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363B1 -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363B1
KR101121363B1 KR1020107015449A KR20107015449A KR101121363B1 KR 101121363 B1 KR101121363 B1 KR 101121363B1 KR 1020107015449 A KR1020107015449 A KR 1020107015449A KR 20107015449 A KR20107015449 A KR 20107015449A KR 101121363 B1 KR101121363 B1 KR 10112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playback
information
tim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087A (ko
Inventor
와타루 이케다
도모유키 오카다
게이이치 다나카
마사히로 오아시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8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88Formatting by padding empty spaces with dummy data, e.g. writing zeroes or random data when de-icing 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PlayList 정보가 기록된 BD-ROM으로, PlayList 정보는 복수 AVClip의 각각에 대해 재생구간을 정의하는 정보이며, MainPath 정보, SubPath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MainPath 정보는 복수 AVClip 중 하나를 MainClip으로 지정하여, 그 MainClip에 대해 주가 되는 재생구간을 정의하는 정보이고, SubPath 정보는 복수 AVClip 중 다른 하나를 SubClip으로 지정하여 그 SubClip에 대해 상기 주가 되는 재생구간과 동기해야 할 종이 되는 재생구간을 정의하는 정보이며, BD-ROM에는 복수의 AVClip 중 SubClip으로 지정된 것이 EP_map과 대응된 형태로 기록되어 있고, 이 EP_map은 SubClip의 시간 축에서의 복수의 엔트리 시각을 SubClip에서의 복수의 엔트리 위치와 대응하여 나타내고 있다.

Description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동기형 애플리케이션(synchronous application) 기술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발명이다.
동기형 애플리케이션 기술이란, 각각의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디지털 스트림을 재생하여, 이들 동기를 규정함으로써 마치 하나의 영화작품이 재생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기술이다.
동기형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디지털 스트림에는 메인 스트림, 서브 스트림이라는 유형이 있다. 여기서 메인 스트림이란 고화질의 동화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스트림을 말한다. 한편, 서브 스트림은 고화질의 동화상을 포함하지 않는 디지털 스트림을 말한다. 메인 스트림은 BD-ROM이라는 대용량 광 디스크 상에 기록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고, 서브 스트림은 인터넷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영화작품의 구성요소가 되는 디지털 스트림을 각각의 공급매체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영화작품의 변형 제작(production of variation)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하나의 영화작품으로부터 다양한 재생의 변형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동기형 애플리케이션 기술에 대해서는 이하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선행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2-247526호
그런데 민생용의 가전기기가 상술한 동기형 애플리케이션을 재생의 대상으로 하는 경우, 이 동기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수 재생을 어떻게 실현하는가가 문제가 된다. 특수 재생이란 빨리 감기?되감기?챕터 서치?타임 서치라는 기능이며, 디지털 스트림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전제로 하여 실현된다. 랜덤 액세스란 디지털 스트림이 갖는 시간 축 상의 임의의 일 시점을 디지털 스트림 상의 기록위치로 변환하여, 그 기록위치로 액세스하는 기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기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특수 재생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메인 스트림에서의 랜덤 액세스를 실행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서브 스트림에 대해서도 랜덤 액세스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서브 스트림은 음성이나 그래픽스, 표준화질의 동영상 등의 다양한 데이터 객체가 재생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화질 동화상을 포함하는 메인 스트림은 GOP(Group Of Picture)와 같이 단독 디코드 가능한 단위를 가지고 있으나, 서브 스트림은 이 GOP에 상당하는 단위를 가지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또, 가지고 있다고 해도 표시 비율이나 샘플링 주파수, 비트 비율이 전혀 다른 경우가 대다수이다.
표시 비율이나 샘플링 주파수, 비트 비율이나 독립 재생할 수 있는 단위가 각각의 서브 스트림마다 다르므로, 랜덤 액세스를 실행할 때에 메인 스트림 수준으로 서브 스트림 측의 랜덤 액세스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는 보증은 어디에도 없다. 그렇다면, 서브 스트림 측의 재생을 즉시 개시할 수 없고, 서브 스트림 측의 재생개시가 현저하게 지연될 수도 있다.
동기형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메인 스트림과 서브 스트림의 동기를 의도하고 있으므로, 서브 스트림의 재생의 개시가 늦어지면, 이에 따른 메인 스트림 측의 재생개시를 늦추지 않을 수 없으며, 그 결과, 사용자가 재생을 명하고 나서 재생을 개시하기의 응답(response)이 극단적으로 지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 스트림의 랜덤 액세스를 메인 스트림의 랜덤 액세스와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의 응답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는, 주(主)가 되는 재생구간이 정의된 메인 스트림과 종(從)이 되는 재생구간이 정의된 서브 스트림에 대하여 재생을 실행하는 재생장치로, 재생을 개시해야할 재생시점은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 정의되어 있고,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을 메인 스트림의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제 1 변환수단과,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을 종이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으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재생시점을 서브 스트림의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제 2 변환수단과, 제 1 변환수단 및 제 2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어드레스로부터 메인 스트림 및 서브 스트림을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판독된 메인 스트림 및 서브 스트림을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구비하고, 주가 되는 재생구간 및 종이 되는 재생구간은 플레이리스트 정보에 정의되어 있으며, 플레이리스트 정보는 동기 정보를 포함하고, 동기 정보는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 중 종이 되는 재생구간을 동기시켜야 할 동기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며, 서브 스트림에는 엔트리 맵이 대응되어 있고, 제 2 변환수단은, 플레이리스트 정보에서의 동기 정보를 사용하여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을 종이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으로 변환하고, 서브 스트림에 대응된 엔트리 맵을 사용하여 변환 후의 재생시점을 서브 스트림의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상기 메인 스트림은 제 1 동화상을 구성하는 것이고, 상기 서브 스트림은 제 2 동화상을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플레이리스트 정보에 따라서 복수의 디지털 스트림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동기시점에서 제 1 동화상의 재생 영상과 제 2 동화상의 재생 영상이 동일한 화면 내에서 픽처 인 픽처 재생되고, 상기 플레이리스트 정보와 상기 서브 스트림과 상기 엔트리 맵은 상기 서브 스트림을 배급하는 조직 명과 상기 서브 스트림이 동기하여 재생되는 메인 스트림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특정하는 식별자에 의해 고유하게 지정되는 디렉터리에 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서브 스트림인 디지털 스트림에 엔트리 맵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엔트리 맵을 사용함으로써 서브 스트림의 임의의 위치로의 고속 랜덤 액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고속 랜덤 액세스가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하여, 메인 스트림과 서브 스트림의 동기가 플레이리스트 정보에 규정되어 있으므로, 스트림 동기를 전제로 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생장치는 사용자 조작에 즉응한 선두검색 재생(skip playback)이나 배속재생(fast-speed playback)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메인 스트림 및 서브 스트림을 조합한 애플리케이션을 대량으로 사용자에게 보급할 수 있다.
GOP가 존재하지 않는 서브 스트림이라도 고속의 랜덤 액세스를 할 수 있게 되므로, 서브 스트림과 메인 스트림을 조합한 영화작품에 대해 랜덤 액세스를 실행하는 경우에도 시간 축 상의 임의의 개소로부터의 재생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메인 스트림 + 서브 스트림으로 이루어지는 영화작품의 취급이 메인 스트림으로 이루어지는 영화작품의 취급과 동일해지므로, 메인 스트림에 서브 스트림을 조합시킨 다양한 재생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서브 스트림에 엔트리 맵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엔트리 맵의 시간 정밀도는 저절로 변한다.
서브 스트림의 객체별로 엔트리 맵의 시간 정밀도가 다른 경우, 엔트리 시각끼리의 간격이 어느 정도인가, 또, 어떠한 데이터 위치가 엔트리 시각으로 지정되어 있는가가 불명확해지므로, 어느 정도 스트림 해석을 행하면 좋은가가 미지수가 된다. 스트림 해석이 어느 정도 필요해지는가라는 상한이 정해지지 않으면, 랜덤 액세스를 실행할 때에 메인 스트림 수준으로 서브 스트림 측의 랜덤 액세스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는 보증은 어디에도 없다. 그렇게 하면, 서브 스트림 측의 재생을 신속하게 개시할 수 없어서, 서브 스트림 측의 재생의 개시가 현저하게 지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엔트리 맵에는 상기 시간 축 상의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존재하는 복수의 엔트리 시각, 또는 디지털 스트림에서 일정한 데이터 간격을 두고 존재하는 복수의 엔트리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타입의 엔트리 맵과, 완결된 데이터 집합의 선두에 해당하는 엔트리 위치를 엔트리 시각과 대응시켜서 나타내는 제 2 타입의 엔트리 맵으로, 상기 엔트리 맵은 엔트리 맵의 유형이 제 1 타입인가, 또는 제 2 타입인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서, 플래그가 제 1 타입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엔트리 위치는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또는, 일정한 데이터 간격을 두고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재생장치는, 스트림 해석이 필요하였다고 해도, 스트림 해석을 행해야할 범위는 겨우 그 일정한 시간간격 또는 그 일정한 데이터 간격의 범위이며, 최악의 경우에도, 이 일정한 시간 간격 또는 일정한 데이터 간격의 범위를 해석하면 원하는 액세스 점에 도달할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플래그가 제 2 타입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완결된 데이터 집합의 개시 점이 엔트리 위치로 지정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재생장치는, 설령 엔트리 위치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이 엔트리 위치가 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데이터 집합의 판독을 행하여 재생에 제공하면, 원하는 재생시점에서의 데이터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플래그는, 일정한 시간 간격 또는 일정한 데이터 간격을 상한으로 한 스트림 해석이 필요한가, 또는 스트림 해석이 일절 불필요한가의 판단을 재생장치에 촉구하므로, 메인 스트림에 대한 랜덤 액세스와 함께 서브 스트림에 대한 랜덤 액세스가 필요해졌다고 해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과잉된 부담을 주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부담 경감에 의해 사용자 조작에 대한 응답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가 사용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BD-ROM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확장자.m2ts가 부여된 파일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Main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BD-ROM에 기록되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영화에 사용되는 비디오 스트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a) IDR 픽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 Non-IDR I 픽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c) Non-IDR I 픽쳐에서의 의존관계를 나타낸다.
도 7은 IDR 픽쳐, Non-IDR I 픽쳐가 TS 패킷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Clip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영화의 비디오 스트림 (application_type = 1)에 대한 EP_map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의 Entry Point#1 ~ Entry Point#7의 PTS_EP_start, SPN_EP_start를 EP_Low, EP_High의 세트로 표현한 것이다.
도 11은 로컬 기억장치(local storage)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Primary 오디오 스트림 및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PG 스트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IG 스트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로컬 기억장치 측의 Clip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생성된 EP_map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PG 스트림 시간 축에 대하여 설정된 EP_map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IG 스트림 시간 축에 대하여 설정된 EP_map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PlayList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AVClip과 PlayList 정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PlayList 정보의 PlayListMark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PlayList 정보의 PlayListMark 정보에 의한 챕터 위치의 지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Subpath 정보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로컬 기억장치상의 SubClip과 로컬 기억장치상의 PlayList 정보와 BD-ROM 상의 MainClip과의 대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MainClip에 대하여 설정된 EP_map 및 PlayItem 시간 축과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으로 이루어지는 SubClip에 대하여 설정된 EP_map 및 SubPlayItem 시간 축을 집약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MainClip에 대하여 설정된 EP_map 및 PlayItem 시간 축과 PG 스트림, IG 스트림으로 이루어지는 SubClip에 대하여 설정된 EP_map 및 SubPlayItem 시간 축을 집약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SubPlayItem의 SubPath_type과 application_type과 EP_stream_type과의 대응관계를 표 형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재생장치(300)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파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점프 재생(jump playback)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1은 도 25와 같이 설정된 EP_map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위치를 어떻게 특정하는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MainClip, SubClip 상의 좌표 TM을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처리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3은 SubClip이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인 경우의 변수 k, h, 랜덤 액세스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SubClip이 PG 스트림, IG 스트림인 경우의 변수 k, h, 랜덤 액세스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PiP 재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a) HD 화상과 SD 화상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b) Secondary Video가 어떻게 확대?축소되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제 2 실시 예에 관한 로컬 기억장치의 기록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제 2 실시 예에서 로컬 기억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Clip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Secondary Video 스트림에 대하여 설정된 EP_map을 도 9와 동일한 표기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은 정적인 PiP 재생을 구성하는 동기형 애플리케이션을 정의하는 PlayList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PlayList 정보에 의해 Primary Video인 MainClip과 Secondary Video인 SubClip과의 동기가 어떻게 정의되는가를 도 25, 도 26과 동일한 표기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는 (a) ~ (c) 동적인 동기를 전제로 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동적인 동기를 전제로 한 PiP 재생을 정의하는 PlayList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제 2 실시 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PL 재생을 행할 때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6은 MainClip에 대한 랜덤 액세스와 SubClip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도 31과 동일한 표기로 묘사한 도면이다.
도 47은 (a) 동적 동기에 의한 PiP 재생을 실현하는 경우의 재생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 통상 재생에 의한 록 점(lock point)의 통과 → 되감기(rewinding)에 의한 록 점의 통과 → 통상 재생에 의한 록 점의 통과가 이루어져서 록 점의 왕래가 발생한 경우, 동적인 동기에 의한 PiP 재생이 어떻게 행해지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 Primary Video의 재생구간의 말미보다 Secondary Video의 재생구간이 뒤인 경우의 PiP 재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 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의 실시행위 중 사용행위에 대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의 사용행위에 대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로컬 기억장치(200)이다. 이 로컬 기억장치(200)는 재생장치(300)에 내장되어 있는 하드 디스크이다. 이 로컬 기억장치(200)는 BD-ROM(100)과 함께 재생장치(300), 리모컨(400), 텔레비전(500)에 의해 형성되는 홈시어터 시스템에 영화작품을 공급하는 용도에 제공된다.
로컬 기억장치(200)는 재생장치에 내장되고, 영화 배급자의 서버로부터 배포(distribution)된 콘텐츠의 수신처로 이용되는 하드 디스크이다.
재생장치(300)는 네트워크 대응형의 디지털 가전기기이고, BD-ROM(100)을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영화 배급자의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 한 콘텐츠를 BD-ROM(100)에 기록된 콘텐츠와 조합하여, BD-ROM(100)의 확장을 도모하는 능력을 갖는다.
리모컨(400)은 재생해야할 챕터의 지정이나 재생을 개시해야할 시간의 지정을 접수한다.
텔레비전(500)은 재생장치(300)의 재생 영상을 표시한다.
BD-ROM(100)의 기록내용에 로컬 기억장치(200)의 기록내용을 조합하여, BD-ROM(100)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를 마치 기록되어 있는 것처럼 취급하는 기술을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 system)"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이와 같은 BD-ROM(100)과의 조합을 전제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상이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의 사용행위의 형태이다.
이어서, BD-ROM(100)의 내부 구성과 로컬 기억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차례로 설명한다.
<BD-ROM의 개요>
도 2는 BD-ROM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제 4단째에 BD-ROM을 나타내고, 제 3 단째에 BD-ROM 상의 트랙을 나타낸다. 본 도면의 트랙은 BD-ROM의 내주에서 외주에 걸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트랙을 횡 방향으로 확대하여 묘사하고 있다. 이 트랙은 리드인 영역과 볼륨영역과 리드 아웃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본 도면의 볼륨영역은 물리 층, 파일 시스템 층, 응용 층이라는 계층 모델(layer model)을 갖는다. 디렉터리 구조를 사용하여 BD-ROM의 응용 층 포맷(애플리케이션 포맷)을 표현하면 도면 중의 제 1단째와 같이 된다. 이 제 1단째에서 BD-ROM에는 루트 디렉터리의 아래에 BDMV 디렉터리가 있다.
BDMV 디렉터리의 하위에는 PLAYLIST 디렉터리, CLIPINF 디렉터리, STREAM 디렉터리라고 불리는 3개의 서브 디렉터리가 존재한다.
STREAM 디렉터리에는, 디지털 스트림 본체로 이루어지는 파일 군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터리이고, 확장자 m2ts가 부여된 파일(00001.m2ts)이 존재한다. PLAYLIST 디렉터리는 확장자 mpls가 부여된 파일(00001.mpls)이 존재한다.
CLIPINF 디렉터리에는 확장자 clpi가 부여된 파일(00001.clpi)이 존재한다.
이하, BD-ROM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AVClip, Clip 정보, PlayList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BD-ROM의 구성 : 1. AVClip>
먼저, 처음에 확장자.m2ts가 부여된 파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확장자.m2ts가 부여된 파일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확장자 .m2ts가 부여된 파일(00001.m2ts, 00002.m2ts, 00003.m2ts ???)은 AVClip을 저장하고 있다. AVClip은(제 4단째), 복수의 비디오 프레임(픽쳐 pj 1, 2, 3)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스트림, 복수의 오디오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스트림을(제 1단째) PES 패킷 열로 변환하고(제 2단째), 다시 TS 패킷으로 변환하여(제 3단째) 이를 다중화함으로써 구성된다. 도 3과 같이, 동영상을 포함하고 있는 AVClip을 특히 "MainClip"이라고 하며, 동영상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AVClip과 구별한다.
이어서, MPEG2-TS 형식의 디지털 스트림인 MainClip이 BD-ROM에 어떻게 기록되는가를 설명한다. 도 4는 Main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BD-ROM에 기록되는가를 나타낸다. 본 도면의 제 1단째에 Main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을 나타낸다.
MainClip을 구성하는 188 바이트의 TS 패킷은, 제 2단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 바이트의 TS_extra_header(도면 중의 「EX」)가 부가되어 192 바이트 길이가 된다.
제 3단째, 제 4단째는 BD-ROM의 물리 단위와 TS 패킷과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제 4단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BD-ROM 상에는 복수의 섹터가 형성되어 있다. extra_header 부착 TS 패킷(이하, EX 부착 TS 패킷이라 약칭한다)은 32개씩 그룹화되어 3개의 섹터에 기록된다. 32개의 EX 부착 TS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은 6144 바이트(= 32 × 192)이고, 이는 3개의 섹터 사이즈 6144 바이트(= 2048 × 3)와 일치한다. 3개의 섹터에 수용된 32개의 EX 부착 TS 패킷을 "Aligned Unit"이라고 하고, BD-ROM으로의 기록시에는 Aligned Unit 단위로 암호화가 이루어진다.
제 5단째에서 섹터는 32개 단위로 오류 정정부호가 부가되어 ECC 블록을 구성한다. 재생장치는 Aligned Unit의 단위로 BD-ROM을 액세스하는 한 32개의 완결된 EX 부착 TS 패킷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이 BD-ROM에 대한 MainClip 등의 기록의 프로세스이다.
<AVClip의 설명 : 1. 비디오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영화에 사용되는 비디오 스트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의 비디오 스트림은 부호화 순서로 배치된 복수의 픽쳐로 이루어진다.
도면 중의 I, P, B는 각각 I 픽쳐, B 픽쳐, P 픽쳐를 의미한다. I 픽쳐에는 IDR 픽쳐와 Non-IDR I 픽쳐의 2종류가 있다. Non_IDR I 픽쳐, P 픽쳐, B 픽쳐는 다른 픽쳐와의 프레임 상관성에 의거하여 압축 부호화되어 있다. B 픽쳐란 Bidirectionally predictive(B)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픽쳐를 말하고, P 픽쳐란 Predictive(P)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픽쳐를 말한다. B 픽쳐에는 reference B 픽쳐와 non-reference B 픽쳐가 있다.
