하나로 차선을 분리시켜 차량주행시 차량의 진출입을 막고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되거나 훼손된 반사체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차선 규제봉은 교차로에서 진입을 제한하는 신호가 없는 곳의 차선이나 중앙분리대에 마련되는 U턴 지점, 안전지대, 위험구간의 중앙선이나 노견 등과 같은 곳에 설치하여 차량의 진입차단과 더불어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선 규제봉은 노면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눈, 비, 먼지, 매연 등에 의하여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차선 규제봉은 상부에 반사시트를 구비하여 야간에 차량의 전조등에 의하여 쉽게 시인될 수 있도록 하는데, 먼지 등에 의해서 반사시트가 오염되면 식별성이 저하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쉽게 오염 또는 훼손되는 반사체를 손쉽게 교체, 보수할 수 있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노면에 고정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노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지주; 및 상기 지주의 표면에 부착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체는 각각 반사시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반사필름이 점착력으로 각각 부착되어 있어서 오염이 발생한 반사필름을 제거하면 하부의 새로운 반사필름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 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봉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노면에 고정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노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지주; 및 상기 지주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반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체는 각각 반사시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반사필름이 점착력으로 각각 부착되어 있어서 오염이 발생한 반사필름을 분리하여 제거하면 하부의 새로운 반사필름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 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 규제봉은 수명이 짧고 쉽게 훼손, 오염되는 반사시트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선 규제봉의 유지 보수가 간편한 효과를 가져온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주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봉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선규제봉은 노면에 앵커 볼트(310)로 고정되는 받침대(300)와, 받침대(300)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지주(100)와, 지주(10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반사체(200)로 구성된다.
제 1 실시예의 경우는 반사체(200)와 오목홈(102)이 3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반사체(200)와 오목홈(102)이 하나로 형성된 것이다.
받침대(300)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지주(10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305)을 구비하고, 둘레에 앵커볼트(310)가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공(302)을 구비한다.
지주(1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받침대(3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걸림턱(105)을 구비한다.
그리고, 지주(100)의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오목홈(102)을 형성되어, 상기 오목홈(102)에 반사체(200)가 부착된다.
반사체(200)는 오목홈(102)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내측면에 점착층을 구비하여 오목홈(102)에 점착력으로 부착된다.
반사체(200)는 복수의 필름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훼손되면 가장 바깥쪽의 필름을 제거하여 사용하게 되며, 띠 형태로 복수의 반사시트를 구비한다.
반사체(200)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선규제봉은 노면에 앵커볼트(310)로 고정되는 받침대(320)와, 받침대(320)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지주(100)와, 지주(100)의 상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지주(120)의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반사체(220)로 구성된다.
받침대(32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지주(12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하단에 받침대(320)의 내부에 삽입되는 걸림턱(125)을 구비한다.
지주(120)의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오목홈(102)을 형성되어, 상기 오목홈(122)에 반사체(220)가 끼워진다.
반사체(220)는 오목홈(122)에 대응하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사체(220)는 내면에 점착층을 구비하지 않는다.
반사체(220)와 지주(120)의 결합은 끼움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반사체(220)와 지주(120)가 모두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반사체(220)를 지주의 위에서 아래쪽으로 밀어넣으면 반사체(220)가 지주(120)의 오목홈(122)에 밀착되며 고정된다.
반사체(220)는 복수의 필름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훼손되면 가장 바깥쪽의 필름을 제거하여 사용하게 되며, 띠 형태로 복수의 반사시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반사체(220)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체(200)는 다수의 반사필름(202)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각각의 반사필름(202)의 일측면에는 점착층(204)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반사필름(202)은 점착층(204)으로 서로 부착되며, 가장 내측의 반사필름(202)의 점착층(204)이 오목홈(102)에 부착된다.
차로 규제봉이 노면에 설치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장 바깥층의 반사필름이 오염되면, 오염된 반사필름을 제거한다. 각각의 반사필름(202)은 점착층(202)으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 때, 반사필름(202)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반사필름(202)의 내측면 중에서 점착층이 형성되지 않는 이형부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형부에 점착층을 형성하지 않으면, 이형부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반사필름(202)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사용시간이 경과하여 모든 반사필름(202)이 오염되어 모두 제거되면, 새로운 반사체(200)로 교체하여 사용하면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반사체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사체(200)는 반사필름(202) 각각에 투명재질의 보호필 름(206)이 복수개 적층되어 형성된다.
보호필름(206)도 반사필름(202)과 마찬가지로 일면에 점착층(208)을 구비하여, 상호 점착되어 적층된다.
보호필름(206)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반사필름(202)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시간이 경과하여 보호필름(206)이 오염되거나 훼손되면 최외각의 보호필름(206)을 제거한다. 그러면 오염된 보호필름(206)이 제거되고 새로운 보호필름(206) 노출되므로 반사필름(202)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반사체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3 실시예는 하나의 반사필름(202)에 복수의 반시시트(203)가 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반사필름(202)은 일면에 점착층(204)을 구비하여 상호간에 점착층으로 적층되어 있다.
따라서, 한꺼번에 전체의 반사필름(202)을 교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반사체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4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반사시트(206)가 띠 형상으로 배치된 반사필름(202)에 투명재질의 보호필름(206)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다.
반사필름(202)과 보호필름(206)은 각각 점착층(204, 208)을 구비하여 상호간 에 점착력으로 적층된다.
반사체의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는 도 1의 제 1 실시예와 같은 차로규제봉에 적용되는 것이고,
반사체의 제 3 실시예와 제 4 실시예는 도 2의 제 2 실시예와 같은 차로규제봉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반사체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반사체의 제 5 실시예는 도 5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로 규제봉에 끼워지는 것이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반사체(220)는 하부 반사필름(222)에 3개의 반사시트(223)가 띠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하부 반사필름(222)의 반사시트(2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반사필름(224)이 적층되어 있다. 상기 반사필름(224)은 일면에 점착층(225)을 구비하여 서로 적층된다.
일부 반사필름(224)에 오염이나 훼손이 발생하면 오염된 반사필름()만을 분리하에 제거한다. 하부 반사필름(222)까지 훼손되거나 오염되면 하부 반사필름(222)을 제거하고 새로운 반사체(220)를 끼워넣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반사체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부의 반사필름(222)에 3개의 반사시트(223)가 띠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그 위에 동일하게 반사시트(227)가 배열된 반사필름(226)이 적층된다.
하부 반사필름(222)위에 적층되는 반사필름(226)은 일면에 점착층(228)을 구비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반사체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7 실시예는 제 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부의 반사필름(222)에 3개의 반사시트(223)가 띠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각각의 반사시트(223)의 위에 일면에 점착층(230)을 구비하는 투명재질의 보호필름(229)이 적층되는 형태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반사체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8 실시예는 제 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부의 반사필름(222)에 3개의 반사시트(223)가 띠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하부 반사필름(222)의 크기에 대응되며 일면에 점착층(230)을 구비하는 투명재질의 보호필름(229)이 적층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선 규제봉은 반사체에 오염이 발생하면 가장 바깥쪽의 반사필름 또는 보호필름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깨끗하고 반사율이 높은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결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임.

