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736B1 -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 Google Patents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736B1
KR101120736B1 KR1020070113846A KR20070113846A KR101120736B1 KR 101120736 B1 KR101120736 B1 KR 101120736B1 KR 1020070113846 A KR1020070113846 A KR 1020070113846A KR 20070113846 A KR20070113846 A KR 20070113846A KR 101120736 B1 KR101120736 B1 KR 10112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re gas
fluorescent lamp
gas fluorescent
lid member
insula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807A (ko
Inventor
유키하르 다가와
미츠오 후나코시
Original Assignee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0113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73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10Shields, screens, or guides for influencing the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12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5Vessels; Container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72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main light-emitting filling of easily vaporisable metal vapour, e.g. mercu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간편한 방식으로 외부 전극형 희가스 형광 램프의 절연 구조를 실현함과 동시에, 절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종래의 내부 전극형 형광 램프와 비교하여 긴 사용 수명을 얻을 수 있는, 일반 조명용 희가스 형광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희가스 형광 램프는, 발광관의 외경 표면에 관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외부 전극이 배설된 희가스 형광 램프와 희가스 형광 램프 전체를 덮는 투광성을 가진 절연통체(絶緣筒體)와 절연통체의 개구(開口) 단부를 덮는 대략 원판 모양의 단벽부(端壁部) 및 상기 단벽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대략 통 모양의 협지부(狹持部)를 구비한 수지에서 이루어진 뚜껑 부재를 구비하여, 뚜껑 부재가, 협지부 내부에 발광관 단부를 장착한 상태에서, 협지부를 절연통체 내부에 삽입하여 끼워 붙임으로써, 희가스 형광 램프와 절연통체를 대략 같은 축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뚜껑 부재와 절연통체 사이에 접착제를 충전하여 대략 밀폐 상태인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DOUBLE TUBE TYPE RARE GAS FLUORESCENT LAMP}
본 발명은, 일반 조명용 광원으로서의 희가스 형광 램프에 관한 것으로, 광고, 간판의 백 라이트용 조명, 가로등 등의 옥외 조명, 냉장고나 냉동고 등의 보냉 실내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희가스 형광 램프에 관한 것이다.
광고 간판 등의 백 라이트로 사용되는 조명 장치에 대해서는, 다수의 직관형 형광 램프를 병렬로 일정 간격을 주고, 다등(多燈)으로 면상의 조명 장치를 구성한, 이른바 직하형의 것이 사용되어 있다. 이러한 조명 장치에 사용되는 광원은, 발광관 내면에 형광체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양단에 한 쌍의 내부 전극을 마련하여 내부에 아르곤, 네온 등의 희가스나 수은을 봉입(封入)하여 방전을 발생시켜, 발생한 자외선을 형광체막에 조사하여 여기(勵起)함으로써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키고 외부로 꺼내는, 이른바 내부 전극형의 형광 램프가 사용된다.
백 라이트용의 조명 장치에서는 공간 절약화를 감안하여 발광관의 관경이 비교적 작은 냉음극형(冷陰極型) 형광 램프(CCFL)가 상당히 적합하여 많이 사용되고, 공간 절약화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은 조명 분야에 있어서는, 발광관의 직경이 비교적 큰 열음극형(熱陰極型) 형광 램프도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형광 램프는 내부 전극형이며, 발광관의 내부에 수은을 봉입한 구조이다.
상기 내부 전극형의 형광 램프는, 일반 조명용으로서 넓게 사용되고 있는 한편, 수은이 미증발이면 수은의 여기 자외선을 얻지 못하고, 가시광선의 방사가 적어지기 때문에, 한냉지(寒冷地)에 있어서는 소기의 광량을 얻을 수 없을 때가 있다.
또, 일반 조명의 용도에서는 사용되는 장소가 옥외이거나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램프의 교환 회수가 적어서 보수가 간편한 것, 즉 장수명의 램프가 요구된다. 그러나, 열음극형 형광 램프는, 밸브 내부에 봉장된 전극의 이미터의 고갈을 피하지 못하고, 장기 수명화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다. 또, 냉음극형 형광 램프에 대해서도, 주위 온도 저하에 따라 수은 증기압의 저하에 의한 전극 물질의 스퍼터 증가에 의한 발광 관내벽의 흑화(黑化)나 불점등(不點燈)이 발생한다. 혹은, 열음형 형광 램프 및 냉음극형 형광 램프 모두, 발광 관내부로 봉입된 수은과의 반응으로 생긴 형광체의 열화에 의한 조도 저하 등도 수명을 좌우하고, 종래부터 여러 가지 대책을 취하고 있지만, 현재 이상으로 대폭 사용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은 이미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상술한 내부 전극 방식의 형광 램프에 대하여, 이른바 외부 전극 방식의 형광 램프는, 발광관의 외경 표면상 한 쌍의 대략 띠 모양의 외부 전극을 발광관의 축방향으로 형성하여, 발광관 내주면상으로 형광체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희가스를 봉입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특히 원고 판독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관련된 외부 전극형 희가스 방전등의 일례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원통형의 발광관(71) 내면에는, 형광체막(74)이 밸브 축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발광관(71)의 내부 공간에는, 크세논 가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희가스가 4×103 ~ 40×103 ㎩ 정도의 압력으로 봉입되어 있다. 한편, 발광관(71)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외부 전극(72, 73)이 관축 사이에 끼워져 서로 대향 하도록 설치된다. 그들 2개의 외부 전극(72, 73)은 각각 관축 방향으로 긴 띠 모양의 전극으로, 관축과 평행하게 2개의 간격(개구부)을 주고,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상술의 2개의 외부 전극(72, 73)이 방전을 일으키게 하는 주전극으로서의 외부 전극이다. 2개의 외부 전극(72, 73)에는, 양전극 사이의 절연성이나 안전성 향상을 위한 투광성의 절연 피복(75)이 실시된다.