도 5에서는 Non_IDR I 픽쳐를 "I"로 기술하고 있고, IDR 픽쳐를 "IDR"로 기술하고 있다. 이하, 동일한 표기를 사용한다. 이상이 영화에 사용되는 비디오 스트림이다.
이어서, IDR 픽쳐 및 Non-IDR I 픽쳐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은 IDR 픽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DR 픽쳐는 복수의 Intra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도 6(b)은 Non-IDR I 픽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IDR 픽쳐가 Intra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대해, Non-IDR I 픽쳐는 Intra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 P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 B 형식의 슬라이스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 6(c)은 Non-IDR I 픽쳐에서의 의존관계를 나타낸다. Non-IDR I 픽쳐는 B, P 슬라이스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다른 픽쳐와의 의존관계를 가질 수 있다.
<AVClip의 설명 : 2. BD-ROM에 기록>
이어서, IDR 픽쳐, Non-IDR I 픽쳐가 어떻게 하여 TS 패킷으로 변환되고, BD-ROM에 기록되는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IDR 픽쳐, Non-IDR I 픽쳐가 TS 패킷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제 1단째는 IDR 픽쳐, Non-IDR I 픽쳐를 나타낸다. 제 2단째는 MPEG4-AVC에 규정된 액세스 유닛(Access Unit)을 나타낸다. IDR 픽쳐, Non-IDR I 픽쳐를 구성하는 복수의 슬라이스 데이터는 순서대로 배치되고, AUD(Access Unit Delimiter), SPS(Sequence Parameter Set), PPS(Picture Parameter Set), SEI(Supplemental Enhanced info)가 부가됨으로써 액세스 유닛으로 변환되게 된다.
AUD, SPS, PPS, SEI, 액세스 유닛의 각각은 MPEG4-AVC에 규정된 정보이고, ITU-T Recommendation H.264 등의 다양한 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에 대해서는 이들 문헌을 참조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AUD, SPS, PPS, SEI가 재생장치에 공급되는 것이 랜덤 액세스의 필수 조건이 된다는 점이다.
제 3단째는 NAL unit을 나타낸다. 제 2 단째에서의 AUD, SPS, PPS, SEI에 대해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AUD, SPS, PPS, SEI, 슬라이스 데이터는 각각 NAL unit으로 변환되게 된다. NAL unit이란 MPEG4-AVC의 네트워크 추상 레이어 (Network Abstraction Layer)에서 규정된 단위이고, ITU-T Recommendation H.264 등의 다양한 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에 대해서는 이들 문헌을 참조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AUD, SPS, PPS, SEI, 슬라이스 데이터는 각각 독립한 NAL unit으로 변환되어 있으므로, AUD, SPS, PPS, SEI, 슬라이스 데이터 각각은 네트워크 추상 레이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취급된다는 점이다.
하나의 픽쳐를 변환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NAL Unit은 제 4단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ES 패킷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TS 패킷으로 변환되어 BD-ROM 상에 기록된다.
하나의 GOP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그 GOP의 선두에 위치하는 IDR 픽쳐, Non-IDR I 픽쳐를 구성하는 NAL unit 중 Access unit Delimiter를 포함하는 것을 디코더에 투입시켜야 한다. 즉, Access Unit Delimiter를 포함하는 NAL unit이 IDR 픽쳐, Non-IDR I 픽쳐를 디코드하기 위한 하나의 지표가 된다. 이 Access Unit Delimiter를 포함하는 NAL unit을 본 실시 예에서는 점(Point)으로 취급한다. 그리고 재생장치는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때에 Access Unit Delimiter를 포함하는 NAL unit을 Non-IDR I 픽쳐, IDR 픽쳐를 재생하기 위한 엔트리 위치로 해석한다. 따라서, MainClip에서 랜덤 액세스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IDR 픽쳐, Non-IDR I 픽쳐의 Access Unit Delimiter가 어디에 존재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다. 이상이 영화에 사용되는 MPEG4-AVC 형식의 비디오 스트림의 구성이다.
<BD-ROM의 구성 : 2. Clip 정보>
이어서 확장자 .clpi가 부여된 파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확장자 .clpi가 부여된 파일(00001.clpi, 00002.clpi, 00003.clpi ???)은 Clip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Clip 정보는 개개의 MainClip에 대한 관리정보이다. 도 8은 Clip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lip 정보는,
ⅰ) AVClip 파일의 속성정보를 저장한 『ClipInfo()』,
ⅱ) ATC Sequence, STC Sequence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Sequence Info()』,
ⅲ) Program Sequence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Program Info()』,
ⅳ)『Characteristic Point Info(CPI())』
*로 이루어진다.
<Clip 정보의 설명 : 1. Clip info>
먼저, Clip info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의 인출 선 ct 1은 Clip info()의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이 인출 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lip info()는 디지털 스트림의 유형을 나타내는 "clip_stream_type", 본 MainClip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나타내는 "application_type", MainClip의 기록 비율을 나타내는 "TS_recording_rate"를 포함한다. application_type은 대응하는 MainClip이 영화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취지를 나타내도록 "1"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이 Clip info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Clip info에 대하여 설명한다.
Clip info는 Ne개의 EP_map_for_one_stream[0] ~ [Ne - 1]을 포함한다. 그리고 개개의 EP_map_for_one_stream에 대한 속성정보를 Ne개 가지고 있다. 이 속성정보는 대응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stream_PID[0] ~ [Ne - 1]과 대응하는 EP_map_for_one_stream의 유형을 나타내는 EP_stream_type[0] ~ [Ne - 1]과 EP_map_for_one_stream에서의 EP_high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_of_High_entries[0] ~ [Ne - 1]과, EP_map_for_one_stream에서의 EP_low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_of_Low_entries[0] ~ [Ne - 1]과 EP_map_for_one_stream의 현재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EP_map_for_one_stream_PID_start_address[0] ~ [Ne - 1]로 이루어진다.
<Clip 정보의 설명 : 2. EP_map>
이하, 구체 예를 통하여 EP_map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영화의 비디오 스트림(application_type = 1)에 대한 EP_map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단째는 표시순서로 배치된 복수의 픽쳐를 나타내고, 제 2단째는 그 픽쳐에서의 시간 축을 나타낸다. 제 4단째는 BD-ROM 상의 TS 패킷 열을 나타내며, 제 3단째는 EP_map의 설정을 나타낸다.
제 2단째의 시간 축에서 시점 t l ~ t 7에 액세스 유닛(Non-IDR I 픽쳐, IDR 픽쳐)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들 t 1 ~ t 7의 시간간격이 1초 정도라고 하면, 영화에 사용되는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EP_map은 t 1 ~ t 7을 엔트리 시각(PTS_EP_start)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엔트리 위치(SPN_EP_start)를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도 10은 도 9에서의 Entry Point#1 ~ Entry Point#7의 PTS_EP_start, SPN_EP_start를 EP_Low, EP_High의 세트로 표현한 것이다. 본 도면의 좌측에 EP_Low를 나타내고, 우측에 EP_High를 나타낸다.
도 10 좌측의 EP_Low(0) ~ (Nf - 1) 중 EP_Low(i) ~ (i + 3)의 SPN_EP_Low는 t 1 ~ t 4의 하위 비트를 나타낸다. EP_Low(0) ~ (Nf - 1) 중 EP_Low(i) ~ (i + 3)의 SPN_EP_Low는 n 1 ~ n 4의 하위 비트를 나타낸다.
도 10 우측은 EP_map에서의 EP_High(0) ~ (Nc - 1)을 나타낸다. 여기서 t 1 ~ t 4는 공통의 상위 비트를 가지고 있고, 또 n 1 ~ n 4도 공통의 상위 비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면, 이 공통의 상위 비트가 PTS_EP_High, SPN_EP_High에 기술된다. 그리고 EP_High에 대응하는 ref_to_EP_LOW_id는 t 1 ~ t 4, n 1 ~ n 4에 해당하는 EP_Low 중 선두의 것(EP_Low(i))을 나타내도록 설정해 둔다. 이렇게 함으로써 PTS_EP_start, SPN_EP_start의 공통의 상위 비트는 EP_High에 의해 표현되게 된다. 이상이 BD-ROM 상에 존재하는 MainClip 및 Clip 정보에 대한 설명이다. 또한, 00001.mpls는 PlayList 정보를 저장한 파일이나, 동종의 것이 로컬 기억장치(200)에도 존재하므로, 이 로컬 기억장치(200)에 존재하는 PlayList 정보에 대하여 설명을 행하고, BD-ROM 상의 00001.mpls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BD-ROM은 대용량이므로, 도 1에 나타낸 홈시어터 시스템에 동영상을 공급하는 역할을 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이 BD-ROM에 대한 설명이다.
<로컬 기억장치(200)>
이어서,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인 로컬 기억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로컬 기억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응용 층에 대한 개량에 의해 생산할 수 있다.
본 도면의 제 4단째에 로컬 기억장치(200)를 나타내고, 제 3단째에 로컬 기억장치(200) 상의 트랙을 나타낸다. 본 도면의 트랙은 로컬 기억장치(200)의 내주에서 외주에 걸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트랙을 횡 방향으로 확대하여 묘사하고 있다. 이 트랙은 리드인 영역과 볼륨영역과 리드 아웃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본 도면의 볼륨영역은 물리 층, 파일 시스템 층, 응용 층이라는 계층 모델을 갖는다. 디렉터리 구조를 사용하여 로컬 기억장치(200)의 응용 층 포맷(애플리케이션 포맷)을 표현하면 도면 중의 제 1단째와 같이 된다.
본 도면의 디렉터리 구조에서 ROOT 디렉터리의 하위에는 「organization#1」이라는 서브 디렉터리가 있고, 그 하위에 「disc#1」이라는 서브 디렉터리가 있다. 디렉터리 「organization#1」이란 영화작품의 특정의 공급자(provider)에게 할당된 디렉터리이다. 「disc#1」은 그 공급자가 제공한 BD-ROM의 각각에 할당된 디렉터리이다.
특정의 공급자에 대응하는 디렉터리에 각 BD-ROM에 대응하는 디렉터리를 설치함으로써, 각 BD-ROM에 대한 다운로드 데이터가 개별적으로 저장된다. 이 서브 디렉터리의 하위에 BD-ROM에 저장되어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PlayList 정보(00002.mpls), Clip 정보(00002.clpi, 00003.clpi, 00004.clpi, 00005.clpi), AVClip(00002.m2ts, 00003.m2ts, 00004.m2ts, 00005.m2ts)가 저장되어 있다.
이어서, 로컬 기억장치(200)의 구성요소가 되는 PlayList 정보, Clip 정보, AVClip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컬 기억장치(200)의 구성 : 1. AVClip>
로컬 기억장치(200) 상의 AVClip(00002.m2ts, 00003.m2ts, 00004.m2ts, 00005.m2ts)은 SubClip을 구성한다. SubClip이란 하나 이상의 Out-of-MUX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AVClip이다. Out-of-MUX 스트림이란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AVClip의 재생중에 재생되나, 비디오 스트림과는 다중화되어 있지 않은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말한다. 또,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 중에 Out-of-MUX 스트림을 판독하고, 디코더에 제공하여 재생시키는 것을 "Out-fo-MUX 스트림 프레임 워크(stream frame work)"라고 한다.
이와 같은 Out-of-MUX 스트림에는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 『Presentation Graphics(PG) 스트림』, 『Interactive Graphics(IG) 스트림』이라는 종별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4개의 AVClip 중 00002.m2ts는 Primary 오디오 스트림을 저장하고 있고, 00003.m2ts는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 00004.m2ts는 PG 스트림, 00005.m2ts는 IG 스트림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 저장방식은 일례에 불과하며, 4개의 Out-of-MUX 스트림이 하나의 SubClip에 다중화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Out-of-MUX 스트림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Out-of-MUX 스트림의 설명 : 1. Primary, Secondary 스트림>
『Primary 오디오 스트림』이란 소위 주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스트림이고,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이란 소위 부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스트림이다. SubClip 재생시에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의 음성재생은 Primary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음성에 믹싱된 후에 출력에 제공된다.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으로 취급되는 음성에는 예를 들어, "코멘터리 음성"이 있다. Primary 오디오 스트림으로 이루어지는 주 음성이 영화작품 본편의 대사나 BGM이고,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으로 이루어지는 부 음성이 영화감독의 코멘터리 음성인 경우, 이와 같은 영화작품 본편의 대사나 BGM은 코멘터리 음성과 믹싱된 후에 출력되게 된다.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은 로컬 기억장치(200)에만 기록되어 재생에 제공되나, BD-ROM에는 기록되지 않는다. Primary 오디오 스트림은 BD-ROM에 위치해 있어도 되며 로컬 기억장치(200)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 또, Primary 오디오 스트림의 부호화 코덱은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의 부호화 코덱과 달라도 된다.
도 12는 Primary 오디오 스트림 및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제 1단째는 SubClip의 재생시에 참조 되는 시간 축(SubClip 시간 축)을 나타내고, 제 2단째는 Sub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 열을 나타낸다. 제 3단째는 SubClip을 구성하는 PES 패킷 열을 나타내며, 제 4단째는 Primary 오디오 스트림 및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오디오 프레임 열을 나타낸다.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ubClip은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열을 PES 패킷으로 변환하고(제 3단째), 다시 이 PES 패킷 열을 TS 패킷 열로 변환함으로써 생성된다(제 2단째).
PES 패킷의 헤더에 존재하는 PTS는 PES 패킷 내의 오디오 프레임의 개시 타이밍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PTS를 참조함으로써 SubClip 시간 축에서 PES 패킷에 저장된 오디오 프레임이 언제 재생되는가를 판명한다. 이런 이유로 PES 패킷의 헤더가 스트림 해석의 대상이 된다.
<Out-of-MUX 스트림의 설명 : 2. PG 스트림>
PG 스트림은 동영상의 재생진행에 따른 자막표시를 실현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이다. 도 13은 PG 스트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4단째는 SubClip을 구성하는 PES 패킷을 나타내고, 제 3단째는 Sub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을 나타낸다. 제 2단째는 SubClip 시간 축을 나타내며, 제 1단째는 SubClip인 PG 스트림과 MainClip인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드하고, 합성함으로써 표시되는 합성화상을 나타낸다.
제 4단째에서의 SubClip의 PES 패킷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SubClip의 PES 패킷은 PCS(Presentation Control Segment), PDS(Pallet Definition Segment), WDS(Window Definition Segment), ODS(Object Definition Segment), EDN(END of Display Set Segment)이라는 일련의 기능 세그먼트에 PES 패킷 헤더를 부여함으로써 작성된다.
ODS(Object Definition Segment)는 자막인 그래픽스 데이터를 정의하는 기능 세그먼트이다.
WDS(Window Definition Segment)는 화면에서의 그래픽스 데이터의 묘사영역을 정의하는 기능 세그먼트이다.
PDS(Pallet Definition Segment)는 그래픽스 데이터의 묘사시의 발색(發色)을 규정하는 기능 세그먼트이다.
PCS(Presentation Control Segment)는 자막표시에서의 페이지 제어를 규정하는 기능 세그먼트이다. 이와 같은 페이지 제어에는 Cut-In/Out, Fade-In/Out, Color Change, Scroll, Wipe-In/Out이란 것이 있고, PCS에 의한 페이지 제어를 수반함으로써, 어떤 자막을 서서히 소거하면서 다음의 자막을 표시시키는 표시효과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END(END of Display Set Segment)는 자막표시를 표시하는 기능 세그먼트 집합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기능 세그먼트이다.
PES 패킷의 헤더는 PTS, DTS란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이들 타임 스탬프는 기능 세그먼트의 디코드를 개시하는 타이밍, 기능 세그먼트에 의거하여 그래픽스를 표시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또 PCS를 선두로 한 END까지의 기능 세그먼트의 하나의 군을 "Display Set"라고 부른다. 제 3단째는 이들 PES 패킷을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TS 패킷을 나타낸다. 제 2단째는 SubClip을 재생할 때에 참조 되는 시간 축(SubClip 시간 축)을 나타낸다. 이 시간 축에서 PCS의 DTS는 PCS가 디코드 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PCS의 PTS는 PCS를 선두로 한 Display Set에 의거하여 그래픽스가 표시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이 PTS에 표시되는 타이밍에 제 1단째에 나타내도록 한 합성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이 Display Set에는 『Epoch Start』, 『Acquisition Point』, 『Normal Case』, 『Epoch Continue』라는 종별이 있다.
『Epoch Start』는 새로운 Epoch의 개시를 나타낸다. Epoch란 AVClip의 재생시간 축 상에서 메모리 관리의 연속성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기간 및 이 기간에 할당된 데이터 군을 말한다. 이런 이유로, Epoch Start는 다음의 화면합성에 필요한 모든 기능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있다. Epoch Start는 영화작품에서의 챕터 등 선두검색이 이루어짐을 판명하고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Acquisition Point』는 Epoch의 개시시점은 아니나, 다음의 화면합성에 필요한 모든 기능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있는 Display Set이다. Acquisition Point인 DS에서부터 선두검색을 행하면 그래픽스 표시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즉 Acquisition Point인 DS는 Epoch의 도중에서부터의 화면구성을 할 수 있다는 역할을 갖는다. Acquisition Point인 Display Set는 선두검색 처가 될 수 있는 위치에 내장된다.
『Normal Case』는 앞의 Display Set로부터의 차 분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어떤 DSv의 자막은 선행하는 DSu와 동일내용이나, 화면구성이 이 선행하는 DSu와는 다른 경우, PCS와 END만의 DSv를 설치하여 이 DSv를 Normal Case의 DS로 한다. 이렇게 하면 중복하는 ODS를 설치할 필요는 없어지므로, BD-ROM에서의 용량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Normal Case의 DS는 차 분에 불과하므로 Normal Case 단독으로는 화면구성은 행할 수 없다.
『Epoch Continue』란 어떤 AVClip의 재생이 다른 AVClip의 재생 후, 연속하여 행해지는 경우, Epoch를 계속시키는 취지를 나타낸다. 이상이 PG 스트림을 구성하는 기능 세그먼트에 대한 설명이다.
<Out-of-MUX 스트림에 대한 설명 : 3. IG 스트림>
IG 스트림은 동영상의 재생진행에 따른 자막표시를 실현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이다.
도 14는 IG 스트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4단째는 SubClip을 구성하는 PES 패킷을 나타내고, 제 3단째는 SubClip을 구성하는 TS 패킷을 나타낸다. 제 2단째는 SubClip 시간 축을 나타내며, 제 1단째는 Out-of-MUX 스트림인 IG 스트림과 MainClip인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드하고 합성함으로써 표시되는 합성화상을 나타낸다.
제 4단째에서의 SubClip의 PES 패킷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SubClip의 PES 패킷은 ICS(Interactive Composition Segment), PDS(Palette Definition Segment), ODS(Object Definition Segment), END(END of Display Set Segment)라고 불리는 기능 세그먼트에 PES 패킷 헤더를 부여함으로써 작성된다.
ODS(Object Definition Segment)는 버튼을 묘사할 때의 도안의 그래픽스를 정의하는 그래픽스 데이터이다.