Claims (7)

  1. 노면에 고정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노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지주; 및
    상기 지주의 표면에 부착되는 둘 이상의 반사체; 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체는 각각 반사시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반사필름이 점착력으로 각각 부착되어 있어서 오염이 발생한 반사필름을 제거하면 하부의 새로운 반사필름이 노출되고,
    상기 반사체가 부착되는 지주의 표면에 상기 반사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홈을 구비하며,
    상기 반사체는 복수의 반사시트가 띠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 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115419A 2008-11-19 2008-11-19 반사체 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봉 KR101124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419A KR101124727B1 (ko) 2008-11-19 2008-11-19 반사체 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419A KR101124727B1 (ko) 2008-11-19 2008-11-19 반사체 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313A KR20100056313A (ko) 2010-05-27
KR101124727B1 true KR101124727B1 (ko) 2012-03-23

Family

ID=4228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419A KR101124727B1 (ko) 2008-11-19 2008-11-19 반사체 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7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72026B (zh) * 2009-08-07 2014-10-22 新都产业株式会社 分离式车道线限制杆组件
KR101695909B1 (ko) * 2015-04-09 2017-01-12 이승훈 시선유도봉용 재생부재 및 시공방법
KR101736136B1 (ko) 2015-12-07 2017-05-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26032B1 (ko) * 2020-11-26 2021-03-09 고광현 완충 볼라드 기능을 구비한 경관용 조명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988Y1 (ko) * 2001-12-27 2002-04-13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도로용 표시구
KR20050054897A (ko) * 2005-05-18 2005-06-10 김종환 차선 규제봉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988Y1 (ko) * 2001-12-27 2002-04-13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도로용 표시구
KR20050054897A (ko) * 2005-05-18 2005-06-10 김종환 차선 규제봉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313A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727B1 (ko) 반사체 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봉
CA2682999C (en) Capped and/or beveled jet blast resistant vehicle arresting units, bed and methods
US8021074B2 (en) Capped and/or beveled jet blast resistant vehicle arresting units, bed and methods
US20140199118A1 (en) Vehicle tire deflation device
CH672830A5 (ko)
KR100906220B1 (ko) 지주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 탄력봉
KR20200000053U (ko) 지주식 시선유도봉
US2898878A (en) Emergency signal device
KR100997901B1 (ko) 탈부착형 반사 밴드가 구비된 차선규제봉
KR101397673B1 (ko) 차선 규제봉
KR200426985Y1 (ko) 도로교통안전용 반사판
KR101608139B1 (ko) 시선 유도봉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시선 유도봉
KR101455906B1 (ko) 시선유도봉
KR200417323Y1 (ko) 도로 표지병
JP2856303B2 (ja) 道路用標示体
FR3029220A1 (fr) Dispositif de retenue modulaire metallique pour des voies routieres, module et procede de pose
KR100747953B1 (ko) 도로 표지병
KR102348880B1 (ko) 차선규제봉
KR20150102897A (ko) 시선 유도봉 커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작된 시선 유도봉 커버
GB2562305A (en) A coper unit for an edge of a platform
JP3806558B2 (ja) 再帰反射性を有するポール
KR101899152B1 (ko) 설치 및 식별이 용이한 도로 경계석
KR101302062B1 (ko) 오염 방지를 위한 도로 표지병
KR200313311Y1 (ko) 반사밴드링체 교체형 차선규제봉
KR200395988Y1 (ko) 차선 표지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