이 희가스 방전등(70)에 있어서, 전극(72, 73) 사이에, 예를 들면 30 ㎑, 피크 전압으로 대략 1600 V와 같은 고주파, 고전압을 인가하면, 발광관(3) 내부에 유전체 배리어 방전(Barrier Discharge)이 발생한다. 이때, 발광관 내로 봉입된 크세논이 여기되어 파장 172 ㎚의 자외선을 발생하여, 이 자외선이 형광체막(74)을 여기하고 가시광선으로 변환되고, 전극(72, 73) 사이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꺼내진다.
이 외부 전극형의 희가스 방전등(70)은, 방전을 위한 주전극을 발광관(71) 외면으로 가지는 구조상 특징으로, (1) 방전에 의한 이온 충격으로 전극이 소모하는 일 없기 때문에, 내부 전극 방식의 방전등에 비하여 점멸이 강하고, 수명이 길다. 또, 관단(管端) 흑화에 따른 관축 방향의 조도 분포 변화가 대부분 없다. (2) 수은의 여기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램프의 주위 온도가 낮은 한냉지에 있어서도 높은 광량을 유지할 수 있고, 광량 안정성이 좋다. 또 (3) 형광체와 수은이 반응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형광체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다. 이러한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런데, 외부 전극형의 희가스 방전등을 일반 조명에 적용하려면, 방전을 위한 주전극, 즉 외부 전극(72, 73)의 전기적인 절연을 확보하고, 또 외부로의 안전성을 보증해야 한다.
종래부터 알려진 절연 피복 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그 하나(종래예 1)가,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 제2969130호 공보)에 기재된, 예를 들면 실리콘 레진과 같은 투광성의 절연성 바니스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절연성 바니스를 외부 전극(72, 73)의 표면 및 발광관(74)과 외부 전극(72, 73)과의 경계에 도포함으로써, 절연 피복(75)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절연 피복 형성의 다른 하나의 방법(종래 예 2)은, 열수축 튜브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일본국 특허 제2783448호 공보)는, 외부 전극 형성이 완료된 발광관을 실리콘 레진조로 침지(浸漬)시켜, 건조함으로써 상기의 절연성 바니스를 도포한 위에, 예를 들면 폴리에스텔과 같은 투광성의 열수축 튜브를 더 씌우고, 오븐으로 가열함으로써 수축시켜, 하지의 절연성 바니스 피막을 밀착시 키는 이중 피복의 기술을 개시한다.
절연 피복 형성의 또 다른 방법(종래예 3)은, 투광성의 전기 절연성 시트를 발광관으로 감는 방법이다. 특허 문헌 3(일본국 특허 공개 평9-134706호 공보)에 개시된 희가스 방전등에서는, 투광성의 절연성 시트의 한쪽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것을 미리 준비하고, 외부 전극을 발광관상으로 형성한 후, 상기의 절연 시트를 관축을 중심으로 하여 발광관의 전체로 평행하게 감고 외부 전극이 발광관의 양단면으로 노출하지 않도록 한다.
또 다른 방법(종래예 4)은, 같은 투광성의 전기 절연성 시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특허 문헌 4(일본국 특허 3022283호 공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발광관의 전체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의 투광성 절연 시트의 한쪽 면에, 관축방향으로 늘어나는 띠 모양의 한 쌍의 전극을 미리 형성하고, 상기의 띠 모양 전극을 마련한 절연 시트를 (희가스를 봉입만 하고, 외부 전극이 없는) 발광관에 관축을 중심으로 평행하게 감으로써, 발광관상으로의 외부 전극 형성과 그 위의 절연 피복 형성을 동시에 실현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또, 다른 방법(종래예 5)은, 특허 문헌 5(일본국 특허 공개 평7-272691호 공보)에 개시된 것으로서, 희가스 형광 램프의 외주면상에 배설된 수지제의 절연 피복재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희가스 형광 램프 외주에 보조 밸브를 외장 한다.
또 다른 방법(종래예 6)은, 특허 문헌 6(일본국 특허 공개 평9-107440호 공보)에 개시된 것으로서, 희가스 형광 램프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발광관보다 직경이 큰 보호관 내부로, 외부 전극 형성이 완료된 램프를 수용하여 양단에 소켓을 마련하여 사람 손이 닿아도 고전압 리크를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제296913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 제278344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 공개 평9-134706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허 제3022283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국 특허 공개 평7-272691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국 특허 공개 평9-107440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 알려진 희가스 형광 램프의 용도는, 원고 조명용의 광원 등의 사무 기기 등, 옥내에서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관련된 희가스 형광 램프를 이른바 일반 조명용으로 사용하려면 여러 가지 불편이 생긴다.
예를 들면, 옥외등에서 사용하면 수분이나 먼지 등이 램프에 흡착하기 쉽고, 절연 부재와 발광관 사이에 이들이 침수하면 외부 전극 사이의 절연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점등 불량을 일으켜 램프의 사용 수명이 현저하게 짧아진다. 즉, 안전성의 관점에서 신뢰성이 낮고, 옥외등에서 수분에 대하여 노출되는 가능성이 있으면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종래 예 6에 있어서, 절연 부재로서 보호관을 이용하여 보호관과 소켓에 의해 외부 전극이 외부에 노출하는 것을 회피한 종래 기술이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기술에서는 보호관 소켓의 결합 부분에서 수분이 침수하면 바로 절연을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옥외 사용에 대하여 충분한 신뢰성을 얻을 수 없었다.