PDS(Palette Definition Segment)는 그래픽스 데이터의 묘사시의 발색을 규정하는 기능 세그먼트이다.
ICS(Interactive Composition Segment)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버튼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대화제어를 규정하는 기능 세그먼트이다.
END(END of Display Set Segment)는 메뉴표시를 표시하는 기능 세그먼트 집합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기능 세그먼트이다.
PES 패킷 헤더는 PTS, DTS라는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이들 타임 스탬프는 기능 세그먼트의 디코드를 개시하는 타이밍, 기능 세그먼트에 의거하여 그래픽스를 표시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또, ICS를 선두로 한 END까지의 기능 세그먼트의 하나의 군을 Display Set라고 부른다. 이 Display Set에는 PG 스트림과 마찬가지로 『Epoch Start』, 『Acquisition Point』, 『Normal Case』, 『Epoch Continue』라는 종별이 있다.
도 14의 제 3단째는 이들 PES 패킷을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TS 패킷을 나타낸다. 제 2단째는 SubClip을 재생할 때 참조 되는 시간 축(SubClip 시간 축)을 나타낸다. 이 시간 축에서 ICS의 DTS는 ICS가 디코드 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ICS의 PTS는 ICS를 선두로 한 Display Set에 의거하여 그래픽스가 표시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이 PTS에 표시되는 타이밍에 제 1단째에 나타내도록 한 합성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ICS, PDS, ODS, END라는 기능 세그먼트의 집합은 Display Set라고 불린다. Display Set는 메뉴의 1개의 표시를 실현하는 기능 세그먼트의 집합을 말한다.
이상이 SubClip에 대한 설명이다.
<로컬 기억장치(200)의 구성 : 2. Clip 정보>
이어서 로컬 기억장치(200) 측의 Clip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로컬 기억장치(200) 측의 Clip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로컬 기억장치(200) 측의 Clip 정보의 데이터 구조는 BD-ROM 측의 Clip 정보와 동일하다. 단지, 이들 데이터 구조 중 application_type과 EP_map의 구성과 EP_stream_type은 SubClip 특유의 내용으로 설정된다.
<SubClip에서의 Clip 정보의 설명 : 1. application_type>
도 15에서의 application_type에 대하여 설명한다. SubClip이 먼저 설명한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IG 스트림 중 어느 하나인 경우, application_type은 7로 설정된다.
application_type = 7이란 본 Clip 정보에 다중화되어 있는 SubClip이 "동영상 없는 추가 콘텐츠"임을 나타낸다. 동영상을 포함하고 있지않으므로, 본 SubClip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로컬 기억장치(200)에 저장되고, 로컬 기억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BD-ROM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 않다. 이상이 SubClip에서의 application_type의 설정이다.
<SubClip에서의 Clip 정보의 상세 : 1. Out-of-MUX_EP_map>
이어서 SubClip에서의 EP_map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컬 기억장치(200) 상의 EP_map은 SubClip에 다중화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Out-of-MUX 스트림 각각에 대하여 존재한다. 그리고 대응하는 Out-of-MUX 스트림의 복수의 엔트리 위치를 복수의 엔트리 시각과 대응하여 나타낸다.
Out-of-MUX 스트림에는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IG 스트림이라는 종별이 있고, 이들은 스트림 도중의 어디에서부터 재생할 수 있게 되는가가 다르다.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은 복수 오디오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기본적으로는 이 오디오 프레임의 선두에서부터라면 어디에서부터라도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PG 스트림, IG 스트림에 대하여 랜덤 액세스를 실행하는 경우, 완결된 기능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Display Set를 디코더에 공급해야 한다. 완결된 기능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Display Set란 소위 『Normal Case』 이외의 Display Set, 즉 『Epoch Start』, 『Acquisition Point』, 『Epoch Continue』의 Display Set이고, 이들 Display Set의 선두에 위치하는 PCS, ICS를 엔트리 위치로 취급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Out-of-MUX 스트림은 스트림 도중의 어디에서부터 디코드할 수 있는가가 다르므로, EP_map은 대응하는 Out-of-MUX 스트림의 차이에 의해 다른 구조를 갖게 된다. Out-of-MUX 스트림에 대한 EP_map을 "Out-of-MUX_EP_map"이라고 한다.
<Out-of-MUX_EP_map의 상세 : 2. 음성에 대한 Out-of-MUX_EP_map>
이어서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EP_map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EP_map이 동화상에 대한 EP_map과 다른 것은 EP_map의 시간간격이다. 즉, 동화상에 대한 시간간격은 1초 미만이고, 치밀한 정밀도로 Entry Point가 설정되어 있으나, Entry Point의 시간간격은 5초로 되어 있고, 시간간격은 넓게 되어 있다.
도 16은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생성되는 EP_map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나타내는 EP_map의 구조란 5초라는 일정시간마다 엔트리 시각별로 대응하는 엔트리 위치가 존재하는 것이다. 본 도면의 제 3단째는 SubClip 시간 축을 나타내고, 이 SubClip 시간 축 상의 t 1 ~ t 6이 엔트리 시각이다. 이들 엔트리 시각 t 1, t 2, t 3, t 4, t 5, t 6은 5초라는 일정시간마다 존재하고 있다. 본 도면의 제 2단째는 EP_map을 나타낸다. 이 제 2단째에서의 EP_map의 PTS_EP_start는 이들 엔트리 시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단째는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TS 패킷 열을 나타낸다. 이 TS 패킷 열 중 SPN = n 1, n 2, n 3, n 4, n 5, n 6으로 지시되는 위치가 엔트리 위치로 한다. 제 2단째의 SPN_EP_start는 이들 n 1 ~ n 6을 나타내도록 설정되어 있다. EP_map에서의 각 Entry Point의 SPN_EP_start가 PTS_EP_start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5초 간격의 엔트리 시각은 엔트리 위치와 대응되게 된다.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EP_map에서 직전의 Entry Point와의 간격은 256K바이트라는 데이터 간격이어도 된다. 이 256K바이트라는 시간간격은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의 전송 비율에 5초라는 시간간격을 곱한 것이다. EP_map의 시간간격이 5초이므로, 스트림 해석이 필요해지는 범위는 5초 이하가 된다. 이상이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설정되는 EP_map에 대하여 설명한다.
<Out-of-MUX_EP_map의 상세 : 3. PG 스트림에 대한 EP_map>
이어서 PG 스트림에 대하여 설정되는 EP_map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PG 스트림 시간 축에 대하여 설정된 EP_map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제 1단째는 PG 스트림을 구성하는 TS 패킷 열을 나타내고, 제 2단째는 EP_map을 나타내며, 제 3단째는 SubClip 시간 축을 나타낸다. 이 제 1단째에서 Normal Case가 아닌 Display Set의 선두에 위치하는 PCS가 SPN = n 1, n 5에 존재하는 것으로 하면, 이들은 n 1, n 5가 엔트리 위치가 된다. 한편, 이들 PCS의 PTS가 제 3단째의 SubClip 시간 축에서의 t 1, t 5를 나타내고 있다면 EP_map은 이들 SPN = n 1, n 5를 PTS = t 1, t 5와 대응하여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완결된 기능 세그먼트의 선두가 PCS의 PTS에 표시되는 엔트리 시각과 대응되어 있으므로, 이 EP_map을 참조하면 스트림 해석을 행하지 않고 스트림의 도중에서부터의 자막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Out-of-MUX_EP_map의 상세 : 4. IG 스트림에 대한 EP_map>
도 18은 IG 스트림 시간 축에 대하여 설정된 EP_map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제 1단째는 IG 스트림을 구성하는 TS 패킷 열을 나타내고, 제 2단째는 EP_map을 나타내며, 제 3단째는 SubClip 시간 축을 나타낸다. 이 제 1단째에서 Normal Case가 아닌 Display Set의 선두에 위치하는 ICS가 SPN = n 1, n 5에 존재하는 것으로 하면, 이들은 n 1, n 5가 엔트리 위치가 된다. 한편, 이들 ICS의 PTS가 제 3단째의 SubClip 시간 축에서의 t 1, t 5를 나타내고 있다면 EP_map은 이들 SPN = n 1, n 5를 PTS = t 1, t 5와 대응하여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완결된 기능 세그먼트의 선두가 ICS의 PTS에 표시되는 엔트리 시각과 대응되어 있으므로, 이 EP_map을 참조하면 스트림 해석을 행하지 않고, 도중에서부터의 메뉴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EP_map 구조는 대응하는 Out-of-MUX 스트림의 질적인 차이에 의해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이 로컬 기억장치(200) 상의 Clip 정보에서의 EP_map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로컬 기억장치(200) 상의 Clip 정보에서의 EP_stream_type에 대하여 설명한다.
<SubClip에서의 Clip 정보의 설명 : 3. EP_stream_type>
EP_stream_type은 도 16 ~ 도 18에 나타낸 EP_map의 구조의 차이를 하나의 SubClip에 다중화되어 있는 Out-of-MUX 스트림별로 나타내고 있다. 즉 하나의 SubClip에 다중화될 수 있는 Out-of-MUX 스트림 중 i번째의 것을 Out-of-MUX 스트림[i]로 한 경우, EP_stream_type[i]는 Out-of-MUX 스트림[i]에 대응하는 EP_map_for_one_stream이 어떠한 유형인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EP_stream_type[i]는 3, 4, 6, 7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된다. 3 또는 4로 설정된 경우는 Primary 오디오 스트림 또는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 특유의 구조, 즉,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정시간마다 엔트리 시각 또는 일정 데이터 간격마다 엔트리 위치를 나타내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6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PG 스트림 특유의 구조, 즉, Normal Case 이외의 Display Set의 선두를 가리키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낸다(도 17). 7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IC 스트림 고유의 구조, 즉, Normal Case 이외의 Display Set의 선두를 가리키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낸다(도 18).
EP_map의 구조가 이 EP_stream_type에 집약되어 있으므로, 이 EP_map에 표시되는 엔트리 위치로부터 스트림 해석을 행해야 할지, EP_map에서의 Entry Point로부터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여, 디코더에 공급하면 될지가 판명된다.
<SubClip에서의 Clip 정보의 설명 : 4. EP_stream_type의 의의>
Out-of-MUX_EP_map에 EP_stream_type을 설치한 것의 기술적 의의에 대하여 이하에 정리하였다.
엔트리 시각을 액세스 위치로 지정한 경우는, 바로 재생을 개시할 수 있으나, 액세스 위치가 엔트리 시각이 아닌 경우, 스트림 해석이 필요해진다. 만일, 엔트리 시각끼리의 간격이 어느 정도인가, 또 어떠한 데이터 위치가 엔트리 시각으로 지정되어 있는가가 판명되지 않은 경우, 어느 정도 스트림 해석을 행하면 좋은가가 미지수가 된다. 그렇게 하면 스트림 해석이 어느 정도 필요해지는가라는 상한이 정해지지 않으므로, 사용자 조작에 대한 응답을 매우 저하하게 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Out-of-MUX_EP_map은 엔트리 시각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존재하는가, 또는 어떠한 위치가 엔트리 위치로 지정되어 있는가를 EP_stream_type을 사용하여 명백히 하고 있다. EP_stream_type이 3, 4인 경우, 엔트리 위치는 5초라는 일정간격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재생장치는 스트림 해석이 필요한 것으로 해도 스트림 해석을 행해야할 범위는 겨우 5초의 범위이고, 최악의 경우라도 Out-of-MUX 스트림에서의 5초의 범위를 해석하면 원하는 액세스 점에 도달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한편, EP_stream_type이 6, 7인 경우, 완결된 기능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Display Set의 개시 점이 엔트리 위치로 지정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재생장치는 설령 엔트리 위치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길이라도 이 엔트리 위치가 되는 위치로부터 기능 세그먼트의 판독을 행하여, 재생에 제공하면 스트림 해석을 일절 행하지 않고도 원하는 재생시점에서의 자막표시, 메뉴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EP_stream_type은 5초를 상한으로 한 스트림 해석이 필요한가, 스트림 해석이 일절 불필요한가의 판단을 재생장치에 재촉하므로, MainClip에 대한 랜덤 액세스와 함께 SubClip에 대한 랜덤 액세스가 필요해졌다고 해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과잉된 부담을 주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부담경감에 의해 사용자 조작에 대한 응답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이 로컬 기억장치(200)에서의 Clip 정보에 대한 설명이다.
<로컬 기억장치(200)의 구성 : 3. PlayList 정보>
이어서 로컬 기억장치(200) 상의 PlayList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확장자 "mpls"가 부여된 파일(00001.mpls)은 PlayList(PL) 정보를 저장한 파일이다. PlayList 정보는 MainPath, Subpath라고 불리는 2종류의 재생경로를 묶은 것을 Playlist(PL)로 정의하는 정보이다. 도 19는 PlayList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layList 정보는 MainPath를 정의하는 MainPath 정보(MainPath())와 챕터를 정의하는 PlayListMark 정보(PlayListMark())와 Subpath를 정의하는 Subpath 정보(Subpath())로 이루어진다.
MainPath란 주인 AVClip 상에 정의되는 재생경로이다. 한편, Subpath는 SubClip 상에 정의되는 재생경로이다.
<PlayList 정보의 설명 : 1. MainPath 정보>
먼저, MainPath에 대하여 설명한다. MainPath는 주 영상인 비디오 스트림이나 오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정의되는 재생경로이다.
MainPath는 화살표 mp 1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PlayItem 정보(… PlayItem() …)로부터 정의된다. PlayItem 정보는 MainPath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이론적인 재생구간을 정의한다. PlayItem 정보의 구성은 인출 선 hs 1에 의해 클로즈업되어 있다. 이 인출 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layItem 정보는 재생구간의 IN 점 및 OUT 점이 속하는 AVClip의 재생구간 정보의 파일명을 나타내는 『Clip_Information_file_name』과 AVClip의 부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Clip_codec_identifier』와 재생구간의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 『IN_time』과 재생구간의 종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 『OUT_time』으로 구성된다.
도 20은 MainClip과 PlayList 정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단째는 PlayList 정보가 갖는 시간 축을 나타낸다. 제 2단째부터 제 5단째는 EP_map에 의해 참조 되어 있는 비디오 스트림(도 5에 도시한 것과 동일)을 나타낸다.
PlayList 정보는 PlayItem 정보 #1, #2라는 2개의 PlayItem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이들 PlayItem 정보 #1, #2의 In_time, Out_time에 의해 2개의 재생구간이 정의되게 된다. 이들 재생구간을 배열시키면, AVClip 시간 축과는 다른 시간 축이 정의되게 된다. 이것이 제 1단째에 나타내는 PlayItem 시간 축이다. 이와 같이 PlayItem 정보의 정의에 의해 AVClip과는 다른 시간 축의 정의를 할 수 있게 된다.
<PlayList 정보의 설명 : 2. PlayListMark>
이상이 본 실시 예에 관한 PlayItem 정보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PlayListMark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PlayList 정보의 PlayListMark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도면 중의 인출 선 pm 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layListMark 정보는 복수의 PLMark 정보(#1 ~ #n)로 이루어진다. PLmark 정보(PLmark())는 PL 시간 축 중 임의의 구간을 챕터 점으로 지정하는 정보이다. 인출 선 pm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Lmark 정보는 챕터 지정의 대상인 PlayItem을 나타내는 『ref_to_PlayItem_Id』와 그 PlayItem에서의 챕터 위치를 시간표기에 의해 나타내는 『mark_time_stamp』를 포함한다.
도 22는 PlayList 정보의 PLMark 정보에 의한 챕터 위치의 지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제 2단째부터 제 5단째는 도 20에 나타낸 EP_map과 AVClip을 나타낸다.
본 도면의 제 1단째는 PLMark 정보와 PL 시간 축을 나타낸다. 이 제 1단째에는 2개의 PLMark 정보 #1 ~ #2가 존재한다. 화살표 kt 1, 2는 PLMark 정보의 ref_to_PlayItem_Id에 의한 지정을 나타낸다. 이 화살표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PLMark 정보의 ref_to_PlayItem_Id는 PlayItem 정보의 각각을 지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Mark_time_Stamp는 PlayItem 시간 축 중 Chapter #1, #2가 되어야할 시점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PLMark 정보는 PlayItem 시간 축 상에 챕터 점을 정의할 수 있다.
<PlayList 정보의 설명 : 3. Subpath 정보>
MainPath가 주 영상인 MainClip에 정의되는 재생경로인 것에 대해 Subpath는 MainPath와 동기해야할 SubClip에 대하여 정의되는 재생경로이다.
도 23은 Subpath 정보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의 화살표 hc 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Subpath는 SubClip의 유형을 나타내는 SubPath_type과 하나 이상의 SubPlayItem 정보(… SubPlayItem() …)를 포함한다.
도면 중의 인출 선 hc 1은 SubPlayItem 정보의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SubPlayItem 정보는 도면 중의 화살표 hc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lip_information_file_name』, 『SubPlayItem_In_time』, 『SubPlayItem_Out_time』, 『sync_PlayItem_id』, 『sync_start_PTS_of_PlayItem』으로 이루어진다.
『Clip_information_file_name』은 Clip 정보의 파일명을 기술함으로써 SubPlayItem에 대응하는 SubClip을 고유하게 지정하는 정보이다.
『SubPlayItem_In_time』은 SubClip의 재생시간 축 상에서의 SubPlayItem의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SubPlayItem_Out_time』은 SubClip의 재생시간 축 상에서의 SubPlayItem의 종점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sync_PlayItem_id』는 MainPath를 구성하는 PlayItem 중 본 SubPlayItem이 동기해야할 것을 고유하게 지정하는 정보이다. SubPlayItem_In_time은 이 sync_PlayItem_id으로 지정된 Play Item의 재생시간 축 상에 존재한다.
『sync_start_PTS_of_PlayItem』은 sync_PlayItem_id로 지정된 Play Item의 재생시간 축 상에서 SubPlayItem_In_time으로 지정된 SubPlayItem의 시점이 어디에 존재하는가를 나타낸다.
<Subpath 정보의 상세 : 1. SubPath_type>
이상이 SubPath 정보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SubPath_type에 대하여 설명한다. SubPath_type은 0에서 255까지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SubPath 정보에 의해 정의되는 SubPath가 어떠한 재생경로인가를 나타낸다.
이 SubPath_type의 값은 SubPlayItem 정보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의해 지정된 Clip 정보의 내용에 연동한 것이 된다. 무엇에 연동하는가 하면 Clip.Info의 application_type에 연동하는 것이다. SubPath_type은 0 ~ 255의 값을 취하나, Clip.Info의 application_type이 7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5 ~ 8 중 어느 하나 값이 설정된다.
SubPath_type이 5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 SubPath 정보에 의해 정의되는 SubPath는 Primary 오디오 재생 패스임을 나타낸다. 이 Primary 오디오 재생 패스는 추가?치환을 위해 정의되어 있다. 무엇에 대한 추가?치환인가 하면, PlayItem 정보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Primary 오디오에 추가되어야할 Primary 오디오 또는 PlayItem 정보로 재생될 수 있는 Primary 오디오로 치환되어야할 Primary 오디오이다.
SubPath_type이 6으로 설정된 경우, 본 SubPath 정보는 추가?치환을 위한 Presentation Graphics 재생 패스를 정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무엇에 대한 추가?치환인가 하면, PlayItem 정보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PG 스트림에 대하여 추가?치환될 수 있는 PG 스트림이다.
