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402B1 - 경량전신주용 스텝 장치와 이의 체결방법 - Google Patents

경량전신주용 스텝 장치와 이의 체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402B1
KR101124402B1 KR1020090115461A KR20090115461A KR101124402B1 KR 101124402 B1 KR101124402 B1 KR 101124402B1 KR 1020090115461 A KR1020090115461 A KR 1020090115461A KR 20090115461 A KR20090115461 A KR 20090115461A KR 101124402 B1 KR101124402 B1 KR 10112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retainer
pole
close contac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977A (ko
Inventor
박경란
김치형
김진형
Original Assignee
박경란
김진형
김치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란, 김진형, 김치형 filed Critical 박경란
Priority to KR1020090115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40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9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4Ladders attached to structures, such as windows, cornices, pol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 경량전신주의 승강용 스텝장치 및 이의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 경량 전신주를 구성하고 있는 승강용 스텝장치의 구조 및 그 체결방법을 개량하여, 발판으로 사용되는 스텝볼트의 지탱력을 향상시키면서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초 경량전신주의 승강용 스텝장치 및 이의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신주, 스텝볼트, 스텝너트, 리테이너

Description

경량전신주용 스텝 장치와 이의 체결방법 { step system for thin wall utility pole and method of fastening them }
본 발명은 초 경량전신주의 승강용 스텝장치 및 이의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 경량 전신주를 구성하고 있는 승강용 스텝장치의 구조 및 그 체결방법을 개량하여, 발판으로 사용되는 스텝볼트의 지탱력을 향상시키면서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초 경량전신주의 승강용 스텝장치 및 이의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는 전신기?전화?전등 등의 전선을 지지하는 기둥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철근콘크리트주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철근콘크리트주는 중량이 무거워 운반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강도보강을 위해 삽입된 철근으로 인하여 전신주 자체가 도체가 되어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고 초경량화하기 위하여 고강도 초경량의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전신주로 제작한 선출원 제 10-2002-7000986호와 ‘매듭성형 권선기가 형성된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를 이용한 다단(多段) 전신주로 제작한 본원 발명의 발명자가 선 출원등록한 제10-0497817호등 여러 가지 경량 전 신주가 출원, 등록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신주등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선의 이상유무를 점검하기 위하여 상기 전신주에는 작업자의 승강용 발판으로 사용되는 스텝볼트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연설되어야 하고, 그 스텝볼트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지지하는 스텝너트 등과 같은 스텝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그런데 고강도 복합재료로 된 초경량 전신주의 경우, 전신주를 구성하고 있는 몸체의 두께가 매우 두꺼운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재로 된 전신주와는 달리 몸체 두께가 상대적으로 매우 얇게 되어 있는 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스텝너트는 강관의 외표면과 밀착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됨으로써 스텝너트만으로는 스텝볼트로부터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높은 지지 하중을 견디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에 상기 스텝너트의 지탱력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판 등과 같은 여러 부속품을 사용하여 왔던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고강도 복합재료로 된 초경량 전신주의 승강용 구조로 사용되는 종래의 스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텝볼트를 삽입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뚫어 놓은 전신주의 체결구멍에 얇은 전신주 두께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판과 구속을 단단히 하기 위한 와셔 등을 덧붙여 너트와 같은 고정물로 고정시키는 스텝장치의 결합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스텝장치의 결합구조는 여러개의 구성물로 결합된 스텝장치의 자중에 의한 무게가 높아 작업자가 일정높이에 연설되어 있는 전신주 각각의 체결구멍으로 삽입시켜 