또, 그 외에도 희가스 형광 램프의 발광관 외경 표면상을 수지재로 피복하여 절연 처리한 것은, 희가스 형광 램프의 발열에 의해 수지가 열화되어, 안정적인 절연 기능을 가질 수 없는 것은 당연하고, 만일 내열성이 풍부한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에서도 양호한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수천 시간에 그치기 때문에, 수명에 이르기까지 조도(照度) 저하나 색조 변화가 현저하게 생긴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관련된 희가스 형광 램프는 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낮고, 또 절연을 위하여 수지제의 튜브나 시트를 사용했을 경우, 수지의 열화를 피하지 못하고, 램프의 조기 교환이 필요하여, 수만 시간의 수명이 요구되는 일반 조명 용도에는 부적절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편한 방식으로 외부 전극형 희가스 형광 램프의 절연 구조를 실현함과 동시에, 절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종래의 내부 전극형 형광 램프와 비교하여 긴 사용 수명을 얻을 수 있는 일반 조명용의 희가스 형광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희가스 형광 램프는,
발광관 내부에 희가스가 봉입되어 상기 발광관의 외경 표면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여, 관축방향을 따라 한 쌍의 외부 전극이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 전극의 단부 리드선이 접속된 희가스 형광 램프와,
희가스 형광 램프를 전체로 덮는 투광성을 가진 절연통체와,
상기 절연통체의 양단부를 막고, 수지에서 이루어진 한 쌍의 뚜껑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 부재는, 절연통체의 개구 단부를 덮는 대략 원판 모양의 단벽부와, 상기 단벽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대략 통 모양의 협지부를 구비하며,
희가스 형광 램프와 절연통체와는, 협지부 내부에 발광관 단부를 장착한 상 태에서 해당 협지부가 절연통체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 붙임으로써 대략 동일한 축에 유지되고,
상기 뚜껑 부재와 절연통체 사이에 접착제가 충전됨으로써 상기 절연통체 내부가 대략 밀폐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협지부에 축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뚜껑 부재에 접착제 주입용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 협지부 내면에 오목한 곳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해당 오목한 곳의 내부에, 외부 전극과 리드선의 접속부가 수용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 상기 리드선은 발광관축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에 대하여 외부 전극과 접속되어, 해당 한쪽의 단부에 접속되는 뚜껑 부재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절연통체는 유리관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 상기 뚜껑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는, 실리콘, 우레탄 등의 유연성 및 탄력성을 가진 수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희가스 형광 램프의 발광관이 뚜껑 부재의 협지부에 의해 유지되고, 협지부 외주면이 투광성 절연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희가스 형광 램프와 투광성 절연부재와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고, 희가스 형광 램프가 투광성 절연부재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보호됨과 동시에, 투광성 절연부재의 개구가 뚜껑 부재로 덮여 더욱 접착제로 대략 밀폐 봉지됨으로써, 희가스 형광 램프의 주위에 수분이 부착하는 것이 회피되어 대향하는 외부 전극 사이의 절연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극형 희가스 형광 램프의 절연 구조를 실현할 수 있고, 일반 조명용으로서 적합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이중관형의 희가스 형광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결과, 종래의 내부 전극형 형광 램프와 비교하여 상당히 긴 사용 수명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한냉지 등에서도 조도가 높고 안정성이 양호한 형광 램프를 얻을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원 제1 실시 형태를 도 1 ~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의 사시도, 도 2는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를 구성하는 (a) 투광성 절연통체의 사시도, (b) 외측관의 내부에 수용된 희가스 형광 램프 본체의 사시도, 및 (c) 상기 희가스 형광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투광성 절연통체의 양쪽 모두의 단부에 접속되는 뚜껑 부재를 꺼내 가리킨 사시도 또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희가스 형광 램프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를 확대하여 가리킨 설명도이며, 도 7은 완성된 이중관형 희가스 노광 램프의 일부를 파단하여 가리킨 정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관 모양의 투광성 절연통체(2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희가스 형광 램프가 수용되어, 투광성 절연통체(20)의 양쪽 단부에 뚜껑 부재(31, 32)에 의한 봉지 기구가 구비된다. 도면상 좌측으로 위치된 뚜껑 부재(31)에는 끝 단 벽면에 2개로 잘라낸 오목 부분에서 이루어진 개구가 형성되어, 각 개구로부터 희가스 형광 램프에 접속된 급전용 리드선(15, 16)이 도출됨과 동시에, 개구에 내열성, 절연성이 풍부한 접착제 S가 충전되어 완전하게 폐쇄되어 대략 밀폐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리드선(15, 16)의 바깥쪽 단부에는 램프가 탑재되는 조명 장치에 적합한 커넥터(5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커넥터의 내열성?내전압성이 각각 120도 이상, 2000 V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리드선(15, 16)은, 종래 형광 램프에 있어서 실리콘 피복된 내전력성이 높은 것이 사용되지만, 전류는 램프에는 최대 100 ㎃ 정도 밖에 흐르지 않기 때문에, AWG(American Wire Gauge)가 23 ~ 25 정도인 것이 충분하고, 실장을 고려하면 배선에 충분한 유연성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성 절연통체(20)는, 도 2(a)로 가리키듯이 양쪽 단부가 열린 광 투과성을 가진 통체에서 이루어지며, 재질로서 바람직한 것은, 소다 석회 유리, 알루미노 규산 유리, 선반 규산 유리, 바륨 유리 등의 유리이다. 물론, 내수성?내구성이 있으면 유리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용도에 따라 투광성 절연통체 표면에, 상기 절연통체를 구성하는 재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박막 상태의 투광성 재료로 덮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투과성이 향상되어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투광성 절연통체의 내경은 발광관의 외경보다 0.5 ~ 10 ㎜ 정도 큰 것으로 되고, 또 그 두께는 통상 0.4 ~ 2.O ㎜ 이다.