SubPath_type이 7로 설정된 경우, 본 SubPath 정보는 추가?치환을 위한 Intaractive Graphics 재생 패스를 정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무엇에 대한 추가?치환인가 하면, PlayItem 정보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PG 스트림에 대하여 추가?치환될 수 있는 PG 스트림이다.
SubPath_type이 8로 설정된 경우, SubPath 정보는 Secondary 오디오 재생 패스를 정의하는 취지를 나타낸다. 이 Secondary 오디오 재생 패스는 추가를 위해 정의되어 있다. 무엇에 대한 추가인가 하면, PlayItem 정보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Primary 오디오의 재생음성에 믹싱 되어야할 Secondary 오디오이다.
이상이 SubPath_type에 대한 설명이다.
<SubPath 정보에 대한 상세 : 2. 삼자의 관계>
여기에서의 삼자란 로컬 기억장치(200) 상의 SubClip, 로컬 기억장치(200) 상의 PlayList 정보, BD_ROM 상의 MainClip의 삼자를 말한다.
도 24는 로컬 기억장치(200) 상의 SubClip과 로컬 기억장치(200) 상의 PlayList 정보와 BD-ROM 상의 MainClip과의 대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제 1단째는 로컬 기억장치(200) 상에 존재하는 SubClip을 나타낸다. 이 제 1단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컬 기억장치(200) 상의 SubClip에는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IG 스트림이라는 종별이 있다. 이들 중 어느 하나가 SubPath로 동기재생에 제공되게 된다.
제 2단째는 PlayList 정보에 의해 정의되는 2개의 시간 축을 나타낸다. 제 2 단째 중 하측의 시간 축은 PlayItem 정보에 의해 정의되는 PlayItem 시간 축을 나타내고, 상측의 시간 축은 SubPlayItem에 의해 정의되는 SubPlayItem 시간 축을 나타낸다.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ubPlayItem 정보의 SubPlayItem_Clip_information_file_name은 제 1단째에서의 4개의 SubClip 중 어느 것을 재생구간지정의 대상으로 선택하는가라는 SubClip 선택의 역할을 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SubPlayItem.IN_time, SubPlayItem.Out_time은 SubClip 상에 재생구간의 시점 및 종점을 정의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화살표 Syne_PlayItem_Id는 어느 PlayItem과의 동기를 의도하고 있는가라는 동기지정의 역할을 담당하고, syne_start_PTS_of_PlayItem은 PlayItem 시간 축의 원점과 SubPlayItem 시간 축의 원점과의 차 분을 나타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25는 MainClip에 대하여 설정된 EP_map 및 PlayItem 시간 축과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이 되는 SubClip에 대하여 설정된 EP_map 및 SubPlayItem 시간 축을 집약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중단, 하 4단 ~ 하 1단은 도 20에 나타낸 PlayItem 시간 축, 픽쳐 열, MainClip 시간 축, EP_map, TS 패킷 열을 나타낸다.
또, 상 1단째 ~ 상 3단째는 도 16에 나타낸 TS 패킷 열, EP_map, SubClip 시간 축을 나타낸다. 상 4단째는 도 24에 나타낸 SubPlayItem 시간 축을 나타낸다. MainClip에 대해서는 1초 시간간격, SubClip에 대해서는 5초 시간간격으로 엔트리 시각이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6은 MainClip에 대하여 설정된 EP_map 및 PlayItem 시간 축과 PG 스트림, IG 스트림이 되는 SubClip에 대해 설정된 EP_map 및 SubPlayItem 시간 축을 집약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중단 하 4단 ~ 하 1단은 도 20에 나타낸 PlayItem 시간 축, 픽쳐 열, MainClip 시간 축, EP_map, TS 패킷 열을 나타낸다.
또, 상 1단째 ~ 3단째는 도 16에 나타낸 TS 패킷 열, EP_map, SubClip 시간 축을 나타낸다. 상 제 4단째는 도 24에 나타낸 SubPlayItem 시간 축을 나타낸다. MainClip에 대해서는 1초 시간간격, SubClip에 대해서는 Normal Case 이외의 Display Set가 존재하는 위치가 엔트리 위치로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SubPath 정보에 대한 상세 : 3. 상관관계>
도 27은 SubPath_type을 취할 수 있는 값과 application_type을 얻을 수 있는 값과 EP_stream_type을 취할 수 있는 값과의 상관관계를 표 형식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SubPath_type은 "5"이고, application_type이 "7"인 경우, EP_stream_type이 "3"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EP_stream_type이 "3"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EP_stream_type에 대응하는 EP_map은 Primary 오디오 재생을 위한 것이고, 5초라는 시간간격 또는 256K바이트라는 데이터 간격을 가지고 있으면 재생장치는 이해할 수 있다.
SubPath_type은 "6"이고, application_type이 "7"인 경우, EP_stream_type이 "6"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EP_stream_type이 "6"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EP_stream_type에 대응하는 EP_map은 Presentation Graphics 재생을 위한 것이고, 완결된 기능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Display Set를 엔트리 위치로 하고 있으면, 재생장치는 이해할 수 있다.
SubPath_type은 "7"이고, application_type이 "7"인 경우, EP_stream_type은 "7"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EP_stream_type이 "7"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EP_stream_type에 대응하는 EP_map은 Interactive Graphics 재생을 위한 것이고, 완결된 기능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Display Set를 엔트리 위치로 하고 있으면 재생장치는 이해할 수 있다.
SubPath_type은 "8"이고, application_type이 "7"인 경우, EP_stream_type이 "4"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EP_stream_type이 "4"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EP_stream_type에 대응하는 EP_map은 Secondary 오디오 재생을 위한 것이고, 5초라는 시간간격 또는 256K바이트라는 데이터 간격을 가지고 있으면 재생장치는 이해할 수 있다.
이상이 로컬 기억장치(200)의 구성인 PlayList 정보에 대한 설명이다. 이상으로 로컬 기억장치(200)에 대한 설명을 마친다.
<가상 파일 시스템>
이하, 가상 파일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재생장치(300)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파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좌측 상단은 BD-ROM의 기록내용을 나타내고, 좌측 하단은 로컬 기억장치(200)의 기록내용을 나타낸다. 우측은 가상 파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재생장치는 BD-ROM에 존재하는 AVClip, Clip 정보, PlayList 정보에 로컬 기억장치(200)에 존재하는 AVClip, Clip 정보, PlayList 정보를 조합하여 가상 파일 시스템을 얻는다.
이 조합은,
i) Local Storage 상의 PlayList(00002.MPLS)를 BD-ROM에서의 MPLS 디렉터리에 추가하고,
ii) Local Storage 상의 Clip 정보 #2, #3, #4, #5(00002.CLPI, 00003.CLPI, 00004.CLPI, 00005.CLPI)를 BD-ROM에서의 CLPI 디렉터리에 추가하며,
iii) Local Storage 상의 AVClip #2, #3, #4, #5(00002.M2TS, 00003.M2TS, 00004.M2TS, 00005.M2TS)를 BD-ROM에서의 STREAM 디렉터리에 추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28의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가상 파일 시스템이 구성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에 대한 설명을 마친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
도 29는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는 본 도면에 나타내는 내부 구성에 의거하여 공업적으로 생산된다. 본 발명에 관한 재생장치는 주로 시스템 LSI와 드라이브 장치라는 2개의 파트로 이루어지고, 이들 파트를 장치의 캐비닛 및 기판에 실장 함으로써 공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시스템 LSI는 재생장치의 기능을 달성하는 다양한 처리부를 집적한 집적회로이다. 이렇게 하여 생산되는 재생장치는 BD 드라이브(1),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2), 소스 디패킷타이저(3), PID 필터(4), 트랜스 포트 버퍼(5), 멀티플렉스드 버퍼(6), 코디드 픽쳐 버퍼(7), 비디오 디코더(8), 디코디드 픽쳐 버퍼(10), 비디오 플레인(11), 트랜스 포트 버퍼(12), 코디드 데이터 버퍼(13),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14), 오브젝트 버퍼(15), 콤포지션 버퍼(16), 콤포지션 컨트롤러(17),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 CLUT부(19), 트랜스 포트 버퍼(20), 코디드 데이터 버퍼(21),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22), 오브젝트 버퍼(23), 콤포지션 버퍼(24), 콤포지션 컨트롤러(25),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26), CLUT부(27), 합성부(28), 합성부(29), 스위치(30), 네트워크 장치(31), 스위치(32),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33), 소스 디패킷타이저(34), PID 필터(35), 스위치(36), 트랜스 포트 버퍼(37), 엘리멘터리 버퍼(38), 오디오 디코더(39), 트랜스 포트 버퍼(40), 버퍼(41), 오디오 디코더(42), 믹서(43), 시나리오 메모리(44), 제어부(45), 메인 변환부(46), 서브 변환부(47), PL 재생 제어부(48), PSR 세트(49)로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의 내부 구성은 MPEG의 T-STD 모델을 베이스로 한 디코더 모델이고, 다운 컨버트를 상정하여 포함한 디코더 모델이 되어 있다.
BD-ROM 드라이브(1)는 BD-ROM의 로딩/이젝트를 행하고, BD-ROM에 대응하는 액세스를 실행하여 32개의 완결된 EX 부착 TS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Aligned Unit을 BD-ROM으로부터 판독한다.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2)는 27MHz의 수정 발진기(27MHz X-tal)에 의거하여 어라이벌 타임 클록을 생성한다. 어라이벌 타임 클록이란 TS 패킷에 부여된 ATS의 기준이 되는 시간 축을 규정하는 클록 신호이다.
소스 디패킷타이저(3)는 BD-ROM으로부터 32개의 완결된 EX 부착 TS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Aligned Unit이 판독되면, Aligned Unit을 구성하는 각각의 TS 패킷으로부터 TP_extra_header를 인출하여 TS 패킷만을 PID 필터(4)에 출력한다. 소스 디패킷타이저(3)에 의한 PID 필터(4)로의 출력은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2)가 측정하고 있는 시각이 TP_extra_header에 표시되는 ATS가 된 타이밍으로 이루어진다. PID 필터(4)로의 출력은 ATS에 따라서 이루어지므로, 설령 BD-ROM으로부터의 판독에 1배속, 2배속이라는 속도 차가 있어도 PID 필터(4)로의 TS 패킷 출력은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가 측정하는 현재시간에 따라서 이루어지게 된다.
PID 필터(4)는 TS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PID를 참조함으로써, TS 패킷이 비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IG 스트림, Primary 오디오 스트림 중 어느 하나에 귀속하는 것인가를 판정하여, 트랜스 포트 버퍼 5, 트랜스 포트 버퍼 12, 트랜스 포트 버퍼 20, 트랜스 포트 버퍼 37 중 어느 하나에 출력한다.
트랜스 포트 버퍼(TB, 5)는 비디오 스트림에 귀속하는 TS 패킷이 PID 필터(4)로부터 출력되었을 때 일단 축적되는 버퍼이다.
멀티플렉스드 버퍼(MB, 6)는 트랜스 포트 버퍼(5)로부터 코디드 픽쳐 버퍼(7)에 비디오 스트림을 출력할 때에 일단 PES 패킷을 축적해 두기 위한 버퍼이다.
코디드 픽쳐 버퍼(CPB, 7)는 부호화 상태에 있는 픽쳐(I 픽쳐, B 픽쳐, P 픽쳐)가 저장되는 버퍼이다.
비디오 디코더(8)는 비디오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개개의 프레임 영상을 소정의 복호시각(DTS)별로 디코드함으로써 복수 프레임 영상을 얻어서 디코디드 픽쳐 버퍼(10)에 기록한다.
디코디드 픽쳐 버퍼(10)는 복호 된 픽쳐가 기록되는 버퍼이다.
비디오 플레인(11)은 비 압축 형식의 픽쳐를 저장해 두기 위한 플레인이다. 플레인이란 재생장치에서 하나의 화면 분의 화소 데이터를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 영역이다. 비디오 플레인(11)에서의 해상도는 1920 × 1080이고, 이 비디오 플레인(11)에 저장된 픽쳐 데이터는 16비트의 YUV 값으로 표현된 화소 데이터에 의해 구성된다.
트랜스 포트 버퍼(TB, 12)는 PG 스트림에 귀속하는 TS 패킷이 PID 필터(4)로부터 출력되었을 때 일단 축적되는 버퍼이다.
*코디드 데이터 버퍼(CDB, 13)는 PG 스트림을 구성하는 PES 패킷이 저장되는 버퍼이다.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SGP, 14)는 ODS를 디코드하여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인덱스 컬러로 이루어지는 비 압축상태의 비 압축 그래픽스를 그래픽스 오브젝트로 오브젝트 버퍼(15)에 기록한다.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14)에 의한 디코드는 순식간에 행해지고, 디코드에 의해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14)는 일시적으로 보유한다.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14)에 의한 디코드는 순식간에 이루어지나,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14)에서 오브젝트 버퍼(15)로의 기록은 순식간에는 종료되지 않는다. BD-ROM 규격의 플레이어 모델에서는 오브젝트 버퍼(15)로의 기록은 128Mbps라는 전송 비율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오브젝트 버퍼(15)로의 기록 완료시점은 END 세그먼트의 PTS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이 END 세그먼트의 PTS에 표시되는 시점이 경과할 때까지 다음의 DS에 대한 처리를 기다리게 된다. 각 ODS를 디코드함으로써 얻어진 그래픽스 오브젝트의 기록은 그 ODS에 관련된 DTS의 시각에 개시하고, ODS에 관련된 PTS에 표시되는 디코드 종료시각까지 종료한다.
오브젝트 버퍼(15)는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14)의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그래픽스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버퍼이다. 오브젝트 버퍼(15)는 그래픽스 플레인(8)의 2배/4배의 크기로 설정해야 한다. 왜냐하면, Scrolling를 실현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그래픽스 플레인(8)의 2배, 4배의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저장해 두어야하기 때문이다.
콤포지션 버퍼(16)는 PCS, PDS가 배치되는 메모리이다. 처리해야할 Display Set가 2개 있고, 이들 PCS의 액티브 기간이 중복되고 있는 경우, 콤포지션 버퍼(16)에는 처리해야할 PCS가 복수 저장된다.
콤포지션 컨트롤러(17)는 현재의 재생시점이 새로운 Display Set에 도달할 때마다 그 Display Set에 포함되는 PCS의 Composition_State가 Epoch Start, Acquisition Point, Normal Case 중 어느 것인가를 판정하고, Epoch Start이면 코디드 데이터 버퍼(13) 상의 PCS를 코디드 데이터 버퍼(13)에서 콤포지션 버퍼(16)로 전송한다.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은 하나의 화면 분의 영역을 가진 메모리이고, 하나의 화면 분의 비 압축 그래픽스를 저장할 수 있다. 본 플레인에서의 해상도는 1920 × 1080이고,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 중의 비 압축 그래픽스의 각 화소는 8비트의 인덱스 컬러로 표현된다. CLUT(Color Lookup Table)를 사용하여 이와 같은 인덱스 컬러를 변환함으로써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에 저장된 비 압축 그래픽스는 표시에 제공된다.
CLUT부(19)는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에 저장된 비 압축 그래픽스에서의 인덱스 컬러를 Y, Cr, Cb 값으로 변환한다.
트랜스 포트 버퍼(TB, 20)는 IG 스트림에 귀속하는 TS 패킷이 일단 축적되는 버퍼이다.
코디드 데이터 버퍼(CDB, 21)는 IG 스트림을 구성하는 PES 패킷이 저장되는 버퍼이다.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SGP, 22)는 ODS를 디코드하여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비 압축 그래픽스를 오브젝트 버퍼(23)에 기록한다.
오브젝트 버퍼(23)는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22)의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비 압축의 그래픽스 오브젝트가 다수 배치되는 버퍼이다. 이 오브젝트 버퍼(23)에서 각 그래픽스 오브젝트가 차지하는 직사각형 영역은 ODS가 갖는 Object_id에 의해 식별된다. 따라서, 오브젝트 버퍼(23) 상에 있는 그래픽스 오브젝트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동일한 Object_id를 갖는 그래픽스 오브젝트가 공급되면, 오브젝트 버퍼(23) 상에서 그 그래픽스 오브젝트가 차지하는 영역은 동일한 Object_id를 갖는 그래픽스 오브젝트에 의해 덮어쓰기 되게 된다.
콤포지션 버퍼(24)는 하나 이상의 ICS에 대응하여 운반되는 Interactive_composition을 저장해 두기 위한 버퍼이다. 저장되어 있는 Interactive_composition은 콤포지션 컨트롤러(25)에 의한 해독에 제공된다.
콤포지션 컨트롤러(25)는 현재의 재생시점이 새로운 Display Set에 도달할 때마다 그 Display Set에 포함되는 ICS의 Composition_State가 Epoch Start, Acquisition Point, Normal Case 중 어느 것인가를 판정하고, Epoch Start이면 코디드 데이터 버퍼(21) 상의 새로운 Interactive_composition을 코디드 데이터 버퍼(21)로부터 콤포지션 버퍼(24)로 전송한다.
콤포지션 컨트롤러(25)는 Acquisition Point 타입의 Display Set에서의 ICS가 코디드 데이터 버퍼(21)에 판독될 때마다 그 ICS에 속하는 각 페이지 정보의 Page_Version_Number와 콤포지션 버퍼(24)에 저장 완료의 Interactive_composition에서의 각 페이지 정보의 Page_Version_Number를 조합한다. 그리고 Page_Version_Number가 큰 페이지 정보가 코디드 데이터 버퍼(21) 상에 존재하고 있으면, 그 페이지 정보를 코디드 데이터 버퍼(21)에서 콤포지션 버퍼(24)로 전송함으로써 콤포지션 버퍼(24)에서의 원하는 페이지 정보를 업 데이트한다. 그리고 그렇게 해서 업 데이트 된 페이지 정보에 해당하는 페이지가 현재 표시 중인가 여부를 판정하고, 만일 표시 중이면 해당하는 페이지의 재묘사를 행한다.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26)은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SGP, 22)에 의한 디코드로 얻어진 비 압축 그래픽스가 기록된다. 본 플레인에서의 해상도는 1920 × 1080이고,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26) 중의 비 압축 그래픽의 각 화소는 8비트의 인덱스 컬러로 표현된다. CLUT(Color Lookup Table)를 사용하여 이와 같은 인덱스 컬러를 변환함으로써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26)에 저장된 비 압축 그래픽스는 표시에 제공된다.
CLUT부(27)는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26)에 저장된 비 압축 그래픽스에서의 인덱스 컬러를 Y, Cr, Cb 값으로 변환한다.
합성부(28)는 비디오 플레인(11)에 저장된 비 압축상태의 프레임 화상과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에 저장된 비 압축상태의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합성시킨다. 이와 같은 합성에 의해 동화상 상에 자막이 중합된 합성화상을 얻을 수 있다.
합성부(29)는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26)에 저장된 비 압축상태의 그래픽스 오브젝트와 합성부(28)의 출력인 합성화상(비 압축상태의 픽쳐 데이터와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8)의 비 압축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합성한 것)을 합성한다.
스위치(30)는 BD-ROM으로부터 판독된 TS 패킷, 로컬 기억장치(200)로부터 판독된 TS 패킷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트랜스 포트 버퍼(20)에 공급한다.