부착할 때,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위와 같은 결합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텝너트의 지탱 강도를 보장하기 어려운 안전상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텝장치의 조립공정에 있어서도 스텝너트를 고정하기위해 사용되는 너트 등의 고정물에 의하여 전신주 외표면이 돌출되어야 함으로써 다양한 현장의 작업 여건상 운반 및 야적에 불편함을 유발하게 되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전신주의 외표면으로 밀착되게 하는 스텝너트의 표면적을 확장시켜 지탱강도를 강화시켜 스텝볼트와 스텝너트 결속에 안전성을 가지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둘째 목적은 기존의 초경량전신주용 스텝장치보다 부속품등을 최소화하여 설치공정이 간편하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스텝장치의 중량을 최소로 하여 작업성을 개선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텝장치의 부착을 공장에서 수행함으로서 현장가설을 용이하게 하고, 탄성이 우수한 고강도의 얇은 판으로 제작된 리테이너가 전신주 외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작됨으로써 운반과 야적의 불편함을 제거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경량 전신주의 몸체(100)에 부착되는 스텝장치(가)의 구성은,
Figure 112011060354228-pat00001
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스텝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정중앙에 ━로 관통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있고,
Figure 112011060354228-pat00002
형의 왼쪽부분 즉 밀착부(320)는 원형, 사각형 등 여러 가지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신주의 몸체(100) 안쪽면과 접촉되며, 전신주의 몸체(100) 안쪽 부분과 충분한 접촉면을 가지기 위하여 기존 스텝볼트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되
Figure 112011060354228-pat00003
형의 오른쪽부분 즉 삽입부(310)의 두께를 전신주의 몸체(100) 두께와 거의 같게 하면서, 삽입부의 외연에 미늘(metal scale)형상의 나사부(311)를 갖는 스텝너트(300)와;
상기의 스텝너트와 체결되어, 탄성이 우수한 고강도의 얇은 판으로 만들어져 스텝너트(200)와 유사하나 방향이 반대인
Figure 112011060354228-pat00004
모양 의 삽입부(410)와 밀착부(420)를 가지되 스텝너트(300)와는 다르게 중간에 ━로 관통된 내연에 미늘형상의 나사부(411)를 갖는 리테이너(400);와
상기의 스텝너트(30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끝부분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스텝볼트(200);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텝너트(300) 외연에 미늘형상의 나사부(311)와 리테이너(400) 내연에 미늘형상의 나사부(411)가 삽입부에서 밀착부로 향하는 뾰족한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스텝너트(300)와 리테이너(400)의 삽입부(310)(410) 끝부분을 마주보며 각 미늘형상의 나사부(311)(411)가 끼워지면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311)(411)가 서로 엉켜 밀착됨으로서 일탈되지 않고 구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텝장치(가)를 체결하는 방법은,
전신주의 외통을 구성하는 몸체(100)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몸체(100) 고정단계; 전신주의 몸체(100)과 밀착하는 리테이너의 밀착부(420)에 강력접착제(600)를 덧발라 몸체(100)의 체결구멍(110)에 맞게 고정되도록 붙이는 리테이너(400) 고정단계; 몸체(100)의 체결구멍(110)과 같은 일정 간격을 가진 선대(500)위의 고정구(510)에 스텝너트(300)를 삽입하는 스텝너트(300) 삽입단계; 몸체(100)과 밀착하는 스텝너트의 밀착부(320)에 밀착도를 더 강하게 하기 위해 강력접착제(600)등을 바르는 덧바름단계; 선대(500)밑의 휠(520)을 이용하여 강관(100)의 내부로 넣는 선대(500) 삽입단계; 풀러(700)등를 이용하여 인입하는 인입단계; 스텝볼트를 삽입하는 스텝볼트 삽입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단계 중 인입단계에서는 스텝너트(300)와 리테이너(4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풀러(700)의 인입나사(7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내려가 스텝너트(300)의 중앙 암나사부와 결합되어지고, 결합된 스텝너트(300)와 인입나사(710)를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텝너트(300)가 따라 올라오면서 스텝너트 삽입부에 미늘형상의 나사부(311)와 먼저 안착되어 있던 리테이너(400) 내연의 미늘형상으로 된 나사부(411)가 서로 엉켜 밀착됨으로 스텝너트(300)와 리테이너(400)가 전신주의 몸체(100)에 고정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풀러(700)의 하부에는 스텝너트(300)와 리테이너(400)가 결합하는 동안 제자리를 벗어나지 않고 스텝너트(300)와 리테이너(400)가 구속될 수 있도록 누름쇠(72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존의 초경량전신주용 스텝장치보다 부속품등을 최소화하여 설치공정이 간편하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스텝너트와 전신주의 접촉면 면적을 충분히 증가시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텝장치를 경량화하여 전신주의 자중 증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아 스텝볼트와 스텝너트 결속에 안전성을 높여준다.