또한, 투광성 절연통체(20)에 유리를 사용할 경우, 램프를 파손했을 때의 파편의 비산 방지를 위하여, 투광성 절연통체의 외경 표면으로 수지제의 튜브를 피복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투광성 절연통체의 외경 표면을 형성하는 수지제의 튜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올레핀, 불소 수지, 실리콘 등의 열수축성의 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투광성 절연통체의 외경 표면에 실리콘 등의 수지를 디핑(Dipping) 등에 의하여 피막을 형성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투광성 절연통체의 외경 표면 형성을 위한 수지제의 튜브 또는 피막 두께는, 0.2 ~ 2 ㎜ 정도이다. 또한, 투광성 절연통체는 희가스 형광 램프와 같이 고온으로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피복된 수지제 튜브가 열로 열화하거나 변색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 없고, 장기간에 걸쳐 출사광의 색조를 바꾸지 않고 비산 방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b, c)는, 투광성 절연통체 내부에 수용되는 희가스 형광 램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b) 사시도 (c) 관축으로 수직한 단면도이다.
희가스 형광 램프(10)의 발광관(11)은 투광성의 유전체인 유리관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내경 표면 전체에 걸쳐 형광체가 도포되어 형광체층(14)이 형성됨과 동시에, 주된 VUV 발광 원소로서 크세논 가스를 포함한 희가스가 봉입되어 유리관의 양단부에 있어서 기밀하게 봉지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발광관(11)의 외경 표면상에 한 쌍의 도전성 외부 전극(12, 13)이 서로 이격하여 축방향으로 배설됨으로써, 희가스 형광 램프(10)가 구성되어 있다. 발광관(11)의 재질로서는 소다 석회 유리, 알루미노 규산 유리, 선반 규산 유리, 바륨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외부 전극(12, 13) 재질로서는 도전성의 것으로 특히 제한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금, 은, 니켈, 카본, 금 팔라듐, 은 팔라듐, 백금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발광관(11)의 외경 표면에 테이프 모양의 금속을 붙이거나 상기 금속과 저융점 유리를 혼합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소성 등을 함으로써, 실현한다.
발광관(11)의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는 외부 전극(12, 1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선(15, 16)이, 예를 들면 반전, 도전성 페이스트, 용접 등의 수단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접합부 A1, A2가 형성되어 희가스 형광 램프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희가스 형광 램프(10)의 발광관(11)의 외주면상에는 수지 등에서 이루어진 시트나 튜브는 전혀 쓰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는 뚜껑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급전부측 단부용의 뚜껑 부재, 도 4는 비급전부측 단부용의 뚜껑 부재를 각각 가리킨다. 도 3(b)는 (a)중에 기재된 화살표 X방향으로 본 정면도이며, 도 3(c)은 (a)중에 기재한 화살표 Y방향으로 본 정면도이다. 또, 도 4(b)는 (a)중에 기재한 화살표 X방향으로 본 정면도이며, 도 4(c)는 (a)중에 기재된 화살표 Y방향으로 본 정면도이다.
뚜껑 부재(31, 32)는 모두, 전체가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내열성을 가진 유연성, 탄력성이 풍부한 합성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대략 원판 모양의 단벽부(311, 321)를 구비하고, 단벽부(311, 321)의 내측면(31A, 32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협지부(312, 322)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협지부(312, 322)는, 두께가 대략 일정한 원통체를 기본 구조로서 그 축방향으로 슬릿(316, 324)을 가지기 때문에, 단면이 대략 C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31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며, 이에 의하여 안정된 내전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협지부(312, 322)는 이와 같이 슬릿(316, 324)을 가지기 때문에, 그 재질이 가진 탄력성, 가요성(可撓性)이 결함되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a) ~ (c)로 가리킨 급전측 단부용의 뚜껑 부재(31)에는, 상하 방향의 대향 위치에 2개 부분, 대략 U자형 모양으로 잘라냄으로써 개구가 설치되어 도출부 (313a, 313b)가 형성된다. 상기 도출부(313a, 313b)는, 상기 도면, 도 1로 가리킨 바와 같이 희가스 형광 램프(10)의 급전용 리드선(15, 16)을 도출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단벽부(311)에 도출부(313a, 313b)가 형성됨으로써 리드선의 불필요한 배선이 필요없고 외부 전극과의 접합부에 부하를 주는 일이 없이 리드선을 도출할 수 있다.
급전측 단부용의 뚜껑 부재(31)에는, 협지부(312)에 있어서의 대향 위치에 관통 구멍에 의해 구성된 한 쌍의 오목한 곳(314a, 314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오목한 곳(314a, 314b)은, 상기 뚜껑 부재(31)를 희가스 형광 램프(10)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면으로 설명한 외부 전극(12, 13) 단부에 형성된 접합부(A1, A2)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체적으로는 대략 180°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단벽부(311)과 협지부(312) 사이를 부분적으로 이격하도록 주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접착제 주입용의 개구(31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개구(315)를 가짐으로써, 뚜껑 부재(31)를 투광성 절연통체(20)에 장착한 후, 접착제의 충전 작업을 지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개구(315)는 협지부(312)에 형성된 슬릿(316)과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접착제가 뚜껑 부재(31) 내부에 유입하기 쉽고, 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도 4(a) ~ (c)는 희가스 형광 램프의 비급전측에 있어서의 단부에 장착되는 뚜껑 부재(32)이며, 상기 급전측용의 뚜껑 부재(31)와는, 리드선의 도출부(313a, 313b)가 없는 점 및 오목한 곳(314a, 314b)이 형성되지 않은 점과 상위하다.