네트워크 장치(31)는 재생장치에서의 통신기능을 실현하는 것이고, URL에 해당하는 web 사이트와의 TCP 커넥션, FTP 커넥션 등을 확립한다. 네트워크 장치(31)에 의해 확립된 커넥션을 통하여 web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된 콘텐츠는 이 로컬 기억장치(200)에 저장된다.
스위치(32)는 BD-ROM으로부터 판독된 TS 패킷, 로컬 기억장치(200)로부터 판독된 TS 패킷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트랜스 포트 버퍼(12)에 공급한다.
소스 디패킷타이저(34)는 로컬 기억장치(200)로부터 판독된 AVClip의 TS 패킷으로부터 TP_extra_header를 인출하여 TS 패킷만을 PID 필터(35)에 출력한다. 소스 디패킷타이저(34)에 의한 PID 필터(35)로의 출력은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33)가 측정하고 있는 시각이 TP_extra_header에 표시되는 ATS가 된 타이밍으로 이루어진다.
PID 필터(35)는 로컬 기억장치(200)로부터 판독된 TS 패킷을 PG 스트림의 디코더 측, IG 스트림의 디코더 측, 오디오 디코더(39) 측, 오디오 디코더(42) 측 중 어느 하나로 전환(switch)한다.
스위치(36)는 BD-ROM으로부터 판독된 TS 패킷, 로컬 기억장치(200)로부터 판독된 TS 패킷 중 어느 것을 오디오 디코더(39) 측에 공급한다. 이 TS 패킷은 Primary 오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 스위치(36)를 경유함으로써 BD-ROM 및 로컬 기억장치(200) 중 어느 하나에서라도 Primary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디코더(39)에 공급되게 된다.
트랜스 포트 버퍼(TB, 37)는 Primary 오디오 스트림에 귀속하는 TS 패킷을 축적한다.
엘리멘터리 버퍼(EB, 38)는 Primary 오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PES 패킷이 저장되는 버퍼이다.
오디오 디코더(39)는 엘리멘터리 버퍼(41)로부터 출력된 PES 패킷 상태의 Primary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 하여 비 압축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트랜스 포트 버퍼(TB, 40)는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에 귀속하는 TS 패킷을 축적한다.
엘리멘터리 버퍼(EB, 41)는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PES 패킷이 저장되는 버퍼이다.
오디오 디코더(42)는 엘리멘터리 버퍼(38)로부터 출력된 PES 패킷 상태의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 하여 비 압축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믹서(43)는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 함으로써 얻어진 비 압축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와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 함으로써 얻어진 비 압축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함으로써 합성 음성을 출력한다.
시나리오 메모리(44)는 현재의 PlayList 정보나 현재의 Clip 정보를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이다. 현재 PlayList 정보란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 PlayList 정보 중 현재 처리대상이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현재 Clip 정보란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 Clip 정보 중 현재 처리대상이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제어부(45)는 명령 ROM과 CPU로 이루어지고, 명령 ROM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재생장치 전체의 제어를 실행한다. 이 제어의 내용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발생하는 사용자 이벤트 및 PSR 세트(49)에서의 각 PSR의 설정 값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화한다. 제어부(45)는 메인 변환부(46), 서브 변환부(47), PL 재생 제어부(48)라는 기능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메인 변환부(46)는 PlayItem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을 MainClip의 어드레스로 변환한다. 여기서 통상 재생 및 특수 재생을 개시해야할 재생시점은 PlayItem의 시간 축에서 정의되어 있고, 메인 변환부(46)는 MainClip에 대응하는 Clip 정보 내의 EP_map을 사용하여 이 재생시점을 MainClip에서의 어드레스로 변환한다.
서브 변환부(47)는 PlayItem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을 SubPlayItem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으로 변환하여, 변환 후의 SubPlayItem 시간 축 상의 재생시점을 SubClip의 어드레스로 변환한다. 여기서, 서브 변환부(47)에 의한 PlayItem 시간 축 상의 재생시점에서 SubPlayItem 시간 축 상의 재생시점으로의 변환은 SubPlayItem 정보에서의 Sync_PlayItem_Id, Syne_Start_PTS_of_PlayItem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SubPlayItem 시간 축 상의 재생시점에서 SubClip 어드레스로의 변환은 EP_map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엔트리 위치 중 랜덤 액세스 위치에 가장 가까운 엔트리 위치를 구하는 처리(i)와, 그렇게 해서 구한 엔트리 위치를 개시 점으로 하여 스트림 해석을 행하는 처리(ii)의 2가지로 이루어진다. 전자의 처리는 SubClip에 대응된 EP_map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후자의 스트림 해석은 Primary 오디오 스트림 및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의 랜덤 액세스에는 필요하나, PG 스트림, IG 스트림의 랜덤 액세스에서는 생략할 수 있다. 스트림 해석을 생략할 수 있는가 여부의 판정은 EP_stream_type을 참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Clip 정보에는 EP_map이 존재해 있고, 랜덤 액세스가 적합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PL 재생 제어부(48)는 PL 재생을 행하도록 재생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PL 재생이란 BD-ROM에서의 MainClip과 로컬 기억장치에서의 SubClip을 PlayList 정보 내의 PlayItem 정보, SubPlayItem 정보에 따라서 동기 재생시키는 제어이다. MainClip, SubClip에는 EP_map이 대응되어 있고, 각 AVClip에 대한 랜덤 액세스의 고속화가 보증되어 있다. 이 고속 랜덤 액세스를 응용함으로써 PL 재생에서는 "통상 재생", "특수 재생"을 실현한다.
여기서 PL 재생에서의 통상 재생이란 MainClip, SubClip 중 PlayList 정보에서의 MainPath 정보를 구성하는 PlayItem 정보, SubPath 정보를 구성하는 SupPlayItem 정보로 지정되어 있는 부분을 PlayItem 시간 축, SubPlayItem 시간 축에 따라서 재생해 가는 것이다.
PL 재생에서의 특수 재생이란 MainClip, SubClip 중 PlayList 정보에서의 MainPath 정보를 구성하는 PlayItem 정보, SubPath 정보를 구성하는 SubPlayItem 정보로 지정되어 있는 부분에 대하여 빨리 감기?되감기?챕터 서치?타임 서치를 실행해 가는 것이다.
PSR 세트(49)는 재생장치에 내장되는 불휘발성의 레지스터이고, 64개의 Player Status Register(PSR(1) ~ (64))와 4096개의 General Purpose Register(GPR)로 이루어진다. 64개의 Player Status Register(PSR)는 각각 현재의 재생시점 등, 재생장치에서의 제 상태를 나타낸다. 64개의 PSR(PSR(1) ~ (64)) 중 PSR(5) ~ PSR(8)은 현재의 재생시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중 PSR(5)은 1 ~ 999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현재의 재생시점이 속하는 챕터 번호를 나타내고, OxFFFF로 설정됨으로써 재생장치에서 챕터 번호가 무효임을 나타낸다.
PSR(6)은 0 ~ 999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현재의 재생시점이 속하는 PlayList(현재 PlayList)의 번호를 나타낸다.
PSR(7)은 0 ~ 255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현재의 재생시점이 속하는 Play Item(이하, 현재 PI라고 한다)의 번호를 나타낸다.
PSR(8)은 0 ~ OxFFFFFFFF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45KHz의 시간 정밀도를 사용하여 현재의 재생시점(현재 PTM)을 나타낸다.
이상이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이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실장 : 1. PL 재생 제어부(48)>
이하,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한 PL 재생 제어부(48)의 실장에 대하여 설명한다. PL 재생 제어부(48)를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 30에 나타내는 재생순서를 컴퓨터에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된다. 즉, PL 재생에서의 통상 재생, 특수 재생은 모두 PlayItem 시간 축 상의 임의의 좌표로부터의 재생을 개시하는 점프 재생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이 점프 재생을 실현하게 하는 제어를 재생장치에 명령하면 된다.
도 30은 PlayItem 시간 축 상의 임의의 좌표로부터의 점프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PlayItem 시간 축에서의 좌표를 나타내는 Offset α를 산출하고(스텝 S 1), Offset α를 MainClip 시간 축 상의 좌표(In_time + Offset α)로 변환한다(스텝 S 2). 이렇게 해서 MainClip 시간 축 상의 좌표를 구하면 MainClip의 EP_map을 사용하여, MainClip 시간 축 상의 좌표(In_time + Offset α)를 어드레스 α로 변환한다(스텝 S 3).
스텝 S 4는 SubClip의 EP_map에서의 EP_stream_type이 3, 4, 6, 7인가 여부의 판정이다. 만일 그렇다면 BD-ROM에서의 어드레스 α로부터의 판독을 개시한다(스텝 S 9). SubClip의 EP_map에서의 EP_map에서의 EP_stream_type이 3, 4, 6, 7이면 Offset α를 SubPlayItem 시간 축에서의 Offset β(= Offset α - Sync_Start_Pts_of_PlayItem)로 변환하고(스텝 S 5), Offset β를 SubClip 시간 축 상의 좌표(SubPlayItem_In_time + Offset β)로 변환한다(스텝 S 6). 그리고 EP_map을 사용하여 SubPlayItem_In_time + Offset β를 어드레스 β로 변환하고(스텝 S 7), BD-ROM에서의 어드레스 α로부터의 판독과 로컬 기억장치(200)에서의 어드레스 β로부터의 판독을 동시에 실행한다(스텝 S 8).
EP_stream_type이 3, 4, 6, 7 이외의 값이면(스텝 S 4에서 No), EP_stream_type이 소위 무효임을 의미한다. EP_stream_type이 무효이면 Out-of-MUX 스트림에서의 엔트리 위치나 엔트리 시각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존재하는가가 미지수가 되므로, 액세스 위치의 특정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도 예측된다. 그렇게 하면 SubClip에 대한 랜덤 액세스는 매우 시간이 걸린다고 생각할 수 있고, 이를 MainClip과 동기 재생하도록 하면 MainClip의 재생이 현저하게 지연되게 된다. 이를 피할 수 있도록 SubClip 측의 랜덤 액세스는 사전에 포기하고, MainClip만에 대하여 어드레스 α로부터의 판독을 실행한다(스텝 S 9). 이와 같이 랜덤 액세스의 대상을 MainClip에 한정함으로써 랜덤 액세스시에서의 현저한 처리지연을 피할 수 있다.
도 31은 도 25와 같이 설정된 EP_map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위치를 어떻게 특정하는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1을 인용하여, 도 31에 나타낸 랜덤 액세스 위치를 특정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도 31은 지정된 점프 위치가 MainClip 및 SubClip에서 가끔 엔트리 위치로 지정되어 있는 케이스를 상정하여 도시하고 있다. 지정된 점프 위치가 PlayItem 시간 축에서의 Offset α의 위치인 것으로 하면 플레이리스트 시간 축의 원점은 MainClip 시간 축의 In_time에 존재하므로, MainClip에 대한 점프 위치는 In_time + Offset α가 되고, 이 위치를 SPN으로 변환하여 SPN을 섹터 수로 환산하면 된다.
한편, PlayItem 시간 축의 Offset α는 SubPlayItem 시간 축에서는 Sync_Start_PTS_of_PlayItem + Offset β의 위치에 있다. 왜냐하면, SubPlayItem 시간 축의 원점은 PlayItem 시간 축의 원점으로부터 Sync_Start_PTS_of_PlayItem 만큼 간격을 둔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Offset β를 산출하면 SubClip 시간 축 상의 점프 위치의 좌표를 산출한다. 여기서 SubPlayItem의 시간 축의 원점은 SubPlayItem의 In_time에 존재하므로, SubPlayItem_In_time + Offset β가 SubClip 시간 축의 점프 위치가 된다. 이하, SubClip의 EP_map을 사용하여 점프 위치를 SPN으로 변환하고, 이 SPN을 어드레스로 변환한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실장 : 2. 메인 변환부(46), 서브 변환부(47)>
이하,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한 메인 변환부(46), 서브 변환부(47)의 실장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인 변환부(46), 서브 변환부(47)를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 32에 나타내는 재생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된다.
도 32는 MainClip, SubClip 상의 좌표 TM을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처리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EP_High의 PTS_EP_High에 표시되는 시간 폭을 서로 더해 가고, 몇 개째의 EP_High_id에서 시간 폭의 총합 ∑가 In_time을 초과하는가를 판정한다(스텝 S 11). 여기서 PTS_EP_High에 표시되는 시간 폭이란 PTS_EP_High를 상위 비트로 하는 시간의 단위이다. k개째의 EP_High_id에서 시간 폭의 총합 ∑가 In_time을 초과한 경우, 이 k를 기억해 둔다(스텝 S 12).
EP_Low_id를 구하기 위해 PTS_EP_High(k - 1)까지의 총합 ∑에 복수 EP_Low의 PTS_EP_Low에 표시되는 시간 폭을 서로 더해서, 몇 개째의 EP_Low_id에서 시간 폭의 총합이 In_time을 초과하는가를 판정한다(스텝 S 13). 여기서 h개째의 EP_Low_id에서 시간 폭의 총합이 In_time을 초과한 경우, 이 h를 기억해 둔다(스텝 S 14).
이와 같이 해서 구해진 k - 1 및 h - 1의 세트에 의해 In_time에 가장 가까운 Entry Point를 특정한다. 이렇게 해서 구한 Entry Point에서의 SPN_EP_High, SPN_EP_Low의 세트로부터 좌표 TM에 해당하는 위치의 SPN을 산출하여 SPN을 섹터 어드레스로 변환한다(스텝 S 15).
SPN으로부터 섹터 어드레스로의 변환은 이하의 처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SPN은 TS 패킷의 시리얼 번호이므로, 이 SPN에 의거하여 TS 패킷을 판독하기 위해서는 SPN을 상대 섹터 수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TS 패킷은 32개별로 하나의 Aligned Unit으로 변환되고, 3개의 섹터에 기록되므로, SPN을 32개로 나눔으로써 몫을 얻어 그 몫을 I 픽쳐가 존재하는 Aligned Unit의 번호로 해석한다. 이렇게 해서 얻은 Aligned Unit 번호에 3을 곱함으로써 SPN에 가장 가까운 Aligned Unit의 섹터 어드레스를 구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섹터 어드레스는 하나의 AVClip 파일의 선두로부터의 상대 섹터 수이므로, 이 상대 섹터 수를 파일 포인터로 설정함으로써 Entry Point에 해당하는 섹터를 특정할 수 있다.
스텝 S 16은 SubClip의 EP_map에서의 EP_stream_type은 3, 4, 6, 7 중 어느 것인가의 판정이다. 만일 EP_stream_type이 6(PG 스트림) 혹은 7(IG 스트림)이면, 좌표 TM에 가장 가까운 Entry Point에 Normal Case 이외의 Display Set의 선두 위치(PCS, ICS)가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Display Set는 화면합성에 필요한 모든 기능 세그먼트를 가지고 있으므로, 스텝 S 15에서의 변환에 의해 얻어진 어드레스를 액세스 위치인 어드레스 β로 한다(스텝 S 17).
이렇게 해서 어드레스 β가 특정되면 거기에서부터의 재생을 실행함으로써 자막표시나 메뉴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EP_stream_type이 3(Primary 오디오 스트림) 혹은 4(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이면, 스텝 S 15에서의 변환에 의해 얻어진 어드레스를 개시 점으로 하여 스트림 해석을 개시한다(스텝 S 18). 이 스트림 해석은 PES 패킷의 헤더를 인출하고, 이 헤더로부터 오디오 프레임의 사이즈나 PTS를 판독하여, 그 사이즈에 의거하여 다음의 오디오 프레임의 기록위치를 특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좌표 TM 이상의 값을 가지는 PTS를 갖는 PES 패킷에 도달하기까지 이와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스텝 S 19).
만일 좌표 TM 이상의 값을 가지는 PTS를 갖는 PES 패킷에 도달하면, 이와 같은 PES 패킷의 어드레스를 액세스 위치인 어드레스 β로 한다(스텝 S 20). 이렇게 해서 어드레스 β가 특정되면 거기에서부터의 재생을 실행하여 음성재생을 실현한다.
이하, 이 플로차트에서의 처리를 도 33, 도 34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3은 SubClip이 Primary 오디오 스트림, Secondary 오디오 스트림인 경우의 변수 k, h, 랜덤 액세스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제 1단째는 EP_map을 구성하는 PTS_EP_High를 나타내고, 제 2단째는 EP_map을 구성하는 PTS_EP_Low를 나타낸다. 제 3단째는 TS 패킷 열을 나타낸다. 본 도면에서 k는 랜덤 액세스 위치를 초과하는 최소의 PTS_EP_High를 나타내는 것이고, h는 랜덤 액세스 위치를 초과하는 최소의 PTS_EP_Low를 나타내는 것이다.
하나 전의 PTS_EP_High(k - 1)과 하나 전의 PTS_EP_Low(h - 1)의 세트가 랜덤 액세스 위치에 가장 가까운 엔트리 시각을 나타내게 된다.
이들 PTS_EP_High, PTS_EP_Low의 세트에 대응하는 SPN_EP_High, SPN_EP_Low의 세트가 랜덤 액세스 위치에 가장 가까운 엔트리 위치를 나타내므로, 이 엔트리 위치로부터 스트림 해석을 개시하면 랜덤 액세스 위치에 해당하는 PES 패킷에 이를 수 있다.
도 34는 SubClip이 PG 스트림, IG 스트림인 경우의 변수 k, h, 랜덤 액세스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제 1단째는 EP_map을 구성하는 PTS_EP_High를 나타내고, 제 2단째는 EP_map을 구성하는 PTS_EP_Low를 나타낸다. 제 3단째는 TS 패킷 열을 나타낸다. 본 도면에서 k는 랜덤 액세스 위치를 초과하는 최소의 PTS_EP_High를 나타내는 것이고, h는 랜덤 액세스 위치를 초과하는 최소의 PTS_EP_Low를 나타내는 것이다.
하나 전의 PTS_EP_High(k - 1)과 하나 전의 PTS_EP_Low(h - 1)의 세트가 랜덤 액세스 위치에 가장 가까운 엔트리 시각을 나타내게 된다.
이들 PTS_EP_High, PTS_EP_Low의 세트에 대응하는 SPN_EP_High, SPN_EP_Low의 세트가 랜덤 액세스 위치에 가장 가까운 엔트리 위치를 나타내므로, 이 엔트리 위치로부터 기능 세그먼트의 판독을 개시하면 완결된 기능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Display Set를 판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SubClip에 대응하는 EP_map에는 EP_stream_type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재생장치는 Out-of-MUX 스트림의 EP_map이 어떤 결정된 시간간격을 갖는 것인가, 또는 독립한 재생단위의 어드레스를 지시한 것인가를 알 수 있다. Out-of-MUX 스트림 측의 EP_map의 특성이 어떠한 것인가를 알 수 있으므로, 고속의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가 여부를 즉석에서 판정할 수 있다. MainClip과 SubClip의 동기를 도모한 것으로 해도 응답 저하를 수반하는 것은 아니므로, MainPath + SubPath로 이루어지는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점프 재생을 MainPath 단일체에 대한 점프 재생과 동일한 정도의 응답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Picture in Picture(PiP) 재생을 실현하는 경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PiP 재생이란 PlayList 정보의 MainPath 정보에 의해 동화상을 구성하는 MainClip이 지정되어 있고, PalyList 정보의 SubPlayItem 정보에 의해 별도의 동화상을 구성하는 SubClip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전자의 동화상(Primary Video)과 후자의 동화상(Secondary Video)을 동일 화면 내에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도 35는 PiP 재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소정의 시점 tp가 도달하기까지는 Primary Video만이 재생되고 있다. 그리고 시점 tp에 도달하고 나서는 Primary Video에 Secondary Video가 넣어진 영상이 재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Primary Video는 HD 화상의 재생 영상이고, "Secondary Video"는 SD 화상이다.