나아가 본원 발명은 스텝장치의 부착을 공장에서 수행함으로서 현장가설을 용이하게 하고, 탄성이 우수한 고강도의 얇은 판으로 제작된 리테이너가 전신주 외표면이 거의 일치함으로 운반과 야적의 불편함을 제거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기존 경량전신주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스텝너트 구조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경량전신주용 스텝장치 구조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스텝너트 확대상세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리테이너 확대상세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선대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스텝너트와 리테이너 부착설명도로서, 본원 발명에 의한 경량전신주용 스텝장치(가)는 중량이 가벼운 스텝너트(200)와 탄성이 우수한 고강도 리테이너(300)를 제작하여 풀러(700)을 이용하여 붙이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경량전신주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스텝너트의 구조는 스텝너트 장치를 위해서 뚫어 놓은 전신주의 구멍에 얇은 전신주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과 구속을 단단히 하기 위한 와셔 등을 넣어 너트와 같은 고정물(110)로 고정시키는 스텝너트 구조 장치로 이는 스텝너트와 다른 부속품들이 크고 무거워 전신주 각각의 위치에 부착시키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뿐 아니라 스텝너트와 스텝볼트의 부착, 지탱 강도를 보장하기가 어려워 안전상의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Figure 112011060354228-pat00005
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스텝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정중앙에 ━로 관통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있고,
Figure 112011060354228-pat00006
형의 왼쪽부분 즉 밀착부(320)는 원형, 사각형 등 여러 가지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신주의 몸체(100) 안쪽면과 접촉되며, 전신주의 몸체(100) 안쪽 부분과 충분한 접촉면을 가지기 위하여 기존 스텝볼트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돼
Figure 112011060354228-pat00007
형의 오른쪽부분 즉 삽입부(310)의 두께를 전신주의 몸체(100)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삽입부의 외연에 미늘(metal scale)형상의 나사부(311)를 갖는 스텝너트(300)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스텝너트와 체결되어, 탄성이 우수한 고강도의 얇은 판으로 만들어져 스텝너트(200)와 유사하나 방향이 반대인
Figure 112011060354228-pat00008
모양의 삽입부(410)와 밀착부(420)를 가지되 스텝너트(300)와는 다르게 중간에 ━로 관통된 내연에 미늘형상의 나사부(411)를 갖는 리테이너(400);와
상기의 스텝너트(30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끝부분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스텝볼트(200);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텝너트(300) 외연에 미늘형상의 나사부(311)와 리테이너(400) 내연에 미늘형상의 나사부(411)가 삽입부에서 밀착부로 향하는 뾰족한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스텝너트(300)와 리테이너(400)의 삽입부(310)(410) 끝부분을 마주보며 나사부(311)(411)가 끼워지면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311)(411)가 서로 엉켜 밀착됨으로서 일탈되지 않고 구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텝장치(가)를 체결하는 방법은,