상기 뚜껑 부재(32)에 대해서도 상기 한쪽의 뚜껑 부재(31)와 같이, 단벽부 (321)와 협지부(322)가 부분적으로 이격하도록 주방향으로 슬릿(324)이 형성되어 접착제 주입용의 개구(323)가 형성된다.
이하, 도 5 ~ 도 7을 참조하여, 투광성 절연통체(20), 희가스 형광 램프(10), 뚜껑 부재(31, 32)를 이용한 2중관형 희가스 방전등의 제작 순서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5 ~ 도 6은 조립 공정에 있어서의 주요부를 꺼내 가리킨 설명도이다. 또한, 상기 도 1 ~ 도 4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표시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5(a)에서 가리킨 바와 같이, 리드선의 램프 측 피복을 3 ㎜ 정도 제거하여, 이들을 뚜껑 부재(31)의 도출부(313a, 313b)로 단벽부(311)측으로부터 삽입함과 동시에, 도출부(313a, 313b)를 통과시키거나 리드선(15, 16) 단부를 외부 전극(12, 13)에 납땜이나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한 접속 등의 방법을 따라 접속한 다. 접속은 리드선(15, 16)의 단부를 직접 외부 전극(12, 13)에 직접 접속할 수도 있고, 적당한 단자판을 통하여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뚜껑 부재(31)의 협지부(312) 내부 공간에 희가스 형광 램프(10)의 급전측 단부를 삽입하고, (b)에서 가리키듯이 외부 전극(12, 13)의 단부에 형성된 접합부 (A1, A2)가 각각 협지부(312)에 형성된 오목한 곳(314a, 314b)의 내부 공간으로 수용되도록 발광관(11)을 뚜껑 부재(31)로 끼어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투광성 절연통체(20)에 램프(10)마다 삽입하여, 뚜껑 부재(31)의 협지부(312)를 절연통체(20)로 고정한다.
도 5(c)는 뚜껑 부재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희가스 형광 램프의 도면이고, 투광성 절연통체(20)를 파단하여 가리킨 사시도이다.
같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 부재(31)에 있어서의 단벽부(311)가 투광성 절연통체(20)의 단면에 거의 맞닿도록 해당 투광성 절연통체(20)로 장착된다. 도 5(d)는 (c)중의 선분 L-L로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뚜껑 부재(31)의 협지부(312) 내주면은 발광관(11)의 단부를 포위함과 함께, 협지부(312) 외주면이 투광성 절연통체(20)의 내주면과 밀착하여, 희가스 형광 램프(10)가 투광성 절연통체(20)에 대하여 고정된다. 게다가, 외부 전극(12, 13)의 단부에 형성된 접합부(A1, A2)가 각각 협지부(312)에 형성된 오목한 곳(314a, 314b)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기 때문에, 해당 접합부(A1, A2)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협지부(312)의 외경을 과다하게 넓히는 일이 없이, 협지부(312)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전역에 거쳐 투광성 절연통체(20)의 내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광성 절연통체(20)의 한쪽 단부에 뚜껑 부재(32)를 장착한다. 도 6(b)은 뚜껑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c)은 (b)중의 선분 M-M으로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뚜껑 부재(32)에 있어서의 협지부(322)가 희가스 형광 램프(10)에 있어서의 발광관(11)의 단부를 포위함과 동시에, 협지부(322)가 투광성 절연통체(20)에 내부에서 접촉함으로써, 해당 뚜껑 부재(32)가 투광성 절연통체(20)에 밀착하여 장착된다. 이 결과, 뚜껑 부재(32)와 상술한 한쪽의 뚜껑 부재(31)와의 협동 작용에 의하여, 희가스 형광램프(10)가 투광성 절연통체(20) 내부 중심 공간에 위치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뚜껑 부재(31, 32)의 삽입이 완료한 상태에서 투광성 절연통체(20)의 양단부에 접착제를 충전한다. 도 7은 이 상태를 나타낸 투광성 원통체의 일부를 파단하여 표시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착제 S는 뚜껑 부재(31, 32)에 있어서의 각각 단벽부(311, 321)와 협지부(312, 322) 사이에 개구(315, 32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주입할 수 있다. 투광성 절연통체(20) 단부에 있어서, 뚜껑 부재(31, 32)의 주위가 접착제 S로 폐색됨으로써, 해당 투광성 절연통체(20)의 내부가 대략 밀폐 상태로 유지되고, 내부에 배치된 희가스 형광 램프(10)를 물이나 먼지에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대략 밀폐 상태란, 상온 상압하에서 소량의 수분이나 먼지에 노출되었다고 해도, 그러한 투광성 절연통체(20) 내부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밀폐성을 가진 상태를 한다.
또한, 접착제 S로서는, 기본적으로 실리콘계나 에폭시계, 아크릴계 등의 내열성?내수성의 양호한 접착제가 적합하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전극형 희가스 형광 램프의 전체를 투광성 절연통체로 덮음과 동시에, 해당 투광성 절연통체의 양쪽 개구 단부를 수지제의 뚜껑 부재를 장착하여, 더욱 접착제로 대략 밀폐 상태로 봉지하기 때문에, 해당 희가스 형광 램프의 전극 사이의 절연을 확실히 행할 수 있고, 가로등 등의 옥외 조명, 전시용의 냉장고, 냉동고 내의 조명, 혹은 옥내외의 간판 조명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희가스 형광 램프에 의하면, 수명이나 광량이 온도에 거의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한냉지나 저온 창고 내에 대한 사용에 적합한 광원이 될 수 있다. 게다가, 희가스 형광 램프의 외경 표면상에 수지 튜브나 시트를 피복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지 제품의 열화 때문에 생기는 출사광의 색조 변화나 조도 저하 등의 경년적인 변화의 발생이 없는 희가스 형광 램프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뚜껑 부재가 절연통체의 개구 단부를 덮는 단벽부와 상기 단벽부에서 관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협지부를 가지고, 협지부의 외주면이 투광성 절연통체의 내주면에, 협지부 내주면이 발광관의 외주면으로 밀착하고, 발광관을 투광성 절연통체에 대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발광관축이 투광성 절연통체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일이 없이, 충격에 대한 내성을 충분히 구비한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가 가능하다.