여기서 Primary Video는 감독이나 출연자만이 등장하고 있는 동화상이고, Primary Video에서의 영상내용을 가리키도록 연기를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동화상이 Secondary Video라면, 이와 같은 Secondary Video의 영상내용을 Primary Video의 영상내용과 조합함으로써, 영화작품 본편의 재생 영상의 내용을 감독이나 출연자가 가리켜서 해설하는 즐거운 화면연출을 실현할 수 있다.
도 36(a)은 HD 화상과 SD 화상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HD 화상은 1920 × 1080이라는 해상도를 가지며, 필름 소재와 같이 3750(혹은 3753이나 3754) 클록의 프레임 간격을 갖는다.
SD 화상은 720 × 480이라는 해상도를 가지며, NTSC 소재와 같이 1501 클록의 표시간격 또는 PAL 소재와 같이 1800 클록의 프레임 간격을 갖는다.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D 화상의 해상도는 HD 화상의 해상도의 약 1/4 정도이므로, HD 화상인 Primary Video와 SD 화상인 Secondary Video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면, Secondary Video는 Primary Video에 대하여 약 1/4 정도의 크기가 된다. 도 36(b)은 Secondary Video가 어떻게 확대?축소되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Secondary Video의 확대?축소는 Scalling Factor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이 Scalling Factor는 세로 1/4배, 세로 1/2배, 세로 1.5배, 세로 2배라는 배율로 주어진다. 재생장치는 이 Scalling Factor에 따라서 Secondary Video를 종 방향으로 확대?축소를 행한다. 또, 횡 방향에 대해서도 SD 화상의 원래의 애스펙트 비를 유지하도록 확대?축소를 행한다.
*이렇게 한 확대?축소에 의해 PiP 재생을 행할 때의 Secondary Video의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PiP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경우의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BD-ROM에 기록된 AVClip은 상술한 Primary Video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Primary Video는 사이즈가 크므로, 대용량 미디어에 의한 반포가 최적하다는 이유에 의한다. 한편, Secondary Video를 구성하는 SubClip이나 Primary Video나 Secondary Video와의 동기를 규정하는 PlayList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재생장치로 전송되고, 로컬 기억장치에 기록된다.
<로컬 기억장치(200)의 구성 : 1. 파일 구성>
도 37은 제 2 실시 예에 관한 로컬 기억장치의 기록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은 도 11과 동일한 표기로 로컬 기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도면이 도 11과 다른 것은 로컬 기억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SubClip(00002.m2ts)이 Secondary Video 스트림이고, Clip 정보(00002.clpi)는 이 Secondary Video 스트림에 대한 EP_map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로컬 기억장치(200)의 구성 : 2. Clip 정보>
도 38은 제 2 실시 예에서 로컬 기억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Clip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Clip 정보는 Secondary Video 스트림에 대한 Clip 정보이다. 도면 중의 인출 선 cu 2, cu 3, cu 4, cu 5는 이 Clip 정보에서의 EP_map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이들 인출 선에 나타내는 EP_map은 도 8에 나타낸 것과 동일 구성이고, Secondary Video에 대한 EP_map은 Secondary Video 스트림을 구성하는 개개의 액세스 유닛(GOP)의 선두를 엔트리 위치로 하여, 엔트리 시각과 대응하여 나타내고 있다. Secondary Video라고는 해도 이 EP_map은 동화상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엔트리 시각끼리의 시간간격은 1초 미만이고, EP_stream_type은 도 8과 같이 "1 : Video Type"으로 설정되어 있다.
인출 선 ct 1, ct 2는 Clip Info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Clip Info의 내부 구성에서 Application Type은 Clip 정보에 대응하는 SubClip이 "영상 부가의 추가 콘텐츠(TS for additional content with video)"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9는 Secondary Video 스트림에 대하여 설정된 EP_map을 도 9와 동일한 표기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이 제 2 실시 예에 관한 Clip 정보에 대한 설명이다.
<로컬 기억장치의 구성 : 3. PlayList 정보>
이어서 제 2 실시 예에 관한 PlayList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PiP 재생에는 정적인 동기에 의해 구성되는 것과 동적인 동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있다. 조금 전 서술한 바와 같은 영화작품 본편인 Primary Video와 코멘터리 영상인 Secondary Video로 이루어지는 PiP 재생 애플리케이션은 전자의 정적인 PiP 재생에 의해 구성된다.
<PlayList 정보의 상세 : 1. 정적 PiP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요소>
도 40은 정적인 PiP 재생을 정의하는 PlayList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적인 동기에 의한 PiP 재생을 정의하는 PlayList 정보는 그 내부에 복수의 SubPath 정보를 정의할 수 있고(Multi-SubPath), 또 개개의 SubPath 정보 내에 복수의 SubPlayItem 정보(Multi-SubPlayItem)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의 SubPlayItem 정보에는 PiP_Position, PiP_Size라는 정보요소가 신규로 추가되고, 각 정보요소는 이하와 같이 설정된다.
SubPlayItem 정보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는 Primary Video인 AVClip의 파일명을 기술할 수 있다.
"Sub_PlayItem_In_time"은 Secondary Video인 SubClip의 시간 축 중 Sub PlayItem의 개시시점이 되는 재생시점을 나타낸다.
"Sub_PlayItem_Out_time"은 Secondary Video인 SubClip의 시간 축 중 Sub PlayItem의 종료시점이 되는 재생시점을 나타낸다.
"Sync_PlayItem_Id"에는 Primary Video인 AVClip에 대하여 정의되어 있는 PlayItem의 식별자가 기술된다.
"Sync_Start_Pts_of_PlayItem"은 시간정보이고, Sync_PlayItem_Id에 의해 지정된 PlayItem의 재생시에서 PlayItem 재생개시로부터 몇 초 경과 한 후에 SubPlayItem 정보에 의해 규정된 재생구간(SubPlayItem)의 재생을 개시하는가를 나타낸다.
"PiP_Position"은 Primary Video 재생을 위한 화면 플레인 상의 X 좌표, Y 좌표를 사용하여 Secondary Video의 재생 영상이 배치되어야할 위치를 나타낸다.
"PiP_Size"는 Secondary Video 재생 영상의 세로 사이즈, 가로 사이즈를 나타낸다.
<PlayList 정보의 상세 : 2. 정적 PiP에서의 동기>
도 41은 PlayList 정보에 의해 Primary Video인 MainClip과 Secondary Video인 SubClip과의 동기가 어떻게 정의되는가를 도 25, 도 26과 동일한 표기로 나타낸 도면이다.
Secondary Video인 SubClip에는 EP_map이 설치되어 있고, 1초 미만이라는 시간 정밀도로 고속의 랜덤 액세스를 행할 수 있음이 보증되어 있다. 랜덤 액세스가 고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하여, PlayList 정보에 의해 Primary Video인 MainClip과 Secondary Video인 SubClip과의 동기가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 Secondary Video인 SubClip에 EP_map을 설치해 두는 것의 기술적 의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Secondary Video인 SubClip에 EP_map을 설치해 두는 것은 Primary Video가 특수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 Secondary Video에 대해서도 동일한 특수 재생을 행하기 때문이다. PiP 재생에서 Primary Video를 특수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Secondary Video를 어떻게 취급할 것인가가 문제가 된다. 여기서 Primary Video 측을 빨리 감기?되감기 한 경우, Primary Video의 재생에 상관없이 Secondary Video 측은 통상 재생을 계속한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Primary Video 측의 디코더와 Secondary Video 측의 디코더를 재생장치에 설치하여, 이들을 각각의 시스템 타임 클록(STC)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필요해진다. 가전기기를 전제로 한 플레이어 모델에서 STC를 2개 설치하는 것은 먼저 불가능하다.
Primary Video 측의 빨리 감기?되감기에 따라 Secondary Video도 마찬가지로 빨리 감기?되감기를 하는 동기처리의 실현이 현실적이므로, SubClip에 EP_map을 설치하고, Primary Video에 대하여 빨리 감기?되감기를 행할 때 Secondary Video에 대해서도 빨리 감기?되감기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이 정적인 동기를 전제로 한 PlayList 정보에 대한 설명이다.
<PlayList 정보의 상세 : 3. 동적인 동기에 의한 PiP 재생>
이어서 동적인 동기를 전제로 한 PlayList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적인 동기란 Secondary Video 스트림(SubClip)에 대응하는 SubPlayItem의 재생을 Primary Video 스트림(MainClip)에 대응하는 PlayItem의 시간 축 상의 어느 시점에서 개시시키는가가 사용자 조작에 의해 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제작자가 구상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는 이하와 같은 것이다. 도 42(a) ~ (c)는 동적인 동기를 전제로 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애플리케이션 중 Primary Video의 영상내용은 도 42(a)와 같은 것이다. 도 42(a)에 나타낸 개개의 버튼은 동화상의 섬네일(thumbnail)의 도안을 갖는 버튼(섬네일 버튼)이고, 노말 상태, 셀렉티드 상태, 액티브 상태라는 3개의 상태를 갖는다. 그리고 이들 섬네일 버튼 중 어느 것인가가 셀렉티드 상태가 되었을 때(도 42(b)), 이 셀렉티드 상태가 된 섬네일 대신에 Secondary Video의 재생 영상을 넣어 재생시키고 싶다(도 42(c))는 구상을 제작자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본 예의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재생시의 사용자에 의해 Secondary Video 재생의 개시시점이 변화하는 것이 "동적인 동기"이다. 그리고 이 도 42(b)의 일례에서 어느 하나의 섬네일을 셀렉티드 상태로 하는 조작(이 경우, 버튼의 선택 조작이 된다)을 록 조작(lock operation)이라고 한다.
동적인 동기에서 어떤 섬네일에 대응하는 Secondary Video를 재생시키는가는 재생시까지 모르며, 또 Primary Video의 재생시에서 Secondary Video의 동기 시점을 동적으로 정할 필요가 있다.
<PlayList 정보의 상세 : 4. 동적 PiP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요소>
도 43은 동적인 동기를 전제로 한 PiP 재생을 정의하는 PlayList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적 동기에 의한 PiP 재생을 정의하는 PlayList 정보는 그 내부에 복수의 SubPath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Multi-SubPath). 그러나 개개의 SubPath 정보 내에는 하나의 SubPlayItem 정보밖에 정의할 수 없다(Single-SubPlayItem).
본 도면에서의 SubPlayItem 정보에는 도 40과 같이 PiP_Position, PiP_Size라는 정보요소를 갖는다. 이 중 SubPlayItem 정보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 SubPlayItem_In_time, SubPlayItem_Out_time, Sync_PlayItem_Id, PiP_Position, PiP_Size에 대한 설정은 도 40과 동일하다. 다른 점은 Sync_Start_Pts_of_PlayItem의 설정이다.
"Sync_Start_Pts_of_PlayItem"은 부정 값(undefined value)이 설정되어 있다. 이 부정 값은 Sync_PlayItem_Id에 의해 지정된 PlayItem의 시간 축에서 사용자에 의해 록 조작이 이루어진 시점을 Sync_PlayItem_Id에 의해 지정된 PlayItem과의 동기 시점으로 정한다는 취지를 나타낸다.
이 도 43의 PlayList 정보를 재생장치가 참조하였을 때 섬네일 버튼이 셀렉티드 상태가 되고, 자동으로 액티브 상태가 된 시점에서의 재생경과시를 록 조작의 시점으로 하여 Sync_Start_PTS_of_PlayItem에 기록하는 재생장치가 동작하면, 섬네일이 액티브 상태가 된 시점으로부터 Secondary Video의 재생은 개시되게 된다. 이 순서는 섬네일 버튼의 선택?자동 확정시만을 행해야할 순서, 즉 섬네일 버튼에 특화한 것이므로, 섬네일 버튼의 고유의 제어를 규정하는 내비게이션 커맨드를 사용하여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동적 동기에 의한 PiP 재생을 실현하는 PlayList 정보의 내부 구성이다. 이상으로 본 실시 예에 관한 기록매체의 개량에 대한 설명을 마친다.
<재생장치의 구성 : 1. 전체 구성>
이어서 본 실시 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개량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4는 제 2 실시 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은 지면 상의 사정으로 오디오 디코더에 관한 구성요소를 생략하고 있다.
본 도면은 도 29에 나타낸 재생장치의 구성도를 베이스로 하고 있고, 공통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렇게 한 공통의 구성요소 중 트랜스 포트 버퍼(5), 멀티플렉스드 버퍼(6), 코디드 픽쳐 버퍼(7), 비디오 디코더(8), 디코디드 픽쳐 버퍼(10), Primary Video 플레인(11), 제 2 실시 예에서 Primary Video 스트림의 디코드를 행하는 역할을 달성한다.
한편, Secondary Video 스트림의 디코드를 행할 수 있도록, 도 44에 관한 재생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에는 트랜스 버퍼(51), 멀티플렉스드 버퍼(52), 코디드 픽쳐 버퍼(53), 비디오 디코더(54), 디코드 픽쳐 버퍼(55), Secondary Video 플레인(56), 스케일러(scaler, 57), 합성부(58)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신규로 추가된 이들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재생장치(300)의 구성 : 2. 하드웨어 구성에 추가된 구성요소>
트랜스 포트 버퍼(TB, 51)는 Secondary Video 스트림(SubClip)에 귀속하는 TS 패킷이 PID 필터(35)로부터 출력되었을 때 일단 축적되는 버퍼이다.
멀티플렉스드 버퍼(MB, 52)는 트랜스 포트 버퍼(51)로부터 코디드 픽쳐 버퍼(53)에 Secondary Video 스트림을 출력할 때 일단 PES 패킷을 축적해 두기 위한 버퍼이다.
코디드 픽쳐 버퍼(CPB, 53)는 부호화 상태에 있는 픽쳐(I 픽쳐, B 픽쳐, P 픽쳐)가 저장되는 버퍼이다.
비디오 디코더(54)는 Secondary Video 스트림의 개개의 프레임 화상을 소정의 복호 시각(DTS)별로 디코드함으로써 복수 프레임 화상을 얻어서, 디코드 픽쳐 버퍼(55)에 기록한다.
디코드 픽쳐 버퍼(55)는 복호 된 픽쳐가 기록되는 버퍼이다.
Secondary Video 플레인(56)은 Secondary Video를 디코드함으로써 얻어지는 재생 영상을 저장한다.
스케일러(57)는 SubPlayItem 정보의 PiP_Size에 표시되는 세로?가로의 크기에 의거하여 Secondary Video 플레인(56) 상에 얻어진 재생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한다.
합성부(58)는 스케일러(57)에 의해 이루어진 확대 또는 축소된 재생 영상과 비디오 디코더에 의해 얻어진 재생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PiP 재생을 실현한다. 합성부(58)에 의한 Primary Video의 재생 영상과 Secondary Video의 재생 영상의 합성은 SubPlayItem 정보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PiP_Position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Primary Video의 재생 영상과 Secondary Video의 재생 영상이 합성된 합성 영상이 재생되게 된다. 이 합성부(58)에 의한 합성에서는 크로마키 합성(chroma-key composition), 레이어 합성 등을 할 수 있고, Secondary Video에서의 배경을 제거하고, 인물 부분을 발췌한 후에 Primary Video의 재생 영상에 합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구성요소가 추가되었으므로, 제 2 실시 예에서 PID 필터(35)는 Secondary Video 스트림을 구성하는 TS 패킷을 트랜스 포트 버퍼(51) ~ Secondary Video 플레인(56)에 공급한다. 이상이 재생장치에서의 하드웨어 구성요소이다.
<재생장치(300)의 구성 : 2. 제어부(45)에 추가된 구성요소>
제어부(45)에는 기능적인 구성요소로 Sync 설정부(50)가 설정되어 있다.
Sync 설정부(50)는 SubPlayItem 정보에서의 Sync_Start_PTS_of_PlayItem이 부정 값인가 여부를 판정하여, 부정 값인 경우, MainClip 중 PlayItem 정보로 지정된 재생구간만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동기 구간의 개시 점을 정하는 조작(록 조작)을 접수한다. 이 접수는 리모컨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록 조작을 접수하면 록 조작의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SubPlayItem 정보의 Sync_Start_PTS_of_PlayItem에서의 부정 값을 덮어쓰기 한다. 여기에서 록 조작이 MainClip의 재생 영상 상에 나타난 어느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는 조작으로 실현되는 경우, 당해 버튼의 선택조작이 이루어진 시점을 록 조작의 시점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Sync_Start_PTS_of_PlayItem이 설정되면 Primary Video에 대하여 설정된 PlayItem과 Secondary Video에 대하여 설정된 SubPlayItem을 재생하도록 PL 재생 제어부(48)가 재생제어를 행함으로써, 동적인 동기에 의한 PiP 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물론, Sync_Start_PTS_of_PlayItem으로 시간정보가 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Primary Video에 대하여 설정된 PlayItem과 Secondary Video에 대하여 설정된 SubPlayItem을 재생하도록 PL 재생 제어부(48)가 재생제어를 행함으로써, 정적인 동기에 의한 PiP 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재생장치의 구성 : 2. 소프트웨어 실장>
이상이 제 2 실시 예에 관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소프트웨어 실장에서의 제 2 실시 예의 개량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5는 PlayItem 시간 축 상의 임의의 좌표로부터의 점프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플로차트는 도 30의 플로차트를 베이스로 하여 작성되어 있다. 본 도면은 스텝 S 4 ~ 스텝 S 8이 스텝 S 31 ~ S 35로 치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0과 동일하다. 스텝 S 31에서 SubClip의 EP_map에서의 EP_stream_type이 Video Type인가 여부를 판정한다. SubClip의 EP_map에서의 EP_stream_type이 Video Type : 1이면(스텝 S 31에서 yes), PlayItem 시간 축에서의 Offset α를 SubPlayItem 시간 축에서의 Offset β(= Offset α - Sync_Start_Pts_of_PlayItem)로 변환하고(스텝 s 32), Offset β를 SubClip 시간 축 상의 좌표(SubPlayItem_In_time + Offset β)로 변환한다(스텝 S 33). 그리고 EP_map을 사용하여 SubPlayItem_In_time + Offset β를 Secondary Video인 SubClip의 GOP의 어드레스 β로 변환하고(스텝 S 34), BD-ROM에서의 어드레스 α로부터의 Primary Video의 GOP의 판독과 로컬 기억장치(200)에서의 어드레스 β로부터의 Secondary Video의 GOP의 판독을 동시에 실행한다(스텝 S 35).
스텝 S 31에서 SubClip의 EP_map에서의 EP_stream_type이 Video Type : 1이 아니면 도 30의 스텝 S 4 ~ 스텝 S 8을 실행한다.