전신주의 외통을 구성하는 몸체(10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몸체(100) 고정단계; 몸체(100)와 밀착하는 리테이너의 밀착부(420)에 강력접착제(600)를 덧발라 몸체(100)의 체결구멍(110)에 맞게 고정되도록 붙이는 리테이너(400) 고정단계; 몸체에 형성된 체결구멍(110)과 같은 일정 간격을 가진 선대(500)위의 고정구(510)에 스텝너트(300)를 삽입하는 스텝너트(300) 삽입단계; 몸체(100) 내부와 밀착하는 스텝너트의 밀착부(320)에 밀착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강력접착제(600)등을 바르는 덧바름단계; 선대(500)밑의 휠(520)을 이용하여 몸체(100)의 내부로 넣는 선대(500) 삽입단계; 통상의 베어링풀러(700)를 이용하여 인입하는 인입단계; 스텝볼트를 삽입하는 스텝볼트 삽입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인입단계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너트(300)와 리테이너(4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베어링풀러(700)의 인입나사(7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내려가 스텝너트(300)의 중앙 암나사부와 결합되어지고, 결합된 스텝너트(300)와 인입나사(710)를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텝너트(300)가 따라 올라오면서 스텝너트 삽입부의 미늘형상의 나사부(311)와 먼저 안착되어 있던 리테이너(400) 내연의 미늘형상의 나사부(411)가 서로 엉켜 밀착됨으로 스텝너트(300)와 리테이너(400)가 전신주(100)에 고정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풀러(700)의 하부에는 스텝너트(300)와 리테이너(400)가 결합하는 동안 제자리를 벗어나지 않고 스텝너트(300)와 리테이너(400)가 구속될 수 있도록 누름쇠(720)가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기존 경량전신주용 스텝 장치 및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경량전신주용 스텝장치 구조
도 3a는 본 발명의 스텝너트 확대상세도
도 3b는 본 발명의 리테이너 확대상세도
도 4은 본 발명의 선대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텝너트와 리테이너 부착설명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스텝너트 장치
100 : 전신주의 몸체 110 : 체결구멍
200 : 스텝볼트 210 : 고정너트
300 : 스텝너트 310 : 스텝너트 삽입부
311 : 스텝너트 나사부 320 : 스텝너트 밀착부
400 : 리테이너 410 : 리테이너 삽입부
411 : 리테이너 나사부 420 : 리테이너 밀착부
500 : 선대 510 : 스텝너트 고정구
520 : 휠(Wheel) 600 : 강력접착제
700 : 풀러(Puller) 710 : 인입나사
720 : 누름쇠

Claims (2)

  1. 전신주 몸체(100)의 체결구멍(110)으로 삽입되면서 승강용으로 사용되는 스텝볼트(200)를 이용하여 초경량 전신주에 부착되는 스텝장치(가)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면
    Figure 112011060354228-pat00009
    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스텝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정중앙에 ━로 관통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있고,
    Figure 112011060354228-pat00010
    형의 왼쪽부분 즉 밀착부(320)는 원형, 사각형 등 여러 가지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신주의 몸체(100) 안쪽면과 접촉되며, 몸체(100)의 안쪽 부분과 충분한 접촉면을 가지기 위하여 기존 스텝볼트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되
    Figure 112011060354228-pat00011
    형의 오른쪽부분 즉 삽입부(310)의 두께를 몸체(10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삽입부의 외연에 미늘(metal scale)형상의 나사부(311)를 갖는 스텝너트(300)와;
    상기의 스텝너트와 체결되어, 탄성이 우수한 고강도의 얇은 판으로 만들어져 스텝너트(200)와 유사하나 방향이 반대인
    Figure 112011060354228-pat00012
    모양의 삽입부(410)와 밀착부(420)를 가지되 스텝너트(300)와는 다르게 중간에 ━로 관통된 내연에 미늘형상의 나사부(411)를 갖는 리테이너(400);와
    상기의 스텝너트(30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끝부분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스텝볼트(200);의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전신주용 스텝장치.