또, 희가스 형광 램프의 급전측 단부에 장착되는 뚜껑 부재에 대하여 뚜껑 부재에 있어서의 단벽부에 도출부가 형성되어, 리드선이 도출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선에 부하를 주지 않도록, 간단하고 확실하게 도출할 수 있다. 더욱, 외부 전극과 리드선과의 접합부가 돌출하여 형성된 경우에도, 협지부에는 오목한 곳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합부가 해당 오목한 곳에 끼워 붙여짐으로써 협지부가 과다하게 퍼지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투광성 절연통체에 장착할 수 있다. 또 더욱, 뚜껑 부재에 있어서의 협지부가 축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협지부를 용이하게 발광관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화를 더할 수 있다. 이하, 도 8 ~ 도 12에 대하여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도 8 ~ 도 12의 각 도면에 있어서, (a)는 뚜껑 부재의 임의의 방향에서 본 사시도, (b)는 (a)중의 화살표 X방향에서 본 정면도, (c)는 (a)중의 화살표 Y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또한, 이하 도면에 있어서 먼저 도 1 ~ 도 7로 설명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표시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1)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뚜껑 부재의 도면이며, 희가스 형광 램프에 있어서의 급전측 단부에 장착된 뚜껑 부재의 예이다.
같은 도면에 나타낸 뚜껑 부재(31)는, 대략 원판 모양의 단벽부(311)로 그 안쪽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2개로 분할된 협지부(312a, 312b)를 구비한다. 협지부(312a, 312b)는 발광관의 단부를 포위 가능한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체의 대향 위치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늘어나는 2개의 슬릿 모양의 오목한 곳( 314a, 314b)이 형성됨으로써, 대향하는 반원통체의 혀와 같은 부분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오목한 곳(314a, 314b)이 단벽부(311)에 형성된 도출부(313a, 313b)와 연속해 형성되어 있고, 리드선과 외부 전극의 접합부가 오목한 곳(314a, 314b)에 수용됨과 동시에, 리드선은 그 전에 형성된 도출부(313a, 313b)로부터 도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Y방향에서 보고 알 수 있듯이, 뚜껑 부재(31)의 오목한 곳(314a, 314b) 및 도출부(313a, 313b)는 측면 부분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램프의 장착 및 리드선의 접속이 지극히 간단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접착제 주입용의 개구는 도출부(313a, 313b)가 이를 겸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오목한 곳(314a, 314b)이 도출부(313 a, 313b)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제 주입시에 접착제가 오목한 곳(314a, 314b)을 따라 흘러들어오기 쉬워 상당히 적합하다.
(2) 도 9는 더욱 다른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희가스 형광 램프에 있어서의 급전측의 단부에 장착된 뚜껑 부재의 도면이다.
대략 원판 모양의 단벽부(311)와 그 안쪽 단면으로부터 돌출한 협지부(312)를 구비하고, 본 예에 대해서도 협지부(312)는 발광관의 단부 형상을 포위 가능한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협지부(312)에는 그 축방향 중간으로부터 후단을 거쳐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오목한 곳(314a, 314b)이 설치된다. 단벽부(311)에는 상기 오목한 곳(311)의 형성 부위에 대응하여 도출부(313a, 313b)가 형성되어, 더욱 단벽부(311)의 대략 중심 위치에는 접착제 주입용의 개구(315)가 관통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 주입용의 개구(315)를 단벽부(311)의 임의 위치로 형성해도 좋다.
(3) 도 10은 더욱 다른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희가스 형광 램프에 있어서의 급전측의 단부에 장착된 뚜껑 부재의 도면이다. 같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벽부(311)에는 그 안쪽 단면으로부터 돌출한 협지부(312)를 구비하고, 본 예에서 협지부(312) 전체는 거의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협지부(312)의 내면에는 후단에서 중간을 거쳐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한 공간을 가진 오목한 곳(314a, 314b)이 형성된다. 또, 단벽부(311)에는 상기 오목한 곳(314a, 314b)의 형성 부위에 대응하여 관통 구멍이 관통 설치되어, 도출부(313a, 313b)가 구성된다. 또, 단벽부(311)의 대략 중심 위치에 접착제 주입용의 개구(31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협지부(312)에 슬릿을 형성하는 일이 없이, 캡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4) 도 11은 다른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희가스 형광 램프에 있어서의 비급전측의 단부에 장착되는 뚜껑 부재의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대략 원판 모양의 단벽부(321)와 그 내쪽 단면으로부터 돌출된 2개로 분할된 협지부(322a, 322b)를 구비한다. 협지부(322a, 322b)는, 구체적으로는 원통체의 대향 위치에 축방향으로 2개의 슬릿(324a, 324b)을 형성함으로써, 대략 반원통 형상의 혀와 같은 부분이 단벽부(321)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다.
본 예에서는 슬릿(324a, 324b)이 협지부(322a, 322b)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슬릿(324a, 324b)에 있어서의 단벽부(321)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접착제의 주 입이 가능하다.
(5) 도 12는 또 다른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희가스 형광 램프에 있어서의 비급전측 단부에 장착되는 뚜껑 부재의 도면이다.