도 46은 MainClip에 대한 랜덤 액세스와 SubClip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도 31과 동일한 표기로 묘사한 도면이다. Secondary Video인 SubClip에는 1초 미만의 시간간격으로 엔트리 위치가 지정되어 있고, 이를 사용하여 SubClip에 대한 랜덤 액세스가 행해진다. SubClip에 대한 랜덤 액세스가 MainClip에 대한 랜덤 액세스와 동일한 정도의 처리속도를 가지고 행해지므로, MainClip에 대하여 점프 재생을 행하여 그와 함께 SubClip에 대해서도 점프 재생을 행하는 점프 재생의 동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HD 화상인 Primary Video에 SD 화상인 Secondary Video를 조합시켜서 재생에 제공하는 PiP 재생에서도 랜덤 액세스의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고, 이 고속화를 전제로 하여 PiP 재생을 특수 재생으로 재생해 갈 수 있게 된다.
(비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행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하기(A)(B)(C)(D) … 의 변경을 한 실시행위의 형태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는 가능해진다. 본원의 청구항에 관한 각 발명은 이상에 기재한 복수의 실시 예 및 그들의 변형형태를 확장한 기재 내지 일반화한 기재로 하고 있다. 확장 내지 일반화의 정도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출원 당시의 기술수준의 특성에 의거한다.
(A) 각 실시 예에 나타낸 플로차트나 기능적인 구성요소에 의한 정보처리는 하드웨어 자원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으므로,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이라 할 수 있고, "프로그램의 발명"으로서의 성립요건을 만족한다.
?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의 생산형태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은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할 수 있다. 먼저, 처음에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각 플로차트나 기능적인 구성요소를 실현하는 소스 프로그램을 기술한다. 이 기술 시에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문에 따라서, 클래스 구조체나 변수, 배열변수, 외부함수의 콜(call)을 사용하여, 각 플로차트나 기능적인 구성요소를 구현하는 소스 프로그램을 기술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로차트에서의 반복처리는 상기 구문에 규정된 for문 등을 사용하여 기술한다. 판정처리는 상기 구문에 규정된 if문, swith 문 등을 사용하여 기술한다. 디코더에 대한 재생제어나 드라이브 장치의 액세스 제어 등, 하드웨어에 대한 제어는 하드웨어의 제조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외부함수를 호출함으로써 기술한다.
기술된 소스 프로그램은 파일로 컴파일러에 주어진다. 컴파일러는 이들 소스 프로그램을 번역하여 오브젝트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컴파일러에 의한 번역은 구문 해석, 최적화, 자원 할당, 코드 생성이라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구문 해석에서는 소스 프로그램의 문자와 어구 해석, 구문 해석 및 의미 해석을 행하고, 소스 프로그램을 중간 프로그램으로 변환한다. 최적화에서는 중간 프로그램에 대하여 기본 블록화, 제어 흐름 해석, 데이터 흐름 해석이라는 작업을 행한다. 자원 할당에서는 타깃이 되는 프로세서의 명령 세트로의 적합을 도모하기 위해, 중간 프로그램 중의 변수를 타깃이 되는 프로세서의 프로세서가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 또는 메모리에 할당한다. 코드 생성에서는 중간 프로그램 내의 각 중간 명령을 프로그램 코드로 변환하여 오브젝트 프로그램을 얻는다.
여기서 생성된 오브젝트 프로그램은 각 실시 예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각 스텝이나 기능적 구성요소의 개개의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코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의 네이티브 코드, JAVA(등록상표) 바이트 코드와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다. 프로그램 코드에 의한 각 스텝의 실현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외부함수를 이용하여 각 스텝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 이 외부함수를 콜하는 콜 문이 프로그램 코드가 된다. 또, 하나의 스텝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각각의 오브젝트 프로그램에 귀속하는 것도 있다. 명령종류가 제한되어 있는 RISC 프로세서에서는 산술연산명령이나 이론연산명령, 분기명령 등을 조합시킴으로써 플로차트의 각 스텝을 실현해도 된다.
오브젝트 프로그램이 생성되면 프로그래머는 이들에 대하여 링커를 기동한다. 링커는 이들 오브젝트 프로그램이나 관련되는 라이브러리 프로그램을 메모리 공간에 할당하고, 이들을 하나로 결합하여 로드 모듈을 생성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되는 로드 모듈은 컴퓨터에 의한 판독을 전제로 한 것이고, 각 플로차트에 나타낸 처리순서나 기능적인 구성요소의 처리순서를 컴퓨터에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처리를 거쳐서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다.
(B)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은 이하와 같이 하여 사용할 수 있다.
(i) 내장 프로그램으로서의 사용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을 내장 프로그램으로 사용하는 경우,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로드 모듈을 기본 입출력 프로그램(BIOS)이나 다양한 미들웨어(오퍼레이션 시스템)와 함께 명령 ROM에 기록한다. 이렇게 한 명령 ROM을 제어부에 내장하고, CPU에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을 재생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으로 사용할 수 있다.
(ii) 애플리케이션으로서의 사용
재생장치가 하드 디스크 내장 모듈인 경우는 기본 입출력 프로그램(BIOS)이 명령 ROM에 내장되어 있고, 다양한 미들웨어(오퍼레이션 시스템)가 하드 디스크에 프리인스톨(pre install)되어 있다. 또, 하드 디스크부터 시스템을 기동하기 위한 부트 ROM이 재생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로드 모듈만을 휴대형 기록매체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재생장치에 공급하고,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하드 디스크에 인스톨 한다. 그렇게 하면 재생장치는 부트 ROM에 의한 부트 스트랩을 행하고, 오퍼레이션 시스템을 기동한 후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CPU에 실행하게 하여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하드 디스크 모듈의 재생장치에서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을 단일체로 양도하거나 대여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C) 본 발명에 관한 시스템 LSI의 생산?사용행위
시스템 LSI란 고밀도 기판상에 베어 칩을 실장하고, 패키징한 것을 말한다. 복수 개의 베어 칩을 고밀도 기판상에 실장하고, 패키징함으로써 마치 하나의 LSI와 같은 외형 구조를 복수 개의 베어 칩에 갖게 한 것도 시스템 LSI에 포함된다(이와 같은 시스템 LSI는 멀티 칩 모듈이라고 불린다).
여기서 패키지의 종별에 착안하면 시스템 LSI에는 QFP(quad flat package), PGA(Pin Grid Array)라는 종별이 있다. QFP는 패키지의 네 측면에 핀이 부착된 시스템 LSI이다. PGA는 바닥면 전체에 많은 핀이 부착된 시스템 LSI이다.
이들 핀은 드라이브 장치와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리모컨 장치와의 입력 인터페이스, 텔레비전과의 인터페이스, 그 외에 IEEEE1394 인터페이스나 PCI 버스와의 인터페이스로서의 역할을 포함하고 있다. 시스템 LSI에서의 핀에는 이렇게 한 인터페이스 역할이 존재하므로, 시스템 LSI에서의 이들 핀에 드라이브 장치 등이나 재생장치의 각종 회로를 접속함으로써 시스템 LSI는 재생장치의 중핵으로서의 역할을 달성한다.
시스템 LSI에 패키징 되는 베어 칩이란 각 실시 예에서 내부 구성도로 나타낸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구현하는 명령 ROM이나 CPU, 디코더 LSI 등이다.
먼저, "내장 프로그램으로서의 사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명령 ROM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로드 모듈이나 기본 입출력 프로그램(BIOS), 다양한 미들웨어(오퍼레이션 시스템)가 기록된다. 본 실시 예에서 특별히 창작한 것은 이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로드 모듈의 부분이므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로드 모듈을 저장한 명령 ROM을 베어 칩으로 패키징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시스템 LSI은 생산할 수 있다.
생산순서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먼저, 각 실시 예에 나타낸 구성도를 기초로 시스템 LSI로 해야할 부분의 회로도를 작성하고, 회로소자나 IC, LSI를 사용하여 구성도에서의 구성요소를 구현한다.
그렇게 하여 각 구성요소를 구현해 가면 회로소자나 IC, LSI 사이를 접속하는 버스나 그 주변회로, 외부와의 인터페이스 등을 규정한다. 또한, 접속선, 전원 라인, 그라운드 라인, 클록 신호 선 등도 규정해 간다. 이 규정시에 LSI의 스펙을 고려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 타이밍을 조장하거나,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밴드 폭을 보증하는 등의 조정을 가하면서 회로도를 완성하여 간다.
회로도가 완성되면 실장설계를 행한다. 실장설계란 회로설계에 의해서 작성된 회로도 상의 부품(회로소자나 IC, LSI)을 기판상의 어디에 배치할지 혹은 회로도 상의 접속 선을 기판상에 어떻게 배선할지를 결정하는 기판 레이아웃의 작성작업이다.
여기서 실장설계는 자동배치와 자동배선으로 이루어진다.
CAD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이 자동배치는 "중심 법(centroid method)"이라고 불리는 전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자동배선은 회로도 상의 부품의 핀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선을 금속 박이나 비어(via)를 사용하여 규정한다. CAD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이 배선처리는 "메즈 법(maze routing algorithm)" , "라인 서치법"이라 불리는 전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실장설계가 행해지고, 기판상의 레이아웃이 확정되면 실장설계 결과를 CAD 데이터로 변환하여, NC 공작기계 등의 설비에 출력한다. NC 공작기계는 이 CAM 데이터를 기초로 SoC 실장이나 SiP 실장을 행한다. SoC(System on chip) 실장이란 1 칩 상에 복수의 회로를 집적하는 기술이다. SiP(System in Package) 실장이란 복수 칩을 수지 등으로 하나의 패키지로 하는 기술이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서 본 발명에 관한 시스템 LSI는 각 실시 예에 나타낸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기초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술과 같이 하여 생성되는 집적회로는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LSI, 수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각 재생장치의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나의 칩으로 하여 구성해도 된다. 집적회로 화는 상술한 SoC 실장, SiP 실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스로 실현해도 된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할 수 있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재구성 프로세서(re-configurable processor)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기술에 의해 LSI로 치환되는 집적회로 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사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회로 화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 있을 수 있다.
(D) 모든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를 하드 디스크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기록되는 EP_map이나 EP_stream_type에 특징이 있고, 이 특징은 하드 디스크의 물리적 성질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EP_map이나 EP_stream_type을 기록하여 BD-ROM과 함께 사용되는 기록매체라면 어떠한 기록매체라도 된다. 예를 들어, 콤팩트 플래시(등록상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 미디어 카드, PCM-CIA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카드라도 된다. 플렉시블 디스크, SuperDisk, Zip, Clik! 등의 자기기록 디스크(i), ORB, Jaz, SparQ, SyJet, EZFley, 마이크로 드라이브 등의 이동 가능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ii)라도 된다.
(E) 각 실시 예에서의 디지털 스트림은 BD-ROM 규격의 AVClip이었으나, DVD-Video 규격, DVD-Video Recording 규격의 VOB(VideoObject)라도 된다. VOB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얻어진 ISO/IEC13818-1 규격 준거의 프로그램 스트림이다. 또, AVClip에서의 비디오 스트림은 MPEG4나 WMV 방식이라도 된다. 또, 오디오 스트림은 Linear-PCM 방식, Dolby-AC3 방식, MP3 방식, MPEG-AAC 방식, dts 방식이라도 된다.
(F) 각 실시 예에서는 MPEG4-AVC(H.264나 JVT라고도 불린다)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MPEG2 비디오 스트림이라도 되며, 또, 그 외의 형식(VC-1 등)의 화상의 경우라도 단독으로 디코드할 수 있는 화상이면 용이하게 응용할 수 있다.
(G) Sync 설정부(50)에 의해 Sync_Start_PTS_of_PlayItem이 설정된 경우, Sync 설정부(50)는 도 47(a) ~ (c)와 같은 재생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7(a)은 동적 동기에 의한 PiP 재생을 실현하는 경우의 재생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PlayItem 시간 축의 임의의 일시점을 SubPlayItem의 동기 시점으로 정한다. 따라서 현재의 재생시점이 Sync_Start_PTS_of_PlayItem에 규정된 시점에 도달하면, Secondary Video의 디코드를 개시하여 Secondary Video의 재생 영상을 Primary Video의 재생 영상에 합성시킨다.
도 47(b)은 통상 재생에 의한 록 점의 통과 → 되감기에 의한 록 점의 통과 → 통상 재생에 의한 록 점의 통과가 이루어져서, 록 점의 왕래가 발생한 경우, 동적인 동기에 의한 PiP 재생이 어떻게 행해지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현재의 재생시점이 록 점을 통과한 후 사용자가 되감기를 행하고, 록 점 전까지 되돌아가서 다시 록 점을 통과한 경우의 동적 동기에 의한 PiP 재생을 나타내고 있다.
록 점의 통과에 의해 PiP 재생을 개시하나, 되감기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PiP 재생을 그만둔다. 이후, 통상 재생이 이루어지고, 다시 록 점을 통과한 후에도 PiP 재생은 행하지 않는다.
도 47(c)은 Primary Video의 재생구간의 말미보다 Secondary Video의 재생구간이 뒤인 경우의 PiP 재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Secondary Video의 재생이 종료되기까지 Primary Video의 마지막의 픽쳐의 표시를 계속하면 된다. Primary Video의 재생이 종료된 시점에서 Secondary Video의 재생을 종료해도 된다.
(H) PiP 재생에서의 Secondary Video의 재생위치를 세밀한 시간간격으로 변화시키지않는 경우, 많은 시간정보나 위치정보를 PlayList 정보에 정의해 둘 필요가 있다. 이 경우, PlayList 정보에 BD-ROM 규격에 규정된 User Private 정보나 복수의 PLMark 정보를 설치하고, 이들 정보에 PiP_Position이나 PiP_Size를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케일러(57)나 합성부(58)는 이들 User Private 정보나 복수의 PLMark 정보에 의거하여 확대?축소처리나 합성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 PlayList 정보의 MainPath 정보에 의해 지정된 MainClip인 Primary Video와 PlayList 정보의 SubPlayItem 정보에 의해 지정된 SubClip인 Secondary Video를 하나의 화면이 아니라, 각각의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Primary Video를 SD 화상으로 구성하고, Secondary Video를 HD 화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J) 제 2 실시 예에서 Primary Video인 MainClip은 BD-ROM에 의해 공급되고, Secondary Video인 SubClip은 로컬 기억장치(200)에 의해 공급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Secondary Video인 SubClip은 BD-ROM에 기록되고, Primary Video인 MainClip과 함께 재생장치에 공급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Secondary Video 스트림과 Primary Video 스트림은 하나의 AVClip에 다중화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는 홈시어터 시스템에서의 이용과 같이 개인적인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내부 구성이 개시되 어 있고, 이 내부 구성에 의거하여 양산하는 것이 명백하므로,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는 공업제품의 생산분야에서 생산하고, 또는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는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 BD 드라이브
2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Arrival time Clock Counter)
3 소스 디패킷타이저(Source de-packetizer)
4 PID 필터(PID Filter)
5 트랜스 포트 버퍼(Transport Buffer)
6 멀티플렉스드 버퍼(Multiplexed Buffer)
7 코디드 픽쳐 버퍼(Coded Picture Buffer)
8 비디오 디코더
10 디코디드 픽쳐 버퍼(Decoded Picture Buffer)
11 비디오 플레인
12 트랜스 포트 버퍼(Transport Buffer)
13 코디드 데이터 버퍼(Coded Data Buffer)
14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Stream Graphics Processor)
15 오브젝트 버퍼(Object Buffer)
16 콤포지션 버퍼(Composition Buffer)
17 콤포지션 컨트롤러(Composition Controller)
18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Presentation Graphics plane)
19 CLUT부
20 트랜스 포트 버퍼(Transport Buffer)
21 코디드 데이터 버퍼(Coded Data Buffer)
22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Stream Graphics Processor)
23 오브젝트 버퍼(Object Buffer)
24 콤포지션 버퍼(Composition Buffer)
25 콤포지션 컨트롤러(Composition Controller)
26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Interactive Graphics plane)
27 CLUT부 28 합성부
29 합성부 30 스위치
31 네트워크장치(Network Device) 32 스위치
33 어라이벌 타임 클록 카운터(Arrival Time Clock Counter)
34 소스 디패킷타이저(Source De-Packetizer)
35 PID 필터 36 스위치
37 트랜스 포트 버퍼(Transport Buffer)
38 엘리멘터리 버퍼(Elementary Buffer)
39 오디오 디코더
40 트랜스 포트 버퍼(Transport Buffer)
41 버퍼 42 오디오 디코더
43 믹서 44 시나리오 메모리
45 제어부 46 메인 변환부
47 서브 변환부 48 PL 재생 제어부
49 PSR 세트

Claims (7)

  1. 주(主)가 되는 재생구간이 정의된 메인 스트림과 종(從)이 되는 재생구간이 정의된 서브 스트림에 대하여 재생을 실행하는 재생장치로,
    재생을 개시해야할 재생시점은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 정의되어 있고,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을 메인 스트림의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제 1 변환수단과,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을 종이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으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재생시점을 서브 스트림의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제 2 변환수단과,
    제 1 변환수단 및 제 2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어드레스로부터 메인 스트림 및 서브 스트림을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판독된 메인 스트림 및 서브 스트림을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구비하고,
    주가 되는 재생구간 및 종이 되는 재생구간은 플레이리스트 정보에 정의되어 있으며,
    플레이리스트 정보는 동기 정보를 포함하고, 동기 정보는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 중 종이 되는 재생구간을 동기시켜야 할 동기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며,
    서브 스트림에는 엔트리 맵이 대응되어 있고,
    제 2 변환수단은,
    플레이리스트 정보에서의 동기 정보를 사용하여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을 종이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으로 변환하고,
    서브 스트림에 대응된 엔트리 맵을 사용하여 변환 후의 재생시점을 서브 스트림의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상기 메인 스트림은 제 1 동화상을 구성하는 것이고,
    상기 서브 스트림은 제 2 동화상을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플레이리스트 정보에 따라서 복수의 디지털 스트림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동기시점에서 제 1 동화상의 재생 영상과 제 2 동화상의 재생 영상이 동일한 화면 내에서 픽처 인 픽처 재생되고,
    상기 플레이리스트 정보와 상기 서브 스트림과 상기 엔트리 맵은 상기 서브 스트림을 배급하는 조직 명과 상기 서브 스트림이 동기하여 재생되는 메인 스트림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특정하는 식별자에 의해 고유하게 지정되는 디렉터리에 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엔트리 맵에서 나타내는 엔트리 위치에는 서브 스트림에서의 완결된 데이터 집합의 선두를 나타내는 것과 나타내지 않는 것이 있으며,
    엔트리 맵은 타입 플래그를 포함하고, 타입 플래그가 엔트리 맵에서 나타내는 엔트리 위치가 서브 스트림에서의 완결된 데이터 집합의 선두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제 2 변환수단은,
    완결된 데이터 집합의 개시점이 되는 엔트리 위치 중 재생이 명해진 시점에 가장 가까운 엔트리 시각과 대응되어 있는 것을 재생시점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제 1 오디오 디코더와 제 2 오디오 디코더 및 믹서를 구비하고,
    서브 스트림에는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과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이 있고,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은 재생장치에서의 제 1 오디오 디코더에 공급되는 오디오 스트림이며,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은 재생장치에서의 제 2 오디오 디코더에 공급되는 오디오 스트림이고,
    서브 패스 정보는 서브 패스 정보에서 정의되는 종이 되는 재생구간이 프라이머리 오디오의 재생구간 또는 세컨더리 오디오의 재생구간인지를 나타내는 경로타입정보를 포함하며,
    프라이머리 오디오의 재생구간은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정의되는 재생구간으로서, 메인 패스 정보에 의해 사용되는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의 추가 또는 대체가 되는 재생구간이며,
    세컨더리 오디오의 재생구간은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정의되는 재생구간으로서, 그 재생출력이 믹서에 공급되고,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출력과의 믹싱 출력에 의해 재생되는 재생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그래픽스 디코더와 비디오 디코더를 구비하고,
    서브 스트림에는 프리젠테이션 그래픽스 스트림과 인터렉티브 그래픽스 스트림이 있고,
    서브 패스 정보는 서브 패스 정보에서 정의되는 종이 되는 재생구간이 프리젠테이션 그래픽스의 재생구간 또는 인터렉티브 그래픽스의 재생구간인지를 나타내는 경로타입정보를 포함하고,
    프리젠테이션 그래픽스의 재생구간은 서브 스트림인 프리젠테이션 그래픽스 스트림에 대하여 정의되는 재생구간으로서, 메인 패스 정보에 의해 사용되는 프리젠테이션 그래픽스 스트림의 추가 또는 대체가 되는 재생구간이며,
    인터렉티브 그래픽스의 재생구간은 서브 스트림인 인터렉티브 그래픽스 스트림에 대하여 정의되는 재생구간으로서, 메인 패스 정보에 의해 사용되는 인터렉티브 그래픽스 스트림의 추가 또는 대체가 되는 재생구간이고,
    상기 서브 스트림은 그래픽스 디코더에서 디코드 되고,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드 된 메인 스트림과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5. 삭제
  6. 주가 되는 재생구간이 정의된 메인 스트림과 종이 되는 재생구간이 정의된 서브 스트림에 대하여 재생을 실행하는 재생방법으로,
    재생을 개시해야 할 재생시점은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 정의되어 있고,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을 메인 스트림의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제 1 변환 스텝과,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을 종이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으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재생시점을 서브 스트림의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제 2 변환 스텝과,