  2. 전신주의 외통을 구성하는 몸체(10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몸체(100) 고정단계; 몸체(100)와 밀착하는 리테이너의 밀착부(420)에 강력접착제(600)를 덧발라 몸체(100)의 체결구멍(110)에 맞게 고정되도록 붙이는 리테이너(400) 고정단계; 몸체에 형성된 체결구멍(110)과 같은 일정 간격을 가진 선대(500)위의 고정구(510)에 스텝너트(300)를 삽입하는 스텝너트(300) 삽입단계; 몸체(100) 내부와 밀착하는 스텝너트의 밀착부(320)에 밀착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강력접착제(600)등을 바르는 덧바름단계; 선대(500)밑의 휠(520)을 이용하여 강관(100)의 내부로 넣는 선대(500) 삽입단계; 풀러(700)등를 이용하여 인입하는 인입단계; 스텝볼트를 삽입하는 스텝볼트 삽입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전신주용 스텝장치의 체결방법.
KR1020090115461A 2009-11-27 2009-11-27 경량전신주용 스텝 장치와 이의 체결방법 KR101124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461A KR101124402B1 (ko) 2009-11-27 2009-11-27 경량전신주용 스텝 장치와 이의 체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461A KR101124402B1 (ko) 2009-11-27 2009-11-27 경량전신주용 스텝 장치와 이의 체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977A KR20090129977A (ko) 2009-12-17
KR101124402B1 true KR101124402B1 (ko) 2012-03-21

Family

ID=4168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461A KR101124402B1 (ko) 2009-11-27 2009-11-27 경량전신주용 스텝 장치와 이의 체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584B1 (ko) * 2023-05-17 2024-01-10 동진파일(주) 스텝너트 어셈블리 및 그 스텝너트 어셈블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808Y1 (ko) * 2000-12-30 2001-05-15 윤덕상 외부에서 설치작업이 가능한 전주의 발판 장치
KR20020033740A (ko) * 2000-05-23 2002-05-07 파워트루젼 2000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복합 전신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97817B1 (ko) * 2002-11-27 2005-07-01 김조권 초경량 다단(多段) 전신주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740A (ko) * 2000-05-23 2002-05-07 파워트루젼 2000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복합 전신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223808Y1 (ko) * 2000-12-30 2001-05-15 윤덕상 외부에서 설치작업이 가능한 전주의 발판 장치
KR100497817B1 (ko) * 2002-11-27 2005-07-01 김조권 초경량 다단(多段) 전신주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584B1 (ko) * 2023-05-17 2024-01-10 동진파일(주) 스텝너트 어셈블리 및 그 스텝너트 어셈블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977A (ko)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26419U (zh) 深埋锚具
US10971915B2 (en) Mounting bracket systems for dead-end utility lines
KR101124402B1 (ko) 경량전신주용 스텝 장치와 이의 체결방법
KR20110044720A (ko) 이경 복합말뚝
CN103437366B (zh) 预应力加载装置的连接部件
CN2249772Y (zh) 钢绞线穿束器
CN211594766U (zh) 一种吊装装置
CN210340091U (zh) 一种混凝土现浇钢骨柱的柱主筋吊装工具
CN211258004U (zh) 一种拼接式水泥电线杆
CN108678408B (zh) 一种钢筋混凝土梁预应力钢丝绳加固装置
CN206220625U (zh) 纤维增强复合材料输配电杆的连接结构
CN102733639A (zh) 电线杆下支撑件
CN218408060U (zh) 一种电力钢管杆连接紧固装置
CN202194425U (zh) 一种高压输变线、通讯塔底座
CN205369874U (zh) 一种电梯井外墙悬挑架
CN217759602U (zh) 一种用于安装机械设备的桩基工程钢筋笼
CN220131720U (zh) 一种用于混泥土预制构件吊装快速支撑稳固的装置
CN218713040U (zh) 一种混凝土注浆装置
CN213112235U (zh) 钢梁吊装装置及钢梁
CN220813444U (zh) 一种斜拉索锚具的整体张拉工装
CN213509617U (zh) 一种钢丝绳紧线器
CN210976561U (zh) 一种可周转使用的脚手架连墙结构
CN216583766U (zh) 一种尺寸可调节带升降功能的叠合板吊具
CN218970681U (zh) 带有碳纤维吊环的预应力混凝土叠合板及其吊具结构
CN217150220U (zh) 一种建筑施工用地面锚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