대략 원판 모양의 단벽부(321)와 그 안쪽 단면으로부터 돌출한 협지부(322)를 구비하고, 협지부(322)는 개구 단부측에 슬릿(324a, 324b)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슬릿(324a, 324b)은 개구측의 단부로부터 그 중간까지 형성되고, 뚜껑 부재(32)에 의한 투광성 절연통체의 밀폐성이 양호하다. 또, 접착제 주입용 개구는 적절한 부위에 마련할 수 있고, 본 예에 있어서는 단벽부(321)의 대략 중심부에 있어서 개구(323)가 형성됨으로써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원 발명에 상기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인 수치예 및 재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1. 희가스 형광 램프
발광관:외경φ6 ~ φ13 ㎜, 두께 0.3 ~ 1.O ㎜
발광관 전체 길이:100 ~ 1500 ㎜
외부 전극폭:0.2 ~ 10 ㎜
외부 전극 재질:은 페이스트, 알루미늄 박, 전극 막후 3 ~ 20 ㎛
여기에서, 외부 전극은 기본적으로 띠 모양이지만, 띠 모양의 의미는 외부 전극 막두께에 대하여, 외부 전극 폭이, 한 자리 이상 긴 막을 형성하는 형태를 뜻한다. 또, 띠 모양이나 형상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하지만, 발광관 외 표면의 기본적으로 축방향을 따른 도전막을 형성하는 형상에 대해서도 띠 모양으로 표현한다.
외부 전극을 은 페이스트에 의하여 구성할 경우에는, 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형성하고, 대기중 600℃에서 소성하여 태워 붙여 사용한다. 금속박에 의하여 구성할 경우는 단책 모양의 박(箔) 한쪽 면에 접착층을 형성하고 붙인다.
전극 보호막:TiO2, ZnO, In203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 분말 페이스트, 전극 보호 막후 5~30 ㎛
여기에서, 전극 보호막은, 외부 전극과 리드선과의 접속부를 제외하여, 외부 전극 전체를 피복한다. 전극 보호막을, 세라믹 분말 페이스트로부터 형성할 경우는, 외부 전극의 경우와 같고, 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형성되고, 대기중 600℃에서 소성하고 태워 붙여 사용한다. 또, 그다지 고온으로 사용하지 않는 용도에서는, 전극 보호막으로, 예를 들면 에폭시계 수지나 실리콘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형광체:청색 형광체;BaMgAl10O17:Eu
녹색 형광체;LaPO4:Ce, Tb
적색 형광체;(Y, Gd) BO3:Eu 내지 Y203:Eu
형광체의 색도 조정:(x, y)=(0.31, 0.35) 부근을 기본으로 하지만, 용도에 따라 형광체로 재현할 수 있는 범위에서 형광체의 배합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형광체 평균 막두께:10 ~ 20 ㎛
봉입 가스압:4×103 ~ 40×103
외부 전극과 리드선과의 접속에 대해서는, 은 페이스트에 의하여 접착하여, 그 외주에 열수축 튜브를 배치하여 가열함으로써 압축, 가압하여 고정하거나, 납땜 등으로 직접 접합할 수 있다.
2. 투광성 절연통체
전체 길이:100 ~ 1550 ㎜ (발광관의 전체 길이와 동등 ~ 50 ㎜ 길다)
외경:φ7 ~ φ23 ㎜(발광관의 외경보다 0.5 ~ 10 ㎜ 크다)
두께:0.5 ~ 1.0 ㎜
재질:소다 석회 유리, 알루미노 규산 유리, 선반 규산 유리, 바륨 유리 등의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3.뚜껑 부재
재질:실리콘, 우레탄 등
단벽부:외경φ7.5 ~ φ27 ㎜, 두께 1.0 ~ 5.0㎜
협지부;축방향 길이 2.O ~ 50.0 ㎜, 두께 0.25 ~ 5.0 ㎜
4.접착제
재질:실리콘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여러 가지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뚜껑 부재를 구성하는 단벽부 및 협지부에 있어서 여러 가지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본원 발명에서는, 당연히 그러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뚜껑 부재를 제작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투광성 절연통체의 일부를 반사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출사하는 광에 지향성을 구비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의 외경 표면에 백색 혹은, 금속 광택의 박막 내지 두께막을 형성시키거나, 동일한 막을 외관의 외경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광에 지향성이 있도록 할 수 있다. 백색의 반사막으로서는, 일반적으로, TiO2 나 A1203 등의 백색 세라믹을 포함한 도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금속 광택의 막은 Al 증착 등의 금속 박막 증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구성으로서 램프의 발광관과 절연통체 사이에, 불활성 가스로서 질소나 아르곤 등의 가스를 봉입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투광성 절연통체 내부에 희가스 형광 램프 및 한쪽의 뚜껑 부재를 장착한 후, 희가스 형광 램프와 투광성 절연통체, 양단부의 뚜껑 부재 등의 램프 구성체를 소정의 가스 분위기에 조정된 챔버 내부에 이동하고, 다른 쪽의 뚜껑 부재를 장착함과 동시에, 투광성 절연통체의 소정 부위에 접착제를 충전하여 대략 밀폐 구조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의 뚜껑 부재의 구조 부재는, 뚜껑 부재는, 유연성이 있는 수지로, 실리콘, 우레탄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재질은, 내수성?내구성?내전압성이 있고, 유연성이 있는 부재라면,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희가스 형광 램프로의 급전은,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한쪽의 단부 로부터 행해져 있다. 그러나, 설치 장소나 장치 형태로, 희가스 형광 램프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극성에 대하여 전력 공급을 행하는 급전부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원의 발명에 의하면, 희가스 형광 램프의 발광관이 뚜껑 부재의 협지부에 의해 유지되고, 협지부 외주면이 투광성 절연부재의 내주면과 밀착하기 때문에, 희가스 형광 램프와 투광성 절연부재와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어, 희가스 형광 램프가 투광성 절연부재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보호되도록 한다.