    제 1 변환 스텝 및 제 2 변환 스텝에 의해 변환된 어드레스로부터 메인 스트림 및 서브 스트림을 판독하는 판독 스텝과,
    판독된 메인 스트림 및 서브 스트림을 재생하는 재생스텝을 가지며,
    주가 되는 재생구간 및 종이 되는 재생구간은 플레이리스트 정보에 정의되어 있고,
    플레이리스트 정보는 동기 정보를 포함하며, 동기 정보는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 중 종이 되는 재생구간을 동기시켜야 할 동기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서브 스트림에는 엔트리 맵이 대응되어 있으며,
    제 2 변환 스텝은,
    플레이리스트 정보에서의 동기 정보를 사용하여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을 종이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재생시점으로 변환하고,
    서브 스트림에 대응된 엔트리 맵을 사용하여 변환 후의 재생시점을 서브 스트림의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상기 메인 스트림은 제 1 동화상을 구성하는 것이고,
    상기 서브 스트림은 제 2 동화상을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플레이리스트 정보에 따라서 복수의 디지털 스트림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동기시점에서 제 1 동화상의 재생 영상과 제 2 동화상의 재생 영상이 동일한 화면 내에서 픽처 인 픽처 재생되며,
    상기 플레이리스트 정보와 상기 서브 스트림과 상기 엔트리 맵은 상기 서브 스트림을 배급하는 조직 명과 상기 서브 스트림이 동기하여 재생되는 메인 스트림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특정하는 식별자에 의해 고유하게 지정되는 디렉터리에 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7. 기록방법으로,
    플레이리스트정보 및 엔트리 맵을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취득한 플레이리스트정보 및 엔트리 맵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스텝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리스트정보는 복수의 디지털 스트림 각각에 대해 재생구간을 정의하는 정보이고, 메인 패스 정보와 서브 패스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패스 정보는 복수의 디지털 스트림 중 하나를 메인 스트림으로 지정하고, 그 메인 스트림에 대해 주가 되는 재생구간을 정의하는 정보이고,
    상기 서브 패스 정보는 복수의 디지털 스트림 중 다른 하나를 서브 스트림으로 지정하고, 그 서브 스트림에 대해 상기 주가 되는 재생구간과 동기할 종이 되는 재생구간을 정의하는 정보이며,
    상기 서브 패스 정보는 동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정보는 주가 되는 재생구간의 시간 축에서의 동기시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를 가지며,
    상기 엔트리 맵은 서브 스트림의 시간 축에서의 복수의 엔트리 시각을 서브 스트림에서의 복수의 엔트리 위치와 대응시켜서 나타내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 스트림 중 메인 스트림은 광디스크에 미리 기록되어 있고,
    상기 기록스텝은 복수의 디지털 스트림 중 서브 스트림으로 지정된 것을 엔트리 맵 및 플레이리스트정보에 대응시켜서 광디스크와는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플레이리스트정보와 상기 서브 스트림 및 상기 엔트리 맵은 광디스크와는 다른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스트림을 배급하는 조직 명과 상기 서브 스트림이 동기하여 재생되는 메인 스트림을 저장한 광디스크를 특정하는 디스크 ID에 의해 고유하게 지정되는 디렉터리에 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KR1020107015449A 2004-09-10 2005-09-09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KR101121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263628 2004-09-10
JP2004263628 2004-09-10
PCT/JP2005/016640 WO2006028216A1 (ja) 2004-09-10 2005-09-09 記録媒体、再生装置、プログラム、再生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863A Division KR101121238B1 (ko) 2004-09-10 2005-09-09 기록매체, 재생장치,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087A KR20100086087A (ko) 2010-07-29
KR101121363B1 true KR101121363B1 (ko) 2012-03-14

Family

ID=36036498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449A KR101121363B1 (ko) 2004-09-10 2005-09-09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KR1020107015453A KR101121330B1 (ko) 2004-09-10 2005-09-09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KR1020067016863A KR101121238B1 (ko) 2004-09-10 2005-09-09 기록매체, 재생장치, 재생방법
KR1020107015450A KR101121351B1 (ko) 2004-09-10 2005-09-09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KR1020107015452A KR101121278B1 (ko) 2004-09-10 2005-09-09 재생장치, 프로그램, 재생방법, 기록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453A KR101121330B1 (ko) 2004-09-10 2005-09-09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KR1020067016863A KR101121238B1 (ko) 2004-09-10 2005-09-09 기록매체, 재생장치, 재생방법
KR1020107015450A KR101121351B1 (ko) 2004-09-10 2005-09-09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KR1020107015452A KR101121278B1 (ko) 2004-09-10 2005-09-09 재생장치, 프로그램, 재생방법, 기록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7609947B2 (ko)
EP (3) EP1715686B1 (ko)
JP (7) JP4268637B2 (ko)
KR (5) KR101121363B1 (ko)
CN (6) CN101662692B (ko)
WO (1) WO2006028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13269B1 (en) * 2004-01-13 2012-08-08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JP4496170B2 (ja) 2004-02-17 2010-07-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記録方法、再生装置、プログラム、再生方法
EP1789958A4 (en) * 2004-09-13 2009-12-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DATA RECORDED IN A RECORDING MEDIUM USING A LOCAL STORAGE
WO2006031049A2 (en) * 2004-09-13 2006-03-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US20060077817A1 (en) * 2004-09-13 2006-04-13 Seo Kang S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KR20060047549A (ko) * 2004-10-12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20060063601A (ko) * 2004-12-03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다운로드/업데이트 하는 방법 및장치
BRPI0517651A (pt) * 2004-11-08 2008-10-14 Lg Electronics Inc método e aparelho para reproduzir dados de meio de gravação, método para atualizar dados de armazenagem local, método para formar pacote virtual
KR20060081323A (ko) * 2005-01-07 200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JP4968506B2 (ja) * 2005-03-04 2012-07-0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505312A (ja) * 2005-08-22 2009-02-0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記録媒体、データ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並びにデータ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4081772B2 (ja) * 2005-08-25 2008-04-30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849343B2 (ja) * 2005-08-25 2012-01-11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生成方法、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201428B2 (ja) * 2005-08-25 2013-06-05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生成方法、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080357A (ja) * 2005-09-13 2007-03-29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再生方法、情報再生装置
WO2007046606A1 (en) * 2005-10-17 2007-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producing apparatus and video data storing method
JP4683498B2 (ja) * 2005-11-30 2011-05-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412774B2 (en) 2006-04-29 2013-04-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icture-in-picture video content distribution
JP4770601B2 (ja) * 2006-06-23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821456B2 (ja) * 2006-06-23 2011-11-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データ構造、並びに記録媒体
CN101202873B (zh) * 2006-12-13 2012-07-25 株式会社日立制作所 信息记录再现装置和信息记录再现方法
US20080157307A1 (en) * 2006-12-28 2008-07-03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ternational (Shanghai) Corporation Lead frame
JP4321628B2 (ja) * 2007-05-31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記憶装置、記憶方法および記憶プログラム、ならびに、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JP2009027552A (ja) * 2007-07-20 2009-02-05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再生装置
RU2473980C2 (ru) 2007-11-01 2013-01-27 Панасоник Корпорэйшн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способ записи
WO2009060615A1 (en) * 2007-11-07 2009-05-14 Thomson Licensing Editing apparatus, editing method, and editing program
US20090327100A1 (en) * 2008-06-29 2009-12-31 TV1.com Holdings, LLC Method of Internet Video Access and Management
KR20110074823A (ko) * 2008-09-30 2011-07-04 파나소닉 주식회사 3d 영상에 관한 기록매체, 재생장치, 시스템 lsi, 재생방법, 안경 및 표시장치
US20100178029A1 (en) * 2009-01-15 2010-07-15 Kabushiki Kaisha Toshiba Recording/play back apparatus, play bac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play back program
KR20110126518A (ko) * 2009-02-19 2011-11-23 파나소닉 주식회사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집적회로
EP2254121A1 (en) * 2009-05-20 2010-11-24 Sony DADC Austria AG Method for copy protection
US9263085B2 (en) 2009-05-20 2016-02-16 Sony Dadc Austria Ag Method for copy protection
US8717857B2 (en) 2009-05-20 2014-05-06 Sony Dadc Austria Ag Method for copy protection
JP4984181B2 (ja) * 2009-06-22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US8351768B2 (en) * 2009-07-23 2013-01-08 Microsoft Corporation Media processing comparison system and techniques
US8977099B2 (en) 2010-12-16 2015-03-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roduction apparatus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20130191745A1 (en) * 2012-01-10 2013-07-25 Zane Vella Interface for displaying supplemental dynamic timeline content
WO2012174301A1 (en) 2011-06-14 2012-12-20 Related Content Databas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with time based metadata
CN107529708B (zh) 2011-06-16 2019-05-07 Ge视频压缩有限责任公司 解码器、编码器、解码和编码视频的方法及存储介质
UA114674C2 (uk) 2011-07-15 2017-07-10 ДЖ.І. ВІДІЕУ КЕМПРЕШН, ЛЛСі Ініціалізація контексту в ентропійному кодуванні
JP5435001B2 (ja) * 2011-09-28 2014-03-05 株式会社デンソー 地図データ配信装置、電子機器及び地図更新システム
US10051300B1 (en) * 2012-01-26 2018-08-14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media progress tracker
EP2680219A1 (en) * 2012-06-29 2014-01-01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reframing images of a video sequence, and apparatus for reframing images of a video sequence
EP2870762A4 (en) * 2012-07-06 2016-03-02 Sharp Kk ELECTRONIC DEVICES FOR SIGNALING REFERENCE FIXED DECODER PARAMETERS BASED ON SUB-IMAGES
US9454289B2 (en) 2013-12-03 2016-09-27 Google Inc. Dyanmic thumbnail representation for a video playlist
CN111933189B (zh) * 2014-09-12 2022-01-04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再现装置以及再现方法
JP6389765B2 (ja) * 2015-01-07 2018-09-1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表示制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573061B (zh) * 2015-01-23 2017-09-26 南开大学 一种支持扩展功能的虚拟文件系统装置和方法
JP6953771B2 (ja) * 2017-04-11 2021-10-27 船井電機株式会社 再生装置
US20210352241A1 (en) * 2017-08-30 2021-11-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CN111343502B (zh) * 2020-03-30 2021-11-09 招商局金融科技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057A (ja) * 2001-06-21 2003-03-07 Lg Electronics Inc マルチチャネルストリームの記録装置及び方法と、それによる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0550A (ja) 1992-04-10 1993-11-05 Nippon Steel Corp ビデオシステム
US5596564A (en) * 1993-10-08 1997-01-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CN1063863C (zh) * 1993-12-10 2001-03-28 索尼公司 信息记录媒体和信息重现装置
JPH08191423A (ja) 1995-01-10 1996-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KR100256663B1 (ko) 1995-04-11 2000-05-15 니시무로 타이죠 데이타 기록 매체
JP2857145B1 (ja) 1995-04-11 1999-02-10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並びに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US5815633A (en) * 1995-06-15 1998-09-29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scene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therefrom
JP3326670B2 (ja) * 1995-08-02 2002-09-2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符号化/復号化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符号化データ記録媒体
CN1755820B (zh) * 1996-04-05 2011-05-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生设备
JP3790871B2 (ja) * 1996-09-26 2006-06-28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再生装置
US6456777B1 (en) * 1996-10-01 2002-09-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on which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s recorded
MY117040A (en) * 1997-09-17 2004-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6363204B1 (en) * 1997-09-30 2002-03-26 Compaq Computer Corporation Viewing management for video sources
US20030161614A1 (en) 1997-11-28 2003-08-2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data recorded on a recoding medium
JP3772023B2 (ja) 1998-05-22 2006-05-10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装置、同装置に適用される画像切り替え表示方法
US6678006B1 (en) * 1998-01-07 2004-01-13 At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processing that includes sub-picture scaling
KR100466496B1 (ko) * 1998-08-07 2005-01-1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기록매체,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방법, 및 컴퓨터가 읽기가능한 기록매체
JP3058870B1 (ja) 1999-02-05 2000-07-04 株式会社次世代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システム研究所 Afc回路
JP2000347638A (ja) 1999-06-07 2000-12-15 Hitachi Ltd Osd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符号化ビデオ復号装置並びにこの復号装置を用いた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599740B2 (ja) * 2000-04-21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EP1280348A4 (en) * 2000-04-21 2004-10-06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CEDUR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2247526A (ja) * 2001-02-19 2002-08-30 Toshiba Corp 内外ストリームデータの同期再生装置とストリームデータ配信装置
JP2002262233A (ja) * 2001-03-01 2002-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行動計測システム
JP3902420B2 (ja) 2001-05-30 2007-04-04 三洋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4007118A (ja) * 2002-05-31 2004-01-08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信号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2004032607A (ja) 2002-06-28 2004-01-29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映像再生装置
ES2304146T3 (es) 2002-07-12 2008-09-16 Axon Neuroscience Forschungs- Und Entwicklungs Gmbh Animales transgenicos que expresan la proteina tau truncada de la enfermedad de alzheimer.
EP1383340A1 (en) 2002-07-18 2004-01-21 Thomson Licensing S.A. Video apparatus
JP3749910B2 (ja) * 2002-09-25 2006-03-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再生装置、プログラム、再生方法
CN1685420B (zh) * 2002-11-08 2010-07-07 Lg电子有限公司 在高密度记录介质上记录多成分数据流及其重现的方法和装置
US7664372B2 (en) * 2002-11-20 2010-02-16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component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WO2004049710A1 (ja) 2002-11-28 2004-06-10 Sony Corporation 再生装置、再生方法、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908724B2 (ja) 2002-12-09 2007-04-25 株式会社東芝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3875685B2 (ja) 2002-12-27 2007-01-31 株式会社東芝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3731664B2 (ja) 2003-01-08 2006-01-05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
DE602004013430T2 (de) * 2003-02-19 2009-06-04 Panasonic Corp., Kadoma Aufzeichnungsmedium, wiedergabevorrichtung, aufzeichnungsverfahren, programm und wiedergabeverfahren
KR101089974B1 (ko) * 2004-01-29 2011-12-05 소니 주식회사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5348075A (ja) * 2004-06-02 2005-12-15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再生装置。
KR20070014945A (ko) * 2005-07-29 200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와 데이터 기록방법및 기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057A (ja) * 2001-06-21 2003-03-07 Lg Electronics Inc マルチチャネルストリームの記録装置及び方法と、それによる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65060B2 (en) 2011-01-04
US20110064374A1 (en) 2011-03-17
CN101640782B (zh) 2011-12-21
CN101646094B (zh) 2011-07-13
CN101640782A (zh) 2010-02-03
EP1715686B1 (en) 2012-11-07
JP2008259223A (ja) 2008-10-23
US8457473B2 (en) 2013-06-04
KR101121278B1 (ko) 2012-03-23
JP2008245307A (ja) 2008-10-09
JP2009038825A (ja) 2009-02-19
JP4537477B2 (ja) 2010-09-01
US7609947B2 (en) 2009-10-27
JP4560112B2 (ja) 2010-10-13
KR20100086087A (ko) 2010-07-29
KR20070050004A (ko) 2007-05-14
JP4268637B2 (ja) 2009-05-27
JP4560111B2 (ja) 2010-10-13
WO2006028216A1 (ja) 2006-03-16
EP2373012A1 (en) 2011-10-05
CN101646094A (zh) 2010-02-10
EP1715686A1 (en) 2006-10-25
KR20100087778A (ko) 2010-08-05
KR20100086088A (ko) 2010-07-29
EP1715686A4 (en) 2011-03-09
US20110064382A1 (en) 2011-03-17
JPWO2006028216A1 (ja) 2008-05-08
EP2373013B1 (en) 2012-11-28
CN100559858C (zh) 2009-11-11
JP2009065681A (ja) 2009-03-26
JP4268661B2 (ja) 2009-05-27
CN100556118C (zh) 2009-10-28
JP4268662B2 (ja) 2009-05-27
CN101662692B (zh) 2012-09-19
EP2373012B1 (en) 2012-10-24
CN1747543A (zh) 2006-03-15
JP2008271567A (ja) 2008-11-06
US7801415B2 (en) 2010-09-21
US20100046912A1 (en) 2010-02-25
US20080031599A1 (en) 2008-02-07
KR101121351B1 (ko) 2012-03-14
EP2373013A1 (en) 2011-10-05
US20070274676A1 (en) 2007-11-29
JP4268660B2 (ja) 2009-05-27
US8433178B2 (en) 2013-04-30
KR20100087779A (ko) 2010-08-05
KR101121238B1 (ko) 2012-03-26
CN1926857A (zh) 2007-03-07
KR101121330B1 (ko) 2012-03-14
CN101646093A (zh) 2010-02-10
CN101662692A (zh) 2010-03-03
JP2009011000A (ja)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363B1 (ko)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KR101268327B1 (ko) 기록매체, 재생장치, 기록방법, 재생방법
KR20070100358A (ko) 기록매체, 재생장치, 프로그램, 기록방법, 재생방법
US20090055744A1 (en)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device, recording device, system lsi, method, and program
JP2007228609A (ja) 記録媒体、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