게다가, 투광성 절연부재의 개구가 뚜껑 부재로 덮여 더욱 접착제에 의하여 대략 밀폐로 봉지되는 것보다, 희가스 형광 램프 주위에 수분이 부착되는 것이 회피되어 대향하는 외부 전극 사이의 절연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를 구성하는(a) 투광성 절연통체의 사시도, (b) 외측관의 내부에 수용된 희가스 형광 램프 본체의 사시도, 및 (c) 걸리는 희가스 형광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투광성 절연통체의 양쪽 모두의 단부에 접속되는 뚜껑 부재를 표시한 사시도 또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투광성 절연통체의 양쪽 모두의 단부에 접속되는 뚜껑 부재를 표시한 사시도 또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희가스 형광 램프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를 확대하여 표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희가스 형광 램프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를 확대하여 표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완성한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를 일부를 파단하여 표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뚜껑 부재의 설명도이며 사시도 또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뚜껑 부재의 설명도이며 사시도 또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뚜껑 부재의 설명도이며 사시도 또는 정 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뚜껑 부재의 설명도이며 사시도 또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뚜껑 부재의 설명도이며 사시도 또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에 관련된 희가스 형광 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희가스 형광 램프
11 발광관
12, 13 외부 전극
14 형광체층
15, 16 리드선
20 투광성 절연통체
31, 32 뚜껑 부재
311, 321 단 벽부
31A, 32A 내측 단면
312, 322 협지부
312a, 312b 협지부
322a, 322b 협지부
313a, 313b 도출부
314a, 314b 오목한 곳
315, 323 접착제 주입용 개구
316 슬릿
324, 324a, 324b 슬릿
A1, A2 접속부

Claims (8)

  1. 발광관 내부에 희가스가 봉입되고, 상기 발광관의 외표면에 서로 이격하여, 관축방향을 따라 한 쌍의 외부 전극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 전극의 단부에 리드선이 접속된 희가스 형광 램프와,
    희가스 형광 램프 전체를 덮는 투광성을 가진 절연통체(絶緣筒體)와,
    상기 절연통체의 양단부를 폐쇄하는, 수지로 이루어진 한 쌍의 뚜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 부재는 절연통체의 개구 단부를 덮는 원판 모양의 단벽부와 상기 단벽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통 모양의 협지부를 구비하며,
    희가스 형광 램프와 절연통체는 협지부 내부에 발광관 단부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협지부가 절연통체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 장착됨으로써, 동축으로 유지되고,
    상기 뚜껑 부재와 절연통체 사이에 접착제가 충전됨으로써 상기 절연통체 내부가 밀폐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에는 축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에 접착제 주입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의 내면에 오목한 곳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한 곳의 내부에, 외부 전극과 리드선의 접속부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은 발광관 축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에 대하여 외부 전극과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한쪽 단부에 접속되는 뚜껑 부재로부터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통체는 유리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을 포함하는 유연성 및 탄력성을 가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통체 내부에 불활성 가스가 봉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KR1020070113846A 2007-11-08 2007-11-08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KR10112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846A KR101120736B1 (ko) 2007-11-08 2007-11-08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846A KR101120736B1 (ko) 2007-11-08 2007-11-08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807A KR20090047807A (ko) 2009-05-13
KR101120736B1 true KR101120736B1 (ko) 2012-03-26

Family

ID=4085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846A KR101120736B1 (ko) 2007-11-08 2007-11-08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7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5083A (ja) * 1999-06-29 2001-01-19 Nec Home Electronics Ltd 希ガス放電灯
JP2005197051A (ja) * 2004-01-06 2005-07-21 Ushio Inc 希ガス蛍光ランプ
JP2007115468A (ja) * 2005-10-19 2007-05-10 Erebamu:Kk カラー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5083A (ja) * 1999-06-29 2001-01-19 Nec Home Electronics Ltd 希ガス放電灯
JP2005197051A (ja) * 2004-01-06 2005-07-21 Ushio Inc 希ガス蛍光ランプ
JP2007115468A (ja) * 2005-10-19 2007-05-10 Erebamu:Kk カラー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807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3008A (ko) 백 라이트 유닛
US20040178731A1 (en) Outside electrode discharge lamp
KR101120736B1 (ko) 이중관형 희가스 형광 램프
JP4839965B2 (ja) 二重管型希ガス蛍光ランプ
JP2000285867A (ja) 放電ランプ装置及び照明装置
JP3156262B2 (ja) 低圧放電灯
KR20080055942A (ko) 냉음극 형광램프,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US7905625B2 (en) Fluorescent lamp,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H1186797A (ja) 希ガス放電灯
CN101452809B (zh) 双重管型惰性气体荧光灯
TWI382446B (zh) Double tube type rare gas fluorescent lamp
JP3635849B2 (ja) 希ガス放電灯
KR20100014238A (ko) 열음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171696A (ja) 二重管型希ガス蛍光ランプ
JP3006665B2 (ja) 稀ガス放電灯
JPH03280354A (ja) 低圧放電灯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4848935B2 (ja) 二重管型希ガス蛍光ランプ
WO2005069351A1 (ja) 放電灯装置
JP2000311659A (ja) 外面電極蛍光ランプ
JPH07272686A (ja) 導電性発熱接着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低圧水銀蒸気放電灯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JP2008171700A (ja) 二重管型希ガス蛍光ランプ
JP3025216B2 (ja) 希ガス放電灯
JP2002279889A (ja) 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3032802B2 (ja) 希ガス放電灯
JP2003123701A (ja) 冷陰極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9